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770B1 -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770B1
KR101075770B1 KR1020040082305A KR20040082305A KR101075770B1 KR 101075770 B1 KR101075770 B1 KR 101075770B1 KR 1020040082305 A KR1020040082305 A KR 1020040082305A KR 20040082305 A KR20040082305 A KR 20040082305A KR 101075770 B1 KR101075770 B1 KR 10107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erminal
mode
remote controller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33286A (en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770B1/en
Publication of KR20060033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2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기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고,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 각각에서 동작하는 제1 키패드; 및 상기 제1 키패드의 동작 모드를 통신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키패드의 모드 전환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기를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 프리 킷과 함께 사용하면서 그 구성을 공용하면 원격 조종기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key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installed on a hou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the first keypad operating in a communication mode and a multimedia mode; And a mode switch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keypad to a communication mode or a multimedia mod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the mode switching of one key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can operate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In addition, i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hands free k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figuration is shared,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simplified,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단말기, 원격 조종기, 통신 모드, 멀티미디어 모드, 모드 전환 스위치Terminal, Remote Controller, Communication Mode, Multimedia Mode, Mode Switch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 제어 방법{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종기의 제1 키패드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FIG. 2 is a view showing a wiring structure of a first keypad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종기의 모드 전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de changeover switch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도 4는 통신 모드에서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종기의 제1 키패드의 각 키들에 할당되는 값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showing values assigned to respective keys of a first keypad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 in a communication mode;

도 5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종기의 제1 키패드의 각 키들에 할당되는 값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diagram showing a value assigned to each key of the first keypad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 in the multimedia mod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 및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블록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ler and a portable terminal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통신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의 키 입력에 따른 단말 기의 동작 흐름도,7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terminal according to key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mode;

도 8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의 키 입력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흐름도.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terminal according to key input of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in a multimedia mod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와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terminal operation using the same.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다양화되면서,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선형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운동하는 스윙-형 단말기, 폴더-형 단말기와 스윙-형 단말기의 개폐동작이 복합된 형태의 단말기 등이 상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general, the term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rries while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or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r-shaped housing by the hinge device, the folder-type terminal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meant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Further, as the portable terminals gradually diversify, sliding-type terminals reciprocating linearly while maintaining a pair of housings facing each other, swings rotating while keeping a pair of housings facing each other- A terminal having a combination of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a portable terminal, a folder-type terminal, and a swing-type terminal has been commercialized.                         

한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초기에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 제한된 영역에서만 이루어 졌으나, 점차 주문형 비디오, 온라인 게임, TV 시청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를 갖춘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또한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음악파일 재생, 동영상 파일 재생 등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using mobile terminals were initially limited to limited areas such as voice calls and short message transmission, but are gradually developing into multimedia services with various contents such as video on-demand, online games, and watching TV. Various functions such as music file playback and video file playback that can enjoy such multimedia services are being added.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그 사용의 편리성 증대를 위하여 핸즈 프리 킷이 사용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들의 핸즈 프리 킷은 일반적으로 이어-폰(ear-phone), 마이크로 폰(micro phone), 전화를 받거나 재다이얼 기능을 갖는 원격 조종기가 하나의 케이블에 설치된 구성이다.These portable terminals are using hands free kits to increase their ease of use, and the hands free kits of portable terminals are generally used for ear-phone, micro phone, telephone answering or redial function. The remote controller has a configuration installed in one cable.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 프리 킷에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확대되기 이전, 초기의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 등에 한정된 때의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에 해당하는 최소한의 기능만이 부여되어 왔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 이동통신 서비스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 프리 킷은 음악파일 재생, 동영상 재생 등의 기능에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핸즈 프리 킷을 갖추고 있더라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를 즐기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prior to the expan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hands free kit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been given only the minimum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limited to the initial voice call,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the like. Therefore, despite the expansion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multimedia services, the hands free kit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for functions such as music file playback and video playback. As a result, even if the user has a hands free kit, the user has to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enjoy various contents us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파일, 동영상 재생 등 멀티미디어 기능을 활용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원격 조종기 및 그를 이용한 단말 동작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that can be used to utilize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music files, video playback,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terminal opera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종기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고,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 각각에서 동작하는 제1 키패드; 및 상기 제1 키패드의 동작 모드를 통신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first key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installed on a hou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ng in a communication mode and a multimedia mode, respectively; And a mode switch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keypad to a communication mode or a multimedia mode.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과정; 상기 원격 조종기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가 통신 모드이면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된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모드이면 상기 키입력 신호에 대응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terminal using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determining a mode of the terminal as one of a communication mode and a multimedia mode; Receiving a key inpu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the terminal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when the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mode; And controlling the terminal to perform a multimedi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when the terminal is in the multimedia mod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 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100)는 제1 키패드(102), 제2 키패드(103), 모드 전환 스위치(104) 및 디스플레이 장치(105)를 구비한다.1 to 5,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keypad 102, a second keypad 103, a mode switching switch 104, and The display device 105 is provided.

