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805B1 - Apparatus for illumin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illumin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805B1
KR101079805B1 KR1020090094479A KR20090094479A KR101079805B1 KR 101079805 B1 KR101079805 B1 KR 101079805B1 KR 1020090094479 A KR1020090094479 A KR 1020090094479A KR 20090094479 A KR20090094479 A KR 20090094479A KR 101079805 B1 KR101079805 B1 KR 10107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assage
processing unit
space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4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7171A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805B1/en
Publication of KR2011003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7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8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6Light shafts, e.g. for cell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9/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combinations of electric and non-electric light sources; Replacing or exchanging electric light sources with non-electric light sources or vice versa
    • F21S19/005Combining sunlight and electric light sources for indoor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separate from the light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Abstract

태양광과 인공광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외 또는 실내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조명장치는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적어도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하는 제1 광처리부, 및 제1 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제2 공간에 배치되어 제1 광처리부와 연결되며, 제1 광처리부를 통해 전달되는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하는 제2 광처리부를 포함한다.It provides lighting device that can use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as outdoor or indoor lighting according to user's needs. The lighting apparatus is arranged in a first space and processes at least a plurality of light including natural light, and is disposed in a second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and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It includes a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lights including natural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unit.

태양, 실내, 실외, 조명 Solar, indoor, outdoor, lighting

Description

조명장치{APPARATUS FOR ILLUMINATION}Lighting device {APPARATUS FOR ILLUMINATION}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using sunl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ghting device using sunlight.

친환경적인 에너지와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전력원으로 태양 전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태양 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들도 개발되고 있다.Solar cells are being researched as a power source that can replace environmentally friendly energy and fossil fuels. In addition, devices that use sunlight as a power source using solar cells are also being developed.

예를 들어, 가로등, 보안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태양광을 전력원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상용화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건축물이나 지하 시설물 등에는 자연광인 태양광의 접근이 곤란하여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이나 지하 시설물에서도 태양광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For example, technology that uses sunlight as a power source for lighting devices such as street lights and security lamps is commercially availab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ess sunlight, which is natural light, for buildings and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us, they rely on lighting devi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lighting device that can use the sunlight more efficiently in buildings and underground facilities is indispensable.

태양광과 인공광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외 또는 실내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lighting device that can use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as outdoor or indoor lighting according to user's needs.

낮에는 태양광을 축전하거나 실내 조명등으로 사용하고 밤에는 축전된 태양광을 실외 또는 실내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lighting devices that can store sunlight during daylight or use it as indoor lighting, and use stored sunlight as outdoor or indoor lighting at night.

조명장치는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적어도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하는 제1 광처리부, 및 제1 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제2 공간에 배치되어 제1 광처리부와 연결되며, 제1 광처리부를 통해 전달되는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하는 제2 광처리부를 포함한다.The lighting apparatus is arranged in a first space and processes at least a plurality of light including natural light, and is disposed in a second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and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and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It includes a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lights including natural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unit.

제1 광처리부 및 제2 광처리부를 연통하고, 광이 전달되는 개구부를 더 가질 수 있다. 개구부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를 둘러싸는 광반사형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반사형 통로의 내면은 알루미늄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2 광처리부의 직경은 경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The first light processor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light processor, and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he opening may be formed to penetrate an interface defin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reflecting passage surrounding the open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way may be coated with aluminum. Th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may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surface increases.

자연광은 태양광이며, 제1 광처리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Natural light is sunlight, and the first light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solar cell converting sun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복수의 광은 인공광을 더 포함하며, 인공광은 제1 광처리부 및 제2 광처리부에 각각 포함되는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lights may further include artificial light, and the artificial light may include a first light emitter and a second light emitter respectively included in the first light processor and the second light processor. 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may b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제1 광처리부는, 일방향을 향하는 제1 광투과형 커버, 및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제1 광조사형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조사형 커버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투과형 커버와 제2 광투광형 커버는 광투과성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투과성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 투명 나일론(nylon),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광처리부는 조사되는 광이 실내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광조사형 커버, 제2 광조사형 커버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공간을 구획하며 실내로 조사되는 광을 실내의 더 넓은 공간으로 확산시키는 반사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facing one direction and a first light irradiating cover facing a direction different from one direction. The first light irradiation cover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and the second light transmissive cover may be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plastic. The transparent plastic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resins, acrylic resins, polystyrene resins, transparent nylon, polyolefin resins, and polyester resins. Can be done.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includes a second light irradiation cover which is formed so that the irradiated light is directed toward the room, and a reflector which is mounted on the second light irradiation cover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paces and diffuses the light irradiated into the room into a larger space in the room. It may further include.

