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559B1 -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559B1
KR101070559B1 KR1020057013620A KR20057013620A KR101070559B1 KR 101070559 B1 KR101070559 B1 KR 101070559B1 KR 1020057013620 A KR1020057013620 A KR 1020057013620A KR 20057013620 A KR20057013620 A KR 20057013620A KR 101070559 B1 KR101070559 B1 KR 10107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storage container
sleeve
assembly
closur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5984A (ko
Inventor
데이비드 윌리엄 톰슨
스튜어트 존슨
Original Assignee
구알라 클로져스 페이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알라 클로져스 페이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구알라 클로져스 페이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5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6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initial opening or unauthorised access being indicated by a visual change using indicators other than tearable means, e.g. change of colour, pattern or o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6Deformable or tearable wires, strings, or strips; Use of seals, e.g. destructible locking pins
    • B65D55/08Annular elements encircling container necks
    • B65D55/0818Destructible or permanently removable bands, e.g. adhesive
    • B65D55/0836Metallic strips, e.g. soldered on container and lid
    • B65D55/0845Metallic strips or cap-like collars having their edges crimped over part of the container and closure or other element, e.g. with C-shaped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의 목과 같은, 예를 들어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에 사용되기에 알맞은 마개조립체(5; 5a; 5b)를 개시한다. 이러한 마개조립체(5; 5a; 5b)는 훼손-검증, 예를 들어 개봉 여부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고, 또한 유익하게도 리필방지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마개조립체(5)는 유지수단에 의해 서로 관련하여 유지되는 제1부재 또는 제1훼손표시수단(10; 10a; 10b) 및 저장용기마개부재(20; 20a; 20b)를 포함하고, 또한 여기서 마개조립체(5; 5a; 5b)의 최초 개봉에 의해 유지수단은 해제되고 제1부재(10; 10a; 10b)는 향후에 밸브부재로 작동된다.
저장용기, 병, 마개, 리필방지, 리필검증

Description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본 발명은 병의 목과 같은, 예를 들어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마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배타적으로 간주되지 않고, 훼손-검증 스냅식 끼움부재(tamper-evident snap-on fitment) 또는 훼손-검증 리필방지 스냅식 끼움부재에 관련된 것이다.
다양한 이유 때문에, 예를 들어 알콜음료의 주정과 같은 값비싼 액체 등의 액체를 저장하는 병과 같은 사용된 저장용기는, 원 내용물과 속성과 품질이 다른 다량의 다른 액체 대체물로 리필되지 않는 것이 확실하게 요구될 수 있다. 이처럼 리필을 어렵게 하는 마개를 구비하려는 시도가 소정의 리필하는 노력에 대해 항상 대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병 및 병의 원 내용물이 손상되지 않았다는 증거를 제공하는 훼손-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지라도, 만약 병이 대체뚜껑이나 대체마개로 다시 밀봉될 수 있다면, 병이 함부로 훼손되었고/훼손되었거나 리필되었고 내용물이 원 내용물보다 품질이 낮다는 것을 구매자에게 거의 표시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과도한 수준으로 노력하거나 병을 파손시키지 않고는 제거될 수 없 는 마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는 단지 실례로서 선택된,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한 영국 특허 제2274837호에 도시된다.
본래의 마개가 병이나 마개를 가시적으로 손상시키거나 파손시키지 않고는 제거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쉽게 제거되지 않는 마개는, 이러한 리필을 방지 또는 저지하기 위해 마개에 구비된 특징을 극복함으로써 저장용기를 리필하려는 시도의 대상이 될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병의 리필을 방지하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더하여, 어떤 리필 방지 기능이 작동되지 않는 동안, 병이 최초에 원 내용물로 채워진 이후 개봉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는 제거할 수 없고/없거나 변경할 수 없는 훼손-표시 또는 훼손-검증 특징을 갖는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명확한 표시기는 종래의 마개 설계에서 다소 결여되었다.
또한, 마개조립체를 확실하고 용이하게 제조 및 조립하여 병 목에 끼울 수 있는 단순한 설계가 필요하다. 이런 단순함은 종래의 마개 설계에서 다소 결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기재한 문제점/단점 중 적어도 하나를 예방하거나 적어도 완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의 목적은 마개조립체가 이전에 개봉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방법으로, 최초 개봉 시에 제거되고 위조자 등에 의해 다시 부착되기 용이한 어떤 부분도 갖지 않는 개량된 마 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마개조립체(또는 훼손-검증 장치)가 제공되고, 마개조립체는 제1훼손표시수단, 배플부재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최초 개봉에 앞서 제1훼손표시수단은 제1유지수단에 의해 배플과 관련하여 유지되고, 배플은 제2유지수단에 의해 저장용기마개부재와 관련하여 유지되며, 또한,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에 의해 제1유지수단이 해제된 후 제2유지수단이 차례로 해제된다.
즉, 제1유지수단의 해제력(release force)은 제2유지수단의 해제력보다 작다.
출원인은 본 발명의 장치를 "ALUSNAP"(상표) 마개조립체, 훼손-검증 장치, 스냅식 끼움부재 또는 리필 방지 장치라 명명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마개조립체가 개봉 및 재밀봉되었는지를 구매자에게 명확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제1훼손표시수단은 제1가시훼손-검증수단을 제공한다.
제1유지수단이 해제되면 제1훼손표시수단은 최초 위치부터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을 표시하는 다른 위치까지 이동된다.
또한, 마개조립체는 밸브수단과 같은 리필방지수단(non-refilling means)을 포함한다.
제1유지수단은 제1훼손표시수단의 제1말단에 연장된 볼 및 볼에 대응하게 배플에 구비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지수단은 배플 위에 구비되는 수부(male portion) 및 수부에 대응하게 저장용기마개부재의 내면 위에 구비되는 암부(female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과 소켓은 서로 마찰 또는 간섭억지끼움(interference push-fit)되어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수부의 확대형방사부(enlarged radial portion)는 최초 위치에서 암부의 축소형방사부(reduced radial portion)와 상호 작동할 수 있어, 수부 및 암부는 서로 해제 가능한 억지끼움으로 유지된다.
볼은 최초 개봉 이후에 밸브부재로 작동할 수 있다.
제1훼손표시수단이 최초의 비개봉 위치에서 저장용기마개부재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방지수단은 제1훼손표시수단의 확장된 제2말단 및 제2말단에 인접하는 밸브시트몸체의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훼손표시수단의 제1말단은 밸브시트몸체 및 유수배출장치 또는 몸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은 최초 개봉 이후의 위치에서 밸브부재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훼손표시수단의 제2말단은 플래그부재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그는 눈길을 끌도록 적당히 채색될 수 있고/있거나 정보, 예를 들어 마케팅 또는 선전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밸브시트몸체는 소정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어, 볼은 최초 조립 작업에서 밸브시트몸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특히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데 유리하다.
저장용기마개조립체는 각각의 나사산부를 내부결합하여 유수배출장치에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훼손표시수단은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다.
