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260B1 -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260B1
KR101072260B1 KR1020110034974A KR20110034974A KR101072260B1 KR 101072260 B1 KR101072260 B1 KR 101072260B1 KR 1020110034974 A KR1020110034974 A KR 1020110034974A KR 20110034974 A KR20110034974 A KR 20110034974A KR 101072260 B1 KR101072260 B1 KR 10107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horizontal
connector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태
김윤환
선성웅
Original Assignee
김윤환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환,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filed Critical 김윤환
Priority to KR1020110034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강재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합성바닥판을 서로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방법은 수하부판의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수직부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인접한 수평부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세팅되도록 하고,상기 인접한 연결부의 수평부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압착연결구를 설치한 후 상기 압착연결구를 압착시켜 인접한 연결부를 서로 압착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COMPOSITE SLAB CONNECTING METHOD USING PRESSING CONNECTOR MEMBER}
본 발명은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강재와 콘크리트를 이용한 합성바닥판을 서로 간단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교량용 바닥판은 RC 바닥판(Reinforced Concrete Slab)으로 시공되었다.
이러한 RC바닥판은 두께가 개략 20CM 정도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자중이 크고, 강성이 낮아 공용하중(활하중)이 작용함에 따라 균열 및 처짐이 발생되어 결국 바닥판의 내하성능 및 내구성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바닥판 보수, 보강작업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현장에서 동바리 등과 같은 가설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므로 고소작업에 의하여 안전사고 및 시공성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설치 및 철근배근 작업에 있어 많은 공임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증대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RC바닥판을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합성바닥판(Composite Slab)이다.
상기 합성바닥판은 통상 강재판으로 제작된 하부판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바닥판재)를 타설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판과 콘크리트가 서로 합성된 상태로 제작되며, 공용하중 및 자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상기 하부판이 부담하게 하고, 압축응력은 상기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는 역학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합성바닥판의 예를 도시한 것이 도 1a 및 도 1b이다.
도 1a에 도시된 합성바닥판(10a)은 주형(11a)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판(12a) 상부에 구멍이 형성된 I 형강(13a)을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부배력철근(14a)을 설치함과 더불어 바닥판 상부에 상부배력철근(15a)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16a)를 타설 및 양생시켜 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합성바닥판(10a)은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I 형강이 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낮고, 하부판에 전단연결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하부판과 콘크리트의 합성작용이 성립되지 않아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I형강에 구멍 형성을 위한 작업이 어렵고 비용도 많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도 1b의 합성바닥판(10b)은 역시 주형(11b)에 의하여 지지되며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부(A) 가지며 전단연결재(13b)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판(12b), 상기 오목부에 전단연결재(13b)가 구비된 I 형강(14b)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시공된다.
이러한 합성바닥판(10b)의 경우 배력철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도 1a의 경우와 같이 다수의 I 형강이 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낮고, 많은 수의 전단연결재의 설치가 필요하여 역시 제작상 작업성 및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 도 1a 및 도 1b에 소개된 교량용 합성바닥판은 모두 중량의 차량 등이 통행하는 판 구조물로서 소요의 휨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판 및 수직보강판를 제작함에 있어 다량의 강판을 가공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로서 사실상 제작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c는 데크플레이트에 있어 다수의 데크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제1데크플레이트(10c)의 우측단 결속부와 제2데크플레이트(10c)의 좌측단 결속부가 동일하게 데크플레이트 바닥에서 상향하는 수직부(11c)와, 상기 수직부 상단 끝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수평부(12c) 및, 상기 수평부에서 수직으로 하향하는 돌림수직부(13c)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데크플레이트의 우측단 결속부와 제2데크플레이트의 좌측단 결속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1차결속한 후,
겹쳐진 양 결속부에서 수평부(12c)를 동시에 절곡하고 돌림수직부(13c)를 동시에 접어 돌려서 2차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데크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결속부들을 접어야 하는데 만약 결속부를 직접 접을 경우 접는 과정에서 데크플레이트가 부분적으로 뒤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데크플레이트의 두께가 조금만 두꺼워도 실제 데크플레이트를 접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다수의 합성바닥판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단하게 다수의 합성바닥판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제공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수직연결판을 보다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작하여 서로 연결된 합성바닥판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첫째, 합성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판의 양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키고 서로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별도의 압착연결구를 이용하여 하부판의 양 측단이 서로 압착 연결되도록 하였다.