태양전지와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전지에 의해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전지와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처리부 주변에 장착되어 소정의 조도를 검출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검출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됨에 따라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olar cell, 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to stor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torage battery, 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to control the flow of electrical energy. The optical sensor may further include an optical sensor mounted around the first light processor to detect a predetermined illuminance, and the controller may analyze the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optical sensor to su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the set illuminance. Can be. 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flow of electric energy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as it is turned on / off.

태양광을 실내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태양광과 인공광을 병행하여 사용하거나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실내 및 실외 조명에 사용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The sunlight can be used as indoor lighting, and the solar and artificial light can be used in parallel or selectively, thereby reducing the energy used for indoor and outdoor lighting.

실외의 조도에 따라 자동으로 실외 또는 실내 조명등을 점등하거나 소등하므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User's inconvenience can be solved by automatically turning on or off the outdoor or indoor lighting according to the outdoor illumina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제1 광처리부(10), 제2 광처리부(20), 광반사형 통로(3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hape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ligh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ght processor 10, a second light processor 20, and a light reflecting passage 30.

제1 광처리부(10)는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적어도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한다. 제1 광처리부(10)는 그 외형을 곡선으로 처리함으로써 빗물이 고이거나 눈(雪) 또는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light processor 1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to process a plurality of light including at least natural light.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10 may reduce the accumulation of rainwater, snow or foreign matters by treating the outer shape in a curved line.

제2 광처리부(20)는 제1 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제2 공간에 배치되어 제1 광처리부(10)와 연결되며, 제1 광처리부(10)를 통해 전달되는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 의 광을 처리한다.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is disposed in a second space separately from the first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s including natural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To process.

제1 공간에 조사되는 자연광량은 제2 공간에 조사되는 자연광량보다 많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은 지상, 실외의 공간을 나타내며, 제2 공간은 제1 공간과 대비되는 지하, 실내 공간을 나타낸다.The amount of natural light radiated to the first space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natural light radiated to the second space. Here, the first space represents the ground and outdoor spaces, and the second space represents the underground and indoor spaces as opposed to the first space.