변형예에서, 최초 개봉에 앞서 다른 밸브부재가 소켓과 볼 사이에서 소켓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유수배출장치는 유수립(pouring lip)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조립체는 스냅식 끼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마개조립체는 입구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축선상에 놓이기에 알맞고 저장용기에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마개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슬리브에 단단히 간섭끼움되지만 슬리브에 대해 회전 가능한 제1외부슬리브, 및 제1외부슬리브로부터 분리되고 저장용기마개부재와 결합되는 제2외부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저장용기의 최초 개봉 이후 조립체의 재밀봉 시 제1 및 제2외부슬리브의 최초인접부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을 구비한다.
슬리브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는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격수단은 제2가시훼손표시 또는 훼손-검증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외부슬리브는 개봉된 제1말단과 제2말단을 가지고 제2외부슬리브는 제1밀봉말단과 제2개봉말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마개부재는 원주홈(circumferential groove)을 포함하고, 원주홈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원주립부(circumferential lip portion)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인접부는 제1 및 제2외부슬리브의 인접하는 개별 원주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최초 개봉에 앞서 제1 및 제2원주모서리는 원주홈에 위치되고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저장용기의 최초 개봉 작동 중, 제1원주모서리는 원주립부 위로 확장되거나 올려진 후, 실질적으로 제1원주모서리의 최초 원주 위치로 물러나거나 오므라들어 원주립부 뒤에서 원주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저장용기의 최초 개봉 작동 중, 원주립부는 제1원주모서리 아래로 좁아지거나 내려진 후, 실질적으로 원주립부의 최초 원주 위치로 물러나거나 확장되어 제1원주모서리의 앞에서 원주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동이 제1원주모서리와 제2원주모서리 사이에 원주립부를 가로막는 방식으로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마개부재를 재사용하여 저장용기를 다시 밀봉할 때, 제1 및 제2외부슬리브는 적어도 제1외부슬리브와 제2외부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원주립부에 의해 이격된다.
제2훼손-검증수단은, 재밀봉된 후 제1 및 제2원주모서리가 더 이상 인접하는 것이 아니라 이격됨으로써, 제1원주모서리와 제2원주모서리 사이에 나타난 공백 또는 갭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가시적인 표시기는 마개조립체(및 저장용기)가 개봉된 후 다시 밀봉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제1외부슬리브의 제1원주모서리는 제1외부슬리브에 제1원주비드부(beaded portion)를 구비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2외부슬리브의 제2원주모서리도 제2외부슬리브에 제2원주비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슬리브는 소정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재료는 금속, 또는 금속계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또는 금속계재료는 실질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및 특히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이 인쇄용 염료, 잉크, 페인트 등의 적용을 위한 양질의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메시지, 로고, 이미지, 명칭, 및 다른 정보는 제1 및 제2외부슬리브에 의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메시지는 마개조립체의 개봉을 위한 회전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마개부재는 저장용기의 개봉 작동 중 뚜껑을 일반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나사산부를 구비하는 뚜껑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조립체는 리필방지장치를 포함하고, 리필방지장치는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에 고착시키기에 적합한 유수배출장치를 구비한다. 저장용기마개부재는 유수배출장치의 배출구를 닫는데 적합한 뚜껑일 수 있고, 제1외부슬리브는 유수배출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배출구는 실질적으로 환형태이고 뚜껑은 내부말단면 위의 환형봉인을 환형배출구 내로 연장하여 제거 가능하게 수용 가능할 수 있다.
제2외부슬리브부재는 뚜껑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은 일반적으로 제2외부슬리브에 간섭끼움으로 단단히 수용되지만, 충분한 힘을 적용하면 제2외부슬리브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유수배출장치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슬리브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필방지장치는 저장용기의 목부의 적어도 일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가능한 밸브시트몸체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밸브시트몸체는 슬리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가동의 밸브부재가 밸브시트몸체 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외부슬리브를 슬리브에 대해 세로로 유지하는 수단, 예를 들어 슬리브의 말단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제1외부슬리브의 한 말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에 앞서, 제1 및 제2슬리브의 제1 및 제2원주모서리는 뚜껑에 구비되는 원주홈 내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이러한 배치는 뚜껑과 슬리브의 상대적인 비틀림에 의해 저장용기가 최초 개봉될 때, 제2외부슬리브의 제2원주모서리는 뚜껑에 구비된 홈 내에 머무르고, 제1외부슬리브의 제1원주모서리는 점진적으로 탄력있게 원주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뚜껑에 구비된 홈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뚜껑은 유수배출장치 및 제1부에서 확실하게 제거된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원주립부는 점진적으로 원주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한다. 뚜껑과 제1외부슬리브의 제1원주모서리 사이의 접촉을 제거하자마자, 제1원주모서리는 실질적으로 원주, 예를 들어 제1원주모서리의 최초 원주를 줄이기 위해 수축하여, 결과 원주는 홈 아래에 위치한 뚜껑부의 원주보다 작게 된다. 이 뚜껑부는 원주립으로 뚜껑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이 유수배출장치에 재사용될 때, 뚜껑의 원주립부가 제1외부슬리브의 제1원주모서리에 휴지, 안착 또는 인접하면 정지위치에 도달되고, 이에 따라서 뚜껑이 비개봉된 최초 시작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세로의 갭 또는 공백이 제1외부슬리브와 제2외부슬리브 사이에 남아있음에 따라, 뚜껑의 원주부분을 노출시키며, 원주부분은 제1원주모서리 및 유수장치의 최초 뚜껑안착면 내에 처음부터 싸여지거나 넣어진 원주립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뚜껑의 노출된 원주부분은 정보, 장려 메시지 등으로 뚜렷이 채색 또는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은 저장용기에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제1수단을 포함하여, 슬리브가 저장용기의 목부에 대해 회전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은 저장용기에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제2수단을 포함하여, 슬리브가 저장용기의 입구에 대해 세로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슬리브 고정용 제2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수단의 형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수단은 경직되게 탄력있는 방식으로 슬리브의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저장용기의 외부립부와 맞물릴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외부슬리브는 슬리브의 외면과 제1외부슬리브의 내면 사이의 간섭끼움에 의해 슬리브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뚜껑은 내부에 나사산부를 구비하고, 뚜껑의 나사산부에 대응하는 유수배출장치의 나사산부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외부슬리브는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외부슬리브는 금속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에 사용되기 전에 적어도 슬리브와 밸브시트몸체를 함께, 바람직하게는 마개조립체의 모든 부분을 함께 조립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조립체의 모든 부분을 함께 조립하는 경우에, 마개조립체는 "일체형끼움부재"으로 간주된다.
슬리브의 내벽에 돌출수단이 구비되어 저장용기의 목부에 탄력있게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리브는 슬리브 주변의 하나 이상의 원주구멍(circumferential aperture)을 포함하고, 원주구멍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의 부분들 사이에서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각 돌출수단은 구멍들 중 하나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각 돌출수단은 구멍들 중 하나의 하부원주모서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유수배출장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립을 포함한다.
