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255B1 -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255B1
KR101073255B1 KR1020090122644A KR20090122644A KR101073255B1 KR 101073255 B1 KR101073255 B1 KR 101073255B1 KR 1020090122644 A KR1020090122644 A KR 1020090122644A KR 20090122644 A KR20090122644 A KR 20090122644A KR 101073255 B1 KR101073255 B1 KR 10107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nuclear power
local
power plan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5943A (ko
Inventor
정광일
김동훈
홍석붕
정종은
구인수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2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4Star or tree network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은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을 구성하는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계통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 노드, 복수 개의 상기 통신노드와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로 연결되는 로컬 스위치, 복수 개의 상기 로컬 스위치와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로 연결되는 그룹 스위치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룹 스위치와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로 연결되는 백본 스위치에서 각 계통의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계통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로컬 스위치, 그룹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의 중계 방식에 의해서 계층적으로 전송권한을 할당하여 한 채널 내의 모든 계통 및 상기 통신 노드의 송수신 동작이 완료된다. 따라서, 백본 스위치에 의하여 독점적인 전송권한을 계층별로 부여함으로써 각 통신노드에게 공평한 전송권한의 부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90122644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신망, 성형 토폴로지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TRANSMISSION CONTRO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THE SAFETY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S OF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계통을 구성하는 채널에 포함되는 노드와 스위치 간의 연결구조를 변경하여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물리적인 분리 및 격리 및 결정론적 특성의 보장이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는 보통 100개 이상의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계통(system)으로 구성된다. 이들 계통은 크게,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핵 증기 공급계통(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 증기를 발전기로 전달하는 2차 순환냉각계통, 상기 2차 순환냉각계통으로부터 증기를 공급 받아 발전기를 돌리는 터빈 발전기 계통, 및 기타 부수설비로 구분된다. 현재 한국 원자력발전소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가압 경수로형 발전소를 살펴보면 원자로를 중심으로 한 1차 계통과, 증기발생기, 터빈, 발전기 및 복수기를 포함하는 2차 계통과, 사고에 대비한 공학적 안전설비계통과, 송배전계통과, 계측제어계통, 및 기타 보조계통들로 구성되어 있다.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을 수행하면서 각 계통의 건전성을 감시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센서를 원자로 계통에 설치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시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이때, 원자력 발전소 운전 중 원자로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계통의 이상이나 핵증기 공급계통내의 냉각 기능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러한 이상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봉 낙하에 의한 원자로 정지기능을 개시하고, 공학적 안전설비작동계통을 구동하여 원자로를 냉각시켜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원자로 보호계통이다.
원자로 보호계통은 원자로 보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에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원자력 발전소를 안전한 상태로 유지하고, 방사선 및 방사능 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원자로 보호계통은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및 신뢰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계통이라 할 수 있다. 발전소 현장에 대한 원자로 보호계통의 최적한 적용을 위해서는, 높은 신뢰도 및 높은 정밀성을 갖는 원자로 보호계통을 구현하여야 하고, 또한 원자로 보호계통 내부 및 외부에서 사소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원자로를 정지시키는 기능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원자력 발전소는 보통 복수 개(일반적으로 4개)의 채널로 원자로 보호계통을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계통은 보통 독립된 4 채널(A, B, C, D)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채널은 공정계측계통, 핵계측계통, 원자로보호계통, 노심보호 연산계통, 공학적안전설비작동계통, 안전관련기기작동계통 등과 이를 감시하기 위한 여러 설비로 구성된다.
상기 안전계통의 각 계통간의 통신을 위해서 기존 상용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계통의 통신망은 토큰 패싱(token-passing) 기반의 버스 구조, 고속LAN 기반의 버스 구조, Profibus와 같은 산업용 통신망을 이용한 버스 구조 또는 이들을 이용한 링(ring) 구조를 이용하여 계통간의 구분 없이 연결된 구조이다.
