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955B1 -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955B1
KR101069955B1 KR1020090091968A KR20090091968A KR101069955B1 KR 101069955 B1 KR101069955 B1 KR 101069955B1 KR 1020090091968 A KR1020090091968 A KR 1020090091968A KR 20090091968 A KR20090091968 A KR 20090091968A KR 101069955 B1 KR101069955 B1 KR 10106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broadcast signal
broadcast
cou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438A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9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2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된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를 갖는 데이터 방송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와 상기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브로드 캐스트하는 방송 기지국과, 상기 방송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송 방식과 전송 방식이 다르게 설정된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90091968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LBS),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GPS)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DATA BROADCASTING SERVICE SYSTEM, MOBILE TERMINAL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AND RECEIVING METHOD OF DATA BROADCASTING SERVICE FOR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전에 설정된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를 갖는 데이터 방송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공중파 방송, 라디오 방송, 위성 방송,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지상파 DMB 및 각종 케이블 등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송들은 각각의 방송사에서 각종 홈 쇼핑 방송, 음악 전문 방송, 영화 전문 방송 등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 PDA 또는 네비게이션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보급으로 인해 단말기 고유의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이다.
상술한 부가 서비스 중에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와 연계된 통신 서비스나 위치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개입이 요구되어 절차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사전에 설정된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를 갖는 데이터 방송을 브로드 캐스트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와,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와 상기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브로드 캐스트하는 방송 기지국과, 상기 방송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송 방식과 전송 방식이 다르게 설정된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지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상기 방송 기지국에 전달하는 방송망 접속부와, 상기 통신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의 상기 컨텐츠를 상기 통신 기지국에 전송하는 통신망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기지국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제1 유선망 접속부와, 상기 제1 유선망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 기지국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고, 요청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제2 유선망 접속부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제2 유선망 접속부로부터의 전송받은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기 통신 송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송신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제1 레벨 코드와,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제2 레벨 코드와, 해당 지역 내의 해당 도시를 나타내는 제3 레벨 코드와, 해당 도시 내의 해당 건물을 나타내는 제4 레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와,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발송용 번호 필드와, 해당 지역 내의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배달용 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와, 해당 국가 내의 위도 좌표를 나타내는 위도 정보 필드와, 해당 국가 내의 경도 좌표를 나타내는 경도 정보 필드와, 상기 컨텐츠가 해당되는 반경을 나타내는 유효 반경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방송 수신부와,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와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와,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 범위 및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가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에 근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해당 컨텐츠가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추가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에 설정된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를 갖는 데이터 방송을 브로드 캐스트하여 사용자가 일정 영역에 들 어서면 자동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100)은 컨텐츠 서버(110), 방송 기지국(120), 통신 기지국(130) 및 휴대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110)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 방송망 접속부(112) 및 통신망 접속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는 전송하고자 하는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망 접속부(112)는 방송 기지국(120)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로부터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방송 기지국(12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 접속부(113)는 통신 기지국(130)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의 컨텐츠 중 추가 컨텐츠를 통신 기지국(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기지국(120)는 제1 유선망 접속부(121) 및 데이터 전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선망 접속부(121)는 컨텐츠 서버(110)의 방송망 접속부(112)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로부터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122)는 제1 유선망 접속부(121)를 통해 전송받은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송 방식은 단방향 방식일 수 있으며, 지상파 DMB 또는 위성 DMB와 같은 데이터 방송 전송 방식일 수 있다.
통신 기지국(130)는 제2 유선망 접속부(131) 및 통신 송수신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선망 접속부(131)는 컨텐츠 서버(110)의 통신망 접속부(113)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로부터의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통신 송수신부(132)는 휴대 단말기(140)와 통신할 있으며, 이때 사전에 설정되고 상기 제1 전송 방식과 전송 방식이 상이한 제2 전송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40)로부터의 요청을 받아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로부터 추가 컨텐츠를 전송받아 휴대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송 방식은 양방향 방식일 수 있으며, WiFi/Wimax/Wibro등의 무선 인터넷 전송 방식일 수 있다.
휴대 단말기(140)는 데이터 수신부(141), 위치 정보 수신부(142), 통신 부(143) 및 제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41)는 방송 기지국(120)으로부터 컨텐츠와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142)는 휴대 단말기(140)를 소지한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인공 위성(Sa)로부터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일 수 있다.
통신부(14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 기지국(130)에 컨텐츠의 추가를 요청할 수 있고, 통신 기지국(130)으로부터 추가 컨텐츠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144)는 데이터 수신부(141)로부터의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수신부(142)로부터 전송받은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할 수 있고,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가 사전에 전송받고자 하는 컨텐츠 범위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컨텐츠의 요청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수신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 단말기(140)의 위치 정보 수신부(142)는 인공 위성(Sa)으로부터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S10).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40)의 데이터 수신부(141)는 방송 기지국(120)의 데 이터 수신부(121)로부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S20).