상기 배플은 상기 배플의 하부외부모서리에 위치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brim)를 구비한다. 테두리는 불법적인 리필작동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슬리브는 내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rib) 또는 리지(ridge)를 더 구비하는 것이 편리하고, 리브 또는 리지는 슬리브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브 또는 리지는 사용시 저장용기(예를 들어 병의 "유리 마감")의 외면 위의 양각 돌기(raised pips), 리지 또는 선과 상호 작동하여, 원하지 않은 슬리브의 회전이동을 방지한다.
밸브시트몸체는 관형부를 포함하고, 관형부의 자유말단부는 상기 관형부에 고정된 밸브부재에 의해 봉인하는 방식으로 접촉되기에 적합한 밸브시트를 구비한다.
밸브시트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이고, 플랜지는 관형부의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밸브시트는 관형부의 한 말단에 위치하고, 관형부의 상기 말단은 원형구멍을 제외하고 닫혀진다.
관형부는 저장용기의 입구부 내로 실질적으로 수용되기에 적합하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관형부는 외면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간섭하는 방식으로 저장용기의 내면에 연결된다. 연결수단은 방사상 연장되는 원주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시트에서 먼 관형부의 한 말단이나 말단 부근에 관형부보다 직경이 크고 실질적으로 동일 중심인 다른 관형몸체가 구비되고, 다른 관형몸체의 내면은 하나 이상의 웨브(web)에 의해 관형부의 외부에 연결된다.
다른 관형몸체의 제1말단은 환형플랜지에 의해 관형부의 외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구조는 관형부의 외면과 다른 관형몸체의 내면 사이에서 한정된 원주홈통(circumferential trough)에 홈통층(trough floor)을 형성하는 플랜지를 구비한다. 홈통은 웨브에 의해 작은 호형태의 홈통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홈통은 물체를 마개조립체를 관통하여 저장용기 내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른 관형몸체의 제2말단은 밸브시트에서 먼 관형부의 말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형부는 사용시 조립된 마개조립체의 내부슬리브를 형성한다.
다른 관형몸체의 외면은 슬리브의 내면 및/또는 유수배출장치와 상호 간섭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상 연장되는 원주림(rim)은 다른 관형몸체의 한 말단의 외부모서리에 위치되고, 원주림은 조립된 마개조립체 내에서 슬리브의 내면에 구비된 방사상 연장되는 원주림의 하면에 반대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마개조립체(또는 훼손-검증 장치)가 제공되고, 마개조립체는 제1훼손표시수단,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최초 개봉에 앞서 제1훼손표시수단 및 마개부재는 억지끼움 또는 간섭끼움 유지수단에 의해 서로 관련하여 유지되고, 또한, 최초 개봉에 의해 억지끼움 또는 간섭끼움 유지수단이 해제된다.
즉, 최초 개봉에 의해 제1훼손표시수단은 저장용기마개부재에서 해제된다.
억지끼움 또는 간섭끼움 유지수단은 배플과 관련하여 제1훼손표시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제1유지수단 및 저장용기마개부재와 관련하여 배플을 유지하기 위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수단의 해제에 의해 제1훼손표시수단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은 최초 개봉을 나타낸다. 상기 제2위치에서, 제1훼손표시수단은 저장용기 내에서 가시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저장용기에 걸려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마개조립체(또는 훼손-검증 장치)가 제공되고, 마개조립체는 제1부재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최초 개봉에 앞서 제1부재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는 유지수단에 의해 서로 관련하여 유지되고, 또한,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에 의해 유지수단은 해제되고 제1부재는 향후에 밸브부재로 작동된다.
제1부재는 제1훼손표시부재, 예를 들어 제1가시훼손-검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수단은 해제 가능한 억지/클립/간섭끼움 유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유지수단은 배플과 관련하여 제1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제1유지수단 및 저장용기마개부재와 관련하여 배플을 유지하기 위한 제2유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지수단은 저장용기마개부재와 관련하여 제1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제1유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경우에서 저장용기마개부재는 뚜껑 및 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부재는 잠금수단, 예를 들어 유지부재 및 뚜껑 위에서 상호 작동하는 리브 및 홈에 의해 뚜껑에 확실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초 개봉에 앞서 제1부재는 제1유지수단에 의해 배플과 관련하여 유지될 수 있고, 배플은 제2유지수단에 의해 저장용기마개부재와 관련하여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에 의해 제1유지수단 및 제2유지수단은 차례로 해제될 수 있다.
유지수단의 해제에 의해 제1부재는 최초 위치부터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을 표시하는 다른 위치까지 이동된다.
상기 이동은 상기 최초 위치에서 상기 다른 위치까지 낙하되는 제1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마개조립체를 포함하는 저장용기가 제공된다.
저장용기는 액체용 저장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는, 예를 들어 알콜음료 또는 음료, 예컨데 보드카, 위스키, 브랜디, 진 등의 주정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병, 예를 들어 유리병일 것이다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양태에 따른 저장용기 및 마개조립체의 조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조합체에 포장된 알콜물질을 포함하는 알콜음료 제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마개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되고, 제조방법은 (a) 외부슬리브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b)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고착시키기에 적합한 유수배출장치 및 슬리브를 제공하고, 유수배출장치 및/또는 슬리브에 해제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는 저장용기마개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c) 유수배출장치, 슬리브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를 외부슬리브부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d) 외부슬리브부재를 제1외부슬리브와 별도의 제2외부슬리브부재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d)는 기계공구의 칼날과 같은 제1절단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d)는 외부슬리브부재의 주변부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제1 및 제2외부슬리브 위에 제1 및 제2원주모서리를 인접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모서리는 저장용기마개부재에 부착된 원주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원주모서리는 제1 또는 제2외부슬리브의 개별 인접부에 비해 직경이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c) 이후에 제조방법은
(e) 슬리브의 말단 위에 제1외부슬리브의 말단을 형성하여, 제1외부슬리브 및 슬리브를 세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e)는 기계공구의 다른 칼날과 같은 제2절단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d) 및 단계 (e)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착수된다.