제1 광처리부(10) 및 제2 광처리부(20)를 연통하고, 광이 전달되는 개구부를 더 갖는다. 개구부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The first light processor 10 and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further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he opening is formed through an interface defin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광반사형 통로(30)는 개구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외의 광이 실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 파이프(pipe) 기능을 한다. 광반사형 통로(30)의 내면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다. 광반사형 통로(30)의 내면은 다른 재질로도 코팅될 수 있는데, 태양광의 반사효율과 내구성이 충족될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광반사형 통로(30)는 제1 통로(32)와 제2 통로(34)를 포함한다. 광반사형 통로(30)의 외면도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광반사형 통로(30)의 외면은 구조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100)의 프레임 기능을 할 수 있으면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light reflecting passage 3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pening, and serves as a light pipe to allow outdoor light to be transmitted to the ro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way 30 is coated with aluminum.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30 may be coated with other materials as long as the material can satisfy the reflection efficiency and durability of sunlight. The light reflective passageway 30 includes a first passageway 32 and a second passageway 34.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way 30 may also be formed of aluminum. If necessary,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type passage 3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ructure, and may be formed of another material as long as it can function as a frame of the lighting device 100.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100)는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광처리부(10)와 하부에 위치되는 제2 광처리부(20)가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광반사형 통로(30)를 통해 제1 광처리부(10)와 제2 광처리부(20)를 상호 연통되도록 하고, 일부 구간에서 콘크리트 등의 구조체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광반사형 통로(30)의 제1 통로(32)는 구조체에 결합되며, 광반사형 통로(30)의 제2 통로(34)는 제1 통로(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실외에 노출된다. 광반사형 통로(30)의 제1 통로(32)와 제2 통로(34)는 서로 다른 크기의 외형을 갖고 서로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광반사형 통로(30)의 제1 통로(32)는 구조체에 결합되고 광반사형 통로(30)의 제2 통로(34)는 실외에 노출된다. 광반사형 통로(30)는 제1 통로(32)의 외형 크기를 광반사형 통로(30)의 제2 통로(34)의 외형 크기보다 더 작게 형성한다. 한편, 광반사형 통로(30)의 외형 크기를 더 설명하면, 제2 통로(34)는 실외에 노출되어 안정감을 갖도록 하부가 상부보다 더 넓게 형성한다. 광반사형 통로(30)의 제1 통로(32)는 구조체에 결합되므로 하부와 상부가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한다. 광반사형 통로(30)의 제1 통로(32)는 상부의 지름과 하부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광반사형 통로(30)의 제2 통로(34)는 하부의 지름이 상부의 지름보다 더 큰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광반사형 통로(30)의 제1 통로(32)는 구조체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광반사형 통로(30)의 제2 통로(34)는 실외에 노출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감있는 지지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ing device 100,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10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20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are disposed in different spaces. Therefore,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10 and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2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ight reflection type passage 30, and the structure such as concrete is formed in some sections. That is, the first passage 32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is coupled to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passage 34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is exposed to the outdoor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assage 32. . The first passage 32 and the second passage 34 of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30 have shapes of different sizes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passage 32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 30 is coupled to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passage 34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 30 is exposed to the outdoors.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30 forms the outer size of the first passage 32 smaller than the outer size of the second passage 34 of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30.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ze of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30 will be described further, the second passage 3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wider than the upper portion to have a sense of stability exposed to the outdoors. Since the first passage 32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is coupled to the structure, the first passage 32 has a lower shape and a lower shape. The first passage 32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diameter and a lower diameter, and the second passage 34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has an upper diameter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o form a cylindrical shape larger than its diameter. Accordingly, the first passage 32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 3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structure, and the second passage 34 of the light reflective passage 30 is more stable in the state exposed to the outdoors. Support structure.

제2 광처리부(20)의 직경은 경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진다. 즉, 제2 광처리부(20)를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광이 실내의 더 넓은 공간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직경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제2 광처리부(20)의 상측은 경계면에 근접한 부분을 말한다. 제2 광처리부(20)의 형상은 태양광과 인공광을 실내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반사형 통로(30)가 중심으로 연결되며, 광반사형 통로(30)의 직경보다 큰 원주를 갖고 일반적인 전등갓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surface increases. That is, the diameter has a shape that is gradually wid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light transmitted to the room through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20 can be diffused into a wider space of the room. Here,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refers to a portion near the boundary surface. The shape of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may be used as room light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is connected to the center, and has a circumferenc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30 and may have a general lampshade shap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에서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제2 광처리부(20)의 저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광처리부(10)는 태양전지(12, solar cell), 제1 광투과형 커버(14), 제1 광조사형 커버(16), 제1 발광체(18)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ligh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shape of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20 in FIG. 2 and 3,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includes a solar cell 12, a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14, a first light irradiated cover 16, and a first light emitter 18. It includes.

태양전지(12)는 제1 광처리부(10)의 상측에 위치되며, 태양광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반구형의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태양전지(12)는 평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일조량 등을 고려하여 태양전지(12)의 크기 및 형상을 설계변경할 수 있다. 태양전지(12)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태양전지(12)는 유기(organic)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solar cell 12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10 and has a hemispherical convex shape to absorb the sunlight as much as possible. The solar cell 12 may be formed of a flat plate, and the size and shape of the solar cell 12 may be changed in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sunshine. The solar cell 12 functions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solar cell 12 may use an organic solar cell.

제1 광투과형 커버(14)는 제1 광투과형 커버(14)는 일방향을 향한다. 즉, 제1 광투과형 커버(14)는 도 2에서 볼록한 부분이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 광투과형 커버(14)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투명창 기능을 한다.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14 faces 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14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14 is formed such that the convex portion in FIG. 2 faces upward. The first light transmission cover 14 functions as a transparent window through which sunlight is incident.

