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959B1 -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959B1
KR101071959B1 KR1020090011790A KR20090011790A KR101071959B1 KR 101071959 B1 KR101071959 B1 KR 101071959B1 KR 1020090011790 A KR1020090011790 A KR 1020090011790A KR 20090011790 A KR20090011790 A KR 20090011790A KR 101071959 B1 KR101071959 B1 KR 101071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ound
units
modul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1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2595A (en
Inventor
이정권
조완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1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959B1/en
Publication of KR20100092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5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Details of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covered by H04R1/4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4012D or 3D arrays of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Abstract

음향어레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이 공간상에 배치된 복 수의 음원유닛들과,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1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제1제어장치와,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2 음원모듈과, 상기 제2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장치와, 상기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에 각각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제어하는 제3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An acoustic array system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ystem are disclosed. 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ranged in this space, a first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nd one sound channel assigned to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re controlled as one sound source. A first control device, a second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 second control device for allocating one sound channel to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to control one sound source; There is provided an acoustic array system including a third controller for assigning and controlling an acoustic channel to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second controller, respectively.

음향어레이 시스템, 음원유닛, 음원모듈, 음향채널 Sound array system, sound source unit, sound source module, sound channel

Description

음향어레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특정한 방사 특성을 갖는 음원유닛들로 이루어진 음향어레이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oustic array system comprising sound source units having specific radiation characteristic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ystem.

기존의 음원 어레이는 음원유닛(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에 직접 제어기가 연결된 형태의 단층 어레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모든 채널은 최종 구현 단계의 제어기 채널에서 제어된다. The existing sound source array is composed of a single layer array in which a controller is directly connected to a sound source unit (for example, a loudspeaker). In this case all channels are controlled in the controller channel of the final implementation stage.

그러나 음원유닛 자체가 양산품이고, 공간상의 하나의 포인트(음원유닛이 위치하는 지점)에서 음원을 방사하기 때문에 제어기 채널에서 제어된 신호를 음원유닛이 음원으로 재생한다 하더라도 실제의 음원과는 거리가 있다.However, since the sound source unit itself is a mass-produced product and emits a sound source at one point in the space (the point where the sound source unit is located),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actual sound source even if the sound source unit reproduces the signal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channel as the sound source. .

또한, 하나의 포인트에서 방사된 음원은 포인트를 중심으로 공간으로 방사되는 방식으로 특정 공간을 타겟팅하여 음원을 방사하기는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radiate a sound source by targeting a specific sp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sound source radiated from one point is radiated to a space around the point.

또한, 양산된 음원유닛을 이용하기 때문에 섬세한 실제음원의 재생에는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reproduction of the subtle real sound source because the mass produced sound source unit is used.

본 발명은 양산된 음원유닛들을 그룹화하여 음원모듈을 형성하고, 이 음원모듈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에 맞는 방사형태를 지닌 음원을 형성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ound source module by grouping the mass-produced sound source units, and to control the sound source module as a single sound source to form a sound source having a radiation shape for various purpose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간상에 배치된 복 수의 음원유닛들과,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1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제1제어장치와,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2 음원모듈과, 상기 제2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제2 제어장치와, 상기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에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제어하는 제3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ranged in a space, a first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nd one sound channel in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 first control device for assigning and controlling one sound source, a second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nd assigning one sound channel to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to control one sound source There is provided a sound array system including a second control device, and a third control device for allocating and controlling an acoustic channel to the first control device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상기 음원유닛은 라우드스피커일 수 있다.The sound source unit may be a loudspeaker.

또한, 상기 제1 제어장치 내지 제3 제어장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control devices may b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한, 상기 음원유닛들은 하나의 평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공간상에 곡면을 이루며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units may be arranged in one plane, or may be arranged to form a curved surface in the space.

