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473B1 -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473B1
KR101071473B1 KR1020050023260A KR20050023260A KR101071473B1 KR 101071473 B1 KR101071473 B1 KR 101071473B1 KR 1020050023260 A KR1020050023260 A KR 1020050023260A KR 20050023260 A KR20050023260 A KR 20050023260A KR 101071473 B1 KR101071473 B1 KR 10107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network
asynchronous
synchronous
de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707A (ko
Inventor
박철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47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파 환경이 열악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에서 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은,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호 접속 중인 이동통신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수신전력이 문턱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수신전력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 동기 무선장치를 통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파라미터(Base ID)를 파악하여,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정한 시간 동안의 상기 제2단계의 반복 수행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경우, 미리 정해진 지연시간만큼의 시간 지연 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과 이동통신망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도 2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혼재 영역에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비동기 이동통신망 200: 동기 이동통신망
400: 이동통신단말 410: 안테나
420: 비동기 무선장치 430: 동기 무선장치
440: 공통모듈 443: 메인 프로세서
본 발명은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WCDMA) 내에 있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이 WCDMA 음영지역에 있는 경우, 비동기와 동기 간의 잦은 위치 등록으로 인해 발생하는 잦은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하고 동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기술은 유럽을 중심으로 비동기 서비스 환경과 북미를 중심으로 하는 동기 서비스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고속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새로운 이동통신 기술 표준으로 IMT-2000 서비스를 북미, 유럽 중심으로 각각 발전시키고 있다.
동기식(Synchronous) IMT-2000 서비스(동기 이동통신망)는 CDMA2000 1x, CDMA2000 1x EV-DO로 서비스 형태가 발전하고 있고, 비동기식(Asynchronous) IMT-2000서비스(비동기 이동통통신망)는 WCDMA UMTS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동기식과 비동기식간의 로밍문제가 최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원활히 로밍할 수 있도록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은 서비스 요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이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은 그 서비스 영역이 비동기 방식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간을 상호 이동하는 경우 연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핸드오버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고려된 비동기-동기 핸드오버 방안은 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경계 지역에서의 핸드오버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동기 이동 통신망 영역 내의 음영지역에서는 예상치 못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빌딩 내에서의 비동기와 동기 간 핑퐁 현상이다.
이 핑퐁 현상은 빌딩 또는 기타 WCDMA 음영지역에서 비동기와 동기간 핸드오버 기능을 이용하려 할 때 발생될 수 있는 현상으로서, 단말이 WCDMA 음영지에역에서 비활성(IDLE) 상태일 때, 주변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세력이 비동기에서 동기로 핸드오버하여야 하는 특정의 트리거 조건을 만족시키면 단말이 비동기에서 동기로의 핸드오버를 진행하고,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중첩 지역으로 판단되면 다시 비동기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즉, 현재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혼재된 동기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파라미터 값인 32비트의 베이스 아이디(Base ID)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혼재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의 값은 "1"로 셋팅되어 있으며, 단말은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한 후, 단말은 비동기 서비스를 최대한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파라미터값에 근거하여 다시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핑퐁 현상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핑퐁 현상이 발생할 경우, 단말은 특정 지역에서 반복적인 비동기망과 동기망으로의 위치 등록을 진행하게 되어, 전력 소모가 매우 크고, 잦은 위치 등록으로 인한 네트워크 로드도 문제가 될 수 있어 큰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과 동기 이동통신망 영역의 혼재 영역 중 비동기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곳에서, 잦은 핑퐁 현상의 발생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기존의 동기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및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동기/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시 제어를 수행하는 공통모듈을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호 접속 중인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수신전력이 문턱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수신전력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 동기 무선장치를 통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파라미터(Base ID)를 파악하여,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정한 시간 동안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 횟수를 1회 증가시키고 증가된 판단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2단계로 궤환하며,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경우, 미리 정해진 지연시간만큼의 시간 지연 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망(WCDMA망)(1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국(101) 및 상기 무선국(101)을 제어하는 무선국 제어기(이하 'RNC'라 칭함)(102)와, 상기 RNC(102)와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400)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서빙 지피알에스 서비스 노드(Serving GPRS Service Node, 이하 'SGSN'이라 칭함)(103)와, GPRS망(105)을 통하여 상기 패킷 서비스 제어 및 패킷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중계장치인 비동기 통신망 데이터 서비스 관문 노드(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이하 'GGSN'이라 칭함)(10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RNC(102)에는 호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104)가 접속되고, 상기 MSC(104)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107)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107)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108)와, 지능망 제어기(이하 'SCP'라 칭함)(109)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110)가 접속된다.
