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604B1 -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604B1
KR101079604B1 KR1020100037509A KR20100037509A KR101079604B1 KR 101079604 B1 KR101079604 B1 KR 101079604B1 KR 1020100037509 A KR1020100037509 A KR 1020100037509A KR 20100037509 A KR20100037509 A KR 20100037509A KR 101079604 B1 KR101079604 B1 KR 10107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ellite
signal
frequency
tuner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977A (ko
Inventor
서중수
Original Assignee
(주)허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브테크 filed Critical (주)허브테크
Priority to KR102010003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960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3Indication means, e.g. displays, alarms, audibl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위성방송 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위성 수신 안테나, 다이젝 모터, LNB 튜너 및 신호분석기를 포함한다. 위성수신 안테나는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한다. 다이젝 모터는 상기 위성 수신 안테나의 수신 각도를 조절한다. LNB는 상기 위성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튜너가 인식가능한 주파수대역으로 변환한다. 튜너는 I2C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위성신호의 주파수 및 통신속도를 결정하고, 수신된 위성신호를 증폭하며, 데이터의 추출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한다. 신호분석기는 사용자로부터 주파수 범위 및 위성 신호 수신 각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I2C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다이젝 모터, LNB 및 튜너를 제어하여 주파수 범위 및 위성 신호 수신 각도 범위 내의 TP에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신호 강도의 측정 및 채널 검색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위성 안테나 각도, 주파수 범위 등 입력된 요소를 통하여 위성 방송 신호를 분석하고, 신호의 강도, 방송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 등의 위성방송 신호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GUI형식으로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Satellite broadcast spectrum analyzer of satellite receiver}
본 발명은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위성 수신기의 각도 및 주파수와 같은 요소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위성 방송 신호를 분석하고 방송신호를 찾아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성방송이란 지상 방송국에서 발사된 방송신호를 약 35,000 ∼ 36,000 Km 적도 상공 정지 궤도상에 위치한 방송위성이 이를 중계하여 지상으로 재발사, 파라볼라 안테나를 이용하여 각 가정에서 수신하는 형태로, 전파범위 안에서는 난시청지역이 없고 선명한 화면과 완벽한 음향으로 시청할 수 있어 선진국에서는 물론 우리나라도 1995년 무궁화호의 발사와 함께 본격적인 위성방송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BS와 CS는 위성방송 시스템으로 본질적인 차는 없지만 BS는 정지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개별 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방송 업무용으로 수신시스템의 저렴화를 도모하기 위해 송신전력을 크게 100W ∼ 200W 정도로 하고, CS는 특정의 수신자를 위한 중계기로서 사용하며 송신전력은 20W ∼ 40W로 적지만 중계기수는 다채널화되어 있다.
위성 방송 수신기(set top box)는 TV 수신기와 함께 구성되어 위성을 통하여 전송되는 다채널의 다양한 TV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위성을 통해 송신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압축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압축데이터를 신장시키고,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시키고 표준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 신호로 변환시켜 TV 수신기에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근래에는 디지털 TV 수신기의 보급 증가하고 디지털 방송 콘텐츠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위성방송 수신기가 대중화 되어 있으며, 단순히 디지털 방송 데이터의 수신 및 복호 뿐만 아니라, VCR기능, 홈네트웍 호스트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위성 방송 수신기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위와 같은 위성 방송의 경우 각 위성마다 할당된 TP(transponder)수만 해도 적게는 수개에서 많게는 수 백개까지 정해져 있으며, 또한 각 TP마다 적게는 수개에서 많게는 수백 개까지의 채널이 할당되어 수많은 방송 채널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위성 방송 채널을 검색하기 위하여 상당한 시간이 소비되기도 한다. 또한, 위성방송은 기존 VHF, UHF 전파에 비하여 지상에 미치는 전파의 강도가 대단히 미약하기 때문에 비, 구름의 영향, 건조물, 수목 등의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어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양질의 안테나, 컨버터, 튜너가 요구되며, 위성신호를 최적의 수신강도를 보장하기 위하여 위성 수신 안테나의 수신방향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위성 안테나 각도, 주파수 범위 등 입력된 요소를 통하여 위성 방송 신호를 분석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신호의 강도, 방송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 등의 위성방송 신호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GUI형식으로 제시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위성방송 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위성 수신 안테나, 다이젝 모터, LNB 튜너 및 신호분석기를 포함한다.