또한,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 음원유닛은 상기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2 음원모듈에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may be simultaneously included in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복 수의 음원유닛들이 공간에 배치되는 단계, (b)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1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음원모듈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2 음원모듈을 하나의 음향태널을 인가하여 상기 제2음원모듈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단계, (d) 상기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2음원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특정 공간만을 목적으로 하는 음향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은 라우드스피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e disposed in a space, (b) applying one sound channel to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to the Controlling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s one sound source, (c) applying one sound channel to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into one sound source; A control method of a sound array system is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d)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to radiate a sound for a specific space.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may be a loudspeak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공간상에 배치된 복 수의 음원유닛들과, 외부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을 조합하여 음원모듈을 형성하는 음원유닛조합장치와,상기 음원유닛조합장치로부터 조합된 음원모듈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disposed in the space, a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for combini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by an external input signal to form a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isclosed is a sound array system including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sound source module combined from a device into one sound source.

상기 음원유닛은 라우드스피커일 수 있다. The sound source unit may be a loudspeaker.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일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may also b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한,상기 음원유닛조합장치는 상기 음원유닛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unit modules.

또한, 상기 음원유닛들은 공간상에 곡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units may be arranged in a curved shape on the space.

이상과 같이, 음원유닛을 조합하여 음원모듈을 형성하고 이들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방사형태의 음원을 형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sound source module by combining the sound source unit and controlling them as a single sound source, it is possible to form a sound source of various radial forms.

또한, 음원유닛을 음원유닛조합장치를 사용하여 음원모듈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ound source module using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the sound source unit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various forms.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Thereby not limiting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원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들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원모듈의 방사 패턴의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sound source uni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radiation pattern of the sound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내지 도 2을 참조하면, 음향 어레이 시스템은 복 수의 음향유닛(V01~V12)과, 복 수의 음향유닛들(V01~V12) 중 일부인 제1 음향모듈(11)을 제어하는 제1 제어장치(21)와, 복 수의 음향유닛들(V01~V12) 중 일부인 제2 음향모듈(12)을 제어하는 제2 제어장치(22), 제1 및 제2 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3 제어장치(31) 등으로 구성된다.1 to 2, the acoustic array system may control a plurality of sound units V01 to V12 and a first sound module 11 that is a part of the plurality of sound units V01 to V12. A second control device 22 for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21 and a second sound module 12 which is a part of the plurality of sound units V01 to V12, and a third for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devices. Control device 31 or the like.

본 실시예의 음향유닛들(V01~V12)은 라우드스피커일 수 있다. 그러나, 전기적 신호로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떤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음향유닛들(V01~V12)은 하나의 평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공간에 배치된 곡면형태로 일 수도 있다. 음향유닛들(U01~U12)은 양산품일 수 있으나, V01~V12의 음향유닛들 모두가 동일한 사양을 가질 필요는 없다. 즉, 음향유닛들(V01~V12)은 다른 사양으로 양산된 음향유닛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The acoustic units V01 to V12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loudspeakers. However, any device capable of emitting sound as an electrical signal is possible. The acoustic units V01 to V1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disposed in one plane or may have a curved shape disposed in a space. The sound units U01 to U12 may be mass-produced products, but it is not necessary that all of the sound units of V01 to V12 have the same specifications. That is, the sound units V01 to V12 may have a form in which sound units produced in different specifications are mixed.

몇 개의 음향유닛들이 그룹화 되어서 음향모듈이되며, 이러한 음향모듈은 하나의 제어장치에 의해서 컨트롤될 수 있다. 도 1과 같이 V01~V03은 제1 음향모듈(11)로서 제1 제어장치(21)에 의해서 컨트롤된다. 제1 제어장치(21)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일 수 있다. 제1 제어장치(21)는 하나의 음향채널, 즉 하나의 입력 신호로서 제1 음향모듈(11)을 제어한다. 제1 음향모듈(11)을 하나의 음향채널로서 제어할 경우 제1 음향모듈(11)에서 출력된 음향의 방사패턴은 하나의 음원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3개의 음향유닛(V01~V03)을 하나의 음원으로 간주된다. Several sound units are grouped together to form sound modules,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single control device. As shown in FIG. 1, V01 to V03 are controlled by the first control device 21 as the first sound module 11. The first controller 21 may b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first control device 21 controls the first sound module 11 as one sound channel, that is, one input signal. When the first sound module 11 is controlled as one sound channel,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ound module 11 may be generated and output from one sound source. That is, three sound units V01 to V03 are regarded as one sound source.