제1 광조사형 커버(16)는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한다. 즉, 제1 광조사형 커버(16)는 도 2에서 볼록한 부분이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1 광조사형 커버(16)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light irradiation cover 16 faces a direction different from one direction. That is, the first light irradiation cover 16 is formed such that the convex portion in FIG. 2 faces downward. The first light irradiation cover 16 is formed in a ring shape.

제1 광투과형 커버(14)와 제2 광투광형 커버는 광투과성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투과성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 투명 나일론(nylon),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14 and the second light transmissive cover may be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plastic. The transparent plastic is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resins, acrylic resins, polystyrene resins, transparent nylon, polyolefin resins, and polyester resins. Can be done.

참고로, 제1 광처리부(10)와 제2 광처리부(20)에서 각각 처리하는 복수의 광은 자연광인 태양광과 인공광을 포함한다. 인공광은 제1 광처리부(10) 및 제2 광처리부(20)에 각각 포함되는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로 이루어진다.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이다.For reference, the plurality of lights respectively processed by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and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include sunlight and artificial light, which are natural light. The artificial light includes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included in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and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respectively.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ar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s).

복수의 제1 발광체(18)들이 제1 광조사형 커버(16) 내측에서 복수개로 구비되며,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12)의 내측공간에도 일부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발광체(18)는 태양전지(12)의 전력을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가질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light emitters 18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the first light irradiation cover 16 and may b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r boiling intervals. In addition, the solar cell 12 may be partially disposed in the inner space. If necessary, the first light emitter 18 may have an electrical connection to directly use the power of the solar cell 12.

제2 광처리부(20)는 제2 광조사형 커버(22), 반사판(24), 제2 발광체(26)를 포함한다. 제2 광조사형 커버(22)는 조사되는 광이 실내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광은 실내로 향하게 되며, 일부 광은 제2 광조사형 커버(22)를 투 과하여 벽체에 반사되어 다시 실내로 향할 수 있다. 제3 투과형 커버는 필요에 따라 외면으로 광이 투과되지 않도록 별도의 코팅을 하거나, 비투과형 커버로 대체될 수 있다.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includes a second light irradiation cover 22, a reflector 24, and a second light emitter 26. The second light irradiation cover 22 is formed so that the light to be irradiated is directed toward the room. Therefore, most of the light is directed to the room, and some light may pass through the second light-illuminated cover 22 to be reflected on the wall to be directed back to the room. If necessary, the third transmissive cover may be coated with a separate coating or may be replaced with a non-transparent cover to prevent light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er surface.

반사판(24)은 제2 광조사형 커버(22)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공간을 구획하며 실내로 조사되는 광을 실내의 더 넓은 공간으로 확산시킨다. 반사판(24)의 형상은 박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reflecting plate 24 is mounted on the second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22 to partition the plurality of spaces, and diffuse the light irradiated into the room to a larger space in the room. The reflecting plate 24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축전지(40, battery), 제어부(50, controller), 광센서(42), 스위치(44, switch)를 더 포함한다. 축전지(40)는 태양전지(12)와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태양전지(12)에 의해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축전시킨다.As shown in FIG. 2, the ligh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rage battery 40, a controller 50, a controller, an optical sensor 42, and a switch 44. . The storage battery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olar cell 12,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to stor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12.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일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축전지(40)와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한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50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microprocesso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40 and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to control the flow of electrical energy.

광센서(42)는 제1 광처리부(10) 주변에 장착되어 제1 광처리부(10)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며, 조도검출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센서(42)는 황카드뮴(CDS)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센서(42)를 이용하므로써 주간과 같이 조명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해당되는 발광체를 소등할 수 있다.The optical sensor 42 may be mounted around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to detect illuminance around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and may be an illuminance detection sensor. The optical sensor 42 may be made of a cadmium sulfur (CDS) sensor. By using the optical sensor 42, the corresponding light-emitting body can be turned off in a state where illumination is unnecessary, such as during the day.

제어부(50)는 광센서(42)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검출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따라서, 광센서(42)를 통해 제1 광처리부(10) 주변의 조도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제어 부(50)를 통해 설정된 조도와 입력된 조도를 비교분석하므로써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를 자동으로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0 analyzes an illuminance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optical sensor 42 and supplies electrical energy to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the set illuminance. Accordingly, the first illuminant 18 and the second illuminator are automatically detected by comparing the illuminance around the first light processor 10 with the light sensor 42 and comparing the illuminance set by the control unit 50 with the input illuminance. The light emitter 26 can be turned on and off automatically.