둘째, 상기 하부판은 10cm와 같은 단위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원하는 길이에 맞추어 신속하게 연결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상기 합성바닥판은 하부판 상면에 다수의 하부가 벌어진 수직보강판을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직보강판은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종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들이 서로 횡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수직보강판의 상부는 절곡된 수평받침부로 형성시켜 작업자 하중을 용이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판의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수직부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인접한 수평부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세팅되도록 하고, 상기 인접한 연결부의 수평부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압착연결구를 설치한 후 상기 압착연결구를 압착시켜 인접한 연결부를 서로 압착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판은 10cm를 단위길이로 제작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 양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켜 형성되도록 하여 다수의 하부판을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연결구 상면에 수직보강판의 하부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수직보강판은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종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들이 서로 횡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형성시켜 상기 재단강판재가 압착연결구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연결구 사이의 하부판 상면에 수직보강판의 하부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수직보강판은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종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들이 서로 횡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형성시켜 상기 재단강판재가 하부판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재단강판재의 하단부는 수평절곡시킨 수평절곡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절곡부가 하부판 상면에 리벳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보강판의 재단강판재들의 외측면에는 하부횡방향철근이 더 형성되도록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보강판의 상면에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압축보강재 설치용 홈이 추가로 더 설치되며, 격자형으로 제작된 철근조립체를 상기 압축보강재 설치용 홈에 얹어 압축보강재가 추가로 설치되도록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판 상면에 바닥판재 콘크리트를 일정한 높이로 더 형성시켜 바닥판재, 수직보강판과 하부판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절곡시켜 수평받침판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바닥판은 단위길이로 다수의 하부판을 제작하고, 상기 하부판의 양 측단의 ㄱ자 형태의 연결부를 서로 맞대어 놓은 후 압착연결구를 이용하여 하부판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간단하게 상기 하부판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은 수직보강판을 제작합에 있어 강재판을 재단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합성바닥판 제작을 위한 강재 사용량을 통상의 합성슬래브와 대비하여 40%정도 절감하면서도 구조적 성능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저중량의 합성바닥판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교량용 합성바닥판들의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의 연결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하부가 벌어진 수직보강판의 제작 사시 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 연결시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100)의 연결>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크게 하부판(110)에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120)를 형성시켜 합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하부판(110)에 고정 설치되어 전단연결재 및 인장응력보강재로서 기능하는 수직보강판(130); 상기 수직보강판(130) 위에 설치된 압축보강재(140) 및 하부횡방향철근(15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판(110)은 예컨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가공하여 수평판 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이에 상기 하부판(110)은 바닥판재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가 소정의 높이를 타설되는 거푸집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합성바닥판에 공용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하부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기능하게 된다.
