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403B1 -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403B1
KR101074403B1 KR1020030099824A KR20030099824A KR101074403B1 KR 101074403 B1 KR101074403 B1 KR 101074403B1 KR 1020030099824 A KR1020030099824 A KR 1020030099824A KR 20030099824 A KR20030099824 A KR 20030099824A KR 101074403 B1 KR101074403 B1 KR 101074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fficiency
film
display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8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68426A (en
Inventor
하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403B1/en
Publication of KR2005006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4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4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상에 부착되어 수직편광과 수평편광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효율 강화 필름과;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상에 부착되는 편광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셀 영역과; 상기 배면 기판상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light efficiency, comprising: opposing front and rear substrates; An optical efficiency enhancement film attached to the front substrate to selectively transmit polarized light in one of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ations;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A cell region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back substr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formed on the back substrate.

광효율 강화필름, 산란층, 위상차판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Scattering Layer, Retardation Plate

Description

편광화 효율 증대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도 1은 액정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3차원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principle of a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for representing an image display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n three dimensions by using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panel.

도 2는 종래의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a conventional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광효율 강화 필름으로 사용되는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DBEF) used as a 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도 5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산란층을 추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scattering layer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3. FIG.

도 6은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위상차판을 추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hase difference plate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3.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전면 기판 201: 광효율 강화 필름200: front substrate 201: 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202: 편광판 203: 셀 영역202: polarizer 203: cell area

204: 하부 전극 205: 산란층 204: lower electrode 205: scattering layer                 

206: 위상차판 210: 배면 기판206: phase difference plate 210: back substrat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을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전환시 광효율 강화 필름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when converting an image from two to three dimensions.

오늘날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근간으로 구축된 정보의 고속화를 위해 실현될 서비스들은 현재의 전화와 같은 단순히 듣고 말하는 서비스로부터 문자, 음성,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디지털 단말을 중심으로 한 보고 듣는 멀티 미디어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궁극적으로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실감있고 입체적으로 보고 느끼고 즐기는 초공간형 실감 3차원 입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The services to be realized for the high speed of information based on the high-spe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day are the multimedia service centered on the digital terminal which processes text, voice, and video at high speed from the simple listening and speaking service such as the current telephone. It is expected to develop and ultimately develop into a super-spatial realistic 3D stereoscopic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see, feel, and enjoy in a realistic, three-dimensional way beyond time and space.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In general,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presenting the three-dimensional is achieved by the principle of stereo vision through two eyes, the parallax of two eyes, that is, binocular disparity that appears because the two eyes are about 65mm apart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three-dimensional It can be called a factor.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eyes each look at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nd when these two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the brain accurately fuses each other to reproduce the depth and reality of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image. This ability is commonly referred to as stereography.

입체영상 표시는 상기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관찰자의 별도의 안경착 용 여부에 따라 안경식(stereoscopic)의 편광방식과 시분할방식, 비안경식(autostereoscopic)의 패럴랙스-배리어방식과 렌티큘러(lenticular)방식과 블린킹 라이트(blinking light)방식 등이 있다.Stereoscopic image display uses the binocular parallax, and according to whether the viewer wears separate glasses, stereoscopic polarization and time division, autostereoscopic parallax-barrier, lenticular and blin Such as king light (blinking light).

전자는 많은 인원이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으나 , 별도의 편광안경 또는 액정셔터 안경을 착용해야 하고, 후자는 디스플레이에 각각 이미지 스플리터(image splitter)와 실린더리컬 렌즈 어레이(cylindrical lens array)가 결합된 구조로 관찰범위가 고정되어 소수인원에 한정되지만 별도의 안경식을 착용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Although the former can enjoy stereoscopic images, many people need to wear separate polarized glasses or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and the latter has an image splitter and a cylindrical lens array. Although the observation range is fixed to a small number of people,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wear a separate glasses type tends to be preferred.

상기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관찰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함과 부자연스러움을 발생시킨다.The spectacl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auses inconvenience and unnaturalness because the viewer must wear special glasses.

반면, 상기 비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관찰자가 직접 스크린을 주시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 사라지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non-glasses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because the observer directly observes the screen and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disappear.

상기 패럴랙스-배리어 방식은 좌/우 두 눈에 해당하는 영상 앞에 세로 혹은 가로형태(슬릿)를 둠으로써, 상기 슬릿을 통해 합성된 입체영상을 분리, 관측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방식이다.The parallax-barrier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stereoscopic image is sensed by separating and observing a stereoscopic image synthesized through the slit by placing a vertical or horizontal form (slit) in front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both left and right eyes.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편광을 이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polarization is generally used.

