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815B1 -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815B1
KR101070815B1 KR1020080068644A KR20080068644A KR101070815B1 KR 101070815 B1 KR101070815 B1 KR 101070815B1 KR 1020080068644 A KR1020080068644 A KR 1020080068644A KR 20080068644 A KR20080068644 A KR 20080068644A KR 101070815 B1 KR101070815 B1 KR 101070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fault
image current
lin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197A (ko
Inventor
임일형
임희택
최면송
이승재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8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말장치가 각 회선의 영상전류의 위상 및 선간전압의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 단말장치가 측정된 영상전류의 위상이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진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중앙의 주장치가 진상인 영상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 및 이에 상응하는 고장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비접지 배전계통, 영상전류, 선간전압, 위상, 고장구간, 고정점 상단, 고정점 하단, 고장상

Description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discriminating fault line and phase in ungrounded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계통에서 비접지 방식은 선로의 길이가 짧고 전압이 낮은 계통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선로에서는 대지 정전 용량이 작기 때문에 충전전류도 크지 않다. 그래서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지락사고 발생 시 고장전류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지락사고에 대한 고장검출이 어렵다. 이러한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지락사고 시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1)대표적으로, 순송식 방식이 있는데, 이는 변전소에서 GPT(Grounded Potential Transformer)와 ZCT(Zero Current Transformer)를 이용하여 고장 회선을 감지하면 모든 스위치를 개방한 뒤 차츰 투입해가며 고장구간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순송식 방식은 신뢰성은 높으나 수용가에 최대 2번의 정전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스위치의 투개방과 고장경험 즉, 정전을 2번 겪는 기기들에게는 무리가 간다.
2)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순송식 방식을 개선한 연계점 이동 방식이 있는데, 이는 모든 구간을 개방했다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시 연계점을 이동해 가며 고장구간을 찾는 방법이다. 이러한 연계점 이동 방식 또한 1번의 불필요한 정전을 반드시 경험해야 하고, 스위치의 투개방에 대한 부담은 없을 수 없으며, 배전계통이 말단이나 루프(loop)를 포함한 경우에는 최대 2번의 정전을 경험할 수도 있다.
3)마지막으로 영상전류 위상을 중앙에서 비교, 판별하여 고장구간을 검출해내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중앙에서 모든 데이터를 계측 받아 고장회선을 판별하고, 영상전류의 위상을 통한 방향 판별을 가지고 고장구간을 검출하는 것으로 특히, 단말장치에는 지락사고 발생 시 이를 독립적으로 판단할만한 아무런 정보도 제공되지 않는다. 이 방법 역시 중앙에서 모든 것을 다 처리해야 하며, 주기적인 계통 데이터를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의 방법으로 고장전류의 크기를 가지고 고장구간 상단을 검출해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전자분야에서 사용하는 수십 mA 까지 측정 가능한 센서를 통해 수백 mA 이상의 영상전류가 생기면 FI(Fault Indicator) 정보를 발생시키는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수백 mA는 전력계통분야에서는 무시 가능한 크기이며, 특히, 오차범위 안에 들 수 있을 정도로 영상전류의 크기가 매우 작아 노이즈가 발생하면 전혀 사용 불가능한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영상전류의 위상이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진상이면, 영상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 및 이에 상응하는 고장점 상단이라는 정보를 중앙에 알림으로써, 지락사고 발생으로 인한 고장구간 및 고장상 및 고장구간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은 단말장치가 각 회선의 영상전류의 위상 및 선간전압의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상기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진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중앙의 주장치가 진상인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 및 이에 상응하는 고장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장상 및 고장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진상인 상기 영상 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을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FI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발생된 FI 정보를 중앙의 주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의 주장치가 상기 FI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고장상 및 상기 고장구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B, C상 선간전압의 180도 반대 위상과 A, B상 선간전압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상기 고장상을 A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C, A상 선간전압의 180도 반대 위상과 B, C상 선간전압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상기 고장상을 B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A, B상 선간전압의 180도 반대 위상과 C, A상 선간전압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상기 고장상을 C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지락사고 또는 지락고장에 의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측정된 영상전류의 위상이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진상이면, 영상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 및 이에 상응하는 고장구간을 빠르게 판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지 