이로써 콘크리트로만 제작되는 바닥판과 대비하여 바닥판 자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요철부(미도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휨강성 및 뒤틀림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하부판(110)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하부판의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부식은 하부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표면에 용융아연도금처리와 같이 부식방지재를 도포시켜 부식을 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하부판은 소정의 길이를 가진 1개로 제작하여 이용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길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하부판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서 소요의 길이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부판(110)을 예컨대 10cm씩 단위길이를 가지도록 하여 하부판(110)을 서로 연결시켜 다양한 길이에 대응할 수 있는 합성바닥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상기 하부판(110)의 양 측단은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113)로 구성된 연결부(A)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에 다수의 하부판(110)을 연결시킴에 있어 인접한 수직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인접한 수평부(113)가 서로 동일한 높이(h)로 세팅되도록 하면 다수의 하부판(110)이 간단하게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판(110)에 있어 인접한 수평부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압착연결구(114)를 설치한 후 상기 압착연결구를 압착시켜 인접한 연결부(A)를 서로 압착 연결시키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은 하부판 자체를 감아돌리지 않고 별도의 압착연결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하부판에 무리를 주지 않고 하부판(110)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 압착연결구(114)는 압착가능한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하여 역 U형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판(110)의 연결작업이 완료되면 합성바닥판으로서 기능하기 위한 수직보강판(130)을 하부판(110)에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보강판(130)의 제작 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직보강판(130)>
본 발명의 수직보강판(130)는 본 발명에서 2가지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먼저, 공용하중에 저항하는 인장응력보강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공용하중(차량, 보행인 등의 통행하중등)에 의하여 바닥판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상부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인장응력은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하부판(110)이 대부분 부담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담이 커지는 경우 하부판의 두께를 증대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부판은 그 두께에 따라 경제성 및 제작 용이성이 결정되므로 최적의 두께로 구성시키되 이를 분담할 수 있는 대체 구성 즉, 인장응력보강재가 필요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서 같이 이러한 인장응력보강재로써 I형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I형강은 중량이 너무 커지게 되고 강재가 고가여서 직사각형의 강판재(STEEL PLATE)를 가공한 수직보강판(130)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수직보강판(130)는 분담해야 하는 인장응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강판재를 가공하여 제작하되, 바닥판 폭 또는 모듈화된 바닥판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로 제작하고, 높이는 바닥판 높이를 고려하여 제작하고, 두께는 설치간격 등을 고려하여 제작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수직보강판(130)의 제작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수직보강판(130)은 강재판만으로 제작하여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하부판에 고정설치함에 있어 하부판에 용접이 아닌 리벳 설치방식을 이용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하부판의 상면에 하부판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형성된 횡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131)들이 서로 종방향으로 대향되어 벌어지도록 형성시키게 되며 이와같은 수직보강판을 제작하는 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에 의하면 본 발명의 수직보강판(130)은 소정의 높이(h)와 길이(l)를 가진 직사각형 강판재를 상하로 2개로 분리하여 제작된 것이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즉, 일정한 높이(h)를 가진 직사각형 강판재를 길이방향으로 상하 재단하되, 상기 재단(B)은 강판재가 상하로 2개로 분할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파형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분할된 수직보강판(130a,130b) 각각을 수직보강판으로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1개의 직사각형 강판재를 2개로 분할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상기 재단은 강판재 양 단부의 중앙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연장시킨 하부수평부(D1), 상기 하부수평부의 끝단으로부터 상방 경사진 상방경사부(D2), 상기 상방경사부의 끝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된 상부수평부(D3), 상기 상부수평부로부터 강판재 상부로 하방 경사진 하방경사부(D4), 상기 하방경사부의 끝단으로부터 다시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수평부(D1)로 형성된 파형형태의 재단이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2개의 수직보강판으로 상하 분할되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분할된 수직보강판(130a,130b)의 하부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인접 형성된 재단강판재(131a,131b)들이 서로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상기 수직보강판(130a,130b)는 자립이 가능하게 되므로 하부판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재단강판재(131a,131b)들의 하단부는 수평절곡판(132a,132b)으로 절곡시켜 하부판(110)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부도 절곡하여 수평받침부(미도시)로 형성시켜 작업자가 통행하더라도 작업하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벌어지도록 형성시킨 재단강판재(131a,131b)는 바닥판재용 콘크리트를 연통시킬 수 있게 되므로 바닥판재용 콘크리트와의 합성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직보강판(130a,130b)은 앞서 살펴본 압착연결구(114) 상면에 도 2a와 같이 점 용접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단지 점 용접의 경우에는 상기 수평절곡판(132a,132b)을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재단강판재(131a,131b)의 하단부를 압착연결구(114) 상면에 점 용접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판(130)은 도 2b와 같이 하부판(110)에 고정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는 용접이 아닌 리벳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접은 하부판(110)에 용접열이 전달되도록 함에 따라 하부판의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특히 얇은 하부판을 사용하는 경우 하부판의 강성을 떨어뜨릴 소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특히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하부판(110)에 리벳으로 수직보강판(130a,130b)을 고정설치하게 된다.