이렇게 형성된 마개조립체는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스냅식의 적용을 위한 단일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르면, 병에 담는(bottling) 방법이 제공되고, (a)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마개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b) 병을 제공하는 단계, (c) 액체로 병을 채우는 단계 및 (d) 병의 입구 및 목에 마개조립체를 사용하여 병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양태에 따르면, 제1, 제2, 또는 제3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마개조립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조방법은 (a) 밸브시트몸체 및 밸브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b) 밸브부재의 폭이 밸브시트몸체의 구멍의 폭보다 넓을 때, 밸브시트몸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밸브부재를 밀어넣어, 밸브시트몸체와 밸브부재를 서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양태에 따르면,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마개조립체(또는 훼손-검증장치)가 제공되고, 마개조립체는 제1부재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서 최초 개봉에 앞서 제1부재 및 저장용기마개부재는 유지수단에 의해 서로 관련하여 유지되고, 또한, 마개조립체의 최초 개봉에 의해 유지수단은 해제되어 제1부재가 향후에 제1훼손검증 또는 표시수단 또는 표시부재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단지 실례의 방법에 의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로 기재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최초 개봉 작업 이전의 마개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b는 최초 개봉 작업 동안의 도 1a의 마개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c는 최초(또는 연속한) 개봉 작업 이후의 도 1a의 마개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1d는 재밀봉 작업 이후의 도 1a의 마개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2는 최초 개봉 작업 이전의 도 1a의 마개조립체의 다른 측단면도;
도 3은 도 1a의 마개조립체의 구성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마개조립체의 측단면도를 연속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비개봉; 도 4b는 첫번째 개봉 중; 도 4c는 개봉; 도 4d는 유수 중; 도 4e는 재밀봉을 나타내는 도; 및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마개조립체의 측단면도를 연속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비개봉; 도 5b는 첫번째 개봉 중; 도 5c는 개봉; 도 5d는 유수 중; 도 5e는 재밀봉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마개조립체(또는 훼손-검증장치)는 전체적으로 5로 나타낸다. 마개조립체(5)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부분 도시한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 및 목부에 사용되기에 알맞다. 마개조립체 (5)는 제1부재 또는 제1훼손표시수단(10); 배플(15); 및 저장용기마개부재(20)를 포함하고, 여기서 최초 개봉에 앞서 제1훼손표시수단(10)은 제1유지수단(제1접합; 25)에 의해 배플(15)과 관련하여 유지되고, 배플(15)은 제2유지수단(제2접합 또는 클립; 30)에 의해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유지되며(도 1a), 여기서 또한, 마개조립체(5)의 최초 개봉에 의해 제1유지수단(25)이 해제된 후(도 1b), 제2유지수단(30)이 차례로 해제된다(도 1c).
즉, 제1유지수단(25)의 해제력은 제2유지수단(30)의 해제력보다 작다.
제1유지수단(25)의 해제에 의해 제1훼손표시수단(10)은 최초 위치부터 마개조립체(5)의 최초 개봉을 표시하는 다른 위치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제1훼손표시수단(10)은 드롭다운플래그(drop-down flag)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마개조립체(5)는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밸브수단과 같은 리필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제1유지수단(25)은 제1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에 연장된 볼 또는 볼 등의 부재(35) 및 볼에 대응하게 배플(15)에 구비되는 소켓(45)을 포함한다.
제2유지수단(30)은 배플(15) 위에 구비되는 수부(50) 및 수부에 대응하게 저장용기마개부재(20)의 내면(60) 위에 구비되는 암부(55)를 포함한다.
볼(35) 및 소켓(45)은 서로 마찰 또는 간섭억지끼움되어 해제 가능할 수 있다. 수부(50)의 확대형방사부(65)는 최초 위치에서 암부(55)의 축소형방사부(70)와 상호 작동하여 수부 및 암부(50, 55)를 서로 해제 가능한 억지끼움으로 유지한다.
볼(35)은 최초 개봉 이후에 밸브부재(75)로 작동한다.
제1훼손표시수단(10)이 최초의 비개봉 위치에서 저장용기마개부재(20)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이동방지수단은 제1훼손표시수단(10)의 확장된 제2말단(80) 및 제2말단에 인접하는 밸브시트몸체(90)의 표면(85)을 포함한다. 제1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은 밸브시트몸체(90) 및 유수배출장치 또는 몸체(95) 내에 구비된다.
최초 개봉 이후의 위치에서, 볼(35)은 소켓(45)에서 낙하하여, 밸브부재(75)로서 작동한다.
제1훼손표시수단(10)의 제2말단(80)은 플래그부재(100) 등을 포함한다. 플래그(100)는 눈길을 끌도록 적당히 채색될수 있고/있거나 정보, 예를 들어 마케팅 또는 선전용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밸브시트몸체(90)는 소정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어, 최초 조립 작업에서 볼(35)은 밸브시트몸체(90)의 구멍(105)을 관통하여 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저장용기마개조립체(20)는 각각의 나사산부(110, 115)를 내부결합하여 상호 작동시킴으로써 유수배출장치(95)에 나사결합된다.
제1훼손표시수단(10)은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다.
변형예에서, 최초 개봉에 앞서 도시하지 않은 밸브부재는 소켓(45)과 볼(35) 사이에서 소켓(45) 내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수배출장치(95)는 유수립(96)을 포함한다.
마개조립체(5)는 슬리브(220)를 포함하고, 슬리브는 입구(210)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축선상에 놓여지기에 적합하고 슬리브(220)를 저장용기(215)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마개조립체(5)는 제1외부슬리브(225)를 더 포함하고, 제1외부슬리브는 실질적으로 슬리브(220)에 단단히 간섭끼움되지만 충분한 회전력 하에서 슬리브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마개조립체(5)는 제2외부슬리브(230)를 더 포함하고, 제2외부슬리브는 제1외부슬리브(225)로부터 분리되고 저장용기마개부재 또는 뚜껑(20)과 결합된다. 하기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형성되는 도 1a에 도시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선(231)은 최초로 비개봉된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 사이에 구비된다. 절단선(231)은 마개조립체(5) 주위에서 360°로 연장하고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를 분리한다. 절단선(231)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거나 적어도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215)의 최초 개봉 이후 마개조립체(5)의 재밀봉 시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의 최초인접부를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이 구비되고, 하기에서 더 상세히 기재되는 바와 같이, 이격수단은 제2훼손표시 또는 제2훼손-검증수단을 포함한다.
제1외부슬리브(225)는 개봉된 제1 및 제2말단(240, 245)을 가지고, 제2외부슬리브(230)는 제1밀봉말단(250) 및 제2개봉말단(255)을 갖는다.
뚜껑(20)은 원주홈(260)을 포함하고, 원주홈(260)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원주립부(265)를 더 구비한다.
최초인접부는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의 최초에 인접하는 개별 원주 모서리(270, 275)를 포함한다. 최초 개봉에 앞서 제1 및 제2원주모서리(270, 275)는 원주홈(260)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한다.
저장용기의 최초 개봉 작동 중, 제1원주모서리(270)는 원주립부(265) 위로 확장되거나 올려진 후, 실질적으로 제1원주모서리의 최초 원주 위치로 물러나거나 오므라들어 원주립부(265) 뒤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이와 달리 또는 이에 더하여 저장용기의 최초 개봉 작동 중, 원주립부(265)는 제1원주모서리(270) 아래로 좁아지거나 내려진 후, 실질적으로 원주립부의 최초 원주 위치로 물러나거나 확장되어 제1원주모서리(270)의 앞에서 방사상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작동(또는 작동들)은 제1원주모서리(270)와 제2원주모서리(275) 사이에 원주립부(265)를 가로막는 방식으로 세로로 배치함으로써, 뚜껑(20)을 재사용하여 저장용기(215)를 다시 밀봉할 때,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는 제1외부슬리브와 제2외부슬리브 사이에 위치된 원주립부(265)에 의해 이격된다.
