KR101082581B1 -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581B1
KR101082581B1 KR1020100008666A KR20100008666A KR101082581B1 KR 101082581 B1 KR101082581 B1 KR 101082581B1 KR 1020100008666 A KR1020100008666 A KR 1020100008666A KR 20100008666 A KR20100008666 A KR 20100008666A KR 101082581 B1 KR101082581 B1 KR 101082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blocks
motion vector
error
macroblock
interpo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8927A (en
Inventor
고만근
서재원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08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581B1/en
Publication of KR2011008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5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04N19/89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in combination with error conceal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된 영상에서 에러가 발생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검출하는 단계;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에 인접한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한 모션 벡터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 매크로블록들을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에러 은닉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간의 블록킹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JM을 통한 시공간적 에러 은닉 방법만을 사용할 때보다 PSNR과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gion-specific error concealment apparatus and method of an H.264 / AVC decoder, comprising: detecting error-occurring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occurs in an input image; Calculating a motion vector avera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values of the normal macroblocks adjacent to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Interpolating at least some of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e. As a result, the blocking phenomenon between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during error concealment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the PSNR and subjective picture quality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using only the spatio-temporal error concealment method through JM.

Description

H.264/AVC 복호화기의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 / AVC decorder and method

본 발명은 H.264/AVC 복호화기의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채널 전송중 발생한 에러로 인해 정보를 손실하게 된 매크로블록들을 찾아내고, 바르게 전송된 주변 메크로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영역별로 에러 은닉을 수행하도록 하는 H.264/AVC 복호화기의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rror concealment apparatus and method of an H.264 / AVC deco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inding macroblocks that have lost information due to an error occurring during channel transmission, and using motion information of correctly transmitted neighboring macroblocks. An error concealment apparatus and method of an H.264 / AVC decoder for performing error concealment for each region.

최근 인터넷이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UCC나 화상전화 같은 멀티미디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런 멀티미디어에서는 영상 정보가 중심이 되는데, 영상 정보를 그대로 보내기 위해서는 엄청난 크기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영상 정보를 채널을 통해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여러 압축 표준들이 만들어져 왔다. 비디오 압축 표준 기관 중 ISO/IEC에서는 영상의 저장/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MPEG-x를, ITU-T에서는 실시간 화상 전화/회의를 위한 H.26x 표준안들을 디자인해왔다. 목적이 다른 이 두 개의 표준 기관들이 모든 영역의 적용이 가능한 표준안을 만들기 위해 함께 표준화 작업을 한 것이 H.264/AVC이다.Recently, the use of multimedia such as UCC or video telephony through the Internet or wireless network is increasing rapidly. In such multimedia, image information is the center, and in order to send image information as it is, huge data transmission is required. To this end, several compression standards have been created to efficiently transmit image information through channels. Among video compression standards organizations, ISO / IEC has designed MPEG-x for the purpose of video storage / transmission, and ITU-T has designed H.26x standards for real-time video telephony / conference. It is H.264 / AVC that these two different standards bodies have standardized together to create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in all areas.

H.264/AVC는 압축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그동안 제안되었지만 복잡도가 높아 실제 표준안에 쓰이지 않았던 여러기술들을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이전의 표준안들에 비해 동일 비트율에서 약 2배의 압축률 증가를 가져올 수 있었다. 하지만 복잡도가 높은 기술들을 모두 사용하게 되면, 부/복호기 양측에서의 부담은 그만큼 높아지게 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H.264/AVC는 응용 목적에 따라 적용되는 기술들을 모은 3개의 프로파일(profile)을 제공하고 있다. 스트리밍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확장프로파일(Extended-profile), TV방송이나 비디오 저장 매체를 위한 메인 프로파일(Main-profile), 그리고 화상 전화나 회의를 위한 베이스라인 프로파일(Baseline-profile)이 그것이다. H.264 / AVC has adopted several techniques that have been proposed so far to increase the compression efficiency but have not been used in the actual standards due to their high complexity. This could result in an approximately double compression rate increase at the same bit rate compared to previous standards. But if you use all of the more complex technologies, the burden on both sides of the decoder / decoder is high. To solve this problem, H.264 / AVC provides three profiles of the technologies appli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urpose. Extended-profile for streaming media services, main-profile for television broadcast or video storage media, and baseline-profile for video telephony and conferencing.

이 중, 베이스라인 프로파일은 그 응용 목적에 있어서 시간 지연을 최대한 허용하지 않는 분야이므로 복잡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기술들만을 채용하였으며, 채널 전송시 생기는 에러에 대한 피드백 구조가 없기 때문에 FMO(Flexible Macroblock Ordering), ASO(Arbitrary Slice Order), Data Partition 등의 에러 내성 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Among them, the baseline profile is a field that does not allow the time delay as much as possible for its application purpose, and employs only relatively low complexity techniques, and has no feedback structure for errors that occur during channel transmission, so there is no FMO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Error-proofing techniques, such as ASO (Arbitrary Slice Order) and Data Partition.

