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164B1 -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164B1
KR101077164B1 KR1020090131817A KR20090131817A KR101077164B1 KR 101077164 B1 KR101077164 B1 KR 101077164B1 KR 1020090131817 A KR1020090131817 A KR 1020090131817A KR 20090131817 A KR20090131817 A KR 20090131817A KR 101077164 B1 KR101077164 B1 KR 10107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slag particles
air
particle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376A (ko
Inventor
박흥수
이민영
이창훈
류성욱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1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1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5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6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using air, inert gases or removable conductive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5Apparatus features
    • C21B2400/062Jet nozzles or pressurised fluids for cooling, fragmenting or atomis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8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with energy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자화된 슬래그를 투입하여 낙하되도록 하는 슬래그 투입덕트와; 상기 슬래그 투입덕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낙하하는 슬래그 입자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슬래그 입자와 공기가 냉각덕트로 운반되도록 하는 공기노즐과;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어 냉각덕트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덕트로부터 빠져나온 슬래그 입자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와, 공기를 이용한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에 있어서, 슬래그 투입덕트로부터 낙하하는 슬래그 입자에 하부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같도록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하고, 온도가 낮아진 슬래그 입자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을 제공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유동방향이 동일한 상온의 공기를 2단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입자들을 급랭시켜 슬래그 입자간의 재융착 현상을 방지하여 동일 공기 유량에 대한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슬래그 입자, 열회수, 재융착, 유동층