배선계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분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지락사고 시 건전회선 A와 B의 충전전류는 모선을 통해 고장점으로 흘러 들어가고 사고회선 또는 고장회선 C의 모선측과 부하측의 충전전류도 역시 고장점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이들 전류는 모두 충전전류이고 또한 위상도 동상이므로 합성된 전류가 고장점으로 흐르게 되고 GPT(Grounded Potential Transformer)의 중성점을 흐르는 전류 In이 합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락사고에 의한 전압벡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정상 시 전압벡터와 1선 지락사고 시 전압벡터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는데, A상 1선지락 사고시 A상 전압이 대지전위와 같아져 G로 옮겨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장 후 선간전압의 변화는 없고 건전상의 대지전압은 고장 전에 비해 배 증가하며 고장상의 대지전압은 0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비접지 계통에서는 접지를 할 수 없고 모선을 제외하고는 건전상이나 고장상의 대지전압의 변화는 선로 중간의 측정장치에 의해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장치에서의 고장상이나 고장구간 검출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비접지 배전계통은 1선 지락사고 시 고장전류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고장전류의 크기로 고장을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또한 매우 작은 고장전류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고장전류의 크기가 워 낙 작기 때문에 외부의 작은 간섭으로도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영상전류의 위상을 이용하여 고장상 및 이에 상응하는 고장구간을 판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데, 이를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통단말 또는 단말장치에 소형의 ZCT(Zero Current Transformer)를 스위치나 차단기와 같이 선로가 모이는 지점에 설치하여 영상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되는 데이터는 단말장치에서 중앙으로 전송되고, 또한 내부 프로세싱을 통해 고장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단말장치 각각은 고장상을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FI 정보를 중앙의 주장치에 전송하면, 중앙의 주장치는 FI 정보를 기반으로 그 고장 구간을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ZCT를 구비한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영상전류를 기반으로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1선 지락사고 시 각 상에서의 고장을 고려하여 이상적인 환경일 때의 선간전압과 영상전류의 벡터도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상 지락사고에 의한 벡터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1선 지락사고 시 고장상의 전위는 대지와 같아지므로 고장상에는 충전전류가 없어지지만 건전상의 대지전위는 정상상태보다 배 증가하므로 고장점 상단을 기준으로 고장 시의 선간전압과 영상전류의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A상 지락사고 시 B, C상의 대지전위는 Vbn, Vcn이 되고, 선로의 저항성분만을 고려할 경우 전류는 상 전압과 동상이 되므로 영상전류의 방향은 Ib'와 Ic'의 합의 방향이 되므로 Io'의 방향이다. 하지만 이는 대지 정전용량에 의한 충전전류이기 때문에 커패시턴스 성분만을 고려할 경우 충전전류는 상 전압보다 90도 앞서므로 영상전류의 방향은 Io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장구간 상단의 영상전류 방향 Io는 선간전압 Vbc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상 지락사고에 의한 벡터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7은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상 지락사고에 의한 벡터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A상 지락사고에 의한 고장구간 상단의 벡터도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찬가지로, B상고장 과 C상 지락사고에 관한 벡터도 역시 커패시터 성분만을 고려한 경우 B상은 선간전압 Vca, C상은 Vab에 영상전류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류와 선간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로의 저항 R, 리액턴스 L 그리고 커패시턴스 C 성분을 모두 고려한 영상전류의 방향(점선)은 커패시턴스 성분만을 고려한 영상전류의 방향(실선)보다 다소 늦어질 수 있지만 고장점 상단과 하단의 영상전류의 방향은 180도의 위상차를 갖질 수 있다.
이때, 고장점 상단에서 보았을 때 각 상 즉, A상, B상 및 C상의 영상전류의 방향은 커패시턴스, 선로의 저항, 리액턴스 성분에 따라 고장상을 제외한 선간전압과 90도 내지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계통에서 커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120도 내지 180도 이내의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상 및 고장구간을 판별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화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영상전류의 위상이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120도 내지 180도 앞선 영역을 고장 동작영역 또는 고장영역 으로 정정할 수 있다. 예컨대, 고장구간이 고장점 상단인 경우에 A상의 고장영역은 +60도 내지 +120도 이내이고, B상의 고장영역은 0도 내지 -60도 이내이며, C상의 고장영역은 -120도 내지 -180도 이내를 의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장구간이 고장하단인 경우 A상의 고장영역은 -60도 내지 -120도 이내이고, B상의 고장영역은 +120도 내지 +180도 이내이며, C상의 고장영역은 0도 내지 60도 이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일반화하면, 단말장치는 1)영상전류의 위상이 B, C상 선간전압 Vbc의 180도 반대 위상과 A, B상 선간전압 Vab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고장상을 A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할 수 있고, 2)영상전류의 위상이 C, A상 선간전압Vca의 180도 반대 위상과 B, C상 선간전압 Vbc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고장상을 B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며, 3)영상전류의 위상이 A, B상 선간전압 Vab의 180도 반대 위상과 C, A상 선간전압 Vca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고장상을 C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배전계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검증하기 위한 모의 배전계통에서 전 압은 22.9[kV], 배전선종은 ACSR 160mm2 (2,400완철 D=1, 008), Z1=3.47+j7.07, Zo=11.9+j29.26인 계통정보를 입력하여 매트랩 시뮬링크(matlab simulink)를 통해 1선 지락고장을 모의하였다.