또한, 부호화되어 전송화되는 패킷의 최소 단위인 슬라이스 타입 역시 복잡도 감소를 통한 시간 지연을 막고자 B(Bi-Prediction) 슬라이스를 제외한 I(Intra), P(Predictive) 슬라이스만으로 부호화한다. 하나의 픽처는 여러 개의 매크로블록들이 그룹화된 슬라이스 구조를 갖거나, 하나의 픽처가 하나의 슬라이스가 되어 패킷화되기도 한다. 패킷화된 비트 스트림은 재동기화를 위한 슬라이스 헤더 정보 비트들과 함께 채널을 통해 전송되어 복호기에서 영상을 재구성하는데 사용된다. In addition, the slice type, which is the minimum unit of the encoded and transmitted packet, is also encoded using only I (Intra) and P (Predictive) slices except for B (Bi-Prediction) slices to prevent time delay through complexity reduction. One picture may have a slice structure in which several macroblocks are grouped, or one picture may be packetized as one slice. The packetized bit stream is sent over the channel with slice header information bits for resynchronization and used to reconstruct the image in the decoder.

이렇게 압축 효율이 좋아질수록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시 발생되는 오류에 더욱 민감하게 되었으며, 전송 에러 전파에 따른 화질 열화 또한 커지게 되었다. H.264/AVC는 패킷 형태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기본적으로 패리티 검사를 통한 패킷 손상 여부를 판단한 후, 에러가 발생되었다고 결정되면 패킷 전체를 버리게 된다. 이때, 제대로 전송된 매크로블록들의 정보도 버리게 되므로, 많은 화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런 에러 문제 해결을 위해 이전의 표준안들부터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에러 문제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것은 정확한 에러 위치의 검출이다. 기본적으로 syntax기반의 검출 알고리즘이 있으며, 보다 나은 검출률 향상을 위해 약간의 PSNR 감소나 비트량 증가와 같은 손해를 감수하고, 부호화시 숨김 정보를 같이 보내어 디코더측에서의 검출 능력 향상을 꾀하는 연구도 진행되어 왔다.The better the compression efficiency, the more sensitive it is to errors occurring during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channel, and the worsened image quality due to transmission error propagation. H.264 / AVC transmits data in the form of a packet. Basically, after determining whether a packet is damaged through parity check, if an error occurs, the entire packet is discarded. At this time, since the information of the macroblocks transmitted properly is discarded, a lot of image quality degradation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error problem,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previous standards. What should be preceded for an error problem is the detection of the exact error location. Basically, there are syntax-based detection algorithm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mprove the detection capability at the decoder side by taking a bit of loss such as PSNR reduction or bit increase for better detection rate, and sending hidden information when encoding. .

이런 식으로 복호기에서 에러가 검출된 후 영상은 재동기화가 이루어져 에러가 난 부분을 건너뛰고 계속적인 복호화가 수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몇 개의 매크로블록들이 묶어진 그룹단위마다 새로운 헤더 비트를 넣게 되는데, 재동기화는 이런 헤더 시작 비트를 찾음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에러의 검출과 재동기화가 이루어져 에러가 난 비트열을 만나도 끝까지 영상 복호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fter an error is detected in the decoder, the image must be resynchronized, skipping the errored portion, and continuous decoding must be performed. In general, several macroblocks contain a new header bit for each grouped group, and resynchronization can be done by finding this header start bit. Through this process, error detection and resynchronization is performed so that image decoding can be performed to the end even when an error bit string is encountered.

