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130B1 - 입체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130B1
KR101069130B1 KR1020040078609A KR20040078609A KR101069130B1 KR 101069130 B1 KR101069130 B1 KR 101069130B1 KR 1020040078609 A KR1020040078609 A KR 1020040078609A KR 20040078609 A KR20040078609 A KR 20040078609A KR 101069130 B1 KR101069130 B1 KR 10106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substrate
polarizing plate
parall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774A (ko
Inventor
정진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1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서 2D 및 3D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액정패널을 패러랙스 배리어로 활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면에 인셀편광판이 부착된 제 1 기판과,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셀편광판과 대면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외면에 구비된 제 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 1 액정패널과; 상기 제 1 기판 타면 방향으로 구비된 평판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그 결과 전체적인 부피 내지는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적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입체영상표시장치{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도 1은 일반적인 패러랙스 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개념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패러랙스 액정패널을 구비한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동작모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간략구조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른 패러랙스 액정패널의 화면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간략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간략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평판표시장치 120 : 패러랙스 액정패널
130 : 액정층 140,150 : 제 1 및 제 2 기판
142 : 인셀편광판 158 : 제 1 편광판
200 : 관찰자
본 발명은 패러랙스 배리어 (parallax barrier)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서 2D(2 Dimension) 및 3D(3 Dimension)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액정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패러랙스 배리어로 활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근간으로 구축된 정보의 고속화를 위해 실현될 서비스들은 현재의 전화와 같은 단순히 '듣고 말하는 서비스'로부터 문자, 음성,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디지털 단말기를 중심으로 한 '보고 듣는 멀티 미디어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궁극적으로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실감있고 입체적으로 보고 느끼고 즐기는 초공간형 실감 3D 입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화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D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 같은 능력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
현재 2차원의 화면에서 3차원 입체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시된 기술로는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무안경식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및 홀로그래픽(holographic) 디스플레이 방식이 있다.
이중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편광의 진동방향 또는 회전방향을 이용한 편광안경방식과, 좌우화상을 서로 전환시켜가면서 교대로 제시하는 시분할 안경 방식 및 좌우안에 서로 다른 밝기의 빛을 전달하는 방식인 농도차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무안경식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좌우안에 해당하는 각각의 화상 앞에 세로격자 모양의 개구(aperture)를 통하여 화상을 분리하여 관찰할 수 있게 하는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과, 반원통형 렌즈를 배열한 렌티큘러판(lenticular plate)를 이용하는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및 파리 눈 모양의 렌즈판을 이용하는 인테그럴(integral photography)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은 입체감이 생기는 요인인 촛점 조절, 폭주각, 양안시차, 운동시차 등 모든 요인을 갖춘 3D 입체화상을 얻을 수 있는데, 레이저 광 재생 홀로그램과 백색광 재생 홀로그램으로 분류된다.
이때 특수안경에 의한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많은 인원이 입체영상을 즐길 수 있으나 , 별도의 편광안경 또는 액정셔터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관찰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함과 부자연스러움을 발생시킨다.
반면, 무안경식 입체화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관찰범위가 고정되어 소수인원에 한정되지만 별도의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특징이 있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즉, 무안경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관찰자가 직접 스크린을 주시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이 사라지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보는 위치의 영향 없이 3차원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는 주로 레이저 기준광을 따로 활용함으로서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기술상의 어려움과 장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어 손쉽게 접할 수 없는 방식이다.
그리하여, 좌/우안용 스테레오이미지(stereo image)를 각각 분리하여 볼 수 있게 함으로서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인 패러랙스 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상기 패러랙스 방식은 좌/우안용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는 영상에 세로 혹은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슬릿 형태의 개구를 중첩시킴으로서 이를 통해 합성된 입체영상을 분리 관측하게 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디스플레이 패널과 더불어 슬릿이 형성된 별도의 패러랙스 베리어가 요구된다.
좀더 자세히, 도 1은 일반적인 패러랙스 방식의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특히 메인 디스플레이 패널로 액정패널을 이용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0)에는 좌안용 이미지정보를 표시하는 좌안 픽셀(L)과 우안용 이미지정보를 표시하는 우안 픽셀(R)이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이의 뒤편으로는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backlight : 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 고 액정패널(10)과 관찰자(40)사이에는 패러랙스 배리어(30)가 위치하여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데, 여기에는 좌/우안용 픽셀(L)(R)로부터 나오는 빛을 통과시키는 슬릿(32)과 차단하는 배리어(34)가 교대로 번갈아 스트라이프 형태로 존재한다.