위성수신 안테나는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한다. 다이젝 모터는 상기 위성 수신 안테나의 수신 각도를 조절한다. LNB는 상기 위성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튜너가 인식가능한 주파수대역으로 변환한다. 튜너는 I2C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위성신호의 주파수 및 통신속도를 결정하고, 수신된 위성신호를 증폭하며, 데이터의 추출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한다. 신호분석기는 사용자로부터 주파수 범위 및 위성 신호 수신 각도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I2C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다이젝 모터, LNB 및 튜너를 제어하여 주파수 범위 및 위성 신호 수신 각도 범위 내의 TP에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신호 강도의 측정 및 채널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위성수신기는 기 설정된 문턱치 이상의 신호 강도가 측정된 경우에만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성수신기는 채널 검색이 완료된 TP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PMT 테이블 데이터를 상기 셋톱박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성수신기는 채널 검색이 완료된 TP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PMT 테이블 데이터와 함께 신호 강도 및 신호 품질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스텝별 주파수와 이에 대응하는 신호강도를 독립변수로 하는 그래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그래프의 스텝별 주파수 중 채널이 검색된 주파수를 시각적인 강조방법에 의하여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성 안테나 각도, 주파수 범위 등 입력된 요소를 통하여 위성 방송 신호를 분석하고, 신호의 강도, 방송 수신이 가능한지 여부 등의 위성방송 신호의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GUI형식으로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의 결과를 주파수 범위와 신호강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의 결과를 다른 스케일의 주파수 범위와 신호강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의 다이젝 모터가 조정된 결과를 주파수 범위와 신호강도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가 락킹 시도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성수신 장치에 대한 모습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방송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위성 방송신호는 위성 안테나(1)에서 수신된다.
[도 1]을 참조하여 LNB(20; 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에 대하여 설명한다. LNB는 위성 접시에 달려있는 장치로서 아주 약한 레벨의 마이크로웨이브의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높은 주파수를 튜너가 인식할 수 있는 낮은 주파수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즉 디지털 방송 스트림은 위성의 트랜스폰더에 의해 Ghz단위의 신호로 뿌려지게 된다. Ghz 단위의 전파는 사용자의 수신 안테나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도달한 Ghz 단위의 신호는 디지털 튜너가 바로 사용할 수는 없고 이를 튜너가 받아들일 수 있는 C밴드 또는 Ku밴드의 신호로 바꾸고 잡음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LNB 세팅에 필요한 옵션들은 보통 아래와 같다. 먼저 서비스(채널)을 서치할 위성을 설정한다. 위성마다 각기 다른 TP 리스트를 가지고 있고 튜너가 락킹할 주파수도 각각 다르다. 이 정보에 따라 USAL 정보나 Motorized DiSEqC 정보도 달라진다. 둘째 수신할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한다. 이 주파수 영역은 Ku band, C band 등으로 분류된다. 보통 위성방송은 이 두 band를 타고 송출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이젝(DiSEqC) 모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젝은 안테나 규격이다. 다이젝 명령을 튜너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다이젝을 조작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튜너(100)를 설명한다. 튜너(100)는 크게 세 부분 즉, 공조&수신부(110), Level Shift&증폭부(120), 복조기(130; Demodulator)로 구성된다. 이중 공조&수신부(110), Level Shift&증폭부(120)는 일반적으로 PLL(Phase Lock Loop)로 묶여있다.
공조수신부(110)는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잡는 구성으로서 셋탑박스에서 주파수와 통신속도(Symbol rate)가 I2C통신을 통해 설정된다. 여기서 주파수는 캐리어(Carrier)의 주파수를 의미하며, Symbol rate는 위상변화의 비율 즉 데이터 속도를 의미한다.
