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889B1 -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 Google Patents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889B1
KR101073889B1 KR1020090001399A KR20090001399A KR101073889B1 KR 101073889 B1 KR101073889 B1 KR 101073889B1 KR 1020090001399 A KR1020090001399 A KR 1020090001399A KR 20090001399 A KR20090001399 A KR 20090001399A KR 101073889 B1 KR101073889 B1 KR 10107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abric
cap
generating
negative 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2086A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캡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캡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캡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889B1/ko
Priority to US12/458,058 priority patent/US20100170025A1/en
Priority to BRPI0903468-4A priority patent/BRPI0903468A2/pt
Publication of KR20100082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음이온을 모자에 적용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적용되어 왔으나 보다 피부에 밀착되어 있는 밴드부분에서 효과적으로 음이온을 발생하도록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내측 하단에 신축하는 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모자에 있어서;상기 모자의 내피와 밴드는 각각 밴드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봉제선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봉제선에 의하여 상기 밴드와 내피 사이에 일정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긴 띠의 형상으로 제단된 원단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암석을 분쇄하여 접착성 용액과 혼합하여 상기 원단에 코팅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발생원단을 상기 공간부에 삽입하도록 하되;상기 음이온 발생원단의 양측 끝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은 제3 봉제선에 의하여 상기 밴드에 고정되고, 상기 인접한 제3 봉제선의 사이는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이 절첩된 절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길이가 늘어날때 상기 절첩부의 절첩된 부분이 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 모자