이에 백라이트(20)에서 발산된 빛 중에서 액정패널(10)의 좌안용 픽셀(L)을 통과한 빛(L1)은 패러랙스 배리어(30)의 슬릿(32)을 거쳐 관찰자(40)의 좌안에 도달되는 반면, 액정패널(10)의 좌안용 픽셀(L)을 통과하였다고 하더라도 관찰자(40)의 우안으로 향하는 빛(L2)은 배리어(34)에 의해 차단된다. 마찬가지로 백라이트(20)에서 발산된 빛 중에서 액정패널(10)의 우안용 픽셀(R)을 통과한 빛(R1)은 패러랙스 배리어(30)의 슬릿(32)을 거쳐 관찰자(40)의 우안에 도달되는 반면, 액정패널(10)의 우안용 픽셀(R)을 통과하였다고 하여도 관찰자(40)의 좌안을 향하는 빛(R2)은 배리어(34)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액정패널(10)의 좌/우안용 픽셀(L,R)을 통과한 빛(L1,R1)은 각각 관찰자(40)의 좌/우안으로만 전달되는 바, 이들 사이에는 인간이 충분히 감지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시차(視差)정보가 존재하여 관찰자(40)는 결국 3차원 입체영상(3 dimension images)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패러랙스 배리어(30)는 백라이트(20)와 액정패널(10) 사이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전통적인 패러랙스 방식으로서, 슬릿(32)과 배리어(34)가 각각 나뉘어져 고정된 패러랙스 배리어(30)를 사용함에 따라 3D 전용으로만 그 활용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엄밀하게는 2D 화면이지만 양안시차에 따른 스테레오그라피를 이용하여 3D로 구현된 영상을 장시간 시청할 경우에 메스꺼움이나 피로감 등의 부작용이 동반될 수 있는 바,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2D 및 3D의 변환이 자유로운 입체영상 표시장치가 소개된 바 있다.
이는 간단하게 별도의 액정패널을 패러랙스 배리어로 활용하는 것인데, 2D 화면 시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고 빛을 투과시키지만 3D로 전환될 경우에는 위치별 투과율의 차이가 발생되어 슬릿과 베리어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을 채용한 입체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각각 2D와 3D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를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기본적으로는 백라이트(50) 및 이로부터 발생된 빛을 이용하여 좌/우안용 이미지 정보를 각각 표시할 수 있도록 좌우안 픽셀이 번갈아 배열된 메인 액정패널(60)이 구비되며, 이들 사이로 별도의 패러랙스 액정패널(70)이 개재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패러랙스 액정패널(70)은 도 2a와 같은 2D 화면 시 백라이트(50)의 빛을 단순 투과시키는 노멀 화이트(normal white) 상태를 유지하지만 도 2b와 같은 3D 화면 시 일부 액정을 포지션 별로 구동시켜 스트라이프 형태로 빛을 차단하는 바, 그 결과 액정이 구동되지 않은 부분은 화이트, 즉 슬릿의 역할을 하게 되고 액정분자가 회전된 부분은 블랙을 표시하여 베리어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패러랙스 액정패널(70)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서 2D와 3D 화면을 절환 표시할 수 있으며, 패러랙스 액정패널(70)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만으로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패러랙스 액정패널(70)을 채택한 일반적인 입체화상표시장치 역시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는데, 별도의 패러랙스 액정패널(70)을 사용함에 따라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되며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즉, 메인 액정패널(60)과 비교해서 동작모드 및 표시화면이 비교적 단순한 패러랙스 액정패널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갖지만 이는 액정제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어레이요소에만 한정될 뿐,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과 분극성질을 이용하여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관계로 필수적으로 이의 양 외면으로 부착되는 제 1 및 제 2 편광판(72,74)이 요구된다.
따라서 메인 액정패널(60) 양 외면으로 부착된 제 3 및 제 4 편광판(62,64)을 포함하면 입체화상 표시장치에 최소한 4개의 편광판이 구비되는 바, 이중 서로 대면되는 제 2 및 제 3 편광판(72,62)을 일체로 한다 하더라도 전체적인 부피와 제조비용이 크게 늘어나는 것을 막기 어렵다.
아울러 패러랙스 액정패널(70)에 있어서 액정층(7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는 제 1 및 제 2 유리기판(77,79) 또한 부피증가의 원인으로 작용되는 바, 보다 저렴하고 슬림한 제품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원 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서 2D 및 3D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액정패널을 패러랙스 배리어로 활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있어서, 전체적인 부피 내지는 제조비용의 절감을 가능케 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근접한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면에 인셀편광판이 부착된 제 1 기판과,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사이 인셀편광판과 대면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외면에 구비된 제 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 1 액정패널과; 상기 제 1 기판 타면 방향으로 구비된 평판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셀편광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로 형성된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 제 2 투명전극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투명전극은 판 형상 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과 대응되는 일정간격의 스트라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평판표시소자는 제 2 액정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2 액정패널은 상기 제 1 액정패널 반대편 외면으로 구비되는 제 2 편광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제 1 편광판 또는 제 2 편광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기본적으로 패러랙스 방식을 채택하며 2D와 3D 모드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패러랙스 베리어로 액정패널을 활용한다.
