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253B1 -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1253B1
KR101081253B1 KR1020090007374A KR20090007374A KR101081253B1 KR 101081253 B1 KR101081253 B1 KR 101081253B1 KR 1020090007374 A KR1020090007374 A KR 1020090007374A KR 20090007374 A KR20090007374 A KR 20090007374A KR 101081253 B1 KR101081253 B1 KR 101081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transmission signal
receiver
retransmiss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266A (ko
Inventor
노태균
정병장
안재영
이판형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12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6Co-operative diversity, e.g. using fixed or mobile stations as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 H04B7/08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multiple receivers and antenna path selection selecting best antenna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6Distributed coding, e.g. network coding, involving channel coding
    • H04L1/0077Coopera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중계기는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 수신기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일부 송신 신호들을 네트워크 부호화하고,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다중 중계기, 네트워크 부호화, 협력통신

Description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cooperatively using network coding in Uplink System comprised of multiple relay device}
본 발명은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중계기 중 선택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다수의 송신 신호를 네트워크 부호화하여 재전송하는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1-03, 과제명: 4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적응 무선접속 및 전송 기술개발].
협력통신 장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의 서로 다른 장치들 간의 송수신 능력 및 안테나를 사용하여 전송에 서로 협력함으로써, 공간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협력통신 장치는 증폭재전송 기법, 및 부호화재전송 기법, 선택적 중계 기법 등을 이용하여, 다비어시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증폭재전송 기법은 중계기가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를 증폭한 후, 수신기로 재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부호화재전송 기법은 중계기가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를 복호하고, 재부호화하여 수신기로 재전송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선택적 중계(selection relaying) 기법은 송신기와 중계기 간의 채널값이 일정한 문턱값을 넘는 경우에만 중계기가 증폭재전송이나 부호화재전송을 통해 협력통신을 수행하고, 채널값이 일정한 문턱값을 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송신기가 한번 더 송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다중 중계기가 포함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력통신 장치는 선택적 협력(selection cooper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중계기가 존재하는 시스템에 비해 더 높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협력통신 장치가 중계기를 선택하는 기준은 송신기와 중계기 간의 채널과 중계기와 수신기 간의 채널에 기초한다. 예를 들어, 선행(proactice)의 선택적 협력 기법에서는 송신기가 송신 신호를 전송하기 전 송신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성공적으로 복호할 수 있는 중계기를 미리 선택한 후, 선택된 중계기만 송신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고 증폭재전송이나 부호화재전송을 통해 수신기로 재전송할 수 있다. 후행(reactive)의 선택적 협력 기법에서는 먼저 송신기가 송신 신호를 전송하고, 모든 중계기가 송신기의 송신 신호를 성공적으로 복호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후, 송신기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복호할 수 있는 중계기들 중 중계기와 수신기 간의 채널이 가장 좋은 중계기를 이용하여 증폭재전송이나 부호화 재전송을 통해 수신기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중계기가 포함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력통신 장치는 선택적 협력 기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중계기가 존재하는 시스템에 비해 더 높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으나, 하나의 중계기 별로 하나의 송신 신호를 재전송함에 따라, 중계기가 재전송할 수 있는 송신 신호의 수가 제한적이다. 이에, 기존의 다중 중계기가 포함된 통신 시스템에서의 협력통신 장치는 중계기가 송신기에 비해 적게 존재하는 경우,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하기 어렵고,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적응적 통신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중계기 별로 다수의 송신 신호를 재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적응적 통신이 용이한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의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중 중계기 중 선택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다수의 송신 신호를 네트워크 부호화하여 재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하고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적응적 통신이 용이한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중계기는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 수신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와, 상기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일부 송신 신호들을 네트워크 부호화하고, 상기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의 협력통신 방법은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 수신기로부터 상기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일부 송신 신호들을 네트워크 부호화하고, 상기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상기 수신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은 다중 중계기 중 선택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다수의 송신 신호를 네트워크 부호화하여 재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하고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적응적 통신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100)는 송신 장치(101), 중계 장치(111), 및 수신기(121)를 포함한다.
송신 장치(101)는 다수의 송신기(101_1~101_N)를 포함하고, 각 송신기(101_1~101_N)는 송신 신호(b1~bN)를 송신한다. 각 송신기(101_1~101_N)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일 수 있으며, 시분할다중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상향링크의 채널 중 각각 할당된 시간슬롯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협력통신 기법 에서의 각 송신기(101_1~101_N)에 할당되는 시간슬롯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전송 기법에서의 상향링크의 채널을 모든 송신기(101_1~101_N)에 동일하게 분할하여 할당된 시간슬롯과는 달리, 상향링크의 채널을 모든 송신기(101_1~101_N)와 중계기(111_1~111_K)에 동일하게 분할하여 할당된 시간슬롯일 수 있다. 이때, 직접전송 기법에서 N(N은 자연수) 개의 송신기가 이용하는 전체 시간슬롯의 길이와 협력통신 기법에서 N 개의 송신기 및 K(K는 자연수) 개의 중계기가 이용하는 전체 시간슬롯의 길이는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중계 장치(111)는 다수의 중계기(111_1~111_K)를 포함하고, 각 중계기(111_1~111_K)는 송신 장치(101)로부터 송신 신호(b1~bN)를 수신한다. 이후, 중계 장치(111)는 다수의 중계기(111_1~111_K) 중 선택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재송신이 필요한 송신 신호(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1
,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2
,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3
)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중계기(111_1)는 신호 수신부(113), 요청 수신부(115), 및 송신부(117)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13)는 다수의 송신기(101_1~101_N)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한 송신 신호는 [수학식 1]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4
,
여기서,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5
는 송신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6
)와 중계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7
) 간의 채널이고,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8
는 송신기가 전송한 송신 신호이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09
는 중계기에서의 가산성백색잡음이다.