Description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The cap that have an anion generating band}
본 발명은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자의 밴드부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천을 장착하도록 하되 천이 신축하면서 코팅된 음이온 발생물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이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 알려지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음이온을 이용한 건강보조기구가 보금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이러한 음이온의 효과는 혈액 중에 미네랄 성분인 칼슘, 나트륨, 칼륨 등의 이온화 율을 상승시켜 알칼리화의 진행을 통해 혈액을 정화해주고, 엔돌핀, 엔케피린이라는 물질을 발생시킴으로 인해 혈청 속에 칼슘과 나트륨의 이온화율의 상승으로 혈액정화, 피로회복, 체력의 회복뿐 아니라 강한 통증이 있던 부분의 세포를 건강하게 활성화시켜 통증을 환화시키는 혈액 정화작용과;
혈청 중에 포함된 면역 성분인 글로부린의 양을 증가 시켜 감염증세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저항력 증가 작용과;
모든 혈관, 내장 등 우리들의 생각이나 느낌에 반응을 하는 자율신경계를 인체에 유익하도록 조절해 주는 것으로 다시말하면 인체의 모든 기관, 신경계통 및 혈액, 세포, 임파액 등에 생기를 주어 약화된 기능을 강화시키고 활력을 주는 자율신경계 조절 작용과;
공기 중에는 존재하는 여러 가지 오염물질 즉, 담배연기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 타소, 오존 및 각종 유기물질이 함유하는 양이온을 양이온을 경화 침전시켜 제거하므로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해 주는 공기정화작용이 대표적인 효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먼지 제거 및 살균작용과 TV, PC, 이동전화 비롯한 각종 전자, 전기 제품으로부터 방출되는 X선, R선, 전리방사선, 자외선 등의 유해한 양이온을 중화시키고, 피를 맑게 하고 신경안정과 피로회복, 식용증진,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렇듯 음이온은 산업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음이온을 발생하는 이온화된 티탄파우더를 고무재질과 혼합하여 만들어진 목걸이와 팔찌가 우리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 본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공보 제10-2006-0108805호 "음이온을 발산하는 복대의 제조방법"와 특허공보 제10-2005-0098141호 "음이온 발생용 단전 및 신장복대" 및 기타 다른 출원인의 최근 출원한 내용중에서는 원단에 음이온발생물질을 파우더의 상태로 분쇄하고 이를 혼합액으로 만든다음 원단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있다.
또한 이를 모자에 적용시킨 경우도 상당히 많이 볼 수 있으나 모자의 원단에 코팅층을 형성시킬 경우 다른 염료의 염색이 용이하지 않아 모자의 색상 및 디자인에 그 한계점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모자의 밴드에 적용시킬 경우 신축을 반복하면서 원단의 내부에 완전히 스며들지 않은 것은 코팅층이 벗겨지면서 그 효과가 급격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자의 밴드에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되 밴드의 신축이나 구겨짐 등에도 원단의 표면 및 원단을 이루고 있는 원사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층이 쉽게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모자를 개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 하단에 신축하는 밴드가 장착되어 있는 모자에 있어서;상기 모자의 내피와 밴드는 각각 밴드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봉제선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봉제선에 의하여 상기 밴드와 내피 사이에 일정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고;긴 띠의 형상으로 제단된 원단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암석을 분쇄하여 접착성 용액과 혼합하여 상기 원단에 코팅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발생원단을 상기 공간부에 삽입하도록 하되;상기 음이온 발생원단의 양측 끝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은 제3 봉제선에 의하여 상기 밴드에 고정되고, 상기 인접한 제3 봉제선의 사이는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이 절첩된 절첩부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길이가 늘어날때 상기 절첩부의 절첩된 부분이 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는 음이온 발생원단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로 제조된 원단에 음이온 발생하는 물질을 코팅시킨 경우에 원단의 신축에 코팅층이 벗겨질 우려가 있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내구성있게 지속적으로 음이온을 방출하는 모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내측 하단에 신축하는 밴드(2)가 장착되어 있는 모자(1)에 있어서;상기 모자의 내피(11)와 밴드(2)는 각각 밴드(2)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봉제선(21, 22)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봉제선(21, 22)에 의하여 상기 밴드(2)와 내피(11) 사이에 일정 공간부(23)를 형성하도록 하고;긴 띠의 형상으로 제단된 원단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암석을 분쇄하여 접착성 용액과 혼합하여 상기 원단에 코팅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발생원단(3)을 상기 공간부(23)에 삽입하도록 하되;상기 음이온 발생원단(3)의 양측 끝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은 제3 봉제선(24)에 의하여 상기 밴드(2)에 고정되고, 상기 인접한 제3 봉제선(24)의 사이는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3)이 절첩된 절첩부(3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밴드(2)의 길이가 늘어날때 상기 절첩부(31)의 절첩된 부분이 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를 나타내었다.
상기 구성의 가장 큰 특징은 모자(1)의 밴드(2)에 직접 음이온발생을 위한 코팅을 하지 않고 상기 밴드(2)와 모자(1)의 내피(11) 사이에 별도의 음이온 발생원단(3)을 삽입함으로 음이온을 방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광물의 분말과 접착성 용액을 혼합하여 코팅 건조한다고 하더라도 그 코팅면 자체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지 않으면 밴드의 수축과 신장이 반복되면서 코팅층이 벗겨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한다고 할지라도 밴드(2)는 앞 이마 부분 등 피부와 직접 닿는 부분이 생길 경우 탄성복원력을 가지기 위한 고무와 같은 재질은 그 감촉이 좋지 않고 땀의 흡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은 밴드(2) 부분에서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되 피부와 직접 닿지않고 밴드의 수축과 신장에 따라 음이온 발생원단(3)은 수축하거나 늘어나지 않고 단지 절첩부(31)가 펴지고 접힘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코팅층이 내구성을 가지고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간부(23)를 형성하여 삽입한다고 표현하였으나 실제 제조과정에서는 밴드(2)에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3)을 제3 재봉선(24)에 의하여 장착 고정하고 이를 내피(11)에 재봉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
또한 본원인은 선출원한 특허공보 제10-2006-0108805호 "음이온을 발산하는 복대의 제조방법"에서 개시된대로 제품을 제조하여 그 효과를 '한국원적외선협회'에 의뢰하여 그 효과를 시험성적으로 공인받았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음이온 발생원단(3)은 상기 특허에 개시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는 원단을 사용하였다.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암석은 당업자에게 주지된 사항으로 예를 들면, 세리사이트(sericite), 크로라이트(chlorite), 일라이트(illite)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전술한 '한국원적외선협회'에서의 시험성적서에서 제공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에 의하면 음이온 발생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가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탈취의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 이외에도 전하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6℃, 습도 32%, 대기중 음이온수 102개/cc 의 조건에서 본원인이 개발한 음이온밴드에서의 음이온 방출량은 844개/cc로 측정되어 우수한 음이온 발생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원단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공간부(23)에 삽입되는 음이온 발생원단(3)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즉 상기 모양은 스프링의 형상과 같이 나선형으로 감긴 후 납작하게 눌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일 부분에서 겹쳐지는 원단은 두 겹이 최대한으로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겹쳐진 부분의 밴드(2)가 내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착용감이 불편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밴드의 수축 또는 신장에 따라 움직이도록 한 것이다.
또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상기 실시 예에서 나선형상으로 감긴 음이온 발생원단(3)에 탄성복원력을 가진 원사를 연결하여 자체적인 신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 예의 안출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원단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복원력을 가진 원사(4)를 인접한 음이온 발생원단(3)과 연결하여 밴드(2)의 수축시 용이하게 동일한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원사(4)는 실의 형태 뿐만 아니라 긴 천의 형태로도 가능하며 또는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3)과 수축하는 천이 교대로 형성하도록 하는 실시 예로 확대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3은 시간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원단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원단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자
11 : 내피
2 : 밴드
21 : 제1 봉제선 22 : 제2 봉제선
23 : 공간부 24 : 제3 봉제선
3 : 음이온 발생원단
31 : 절첩부
4 : 원사

Claims (2)