좀더 자세히,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며, 좌/우안용 이미지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좌/우안 픽셀이 구분 정의된 평판표시장치(100)와, 2D 모드에서 빛이 투과될 수 있는 노멀 화이트 상태를 유지하며 3D 모드에서 스트라이프 형태로 빛이 투과되는 슬릿 그리고 빛을 차단하는 베리어를 구현하는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이 바로 그것이다.
이때 평판표시장치(100)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으로 미루고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는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액정층(130)을 사이에 두고 제 1 및 제 2 기판(140,150)이 대면 합착되어 있고 이중 평판표시장치를 향하는 제 1 기판(140) 내면으로 인셀편광판(14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150)의 외면으로는 제 1 편광판(158)이 구비되는데, 이 같은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은 2D와 3D의 동작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단순한 전극 구조의 배리어 셀이므로 제 1 및 제 2 기판(140,150)을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제 1 및 제 2 기판(140,150)이 모두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인셀편광판(142)과 더불어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두께를 대폭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의 전극구조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하여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4를 함께 참조할 경우, 제 1 및 제 2 기판(140,150)의 내면으로는 각각 2D 모드에서 노멀 화이트를 구현하고 3D 모드에서 액정을 구동하여 스트라이프 형태의 슬릿 및 베리어가 나타나도록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44,154)이 구비되는 바, 이중 제 1 기판(140)에 마련되는 제 1 투명전극(144)은 인셀편광판(142)을 덮는 위치에서 적어도 후술하는 제 2 투명전극(154) 모두를 오버랩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150)에 마련되는 제 2 투명전극(154)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되는데, 제 2 투명전극(154) 각각의 폭에 따라 3D 모드에서의 베리어 폭이 결정되고 사이 간격에 따라 슬릿의 폭이 결정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44,154)은 각각 투명 도전성 물질의 대표적인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투명 도전성 고분자 물질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44,154)과 액정층(130)의 사이로는 액정분자의 초기배열방향을 결정하고 배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배향막(146,156)이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 1 투명전극(144) 역시 제 2 투명전극(154)과 동일한 스트라이프 형태를 갖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이 같은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은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44,154) 사이의 전계에 따라 2D, 3D 모드에서 달리 동작되는 바, 일례로 액정분자가 TN(Twisted Nematic) 액정모드이고 인셀편광판(142)과 제 1 편광판(158)이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선편광판이라 가정하면,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44,154) 사이의 전계 차이가 없는 오프 상태의 경우에는 노멀 화이트 상태를 나타내어 인셀편광판(142) 및 액정층(130)과 제 1 편광판(158)을 통해서 전면에 걸쳐 빛이 투과된다.
반면, 제 1 및 제 2 투명전극(144,154) 사이의 전계가 임계치에 도달되는 온 상태에서는 스트라이프 형태의 제 1 투명전극(144)과 제 2 투명전극(154)이 서로 대면되는 X 부분에서만 액정분자가 구동되어 빛이 차단되고, 그 외 제 2 투명전극(154)이 존재하지 않는 사이 간격 Y 부분에서는 액정이 구동되지 않아 여전히 빛이 투과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표시장치의 동작모드에 따른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화면상태를 나타낸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이 오프된 상태에서는 도 5a와 같이 노멀화이트로서 2D 화면이 발현되는 반면 온 된 도 5b와 같이 경우에는 베리어(X')와 슬릿(Y')이 스트라이프 형태로 나타나 3D 화면이 구현된다. 이에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으로 2D, 3D 모드를 각각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한편, 이 같은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은 평판표시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데, 이는 편광특성에 기인한다.
이에 크게 평판표시소자(100)가 액정패널 등과 같이 자체 발광요소를 갖지 못하여 별도의 백라이트를 요구하는 수광형인 경우와 그 외 능동형인 경우로 구분 되고, 전자의 경우에는 백라이트와 평판표시장치 사이로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이 개재되어 관찰자(200)를 향해 평판표시장치(100)가 노출되거나 또는 백라이트, 평판표시장치, 패러랙스 액정패널(120) 순으로 배열되어 관찰자(200)는 제 1 편광판(158) 방향을 바라본다.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은 관찰자(200)를 향하는 평판표시장치(100) 전방으로 위치되어 관찰자(200)는 제 1 편광판(158)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에 대한 설명을 통해서 당업자라면 후자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평판표시장시(100)가 별도의 액정패널일 경우를 설명하며, 구분의 편의를 위하여 메인 액정패널이라 지칭하여 패러랙스 액정패널(120)과 달리 한다.