요청 수신부(115)는 수신기(121)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수신한다.
송신부(117)는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일부 송신 신호들을 네트워크 부호화하고,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기(121)로 송신한다.
이때, 송신부(117)는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일부 송신 신호들을 각각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부호화하는 네트워크 부호화를 수행한 후,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기(121)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는 [수학식 2]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0
여기서,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1
는 중계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2
)에서 재전송하는 송신 신호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3
는 비트 단위의 XOR(exclusive OR)을 의미한다.
수신기(121)는 예를 들어, 기지국일 수 있으며, 송신 장치(101), 및 중계 장치(111)로부터 송신 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송신 신호들을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즉, 수신기(121)는 송신 장치(101)로부터 송신 신호를 수신한 후, 재전송이 필요한 송신 신호를 중계 장치(11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기(121)는 재전송 신호 선택부(123), 요청 송신부(125), 및 신호 수신부(127)를 포함한다.
재전송 신호 선택부(123)는 다수의 송신기(101_1~101_N)들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재전송이 필요한 일부 송신 신호들을 선택한다. 이때, 송 신기(101_1~101_N)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는 [수학식 3]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고, 재전송이 필요한 일부 송신 신호들의 집합은 [수학식 4]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4
,
여기서,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5
는 송신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6
)와 수신기 간의 채널이고,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7
는 송신기가 전송한 송신 신호이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8
는 수신기에서의 가산성백색잡음이다.
Figure 112009005982142-pat00019
,
여기서,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0
는 모든 송신기가 송신한 송신 신호의 집합이고,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1
는 송신기의 수,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2
중계기의 수,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3
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채널이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4
은 목표 전송률이다. 또한, 집합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5
의 크기는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6
로 정의될 수 있다.
요청 송신부(125)는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다수의 중계기(111_1~111_K)들로 각각 송신한다. 요청 송신부(125)는 먼저, 재전송 요청이 필요한 송신 신호들의 집합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7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8
번째 송신 신호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할 수 있는 중계기의 집합을 선택하고, 이는 [수학식 5]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5982142-pat00029
,
여기서,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0
는 모든 중계기들의 집합이고,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1
는 송신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2
)와 중계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3
) 간의 채널이다.
또한, 요청 송신부(125)는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4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5
번째 송신 신호를 성공적으로 복호화할 수 있는 중계기의 집합 중 최적의 중계기를 선택한 후,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6
번째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최적의 중계기로 송신한다. 이때, 요청 송신부(125)는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7
번째 송신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와 중계기 간의 채널이득과 중계기와 수신기 간의 채널이득 중 낮은 채널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는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6]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8
,
여기서,
Figure 112009005982142-pat00039
는 중계기(
Figure 112009005982142-pat00040
)와 기지국 간의 채널을 의미한다.
그리고, 요청 송신부(125)는 최적의 중계기를 선택할 때, 평균 비트오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모든 중계기를 통해 재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수가 거의 동일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중계기당 재전송하는 송신 신호가 많은 경우, 수신기는 중계기로부터 수신되는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의 복호시 실패 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요청 송신부(125)는 다수의 중계기(111_1~111_K)들 중 일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제1 송신 신호를 최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제1 중계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중계기로 제1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요청 송신부(125)는 다수의 중계기(111_1~111_K)들 중 상기 일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제2 송신 신호를 최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제2 중계기를 선택하고, 제2 중계기로 제2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27)는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중계기들로부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신호 수신부(127)는 하나의 중계기로부터 재전송이 필요한 여러 송신 신호에 대한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의 협력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는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다(S301).
이어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는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다(S303).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는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한 수신기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일부 송신 신호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수신한다. 이때, 재전송 요청을 수신하는 중계기는 수신기에 의해, 다수의 중계기 중 재전송이 필요한 송신 신호 각각에 대한 최적의 중계기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는 네트워크 부호화된 신호를 송신한다(S305).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는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일부 송신 신호들을 각각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신호들을 결합하여 부호화하는 네트워크 부호화를 수행한 후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협력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송신 신호들 중 재전송이 필요한 일부 송신 신호들을 선택한다(S401).
