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134B1 - 액정표시장치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134B1
KR101071134B1 KR1020040034107A KR20040034107A KR101071134B1 KR 101071134 B1 KR101071134 B1 KR 101071134B1 KR 1020040034107 A KR1020040034107 A KR 1020040034107A KR 20040034107 A KR20040034107 A KR 20040034107A KR 101071134 B1 KR101071134 B1 KR 10107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hook
liquid crystal
cover bottom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885A (ko
Inventor
노우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3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13Cutting apparatus
    • A01D34/135Cutting apparatus having oppositely movable cooperating knife-b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6Combines with hea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가 하방 돌출된 서포트메인과; 상기 후크돌기가 각각 끼워지는 후크공이 관통되어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으로 결합되는 커버버툼과;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차례로 안착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며 상기 서포트메인 및 커버버툼에 조립되는 탑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후크돌기 및 후크공을 이용하여 적은 인력과 시간을 들여 간단하고 손쉽게 서포트메인과 커버버툼을 결합 및 분해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이물의 발생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더 나아가 무리한 압력에 의한 과 체결로 인한 불량발생 가능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커버버툼, 서포트메인, 후크돌기, 후크공, 중공샤프트, 후크걸림단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모듈{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에 대한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대한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VI-VI 선에 대한 일부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액정패널 54 : 연성회로기판
56 : 구동회로 58 : 백라이트어셈블리
60 : 형광램프 62 : 반사판
64 : 도광판 66 : 광학시트
68 : 탑커버 70 : 서포트메인
72 : 후크돌기 74 : 중공샤프트
76 : 후크걸림단 80 : 커버버툼
82 : 후크공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패널이 차례로 안착되는 서포트메인 그리고 이의 배면으로 결합되는 커버버툼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최근에는 특히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형 액정표시장치(TFT-LCD)가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대체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화상구현원리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지된 바와 같이 액정은 분자구조가 가늘고 길며 배열에 방향성을 갖는 광학적 이방성과 전기장 내에 놓일 경우 그 크기에 따라 분자배열 방향이 변화되는 분극성질을 띤다. 이에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면으로 각각 전계생성전극이 형성된 한 쌍의 투명절연기판으로 이루어진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이들 전계생성전극 사이의 전기장 변화를 통해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인위적으로 조절하고 이때 변화되는 빛의 투과율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나 이 같은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는 수광형 소자이므로 별도의 광원(光源)을 요구하는데, 이를 위해 액정패널의 배면으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광램프를 구비한 백라이트어셈블리(back light assembly)가 마련되어 액정패널 전면을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서 비로소 식별 가능한 휘도의 화상이 외부로 표시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패널의 보호와 더불어 광 손실을 막기 위한 여러 가지 기계적 요소를 동원하여 모듈화되는데, 첨부된 도 1과 도 2는 각각 액정표시장치모듈(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odule)에 대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로서, 액정패널(2)과 백라이트어셈블리(8) 및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탑커버(top cover : 18)와 서포트메인(support main : 20) 그리고 커버버툼(cover bottom : 30)을 포함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통상 합성수지의 몰드물로 형성된 사각테 형상의 서포트메인(20) 상면으로 백라이트어셈블리(8)와 액정패널(2)이 차례로 포개어지고, 이러한 서포트메인(20)의 형태 변형과 더불어 후술하는 형광램프(10)의 보호를 위해 서포트메인(20) 배면으로 커버버툼(30)이 결합되며, 이들 모두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액정패널(2)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는 탑커버(18)가 커버버툼(30) 및 서포트메인(20)에 조립 체결된다.
