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29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298B1
KR101082298B1 KR1020050056425A KR20050056425A KR101082298B1 KR 101082298 B1 KR101082298 B1 KR 101082298B1 KR 1020050056425 A KR1020050056425 A KR 1020050056425A KR 20050056425 A KR20050056425 A KR 20050056425A KR 101082298 B1 KR101082298 B1 KR 10108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era
packet data
service
call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801A (ko
Inventor
배성수
한창문
정원석
이주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29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29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가 장착된 착신단말기를 발신단말기에서 제어하여 착신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발신단말기로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의 발신단말기 및 착신단말기에 주어진 아이피로 인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로 분류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 간에 음성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코어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의해 엑세스되며, 호스트와 연결된 전화통신망 또는 인터넷으로 구비되는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VD(Simultaneous Voice & Data; 이하 'SVD'라 함) 서비스에 의하여 음성서비스와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함께 구현되고 발신단말기에서 착신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원거리에 위치한 타인이 노약자나 어린이가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SV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A CAMERA OF REMOTIVE HANDPHONE AND A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시스템의 서비스 인터페이스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제어시스템의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패킷 데이터 서버 네트워크 상에서 심플 아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패킷 데이터 서버 네트워크 상에서 모바일 아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바일 스테이션 101 : 발신단말기
102 : 착신단말기 200 : 베이스 스테이션
201 : 기지국 202 : 기지국 제어장치
300 : 코어 네트워크 301 : 교환기
302 :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 303 : 홈어젠트
400 : 외부 네트워크 401 : 인터넷
402 : 전화통신망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음성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함께 제공됨으로써, 이동통신용 발신단말기를 이용해서 착신단말기를 제어하여 착신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드분할 다중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CDMA(Code Division Mu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 이동통신 방식은 기지국에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이하 'GPS'라 함)를 사용하여 모든 기지국과 단말기가 시간적으로 일치하여 동작하는 동기식과, 기지국에서 GPS를 사용하지 않는 비동기식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CDMA 이동통신의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음성통신과 시그널링의 일종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 그리고 무선 데이터, 특히 패킷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동기식 CDMA 이동통신 방식은 CDMA ONE과 CDMA 2000 방식으로 대략 구분되는 데, CDMA ONE은 2세대 무선구간 프로토콜인 IS-95를 포함한 전체적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CDMA 2000은 3세대 무선구간 프로토콜은 IS-2000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전체를 의미한다.
이중에서 IS-2000을 기반으로 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 IS-2000 규격에 정의된 SV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시스템의 성능이 IS-2000 Rel A의 규격 이상을 만족하여야 한다. 또한, 3GPP를 기반으로한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SVD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술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V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S-2000 Rel A 이상의 시그널링 절차를 필요로 하며, 음성 및 패킷 데이터에 대한 각각의 서비스 옵션으로 서비스 협상과정을 거친 후에 두 종류의 트래픽이 전송되는 과정을 거친다. 아울러, WCDMA 시스템에서도 SV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컨커런트 기능을 사용하며 이를 위한 시그럴링 절차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CDMA나 W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동영상이나 영상 이미지를 패킷 데이터서비스에 의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는 발신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가 그대로 착신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으로써, 착신단말기의 사용자는 전송된 영상 데이터가 소정의 쓰임새에 적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재차 발신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재 전송을 요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SVD 서비스에 의하여 음성서비스와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함께 구현되는 것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발신단말기에서 착신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용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 간에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카메라가 장착된 상기 착신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발신단말기에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모바일 스테이션,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 주어진 아이피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네트워크 노드인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조합되어 음성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의해 접근되며, 호스트와 연결된 전화통신망이나 인터넷으로 구비된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CDMA 2000 망 또는 WCDMA 망을 기반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간에 트래픽 채널이 형성된 후 착발신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에 의해 상기 음성서비스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발신단말기의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가 상기 발 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인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피디에스앤에서 상기 영상데이터 패킷이 송수신되는 도중에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핸드오프에 의하여 송수신 데이터가 단절되지 않도록 모바일 아이피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이동통신 발신단말기와 이동통신 착신단말기 간에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스테이션을 이루는 상기 발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 간의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음성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추가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한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돌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상기 