도 2와 같이 개별 음향유닛(V01~V03)으로 부터 방사된 음파는 동일한 제1 제어장치(11)로부터 입력된 채널에 의해서 출력되므로 하나의 방사패턴(S)으로 합성된다. 이러한 방사패턴(S)은 개별 음향유닛(V01~V03)의 특성과 개별 음향유닛(V01~V03)의 공간상 배치에 따라 변형된다. 또한, 이러한 방사패턴(S)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서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sound waves emitted from the individual sound units V01 to V03 are output by the channel input from the same first control device 11, and thus are synthesized into one radiation pattern S. FIG. The radiation pattern S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sound units V01 to V03 a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sound units V01 to V03. In addition, such a radiation pattern (S) can be simulated by a computer program.

제2 제어장치(22)는 제2 음향모듈(12)을 제어한다. 도면번호 23번과 24번도 각각 제3 음향모듈(13) 및 제4 음향모듈(14)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다.. 도면번호 21~24번은 음향모듈들(11~14)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The second controller 22 controls the second acoustic module 12. Reference numerals 23 and 24 ar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hird sound module 13 and the fourth sound module 14, respectively. Device.

한편, 제1 제어장치(21)와 제2 제어장치(22)는 제3 제어장치(31)로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3 제어장치(31)가 하나의 음향채널로서 제1 제어장치(11)와 제2 제어장치(12)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3 제어장치(31)가 제1 제어장치(11)와 제2 제어장치(12)를 하나의 음향채널로 제어할 경우 V01~V06의 음향유닛들이 하나의 음원으로 방사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rol device 2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22 may be controlled by the third control device 31. In this case, the third control device 31 may control the first control device 1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12 as one sound channel. When the third control device 31 controls the first control device 1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12 with one sound channel, the sound units of V01 to V06 may form a radiation pattern with one sound source. .

또한, 제3 제어장치(31)는 제1 제어장치(21)와 제2 제어장치(22)를 각각 독립적 음향채널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음향모듈(11)과 제2 음향모듈(12)은 각각 별개의 음원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control device 31 may control the first control device 2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22 as independent sound channels. In this case, the first sound module 11 and the second sound module 12 may each be a separate sound source.

도면번호 23번과 24번의 제어장치도 32번의 제어장치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31번과 32번의 제어장치를 41번의 제어장치가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어레이 시스템은 피라미드와 같은 구조를 이룸으로써 각각의 단계를 달리할 수 있고, 각각의 단계는 그 상위 단계(예를 들어 제3 제어장치(31))의 제어장치가 하위 단계의 제어장치(예를 들어 제1 제어장치(21)와 제2 제어장치(2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위의 제어장치가 하위 제어장치를 하나의 채널로 제어할 경우 하위 제어장치와 최종적으로 연결된 음향유닛들은 하나의 음원으로 간주될 수 있다. The control devices of Nos. 23 and 24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32 control devices.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of the 31 and 32 can be controlled by the 41 control device. Such an acoustic array system may have different stages by forming a pyramid-like structure, and each stage may include a controller of a higher stage (for example, a third controller 31).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ler 21 and the second controller 22 can be controlled. In this case, when the upper control device controls the lower control device by one channel, the sound units fin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ntrol device may be regarded as one sound source.

이와 같음 방식으로 음향유닛들과 제어장치를 구성할 경우, 양산되어 표준화된 개별 음원유닛(V01~V12)을 원하는 형태의 방사패턴을 보여주는 음원으로 변형될 수 있다. When the sound units and the control device are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e mass-produced and standardized individual sound source units V01 to V12 may be transformed into sound sources showing a radiation pattern of a desired form.