정확한 에러 검출과 재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되면 정보를 잃어버린 하나의 매크로블록이나 그룹 단위로 에러 은닉 과정이 복호기에서의 후처리로 수행된다. 정보를 잃어버린 영상은 동영상의 특성을 따라 계속적으로 전파되어 나가기 때문에 가장 비슷한 정보들로 보간된 영상을 만들어줘야 한다. 종래의 기술은 에러의 은닉을 효과적으로 하고자 공간적으로는 인접 픽셀값들을 이용한 방법을, 시간적으로 이전의 위치에 해당되는 정보를 가져오는 여러 가지 은닉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양쪽 가장자리 구역의 매크로블록들의 움직임 정도가 다르면 보간되는 모션 벡터 값들간의 차가 화면 중앙에서는 크게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매크로블록들간의 불일치 현상인 블록킹 현상이 발생한다. When correct error detection and resynchronization is performed, the error concealment process is performed as a post-processing in the decoder in units of macroblocks or groups in which information is lost. Since the lost information is continuously propag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deo,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terpolated video with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n the prior art, in order to effectively conceal errors, various concealment methods have been studied, which use spatially adjacent pixel values and obtai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vious position in time. However, in this method, if the degree of motion of the macroblocks at both edge regions is differ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olated motion vector values varies greatly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s a result, a blocking phenomenon, which is a mismatch between macroblocks,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의 압축전송시 에러가 발생한 매크로블록들을 찾아내고, 영역에 따라 상이한 은닉방법을 사용하여 은닉을 수행함으로써, 블록킹 현상을 방지하여 PSNR과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d macroblocks in which errors occur during compression transmission of an image, and perform concealment using a different concealment method according to a region, thereby preventing PS from blocking and improving PSNR and subjective picture qualit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concealment in a region of a .264 / AVC decoder are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은, 입력된 영상에서 에러가 발생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에 인접한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한 모션 벡터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 매크로블록들을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error-produced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occurs in an input image; Calculating a motion vector avera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values of the normal macroblocks adjacent to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And interpolating at least some macroblocks of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e. The method may be achieved by a region-specific error concealment method of an H.264 / AVC decoder. .

상기 목적은, 입력된 영상에서 에러가 발생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 및,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에 인접한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한 모션 벡터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 매크로블록들을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제1은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may include an error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error-occurring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occurs in an input image; And calculating a motion vector averag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by using motion vector values of normal macroblocks adjacent to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and comparing at least some macroblocks of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to the motion vector average. It can be achieved by the region-specific error concealment apparatus of the H.264 / AVC deco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 및 방법은, 에러 은닉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간의 블록킹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JM을 통한 시공간적 에러 은닉 방법만을 사용할 때보다 PSNR과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egion-specific error concealment apparatus and method of the H.264 / AVC decoder can effectively reduce the blocking phenomenon between error-occurring macroblocks during error concealment, and can provide PSNR and subjective picture quality more than the case of using the spatiotemporal error concealment method through JM. Can impro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264/AVC 복호기의 에러 은닉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에러 검출부에서 수행되는 매크로블록 레벨에서의 에러 검출 알고리즘의 흐름도,
도 3은 제1은닉부와 제2 은닉부의 구획별 수행되는 에러 은닉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4는 표준 동영상 비트스트림의 Syntax 구조도,
도 5는 제2은닉부에 의해 P 슬라이스에서 JM 은닉 기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6은 제2은닉부에 의해 매크로블록별로 JM 은닉 기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러 은닉 장치에서 매크로블록들의 에러를 영역별로 은닉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rror concealment apparatus of an H.264 / AVC deco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n error detection algorithm at a macroblock level performed by the error detection unit of FIG. 1;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rror concealment process performed for each s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cealment portions;
4 is a structure diagram of a syntax of a standard video bitstream;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JM concealment technique is performed on a P slice by a second concealment unit;
6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JM concealment technique is performed for each macroblock by a second concealment uni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cealing errors of macroblocks for each region in the error conceal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H.264/AVC 복호기의 에러 은닉 장치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rror concealment apparatus of an H.264 / AVC deco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H.264/AVC 복호기의 에러 은닉 장치는, 에러 검출부(10), 영역 구획부(20), 제1은닉부(30), 제2은닉부(40)를 포함한다. The error concealment apparatus of the H.264 / AVC decoder includes an error detector 10, an area partitioner 20, a first concealment portion 30, and a second concealment portion 40.

에러 검출부(10)는, 복호화 장치에서 복호화된 현재 슬라이스를 수신하여 현재 슬라이스에 포함된 매크로블록 중에서 에러가 발생한 매크로블록을 검출한다. 즉, 영상 데이터 전송 도중 에러가 발생하여 손실된 블록을 검출한다. The error detector 10 receives the current slice decoded by the decoding apparatus and detects a macroblock in which an error occurs among macroblocks included in the current slice. That is, an error occurs during video data transmission to detect a lost block.

일반적으로 MPEG-1, MPEG-2, MPEG-4, H.264/MPEG 4 AVC(Advanced Video Coding)와 같은 영상 압축 방식은 영상 데이터는 높은 효율로 압축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의 일부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많은 수의 매크로블록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video compression schemes such as MPEG-1, MPEG-2, MPEG-4, H.264 / MPEG 4 Advanced Video Coding (AVC) compress the video data with high efficiency, so that part of the bitstream including the video data An error can occur in a large number of macroblocks.