즉, 하부판(110)에 리벳구멍을 미리 형성시키고, 상기 리벳구멍에 대응하는 리벳구멍을 미리 상기 수평절곡판(132a,132b)에 형성시켜, 리벳구멍을 관통하도록 리벳(160)을 설치한 후, 리벳머리를 타격하여 리벳에 의하여 수직보강판(130a,130b)이 하부판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리벳방식을 이용하면 리벳구멍이 크지 않고, 달리 용접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을 수 있어 얇은 하부판을 이용함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판(130a,130b)의 벌어진 재단강판재(131a,131b)의 양 외측면에는 하부횡방향철근(150)이 미리 더 형성되도록 하여 합성바닥판의 휨 강성을 보완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판(130a,130b)의 상면에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압축보강재설치용 홈(133a,133b)이 추가로 더 설치되도록 하여 격자형으로 제작된 철근조립체인 압축보강재(140)를 상기 압축보강재 설치용 홈(133a,133b)에 얹어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b와 같이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하부판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종방향으로 다수가 이격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종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131)들이 서로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형성시키되,
도 3a와 달리 직사각형 강판재의 하부를 일측단부로부터 타측단부로 연속하여 파형형태로 절취(T)하여 상기 절취된 부위를 제외한 강판재의 하부에 형성된 종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131)들이 서로 횡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이는 도 3a와 대비하여 직사각형 강판재를 2개로 분할하지 않고 절취에 의한 재단에 의하여 재단강판재(131)들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보인 것이며,
이때 상기 재단강판재(131)들의 하단부는 수평절곡판(132)으로 절곡시켜 하부판(110)과의 연결부위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다.
이러한 수직보강판(130)도 압착연결구(133) 및 하부판(110)에 고정설치되도록 하는 점 용접 및 리벳방식을 이용하게 됨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판(130)의 벌어진 재단강판재(131)의 외측면에도 역시 하부횡방향철근(150)이 미리 더 형성되도록 하여 합성바닥판의 휨 강성을 보완하도록 함도 동일하다.
또한, 상기 수직보강판(130)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압축보강재설치용 홈(133)이 추가로 더 설치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격자형으로 제작된 철근조립체인 압축보강재(140)를 상기 압축보강재설치용 홈(133)에 얹어지도록 함도 동일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수직보강판(130)은 제작에 있어 경제적인 강판재를 이용하고, 이러한 강판재는 가공이 용이하고, 자중을 크게 고려하지 않을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인장응력보강재 및 전단연결재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
도 4a 및 도 4b에 의한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은 각각 압착연결구(114) 또는 하부판(110) 상면에 수직보강판(130)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보강판(130)의 상부에는 압축보강재(140)를 바닥판 상부에 설치함을 알 수 있다.
즉, 바닥판 상부에 압축보강재(140)를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간격재(SPACER)를 이용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직보강판(130)의 상부에 압축보강재설치용 홈(133)을 형성시켜 압축보강재의 간격재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상기 압축보강재(140)로서 격자형의 철근을 배근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배근작업은 시공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미리 격자형상으로 소정의 크기로 압축보강재인 철근조립체를 제작하고 수직보강판의 상기 홈(133)에 철근조립체인 압축보강재를 삽입시켜 설치하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수직보강판(130)은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120)와 하부판(110)의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연결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에는 하부판에 도 1b 및 도 1c와 같이 다수의 스터드 또는 전단연결재를 용접방식으로 설치하는데 이러한 용접방식은 용접작업이 많아져 시공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직보강판(130)에 별도의 구멍을 형성시키지 않고 벌어진 수직보강판 하부의 재단강판재(131)에 바닥판재용 콘크리트(C)를 수직보강판이 매립되도록 타설했을 때 상기 재단강판재(13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가 서로 연통되어 수직보강판과 하부판이 서로 확실하게 합성될 수 있게 되다.
이에 수직보강판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속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스터드와 같은 전달연결재의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판(110)에 하부횡방향철근(150)이 미리 더 형성된 수직보강판(130)을 이용하여 휨 강성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압축보강재(140)를 수직보강판(130) 상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 세팅되도록 한 상태에서 바닥판용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보강판, 하부횡방향철근, 압축보강재가 매립되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바닥판재(120)를 완성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100) 시공방법>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 및 연결 설치가 가능하도록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가지도록 한 것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자전거도로용으로 합성바닥판(100)을 설치하는 예를 살펴본다.