한편, 각각의 음향모듈들 음향유닛의 갯수나 특성이 다른 형태로 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3개의 음향유닛을 묶어서 획일적으로 음향모듈(11,12)을 구 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제1 음향모듈(11)은 4개의의 음향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음향모듈(12)은 2개의 음향유닛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r characteristics of the respective sound modules may be combined in different forms.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coustic modules 11 and 12 are uniformly configured by tying three acoustic units, but in some cases, the first acoustic module 11 may be configured as four acoustic units, and the second The sound module 12 may also be composed of two sound units.

제1 음향모듈(11)과 제2 음향모듈(12)은 목적 및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단극 혹은 다극으로 구성된 이상적 음원, 높은 지향성을 갖도록 음향모듈 사이의 게인(gain)과 위상을 조정하거나 어레이 층간의 위상 조정을 사용하는 초지향성 음원, 방사 주파수와 무관한 방사 패턴을 갖는 등핌폭음원, 평면파를 발생시키는 평면파 음원, 한 층의 어레이 내의 모든 작은 음향요소들을 묶어 하나의 모듈로 만들어 도일 위상으로 방사하게 하는 저주파수 방사음원 등을 들 수 있다.The first sound module 11 and the second sound module 1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method. Typical examples include an ideal sound source composed of monopoles or multipoles, a super-directional sound source that adjusts the gain and phase between acoustic modules to have high directivity or phase adjustment between array layers, and has a radiation pattern independent of radiation frequency. Equally bomb sound sources, plane wave sources that generate plane waves, low frequency radiation sources that bundle all the small acoustic elements in an array of layers into a single module and emit them in phases.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어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내지 도 2을 참조하기로 한다.3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n acoustic array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1 to 2.

S11은 복 수의 음원유닛들이 공간에 배치되는 단계이다. 음원유닛들(V01~V12)은 라우드스피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미 사양이 정해진 양산품일 수 있다. 음원유닛들(V01~V12)의 배치는 평면형일 수도 있고, 곡면형일 수도 있다. 음원유닛이 배치되는 공간은 극장과 같은 닫힌 공간일 수도 있고, 야외 음악당과 같이 열린 공간일 수도 있다.S11 is a step in which 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e arranged in the space. Sound source units (V01 ~ V12) may be made of a loudspeaker, it may be a mass product already specified specifications. The arrangement of the sound source units V01 to V12 may be planar or curved. The space where the sound source unit is arranged may be a closed space such as a theater or an open space such as an outdoor music hall.

S12는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1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인가하여 상기 제1 음원모듈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단계이다. 여러 개의 음원유닛이 모이더라도 하나의 음향채널로 제어할 경우 하나의 음원으로 된다음원유닛을 그룹화하는 방식은 음원의 방사패턴을 고려하여 사용목적에 맞도록 한다. 이러한 음원의 방사패턴은 컴퓨터로 시뮬레이션되어 컴퓨터에 저장될 수 있다. S12 is a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s one sound source by applying one sound channel to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Even if several sound source units are gathered, if they are controlled by one sound channel, they become one sound source. The method of grouping sound source units is made to suit the purpose of use in consideration of the radiation pattern of sound sources. The radiation pattern of the sound source may be simulated by a computer and stored in the computer.

S13은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를 그룹화한 제2 음원모듈을 하나의 음향채널을 인가하여 상기 제2음원모듈을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는 단계이다. 이는 S12와 동일한 방법으로서, 별개의 음원을 하나 더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때, 제1 음원모듈과 제2 음원모듈을 형성하는 음원유닛은 동일한 사양일 필요가 없으며, 동일한 갯수일 필요도 없다.제1 음원모듈과 제2 음원모듈은 특정한 방사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최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S13 is a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as one sound source by applying one sound channel to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grouping some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This is the same method as that of S12, in which another separate sound source is formed. In this case, the sound source units forming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do not need to have the sam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o be the same number.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are optimally formed to form a specific radiation pattern. Can be combined.