상기 제1 키패드(102)는 중앙에 설치된 1개의 키와, 그의 외주방향을 따라 4개로 분할된 영역에 설치된 4개의 키로 구성되며, 통신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키패드(102)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들은 두 종류의 배선(C, M)이 연결된다. 즉,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제1 키패드(102)의 각각의 키들로부터 발생되는 신호가 전송되는 제1 배선(C)과,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전송되는 제2 배선(M)이 그것이다.The first keypad 102 is composed of one key installed in the center and four keys installed in four divided regions along its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operates in a communication mode or a multimedia mode. Referring to FIG. 2, two types of wires C and M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keys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102. That is, the first wiring C, through which signals generated from the respective keys of the first keypad 102 are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second wiring M, through which signals generated in the multimedia mode are transmitted, are included.

상기 제1 키패드(102)의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의 전환은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104)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104)는 일측이 상기 제1 키패드(102)와 연결되고 타측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모드 전환 스위치(104)의 스위치 버튼(141)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제1 배선(C)이 단말기 측과 접속되거나 제2 배선(M)이 단말기 측과 접속되어 상기 제1 키패드(102)를 통신 모드 또는 멀티미디어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of the first keypad 102 is performed by the mode switching switch 104. Referring to FIG. 3, the mode switching switch 104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keypad 102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witch button 141 of the mode switching switch 104 is operated. Accordingly, the first wire 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ide or the second wire M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ide to switch the first keypad 102 to the communication mode or the multimedia mode.

상기 제1 키패드(102)의 작동 모드에 따라 각 키들에 할당되는 값이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The values assigned to the keys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of the first keypad 102 are shown in FIGS. 4 and 5.

도 4는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제1 키패드(102)의 키들에 각각 할당되는 숫자 값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 모드에서, 상기 제1 키패드(102)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들에는 각각 2개의 숫자가 할당된다. 즉, 중앙의 키는 '5'와 '0', 중앙의 키 상측에 위치한 키로부터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1'과 '6', '2'와 '7', '3'과 '8', '4'와 '9'의 값이 할당되었다. 상기 제1 키패드(102)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에 할당된 2개의 값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가 각 키를 누르는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즉,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시간에 따라 각 키에 할당된 값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거나, 연속적으로 키를 누르는 횟수에 따라 각 키에 할당된 값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의 키를 0.5초 이내로 짧게 누르는 경우에는 '5'가 입력되고, 0.5초를 초과하여 길게 누르는 경우에는 '0'이 입력된다. 또한, 중앙의 키를 1회 눌렀을 때는 '5'가 입력되고, 연속적으로 2회를 눌렀을 때 '0'이 입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키패드를 이용하여 숫자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구성하면 그 키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원격 조종기(100)의 크기를 소형화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키패드(102)를 5개의 키들로 구성하였으나, 키를 누르는 방법에 따라 숫자 입력 방식을 좀더 세분화한다면, 더 적은 수의 키로 상기 제1 키패드(102)를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4 illustrates numerical values assigned to keys of the first keypad 102 in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each of the keys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102 is assigned two numbers. In other words, the keys in the center are '5' and '0', '1' and '6', '2' and '7', '3' and '8 sequenti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key located above the key. The values', '4' and '9' are assigned. Selecting and inputting any one of two values assigned to each key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102 is determined according to how the user presses each key. That is, any one of the values assigned to each key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time when the user presses a key, or any one of the values assigned to each key may be inpu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secutive key presses. For example, '5' is input when the central key is shortly pressed within 0.5 seconds, and '0' is input when the key is pressed longer than 0.5 seconds. In addition, '5' is input when the center key is pressed once, and '0' is input when the key is pressed twice. By configuring the keypad for numeric input using the keypad in this manner, the number of keys can be reduced, thereby facilitating the miniaturization of the size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keypad 102 is composed of five keys. However, if the number input method is further subdivid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essing a key, the first keypad 102 may be configured with fewer keys. It can be obvious.