스위치(44)는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됨에 따라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단속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스위치(44)를 온/오프함으로써 제1 발광체(18) 및 제2 발광체(26)를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다.The switch 4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 to control the flow of electrical energy supplied to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as it is turned on / off. Therefore, the user can turn on and off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by turning on / off the switch 44 as necessar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낮 활용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의 밤 활용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view showing the day utiliz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night utilization of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를 낮에 사용하는 경우 태양광이 집광되는 태양전지(12)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그리고 제1 광투과형 커버(14)를 통해 실외의 태양광이 광반사형 통로(30)를 거쳐 실내로 유입된다. 필요에 따라 태양전지(12)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축전지(40)에 저장한다. 태양전지(12)에 의해 발생되거나 축전지(4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태양이 없는 흐린날이나 밤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발광체(18)와 제2 발광체(26)를 통해 주변을 조명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when the lighting device 100 is used during the day, solar energy 12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in the solar cell 12 in which sunlight is collected. Outdoor sunlight is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light reflection path 30 through 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14. If necessary,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12 is stored in the storage battery 40.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12 or stored in the storage battery 40 may be used on a cloudy day or at night when there is no sun, and illuminates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18 and 26. .

상부에 위치한 제1 발광체(18)는 하향으로 조사되고 상부로 조사되는 빛은 지하층의 빛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한 제2 발광체(26)는 하향으로 조사되며, 일부 빛은 광반사형 통로(30)를 따라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The first light emitter 18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may be irradiated downward and the light irradiated upward may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by the light of the basement layer. In addition, the second light emitter 26 disposed below is irradiated downward, and some light may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along the light reflection path 30.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지하 시설물 등에는 자연광인 태양광의 접근이 곤란 하여 형광등과 같은 조명장치에 의존하고 있다. 형광등과 같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조명인 인공광은 자연광인 태양광과는 달리 조명장치에 따라 색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인공광은 살균작용을 갖는 자외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별도의 특수 조명시설이나 자외선 발생장치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In general, it is difficult to access sunlight, which is natural light, for buildings and underground facilities, and thus, relies on lighting devices such as fluorescent lamps. Artificial light, which is an artificially made light such as a fluorescent lamp, may have a different color depending on a lighting device, unlike sunlight, which is natural light. And artificial light does not have ultraviolet light that has a bactericidal action. Therefore, if necessary, special special lighting facilities or UV generators should be installed.

또한, 인공광은 별도의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자원낭비의 요인도 된다. 따라서 에너지 절약과 자연광의 특성을 지하공간이나 건축물 내부까지 전달하기 위해서는 태양광을 적절하게 실내로 전달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필요하다.In addition, artificial light consumes extra energy, which is a factor in waste of resources. Therefore, in order to deliver energy saving and natural light characteristics to the underground space or inside the building, a lighting device that can properly transmit sunlight to the interior is required.

한편, 실외의 태양광을 실내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직진성이 강한 빛을 어떻게 전송하느냐 이다. 그리고 태양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위치가 변화되므로 일정한 양의 태양광을 실내에 공급할 수 없다.On the other h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ransmitting outdoor sunlight to the indoor is how to transmit the strong straight light. And since the sun changes its position due to the rotation of the earth, it cannot supply a certain amount of sunlight indoors.

태양광을 전력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필요한 전압을 발생시키는 태양전지(12)를 구성한다. 만약, 태양전지(12)의 발생 전압이 필요 전압보다 낮은 경우, 다수의 태양전지(12)를 직렬로 배열하여 모듈화함으로써 태양전지모듈로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use sunlight as a power source, a solar cell 12 is configured to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a required voltage. If the generated voltage of the solar cell 12 is lower than the required voltage, the solar cell 12 may be used as a solar cell modul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solar cells 12 in seri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낮에는 태양광을 실내로 조사하면서 태양전지(12)를 통해 전력을 저장하고, 밤에는 태양전지(12)에 저장된 전력을 제1 발광체(18) 또는 제2 발광체(26)로 공급하여 실내 및 실외로 광을 조사한다.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power through the solar cell 12 while irradiating sunlight indoors during the day, and the first light emitter 18 stores the power stored in the solar cell 12 at night. Or the second light emitter 26 is irradiated with light indoors and outdoors.