제1 및 제2원주모서리(270, 275)는 다시 밀봉된 후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더 이상 인접하는 것이 아니라 이격됨으로써, 제1원주모서리(270)와 제2원주모서리(275) 사이에 실질적으로 홈(260) 및 립부(265)를 포함하는 공백 또는 갭을 나타낸다. 이러한 가시적인 표시기가 마개조립체(5, 및 저장용기(215))를 개봉한 후 다시 밀봉되었는지 여부를 검증함으로써, 훼손표시 또는 훼손-검증수단을 더 제공한다.
변형예에서, 제1외부슬리브(225)의 제1원주모서리(270)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 제1원주모서리(270)에 인접하는 제1외부슬리브(225) 위에 제1원주비드부를 구비할 수 있고, 동일한 방식으로 제2외부슬리브(230)의 제2원주모서리(275)도 제2 원주모서리(275)에 인접하는 제2외부슬리브(230)에 제2원주비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슬리브(225, 230)는 소정의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금속, 또는 금속계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금속은 실질적으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을 포함한다. 알루미늄이 인쇄용 염료, 잉크, 페인트 등의 적용을 위한 양질의 매체를 제공함으로써, 메시지, 로고, 이미지, 명칭, 및 다른 정보는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뚜껑(20)은 슬리브(220) 또는 유수배출장치(95)의 외부 나사산부(115)와 상호 작동하는 나사산부(110)를 내부에 포함하여, 저장용기의 개봉 작업 중에 뚜껑(20)을 일반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고, 저장용기의 밀봉(재밀봉) 작업 중에 뚜껑(20)을 일반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반회전이동시킨다.
마개조립체(5)는 리필방지장치(290)를 포함하고, 리필방지장치는 밸브부재(75)를 포함하고 액체용 저장용기(215)의 입구에 고착시키기에 적합한 유수배출장치(95)를 구비한다. 뚜껑(20)은 유수배출장치(95)의 배출구(300)를 닫는데 알맞고, 제1외부슬리브(225)는 유수배출장치(95)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선택적으로 위치된다. 배출구(300)는 실질적으로 환형태이고 뚜껑(235)은 내부말단면(305) 위의 환형봉인(310)을 환형의 배출구(300) 내로 연장하여 제거 가능하게 수용 가능하다. 환형의 배출구(300)는 원주유수립(96)으로 한정된다.
제2외부슬리브(230)는 뚜껑(20)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뚜껑(20)은 일반적으로 제2외부슬리브(230)에 간섭끼움으로 단단히 수용되지만, 충분한 힘을 적용하면 제2외부슬리브(235)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개조립체(5)를 다시 밀봉할 때, 원주립부(265)가 제1원주모서리(270)에 인접하면, 다른 재밀봉이동(예를 들어 제2외부슬리브(225)의 시계방향 회전)은 뚜껑(20)을 고정시키고, 외부슬리브(225)를 뚜껑에 대해 회전시킨다. 또한, 제2원주모서리(275)는 제2원주슬리브(230)를 뚜껑(20)에 대해 세로로 유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유수배출장치(95)는, 예를 들어 사출성형에 의해 슬리브(220)와 일체로 만들어진다.
리필방지장치(290)는 저장용기(215)의 목부(211)의 적어도 일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 가능한 밸브시트몸체(90)를 더 포함하고, 밸브시트몸체(90)는 슬리브(220)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진다. 가동의 밸브부재(75)는 밸브시트몸체(90) 내에 구비된다.
논리턴밸브(non-return valve)는 밸브시트몸체(90) 및 밸브부재(75)로 형성되고 보통 병(215)의 수직위치에서 닫히며, 유수작업 중 병(215)에서 액체가 흘러나오는 동안, 밸브는 허가받지 않은 기초적인 주입작업 또는 심지어 병 입구(210)로 물체, 튜브 등을 삽입하는 것과 같은 더욱 정교한 방법에 의해 병(215) 안으로의 액체 유입을 제한한다.
제1외부슬리브(225)를 슬리브(220)에 대해 세로로 유지하는 수단, 예를 들어 슬리브(220)의 말단(220) 위에 형성된(구부러진) 제1외부슬리브(225)의 한 말단(226)이 제공된다.
마개조립체(5)의 최초 개봉에 앞서, 제1 및 제2슬리브(270, 275)의 제1 및 제2 원주모서리(270, 275)는 뚜껑(20)에 구비되는 원주홈(260) 내에 위치하고,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이러한 배치는, 뚜껑(20)과 슬리브(220)의 상대적인 비틀림에 의해 저장용기(215)가 최초 개봉될 때, 제2외부슬리브(230)의 제2원주모서리(275)는 뚜껑(20)에 구비된 홈(260) 내에 머무르고, 제1외부슬리브(225)의 제1원주모서리(270)는 점진적으로 탄력있게 원주방향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뚜껑(235)에 구비된 홈(260)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뚜껑(235)은 유수배출장치(295) 및 제1외부슬리브부(225)에서 확실하게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달리 또는 그에 더하여, 원주립부(265)는 점진적으로 탄력있게 원주방향의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뚜껑(20)과 제1외부슬리브(225)의 제1원주모서리(270) 사이의 접촉을 제거하자마자, 제1원주모서리(270)는 실질적으로 원주, 예를 들어 제1원주모서리의 최초 원주를 줄이기 위해 수축하여, 결과 원주는 홈(260) 아래에 위치한 뚜껑부, 예를 들어 원주립부(265)의 원주보다 작게된다.
뚜껑(20)이 유수배출장치(95)에 재사용될 때, 뚜껑(20)의 원주립부(265)가 제1외부슬리브(225)의 제1원주모서리(270)에 휴지, 안착 또는 인접하면 정지위치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서 뚜껑(235)이 최초 시작(비개봉)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세로의 갭 또는 공백이 제1외부슬리브(225)와 제2외부슬리브(230) 사이에 남아있어, 뚜껑(20)의 원주부분이 노출되며, 원주부분은 제1외부슬리브(225) 내에 처음부터 싸여지거나 포함된 원주립부(26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공백(미도시)이 뚜껑(20)의 하부모서리와 유수배출장치(95)의 최초 뚜껑안착면(320) 사이에 존재한다.
뚜껑(20)의 노출된 원주부분은 정보, 장려 메시지 등으로 뚜렷이 채색되고/되거나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수단은 저장용기(215)에 슬리브(220)를 고정시키는 제1수단(325)을 포함하여, 슬리브(220)가 저장용기(215)의 목부(211)에 대해 회전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고정수단은 저장용기(215)에 슬리브(220)를 고정시키는 제2수단(330)을 포함하여, 슬리브(220)가 저장용기(215)의 입구(210)에 대해 세로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슬리브(220) 고정용 제2수단(330)은 상기 슬리브(220)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수단(330)의 형태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수단(330)은 경직되게 탄력있는 방식으로 슬리브(230)의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저장용기(215)의 외부립부(212)와 맞물릴 수 있다.