첨부된 도 6a와 6b는 각각 이에 대한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와 같이 메인 액정패널(160) 역시 별도의 액정층(16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되는 제 3 및 제 4 기판(162,164)을 포함하며, 이중 임의의 제 3 기판(162)이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제 1 기판(140)과 대면된다고 가정하면 제 4 기판(164) 외면으로 제 2 편광판(168)이 구비된다.
그리고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제 2 기판(150) 외면으로는 백라이트(170)가 구비되어 빛을 공급하는 바, 상기 빛은 제 1 편광판(158)으로부터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액정층(130)과 인셀편광판(142), 메인 액정패널(160), 제 2 편광판(168)을 차례로 통과하여 관찰자(200)에게 도달된다.
또는 이와 달리 도 6b와 같이 도 6a와 비교할 경우에 백라이트(170)는 그대로 둔 채 패러랙스 액정패널(120) 및 메인 액정패널(160) 전체를 상하 반전시키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 경우 백라이트(170)의 빛은 제 2 편광판(168), 메인 액정패널(160), 인셀편광판(142),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액정층(130), 제 1 편광판(158) 순으로 진행하여 관찰자에게 도달되는 바, 이는 평판표시장치로서 메인 액정패널(160)이 아닌 능동형 평판표시장치를 사용할 경우와 같다.
그 외 도 7에 나타낸 형태도 가능한데,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는 보이는 바와 같이 패러랙스 액정패널(120)의 제 1 및 제 2 기판(140,150)을 플라스틱으로 하되, 앞서와 비교할 경우에 별도의 인셀편광판 대신 제 1 기판(140)에 편광판 기능을 일체화시킨 편광기판(141)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표시장치는 패러랙스 액정패널을 채용함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서 2D(2 Dimension) 및 3D(3 Dimension)로의 간단한 변환이 가능함은 물론, 전체적인 부피 내지는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면에 인셀편광판이 부착된 제 1 기판과,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사이 인셀편광판과 대면하는 제 2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외면에 구비된 제 1 편광판을 포함하는 제 1 액정패널과;
    상기 제 1 기판 타면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액정패널 반대편 외면에 제 2 편광판이 부착된 제 2 액정패널과;
    상기 인셀편광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로 형성된 제 1 투명전극과;
    상기 액정층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로 형성되고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열된 제 2 투명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명전극은 판 형상 또는 상기 제 2 투명전극과 대응되는 일정간격의 스트라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판 또는 제 2 편광판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040078609A 2004-10-04 2004-10-04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069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609A KR101069130B1 (ko) 2004-10-04 2004-10-04 입체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609A KR101069130B1 (ko) 2004-10-04 2004-10-04 입체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774A KR20060029774A (ko) 2006-04-07
KR101069130B1 true KR101069130B1 (ko) 2011-09-30

Family

ID=3713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609A KR101069130B1 (ko) 2004-10-04 2004-10-04 입체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1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6137B2 (en) 2012-05-09 2015-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touch sensing and 3-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91B1 (ko) * 2011-09-23 2018-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22A (ko) * 2001-08-20 2004-04-30 디멘셔널 미디어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 안티-에일리어싱을 이용한 다평면 입체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04005884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40062158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40078622A (ko) * 2004-08-19 2004-09-10 명 석 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722A (ko) * 2001-08-20 2004-04-30 디멘셔널 미디어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3차원 안티-에일리어싱을 이용한 다평면 입체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2004005884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40062158A (ko) * 2002-12-31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40078622A (ko) * 2004-08-19 2004-09-10 명 석 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6137B2 (en) 2012-05-09 2015-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touch sensing and 3-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774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467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입체영상표시방법
KR100707609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6468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8756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용 패러랙스 베리어 액정패널 및 그제조방법
KR101331900B1 (ko) 광제어필름을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824539B1 (ko) 터치패널 겸용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5607430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00006461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0580632B1 (ko)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디스플레이
KR101322733B1 (ko) 반사판을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887673B1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30055255A (ko) 전자 영상 기기
KR101309313B1 (ko) 화면이 분할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0851207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6860B1 (ko) 가변초점 렌즈를 구비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2834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JPH05284542A (ja) 3次元立体画像/2次元画像共存型表示装置
KR20080000917A (ko) 표시패널 및 이를 구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JP3072866B2 (ja) 3次元立体画像表示装置
KR101252573B1 (ko) 다중 화상 구현 시스템
KR100784018B1 (ko) 2차원 및 3차원 영상 선택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69130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068323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033838B1 (ko) 입체영상표시장치
KR20130114376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