이때, 노드(node) 2번과 3번 간의 A상, B상, C상의 지락사고를 모의하여 각 지락사고 시의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A상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A상 지락고장 시 고장점 상/하단의 영상전류의 위상 Io(upper), Io(lower) 선간전압의 위상 Vbc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고장점 상단의 영상전류의 위상이 +113.95도로 A상의 고장영역인 +60도 내지 +120도 이내로 들어왔으므로, 고장상이 A상임을 판별할 있으며 측정위치가 고장점 상단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B상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B상 지락사고 시 고장점 상/하단의 영상전류의 위상 Io(upper), Io(lower)과 선간전압의 위상 Vca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고 장점 상단의 영상전류의 위상이 -6도로 B상의 고장영역인 -60도 내지 0도 이내로 들어왔으므로, 고장상이 B상임을 판별할 수 있으며 측정위치가 고장점 상단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상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C상 지락사고 시 고장점 상/하단의 영상전류의 위상 Io(upper), Io(lower)과 선간전압의 위상 Vab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즉, 고장점 상단의 영상전류의 위상이 -126.05도로 C상의 고장영역인 -180도 내지 -120도 이내로 들어왔으므로, 고장상이 C상임을 판별할 수 있으며 측정위치가 고장점 상단임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장치 즉, 노드 1과 노드 2는 고장상 A, B, C상을 각각 포함하는 FI 정보를 발생하여 이를 중앙의 주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중앙의 주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 FI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고장상도 판별할 수 있고, FI 정보가 발생된 노드와 FI 정보가 발생되지 않은 노드 사이의 경계구간을 고장구간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영상전류의 위상만으로 고장회선, 고장상 및 고장구간을 한 번에 알 수 있으므로 계통 운영자의 빠른 판단에 의해 정전경험도 적고 정확한 계통 운영 결과를 판별해 낼 수 있 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지 배선계통에서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로의 저항과 리액턴스 성분이 아주 큰 계통을 고려하여 각 저항과 리액턴스의 크기를 10배 증가 시켜 모의하여도 영상전류의 위상이 각 상의 고장영역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대지 정전용량, 선로의 저항, 리액턴스는 기지 값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각 상의 고장영역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계통의 상황에 맞게 수정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방법을 실계통 적용을 고려하여 검증하기 위해 도 10의 모의 배전계통에 백색잡음(white noise)을 포함시켜 외부 간섭요인이 있을 경우를 모의하였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백색잡음을 포함하지 않은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잡음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0.1초 지락고장 시 고장점 상단의 영상전류의 파형, 크기 및 위상을 차례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백색잡음을 포함하는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Noise power 0.510-5, Sample time 0.110-4의 백색잡음을 포함하여 모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위상과 비교해보면 약간의 oscillation이 있지만 고장영역 범위 이내에 일정하게 들어가 있기 때문에, 고장상이 A상임을 판별하고 측정위치가 고장점 상단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백색잡음을 포함하는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Noise power 0.110-3, Sample time 0.110-4의 보다 큰 백색잡음를 포함시켜 모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도 16과 같이 이상적인 영상전류의 크기가 측정이 된다면 FI(Fault Indicator)를 발생시키는데 영상전류의 크기만 가지고도 가능하겠지만, 여기서의 파형을 살펴보면 고장전류의 크기가 oscillation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비접지 배전계통의 영상전류의 크기는 비록 작지만 특정 전류크기 이상일 경우에 FI를 발생시키는 방법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영상 전류의 위상이 oscillation하지만 대부분 고장영역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Noise power 0.110-3, Sample time 0.110-4의 보다 큰 백색잡음을 포함하는 경우에서도 고장을 판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영상전류의 위상이 선간 전압의 위상보다 기 설정된 임계범위 이내의 진상이면, 영상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 즉, A상, B상 또는 C상 및 측정위치가 즉, 고장점 상단 또는 하단을 판별함으로써, 지락사고 발생으로 인한 고장상 및 이에 상응하는 고장구간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에서 사용되는 기능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지 배선계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분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락사고에 의한 전압벡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상 지락사고에 의한 벡터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B상 지락사고에 의한 벡터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상 지락사고에 의한 벡터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전류와 선간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상 및 고장구간 상단을 판별하기 위한 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의 배전계통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A상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B상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상 지락사고에 의한 영상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접지 배선계통에서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백색잡음을 포함하지 않은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백색잡음을 포함하는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백색잡음을 포함하는 모의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

Claims (3)