예를 들어, 조명장치(100)를 낮에 사용하는 경우, 광반사형 통로(30)를 통해 실외 및 실내를 상호 연통시켜서 태양광을 실내로 전송해 실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조명장치(100)를 밤에 사용하는 경우, 태양전지(12)에 저장된 전력을 제1 발광체(18) 또는 제2 발광체(26)에 공급하여 빛을 실외 및 실내로 조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ighting device 100 is used during the day, outdoor light and indoor light may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light reflection path 30 to transmit sunlight to the room to irradiate light to the room. In contrast, when the lighting device 100 is used at night, light stored in the solar cell 12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light emitter 18 or the second light emitter 26 to irradiate light outdoors and indoors.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축전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부와 축전지(40)를 통해 제1 광처리부(10) 및 제2 광처리부(20)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발광체(18)와 제2 발광체(26)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원부는 가정용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igh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battery 40, and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1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storage battery 40. ) And the first light emitter 18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26 provided in the second light processor 20, respectively. Here, the power supply unit may use a home power supply.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claims set out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서 제2 광처리부의 저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bottom shape of the second light processor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낮 활용도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day utiliz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밤 활용도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night utilization of the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1 광처리부 12 ; 태양전지10; First light processing unit 12; Solar cell

14 ; 제1 광투과형 커버 16 ; 제1 광조사형 커버14; First light transmission cover 16; First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18 ; 제1 발광체 20 ; 제2 광처리부18; First light emitter 20; 2nd light processing unit

22 ; 제2 광조사형 커버 24 ; 반사판22; 2nd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24; Reflector

26 ; 제2 발광체 30 ; 광반사형 통로26; Second light emitter 30; Light reflecting passage

40 ; 축전지 42 ; 광센서40; Storage batteries 42; Light sensor

44 ; 스위치 50 ; 제어부44; Switch 50; Control

100 ; 조명장치100; Lighting equipment

Claims (20)