특히, P 슬라이스에 포함된 매크로블록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 P 슬라이스를 참조하는 또 다른 P 슬라이스에 에러가 전파(propagation)되어 전체 영상 시퀀스에 심각한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an error occurs in a macroblock included in a P slice, an error is propagated to another P slice that refers to the P slice in which an error occurs, thereby causing a serious error in the entire image sequence.

본 에러 검출부(10)에서는, 도 2의 흐름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베이스라인 프로파일에 맞추어 만들어진 비트스트림들에 대한 Syntax/Semantic 검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패킷 단위가 아닌 매크로블록 레벨에서의 에러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러 검출부(10)에서 에러가 검출되면, 에러가 발생한 매크로블록부터 다음 재동기 비트를 만날 때까지의 모든 매크로블록들은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로 결정되고 정보가 버려진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에러가 발생된 패킷인 프레임 전체의 정보들을 버리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에러가 발생된 패킷내의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정보들은 유지할 수 있다. The error detection unit 10 performs a Syntax / Semantic check on bitstreams created according to the baseline profile by the method illustrated in the flowchart of FIG. 2. Accordingly, error detection may be performed at the macroblock level instead of the packet unit. If an error is detected by the error detector 10, all macroblocks from the macroblock in which the error occurs until the next resynchronization bit are encountered are errors. It is determined by the occurrence macroblocks and the information is discarded.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he information of the entire frame, which is an error packet, is discard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f normal macroblocks in the error packet may be maintained.

영역 구획부(20)는, 에러 검출부(10)에서 검출된 에러가 발생한 매크로블록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의 가장자리인 A 구역과 C 구역에 위치하는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과, A 구역과 C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B 영역에 위치하는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으로 구획한다. The region dividing unit 20 may include a macroblock in which an error detected by the error detecting unit 10 has occurred, as shown in FIG. 3, edge region macroblocks located at regions A and C, which are edges of the image, and A; It is divided into the remaining area macroblocks located in the remaining area B except for the area C and the area C.

그런 다음, 영역 구획부(20)는,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에 대한 픽셀 정보는 제1은닉부(30)로 제공하고,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에 대한 픽셀 정보는 제2은닉부(40)로 제공한다. Then, the area partitioner 20 provides the pixel information for the remaining area macroblocks to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and the pixel information for the edge area macroblocks to the second concealment unit 40. .

제1은닉부(30)는, 화면 전체의 움직임 방향성을 고려한 은닉 방법을 이용하여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의 은닉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performs concealment of the remaining area macroblocks by using a concealment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entire screen.

H.264/AVC의 복호화기로 들어오는 비트스트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도 3은 에러 검출부(10)를 통해 에러가 검출된 상태의 슬라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우측에 있는 current_frame에서 흰색 네모들은 올바른 전송이 이루어진 매크로블록들을 나타내고, 어두운 색의 네모들은 에러가 검출되어 정보가 버려진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보여준다. The bitstream coming into the decoder of H.264 / AVC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4, and FIG. 3 shows a slice in which an error is detected through the error detector 10. In the current_frame on the right side of FIG. 3, white squares represent macroblocks in which the correct transmission is performed, and dark colored squares represent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is detected and information is discarded.

제1은닉부(30)에서는 정보를 잃어버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에 대하여 은닉 과정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performs a concealment process on the remaining area macroblocks among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for which information is lost.

제1은닉부(30)는, 먼저 에러가 발생한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에 바로 인접한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에 대해 수직 및 수평 방향 각각에 대한 움직임 평균인 모션 벡터 평균 Conceal _ mv(x) 와 Conceal _ mv(y)를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구한다.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uses the motion vector values of the normal macroblocks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occurs first, and is a motion average of each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The vector mean Conceal _ mv ( x ) and Conceal _ mv ( y ) are obtained using Equation 1.

Figure 112010006525137-pat00001
Figure 112010006525137-pat00001

여기서 N은 영상의 수평축에 속하는 매크로블록수를 의미한다.
Here, N means the number of macroblocks belonging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image.

이렇게 구한 모션 벡터 평균값들은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 전체에 대해 각각의 모션 벡터가 되며, 제1은닉부(30)는 참조 프레임으로부터 픽셀 정보들을 가져온다. 제1은닉부(30)는 움직임 보상으로 이루어진 픽셀 정보들로 현재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에러 은닉 방법은, 단순한 모션 벡터 평균만을 이용하여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어느 한 방향으로 모두 이동시키기 때문에 움직임 방향의 반대 가장자리는 채워지지 않게 되고, 이것이 자체 에러로서 다음 영상으로 전파되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제1은닉부(30)에서는 영상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만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은닉시키기 때문에 종래에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이 제대로 채워지지 않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The motion vector average values thus obtained become respective motion vectors for all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and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obtains pixel information from the reference frame.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performs a process of interpolating the current macroblocks with pixel information consisting of motion compensation. This error concealment method uses the simple motion vector averaging to move all the error-producing macroblocks in either direction so that the opposite edges of the movement direction are not filled, which causes a phenomenon to propagate to the next image as its own error. Can be. However, since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conceals only the region macroblocks except for the edge of the image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e, the conventional edge region macroblocks may not be properly filled.