발신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기가 비응답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단말기의 제어명령 데이터를 상기 착신단말기에 인가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만의 데이터 교신에 의해 상기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한 SCM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 기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수행되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의 핸드오프를 체킹하기 위한 UHDM 및 GHDM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이 SVD 서비스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음성 및 패킷 데이터의 비트가 조합되고, 각 시그널링 트래픽에 대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단계, (c-2) 상기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단말기 와 상기 착신단말기가 PPP 링크되어 상기 SVD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c-3) 상기 발신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가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발신단말기의 제어조작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소정의 메뉴로 구동시키는 단계, (d-2) 상기 메뉴 중에서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저해상도로 엔코딩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발신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성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발신단말기 측의 지시사항을 상기 착신단말기 측에 전달하는 단계 및 (d-4) 상기 착신단말기는 상기 지시사항에 의해 재촬영된 영상을 고해상도로 엔코딩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이나 영상 이미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은 카메라가 장착된 착신단말기(102)를 발신단말기(101)에서 제어하여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된 영상을 발신단말기(101)로 전송시키기 위한 모바일 스테이션(100),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발신단말기(101) 및 착신단말기(102)에 주어진 아이피로 인하여 무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인 베이스 스테이션(200), 베이스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음성 및 패킷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아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에 음성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세션을 설정, 유지, 종료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코어 네트워크(300), 코어 네트워크(300)의 프로토콜에 의해 접근되며, 호스트와 연결된 전화통신망(402)이나 인터넷(401)으로 구비되어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외부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음성서비스와 데이터서비스가 동시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SVD 서비스가 도입되어야 하는바, 이동통신 규격으로는 데이터 전송률이 빠르고, 음성과 영상 패킷 데이터가 동시에 송수신되는 서비스에 의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 크기가 커짐에 따라 주파수 대역폭도 크게 향상되어야 하는 것등을 고려하여 CDMA 2000 1X Rel.A이상의 버전이나 WCDMA 망이 되어야 구현할 수 있다.
베이스 스테이션(200)은 발신단말기(101) 및 착신단말기(102)를 포함하는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무선 인터페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무선장비 및 안테나로 구 비되며, 때에 따라 이동하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스테이션(100)에 가장 근접하여 무선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201), 및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신호채널이 형성된 기지국(201)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고, 상기 다수로 설비된 기지국(201)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201)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데이터 경로가 설정된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베이스 스테이션(200) 간에 송수신되는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에 대한 각 서비스가 협상과정을 거쳐 SVD 서비스가 개시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의 구조가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VD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그널링 절차가 수행되고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에 관한 각 트래픽 채널이 다중화 및 역다중화되어야 하는바, 무선 인터페이스의 상위계층에서 신호처리된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는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서비계층인 MAC 서브계층 내의 다중화 서브계층에 의하여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베이스 스테이션(200)의 해당 기지국(201) 간의 서비스 협상과정에서 결정된 다중화 및 역다중화 타입에 의해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의 비트가 조합된다.
이러한 조합에 의해 형성된 프레임은 물리계층에 의하여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기지국(201)이 연결됨으로써, 각 트래픽에 해당하는 프레임이 송수신된다.
또한,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각 단말기과 기지국(201) 간에 무선통신을 하며 원활한 SVD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가 동시에 송수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데이터 송신률이 우수하다면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 의 각 트래픽이 순차적으로 송수신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코어 네트워크(300)는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의 음성서비스를 활성화 하기 위하여 각 단말기 간의 트래픽 채널을 형성하고 착발신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교환기(301), 교환기(301)에 의해 활성화된 음성서비스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발신단말기(101)에 의해 착신단말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고, 발신단말기(101)에서 제어 조작하여 촬영한 착신단말기(102) 내의 영상 데이터를 발신단말기(101)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제어시스템의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간에 음성서비스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모바일 스테이션(100)은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EOM(Enhanced Origination Message; 이하 'EOM'이라 함) 신호를 근접한 기지국(201)으로 전송하여 코어 네트워크(300) 내의 패킷 데이터서버로 인가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서버에 의해 형성된 CLAM(Call Assignment Message; 이하 'CLAM'이라 함) 신호가 해당 기지국(201)을 통해 모바일 스테이션(100)으로 전송됨으로써, 데이터 채널이 개시된다. 또한, SCM(Service Connect Message; 이하 'SCM'이라 함) 신호가 모바일 스테이션(100)으로 추가 전송되어 음성 서비스와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SVD 서비스가 활성화된다. 이와 같은 시그널링 절차 중에서 UHDM(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 이하 'UHDM'이라 함) 및 GHDM(General Handoff Direction Message; 이하 'GHDM'이라 함) 신호는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핸드오프를 체킹하기 위한 것으로 이외에도 코어 네트워크(300)에 접근한 단말기의 버전 등을 체킹하는 여러 시그널링을 위한 호처리를 실행한다.