한편, 동기 이동통신망(CDMA2000 망)(200)은, 이동통신단말(4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201)과, 상기 BTS(201)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칭함)(202)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 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acket Data Service Node, 이하 'PDSN'이라 칭함)(204)와 상기 PDSN(204)에 접속되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데이터 코어 네트워크(Data Core Network, 이하 'DCN'이라 칭함)(209)와, 상기 BSC(202)와 접속되어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MSC(203)는 신호교환을 위한 넘버 세븐 신호망(No.7 신호망)(205)과 접속된다. 상기 넘버 세븐 신호망(205)에는 단문메시지를 서비스하는 단문메시지 서비스 센터(이하 'SMSC'라 칭함)(206)와, 지능망 제어기(이하 'SCP'라 칭함)(207)와,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홈위치등록기(이하 'HLR'이라 칭함)(208)가 접속된다.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100) 및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MSC(104, 203)는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넘버 세븐 신호망(107, 205) 또한 상호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400)의 핸드오버 등에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은 각각 가입자 정보와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HLR(110 및 208)을 구비하고 있으나, 하나의 HLR(듀얼 스택 홈위치등록기)를 이용하여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이 가입자 정보 및 위치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밴드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식 이동통신과 비동기식 이동통신 모두를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프로토콜을 스택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단말(400)은 크게 나누어 동기 이동통신망(200) 및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410)와, 동기식 통신을 위한 동기 무선장치(430)와, 비동기식 통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420)와, 동기식 및 비동기식 통신시 공통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한 공통모듈(440)을 포함한다.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는 무선송신을 위한 동기 무선송신부(432)와, 무선수신을 위한 동기 무선 수신부(433)와, 동기 모뎀부(434)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무선송신부(432) 및 동기 무선수신부(433)의 일측은 듀플렉서(43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상기 동기 모뎀부(434)와 접속된다.
또한 비동기 무선장치(420) 역시 무선송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송신부(422)와, 무선수신을 위한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와, 비동기 모뎀부(424)를 포함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송신부(422) 및 비동기 무선수신부(423)의 일측은 듀플렉서(421)를 통하여 안테나(410)와 접속되고 타측은 비동기 모뎀부(424)와 접속된다.
상기 공통모듈(440)은 동기 모뎀부(434) 및 비동기 모뎀부(424)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처리 장치로 동작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부, 기타 응용 처리부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공통모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공통모듈(440)은, 상기 동기 무선장치(430) 및 비동기 무선장치(420)의 각 모뎀부(424 및 434)와 접속되는 복수개의 듀얼포트램(Dual Port RAM, 이하 'DPRAM'이라 칭함)(441 및 442)과, 상기 DPRAM(441 및 442)과 접속되며 이동통신단말(400)의 동기 및 비동기 통신의 전반적인 제어와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세서(443)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로세서(443)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444)와, 주변장치의 접속을 위한 I/O장치(445) 및 전력제어를 위한 전력제어모듈(이하 'PWM'이라 칭함)(446)이 접속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공통모듈(44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가 서비스, 이동성 관리, 접속/세션 제어, 리소스 제어, 프로토콜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 재되어, 사용자가 각종 응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이동통신 시스템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따른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핸드오버는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과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영역이 혼재된 지역의 이동통신단말(4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특히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이라도 단말(400)이 빌딩 내에서와 같이 전파 환경이 열악한 환경에 있는 경우, 유휴상태(IDLE)의 이동통신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에서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수신전력(RSCP)을 측정하고, 측정한 수신전력이 일정한 문턱값(TH)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며, 비동기 이동통신망을 통한 서비스를 최대로 제공받기 위하여 수신전력에 따라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했더라도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에 있음을 인지하여 다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즉, 이동통신단말(400)은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시스템 파라미터인 베이스 아이디(Base ID) 중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2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 혼재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의 파라미터 값(0 또는 1)을 파악 하고, 상기 파라미터 값이 동기 이동통신망(200)과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혼재 영역임을 나타내는 값(=1)인 경우 다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핸드오버한다.
그러나, 단말(4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 중 전파환경이 열악한 영역에 있는 경우, 단말(400)은 상기 비동기에서 동기로, 동기에서 비동기로의 핸드오버를 수차례 반복하여 핑퐁 현상을 초래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와 동기 간의 핸드오버가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 횟수 이상 반복되면,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비동기에서 동기로 핸드오버한 후, 다시 동기에서 비동기로 핸드오버하기 전에 일정한 지연시간을 두어, 동기 이동통신망(200)에서 일정 시간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핸드오버 과정을 이하의 흐름도를 통해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400)은 비동기 모드에서(S101) 주기적으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수신전력(RSCP)이 문턱값(TH)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102), 판단 결과 문턱값 미만인 경우,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103).
그리고,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2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한 이동통신단말(400)은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시스템 파라미터 중, 베이스 아이디의 비동기 영역과 동기 영역의 혼재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의 파라미터 값이 비동기 영역과 동기 영역의 혼재임을 나타내는 값(=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4).
상기 판단 결과, 현재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2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의 영역과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상기와 같이 비동기에서 동기로 핸드오버하고,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200)의 베이스 아이디 중 "WCDMA Overlay"를 가리키는 필드(두번째 MSB)가 "1"인 것으로 판단되는 과정의 판단 횟수가 지정된 횟수(예: 3회)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5).