제2은닉부(40)에서는 참조 소프트웨어인 JM(Joint Model)을 이용한 시공간적 에러 은닉 방법을 이용하여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에 대한 에러 은닉을 수행한다.The second concealment unit 40 performs error concealment on the edge region macroblocks using a spatiotemporal error concealment method using the reference software JM (Joint Model).

여기서, 공간적 이용 방법인 인접 픽셀 보간 방법은, 일반적으로 에러가 난 현재 매크로블록의 픽셀 위치와 수직, 수평으로 인접한 픽셀들과의 거리 상관성을 이용하여 보간을 통한 은닉을 수행한다. 시간적 은닉 방법은, 주로 P(Predictive) 슬라이스에서 이루어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에러가 발생한 매크로블록에 대해 주변의 정상 매크로블록이나 이미 은닉된 매크로블록의 움직임 벡터인 모션 벡터(Motion Vector) 쌍들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인접한 매크로블록들은 움직임 정도의 유사성이 높게 나타난다. 이런 성질을 이용하여 JM에서는 에러가 난 매크로블록 주변의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를 참조 모션 벡터로 이용한다. 참조 모션 벡터들을 이용한 움직임 예측과 보상을 통해 이전 프레임 상관 위치의 픽셀 정보를 가져와 현재 에러가 난 매크로블록을 보간한다. 제2은닉부(40)는 참조 모션 벡터 쌍 중 인접 픽셀들 간의 차들의 합을 가장 적게 만드는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을 만족하는 참조 모션 벡터 쌍을 최적의 모션 벡터로 선택한다. Here, the adjacent pixel interpolation method, which is a spatial use method, performs concealment through interpolation by using a distance correlation between pixels that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djacent to a pixel position of an errored current macroblock. The temporal concealment method is mainly performed in a P (Predictive) slice, and as shown in FIG. 5, a motion vector that is a motion vector of a neighboring normal macroblock or an already hidden macroblock with respect to a macroblock in which an error has occurred. Vector) pairs. In general, adjacent macroblocks show a high degree of similarity in motion. Using this property, JM uses the motion vector of normal macroblocks around an errored macroblock as a reference motion vector. Through motion prediction and compensation using reference motion vectors, pixel information of a previous frame correlation position is obtained to interpolate a macroblock in which a current error occurs. The second concealment unit 40 selects a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that satisfies a boundary matching algorithm (BMA) that makes the smallest sum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pixels among the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as an optimal motion vector.

도 6은 매크로블록에 대해 BMA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BMA는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된다. 6 shows a process of BMA progressing with respect to a macroblock, and BMA is determin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0006525137-pat00002
Figure 112010006525137-pat00002

여기서 dir은 direction top, bottom, left, right 의 4방향에 인접한 참조 가능한 매크로블록들을 의미하고, dsm은 최소 왜곡값을 의미하고,

Figure 112010006525137-pat00003
는 참조 모션 벡터쌍(mvdir)에 의해 은닉되는 매크로블록의 Y-픽셀값을 의미하고, mvdir은 주변 참조가능 매크로블록(top, bottom, left, right) 중 dir에 해당되는 매크로블록의 참조 모션 벡터쌍을 의미하고, Y는 은닉될 매크로블록에 인접한 정상 복호화되었거나 보간된 매크로블록의 Y-픽셀값을 의미한다.
Where dir denotes referenceable macroblocks adjacent to four directions of direction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d sm denotes a minimum distortion value.
Figure 112010006525137-pat00003
Is the Y-pixel value of the macroblock concealed by the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mv dir ), and mv dir is the reference of the macroblock corresponding to dir of the surrounding reference macroblocks (top, bottom, left, right). Means a motion vector pair, and Y means the Y-pixel value of a normal decoded or interpolated macroblock adjacent to the macroblock to be concealed.