Level Shift&증폭부(120)는 공조&수신부에서 받은 신호를 복조기(130)가 받을 수 있도록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복조기(130; Demodulator) 공조&수신부(110)에 들어온 신호에서 Carrier를 제거하고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때 복조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이므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40; ADC)를 통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MPEG TS Stream을 셋톱박스에 전달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신호분석기(200)에 의한 신호분석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먼저 신호분석기(200)는 사용자로부터 분석 대상 주파수의 범위와 위성신호 수신각도의 범위를 입력받는다. 즉 분석을 요하는 주파수 대역 및 조사 대상 TP에 관련된 수신 각도 데이터를 입력받게 된다.(S10)
이후 입력된 위성신호 수신각도 범위 내에서 순차적으로 분석을 하기 위하여 I2C 방식의 버스를 통하여 다이젝 모터(10)의 각도를 조절하여 해당 수신각도에 대응하는 TP(Transponder)에 순차적으로 접속한다.(S20) 이 때 신호분석기(200)는 수신된 신호의 강도외 품질을 튜너(10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범위 내의 주파수를 특정 step단위(ex: 기본 10M 단위)로 세분화 하여 각 주파수 step별로 satellite receiver의 tuner에 입력하여 그 주파수의 신호의 강도를 튜너(100)로부터 읽어내어 신호 강도를 측정하게 된다. AGC(Automatic Gain Control)는 셋탑박스에 들어오는 신호의 강도를 파악하는 척도가 되며, BER (Bit Error Rate)은 셋탑박스에서 신호의 퀄리티를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셋톱박스의 UI에서 표시되는 신호의 강도와 퀄리티는 모두 튜너의 I2C 통신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되는 값이다. 보통 TSR로 주기적으로 값을 조회하곤 한다.
이 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위 주파수를 세밀하게 분할하여 신호의 강도 및 품질을 분석할 수 있다.
이 후 신호분석기(200)는 주어진 주파수 범위 내에서 기 설정된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단위 주파수별 스텝(step)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TP별로 제공되는 채널을 서치한다.(S30) 즉, 단위 주파수 Step별 신호를 락킹(locking) 시도를 하여 방송 스캔 유무 판단한다. 상세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락킹을 시도하여 기 설정된 TP 리스트에 따라 튜너로 하여금 리스트 순서대로 해당 TP의 통신속도(Symbol rate)와 주파수로 락킹하도록 한다. 튜너가 특정 TP를 락킹하면 PAT 테이블을 파싱하여 각 채널들의 정보를 담고 있는 PMT 테이블의 PID를 얻어낸다. 하나의 TP에 PAT 테이블은 하나이다. 이어서 PAT 파싱에서 얻어낸 PMT PID에 따라 PMT 테이블을 파싱한다. PMT는 하나의 TP에 서비스의 개수 즉 채널 개수만큼 있으며 한 TP에 4개의 방송이 있다면 PMT 테이블도 4개가 된다. PMT 테이블에는 Video PID나 Audio PID, CAT PID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서비가 제공되는 채널의 경우 이렇게 얻어낸 채널별 PID 리스트와 신호 세기 및 품질을 저장한다. 이 후 저장된 채널별 PID 리스트는 채널을 변경 시에 해당 채널의 비디오 및 오디오를 구동하는데 사용된다.
이 때 일정한 신호 강도를 설정해 두고 해당 신호 강도 이상의 신호가 검출된 경우에만 락킹 시도 등 채널 검색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는 지 확인한 후(S50) 끝이 아닌 경우에는 다음 주파수 스텝으로 변경하여 S20 단계 이하의 작업을 반복한다.(S60)
이 때 주파수 범위의 끝인 경우 다시 위성신호수신각도의 끝인지를 판단한다.(S70) 위성신호 수신각도의 끝이 아닌 경우에는 다이젝 모터(10)를 조절하여 수신각도를 조절한 후 S10단계 이후의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위성신호 수신각도의 분석이 모두 끝난 경우에는 분석 결과를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80)
분석이 모두 끝난 후 얻어낸 채널별 PID 리스트는 셋톱박스에 저장해 두고 이후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면 해당 채널에 맞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를 구동하는데 쓰이게 된다. 이 때 해당 채널의 신호 강도와 품질을 함께 저장하여 이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축 그래프를 기준으로 신호 강도를 X축에 단위 스텝 별 주파수를 Y축에 도시하고 락킹을 시도하여 채널이 검색된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색으로 강조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다이젝 모터(10)를 구동하여 타 TP에서의 신호의 세기, 또는 동일 TP내에서의 상대적 신호의 세기를 도시한 그래프를 예시하였다.