이후, 제어부(144)는 데이터 수신부(141)로부터의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컨텐츠가 사전에 휴대 단말기(140)의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것으로 설정된 컨텐츠 범위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용자가 관심있어 하는 분야의 컨텐츠일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수신부(142)로부터의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가 현재 사용자의 위치에 일정 위치 범위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S32).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와 위치 정보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컨텐츠와 해당 위치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3).
다음으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전송받고자 응답하는 경우(S41), 제어부(144)는 통신부(143)를 통해 컨텐츠의 추가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요청은 통신 기지국(130)을 통해 컨텐츠 서버(110)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서버(110)의 통신망 접속부(113)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11)의 추가 컨텐츠를 통신 기지국(130)을 통해 휴대 단말기(140)에 전달하고, 휴대 단말기(140)는 전송받은 추가 컨텐츠에 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방송 신호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방송 신호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채용된 방송 신호의 구조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와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송 신호는 제1 내지 제N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내지 제N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N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일 예로, 상기 제1 내지 제N 위치 정보 각각은 제1 내지 제4 레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레벨 코드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며 1 디지트(Digit)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드가 '0'일 경우 해당 컨텐츠가 전국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방송되는 것을 의미하고, '1'일 경우 해당 컨텐츠가 전국이 아닌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방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벨 코드는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며 2 디지트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3 레벨 코드는 해당 지역 내의 해당 도시를 나타내며 2 디지트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4 레벨 코드는 해당 도시 내의 해당 건물을 나타내며 3 디지트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신호는 우편 번호 체계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N 위치 정보 각각은 전국 필드, 발송용 번호 필드 및 배달용 번호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국 필드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며 1 디지트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발송용 번호 필드는 해당 국가 내에서의 대략적인 위치를 나타내며 3 디지트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 으며, 상기 배달용 번호 필드는 상기 발송용 번호 필드의 대략적인 위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며 3 디지트 코드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방송 신호는 위도/경도 좌표 체계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N 위치 정보 각각은 전국 필드, 위도 정보 필드, 경도 정보 필드 및 유효 반경 정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국 필드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며 1 디지트의 코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위도 정보 필드 및 경도 정보 필드는 각각 해당 국가 내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위도 및 경도 좌표를 나타내며, 유효 반경 정보 필드는 해당 컨텐츠의 활용이 가능한 유효 반경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컨텐츠를 사용자의 직접 개입 없이 해당 영역에 사용자가 위치하면 자동으로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인 네비게이션을 통해 지나가는 동안, 방송 기지국에서는 주변의 맛집 또는 관광 명소에 관한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브로드 캐스트하며, 사용자가 방송 기지국의 신호 전송 범위에 들어가면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평소 네비게이션에 관광 명소를 관심가는 컨텐츠로 등록해놓은 경우 네비게이션은 방송 신호의 컨텐츠 중 관광 명소에 관한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할 경우 전화번호, 위치 정보 등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관심있는 관광 명소로 경로를 설정하거나 웹사이트를 방문하거나 또는 전화를 걸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채용된 방송 신호의 구조.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데이터 방송 시스템 110...컨텐츠 서버
111...컨텐츠 데이터 베이스 112...방송망 접속부
113...통신망 접속부 120...방송 기지국
121...제1 유선망 접속부 122...데이터 전송부
130...통신 기지국 131...제2 유선망 접속부
132...통신 송수신부 140...휴대 단말기
141...데이터 수신부 142...위치 정보 수신부
143...통신 송수신부 144...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와 상기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브로드 캐스트하는 방송 기지국; 및
    상기 방송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송 방식과 전송 방식이 다르게 설정된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지국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기지국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제1 유선망 접속부; 및
    상기 제1 유선망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제1 레벨 코드;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제2 레벨 코드;
    해당 지역 내의 해당 도시를 나타내는 제3 레벨 코드; 및
    해당 도시 내의 해당 건물을 나타내는 제4 레벨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7.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와 상기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브로드 캐스트하는 방송 기지국; 및
    상기 방송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송 방식과 전송 방식이 다르게 설정된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지국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기지국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제1 유선망 접속부; 및
    상기 제1 유선망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발송용 번호 필드; 및
    해당 지역 내의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배달용 번호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8. 위치 정보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와 상기 위치 정보를 갖는 방송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제1 전송 방식으로 사전에 설정된 영역에 브로드 캐스트하는 방송 기지국; 및
    상기 방송 기지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상기 제1 전송 방식과 전송 방식이 다르게 설정된 제2 전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지국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기지국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전송받는 제1 유선망 접속부; 및
    상기 제1 유선망 접속부로부터의 상기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갖는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전송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
    해당 국가 내의 위도 좌표를 나타내는 위도 정보 필드;
    해당 국가 내의 경도 좌표를 나타내는 경도 정보 필드; 및