개시된 서비스는 활성화되어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에 대한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고,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에 의한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에 PPP 링크됨으로써, 발신단말기(101)에서 착신단말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가 착신단말기(102)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여러 데이터의 송수신에 의해 착신단말기(102)는 발신단말기(101)에 의한 원격 제어모드로 돌입하며, 발신단말기(101)는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를 구동시켜 촬영된 영상은 영상 트래픽 채널을 통해 발신단말기(101)로 전송한다.
또한, 발신단말기(101)에서 전송된 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음성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에 의사전달 메시지가 송수신된다. 상기 의사전달 메시지에 의하여 착신단말기(102)의 사용자는 카메라의 특정 작동시기나 지시된 구도를 조작한다.
아울러, 착신단말기(102)에 카메라의 구도를 조절하기 위한 모터를 설치함으로써, 발신단말기(101)에서 송신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의 구도설정도 할 수 있다.
또한,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에 영상 패킷 데이터가 송수신되면서 발신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는 데이터 송 수신률을 높이고, 실시간으로 SVD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착신단말기(102)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해상도로 엔코딩하여 발신단말기(101)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해상도로 전송된 영상 패킷 데이터가 발신단말기(101)의 사용자에 의해 최종 선택되면 착신단말기(102)는 선택된 영상을 고해상도로 재 엔코딩하여 발신단말기(101)로 전송하는 시스템 구조이다.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200)의 기지국(201) 제어장치에서 음성과 영상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영상 패킷 데이터가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로 인가되어 심플 아이피 또는 모바일 아이피에 의해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실행된다.
도 4는 도 1의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 상에서 심플 아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플 아이피는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 사이에서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의 영상 패킷 데이터에 대한 PPP(Point to Point Protocol; 이하 'PPP'이라 함) 세션이 실행될 때,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100)은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에서 할당된 IP 주소에 의하여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에 대한 라우팅된다.
하지만, 심플 아이피는 데이터 전송 도중에 모바일 스테이션(100)이 핸드오프하여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의 이동경로가 바뀌면서 해당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가 다른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로 변경되는 과정에서 IP 연결이 끊어진다.
따라서, 모바일 스테이션(100)이 핸드오프하여 영상 패킷 데이터의 이동경로가 바뀌어도 IP 연결이 끊어지지 않는 모바일 아이피가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에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1의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 상에서 모바일 아이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패킷 데이터가 발신단말기(101)의 메모리에 PPP 링크되어 전송되는 도중에 발신단말기(101) 또는 착신단말기(102)가 위치 이동하여 영상 패킷 데이터의 이동경로가 바뀌어 해당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IP 연결이 끊어지지 않는 구조이다.
변경된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에 모바일 스테이션(100)이 등록되고, FA로 동작하는 변경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는 HA(Home Agent; 303)에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100)을 향하는 IP 패킷을 캡슐화하고 FA(Foreign Agent)에서 IP-in-IP 터널링을 이용하여 IP 캡슐을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100)에 전송한다. 이로써, 발신단말기(101) 또는 착신단말기(102)가 핸드오프되어도 전송 중인 영상 패킷 데이터가 끊기지 않으며, 발신단말기(101)에서 전송하는 제어 데이터에 의해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발신단말기(101)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스테이션(100)은 근접한 기지국(201)과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음성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절차를 수행하고, 교환기(301)에 의해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100) 내의 음성서비스가 활성화된다.(S10)
음성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사용자가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추가하기 위한 호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S12) 상기 과정을 거쳐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개방하고, SVD 서비스를 통한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한다. 영상 패킷 데이터의 전송채널을 통해 발신단말기(101)에서 착신단말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한다.(S14)
상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한 착신단말기(102)와 발신단말기(101)는 원격 제어모드로 돌입하고, 발신단말기(101)의 제어명령에 의해 착신단말기(102)에 장착된 카메라가 구동되며, SVD 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신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S16) 또한, 상기 촬영된 소정의 영상은 발신단말기(101)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이 종료된다.(S18)
도 7은 도 6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2000 1X Rel.A 망에 기반한 모바일 스테이션(100) 및 네트워크 상에서 발신단말기(101) 또는 착신단말기(102)의 사용자에 의하여 코어 네트워크(300) 내의 교환기(301)에 음성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신호가 접근한다.(S100) 발신단말기(101) 또는 착신단말기(102)에서 발생한 음성서비스 개시신호가 교환기 (301)에 접근하면서 수많은 시그널링 신호를 주고 받게 되고, 상기 발신단말기(101) 또는 착신단말기(102)에 근접한 기지국(201) 및 기지국(201) 제어장치 등을 거치면서 음성호 경로가 설정된다.(S102) 상기 설정된 음성호 경로에 의해 교환기(301)에서 신호 처리한 음성서비스가 개통되어 착발신자 간에 음성통화가 이루어진다.(S104)