Description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RECOVERING HEAT FROM MOLTEN GRANULATED SLA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자화된 슬래그로부터 현열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융 슬래그 입자의 재융착을 방지하고, 입자의 보유열을 용이하게 회수하도록 하는 슬래그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슬래그는 통상 고압공기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입자화한 다음 냉각하여 시멘트 원료나 매립재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용융슬래그가 가진 특성 중 자원으로서의 활용 잠재성이 높은 것이 현열 보유 특성이다.
제철소에서 배출되는 고로나 전로 슬래그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400℃ 내외이므로 이와 같은 고온의 열에너지를 활용할 경우 높은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고온의 열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열교환 장치를 설계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식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향류에 의한 직접 접촉 방식이다. 이와 같은 방식은 미립화된 용융 슬래그(1)를 위에서 낙하시키고 슬래그가 담겨져 있는 챔버(13)의 하부에서 공기(4)를 투입시켜 열교환을 하는 방식으로 장치의 제작 측면에서 용이하나, 챔버(13)의 하부에서 누적된 입자들이 재융착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챔버(13)의 하부에서 입자들이 재융착할 경우 공기의 이동 통로가 되는 기공이 감소하여 상부로의 공기 흐름이 방해되며, 재융착된 입자들은 파쇄해야만 자원화가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가 필요하다. 따라서, 대향류에 의한 직접 접촉 방식을 사용할 경우, 열회수 및 슬래그의 자원화 측면에서 높은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대향류에 의한 직접 접촉 방식은 일반적으로 관의 직경이 커 동일 유량의 공기를 공급하더라도 유속이 느려 챔버(13)의 하부에 누적된 입자들은 충전층(packed bed)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열전달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슬래그 입자(1)들의 표면이 고화되어 재융착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도인 800℃정도로 용융 슬래그 입자를 급냉시킬 수 있는 냉각 및 열회수 장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슬래그 입자를 급냉시켜 슬래그 입자간의 재융착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더욱 확실한 냉각을 위해서 2단으로 구성되는 냉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자화된 슬래그를 투입하여 낙하되도록 하는 슬래그 투입덕트와; 상기 슬래그 투입덕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낙하하는 슬래그 입자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슬래그 입자와 공기가 냉각덕트로 운반되도록 하는 공기노즐과;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어 냉각덕트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덕트로부터 빠져나온 슬래그 입자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어 하방으로 형성된 2차 슬래그 투입덕트와, 상기 2차 슬래그 투입덕트의 하방에서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하는 2차 공기노즐과, 상기 2차 공기노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래그 배출구와 연결되어 냉각된 슬래그 입자와 공기가 이동하는 2차 슬래그 냉각덕트가 더 포함되어 슬래그 입자를 더욱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 배출구에는 슬래그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공기를 이용한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에 있어서, 슬래그 투입덕트로부터 낙하하는 슬래그 입자에 하부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같도록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하고, 온도가 낮아진 슬래그 입자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상기 슬래그 입자의 입경이 커서 냉각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고압의 공기를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같도록 재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표면이 완전히 고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유동 방향이 동일한 상온의 공기를 2단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입자들을 급랭시켜 슬래그 입자간의 재융착 현상을 방지하고, 슬래그 입자를 자원화하는 처리공정이 매우 용이해져 동일 공기 유량에 대해서 대향류에 의한 직접 접촉 방식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장치의 구성도로서, 용융 슬래그 입자를 2단으로 급랭하기 위해 공기 분사노즐과 냉각덕트의 조합이 상, 하 2단으로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장치는 슬래그를 입자화하는 장치(도면 미도시)와 연결되는 고온의 슬래그 입자(1)가 외부로부터 투입되어 낙하하는 1차 슬래그 투입덕트(2)가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고, 1차 슬래그 투입덕트(2)를 통해 낙하한 슬래그 입자(1)가 1차 슬래그 투입덕트(2)와 하부에서 연결되어 고압의 상온의 공기(4)를 분사하도록 하는 1차 공기노즐(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온의 공기(4)에 의해 슬래그 입자(1)가 공기와 열전달을 하면서 냉각됨과 동시에 공기(4)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1차 슬래그 투입덕트(2)와 1차 공기노즐(3)의 교차점으로부터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1차 슬래그 냉각덕트(5)가 형성되며, 상기 1차 슬래그 냉각덕트(5)를 통하여 이동한 후, 완전히 냉각된 작은 입경을 갖는 슬래그 입자(1)와 공기(4)가 이동하는 이동통로(12)가 1차 슬래그 냉각덕트(5)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슬래그 입자(1)가 냉각되면서 슬래그 입자(1)의 열을 회수하게 되는데, 슬래그 입자(1)의 입경이 큰 경우에는 슬래그 입자(1)가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채 이동하게 되는데, 냉각되지 않은 슬래그 입자(1)를 완전히 냉각시키기 위해서 상기와 동일한 구성을 2단으로 취하게 된다. 즉, 1차 슬래그 냉각덕트(5)를 통해 이동하던 입경이 큰 슬래그 입자(1)는 1차 슬래그 냉각덕트(5)의 중간에 아랫방향으로 설치된 2차 슬래그 투입덕트(6)를 통해 낙하하게 되고, 상기 2차 슬래그 투입덕트(6)를 통해 낙하된 슬래그 입자(1)는 2차 슬래그 투입덕트(6)의 하부에 설치된 2차 공기노즐(7)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상온의 공기(4)에 의해 재냉각되어 슬래그 입자(1)의 표면이 완전히 고화된다. 완전히 고화된 슬래그 입자(1)는 고압의 공기와 함께 2차 슬래그 투입덕트(6)와 2차 공기노즐(7)의 교차점으로부터 경사지면서 상향으로 형성된 2차 슬래그 냉각덕트(8)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통로(12)로부터 직접 이송된 슬래그 입자(1)와, 2차 슬래그 냉각덕 트(8)를 통해 이송된 슬래그 입자(1)는 이동통로(12)와 2차 슬래그 냉각덕트(8)로부터 연장되어 아래방향으로 슬래그 배출구(9)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으로는 공기 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어, 슬래그 입자(1)는 슬래그 배출구(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공기(4)는 공기 배출구(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공기 배출구(10)에는 필터(11)를 설치하여 공기 배출구(10)를 통해 빠져나가려는 슬래그 입자(1)를 걸러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1200 ~ 1500℃ 범위의 용융 슬래그 입자(1)가 1차 슬래그 투입 덕트(2)를 통해 하류로 낙하하면 1차 공기노즐(3)에서 분사되는 고속의 공기(4)에 의해 입자들은 1차 슬래그 냉각덕트(5)의 상류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래그 입자(1)들간의 상대적인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공기(4)에 의한 표면 냉각 현상이 용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기(4)의 유동에 의해 슬래그 입자(1)들이 함께 이동하는 유동층(fluidized bed)을 형성하게 되어 동일 유량 조건에서도 열전달 성능이 향상된다. 즉, 공기의 유량이 동일하더라도 슬래그 입자를 급랭시키는데 유리하며 이로 인해 슬래그 입자(1)간의 재융착 현상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슬래그 입자(1)들이 2차 슬래그 투입덕트(6)에 도달하게 되면 입경이 비교적 큰 입자들은 중력에 의해 다시 2차 하류로 낙하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중력이 미미하게 작용하는 미세한 슬래그 입자의 경우에는 1차 슬래그 냉각덕트(5)의 상류 즉, 이동통로(12)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미세 입자의 경우에는 표면에서의 열전달 속도가 빨라 입자의 재융착 온도 이하로 빨리 냉각될 수 있으나, 슬래그 입자의 입경 이 큰 입자의 경우에는 냉각 속도가 느려 재융착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2차 슬래그 투입덕트(6)를 통해 하류로 이동한 슬래그 입자(1)들은 2차 공기노즐(7)을 통해 분사되는 상온의 공기에 의해 2차 냉각덕트(8)에서 다시 급냉된다.
이렇게 하여 표면이 완전히 고화되어 재융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800℃까지 냉각된 슬래그 입자들은 최종적으로 슬래그 배출구(9)를 통해 회수되며, 1,2차 슬래그 냉각덕트(5,8)를 통과하며 가열된 공기는 덕트 상단부에서 합류하여 공기 배출구(10)로 회수된다. 공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는 미세한 슬래그 입자를 포집하기 위해 공기 배출구에는 필터(11)를 설치하여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슬래그 입자 2: 1차 슬래그 투입덕트
3: 1차 공기노즐 4: 공기
5: 1차 슬래그 냉각덕트 6: 2차 슬래그 투입덕트
7: 2차 공기노즐 8: 2차 슬래그 냉각덕트
9: 슬래그 배출구 10: 공기 배출구
11: 필터 12: 이동통로
13: 슬래그챔버