이때 액정패널(2)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4)을 매개로 구동회로(6)가 연결 되어 있으며, 백라이트어셈블리(8)는 서포트메인(20)의 적어도 일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형광램프(10)과, 서포트메인(20) 상면으로 개재되는 백색 또는 은색시트의 반사판(12)과, 상기 형광램프(10)와 동일평면 위치를 점하도록 반사판(12) 상면으로 안착되는 도광판(14) 및 이를 덮는 다수의 광학시트(16)를 포함하는 바, 형광램프(10)로부터 발한 빛은 반사판(12)에 의해 액정패널(2)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도광판(14)을 거쳐 고르게 분산된 후 다수의 광학시트(16)를 통과하는 동안 균일 휘도의 고품위로 가공되어 액정패널(2)로 조사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형광램프(10)가 서포트메인(20)의 적어도 일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소위 사이드라이트 방식을 나타내었지만 목적에 따라서는 반사판(12)의 상부 전면으로 형광램프(10)를 다수 개 나란하게 배열하는 직하형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 도광판(14)은 생략될 수 있다. 더불어 커버버툼(30) 또한 서포트메인(20) 배면 전체를 덮는 판 형태를 갖는 대신 서포트메인(20)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시작되어 이와 인접한 배면 일부만을 가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위의 어느 경우이든 서포트메인(20)과 커버버툼(30)은 다수의 스크루(34)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에 대하여 도 1의 III-III 선에 대한 단면도인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서포트메인(20)과 커버버툼(3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커버버툼(30)을 관통하여 서포트메인(20) 배면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스크루(34)를 이용하며, 이를 위해 커버버툼(30) 소정의 위치에는 다수의 볼트공(32)이 관통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서포트메인(20) 배면으로는 각각 탭홀(22)이 내삽되어 있는 바, 이들 서로 대응되는 볼트공(32)과 탭홀(22)은 각각 서포트메인(20)의 모서리 부분으로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크루(34)를 이용한 일반적인 서포트메인(20)과 커버버툼(30)의 결합방식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는데, 스크루(34)의 소모로 인한 재료비의 증가는 논외로 하더라도 첫째 이물질의 발생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즉, 스크류 드라이버 등으로 체결 또는 분해되는 스크루(34)는 그 과정에서 볼트공(32) 및 탭홀(22) 내면과 긁히거나 마모되는 등의 마찰이 나타나 이물질이 발생될 가능성이 크고, 이에 따라 세밀한 동작이 요구되는 구동회로(6)나 액정패널(2) 내부로 이물이 침투하여 화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난다.
둘째로 서포트메인(20)의 탭홀(22)이나 커버버툼(30)의 볼트공(32)이 불량일 경우에 스크루(34)가 견실하게 체결되지 못하며, 따라서 커버버툼(30)이 흔들리거나 이탈되어 서포트메인(20)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형광램프(10)가 파손되는 등의 불량이 나타나게 된다.
셋째로 서포트메인(20)과 커버버툼(30)의 결합에 불필요하게 많은 작업량이 요구되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하나 하나를 일일이 체결하여야 하는 스크루(34)의 특성상 분해 및 조립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됨은 물론, 스크루(34)의 체결 시 무리한 압력이 가해질 경우 백라이트어셈블리(8)의 파손이 뒤따르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은 인력과 시간을 들여 간단하고 손쉽게 서포트메인과 커버버툼을 결합 및 분해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이물의 발생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이며 더 나아가 무리한 압력에 의한 과 체결의 불량발생 가능성이 적은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4개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테 형상으로, 상기 수직부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가 하방 돌출되며, 플라스틱과 같은 몰드 재질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후크돌기에 대응하는 후크공이 상하 관통되어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으로 결합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버툼과;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차례로 안착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며 상기 서포트메인 및 커버버툼에 조립 체결되는 탑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와 접촉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향되어 상기 커버버툼과 접촉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후크공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된 상태에서 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갈라진 중공샤프트와; 상기 갈라진 중공샤프트의 단부 외면을 두르며 말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을 점차로 상기 후크공보다 크게 확장시키는 테이퍼 형상의 후크걸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안착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부의 상기 서포트메인 적어도 일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와 동일평면을 점하도록 상기 반사판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사이드라이트형 또는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안착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직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버툼은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 전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에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 적어도 네 모서리로부터 각각 하방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커버버툼은 상기 서포트메인 적어도 일측 외면으로부터 이와 인접한 배면 일부를 덮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경우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커버버툼에 대면되는 상기 서포트메인의 적어도 일측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하방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대한 결합사시도와 분해사시도로서, 백라이트어셈블리(58)와 액정패널(52)이 차례로 안착된 서포트메인(70) 배면으로는 커버버툼(80)이 결합되고, 이들을 고정시키도록 액정패널(52)의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는 탑커버(68)가 서포트메인(70) 및 커버버툼(80)에 조립 체결되어 있다.
이때 서포트메인(70)은 대략 사각테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의 몰드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의 상면으로 안착된 백라이트어셈블리(5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메인(70)의 적어도 일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60)와, 상기 서포트메인(70) 상에 안착되는 백색 또는 은색시트의 반사판(62)과, 이러한 반사판(62) 상에 안착되어 형광램프(60)와 동일 평면위치를 점하는 도광판(64)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6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형광램프(60)로부터 발한 빛은 반사판(62) 및 도광판(64)을 경유하면서 전면으로 고르게 조사되고 다수의 광학시트(66)를 거치는 동안 균일 휘도의 고품위로 가공되어 액정패널(52)로 조사된다.