상기 음성서비스가 지속되며,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추가 연결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된다.(S106) 상기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추가 연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기지국(201) 간에 EOM, CLAM, SCM, UHDM, GHDM, EAWIM(Extended Alert With Information Message; 이하 'EAWIM'이라 함)등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교환한다.(S108) 또한, 상기 시그널링 메시지를 교환하는 과정이 실행되면서 모바일 스테이션(100)과 근접한 기지국(201)이 선택되고, 관련 기지국(201)과 연결된 기지국(201) 제어장치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100)의 음성 및 영상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면서 소정의 음성호 및 데이터호의 경로를 설정한다.(S110)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통한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고, 기지국(201) 제어장치에서 분류된 영상 패킷 데이터가 코어 네트워크(300) 내의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로 인가되면서 심플 아이피 또는 모바일 아이피에 의해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실행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실행되면서 착발신단말기(101)와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302) 간에는 PPP 세션에 의해 링크됨으로써, 발신단말기(101)에서 착신단 말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영상 트래픽 채널을 경유하여 착신단말기(102)에 인가한다.(S112)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발신단말기(101)와 착신단말기(102) 간에는 발신단말기(101)에 의하여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돌입한다.(S114) 카메라 원격 제어모드에서 착신단말기(102)의 카메라의 전원을 구동시키고, 소정의 영상을 촬영한다.(S116) 착신단말기(102)는 촬영한 영상을 영상 패킷 데이터 채널의 트래픽 혼잡을 피하기 위하여 저해상도로 엔코딩 한 후 발신단말기(101)로 전송한다.(S118) 또한, 전송된 영상은 발신단말기(101)의 화상에서 재생된다.(S120)
발신단말기(101)의 사용자는 발신단말기(101)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보면서 SVD 서비스에 의한 음성서비스에 의해 착신단말기(102)의 사용자에게 착신단말기(102)의 특정시기나 촬영 구도를 요구한다.(S122, S124) 또한, 착신단말기(102)의 사용자는 요청된 사항에 의해 재 촬영된 영상을 다시 저해상도로 앤코딩하여 재전송한다.(S126) 발신단말기(101)의 사용자가 재전송된 영상 패킷 데이터를 채택한다.(S128) 착신단말기(102)에 발신단말기(101)의 영상 데이터 채택 신호가 수신되면 착신단말기(102)는 채택된 영상을 고해상도로 재 엔코딩하여 발신단말기(101)에 전송하는 과정이 진행된다.(S13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 해할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VD 서비스에 의하여 음성서비스와 영상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함께 구현되고 발신단말기에서 착신단말기를 제어함으로써, 휴대폰 카메라에 익숙하지 않거나 카메라 촬영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는 착신자와 통화하는 중에 착신자의 카메라를 발신자가 제어하여 소정의 영상을 촬영하고, 동영상 길안내 서비스나 원격진료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이동통신용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 간에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카메라가 장착된 상기 착신단말기를 제어하여 상기 발신단말기에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모바일 스테이션;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 주어진 아이피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인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조합되어 음성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의해 접근되며, 호스트와 연결된 전화통신망이나 인터넷으로 구비된 외부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CDMA 2000 망 또는 WCDMA 망을 기반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발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 간에 SVD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각 단말기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가 동시에 전송 및 수신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가 각 단말기의 음성 또는 패킷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 및 수신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무선장비 및 안테나로 구비되며,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에 근접하여 무선통신하기 위한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 간에 트래픽 채널이 형성된 후 착발신 음성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에 의해 상기 음성서비스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에서 촬영한 영상데이터를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서버인 패킷 데이터서버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영상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도중에 상기 발신단말기 및 상기 착신단말기의 핸드오프에 의하여 송수신 데이터가 단절되지 않도록 모바일 아이피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8. 이동통신 발신단말기와 이동통신 착신단말기 간에 영상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스테이션을 이루는 상기 발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 간의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b) 상기 음성서비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추가 연결되는 단계;
    (c) 상기 발신단말기는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통해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기 착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발신단말기에 의한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모드로 돌입하는 단계; 및
    (e)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상기 발신단말기에 저장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발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 간의 음성호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a-2) 상기 설정된 경로에 의해 음성 트래픽 채널이 형성되고, 피피피 링크되어 엠에스씨에 의한 음성서비스가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가 서로 응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착신단말기가 비응답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단말기의 제어명령 데이터를 상기 착신단말기에 인가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만의 데이터 교신에 의해 상기 음성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서 패킷 데이터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한 EOM 신호를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b-2)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상기 EOM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로 재전송하고, 코어 네트워크는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의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로의 접근을 승인하기 위한 CLAM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상기 EOM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은 상기 발신단말기 또는 상기 착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EOM 신호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 내의 패킷 데이터 서버 네트워크로 인가되어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를 라우팅하며, 상기 발신단말기와 상기 착신단말기 간의 링크 계층 셰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수행되기 위한 SCM 신 호를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패킷 데이터서비스가 수행되면서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의 핸드오프를 체킹하기 위한 UHDM 및 GHDM 신호를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에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모바일 스테이션이 SVD 서비스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음성 및 패킷 데이터의 비트가 조합되고, 각 시그널링 트래픽에 대한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단계;