S14는 상기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2음원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특정 공간에만 목적하는 음향을 방사하는 단계이다.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2 음원모듈은 이미 시뮬레이션된 형태의 음향패턴을 위하여 조합되었다. 따라서, 이들 제1 음원모듈과 제2 음원모듈에 음향채널을 각각 인가할 경우 특정한 목적에 맞는 방사패턴의 음향이 외부로 인가된다.S14 is a step of radiating a desired sound only in a specific space by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have been combined for a sound pattern of a simulated form. Therefore, when the sound channel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the sound of the radiation pattern suitable for a specific purpose is applied to the outside.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어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oustic array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음향어레이 시스템(200)은 음원유닛조합장치(61)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원유닛조합장치(61)는 도 4와 같이 평면형으로 배치된 49(7X7)개 의 음원유닛들 중에서 일부 음원유닛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다. 음원유닛들(50)은 곡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합된 음원유닛들을 묶어 음원모듈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음원모듈(51, 52)를 형성하였다. Sound array system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61 is coupled.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61 may select and combine some sound source units from 49 (7X7) sound source units arranged in a flat shape as shown in FIG. 4. The sound source units 50 may be arranged in a curved surface. The combined sound source units are referred to as sound source modules. In this embodiment, two sound source modules 51 and 52 are formed.

이러한 음원모듈(51, 52)은 각각 제어장치(71, 7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제어장치(71)는 제1 음원모듈(51)과 연결되고, 제2 제어장치(72)는 제2 음원모듈(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제어장치(71)는 하나의 음향채널로서 제1 음원모듈(51)을 컨트롤 한다. 이렇게 하나의 음향채널로서 제1 음원모듈(51)을 제어할 경우 제1 음원모듈(51)은 하나의 음원이 된다. The sound source modules 51 and 5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s 71 and 72, respectively. The first control device 71 is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5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7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52. The first control unit 71 controls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51 as one sound channel. When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51 is controlled as one sound channel,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51 becomes one sound source.

음원유닛조합장치(61)는 별도로 프로그램된 시스템에 의해서 제어될 수도 있고, 외부 사용자가 입력에 의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음원유닛조합장치(61)는 음원유닛들(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음원유닛조합장치(61)는 음원유닛들과 제어장치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장치이며, 복 수의 음원유닛에서 각각의 음원모듈에 포함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음원유닛을 선택하는 장치이다.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61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ly programmed system, or may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user by input.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units (50).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61 is a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ound source units and the control device, and selects one or more sound source units to be included in each sound source module from 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한편, 제1 제어장치(71)와 제2 제어장치(72)는 제3 제어장치(81)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제3 제어장치(81)는 제1 제어장치(71)와 제2 제어장치(72)를 독립적 음향채널로서 각각 제어할 수도 있고, 동일한 음향채널로서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trol device 7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72 may be controlled by the third control device 81. The third control device 81 may control the first control device 71 and the second control device 72 as independent sound channels, or may control the same sound channel.

본 실시예의 제어장치(71,72,72)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일 수 있다.The control devices 71, 72, 72 of this embodiment may be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ased on the present embodiment, modifications and addition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the equivalent range will also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원유닛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들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sound source unit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원모듈의 방사 패턴의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a radiation pattern of the sound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향 어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의 순서도.3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n acoustic array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향 어레이 시스템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coustic array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음향유닛(V01~V12) 제1 음향모듈(11)Sound unit (V01 ~ V12) First sound module 11

제1 제어장치(21) 제2 음향모듈(12)First control device 21, second sound module 12

제2 제어장치(22) 제3 제어장치(31)Second Control Unit 22 Third Control Unit 31

Claims (13)