또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의 범위를 조정하여 원하는 강도의 신호만을 선별할 수 있으며, X축의 범위를 조정하여 주파수단위를 더욱 세분화 하여 원하는 신호를 선별하거나 특정 주파수 및 TP에서의 신호를 검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10: 다이젝 모터 20: LNB
100: 튜너 110: 공조&수신기
120: Level Shift&증폭기 130: 복조기
140L: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 200: 신호분석기

Claims (5)

  1.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위성방송 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방송위성으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수신 안테나;
    상기 위성 수신 안테나의 수신 각도를 조절하는 다이젝 모터;
    상기 위성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위성신호를 증폭하고, 튜너가 인식가능한 주파수대역으로 변환하는 LNB;
    I2C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위성신호의 주파수 및 통신속도를 결정하고, 수신된 위성신호를 증폭하며, 데이터의 추출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튜너; 및
    사용자로부터 위성 신호 수신 각도 및 기 저장된 PMT(program association table) 테이블의 방송 채널별 주파수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I2C 데이터 버스를 통하여 상기 다이젝 모터, LNB 및 튜너를 제어하여 상기 위성 신호 수신 각도 및 상기 방송 채널별 주파수의 TP에 순차적으로 접속하여 채널 검색 및 채널별 신호 강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채널별 신호 강도가 기 설정된 문턱치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을 락킹(lockinig)하는 신호분석기:를 포함하는 위성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수신기는 채널 검색이 완료된 TP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PMT 테이블 데이터를 상기 셋톱박스에 저장하는 위성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수신기는 채널 검색이 완료된 TP 및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PMT 테이블 데이터와 함께 신호 강도 및 신호 품질을 더 저장하는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방송 채널별 주파수와 이에 대응하는 신호강도를 독립변수로 하는 그래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그래프의 방송 채널별 주파수 중 채널이 검색된 주파수를 시각적인 강조방법에 의하여 전달하는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KR1020100037509A 2010-04-22 2010-04-22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KR10107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09A KR101079604B1 (ko) 2010-04-22 2010-04-22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509A KR101079604B1 (ko) 2010-04-22 2010-04-22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77A KR20110117977A (ko) 2011-10-28
KR101079604B1 true KR101079604B1 (ko) 2011-11-03

Family

ID=45031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509A KR101079604B1 (ko) 2010-04-22 2010-04-22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9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2897A (zh) * 2014-07-07 2014-10-29 江苏中寰卫星导航通信有限公司 一种卫星信号自动跟踪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80B1 (ko) * 2001-11-16 2003-12-06 (주)에이엠티 그래픽 기반의 위성탐색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280B1 (ko) * 2001-11-16 2003-12-06 (주)에이엠티 그래픽 기반의 위성탐색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77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366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selected from multiple data streams
US70726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gnal component strength
US20120225626A1 (en) Reuse of a switch ic as a step attenuator
US8973059B2 (en) Method for protecting satellite reception from strong terrestrial signals
US8139158B2 (en)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5999137A (en) Integrated antenna system for satellite terrestrial television reception
KR101079604B1 (ko) 위성 수신기의 위성방송 신호 분석장치
CN103533268A (zh) 一种卫星电视接收系统及方法
US7865135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CN109714578A (zh) 一种卫星电视系统快速搜星方法
KR100328493B1 (ko) 위성 수신기의 채널 탐색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012994A1 (en)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ption apparatus and antenna apparatus
KR100207185B1 (ko) 디지탈방송 수신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에서의 음량제어방법
CN101557507B (zh) 低噪声降频器及户外接收装置
KR100238147B1 (ko) 공청용 위성방송 수신시스템의 멀티채널 디코더
KR10082889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채널 자동 선택 방법
KR100629004B1 (ko) 튜너
KR100847001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엘엔비 인덱스를 이용한 수신 설정 방법
KR100718415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채널 스캐닝방법
TWI482493B (zh) 低雜訊降頻器及戶外接收裝置
KR100420138B1 (ko) 복합방송수신기의음량조절방법
KR200237127Y1 (ko) 위성공청 입력 혼합 분리형 증폭기
KR20070018252A (ko) Dmb 수신기에서 gps 위치정보와 ti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자동채널 설정방법
JPH0411490A (ja) 衛星受信システム
KR20000024807A (ko) 디지털위성방송수신기에서의 트랜스폰더 자동탐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