이러한 BMA를 통해 최적의 모션 벡터가 은닉된 매크로블록에 대한 모션 벡터로 결정되면, 제2은닉부(40)는 움직임 보상으로 이루어진 픽셀 정보들로 현재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은닉된 매크로블록의 모션 벡터는 다음 은닉 수행을 위한 참조 모션 벡터가 된다. 일반적으로 JM에서는 각 매크로블록별 참조 모션 벡터 이용 방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은닉 순서(Concealment Ordering)가 정해져 있으나, 본 발명의 제2은닉부(40)에서는 양쪽 가장자리인 A 영역과 C 영역의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만을 은닉하게 된다. If the optimal motion vector is determined as the motion vector for the hidden macroblock through the BMA, the second concealment unit 40 performs a process of interpolating the current macroblocks with pixel information consisting of motion compensation. At this time, the motion vector of the hidden macroblock becomes a reference motion vector for the next concealment. In general,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sing the reference motion vector for each macroblock in JM, concealment ordering is determined from both edges to the center direction. However, in the second concealment part 4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s A are both edges. Only the edge region macroblocks of region C and region C are hidden.

또한, 일반적으로 영상의 가장자리는 배경이나 주요하지 않은 물체들이 위치하게 되어 움직임 정도가 없거나, 거의 인접한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들과 유사하므로, 가장자리 영역은 제2은닉부(40)에서 사용한 JM에서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은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since the edge of the image is generally located in the background or non-major objects, there is no degree of movement, or similar to the motion vector values of almost adjacent macroblocks, the edge region is determined by the JM used in the second concealment portion 40. It is preferable to conceal using a motion vector of.

이러한 구성에 의한 에러 은닉 장치에서 에러를 은닉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process of concealing an error in the error concealment apparatus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복호화된 영상이 입력되면(S700), 에러 검출부(10)에서는 프레임에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검출한다(S710). 그러면 영역 구획부(20)에서는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에서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과,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분리하고(S720), 각각 그 픽셀 정보를 제2은닉부(40)와 제1은닉부(30)로 제공한다(S730). 이때, 제1은닉부(30)에는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에 대한 픽셀 정보가 제공되고, 제2은닉부(40)에는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에 대한 픽셀 정보가 제공된다. When the decoded image is input (S700), the error detector 10 detects error-occurring macroblocks in the frame (S710). Then, the area partitioner 20 separates the edge area macroblocks and the remaining area macroblocks from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S720), and respectively stores the pixel information of the second concealment portion 40 and the first concealment portion ( Provided as 30) (S730). In this case,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is provided with pixel information for the remaining area macroblocks, and the second concealment unit 40 is provided with pixel information for the edge area macroblocks.

제1은닉부(30)에서는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들을 이용하여 수직 수평 방향에 대하여 각각 모션 벡터 평균을 수학식 1를 이용하여 산출하고(S740), 산출된 모션 벡터 평균값들을 이용하여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한다(S750). The first concealment unit 30 calculates a motion vector avera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Equation 1 using the motion vector values of the normal macroblocks (S740), and uses the calculated motion vector average values to calculate the remaining region. Interpolate macroblocks (S750).

제2은닉부(40)에서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최적의 모션 벡터를 결정하고(S745), 결정된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한다(S755). The second concealment unit 40 determines an optimal motion vector using Equation 2 (S745), and interpolates the edge region macroblocks using the determined motion vector (S755).

이와 같이, 본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방법에서는, 에러가 발생한 매크로블록들을 영상의 양측 가장자리와 나머지 중심 영역으로 분리하고,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은 JM 은닉 방법의 참조 모션 벡터를 이용한 움직임 예측 보상 방법으로 보간하고, 나머지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은 영상 전체의 방향성을 중시한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한 방법으로 은닉을 수행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region error concealment method of the decoder, the macroblocks in which the error is generated are separated into both edges and the remaining center region of the image, and the edge region macroblocks are a motion prediction compensation method using a reference motion vector of the JM concealment method. Interpolation is performed and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are concealed by using a motion vector average that emphasizes the directionality of the entire image.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에 JM을 통한 시공간적 에러 은닉 방법을 사용할 때, 양쪽 가장자리 구역의 매크로블록들의 움직임 정도가 다르면 보간되는 모션 벡터 값들간의 차가 화면 중앙에서는 크게 달라지고, 결과적으로 매크로블록들간의 불일치 현상인 블록킹 현상이 발생하던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또한,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한 은닉 방법의 경우, 은닉되는 매크로블록들을 어느 한 방향으로 모두 이동시키기 때문에 움직임 방향의 반대 가장자리는 채워지지 않고, 이것이 자체 에러로서 다음 영상으로 전파되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영역 구획을 통한 제2 은닉부 은닉 방법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spatio-temporal error concealment method through the JM is conventionally u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tion vector values interpolated varies greatly in the center of the screen if the motion degrees of the macroblocks at both edge regions are different, and as a result, between the macroblocks. The blocking phenomenon, which is a mismatch phenomenon, can be prevent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cealment method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ing, since the hidden macroblocks are moved all in one direction, the opposite edges of the movement direction are not filled, which can prevent the propagation to the next image as a self error. have. This can be prevented through the second concealment concealment method through the region compartment.