제1 공간에 배치되어 적어도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하는 제1 광처리부, 및A first light processor disposed in a first space and processing a plurality of lights including at least natural light, and 상기 제1 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제2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광처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광처리부를 통해 전달되는 자연광을 포함한 복수의 광을 처리하는 제2 광처리부를 포함하며A second light processor disposed in a second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connected to the first light processor, and configured to process a plurality of light including natural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light processor; 상기 제1 광처리부 및 상기 제2 광처리부를 연통하고, 광이 전달되는 개구부를 더 가지며,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communicates with,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는 광반사형 통로를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a light reflecting passage surrounding the opening, 상기 광반사형 통로는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is 구조체에 결합되는 제1 통로, 및A first passageway coupled to the structure, and 상기 제1 통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실외에 노출되는 제2 통로A second passage exposed to the outdoors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passage 를 포함하며,Including; 상기 광반사형 통로의 제1 통로와 제2 통로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조명장치.And a first passage and a second passage of the light reflecting passage having different siz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을 구획하는 경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명장치.The opening is formed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that divides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광반사형 통로의 제1 통로와 제2 통로는 서로 다른 외형 크기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제1 통로는 상부의 지름과 하부의 지름이 동일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 통로는 하부의 지름이 상부의 지름보다 더 큰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는 조명장치.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of the light reflection passage are formed to have a different outer size, the first passag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the same diameter as the upper diameter and the lower portion, the second passage is Illumination device to form a cylindrical shape whos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portion.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광반사형 통로의 내면은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조명장치.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reflection path is coated with aluminum.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 광처리부의 직경은 상기 경계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조명장치.And a diameter of the second light processor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boundary surface increas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연광은 태양광인 조명장치.The natural light is sunligh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광처리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further comprises a solar cell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복수의 광은 인공광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The plurality of lights further comprises artificial ligh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인공광은 상기 제1 광처리부 및 상기 제2 광처리부에 각각 포함되는 제1 발광체 및 제2 발광체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치.The artificial light is an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a first luminous body and a second luminous body included in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and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발광체 및 상기 제2 발광체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인 조명장치.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ar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LED).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광처리부는,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일방향을 향하는 제1 광투과형 커버, 및A first transmissive cover facing one direction, and 상기 일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제1 광조사형 커버First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facing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ne direction 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광조사형 커버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장치.The first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is an illumination device formed in a ring shap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 광투과형 커버와 상기 제2 광투광형 커버는 각각 광투과성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치.And the first light transmissive cover and the second light transmissive cover are each made of a light transmissive plastic.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광투과성 플라스틱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아크릴 수 지, 폴리스티렌(polystyrene) 수지, 투명 나일론(nylon),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개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명장치.The light transmissive plastic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carbonate resins, acrylic resins, polystyrene resins, transparent nylon, polyolefin resins, and polyester resins. Lighting device made of materia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 광처리부는 The second light processing unit 조사되는 광이 실내로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 광조사형 커버,A second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which is formed such that irradiated light is directed toward the room; 상기 제2 광조사형 커버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공간을 구획하며 실내로 조사되는 광을 실내의 더 넓은 공간으로 확산시키는 반사판A reflection plate mounted to the second light irradiation type cover to partition a plurality of spaces and to diffuse light irradiated into the room into a wider space of the room; 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태양전지와 상기 제1 발광체 및 상기 제2 발광체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전지에 의해 발생한 전기 에너지를 축전시키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And a storage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olar cell, 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to stor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축전지와 상기 제1 발광체 및 상기 제2 발광체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And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torage battery, the first light emitter, and the second light emitter to control the flow of electrical energy.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1 광처리부 주변에 장착되어 소정의 조도를 검출하는 광센서를 더 포함하며,It further comprises an optical sensor mounted around the first light processing unit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illumina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조도검출신호를 분석하여 설정된 조도 이하이면 상기 제1 발광체 및 상기 제2 발광체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조명장치.The control unit analyzes an illumination detection signal input from the optical sensor and supplies electric energy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a set illuminance. 제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오프(on/off)됨에 따라 상기 제1 발광체 및 상기 제2 발광체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흐름을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And a switch that electrically connects to the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flow of electrical energy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emitters as it is turned on / off.
KR1020090094479A 2009-10-06 2009-10-06 Apparatus for illumination KR101079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79A KR101079805B1 (en) 2009-10-06 2009-10-06 Apparatus for illumin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479A KR101079805B1 (en) 2009-10-06 2009-10-06 Apparatus for illu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71A KR20110037171A (en) 2011-04-13
KR101079805B1 true KR101079805B1 (en) 2011-11-03

Family

ID=4404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479A KR101079805B1 (en) 2009-10-06 2009-10-06 Apparatus for illumin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8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195B1 (en) * 2011-04-29 2012-02-1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Environment friendly Ligh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7171A (en)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8756C2 (en) Solar powered lighting installation
CN1379838A (en) Light-emitting block
KR20090020447A (en) Solar luminescent tile
KR101039463B1 (en) Hybrid type natural lighting system
JP4564513B2 (en) Lighting device
CN107448871B (en) Light guide tube capable of exhausting air
KR101079805B1 (en) Apparatus for illumination
KR101305436B1 (en) Natural daylighting systems for deep space illumination
CN202149437U (en) Sunlight illumination device
KR100343626B1 (en) High Intensity Daylighting and Artificial Hybrid Light Piping System
JP2006244710A (en) Lighting system
KR20110026060A (en) Stone lantern using sun light
CN205919254U (en) Optoelectronic integration light harvesting system
CN212361632U (en) LED energy-saving lamp with adjustable function
KR102089365B1 (en) Window system type photovoltaic system with floodlight tube
JP2018078705A (en) Power generator
KR20150099694A (en) Road lighting unit combined with solar module
JP2006107861A (en) Solar battery module with illumination means
KR101957791B1 (en) Pole that uses solar light
CN206504271U (en) A kind of light filling structure of solar energy guiding systems
KR100982002B1 (en) Photovoltaic power guide plate
KR20160129244A (en) A fiber optic light emitting display for a billboard and a road sign board combined with a solar cell module.
JP4407777B2 (en) Lighting device
WO2014077676A1 (en) Lighting unit for street furniture
CN204268340U (en) A kind of Solar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