도 1은 액정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3차원 액정 패널을 이용하여 3차원으로 표현하는 입체 영상 표시장치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principle of a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expresses an image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in three dimensions using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panel.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있고, 상기 액정표시장치 상단에는 배리어(Barrier) 액정셀(104)을 포함하는 3차원 액정 패널이 위치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re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t the bottom, the top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located a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a barrier liquid crystal cell (104).

상기 액정표시장치 아래에는 광원으로 백라이트(back light)가 위치하고 있다.A backlight is positioned und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as a light source.

액정표시소자는 TFT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 합착되는 바, 상기 TFT기판에는, 주사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에 수직교차하여 서브 화소를 정의하면서 영상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과, 상기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의 교차 지점에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TFT substrate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 data line for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a thin film transistor TFT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wire, and a pixel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TFT are formed.

이 때,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에서 분기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형성된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서 상기 데이터 배선에서 분기된 소스전극과, 상기 반도체층 상에서 상기 소스 전극과 일정 간격 떨어진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thin film transistor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branched from the gate wiring, a semiconductor layer formed on the gate electrode, a source electrode branched from the data wiring on the semiconductor layer, and a constant with the source electrode on the semiconductor layer. It comprises a drain electrode spaced apart.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은 제 1 편광판(101)을 통하여 선편광되고 액정 셀(102)을 거쳐 편광 방향이 제 1 편광판과 90°다른 제 2 편광판(103)을 통과하게 된다.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linearly polarized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late 101, passes through the liquid crystal cell 102,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polarizing plate 103 having a polarization direction 90 °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olarizing plate.

편광된 빛은 3차원 액정 패널의 배리어 액정 셀에 의해 블랙과 화이트로 나뉘어진다.The polarized light is divided into black and white by the barrier liquid crystal cell of the three-dimensional liquid crystal panel.

상기 배리어를 구동하기 위해서 액정을 사용할 경우, 각 화소 단위마다 홀수 화소열에는 전계를 인가하고 짝수 화소열에는 전계를 인가하지 않는 방식으로 블랙과 화이트를 나눌 수 있다. When the liquid crystal is used to drive the barrier, black and white may be divided in such a manner that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odd pixel columns and an electric field is not applied to even pixel columns for each pixel unit.

이렇게 홀수번째 배리어셀에 해당하는 빛은 우리 눈의 좌안에, 짝수번째 배리어셀에 해당하는 빛은 우안에 식별되게 된다. Thus,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odd barrier cell is identified to the left of the eye, and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even barrier cell is identified to the right eye.

이렇게 관찰자는 다수의 화이트 영역을 통해 합성돤 입체 영상을 분리, 관측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In this way, the observer feels the stereoscopic sense by separating and observing the composite stereoscopic image through a plurality of white regions.

상기와 같은 입체 영상 구현시,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으로 따로 백라이트를 구비하므로, 편광판을 써도 휘도상에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PDP, OELD, F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체 발광을 하므로 편광판을 사용할 경우 휘도상의 문제가 발생한다.이하에서,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implementing the stereoscopic imag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has a backlight as a light source, there is no big problem in luminance even when using a polarizing plate. However, display devices such as PDPs, OELDs, and FEDs emit light by themselves, and thus a luminance problem occurs when a polarizer is used.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종래의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한 구조를 나타내는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a conventional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2차원에서 3차원으로 전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만들려면 편광을 이용해야 한다. Generally, polarization is required to make a display device that can switch from two to three dimensions.

따라서,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인 PDP(Plasma Display Panel), OELD(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FED(Field Emission Display)등을 입체영상으로 구현하고자 할 때는 편광판을 부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PDP는 상부 기판(10)과 하부 기판(20)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일정한 발광 영역인 복수 개의 셀(11)들이 형성된다.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a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EL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the like, it is necessary to attach a polarizing plate. As shown, in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for example, PDP, the upper substrate 10 and the lower substrate 20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cells 11 which are constant light emitting regions are formed therebetween.                         

그리고, 하부 기판(20)에는 상기 셀(11)들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 개의 전극(1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des 12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20 to drive the cells 11.

이와 같이,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체에서 비편광된 빛을 발광하므로 편광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 기판(10)에 편광판(13)을 부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emits unpolarized light by itself and attaches the polarizing plate 13 to the upper substrate 10 to polarize it.