이에 따라, 에러 은닉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간의 블록킹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JM을 통한 시공간적 에러 은닉 방법을 사용할 때보다 평균 약 1.3dB 정도의 PSNR과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blocking phenomenon between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during error concealment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the PSNR and subjective picture quality of about 1.3 dB on average can be improved compared to when using the spatio-temporal error concealment method through JM.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Claims (10)

입력된 영상에서 에러가 발생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에 인접한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한 모션 벡터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 매크로블록들을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단계; 및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영상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과, 나머지 매크로블록인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간하는 단계는 주변의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를 참조 모션 벡터로 이용하여 상기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하는 단계; 및 상기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상기 참조 모션 벡터 쌍 중 인접 픽셀들 간의 차들의 합을 가장 적게 만드는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을 만족하는 참조 모션 벡터 쌍을 최적의 모션 벡터로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1027591831-pat00017

여기서 dir은 direction top, bottom, left, right 의 4방향에 인접한 참조 가능한 매크로블록들을 의미하고, dsm은 최소 왜곡값을 의미하고,
Figure 112011027591831-pat00018
는 참조 모션 벡터쌍(mvdir)에 의해 은닉되는 매크로블록의 Y-픽셀값을 의미하고, mvdir은 주변 참조가능 매크로블록(top, bottom, left, right) 중 dir에 해당되는 매크로블록의 참조 모션 벡터쌍을 의미하고, Y는 은닉될 매크로블록에 인접한 정상 복호화되었거나 보간된 매크로블록의 Y-픽셀값을 의미함.
Detecting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input image;
Calculating a motion vector averag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values of the normal macroblocks adjacent to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Interpolating at least some of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e; And
Separating the edge region macroblock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image among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and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which are remaining macroblocks,
The interpolating may include interpolating the edge region macroblocks using a motion vector of surrounding normal macroblocks as a reference motion vector; And interpolating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e,
The interpolating of the edge region macroblocks may be performed by using Equation 1 below to optimize a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that satisfies a boundary matching algorithm (BMA) that results in the smallest sum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pixels in the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Selecting as the motion vector of the; And
Interpolating the edge region macroblocks using the optimal motion vector.
[Equation 1]
Figure 112011027591831-pat00017

Where dir denotes referenceable macroblocks adjacent to four directions of direction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d sm denotes a minimum distortion value.
Figure 112011027591831-pat00018
Is the Y-pixel value of the macroblock concealed by the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mv dir ), and mv dir is the reference of the macroblock corresponding to dir of the surrounding reference macroblocks (top, bottom, left, right). Means a motion vector pair, and Y means the Y-pixel value of a normal decoded or interpolated macroblock adjacent to the macroblock to be concea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은 하기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1027591831-pat00004

여기서 N은 영상의 수평축에 속하는 매크로블록수를 의미함.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concealing an error for each region of the H.264 / AVC decoder, wherein the motion vector average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2 below.
[Equation 2]
Figure 112011027591831-pat00004

Where N is the number of macroblocks belonging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image.
삭제delete 입력된 영상에서 에러가 발생한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을 검출하는 에러 검출부;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에 인접한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값을 이용하여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한 모션 벡터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 매크로블록들을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제1은닉부; 및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주변의 정상 매크로블록들의 모션 벡터를 참조 모션 벡터로 이용하여 보간하는 제2은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은닉부는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상기 참조 모션 벡터 쌍 중 인접 픽셀들 간의 차들의 합을 가장 적게 만드는 BMA(Boundary Matching Algorithm)을 만족하는 참조 모션 벡터 쌍을 최적의 모션 벡터로 선택하고, 상기 최적의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
[수학식 3]
Figure 112011027591831-pat00019

여기서 dir은 direction top, bottom, left, right 의 4방향에 인접한 참조 가능한 매크로블록들을 의미하고, dsm은 최소 왜곡값을 의미하고,
Figure 112011027591831-pat00020
는 참조 모션 벡터쌍(mvdir)에 의해 은닉되는 매크로블록의 Y-픽셀값을 의미하고, mvdir은 주변 참조가능 매크로블록(top, bottom, left, right) 중 dir에 해당되는 매크로블록의 참조 모션 벡터쌍을 의미하고, Y는 은닉될 매크로블록에 인접한 정상 복호화되었거나 보간된 매크로블록의 Y-픽셀값을 의미함.
An error detector for detecting error-occurring macroblocks in which an error occurs in the input image;
A motion vector average of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is calculated by using motion vector values of normal macroblocks adjacent to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and at least some macroblocks of the error generating macroblocks are used by the motion vector average. Interpolating the first concealment unit; And
A second concealment unit interpolating the edge region macroblocks using the motion vector of the surrounding normal macroblocks as a reference motion vector,
The second concealment unit selects a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that satisfies a boundary matching algorithm (BMA) that minimizes the sum of differences between adjacent pixels among the reference motion vector pairs as an optimal motion vector using Equation 3 below. And interpolating the edge region macroblocks using the optimal motion vector.
[Equation 3]
Figure 112011027591831-pat00019