이때 상술한 구조의 백라이트어셈블리(58)는 통상 사이드라이트 방식으로서, 목적에 따라서 서포트메인(70)의 적어도 일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60)를 복층 구조의 다수 개로 배열할 수 있으며, 또는 서포트메인(70)의 서로 대면하는 양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더 나아가 비록 별도의 도면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직하형의 백라이트어셈블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상술한 구조에서 도광판(64)을 생략한 상태에서 반사판(62) 상에 다수의 형광램프(60)를 나란하게 배열하고, 이의 상부로 다수의 광학시트(66)를 개재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백라이트어셈블리(58) 상에는 액정패널(52)이 안착되며, 이의 적어도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54) 등을 매개로 접힐 수 있도록 구동회로(56)가 연결됨은 일반적인 기술적 사상을 기초로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서포트메인(70) 배면으로는 커버버툼(80)이 결합되고 액정패널(52)의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는 사각 테 형상의 탑커버(68)가 서포트메인(70) 및 커버버툼(80)에 조립 체결되는데, 본 발명은 특히 이들 서포트메인(70)과 커버버툼(80)의 결합구조가 일반적인 경우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에 대하여 도 4의 VI-V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의 서포트메인(70)은 배면으로부터 다수의 후크돌기(72)가 하방 돌출되어 있고, 이와 결합되는 커버버툼(80)에는 이들 각각의 후크돌기(7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동수(同數)의 후크공(82)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서포트메인(70)의 후크돌기(72)에 커버버툼(80)의 후크공(82)을 일치시킨 후 상하에서 압력을 가함으로서 서로를 끼움 체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돌기(72)는 일례로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단면도인 도 7을 함께 참조할 경우 각각 서포트메인(70)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된 중공샤프트(74) 및 이의 말단을 두르는 후크걸림단(76)을 포함할 수 있고, 이중 중공샤프트(74)는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된 상태로 커버버툼(80)의 후크공(82) 내에 빠듯하게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외경을 갖는 튜브형상이며, 이의 단부를 두르는 후크걸림단(76)은 중공샤프트(74)의 외경을 확장시켜 후크공(82) 보다 크도록 함과 동시에 중공샤프트(74) 끝단인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 이 점차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후크걸림단(76)을 제외한 중공샤프트(74)의 길이는 커버버툼(80) 두께 이상이면 가능하지만 지나치게 길 경우에는 커버버툼(80)이 흔들릴 수 있으므로 이의 두께에 대응되는 정도의 길이가 가능하며, 후크걸림단(76)의 길이는 도시되지 않은 외장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에 방해를 주지 않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음은 당업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크돌기(72)를 후크공(82)에 체결시키는 것은 용이하지만 후크걸림단(76)이 커버버툼(80)의 배면 후크공(82) 가장자리에 걸리면 좀처럼 빠지지 않게 되는데, 이 경우에 특히 후크돌기(72)의 단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갈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간격을 유지하는 4개의 조각으로 갈라질 수 있다.
이에 각 후크돌기(72)가 후크공(82)으로 삽입되면 인위적인 조작이 없는 한 후크걸림단(76)이 후크공(82)에 걸려 좀처럼 빠지지 않지만, 필요 시 4개의 조각으로 갈라진 후크돌기(72)의 말단을 모아 후크공(82)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돌기(72)와 후크공(82)은 기존의 스크루를 대신하므로 그 형성 위치는 서포트메인(70)의 모서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버툼(80)이 서포트메인(70) 전체를 덮는 판 형상을 경우에는 네 개의 모서리부분을 차지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커버버툼(80)이 서포트메인(70) 적어도 일측면 및 이와 인접한 배면의 일부로만 개재될 경우에는 커버버툼(80)과 대면되는 서포트메인(70) 의 적어도 일측 양 모서리 부분으로 위치되는 것이 안정적인 결합에 유리하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 후크돌기(72) 및 후크공(82)을 서포트메인(70)의 모서리 부분은 물론 이의 가장자리 배면을 따라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앞서 서포트메인(70)은 합성수지의 몰드물로 성형될 수 있다 하였는데, 이에 따라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도 서포트메인(70)의 제조공정과 동일한 단계에서 동일재질로 간단하게 각 후크돌기(72)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후크돌기(72)가 기존의 스크루(도 2의 34 참조) 결합을 위한 탭홀(도 3의 22 참조) 위치라면 커버버툼(80)의 후크공(82)은 기존의 스크루 결합을 위한 볼트공(도 2의 32)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커버버툼 및 서포트메인의 결합을 위하여 기존의 스크루 대신 서포트메인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된 후크돌기와 커버버툼에 관통된 후크공을 이용하는 바, 한번 끼워지면 쉽게 빠지지 않아 결합신뢰성을 높임과 동시에 체결과 분리의 과정에서 이물의 발생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밀한 동작이 요구되는 구동회로나 액정패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크걸림단이 형성된 후크돌기의 말단부 형상을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갈라지게 함으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따라서 분해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한 잇점이 있다.