그러나, 상기의 편광판(13)의 투과축이 도면을 통과하는 방향(도면에서의 동심원 방향, 이하 '수직방향'이라 한다)이라면 도시된 바와 같이 셀에서 출사된 빛이 편광판을 투과하게 되고, 편광판의 투과축이 기판과 나란한 수평방향(이하, '수평방향'이라 한다)이라면 빛은 편광판에 흡수된다.However, if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13 passes through the drawing (concentric direction in the draw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the light emitted from the cell is transmitted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as shown, and the polarizing plate If the transmission axis of is parallel to the substr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horizontal direction"), light is absorbed by the polarizing plate.

따라서,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하여 편광화하게 되면, 편광판의 투과축과 일치하는 빛만 투과되고 나머지는 흡수되므로 전체적으로 휘도가 절반으로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Therefore,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attached to the non-polarization display apparatus and polarized, only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is transmitted, and the rest is absorbed. Therefore, the luminance is reduced to half as a who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입체영상 구현시,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기판상의 하부 전극을 반사율이 높은 전극으로 구성하고, 상부 기판상에는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와 같은 구조물을 증착함으로써, 편광화 효율을 증대하여 전체적으로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implementing a stereoscopic image, the lower electrode on the rear substrate of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an electrode having a high reflectivity, and the DBEF (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on the upper substrate By depositing the same structure,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polarization efficiency to improve the overall brightness of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상에 부착되어 수직편광과 수평편광 중 어느 한 방향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효율 강화 필름과;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상에 부착되는 편광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셀 영역과; 상기 배면 기판상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반사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n opposing front substrate and back substrate; An optical efficiency enhancement film attached to the front substrate to selectively transmit polarized light in one of vertical and horizontal polarizations; 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A cell region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back substra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eflective electrodes formed on the back substrate.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은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BEF (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상기 반사 전극은 백금, 은 또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flective electrod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platinum, silver or copper.

그리고, 상기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기판과 광효율 강화 필름 사이에 광산란층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ght scattering layer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또한, 상기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면 기판과 광효율 강화 필름 사이에 1/4파장 위상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may further comprise a quarter-wave phase plate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리어 액정 셀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편광파가 필요하므로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 polarizing waves are required to drive the barrier liquid crystal cell, thereby attaching the polarizing plate to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전면 기판(200)과 배면 기판(210)이 있고, 상기 전면 기판(200)상에 부착되어 수직편광과 수평편광 중 어느 한 방향의 편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광효율 강화 필름(201),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201)상에 부착되는 편광판(202), 상기 전면 기판(200)과 배면 기판(210) 사이의 셀 영역(203), 상기 배면 기판(210)상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하부 전극(204)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re is an opposing front substrate 200 and a rear substrate 210, which are attached to the front substrate 200 to selectively transmit polarized light in any one direction of vertical polarization and horizontal polarization. A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a polarizing plate 202 attached on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a cell region 203 between the front substrate 200 and the back substrate 210, and the back substrate 210. It consists of the several lower electrode 204 formed on.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201)은 수직편광과 수평편광중에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편광은 거의 모두 통과시키지만 다른 하나의 편광은 거의 모두 반사시키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선형 반사타입의 편광재료(linear reflecting polarizer) 예컨데, 미국 3M사(Minnesota Mining Manufacturing Company)의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등과 같은 광효율 강화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selectively transmits almost all polarized light among the vertically polarized light and the horizontally polarized light, but reflects almost all of the other polarized light, such as a linear reflecting polarizer. It may be manufactured with a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such as a 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DBEF) of the Minnesota Mining Manufacturing Company of the United States.

그리고, 배면기판의 하부 전극(204)은 일정한 간격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되며, 광효율 강화 필름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재반사하기 위해 반사율이 높은 백금, 은, 구리 등의 금속으로 구성한다.The lower electrode 204 of the back substrate is patterne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made of metal such as platinum, silver, copper, etc. having high reflectance in order to reflect back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상기 편광판(202)의 투과축이 수직방향이면, 셀 영역(203)에서 발생한 빛 중 수직방향의 빛은 광효율 강화 필름(201)을 그대로 통과하여 편광판(202)을 투과하게 되고, 수평방향의 빛은 편광판(202)에 흡수되기 전에 광효율 강화 필름(201)에 의해 반사된다.When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202 is vertical,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mong the light generated in the cell region 203 passes through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as it is and passes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202, and the 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lected b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before being absorbed by the polarizing plate 202.