즉,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다수의 송신기들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들을 수신하고, 다수의 송신 신호들 가운데 재전송이 필요한 일부 송신 신호들을 선택한다.
이어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선택된 일부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한다(S403).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재전송이 필요한 송신 신호 마다 최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중계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중계기로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가령,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재전송이 필요한 제1 송신 신호를 최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제1 중계기를 선택하고, 제1 중계기로 제1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고, 재전송 이 필요한 제2 송신 신호를 최적으로 송신할 수 있는 제2 중계기를 선택하고, 제2 중계기로 제2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다수의 중계기 중 재전송이 필요한 송신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와 중계기 간의 채널이득과 중계기와 수신기 간의 채널이득 중 낮은 채널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는 중계기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중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한다(S405).
즉,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는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중계기로부터 수신하고,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와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를 이용하여 복호화함으로써,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는 재전송 요청들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들을 각각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신호를 결합하여 부호화하는 네트워크 부호화가 수행된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중계기 중 선택된 중계기를 이용하여, 재전송이 필요한 다수의 송신 신호를 네트워크 부호화하여 재전송함으로써,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하고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적응적 통신이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송신기 및 중계기의 타임 슬롯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중계기의 협력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협력통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다수의 송신기로부터 수신한 다수의 송신 신호 중에서, 재전송이 필요한 일부 송신 신호를 선택하는 재전송 신호 선택부;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상기 일부 송신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와의 채널이득과, 수신기와의 채널이득 중 낮은 채널이득을 최대화하는 중계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중계기로, 상기 일부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요청 송신부; 및
    상기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중계기로부터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를 포함하는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수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송신부는
    상기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상기 일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제1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중계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1 중계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수신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재전송 요청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부호화하는 네트워크 부호화가 수행된 신호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의 수신기.
  6. 삭제
  7. 삭제
  8. 다수의 송신기로부터 다수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송신 신호 중에서, 재전송이 필요한 일부 송신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상기 일부 송신 신호를 송신한 송신기와의 채널이득과, 수신기와의 채널이득 중 낮은 채널이득을 최대화하는 중계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중계기로, 상기 일부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전송 요청을 수신한 중계기로부터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협력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중계기 중에서, 상기 일부 송신 신호에 포함된 제1 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중계기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중계기로 상기 제1 송신 신호에 대한 재전송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협력통신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전송 요청에 대응하는 송신 신호는,
    상기 재전송 요청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송신 신호를 결합하여 부호화하는 네트워크 부호화가 수행된 신호인,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수신기의 협력통신 방법.
KR1020090007374A 2009-01-30 2009-01-30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08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374A KR101081253B1 (ko) 2009-01-30 2009-01-30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374A KR101081253B1 (ko) 2009-01-30 2009-01-30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266A KR20100088266A (ko) 2010-08-09
KR101081253B1 true KR101081253B1 (ko) 2011-11-08

Family

ID=4275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374A KR101081253B1 (ko) 2009-01-30 2009-01-30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976B1 (ko) * 2010-11-29 2013-02-2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원 공유 장치 및 그에 따른 자원 공유 방법
WO2014148787A1 (ko) * 2013-03-19 2014-09-25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의 중계기가 배치된 네트워크에서의 중계기 선택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ong Pu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Joint Chase Combining and Network Coding in Wireless Broadcast Retransmission; WiCOM '08.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ssue Date: 12-14 Oct. 20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266A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9862B2 (en)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device for bundled transmission of packe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for vehicles and transport systems
KR101285397B1 (ko) 기지국과 중계기의 협력적 하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77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cooperative relays using incremental redundancy and distributed spatial multiplexing
US8275308B2 (en) Method for relaying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US9059771B2 (en) Wireless relay device and wireless relay method
JP567355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データ伝送方法
KR102190627B1 (ko) 무선 네트워크 노드, 무선 디바이스 및 수행 방법
US9356738B1 (en) Adaptive data unit transmission and acknowledgment
CN102461004A (zh) 用于回程中继的控制设计以支持多个混合自动请求重发过程
KR20060111238A (ko) Mimo 무선 네트워크에서 협력 다이버시티 방법
US855413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ng using network coding scheme
US20200036481A1 (en) Scheduling information sending method and network device
KR2008002863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35219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77669B1 (ko) 궤환 신호를 이용한 협력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09923812A (zh) 一种用户设备、基站中的用于动态调度的方法和装置
KR100787969B1 (ko) 셀룰러 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크 코딩을 사용한 tdd전송 방법
US20200178285A1 (en) Acknowledgement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8675692B2 (en) Method for acquiring processing time of wireless signal
US20100190433A1 (en) Relay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KR101081253B1 (ko) 다중 중계기가 존재하는 상향링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부호화를 사용하는 협력통신 장치 및 방법
KR2010011185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mimo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608786B1 (ko) 릴레이 시스템에서 다중 데이터 스트림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326756A (zh) 正交频分多址接入系统中的编码传输方法和系统
EP2526631B1 (en) Network coding enhanc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