공간상에 배치된 복 수의 음원유닛들과;A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ranged in the space; 외부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닛을 선택하여 제1 음원모듈과 제2 음원 모듈로 그룹화하는 음원유닛조합장치와;A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for selecting one or more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in response to an external input signal and grouping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상기 제1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음원유닛조합장치와 연결되는 제1제어장치와;A first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for allocating one sound channel to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to control one sound source; 상기 제2 음원모듈에 하나의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하나의 음원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음원유닛조합장치와 연결되는제2 제어장치와;A second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unit combination device for allocating one sound channel to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to control one sound source; 상기 제1 제어장치 및 제2 제어장치에 각각 음향채널을 배정하여 제어하는 제3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And a third controller configured to assign and control acoustic channels to the first controller and the second controller, respectively.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은 라우드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 And said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e loudspeakers.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은 하나의 평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And said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e arranged in one pla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은 공간상의 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And said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e arranged on a curved surface in spa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 수의 음원유닛들 중 일부 음원유닛은 상기 제1 음원모듈과 상기 제2 음원모듈에 동시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어레이 시스템.Some sound source units of the plurality of sound source units are included in the first sound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sound source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array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11790A 2009-02-13 2009-02-13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071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790A KR101071959B1 (en) 2009-02-13 2009-02-13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1790A KR101071959B1 (en) 2009-02-13 2009-02-13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595A KR20100092595A (en) 2010-08-23
KR101071959B1 true KR101071959B1 (en) 2011-10-10

Family

ID=4275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1790A KR101071959B1 (en) 2009-02-13 2009-02-13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9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700B1 (en) * 2019-09-10 2020-02-19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Horizontal array type system for reproducing sound using wave field sysntesis technology
KR102081957B1 (en) * 2019-09-10 2020-02-26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Horizontal array type apparatus for reproducing sound using wave field sysntesis technology
WO2021049704A1 (en) * 2019-09-10 2021-03-18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Horizontal array type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system using plane wave synthesis technique
KR102132889B1 (en) * 2019-09-26 2020-07-13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Acoustic control system for horizontal array typ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wave field synthesis technology
WO2021060600A1 (en) * 2019-09-26 2021-04-01 주식회사 신안정보통신 Acoustic control system and acoustic control interface for horizontal array type sound playback apparatus using wave field synthesi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049A (en) * 2004-01-07 2005-07-21 Yamaha Corp Speaker apparatus
JP2005295308A (en) 2004-04-01 2005-10-20 Yamaha Corp Audio signal feeder
JP2007243772A (en) 2006-03-10 2007-09-20 Yamaha Corp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8219228A (en) * 2007-03-01 2008-09-18 Yamaha Corp Acoustic playback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8049A (en) * 2004-01-07 2005-07-21 Yamaha Corp Speaker apparatus
JP2005295308A (en) 2004-04-01 2005-10-20 Yamaha Corp Audio signal feeder
JP2007243772A (en) 2006-03-10 2007-09-20 Yamaha Corp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2008219228A (en) * 2007-03-01 2008-09-18 Yamaha Corp Acoustic playba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595A (en) 2010-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2256B (en) Loudspeaker array system
KR101071959B1 (en) Muti-layered acoustic array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449644B1 (en) Acoustic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22910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 sound field
US8238588B2 (en) Loudspeaker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synthesized directional sound beam
US7577260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rect sound
US20070269071A1 (en) Non-Planar Transducer Arrays
BG104072A (en) Sound emitting device (systems)
US200702638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rround sound beam-forming using vertically displaced drivers
CN1883228A (en) Array speaker device
JP2006340057A (en) Array speaker system
US20190014430A1 (en) Loudspeaker-room system
WO2017088876A2 (en) Loudspeaker device or system with controlled sound fields
CN104284271B (en) A kind of surround sound Enhancement Method for loudspeaker array
JP6473545B1 (en)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production system
CN110720225B (en) Acoustic array system
WO2007127781A2 (en) Method and system for surround sound beam-forming using vertically displaced drivers
US9326084B2 (en) Multi lobe stereo loudspeaker in one cabinet
GB2373956A (e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 sound field
WO200507234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tially enhancing the stereo image in sound reproduction and reinforcement systems
US20230319459A1 (en) Loudspeaker apparatus, loudspeaker system, display panel and systems thereof
JP6473544B1 (en) Render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07134891A (en) Speaker array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JP2007158636A (en) Array system for loudspeaker
KR102144810B1 (en) Sound radiation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using point source acoustic array figured in sphere or truncated sphe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