반사된 수평방향의 편광은 배면 기판(210)의 하부 전극(204)에서 재반사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셀 영역(203)의 셀 물질에 의해 산란이 일어나 편광이 깨지게 된다.The reflected horizontally polarized light is reflected back from the lower electrode 204 of the rear substrate 210 and scattered by the cell material of the cell region 203 in this process, so that the polarized light is broken.

이렇게 깨진 편광 중에서 수직방향의 편광이 발생하여 광효율 강화 필름(201)과 편광판(202)을 투과하게 되어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polarized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enerated among the broken polarized light, thereby transmitting the light efficiency reinforcing film 201 and the polarizing plate 202, thereby improving luminance.

도 4는 광효율 강화 필름(201)으로 사용되는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DBEF) used as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도시된 바와 같이, DBEF는 굴절율 이방성 필름(220)과 상기 굴절율 이방성 필름의 한 축의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을 가지는 굴절율 등방성 필름(230)을 번갈아 적층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DBEF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ic film 220 and the refractive index isotropic film 230 having the same refractive index as that of one axis of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ic film.

따라서, 굴절율이 서로 같은 방향으로 편광된 빛은 통과되고, 적층된 층 간에 굴절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된 빛은 경계면 반사로 인해 투과되지 못한다.Therefore, light polariz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efractive index passes through, and light polariz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es are different between the stacked layers is not transmitted due to interface reflection.

상기 DBEF의 두께는 130㎛ 정도이고 유효 시야각은 수직으로 122°, 수평으 로 120°인 성질을 갖는다.The DBEF has a thickness of about 130 μm and an effective viewing angle of 122 ° vertically and 120 ° horizontally.

도 5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산란층(205)을 추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scattering layer 205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3.

도 3에 상술한 바와 같이 광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배면 기판(210)상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하부 전극(204)으로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사용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a metal having high reflectance is used as the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204 positioned on the rear substrate 210 to increase light efficiency.

그러면, 외부광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표면에 관찰자가 위치하는 배경이 비취어질 수 있다. Then, the external light may be reflected to reflect the background of the viewer on the display surface.

따라서, 전면 기판(200)과 광효율 강화 필름(201) 사이에 산란층(205)을 형성한다.Therefore, the scattering layer 205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200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상기 산란층(205)을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이 입사할 때 산란층(205)에 의해 외부광이 산란됨으로써 하부 전극(204)에 의해 관찰자가 위치하는 배경이 반사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By forming the scattering layer 205, when the external light is incident, the external light is scattered by the scattering layer 205, so that the background where the observer is located by the lower electrode 204 is reflected and displayed. .

또한, 광효율 강화 필름(201)에 의해 반사된 수평방향의 편광이 산란층(205)을 통과하고 셀 영역(203)에서 다시 편광이 깨어짐으로써 광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ed 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flected b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passes through the scattering layer 205 and the polarized light is broken again in the cell region 203, the light efficiency may be further improved.

도 6은 도 3에 따른 본 발명에 위상차판(206)을 추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retardation plate 206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3.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기판(200)과 광효율 강화 필름(201) 사이에 1/4파장 위상차판(206)(Quarter Wave Plate)를 형성한다.As shown, a quarter-wave retardation plate 206 (Quarter Wave Plat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200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201.

위상차판(206)은 고분자 Film을 일축 연신시켜 만들어지며, 특정의 위상차를 가진다. The retardation plate 206 is made by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mer film and has a specific retardation.

편광판(202)의 투과축과 평행인 외부광이 입사하면 상기 위상차판(206)에 의해 45°틀어진 편광으로 바뀌게 된다.When external light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of the polarizing plate 202 is incident, the phase shift plate 206 is changed into polarized light that is twisted by 45 °.

상기 위상차판(206)에 의해 바뀐 편광이 하부 전극(204)에 의해 반사되고 다시 한번 위상차판(206)을 통과하면서 처음의 방향과 90°수직한 편광으로 바뀌게 된다.The polarization changed by the retardation plate 206 is reflected by the lower electrode 204 and once again passes through the retardation plate 206 to be changed to the polarization perpendicular to the original direction by 90 °.

따라서, 두 번 위상차판(206)을 통과한 외부광은 광효율 강화 필름(201)에 의해 다시 재반사하고 셀 영역(203)에서 산란하게 된다. Therefore, the external light passing through the retardation plate 206 twice is reflected back b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201 and scattered in the cell region 203.