도 5는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상기 제1 키패드(102)의 키들에 각각 할당되는 값을 나타내고 있다.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상기 제1 키패드(102)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들에는 음악파일 또는 동영상 재생을 위한 기능들이 할당된다. 즉, 중앙의 키에 '녹음'과 '녹화', 중앙의 키 상측에 위치한 키로부터 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재생'과 '일시정지', '전방 검색', '정지', '후방 검색'의 기능에 해당하는 값이 각각 할당되었다.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상기 제1 키패드(102)를 구성하는 각각의 키들에 할당된 값은 재생하는 컨텐츠에 맞는 하나의 값이 할당되었으나, 통신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각각의 키들에 더 많은 값을 할당하고 사용자가 키를 누르는 방법에 따라 다른 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당할 수 있다.FIG. 5 illustrates values assigned to keys of the first keypad 102 in the multimedia mode. In the multimedia mode, respective keys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102 are assigned functions for playing a music file or a video. That is, 'record' and 'record' on the center key, 'play', 'pause', 'forward search', 'stop', 'rear search' sequentially in the clockwise direction from the key located above the center key.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are assigned. In the multimedia mode, a value assigned to each of the keys constituting the first keypad 102 is assigned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played. However, as in the communication mode, a larger value is assigned to each of the keys. Depending on how you press the key, you can assign different values for input.

상기 제2 키패드(103)는 상기 제1 키패드(102)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각각 통화(send), 취소(cancel), 종료(end) 기능을 갖는 세 개의 키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키패드(103)는 통신 모드로만 동작하게 설정되며, 상기 제1 키패드(102)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에도 전화가 걸려오면 사용자는 상기 제2 키패드(103)를 조작함으로써 음악파일 또는 동영상 재생을 강제 종료하거나 일시정지시키고 통화를 할 수 있다.The second keypad 103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keypad 102, and consists of three keys each having a call, cancel, and end function. The second keypad 103 is set to operate only in a communication mode, and if a call is received while the first keypad 102 is operating in the multimedia mode, the user operates the second keypad 103 to play a music file. You can also force stop or pause video playback and make a call.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5)는 재생중인 파일의 파일명, 재생시간 등을 표시하거나, 파일 재생 중이 아닐 때에는 날짜, 시간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기지국과의 송수신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5 may display a file name, a playback time, and the like of a file being played, or display date, time information, a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terminal, and a state of transmitting / receiving with the base station when the file is not being play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격 조종기(100)는 핸즈 프리 킷과 필요에 따라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핸즈 프리 킷 만을 단말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핸즈 프리 킷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핸즈 프리 킷과 상기 원격 조종기(100)를 필요에 따라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할 경우, 핸즈 프리 킷에 설치되어 전화 수신, 재다이얼 기능을 갖는 키로 통화(send), 종료(end) 기능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상기 원격 조종기(100)의 제2 키패드(103)를 간소화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hands free kit as needed, and when not in use, only the hands free kit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hands free kit to improve portability. Can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s free kit and the remote controller 10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s needed, the hands free kit is installed in the hands free kit to perform a call and end function with a key having a call reception and redial function. By doing so, the second keypad 103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can be simplified.