    (c-2) 트래픽 채널을 통해 상기 발신단말기 와 상기 착신단말기가 PPP 링크되어 상기 SVD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 및
    (c-3) 상기 발신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가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발신단말기의 제어조작에 의해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를 소정의 메뉴로 구동시키는 단계;
    (d-2) 상기 메뉴 중에서 상기 착신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모드로 구동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저해상도로 엔코딩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발신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음성서비스를 통하여 상기 발신단말기 측의 지시사항을 상기 착신단말기 측에 전달하는 단계; 및
    (d-4) 상기 착신단말기는 상기 지시사항에 의해 재촬영된 영상을 고해상도로 엔코딩하여 상기 발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방법.
KR1020050056425A 2005-06-28 2005-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08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25A KR101082298B1 (ko) 2005-06-28 2005-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425A KR101082298B1 (ko) 2005-06-28 2005-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01A KR20070000801A (ko) 2007-01-03
KR101082298B1 true KR101082298B1 (ko) 2011-11-09

Family

ID=3786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425A KR101082298B1 (ko) 2005-06-28 2005-06-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2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42B1 (ko) * 2011-12-21 2018-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서버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999A (ja) 2000-08-01 2002-02-15 Sony Corp 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4007296A (ja) 2002-06-03 2004-01-08 Toshiba Eng Co Ltd カメラ撮影システム及びカメラ撮影装置
JP2004128997A (ja) 2002-10-04 2004-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遠隔制御装置,映像遠隔制御方法,映像遠隔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遠隔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52488Y1 (ko) 2004-03-16 2004-06-04 주식회사 씨엠테크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내장용 개인통신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999A (ja) 2000-08-01 2002-02-15 Sony Corp 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4007296A (ja) 2002-06-03 2004-01-08 Toshiba Eng Co Ltd カメラ撮影システム及びカメラ撮影装置
JP2004128997A (ja) 2002-10-04 2004-04-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遠隔制御装置,映像遠隔制御方法,映像遠隔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映像遠隔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352488Y1 (ko) 2004-03-16 2004-06-04 주식회사 씨엠테크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내장용 개인통신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801A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43276B2 (ja) セルデバイスが衛星ネットワーク上でローミング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ための衛星アクセスを有するセルタワー機能
US7751376B2 (en) System for establishing data transmission path between mobile phone terminals
KR100880751B1 (ko) 무선 랜과 무선 광역망간의 자동의 심리스 수직 로밍을 행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
CN101305637B (zh) 电信装置和方法
JP6091595B2 (ja) モバイルおよび衛星電話サービスを統合するための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801320B2 (ja) ネットワーク間のインターワーキングに対する輻輳制御
KR1015895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 영상 포맷을 지원하여 영상통화의 고품질 영상을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447305B2 (en) Support for handoffs in high rate packet data systems
US7822004B2 (en) Data transmission line establishing system between mobile telephone terminals
US20050180338A1 (en) Swapping voice and video calls
EP1799002B1 (en) Communication path switching system and method
KR20030081448A (ko) 무선 접속과 유선 접속 사이에서 사용자 정보의 진행중인통신을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RU2006132067A (ru) Видеотелефонная система,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номной базовй станции, телевизионная абонентская приставка и способ видеотелефонной связи
CN101500133A (zh) 用于可视用户设备的摄像头控制方法及系统
US200600779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tone/announcement over wireless network
US7343161B2 (en) Methods and system for setting up call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80361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화상통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EP2667597B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JP2005117141A (ja) 半二重無線通信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4630300A (zh) 传输数据的方法和通信装置
US7421280B2 (en)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access terminals using enhanced SYNC—ID parameter
KR10108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원격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0751719B1 (ko) 블루투스 기반의 구내 무선 교환 시스템
KR100570898B1 (ko) 패킷 기반의 이동전화 구내 교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KR1003614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