일반적으로 500lux 정도의 실내 외부광은 500nit 정도의 휘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보다 약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빛의 세 기가 약해지게 된다. In general, the indoor exterior light of about 500 lux is weaker than the light of a display device having a luminance of about 500 nits, and the light is weakened 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따라서, 상기의 1/4 파장 위상차판(206)을 통하여 외부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block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hrough the quarter-wave retardation plate 206.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편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n-polariz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전면 기판에 광효율 강화 필름을 부착하고 배면 기판의 하부 전극을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하여 투과되지 않는 편광을 재반사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킨다.First,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is attached to the front substrate, and the lower electrode of the rear substrate is made of a metal having high reflectance, thereby re-reflecting polarized light that is not transmitted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둘째,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 후면에 산란층 또는 위상차판을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의 반사를 줄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Second, by forming a scattering layer or a retardation plate on the back of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display device to reduce th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Claims (5)

대향하는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Opposing front and back substrates; 상기 전면 기판상에 부착되어 어느 한 방향의 편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고 나머지 방향의 편광은 반사시키는 광효율 강화 필름;An optical efficiency enhancement film attached to the front substrate to selectively transmit polarization in one direction and reflect polarization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상에 부착되는 편광판;A polarizing plate attached to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의 셀 영역;A cell region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back substrate; 상기 전면 기판과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편광판과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을 통해 입사되는 빛과 함께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에 의해 반사된 빛의 편광을 산란시키는 광 산란층; 및 A light scattering layer formed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to scatter polarization of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together with light incident through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And 상기 배면 기판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패터닝되어, 상기 셀 영역에서 발생된 빛과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 그리고 상기 광효율 강화필름에서 반사되어 상기 광산란층을 통해 입사되는 빛을 재반사시키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하부 전극을 포함하고, A plurality of lower electrodes patterned on the rear substrate at regular intervals to reflect back light generated in the cell region,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and light reflected from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and incident through the light scattering layer; Including, 상기 광 산란층은 The light scattering layer is 배면에 위치한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전면기판으로부터의 빛을 산란시켜 상기 광 효율 강화 필름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광 효율 강화 필름에 의해 반사된 빛의 편광을 산란시켜 상기 배면에 위치한 상기 셀 영역 및 상기 전면기판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scattering the light from the cell region and the front substrat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to suppl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and scattering the polarization of the light reflected by 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to scatter the light from the cell region and the rear substrat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supplied to the front substr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효율 강화 필름은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light efficiency enhancing film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BEF (Double Brightness Enhanced Film).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 전극은 백금, 은 또는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lower electrode is made of platinum, silver or copp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면 기판과 광효율 강화 필름 사이에 1/4파장 위상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quarter wavelength phase plate between the front substrate and the light efficiency enhancement film.
KR1020030099824A 2003-12-30 2003-12-30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KR1010744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824A KR101074403B1 (en) 2003-12-30 2003-12-30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824A KR101074403B1 (en) 2003-12-30 2003-12-30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426A KR20050068426A (en) 2005-07-05
KR101074403B1 true KR101074403B1 (en) 2011-10-17

Family

ID=3725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824A KR101074403B1 (en) 2003-12-30 2003-12-30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40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811A (en) * 2001-12-21 2003-07-25 Au Optronics Corp Back light module of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811A (en) * 2001-12-21 2003-07-25 Au Optronics Corp Back light module of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426A (en) 200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568B1 (en) parallax barrie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or 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1241770B1 (en) 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panel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80231952A1 (en) Highly efficient 2d/3d switchable display device
KR101331900B1 (en)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light controlling film
CN103185982B (en) Backlight arrangement, 2D/3D switch type display device
US20080204874A1 (en) Highly efficient 2d/3d switchabl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922926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TW200410565A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2572473A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322733B1 (en)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reflector
KR101305365B1 (en) 2D/3D exchanging mode Display device
KR101309313B1 (en)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devided screen
KR101779596B1 (en) 3 Dimensional Display Device Having Patterned Retarder Having Wide View Angle
US20120026416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02398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033838B1 (en) 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KR101074403B1 (en) Display device for advancing efficiency of polarizing
KR20130114376A (en)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able device
KR20050092541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30112521A (en)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able system including quantum rod 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1958288B1 (en) 3D image display device
KR101851627B1 (en) Lenticular array typ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854688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101069130B1 (en) 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KR101799935B1 (en) 3 dimensional image displayab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