슬리브(220)는 슬리브(220)의 외면(340)과 제1외부슬리브(225)의 내면(345) 사이의 간섭끼움에 의해 제1외부슬리브(225)에 끼워진다. 뚜껑(20)은 내부에 나사산부(285)를 구비하고, 나사산부에 대응하는 유수배출장치(95)의 나사산부(115)와 맞물린다.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는 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는 금속박을 포함한다.
저장용기(215)에 사용되기 전에 슬리브(220)와 밸브시트몸체(90)를 함께 조립하는 수단(346), 예컨데 각각에 의해 지지되는 상호 작동하는 리브 및 홈이 제공된다.
슬리브(220)의 내벽에 돌출수단(330)이 제공되어 저장용기(215)의 목부(211)와 외부립부(212)는 탄력있게 맞물린다.
슬리브(220)는 슬리브(220) 주변의 하나 이상의 원주구멍(315)을 포함하고, 원주구멍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브(220)의 부분들 사이에서 한정된다. 그/각각의 돌출수단(330)은 구멍(315)들 중 하나의 모서리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본 마개조립체(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돌출수단(330)은 구멍(315)들 중 하나의 하부원주모서리(360)에 위치된다.
배플(15)은 상기 배플(15)의 하부외부모서리(395)에 위치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390)를 구비한다.
슬리브(220)는 내면(4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405; 또는 리지)를 편리하게 더 구비하고, 본 실시형태에서 슬리브(220)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220)에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축을 갖는다. 이러한 리브(405)는 사용시 저장용기(215; 소위 병의 "유리 마감"을 포함하는)의 외면 위의 양각 돌기, 리지 등(미도시)과 상호 작동하는 회전방지용 제1수단(325)을 형성함으로써, 원하지 않은 슬리브(220)의 회전이동을 방지한다.
리지(또는 리지들)에 대해 작동하는 리브(또는 리브들; 405)이 정지위치에 이를때까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어떤 부 회전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힘을 가하면 제1외부슬리브(235) 및/또는 제2외부슬리브(230)는 슬리브(220) 및/또는 뚜껑(235)에 대하여 제각기 회전한다.
밸브시트몸체(90)는 관형부(410)를 포함하고, 관형부의 자유말단부(415)는 관형부(410)에 고정된 밸브부재(7)에 의해 봉인하는 방식으로 접촉되기에 적합한 밸브시트(420)를 구비한다. 밸브 시트(42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421)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관형부(410)의 방사상 안쪽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밸브시트(420)는 관형부(410)의 한 말단에 위치하고, 관형부(410)의 상기 말단은 구멍을 제외하고 닫혀지며, 본 경우에서 구멍은 원형구멍(425)이다.
관형부(410)는 저장용기(215)의 입구부(210) 내로 실질적으로 수용되기에 알맞다. 관형부(410)는 외면(235)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수단(430)을 더 포함하여, 간섭하는 방식으로 저장용기(215)의 내면(440)에 연결된다. 연결수단(430)은 방사상 연장되는 원주리브를 포함한다.
밸브시트(420)에서 먼 관형부(410)의 한 말단이나 말단 부근에 관형부(410)보다 직경이 크고 실질적으로 동일 중심인 다른 관형몸체(445)가 구비되고, 다른 관형몸체(445)의 내면(445)은 하나 이상의 다른 웨브(460)에 의해 관형부(410)의 외면(455)에 연결된다. 또한, 다른 관형부(445)의 제1말단(465)은 환형플랜지(475)에 의해 관형부(410)의 외면(455)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관형부(410)의 외면(470)과 다른 관형몸체(475)의 내면(450) 사이에서 한정된 원주홈통(480)에 홈통층을 형성하는 플랜지(75)를 구비한다. 홈통(480)은 웨브(460)에 의해 작은 호형태의 홈통들(485)로 분할된다. 이러한 홈통(480) 또는 홈통들(485)은 물체를 마개조립체(5)를 관통하여 저장용기(215) 내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른 관형몸체(445)의 제2말단(490)은 밸브시트(420)에서 먼 관형부(410)의 말단(49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관형부(410)는 사용시 조립된 마개조립체(5)의 내부슬리브를 형성한다.
다른 관형몸체(445)의 외면(500)은 슬리브(420)의 내면(505)과 상호 간섭작동한다. 방사상 연장되는 원주림(510)은 다른 관형몸체(445)의 한 말단의 외부모서리(515)에 위치하고, 원주림은 조립된 마개조립체(5) 내에서 슬리브(220)의 내면에 구비된 방사상 연장되는 원주림(425)의 하면에 반대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215)는 액체용 저장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215)는, 예를 들어 알콜음료 또는 음료, 예컨데 보드카, 위스키, 브랜디, 진 등의 주정과 같은 액체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병, 예를 들어 유리병일 것이다.
통상적으로, 병(215)은 유리로 만들어지거나 이와 달리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는 알루미늄으로, 뚜껑(2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슬리브(220) 및 유수배출장치(95)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저탄력 플라스틱 재료, 본 실시형태에서 상표명 "STYROLUX"에서 얻을 수 있는 폴리스티렌으로, 제1훼손표시수단(10)은 폴리카보네이트로, 그리고 밸브시트몸체(315)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마개조립체(5)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외부슬리브부재(224)를 제공하는 단계, (b) 액체용 저장용기(215)의 입구부 및/또는 목부(210, 211)에 고착시키기에 적합한 유수배출장치(95) 및 슬리브(220)를 제공하고, 유수배출장치(95) 및/또는 슬리브(220)에 해제 가능하게 고착할 수 있는 저장용기마개부재(20)를 제공하는 단계, (c) 유수배출장치(95), 슬리브(220) 및 저장용기마개부재(20)를 외부슬리브부재(22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단계, 및 (d) 외부슬리브부재(224)를 제1외부슬리브(225) 및 별도의 제2외부슬리브(230)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35)은 구멍(425)을 관통하여 볼(35)을 밀어넣음으로써 밸브시트몸체(90)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대량 생산에서 특히 유리하다. 단계 (d)는 기계공구의 칼날(미도시)과 같은 제1절단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단계 (d)는: 외부슬리브부재(224)의 주변부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제1 및 제2외부슬리브(225, 230)에 제1 및 제2원주모서리(270)를 인접하게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에서 칼날은 상술한 절단선(231)을 형성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원주모서리는 저장용기마개부재(20)에 부착된 원주홈(260)에 형성된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원주모서리(275)는 적어도 제1 또는 제2외부슬리브(225, 230)의 개별 인접부에 비해 직경이 감소된다.