상기와 같은 원격 조종기(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본 실시 예에서는 원격 조종기(100)의 하우징(101) 일면에 상기 제1 키패드(102), 제2 키패드(103), 모드 전환 스위치(104) 및 디스플레이 장치(105)가 모두 설치된 구성이나, 실시 예에 따라서 일부의 구성요소들은 상기 하우징(101)의 측면 등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ler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keypad 102, the second keypad 103, the mode switching switch 104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01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And the display device 105 is all installed, it is apparent that some components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상기 원격 조종기(100)의 키입력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기(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200)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제어부(202)는 모드 전환 스위치(104)의 조작에 따라 원격 조종기(100)의 제1 배선(C)이 단말기 측과 접속되거나 제2 배선(M)이 단말기 측과 접속된다. 이러한 제어부(202)는 상기 제1 배선(C)과 연결 시 원격 조종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키입력 신호를 통신 모드에 대한 키입력 신호로 인식하여 통신 모드에 대응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2)는 상기 제2 배선(M)과 연결 시 원격 조종기(100)로부터 출력되는 키입력 신호를 멀티미디어 모드에 대한 키입력 신호로 인식하여 멀티미디어 모드에 대응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204)는 통신 모드 시 디지털 신호를 기저대역 변환 및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다운 컨버팅(DOWN Converting) 및 증폭 동작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여 무선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음성 처리부(206)는 통신 모드 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하고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며, 멀티미디어 모드 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부(208)는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 모드 및 멀티미디 어 모드 수행을 위한 다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controlled by the key input signal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will be described. 6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unit 202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side of the first wire C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or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de changeover switch 104. )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ide. The controller 202 recognizes a key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as a key input signal for a communication mode when the first wire C is connected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mode. In addition, the controller 202 recognizes the key input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as a key input signal for the multimedia mode when the second wire M is connected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multimedia mode.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wireless unit 204 transmits a baseband by converting and amplifying a digital signal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s and outputs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to a digital signal through down converting and amplifying operations. Perform the function. The voice processing unit 206 demodulates the received signal in the communication mode, outputs the voice through the speaker, processe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and converts the digital audio data into an analog audio signal in the multimedia mode. do. The memory unit 208 may include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read only memory (ROM), and the like, and stores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for performing a communication mode and a multimedia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200)는 통신 모드 및 멀티미디어 모드 시 원격 조종기(100)로부터의 키 입력 신호에 따라 각 모드에 대응된 동작을 수행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each mode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먼저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7은 통신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100)의 키입력에 따른 단말기(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단말기(200)는 통신 모드 시 702단계에서 원격 조종기(100)로부터 제1 키패드(102) 또는 제2 키패드(103)에 의한 키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원격 조종기(100)로부터 키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단말기(200)는 704단계에서 수신된 키입력 신호가 제1 키패드(102)에 의한 키입력 신호인지, 제2 키패드(103)에 의한 키입력 신호인지 검사한다. Referring first to the operation in the communication mode, Figure 7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communication mode. The terminal 200 receives a key input signal by the first keypad 102 or the second keypad 103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step 702 in the communication mode. As described above, when a key inpu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th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key input signal received in step 704 is a key input signal by the first keypad 102. Check for key input signal by

상기 키입력 신호 검사 결과, 만약 제1 키패드(102)에 의한 키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706단계에서 키입력 신호에 미리 할당된 숫자를 인식하고, 음성처리부(206)를 통해 그 숫자에 대응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제1 키패드(102)에 의해 숫자 '5'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그 '5'에 대응된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숫자 '0'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그 '0'에 대응된 음성 신호를 출력한다.As a result of the key input signal test, if the key input signal is received by the first keypad 102, the terminal 200 recognizes a number previously assigned to the key input signal in step 706, and inputs the number to the number through the voice processor 206. Output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For example,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5' is input by the first keypad 102, a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5' is output. When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0' is input, the ' The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0 'is output.