삭제
종래의 통신망 구조는 각 계통의 통신 노드가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물리적인 분리 및 격리가 곤란하고, 각 계통의 통신 노드와 스위치 간에 전송지연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어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결정론적 특성의 보장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에 구비된 각 계통의 통신 노드가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물리적인 분리 및 격리가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에 구비된 각 계통의 통신 노드와 스위치 간에 전송지연에 대한 불확실성의 제거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결정론적 특성의 보장이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송지연시간을 유지하여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경성 실시간 특성의 실현이 가능한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방법은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을 구성하는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계통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 노드, 복수 개의 상기 통신노드와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로 연결되는 로컬 스위치, 복수 개의 상기 로컬 스위치와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로 연결되는 그룹 스위치 및 복수 개의 상기 그룹 스위치와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로 연결되는 백본 스위치 환경에서 동작한다. 이 때 각 계통의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계통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로컬 스위치, 그룹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의 중계 방식에 의해서 계층적으로 전송권한을 할당하여 한 채널 내의 모든 계통 및 상기 통신 노드의 송수신 동작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백본 스위치는 상기 로컬 스위치 및 상기 그룹 스위치의 송수신 전송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룹 스위치 및 상기 로컬 스위치는 부여 받은 전송권한을 다시 하위 계층에게 부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노드는 연결된 상기 로컬 스위치의 전송 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통신 노드, 상기 로컬 스위치, 상기 그룹 스위치 및 상기 백본 스위치를 연결하는 각각의 통신 링크는 단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노드와 상기 로컬 스위치는 2개의 싱글모드 광케이블로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은 로컬 스위치에 연결된 각 통신 노드에서 상기 통신 노드에 연결된 로컬 스위치의 전송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컬 스위치에서 각 통신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로컬 스위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그룹 스위치, 백본 스위치 또는 상기 로컬 스위치가 속한 계통 내부의 다른 통신 노드에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로컬 스위치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 하는 단계,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상기 백본 스위치 또는 상기 그룹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로컬 스위치에 상기 데이터를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본 스위치에서 상기 그룹 스위치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여 상기 백본 스위치에 연결된 그룹 스위치로 일정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은 상기 로컬 스위치에서 상기 그룹 스위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스위치에서 상기 통신 노드에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은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상기 백본 스위치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상기 백본 스위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그룹 스위치에 연결된 모든 로컬 스위치에 일정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적으로 통합한 통신망을 구성함으로써 연계의 단순화, 응답시간 개선이 가능한 이점이 있고, 백본 스위치에 의하여 독점적인 전송권한을 계층별로 부여함으로써 각 통신노드에게 공평한 전송권한의 부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로컬 스위치와 통신 노드 간에 2개의 단방향 전송 링크를 이용한 전이 중(full-duplex) 전송을 구현할 수 있어 전송지연에 대한 불확실성의 제거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결정론적 특성의 보장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 장치에 해당하는 로컬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와 2개의 싱글모드 광케이블 사용에 의하여 각 계통의 통신 노드는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물리적인 분리 및 격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로컬 스위치, 그룹 스위치 또는 백본 스위치에 데이터가 집중됨으로써 각 계통의 통신 노드 또는 전송경로의 진단이 유리하고 고장 시 해당 통신 노드 또는 링크의 격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송지연시간을 유지하여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경성 실시간 특성의 실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성형 토폴로지에 의한 계층적인 통신망 구조에서 계층별로 전송권한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각 계통의 로컬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에 의하여 전송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이하 설명에서는 구성 및 기능이 거의 동일하여 동일하게 취급될 수 있는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특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망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망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망 구조는 통신 노드(10), 로컬 스위치(20), 그룹 스위치(30) 및 백본 스위치(4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노드(10)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을 구성하는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계통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통신 노드로서 상기 안전 계통의 통신을 위하여 배치되는 일반적인 통신 노드(communication node)로 구비된다.
상기 로컬 스위치(20)는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계통의 통신을 위하여 물리적 위치와 기능을 고려하고 각 계통 내부의 통신 연계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상기 통신노드(10)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성형 토폴로지(star topology)의 통신망 구조를 구성한다.
상술한 성형 토폴로지로 복수의 계통에 대한 통신망을 각각 구성하며, 계통간의 통신 연계가 필요한 경우, 상기 그룹 스위치(30)를 구비한다.