  1.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각 회선의 영상전류의 위상 및 선간전압의 위상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상기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진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중앙의 주장치가 진상인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에 따라 상기 고장상 및 상기 고장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장상 및 상기 고장구간을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진상인 상기 영상 전류의 위상에 따라 고장상을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FI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발생된 FI 정보를 중앙의 주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중앙의 주장치가 상기 FI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상기 고장상 및 상기 고장구간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B, C상 선간전압의 180도 반대 위상과 A, B상 선간전압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상기 고장상을 A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C, A상 선간전압의 180도 반대 위상과 B, C상 선간전압의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상기 고장상을 B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며,
    상기 단말장치가 측정된 상기 영상전류의 위상이 A, B상 선간전압의 180도 반대 위상과 C, A상 선간전압 위상 사이에 해당되면, 상기 고장상을 C상으로 판별하고 측정 위치를 고장점 상단으로 판별하여 이를 포함하는 상기 FI 정보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
KR1020080068644A 2008-07-15 2008-07-15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KR101070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644A KR101070815B1 (ko) 2008-07-15 2008-07-15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644A KR101070815B1 (ko) 2008-07-15 2008-07-15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97A KR20100008197A (ko) 2010-01-25
KR101070815B1 true KR101070815B1 (ko) 2011-10-10

Family

ID=4181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644A KR101070815B1 (ko) 2008-07-15 2008-07-15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2539A (zh) * 2014-07-04 2014-09-24 国家电网公司 一种双回线路非同名相跨线接地故障单端测距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6819B (zh) * 2014-10-28 2017-02-01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零序电流的小电流接地选线方法
CN115825638B (zh) * 2022-09-08 2023-06-13 北京昊创瑞通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配电网单相接地故障综合判断系统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62539A (zh) * 2014-07-04 2014-09-24 国家电网公司 一种双回线路非同名相跨线接地故障单端测距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197A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8640B2 (en) Secured fault detection in a power substation
Novosel et al. Algorithms for locating faults on series compensated lines using neural network and deterministic methods
US9851390B2 (en) Method for locating distribution network circuit fault based on full waveform information
US7180300B2 (en) System and method of locating ground fault i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CN103576053B (zh) 一种基于有限电能质量监测点的电压暂降源定位方法
US20210382103A1 (en) Method for Determining Conductors Involved in a Fault on a Power Transmission Line and Fault Location Using Local Current Measurements
US112118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the source of events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ing distribution-level PMU data
SE536143C2 (sv) Metod för att detektera jordfel i trefas elkraftdistributionsnät
KR101844468B1 (ko) 귀납적 분석 기반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고속 전기철도 급전계통 보호용 고속도 고장점 표정 시스템, 고장점 표정 장치 및 방법
Zadeh et al. Phasor measurement unit based transmission line protection scheme design
Sagastabeitia et al. Phase asymmetry: A new parameter for detecting single-phase earth faults in compensated MV networks
CN103840437A (zh) 配电网铁磁谐振与单相接地故障的快速诊断与处理方法
Li et al. A novel pilot protection scheme for LCC-HVDC transmission lines based on smoothing-reactor voltage
CN106093714A (zh) 小电流接地系统单相接地故障线路的选线方法
CN109964136B (zh) 用于故障方向检测的方法和控制系统
Nam et al. Single line-to-ground fault location based on unsynchronized phasors in automated ungrounded distribution systems
KR101070815B1 (ko)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고장구간 및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한방법
KR100538563B1 (ko) 전력계통 모의시험 시스템 및 그 방법
Abasi et al. Broken conductor fault location in power transmission lines using GMDH function and single-terminal data independent of line parameters
CN103487724A (zh) 一种配电网单相接地故障定位方法
KR102350387B1 (ko) 고장 구간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3454561B (zh) 一种配电网单相接地故障定位方法
KR20070046634A (ko) 배전자동화 기반 고장선로 상의 고장거리 계산 장치
Han et al. Traveling wave fault locator for mixed, overhead, and underground teed transmission feeders
CN113671315B (zh) 基于比例差动原理的ITn供电绝缘故障定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