또한 단계 (c) 이후에, 제조방법은 (e) 슬리브(220)의 말단(320) 위에 제1외부슬리브(225)의 말단(226)을 형성하여, 제1외부슬리브(225) 및 슬리브(220)를 세로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e)는 기계공구의 다른 칼날(미도시)과 같은 제2절단공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단계 (d) 및 단계 (e)는, 예를 들어 제조 속도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착수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방법에 의해 형성된 마개조립체(5)는 저장용기(215)의 입구부 및 목부 (210, 211)에 스냅식의 적용을 위한 단일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에 담는 방법은 (a) 마개조립체(5)를 제공하는 단계, (b) 병(215)을 제공하는 단계, (c) 액체로 병(215)을 채우는 단계 및 (d) 병(215)의 입구부 및 목부(210, 211)에 마개조립체(5)를 사용해 병(215)을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의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마개조립체(훼손-검증장치)의 측단면도를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전체적으로 5a로 나타낸다. 제2실시형태는 앞서 기재된 제1실시형태와 많은 점에서 유사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지만 뒤에 "a"를 덧붙인다.
그러나, 제2실시형태에서 제2유지수단(30a)은 배플(15a)에 구비된 암부(50a) 및 암부에 대응하게 유지부재 또는 밀봉워드(sealing wad; 61a)의 내면(60a)에 구비되는 수부(55a)를 포함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부(50a) 및 수부(55a)는 처음에는 간섭끼움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최초 개봉 시에 해제된다. 또한, 유지부재(61a)는 잠금수단(62a), 즉 유지부재(61a)와 마개부재(20a) 위에서 상호 작동하는 리브 및 홈에 의해 마개부재(20a)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라 마개조립체(훼손-검증장치)의 측단면도를 연속적으로 도시하고, 전체적으로 5b로 나타낸다. 제3실시형태는 앞서 기재된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많은 점에서 유사하고,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로 나타내지만 뒤에 "b"를 덧붙인다.
그러나, 제3실시형태에는 배플 또는 제2유지수단이 구비되지 않는다. 반면 에, 최초 개봉에 앞서 제1유지수단(25b)은 저장용기마개부재(20b)와 관련하여 제1부재(10b)를 유지한다. 제1유지수단(25b)은 볼(35b)에 구비된 암부(50b) 및 암부에 대응하게 유지부재 또는 밀봉워드(61b)의 내면(60b)에 구비된 수부(55a)를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부(50b) 및 수부(55b)는 처음에는 간섭끼움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최초 개봉 시에 해제된다.
제3실시형태는 다른 개시된 실시형태보다 많은 수의 장점, 예를 들어 하나의 유지수단만이 요구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제2 및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 암부(50b)와 수부(55b)사이의 간섭끼움은 포지티브클립(positive clip), 예를 들어 상호 작동하는 홈 및 리브, 볼 및 소켓 등을 제공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다.
앞서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제한적인 실례의 방법으로만 주어지고,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이해될 것이다.
특히 제1유지수단이 제2유지수단보다 더 약하지만, 제1 및 제2유지수단은 모두 목적을 이행하기에 충분히 강하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1유지수단 및 선택적인 제2유지수단이 억지끼움되어 해제 가능하므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특히 단순한 제조, 조립 및 사용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현저히 이상적이고 세련된 단일 스냅식 끼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보다 기능상 이점이 많은 것 뿐만 아니라 미적 매력이 증대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변형예에서, 제2외부슬리브 및/또는 제1외부슬리브는 옹이형(knurred) 또는 성곽형 표면을 포함하여, 마개 조립체를 개봉 및 재개봉하고/하거나 밀봉 및 재밀봉할 때 파지하는 것(gripping)을 돕는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마개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개시된 실시형태에서, 최초 개봉에 앞서 제1 및 제2외부슬리브의 제1 및 제2원주모서리는 실질적으로 서로 인접하고 실지로 더욱 인접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모서리들은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약하거나 부서지기 쉬운 절취선, 약하거나 부서지기 쉬운 링크 또는 약하고/약하거나 제거 가능한 따개 고리(tear ring)에 의해, 서로 구별되고 분리된다.
본 발명의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는, 병의 리필을 방지함과 동시에 병이 개봉되었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며, 병의 목이나 입구에 원활하게 조립 및 결합할 수 있다.

Claims (54)

  1. 저장용기의 입구부(210)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축선상에 놓여지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리필방지장치(29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리브(220);
    상기 저장용기에 상기 슬리브(2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325);
    상기 저장용기의 입구부(210)에 고착되도록 구성된 액체 배출구를 구비한 유수배출장치(95);
    상기 유수배출장치(95)의 액체 배출구를 개봉 및 밀봉하도록 구성된 상기 유수배출장치(95)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저장용기마개부재(20);
    상기 유수배출장치(95) 내에 위치하고, 밸브 시트(420)의 몸체(90)를 제공하는 자유 말단부(415)를 구비한 관형부(410)를 포함하는 리필방지장치(290); 및
    상기 관형부(410)에 고정되고, 제1말단(40)과 제2말단(80)을 포함하는 훼손표시수단(1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액체용 저장용기의 입구부(210) 및 목부에 사용되도록 구성된 마개조립체(5)에 있어서,
    상기 마개조립체(5)의 최초 개봉에 앞서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을 유지하고 상기 마개조립체(5)의 최초 개봉시에 상기 제1말단(40)을 해제하기 위한 제1유지수단(25)을 포함하고,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은 최초 위치에서 마개조립체(5)의 최초 개방을 표시하는 다른 위치까지 낙하되며,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은 밀봉 형태로 상기 밸브 시트(420) 상에서 작동하고 상기 제2말단은 가시훼손-검증수단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는 각각의 나사산부를 내부결합하여 유수배출장치(95)에 나사결합되는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제1유지수단(25)은 해제 가능한 억지끼움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마개의 최초 개봉 후 상기 밸브 시트(420) 상에서 작동하는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은 볼(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2말단(80)은 플래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그부재는 눈길을 끌도록 적절히 채색되고 마케팅 또는 선전용 정보와 같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최초 비개봉 위치에는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쪽으로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방지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방지수단은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확장된 제2말단 및 밸브시트몸체의 인접하는 표면(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플(15)이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제공되고,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상기 배플(15)을 유지하기 위해 제2유지수단(30)이 제공되고, 상기 배플(15)과 관련하여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을 유지하기 위해 제1유지수단(2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지수단(25)은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에 연장된 볼 및 상기 배플(15)에 제공된 대응하는 소켓(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30)은 상기 배플에 제공된 수부 및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의 내면에 제공된 대응하는 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지수단(30)은 상기 배플에 제공된 암부 및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의 내면에 제공된 대응하는 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제1유지수단(25)은 해제 가능한 클립끼움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마개부재(20)와 관련하여 상기 훼손표시수단(10)의 제1말단(40)을 유지하기 위한 상기 제1유지수단(25)은 해제 가능한 간섭끼움 유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조립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KR1020057013620A 2003-01-25 2004-01-22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 KR101070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301818.1A GB0301818D0 (en) 2003-01-25 2003-01-25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GB0301818.1 2003-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984A KR20050085984A (ko) 2005-08-29
KR101070559B1 true KR101070559B1 (ko) 2011-10-05

Family

ID=995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620A KR101070559B1 (ko) 2003-01-25 2004-01-22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585684B1 (ko)
KR (1) KR101070559B1 (ko)
CN (1) CN100355632C (ko)
AT (1) ATE370894T1 (ko)
BR (1) BRPI0406972B1 (ko)
DE (1) DE602004008423T2 (ko)
EA (1) EA007834B1 (ko)
ES (1) ES2294459T3 (ko)
GB (2) GB0301818D0 (ko)
MX (1) MXPA05007720A (ko)
UA (1) UA80858C2 (ko)
WO (1) WO200406738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09B1 (ko) 2020-01-02 2020-09-09 최용호 레저용 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5266U (uk) * 2004-08-09 2005-02-15 Общєство С Огранічєнной Отвєтствєнностью Торговий Дом "Альтернатіва-Ана" Пробка для пляшки
ITMI20060247A1 (it) * 2006-02-10 2007-08-11 Nicola Fabiano Dispositivo di chiusura per bottiglie e in opartyicolare per bottiglie di alcolici e superalcolici
ITMI20061920A1 (it) * 2006-10-06 2008-04-07 Nicola Fabiano Dispositivo di chiusura anti effrazione per bottiglie e,in paticolare,per bottiglie di alcolici o superalcolici
EA013022B1 (ru) * 2006-10-09 2010-02-26 Володымыр Володымыровыч Заець Закупор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ки с жидкостью
EA009265B1 (ru) * 2007-01-25 2007-12-28 Дмитрий Иванович ПАХОМОВ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EA011751B1 (ru) * 2007-06-18 2009-06-30 Дмитрий Иванович ПАХОМОВ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GB2450939B (en) * 2007-07-13 2012-02-01 Obrist Closures Switzerland Tamper-Evident closure
IT1394208B1 (it) * 2009-04-30 2012-06-01 Creative Gcl S R L Inserto in-bore per contenitori di liquidi e chiusura per contenitori di liquidi comprendente tale inserto.