먼저 도 5a와 같이 도로 또는 인도의 일 측면부의 형상에 따라 연속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현장타설콘크리트 지지체로 시공되는 제 1지지부(200)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 1지지부(200)는 도로 또는 인도의 일 측면부의 측방을 터파기하고, 상기 터파기된 공간에 기초부(210)와 전체적으로 ㄴ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기초부(210) 상면에 수평판 형태의 저판부(221)와 상기 저판부(221) 상면의 일측 상방으로 연장된 벽체부(22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받침부(220)로 형성시키되, 상기 벽체부(222) 상단의 측면모서리부는 상부단턱(223)이 형성되도록 하여 합성바닥판(100)의 일 측면부가 상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벽체부(222) 주변의 저판부(221) 상면에는 후술되는 횡지지부(300)의 일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 1지지부(200)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지반에 설치된 강관파일 또는 PHC파일을 포함하는 제 2지지부(300)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제 2지지부(300)는 법면을 포함하는 지반에 파일(310)을 설치하고, 상기 파일(310) 상부에 확장상부플랜지(321)가 형성된 파일두부지지캡(320)을 설치하고, 상기 확장상부플랜지(321)와 후술되는 강재빔인 횡지지부(400)를 서로 연결시켜 형성되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 1지지부(200) 상면에 일단부가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가 제 2지지부(300)의 상면에 연결지지되는 강재빔을 포함하는 횡지지부(400)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횡지지부(400)는
H형강의 일단부를 제 1지지부(200)의 저판부(221) 상면에 앵커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 지지되도록 하고, 타단부를 제 2지지부(300)의 확장상부플랜지(321) 상면에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로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지지지(300)부 상부에 위치한 횡지지부(400)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강재빔을 포함하는 주형부(500)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주형부(500)는
H형강 또는 I형강을 포함하는 강재빔으로써, 상기 강재빔의 길이방향으로 외부에 이격되어 장착된 정착장치(510)와 상기 정착장치(510) 사이에 설치된 길이방향 긴장재(520)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제 1지지부(200) 상부에 일측면부가 고정 지지되고, 타측면부가 주형부(500) 상면에 고정지지되는 합성바닥판을 설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100)을 횡방향으로 주형 사이에 설치하고 종방향으로도 서로 연결시켜 가면서 간단하게 바닥판 시공이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바닥판(100)은 먼저 하부판(110), 하부횡방향철근(150)이 형성되며 하부판에 리벳으로 고정 설치되면 상면에 압축보강재설치용 홈이 형성되어 압착연결구(114) 상면에 설치된 수직보강판(130)으로 구성된 것을 이용하는 예를 기준으로 한다.
즉, 종방향으로 예컨대 10cm 연장길이를 가진 다수의 수직보강판(130)이 형성된 하부판(110)을 연결부(A)를 이용하여 서로 종방향으로 인접시키고, 상기 인접된 하부판(110)을 서로 압착연결구(114)로 압착 연결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주형부(500) 상면에 양 측단이 지지되도록 하부판(110)을 종방향으로 1개씩 연결 설치한 이후에는 상기 수직보강판의 상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다수의 압축보강재설치용 홈(133)에 격자형으로 제작된 철근조립체인 압축보강재(140)를 얹어 설치하고,
다음으로는 도 5b와 같이 상기 하부횡방향철근(150), 압축보강재(140), 수직보강판(130)이 매립되도록 하부판 상면에 바닥판재용 콘크리트(C)를 타설하게 된다.