Claims (5)

  1. 입자화된 슬래그를 투입하여 낙하되도록 하는 슬래그 투입덕트와;
    상기 슬래그 투입덕트의 하부에 형성되고, 낙하하는 슬래그 입자에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함과 동시에 상기 슬래그 입자와 공기가 냉각덕트로 운반되도록 하는 공기노즐과;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어 냉각덕트로부터 빠져나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덕트로부터 빠져나온 슬래그 입자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덕트와 연결되어 하방으로 형성된 2차 슬래그 투입덕트와, 상기 2차 슬래그 투입덕트의 하방에서 상온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하는 2차 공기노즐과, 상기 2차 공기노즐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슬래그 배출구와 연결되어 냉각된 슬래그 입자와 공기가 이동하는 2차 슬래그 냉각덕트가 더 포함되어 슬래그 입자를 더욱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에는 슬래그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4. 공기를 이용한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에 있어서,
    슬래그 투입덕트로부터 낙하하는 슬래그 입자에 하부에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같도록 하여 슬래그 입자의 열을 회수하고, 온도가 낮아진 슬래그 입자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그 입자의 입경이 커서 냉각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고압의 공기를 슬래그 입자의 이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같도록 재분사하여 슬래그 입자의 표면이 완전히 고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방법.
KR1020090131817A 2009-12-28 2009-12-28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17A KR101077164B1 (ko) 2009-12-28 2009-12-28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17A KR101077164B1 (ko) 2009-12-28 2009-12-28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376A KR20110075376A (ko) 2011-07-06
KR101077164B1 true KR101077164B1 (ko) 2011-10-27

Family

ID=44915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817A KR101077164B1 (ko) 2009-12-28 2009-12-28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1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0881A (en) 1980-02-04 1981-09-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Separating recovering method for medium in slag heat recovery device using medium fluid layer
JPS57110300A (en) 1980-12-26 1982-07-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Water storage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S5918299U (ja) 1982-07-26 1984-02-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粒状スラグ熱回収装置の気密室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0881A (en) 1980-02-04 1981-09-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Separating recovering method for medium in slag heat recovery device using medium fluid layer
JPS57110300A (en) 1980-12-26 1982-07-09 Tokyo Shibaura Electric Co Water storage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S5918299U (ja) 1982-07-26 1984-02-0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粒状スラグ熱回収装置の気密室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376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03135B (zh) 一种高温液态熔渣干式离心粒化余热回收系统与方法
CN102268495B (zh) 高炉炉渣粒化与余热利用工艺技术与装备
CN201400690Y (zh) 一种用于液态熔渣进行粒化的超音速气体喷嘴
CN101871025B (zh) 冶金熔渣干式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CN102864252B (zh) 一种熔渣粒化和显热回收的方法及系统
CN102766706B (zh) 一种高炉渣余热煤气化系统
CN105110661B (zh) 一种熔融渣粒化及余热回收装置
CN102864254B (zh) 一种熔渣造粒和显热回收的方法及系统
CN103557711A (zh) 熔融炉渣急冷粒化及余热回收发电系统及其方法
CN112146446B (zh) 基于多介质耦合的高炉熔渣粒化换热装置
CN105087844B (zh) 高炉渣余热回收与直接还原联合生产系统及方法
CN102827640A (zh) 一种部分激冷的干煤粉或水煤浆气化系统及其气化工艺
CN202898362U (zh) 一种部分激冷的干煤粉或水煤浆气化系统
CN110218825A (zh) 一种熔渣处理系统及处理方法
EP1234061B1 (en) Apparatus and process to extract heat and to solidify molten material particles
JP2009132546A (ja) 溶融スラグ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104946826B (zh) 一种冶金渣余热回收设备及方法
CN103834753B (zh) 熔融炉渣快速粒化及固化装置
CN110819746A (zh) 一种熔融冶金渣的热能回收利用方法及装置
KR101077164B1 (ko) 용융 슬래그 입자의 열회수 장치 및 그 방법
CN101864504A (zh) 一种回收利用高炉渣显热提高热风炉风温的方法
CN105154604A (zh) 提高炼铁工序能效的方法及装置
CN201825962U (zh) 冶金熔渣干式处理装置
JP2010235323A (ja) スラグの熱エネルギー回収方法
CN107858461B (zh) 一种在线粒化及收集熔融碳化钛渣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