UA100946C2 (ru) * 2009-04-30 2013-02-11 Гуала Клоужес С.П.А. Защищенная вставка для емкостей для жидкостей
WO2012112127A1 (en) * 2011-02-15 2012-08-23 Sathitakorn Udom Closure with opening indicated band
GB201201976D0 (en) * 2012-02-03 2012-03-21 Obrist Closures Switzerland Tamper-evident closure
US9016524B2 (en) * 2012-09-17 2015-04-28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Tamper-evident anti-refill dispensing fitment for a container
UA114115C2 (xx) * 2015-03-30 2017-04-25 Закупорюв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вузол закупорювання та засіб індикації розкриття пляшки з рідиною
UA115070C2 (uk) * 2015-03-30 2017-09-11 Артем Олександрович Хортієв Закупорюв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вузол закупорювання та засіб індикації розтинання пляшки з рідиною
UA114002C2 (xx) * 2015-03-30 2017-04-10 Закупорювальний пристрій, вузол закупорювання та засіб індикації розкривання пляшки з рідиною
GB201509390D0 (en) 2015-06-01 2015-07-15 Obrist Closures Switzerland A closure
CN114728721A (zh) * 2019-11-18 2022-07-08 强生消费者公司 掀盖封闭件
CN115485208B (zh) * 2020-05-04 2023-09-19 爱慕莎有限公司 用于保温瓶或保温杯的具有可旋转封盖的饮用瓶封闭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795A (en) * 1978-07-04 1980-11-11 Tradall S.A. Non-refillable bottle clos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8109A (fr) * 1966-04-29 1967-04-21 Mauceri Borghetto Alluminio Capsule anti-remplissage pour l'obturation des récipients
FR2203751B1 (ko) * 1972-10-25 1978-05-26 Bereziat Andre
IT1137589B (it) * 1981-05-12 1986-09-10 Guala Angelo Spa Chiusura con garanzia interna per bottiglie e simili
MX156476A (es) * 1983-02-04 1988-08-28 Maquinas Fabricacion Sa De Tapon irrellenable e inviolable mejorado
MX171075B (es) * 1988-06-10 1993-09-29 Grupo Stevi Sa Mejoras a tapon irrellenable para botellas y recipientes similares
CO4480049A1 (es) * 1995-01-30 1997-07-09 Grupo Stevi S A De C V Tapa inviolable e irrellenable con sobretapa
FR2738802B1 (fr) * 1995-09-14 1997-10-24 Pechiney Emballage Alimentaire Dispositif de bouchage anti-fraude
IT1292074B1 (it) * 1997-06-03 1999-01-25 Guala Closures Spa Chiusura di garanzia per una bottiglia
EP0985607A1 (en) * 1998-07-28 2000-03-15 Guala Closures S.P.A. Tamper-evident closure device
CN1361741A (zh) * 1999-06-07 2002-07-31 都梅克斯塑料有限公司 用于瓶子或容器的非再填充和防假冒闭塞装置
EP1147994A1 (fr) * 2000-04-07 2001-10-24 L & M SERVICES B.V. Dispositif de bouchage pour récipient de produits liquides
GB0112726D0 (en) * 2001-05-25 2001-07-18 Montgomery Daniel & Son Ltd Tamper-evident device
GB0220554D0 (en) * 2002-07-31 2002-10-09 Montgomery Daniel & Son Ltd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2795A (en) * 1978-07-04 1980-11-11 Tradall S.A. Non-refillable bottle clos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09B1 (ko) 2020-01-02 2020-09-09 최용호 레저용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501177A1 (ru) 2006-02-24
GB0301818D0 (en) 2003-02-26
BRPI0406972B1 (pt) 2016-12-20
KR20050085984A (ko) 2005-08-29
CN100355632C (zh) 2007-12-19
BRPI0406972A (pt) 2006-01-10
GB0401356D0 (en) 2004-02-25
EP1585684B1 (en) 2007-08-22
CN1741942A (zh) 2006-03-01
MXPA05007720A (es) 2005-09-30
GB2399339A (en) 2004-09-15
WO2004067387A2 (en) 2004-08-12
UA80858C2 (en) 2007-11-12
DE602004008423D1 (de) 2007-10-04
WO2004067387A3 (en) 2004-11-18
EP1585684A2 (en) 2005-10-19
EA007834B1 (ru) 2007-02-27
ES2294459T3 (es) 2008-04-01
ATE370894T1 (de) 2007-09-15
DE602004008423T2 (de)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559B1 (ko) 액체 저장용기 마개 조립체
EP1511677B1 (en)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6908013B2 (en) Tamper-evident device
US7398890B2 (en)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GB2329892A (en) Closure with tamper evident portion
US20030178442A1 (en)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US11993436B2 (en) Container closure
GB2285623A (en)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WO2004011347A2 (en)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RU93783U1 (ru) Затвор для бутылки с облицовочным колпачком с прорезью
EP0918700A2 (en) Liquid container closure assembly
EP1950144B1 (en) Closure
WO2004103846A1 (en) Non-refillable pouring device
WO2005032957A1 (en) Tamper-proof seal for disposable bottles and jars
WO2007049959A2 (en) Container, provided with a closable fill opening, comprising a closing member and a capsule mounted on top thereof
MX2010007332A (es) Tapon para botellas que evita el re-llenado de las mism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