또한 상기 키입력 신호 검사 결과, 만약 제2 키패드(103)에 의한 키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708단계에서 키입력 신호가 통화(send), 취소(cancel), 종료(end) 키 중 어떤 키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인지 판단한다. 만약 통화 키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710단계에서 소정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한다. 그리고 취소 키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712단계에서 이전의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취소한다. 그리고 종료 키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714단계에서 통화를 종료한다. In addition, if the key input signal check result indicates that the key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second keypad 103, th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any of the key, the cancel, and the end keys is input in step 708. It is determined whether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a key.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call key, the terminal 200 attempts to call the predetermined phone number in step 710.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cancel key, the terminal 200 cancels the previous number or character input in step 712.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end key, the terminal 200 terminates the call in step 714.

한편, 멀티미디어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면, 도 8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100)의 키 입력에 따른 단말기(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멀티미디어 모드 시 단말기(200)는 802단계에서 원격 조종기(100)로부터 제1 키패드(102)에 의한 키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말기(200)는 804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키 입력 신호가 '재생', '일시 정지', '전방 검색', '정지', '후방 검색' 키 중 어떤 키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인지 판단한다. 만약 '재생' 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806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한다. 그리고 '일시 정지' 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808단계에서 재생 동작을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전방 검색' 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810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방 검색한다. 그리고 '정지' 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812단계에서 모든 멀티미디어 모드 동작을 정지한다. 그리고 '후방 검색' 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이면 단말기(200)는 814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파일을 후방 검색한다.Meanwhile, referring to the operation in the multimedia mode,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terminal 200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multimedia mode. In the multimedia mode, the terminal 200 receives a key input signal by the first keypad 102 from the remote controller 100 in step 802. In operation 804, th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among 'play', 'pause', 'front search', 'stop', and 'back search' keys. do.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play', the terminal 200 plays the multimedia file in step 806.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pause', the terminal 200 temporarily stops the playback operation in step 808.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forward search', the terminal 200 searches forwards the multimedia file in step 810.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stop', the terminal 200 stops all multimedia mode operations in step 812. If the key input signal corresponds to the backward search, the terminal 200 searches backward for the multimedia file in step 814.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100)는 통신 모드 시에는 단말기(200)가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모드 시에는 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ler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terminal 200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 communication mode, and the terminal 200 performs a multimedia function in a multimedia mode. To control.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는 하나의 키패드의 모드 전환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정기를 휴대용 단말기의 핸즈 프리 킷과 함께 사용하면서 그 구성을 공용하면 원격 조종기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어 소형화에 유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nable the mode switching of one keypad, and thus can be operated in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convenience. In addition, if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hands free ki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onfiguration is shared, the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simplified,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Claims (9)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에 있어서, In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원격 조종기의 하우징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키들에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키 값들이 할당되어 동작하는 제1 키패드; 및 A first keypad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installed on a housing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operable with different key values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keys according to one of a communication mode and a multimedia mode; And 상기 제1 키패드의 동작 모드를 상기 통신 모드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And a mode change switch for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keypad to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keypad, 중앙에 설치되는 1개의 키, 중앙에 설치된 상기 키의 외주방향을 따라 4개로 분할된 영역에 설치되는 4개의 키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one key installed at a center and four keys installed at four divided area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key installed at the cent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패드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ap pad,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음악파일, 동영상 파일 등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일시정지 키, 전방 검색 키, 후방 검색 키, 녹음 키, 재생종료 키에 해당하는 값이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play / pause key, forward search key, backward search key, recording key, and playback end key for playing multimedia files such as music files and video files in the multimedia mode are assigned.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keypad, 다섯 개의 키들로 구성되고, 통신 모드에서 각각의 키에는 눌러지는 시간에 따라 입력되는 값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숫자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The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five keys, and in communication mode, each key is assigned two numbers with different input values according to the time pressed.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키패드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된 제2 키패드를 더 구비하고,Further comprising a second keypa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key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keypad, 상기 제2 키패드는 통화(send) 키, 취소(cancel) 키, 종료(end) 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The second keypad is a remote controller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ll (send) key, a cancel key (end) key (end) key.