이때, 상기 판단 횟수가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동기와 비동기로의 반복적 핸드오버로 인한 핑퐁 현상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므로, 상기 판단 횟수는 일정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수행된 횟수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타이머를 구동하여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내에 판단된 횟수만으로 상기 지정 횟수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다음, 상기 판단 결과,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즉시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의 핸드오버를 시도하지 않고, 일정한 지연시간만큼의 시간을 지연시킨 후(S106),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S107).
한편, 상기 지연시간은 판단 횟수와 무관하게 미리 정해진 고정 시간이 될 수 있으며, 횟수가 반복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시간이 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이전 지연시간에 특정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하는 방식 등으로 지연시간을 점차 가중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지연시간을 점차적으로 가중시키는 경우에는, 지연시간이 무한하게 증가되도록 할 수는 없으므로, 최대 지연시간을 정하여 두고, 가중치가 부가된 지연시간이 최대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후 판단 횟수와 무관하게 최대 지연시간에 의해 딜레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계 S105에서 판단 횟수가 지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400)은 시간지연 없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며(S107), 상기 단계 S104에서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200)이 비동기 이동통신망(100)과 혼재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400)은 동기 모드에 있게 된다(S108).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에 의하면,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의 혼재 영역에서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를 최대한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기존의 핸드오버 방안을 일부 보완함에 의해, 비동기 이동통신망 영역과 동기 이동통신망 영역의 혼재 영역 중 비동기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곳에서 일정 시간동안 동기 이동통신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며, 잦은 핑퐁 현상의 방지 및 이로 인한 전력 소모, 시스템 부하 등의 문제가 해결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이동통신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비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비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과 동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동기 무선장치와, 상기 동기 무선장치 및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상기 동기 이동통신망 또는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망과의 무선통신시 제어를 수행하는 공통모듈을 구비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과 호 접속 중인 이동통신 단말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수신전력이 문턱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수신전력이 문턱값 미만인 경우, 동기 무선장치를 통해 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고, 동기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파라미터(Base ID)를 파악하여,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판단 결과,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핸드오버한 동기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이 비동기 이동통신망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 횟수를 1회 증가시키고, 상기 증가된 판단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판단 결과, 지정된 횟수를 초과한 경우 미리 정해진 지연시간만큼의 시간 지연 후 상기 비동기 무선장치를 통하여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제1단계로 궤환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미리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의 상기 판단 횟수가 미리 지정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시간 지연 과정은,
    기 설정된 지연시간에 특정 가중치를 부가한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지연시간만큼 딜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상기 시간 지연 과정은,
    기 설정된 지연시간에 특정 가중치를 부가한 지연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지연시간이 미리 정해진 최대 지연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산출된 지연시간이 최대 지연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최대 지연시간만큼 딜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20050023260A 2005-03-21 2005-03-21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107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260A KR101071473B1 (ko) 2005-03-21 2005-03-21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260A KR101071473B1 (ko) 2005-03-21 2005-03-21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707A KR20060101707A (ko) 2006-09-26
KR101071473B1 true KR101071473B1 (ko) 2011-10-10

Family

ID=3763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260A KR101071473B1 (ko) 2005-03-21 2005-03-21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412B1 (ko) * 2005-12-28 2007-08-0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다중 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및 셀 구분 코드를 이용한 다중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재선택 방법
KR100785394B1 (ko) * 2006-11-20 2007-1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동기/비동기 듀얼모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에서의모드 선택 방법 및 그 단말
KR100835561B1 (ko) * 2006-12-0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서비스 영역 검색 장치 및 방법
CN107046693B (zh) * 2017-05-27 2020-12-29 台州市吉吉知识产权运营有限公司 一种为接入终端进行频段切换的无线路由器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64A1 (en) 1999-07-07 2001-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64A1 (en) 1999-07-07 2001-01-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dge of coverage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707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8918B2 (en) Hand over method from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uysuz An energy-efficient QoS-based network selection scheme over heterogeneous WLAN–3G networks
Lott et al. Interworking of WLAN and 3G systems
KR100718007B1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핸드오버 방법
KR101071473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CN101053182B (zh) 用于双频/双模移动通信终端的控制方法和数据呼叫切换方法
KR101103975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WO2012119475A1 (zh) 一种终端切换的方法及装置
KR101091038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US7969944B2 (en) Hand over method for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161039A1 (en) Dual Band/Dual Mo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37079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1152055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를 이용한 핸드오버방법
KR100625669B1 (ko)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10051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589953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 방법
KR100612683B1 (ko) 비동기망으로부터 동기망으로 핸드오버 한 이동통신단말의 초기 송신 전력 설정 방법
KR100786657B1 (ko) 인 트래픽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이용한 psmm의전송 조건 변경 방법 및 시스템
KR100579808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를 위한 무선자원정보 처리방법
KR100589959B1 (ko) 착신 얼러팅 중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KR101080558B1 (ko) 비동기망에서 동기망으로의 아이들 핸드오버 방법
KR100589954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를 통한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의 가입자 정보 획득방법
KR100589955B1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이를 통한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시의 동기 이동통신망의시스템 정보 획득방법
KR100589960B1 (ko) 발신 응답 대기중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이동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KR20050046290A (ko)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의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