상기 그룹 스위치(30)는 복수 개의 상기 로컬 스위치(20)와 연결되는 성형 토폴로지의 통신망 구조를 구성하고, 상기 백본 스위치(40) 또한, 상기 그룹 스위치(30)와 성형 토폴로지로 연결되어 통신망 구조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노드(10)로부터 상기 백본 스위치(40)까지 전체적으로 계층적인 통신망 구조가 형성된다. 즉, 최하단에 상기 통신 노드(10)가 배치되고, 그 상위에 차례대로 상기 통신 노드(10)가 배치된 최하위 계층을 연결하는 스위치가 상기 로컬 스위치(20)가 되고, 그 위의 계층이 상기 그룹 스위치(30)가 되며, 최상위에 상기 백본 스위치(40)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계층적으로 통합한 통신망을 구성함으로써 연계의 단순화, 응답시간 개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룹 스위치(30)를 상기 로컬 스위치(2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통신 노드(10)가 상대적으로 많은 수로 구비되는 경우, 즉, 특정 계통의 구성이 다수 개의 상기 통신 노드(10)로 구성되는 경우에 한 단계의 계층을 추가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그룹 스위치(30)가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그룹 스위치(3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로컬 스위치(20)에서 직접 상기 백본 스위치(40)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망 구조에서 각 계통의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계통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로컬 스위치(20), 상기 그룹 스위치(30) 및 상기 백본 스위치(40)의 중계 방식에 의해서 계층적으로 전송권한을 할당하여 한 채널 내의 모든 계통 및 상기 통신 노드(10)의 송수신 동작이 완료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백본 스위치(40)는 상기 로컬 스위치(20) 및 상기 그룹 스위치(30)의 송수신 전송권한을 부여하도록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그룹 스위치(30) 및 상기 로컬 스위치(20)는 부여 받은 전송권한을 다시 하위 계층에게 부여 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통신 노드(10)는 자신에게 연결된 상기 로컬 스위치(20)의 전송 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각 계통의 상기 로컬 스위치(20) 및 상기 백본 스위치(40)에 의하여 전송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전계통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백본 스위치(40)에 의하여 독점적인 전송권한을 계층별로 부여함으로써 각 통신노드에게 공평한 전송권한의 부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통신 노드(10), 상기 로컬 스위치(20), 상기 그룹 스위치(30) 및 상기 백본 스위치(40)를 연결하는 각각의 통신 링크는 단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 노드(10)와 상기 로컬 스위치(20)는 2개의 싱글모드 광케이블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로컬 스위치(20)와 상기 통신 노드(10) 간에 2개의 단방향 전송 링크를 이용한 전이중(full-duplex) 전송을 구현할 수 있어 전송지연에 대한 불확실성의 제거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결정론적 특성의 보장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앙 장치에 해당하는 상기 로컬 스위치(20) 및 상기 백본 스위치(40)와 상기 2개의 싱글모드 광케이블 사용에 의하여 각 계통의 상기 통신 노드(10)는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물리적인 분리 및 격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로컬 스위치(20), 상기 그룹 스위치(30) 또는 상기 백본 스위치(40)에 데이터가 집중됨으로써 각 계통의 상기 통신 노드(10) 또는 전송경로의 진단이 유리하고 고장 시 해당 통신 노드 또는 링크의 격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트래픽 부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전송지연시간을 유지하여 원전 환경에서 요구하는 경성 실시간 특성의 실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망 구조에서 참조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은 먼저, 로컬 스위치(20)에 연결된 각 통신 노드(10)에서 상기 통신 노드(10)에 연결된 상기 로컬 스위치(20)의 전송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P1)를 거친다.
다음, 상기 로컬 스위치(20)에서 각 통신 노드(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P2)를 거친 후, 다음으로 상기 로컬 스위치(20)에서 상기 데이터를 그룹 스위치(30), 백본 스위치(40) 또는 상기 로컬 스위치(20)가 속한 계통 내부의 다른 통신 노드(10)에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P3)를 거친다.
다음,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상기 로컬 스위치(2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P4)를 거친다.
다음,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상기 백본 스위치(40) 또는 상기 그룹 스위치(30)에 연결된 상기 로컬 스위치(20)에 상기 데이터를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 하는 단계(P5)를 거친다.
다음, 상기 백본 스위치(40)에서 상기 그룹 스위치(30)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여 상기 백본 스위치(40)에 연결된 그룹 스위치(30)로 일정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P6)를 거침으로서,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이 수행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계통의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계통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상기 로컬 스위치(20), 상기 그룹 스위치(30) 및 상기 백본 스위치(40)의 중계 방식에 의해서 상기 백본 스위치(40)에서 계층별로 데이터 송수신 전송권한을 부여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성형 토폴로지에 의한 계층적인 통신망 구조에서 계층별로 전송권한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짐으로써, 각 계통의 로컬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에 의하여 전송권한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P4)는 상기 백본 스위치(4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P5)는 상기 백본 스위치(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그룹 스위치(30)에 연결된 모든 로컬 스위치(20)에 일정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백본 스위치(40)에 연결된 그룹 스위치(30)로 일정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P6)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수신되어 다시 상기 로컬 스위치(20)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데이터의 하위 계층으로의 송수신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컬 스위치(20)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P2)는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스위치(20)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P3)는 상기 통신 노드(10)로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는 단계(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백본 스위치(40)에서 전송된 데이터가 상기 그룹 스위치(30)로 전송되어 수신되고, 이를 다시 상기 로컬 스위치(20)로 송신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백본 스위치(40) 또는 다른 상기 그룹 스위치(30)에서 송신된 데이터가 상기 통신 노드(10)에까지 전송되어 상기 계통의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및 계통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모두 상기 로컬 스위치(20), 상기 그룹 스위치(30) 및 상기 백본 스위치(40)의 중계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각기 계층별로 전송권한을 할당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망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통신 노드 20: 로컬 스위치