이로서 최종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의 연결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100: 합성바닥판 110: 하부판
112: 수직부 113: 수평부
114: 압착연결구
120: 바닥판재 130: 수직보강판
140: 압축보강재 150: 하부횡방향철근
160: 리벳
200: 제 1지지부 300: 제 2지지부
400: 횡지지부 500: 주형부
A: 연결부 C:바닥판재용 콘크리트

Claims (7)

  1. 하부판(110)의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113)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수직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인접한 수평부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세팅되도록 하고, 상기 인접한 연결부의 수평부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압착연결구(114)를 설치한 후 상기 압착연결구를 압착시켜 인접한 연결부를 서로 압착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연결구 상면에 수직보강판의 하부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수직보강판은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횡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131)들이 서로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형성시켜 상기 재단강판재(131)가 압착연결구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보강판의 재단강판재(131)들의 외측면에는 하부횡방향철근(15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은
    10cm를 단위길이로 제작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 양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켜 형성되도록 하여 다수의 하부판을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3. 삭제
  4. 하부판(110)의 측단에 ㄱ 자형태로 절곡하여 수직부(112)와 상기 수직부 상단에 수평부(113)로 구성된 연결부를 형성시키고, 인접한 수직부(112)가 서로 접하도록 하여 인접한 수평부가 서로 동일한 높이로 세팅되도록 하고, 상기 인접한 연결부의 수평부의 상면과 저면을 감싸도록 압착연결구(114)를 설치한 후 상기 압착연결구를 압착시켜 인접한 연결부를 서로 압착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연결구 사이의 하부판 상면에 수직보강판의 하부를 고정설치하되, 상기 수직보강판은 일정한 높이(h)를 가진 강판재의 하부를 재단하여 횡방향으로 인접한 재단강판재(131)들이 서로 종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벌어지도록 형성시켜 상기 재단강판재(131)가 하부판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재단강판재의 하단부는 수평절곡시킨 수평절곡부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절곡부가 하부판 상면에 리벳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수직보강판의 재단강판재(131)들의 외측면에는 하부횡방향철근(150)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판의 상면에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압축보강재 설치용 홈이 추가로 더 설치되며, 격자형으로 제작된 철근조립체를 상기 압축보강재 설치용 홈에 얹어 압축보강재가 추가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 상면에 바닥판재 콘크리트를 일정한 높이로 더 형성시켜 바닥판재, 수직보강판과 하부판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고,
    상기 수직보강판의 상부는 절곡된 수평받침부로 형성시켜 작업자 하중을 용이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KR1020110034974A 2011-04-15 2011-04-15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KR10107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74A KR101072260B1 (ko) 2011-04-15 2011-04-15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74A KR101072260B1 (ko) 2011-04-15 2011-04-15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260B1 true KR101072260B1 (ko) 2011-10-12

Family

ID=45032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74A KR101072260B1 (ko) 2011-04-15 2011-04-15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2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362Y1 (ko) 2001-12-03 2002-03-16 김광배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KR100658832B1 (ko) 2005-07-15 2006-12-15 주식회사 윈스틸 비용접 고정식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9882B1 (ko) * 2008-11-24 2009-07-30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362Y1 (ko) 2001-12-03 2002-03-16 김광배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KR100658832B1 (ko) 2005-07-15 2006-12-15 주식회사 윈스틸 비용접 고정식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09882B1 (ko) * 2008-11-24 2009-07-30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57B1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JP5406563B2 (ja)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KR101275754B1 (ko)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와 그 제작방법 및 전단블록이 상면에 형성된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US8621797B2 (en) Steel structure including pre-stressing brackets for improving load-carrying capacity and serviceability
JP5723235B2 (ja) スラブ構築方法およびデッキプレート構造物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228135B1 (ko)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064731B1 (ko)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JP4897643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合成鋼床版桁橋
JP2007077658A (ja) 橋桁の構築方法
CN110392758B (zh) 倒t形截面混合型预应力混凝土梁及利用其的面板施工方法
KR20090072224A (ko) 강합성 거더 제작방법
KR100963579B1 (ko)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058906B1 (ko) 유지관리용 합성 데크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1286112B1 (ko)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EP2636808A1 (en) Composite floor element for buildings made of corrugated metal sheet and concrete
KR101072260B1 (ko) 압착연결구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연결방법
KR102050553B1 (ko) 합성구조로 제작된 하로형 철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86116B1 (ko)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752285B1 (ko) 광폭 psc 하부플랜지와 단면확대용 상부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101126790B1 (ko) 중앙부 합성바닥판과 캔틸레버부 합성바닥판을 연결 설치하는 방법
KR102107666B1 (ko) 장스팬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