즉, 기존의 액정표시장치모듈에 있어서 백라이트어셈블리 또는 액정패널의 수리를 위해서는 다수의 스크루를 일일이 풀어내서 커버버툼을 분해하였음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은 커버버툼의 후크공 이면으로 돌출된 후크돌기의 말단을 모아쥠으로서 쉽게 분리해 낼 수 있고, 체결 시에는 커버버툼과 서포트메인을 서로 적절하게 대응시킨 후 상하에서 압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모듈에 있어서 서포트메인의 후크돌기와 커버버툼의 후크공은 그 제조가 간단하므로 간단하고 손쉽게 형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서포트메인의 형태 변형과 아울러 형광램프의 파손을 줄이고 이들의 결합을 위한 시간과 비용 그리고 인력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4개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테 형상으로, 상기 수직부의 배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돌기가 하방 돌출되며, 플라스틱과 같은 몰드 재질로 이루어지는 서포트메인과;
    상기 후크돌기에 대응하는 후크공이 상하 관통되어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으로 결합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버툼과;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차례로 안착되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테두리하며 상기 서포트메인 및 커버버툼에 조립 체결되는 탑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액정패널과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와 접촉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과 대향되어 상기 커버버툼과 접촉하는 외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후크공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된 상태에서 단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갈라진 중공샤프트와;
    상기 갈라진 중공샤프트의 단부 외면을 두르며 말단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을 점차로 상기 후크공보다 크게 확장시키는 테이퍼 형상의 후크걸림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안착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부의 상기 서포트메인 적어도 일 측면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와 동일평면을 점하도록 상기 반사판 상에 안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사이드라이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메인 상에 안착되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 상에 다수가 나란하게 배열되는 형광램프와;
    상기 형광램프 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를 포함하는 직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툼은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 전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서포트메인 배면 적어도 네 모서리로부터 각각 하방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7.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툼은 상기 서포트메인 적어도 일측 외면으로부터 이와 인접한 배면 일부를 덮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돌기는 상기 커버버툼에 대면되는 상기 서포트메인의 적어도 일측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하방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20040034107A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071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07A KR101071134B1 (ko)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107A KR101071134B1 (ko)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85A KR20050108885A (ko) 2005-11-17
KR101071134B1 true KR101071134B1 (ko) 2011-10-10

Family

ID=37284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107A KR101071134B1 (ko) 2004-05-14 2004-05-14 액정표시장치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663B1 (ko) * 2005-11-02 2007-09-28 주식회사 디에스엘시디 빛샘방지링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니트
KR101305503B1 (ko) * 2006-07-14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428484B1 (ko) * 2007-09-07 2014-08-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1294749B1 (ko) 2009-11-27 2013-08-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2767758A (zh) * 2012-07-03 2012-11-0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及其液晶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85A (ko)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5656B (zh) 液晶顯示裝置
KR101035502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TWI384279B (zh) 液晶顯示模組及其組裝方法
KR10143250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7777827B2 (en) Top frame with separable portions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02552A (ko) 액정표시장치용 커버버툼 및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백라이트어셈블리와 액정표시장치모듈
JP2005322645A (ja) 構造を単純化した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415968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30046240A (ko) 보더리스 액정표시장치
KR100918280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1202686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70020718A (ko) 인쇄회로기판의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소자
US20100073915A1 (en) Lamp case, and backlight device and flat display device using it
KR10129258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71134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000855A (ko) 빛 샘 방지수단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0890751B1 (ko)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의 결합구조
KR10133326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99884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293128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33042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112327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088717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11017003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272893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