    상기 컨텐츠가 해당되는 반경을 나타내는 유효 반경 정보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방송 수신부;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와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제1 레벨 코드;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제2 레벨 코드;
    해당 지역 내의 해당 도시를 나타내는 제3 레벨 코드; 및
    해당 도시 내의 해당 건물을 나타내는 제4 레벨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13.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방송 수신부;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와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발송용 번호 필드; 및
    해당 지역 내의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배달용 번호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14.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방송 수신부;
    현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받는 위치 정보 수신부;
    상기 방송 수신부로부터의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와 수신받은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
    해당 국가 내의 위도 좌표를 나타내는 위도 정보 필드;
    해당 국가 내의 경도 좌표를 나타내는 경도 정보 필드; 및
    상기 컨텐츠가 해당되는 반경을 나타내는 유효 반경 정보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15. 삭제
  16.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 범위 및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가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가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에 근접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해당 컨텐츠가 있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7. 단말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위치에 따라 설정된 컨텐츠를 포함하여 브로드 캐스트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방송 신호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컨텐츠 범위 및 획득한 현재 위치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컨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추가 컨텐츠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해당하는 복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제1 레벨 코드;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제2 레벨 코드;
    해당 지역 내의 해당 도시를 나타내는 제3 레벨 코드; 및
    해당 도시 내의 해당 건물을 나타내는 제4 레벨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역 나타내는 전국 필드;
    해당 국가 내의 해당 지역을 나타내는 발송용 번호 필드; 및
    해당 지역 내의 상세 위치를 나타내는 배달용 번호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의 위치 정보는
    해당 국가의 전국 권역을 나타내는 전국 필드;
    해당 국가 내의 위도 좌표를 나타내는 위도 정보 필드;
    해당 국가 내의 경도 좌표를 나타내는 경도 정보 필드; 및
    상기 컨텐츠가 해당되는 반경을 나타내는 유효 반경 정보 필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22.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서버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
    상기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로부터의 컨텐츠 및 위치 정보를 상기 방송 기지국에 전달하는 방송망 접속부; 및
    상기 통신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의 컨텐츠를 상기 통신 기지국에 전송하는 통신망 접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23.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기지국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요청하고, 요청한 컨텐츠를 전송받는 제2 유선망 접속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제2 유선망 접속부로부터의 전송받은 컨텐츠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KR1020090091968A 2009-09-28 2009-09-28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KR101069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68A KR101069955B1 (ko) 2009-09-28 2009-09-28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68A KR101069955B1 (ko) 2009-09-28 2009-09-28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38A KR20110034438A (ko) 2011-04-05
KR101069955B1 true KR101069955B1 (ko) 2011-10-04

Family

ID=4404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968A KR101069955B1 (ko) 2009-09-28 2009-09-28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9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38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3882B2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selecting location of mobile device
US8660793B2 (en) Expediting reverse geocoding with a bounding region
US8639803B2 (en) System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future location of an entity
US20100205242A1 (en) Friend-finding system
CN110062365B (zh) 定位方法和通信设备
KR100815524B1 (ko) 휴대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스케줄링 방법
US20110288936A1 (en) Pre-Caching Location Based Advertising for Repeated Out Of Coverage Scenarios Based On Commuter or Regular Travel Patterns
US8515666B2 (en) Method for displaying map labels for geographical features having alternate names
US2009029278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anaging meet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RU2011100788A (ru) Передача информации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посредством передатчика в качестве помощи службам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JP2006094495A (ja) 衛星dmb及び地上波dmbのための位置基盤サービス提供方法
US8559970B2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location-based information services syste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790138A (zh) 位置选取方法、装置及计算机程序产品
JP2007240206A (ja) 携帯端末、情報管理装置、地図情報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及び地図情報ダウンロード方法
CA2740479C (en) Pre-caching location based advertising for repeated out of coverage scenarios based on commuter or regular travel patterns
KR20100081076A (ko)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시간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69955B1 (ko) 데이터 방송 서비스 시스템, 데이터 방송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방송 서비스 수신 방법
KR101618277B1 (ko) 영상통화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040949A (ko) 중계기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콘텐츠 제공방법
KR100400483B1 (ko) 위치정보시스템이 장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정보 제공방법
EP2299370B1 (en) Expediting Reverse Geocoding with a Bounding Region
JP2006157502A (ja) 特定場所混雑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ー、gps機能付き携帯電話機、基地局、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41204A (ko) 버스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2762A (ko) 장소정보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390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