Where dir denotes referenceable macroblocks adjacent to four directions of direction top, bottom, left, and right, and d sm denotes a minimum distortion value.
Figure 112011027591831-pat00020
Is the Y-pixel value of the macroblock concealed by the reference motion vector pair (mv dir ), and mv dir is the reference of the macroblock corresponding to dir of the surrounding reference macroblocks (top, bottom, left, right). Means a motion vector pair, and Y means the Y-pixel value of a normal decoded or interpolated macroblock adjacent to the macroblock to be conceal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발생 매크로블록들 중 영상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장자리 영역 매크로블록들과, 나머지 매크로블록인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분리하는 영역 구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region-specific error of the H.264 / AVC deco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gion partition for separating the edge region macroblocks located at the edge of the image of the error-occurring macroblocks, and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that are the remaining macroblocks. Concealment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은닉부는,
상기 나머지 영역 매크로블록들을 하기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산출한 상기 모션 벡터 평균을 이용하여 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264/AVC 복호기의 영역별 에러 은닉 장치.
[수학식 4]
Figure 112011027591831-pat00007

여기서 N은 영상의 수평축에 속하는 매크로블록수를 의미함.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hidden portion,
And the remaining region macroblocks are interpolated using the motion vector average calculated using Equation 4 below.
[Equation 4]
Figure 112011027591831-pat00007

Where N is the number of macroblocks belonging to the horizontal axis of the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00008666A 2010-01-29 2010-01-29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KR1010825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66A KR101082581B1 (en) 2010-01-29 2010-01-29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666A KR101082581B1 (en) 2010-01-29 2010-01-29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27A KR20110088927A (en) 2011-08-04
KR101082581B1 true KR101082581B1 (en) 2011-11-10

Family

ID=4492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666A KR101082581B1 (en) 2010-01-29 2010-01-29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5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38A1 (en) * 2017-05-31 2018-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Processing devices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682B1 (en) * 2011-12-14 2013-09-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error detection using the data hiding of motion vector based on the RDO for H.264/AVC baseline profile
CN108924568B (en) * 2018-06-01 2020-11-06 杭州电子科技大学 Depth video error concealment method based on 3D-HEVC framewor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838A1 (en) * 2017-05-31 2018-1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Processing devices and control method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927A (en)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2777B (en) Method for spatial error concealment
US20080240246A1 (en)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8428136B2 (en) Dynamic image encoding method and device and program using the same
El-Shafai Joint adaptive pre-processing resilience and post-processing concealment schemes for 3D video transmission
El-Shafai Pixel-level matching based multi-hypothesis error concealment modes for wireless 3D H. 264/MVC communication
Chang et al. Motion compensated error concealment for HEVC based on block-merging and residual energy
KR20140022065A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video quality on bitstream level
KR101082581B1 (en) Error Concealing Device for H.264/AVC Decorder and Method thereof
Liu et al. Error concealment for whole frame loss in HEVC
Liu et al. Frame loss error concealment for multiview video coding
EP2875640B1 (en) Video quality assessment at a bitstream level
Chen et al. Video coding using dynamic texture synthesis
Pang et al. Relativity analysis-based error concealment algorithm for entire frame loss of stereo video
Peng et al. Weighted boundary matching error concealment for HEVC using block partition decisions
KR101307682B1 (en) method for error detection using the data hiding of motion vector based on the RDO for H.264/AVC baseline profile
Zhou et al. Region-based error concealment of right-view frames for stereoscopic video transmission
Yan et al. Efficient error concealment for the whole-frame loss based on H. 264/AVC
Pathak et al. Error detection and concealment algorithm for compressed video transmission
Xiang et al. A joint encoder–decoder error control framework for stereoscopic video coding
El-Shafai et al. Proposed optimized hybrid error recovery technique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wireless 3D-MVC communication
Carreira et al. A robust video encoding scheme to enhance error concealment of intra frames
Dong et al. Multiple description video coding based on adaptive data reuse
El-Shafai et al.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s
Wu et al. Block-based weighted pixel-value superposition algorithm for inter-frame error concealment
Belbel et al. Exploring the use of early inter-view offset estimation for low complexity MV-HEV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