30: 그룹 스위치 40: 백본 스위치

Claims (8)

  1.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을 구성하는 채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계통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 노드와 상기 통신노드를 연결하기 위한 로컬 스위치, 그룹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로 구성된 통신 구조에서 각 계통의 내부의 데이터 송수신 및 상기 계통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로컬 스위치, 그룹 스위치 및 백본 스위치의 중계 방식에 의해서 계층적으로 전송권한을 할당하여 한 채널 내의 모든 계통 및 상기 통신 노드의 송수신 동작이 완료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스위치 및 상기 로컬 스위치는 상기 백본 스위치로부터 부여 받은 전송권한을 다시 하위 계층에게 부여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4. 삭제
  5. 삭제
  6.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 방법에 있어서,
    로컬 스위치에 연결된 각 통신 노드에서 상기 통신 노드에 연결된 로컬 스위치의 전송권한에 따라 데이터를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로컬 스위치에서 각 통신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로컬 스위치에서 상기 데이터를 그룹 스위치, 백본 스위치 또는 상기 로컬 스위치가 속한 계통 내부의 다른 통신 노드에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로컬 스위치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를 판단 하는 단계;
    상기 그룹 스위치에서 상기 백본 스위치 또는 상기 그룹 스위치에 연결된 상기 로컬 스위치에 상기 데이터를 일정 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백본 스위치에서 상기 그룹 스위치로부터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목적지를 판단하여 상기 백본 스위치에 연결된 그룹 스위치로 일정시간 내에 모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통합 통신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90122644A 2009-12-10 2009-12-10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KR10107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44A KR101073255B1 (ko) 2009-12-10 2009-12-10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644A KR101073255B1 (ko) 2009-12-10 2009-12-10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43A KR20110065943A (ko) 2011-06-16
KR101073255B1 true KR101073255B1 (ko) 2011-10-12

Family

ID=44398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644A KR101073255B1 (ko) 2009-12-10 2009-12-10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98A (ko)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및 암호화 통신보안 기반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플랜트 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통제 방법
KR20220144236A (ko) 2021-04-19 2022-10-2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안전 시스템을 위한 결정론적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671B1 (ko) * 2013-06-11 2014-09-23 한국남부발전(주) 발전설비의 원격 제어장치
KR101668089B1 (ko) * 2015-10-15 2016-10-19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안전계통 통신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1100A1 (en) 1998-07-31 2000-02-23 Westinghouse Energy Systems Europe (WESE) A method for interrelating safety related documents of a production pl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1100A1 (en) 1998-07-31 2000-02-23 Westinghouse Energy Systems Europe (WESE) A method for interrelating safety related documents of a production plant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998)
논문(200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98A (ko) 2020-06-12 2021-12-21 한국전력 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산학협력단 IoT 및 암호화 통신보안 기반을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플랜트 통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통제 방법
KR20220144236A (ko) 2021-04-19 2022-10-26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 안전 시스템을 위한 결정론적 통신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943A (ko)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462B1 (ko) 핵 반응기 보호 시스템 및 방법
EP0057453B1 (en) Nuclear reactor power supply system
KR101073255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 계측제어계통 전송권한 설정 방법 및 통신 방법
EP3316262B1 (en) Safety control system for a nuclear power plant
CN1272211A (zh) 数字工厂保护系统
KR101179782B1 (ko) 원자력 발전소 안전계통의 안전등급 통신 스위치
CN111292862B (zh) 基于核电厂安全重要仪表信号状态的反应堆紧急停堆方法
CN107742925A (zh) 基于三级网络的变电站硬压板巡检方法
CN102760504B (zh) 核电站全厂机组的数字控制系统及非核级控制系统、方法
CN208173251U (zh) 一种辐射监测系统及核电站
KR101199625B1 (ko) 원자력 발전소의 디지털 신호 전자제어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6473479B1 (en) Dual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for class 1E reactor protection systems
RU2598599C1 (ru)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KR101681978B1 (ko) 이종 제어기기를 포함하는 원자로 보호계통
CN106452572A (zh) 牵引变电所综自光收发器故障定位系统及其故障定位方法
CN108493906B (zh) 分布式母线保护子机检修方法和分布式母线保护系统
WO2016209113A1 (ru)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безопасности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KR101668089B1 (ko) 원전 안전계통 통신 장치 및 그 통신 방법
Piljugin et al. Proposal for the taxonomy of failure modes of digital system hardware for PSA
KR20210125757A (ko)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전력감시시스템
RU2695634C2 (ru) Централизованная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система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автоматики и сигнализации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de España Innovative Data Acquisition and Redundancy Methods Enable Previously Impractical High-Speed, Wide-Area Control
Kim et al. A design of cyber security test-bed for DPPS and PMAS in Korean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
CN117633583A (zh) 电力通信设备运行故障识别方法及系统
Verrastro et al. FPGA based reactor protection system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