  1. 내측 하단에 신축하는 밴드(2)가 장착되어 있는 모자(1)에 있어서;
    상기 모자의 내피(11)와 밴드(2)는 각각 밴드(2)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및 제2 봉제선(21, 22)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봉제선(21, 22)에 의하여 상기 밴드(2)와 내피(11) 사이에 일정 공간부(23)를 형성하도록 하고;
    긴 띠의 형상으로 제단된 원단에 음이온을 발생하는 암석을 분쇄하여 접착성 용액과 혼합하여 상기 원단에 코팅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음이온 발생원단(3)을 상기 공간부(23)에 삽입하도록 하되;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3)의 양측 끝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소 이상은 제3 봉제선(24)에 의하여 상기 밴드(2)에 고정되고, 상기 제3 봉제선(24)의 사이는 상기 음이온 발생원단(3)이 절첩된 절첩부(31)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밴드(2)의 길이가 늘어날때 상기 절첩부(31)의 절첩된 부분이 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23)에 삽입되는 음이온 발생원단(3)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KR1020090001399A 2009-01-08 2009-01-08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KR10107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99A KR101073889B1 (ko) 2009-01-08 2009-01-08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US12/458,058 US20100170025A1 (en) 2009-01-08 2009-06-30 Negative ion generating hat
BRPI0903468-4A BRPI0903468A2 (pt) 2009-01-08 2009-09-04 chapéu gerador de ìon negativ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399A KR101073889B1 (ko) 2009-01-08 2009-01-08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086A KR20100082086A (ko) 2010-07-16
KR101073889B1 true KR101073889B1 (ko) 2011-10-17

Family

ID=4231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399A KR101073889B1 (ko) 2009-01-08 2009-01-08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70025A1 (ko)
KR (1) KR101073889B1 (ko)
BR (1) BRPI0903468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750U (ko) 1978-08-18 1980-02-28
US6502246B1 (en) 2001-06-18 2003-01-07 Thomas L. Porter Adjustable ball cap
KR200426072Y1 (ko) 2006-06-12 2006-09-19 김성현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3734A (en) * 1987-04-21 1989-05-30 Mark Der Estephanian Low cost, high performance sweatband
US6049911A (en) * 1999-02-01 2000-04-18 Bromberg; Craig Sized head gear
US6131202A (en) * 1999-10-27 2000-10-17 Yan; Suen Ching Multi-axially stretchable fabric cap
US6658664B1 (en) * 2002-06-01 2003-12-09 Jason Verhoeven Visor cap with selectively revealable concealed adjustment band
EP1549165B8 (en) * 2002-10-01 2010-10-06 Nellcor Puritan Bennett LLC Use of a headband to indicate tension and system comprising an oximetry sensor and a headband
KR100669440B1 (ko) * 2005-10-11 2007-01-16 주식회사유풍 모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0750U (ko) 1978-08-18 1980-02-28
US6502246B1 (en) 2001-06-18 2003-01-07 Thomas L. Porter Adjustable ball cap
KR200426072Y1 (ko) 2006-06-12 2006-09-19 김성현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0025A1 (en) 2010-07-08
BRPI0903468A2 (pt) 2010-11-03
KR20100082086A (ko) 201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51545U (zh) 一种骨科护理用康复按摩护套
CN105722481B (zh) 医疗用石膏绷带及皮肤保护带
KR101556411B1 (ko) 복합 기능성 원단
KR101556077B1 (ko) 발열기능이 있는 건강벨트
KR102135544B1 (ko) 컬러 테라피 성능을 발휘하는 원적외선이 조사된 청정공기발생공급기
CN101438865B (zh) 一种连眼罩保健睡帽及其制作方法
CN102127837A (zh) 一种保健功能面料
PL1657990T3 (pl) Łatwe do nałożenia nakrycie głowy do ochrony i suszenia włosów
KR20160051066A (ko) 토르마린 탄소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073889B1 (ko) 음이온을 발생하는 밴드를 구비한 모자
JP2011214204A (ja) ミロネクトン含有多機能繊維及びその繊維製品
CN103705031B (zh) 一种纳米改性炭素材座垫及其制备方法
CN201826114U (zh) 一种保健功能面料
KR102060007B1 (ko) 손가락 교정기
CN102808268B (zh) 含有合晶能的纺织布的方法及用途
CN204483672U (zh) 一种多功能环保气囊填充枕
CN209075551U (zh) 一种新型消毒袋
KR20150130067A (ko) 동사와 한지사를 이용한 양말의 제조방법
KR200394306Y1 (ko) 기능성 목 밴드
KR200414803Y1 (ko) 자석과 세라믹을 포함하는 건강밴드
KR200216242Y1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방출되는 한방경락 머리띠
CN205631600U (zh) 阻燃复合面料
CN206491339U (zh) 带导气通道的袜子
KR100775904B1 (ko) 차광모자의 헤어밴드 및 헤어밴드가 채용된 차광모자와 그제조방법
CN216877159U (zh) 一种艾草护颈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