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키패드의 일측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And a display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keypad.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 조종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control method of the terminal using a remote controller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단말기의 모드를 통신 모드와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과정;Determining a mode of the terminal as one of a communication mode and a multimedia mode; 상기 원격 조종기로부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Receiving a key input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단말기가 통신 모드이면 상기 키 입력 신호에 대응된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Controlling the terminal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when the terminal is in a communication mode; And 상기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모드이면 상기 키입력 신호에 대응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며,If the terminal is in the multimedia mode, controlling to perform a multimedi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상기 원격 조종기의 제1키패드는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키들은 상기 통신 모드와 상기 멀티미디어 모드 중 어느 한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키 값들이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 The first keypad of the remote controll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wherein the plurality of keys are assigned different key values according to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ode and the multimedia mo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통신 모드이면 상기 수신된 키입력 신호에 대응된 통신 기능을 수행도록 제어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ing of the terminal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key input signal comprises: 상기 단말기가 통신 모드이면 숫자에 대응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그 할당된 숫자를 음성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과정;Controlling the terminal to output the allocated number as a voice signal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when the terminal is in the communication mode; 통화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통화 시도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Controlling to perform a call attempt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call function; 취소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이전의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취소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Controlling to cancel a previous number or character input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cancel function; And 종료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통화 종료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to terminate the call according to the key input signal input for the end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모드이면 상기 키입력 신호에 대응된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ling of the terminal to perform a multimedi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key input signal when the terminal is in a multimedia mode, 상기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모드이면 재생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과정;If the terminal is in a multimedia mode, controlling to play a multimedia file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play function; 일시 정지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을 일시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Controlling to pause playback of the multimedia file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pause function; 전방 검색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전방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Controlling the multimedia file to be forward searched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forward search function; 정지 기능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모든 멀티미디어 기능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과정; 및Controlling all multimedia functions to be stopped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stop function; And 후방 검색에 대한 키입력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파일을 후방 검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제어 방법.And performing a backward search of the multimedia file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input for a backward search.
KR1020040082305A 2004-10-14 2004-10-14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KR101075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305A KR101075770B1 (en) 2004-10-14 2004-10-14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305A KR101075770B1 (en) 2004-10-14 2004-10-14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286A KR20060033286A (en) 2006-04-19
KR101075770B1 true KR101075770B1 (en) 2011-10-24

Family

ID=3714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305A KR101075770B1 (en) 2004-10-14 2004-10-14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77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286A (en)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2801C (en) Mobile phone capable of input of phone number without manipulating buttons and method of inputting phone number to the same
EP164373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268901A1 (en) Slider twister phone
US808529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20050181826A1 (en) Handheld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mmunicating with a mobile in music-playing operation
US20060270445A1 (en) Full qwerty web-phone with hidden second keypad
JPS60119159A (en) Radiotelephonic device
KR100729673B1 (en)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a Game Machine Installed Therein
KR101075770B1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remote controller
CN10143705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3133013U (en) Headphone with communication function
JP2001309002A (en)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8518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ee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JP3445713B2 (en) Mobile phone
KR10061969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eing capable of selecting communication quality
JP358970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0215726B1 (en) Wireless telephone having automatic receiving function by mode setting
JP2002051116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3289365A (en) Internet telephone set
JP2002171338A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16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going call waiting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9996B1 (en)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uising it
JP2000324235A (en) Mobile radio terminal
JP2001127869A (en) Control method for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and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JP2000188629A (en)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