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661B1 -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661B1
KR101068661B1 KR1020057019015A KR20057019015A KR101068661B1 KR 101068661 B1 KR101068661 B1 KR 101068661B1 KR 1020057019015 A KR1020057019015 A KR 1020057019015A KR 20057019015 A KR20057019015 A KR 20057019015A KR 101068661 B1 KR101068661 B1 KR 10106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ource
quality
service
data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946A (ko
Inventor
마커스 바우마이스터
구이도 무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60002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explicit feedback to the source, e.g. choke packets
    • H04L47/263Rate modification at the source after receiving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with rate being modified by the source upon detecting a change of network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6Bandwidth or capacity management, i.e. automatically increasing or decreasing capac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1Identifying conges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 자신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수행하지 않는 장치(Q,Z) 또한 포함하는 방송 네트워크(1)상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역폭 관리자(bandwidth manager,BM)로 동작하는 장치는 네트워크에서 서비스의 보장된 품질의 위험 상황에 관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하여, 소스에게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데이터 스트림에 관한 제어 메시지(A)를 소스(Q)에 보낸다. 상기 제어 메시지(A)는 특히 타겟(Z)의 시뮬레이팅된(simulated) 송신기를 통하여 전달될 수 있다.
Figure R1020057019015
방송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대역폭 관리자, 데이터 트래픽

Description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Method of ensur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a network}
본 발명은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네트워크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에서 신호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들의 접속은 점점 더 광범위하게 적용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의료 분야에서 환자들의 원격측정 데이터가 모니터들에 무선송신되는 경우이며, 특히, 또한 비디오 및 오디오 시스템들과 같은 가정용 장치들의 경우이다.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하드웨어는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주어진 최대 대역폭을 제공한다. 현대의 네트워크 장치들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을 감시하고 보장하는 특정 기능들을 제어한다. 특히, 이들 장치들은 네트워크의 과부하가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적응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보장된 대역폭을 갖는 네트워크와 보장된 대역폭을 가지지 않는 네트워크를 결합할 때 서비스 품질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미국특허출원 2002/0141446 A1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시스템들은 공통으로 서로 통신하는 장치들에 있어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들 사이의 특별한 접속 디바이스들에 있어서 대응하는 기능들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들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네트워크 참여자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들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정의된 방법, 청구항 9에 정의된 네트워크 장치, 및 청구항 10에 정의된 네트워크에 의하여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방송 네트워크(broadcast network), 즉 접속된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다른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그것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것들의 데이터들을 확산시키는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데이터의 주소 특성화에 의해, 이 데이터들이 원하는 타겟 네트워크 참여자들에 의해서만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소스 기능을 하는 네트워크 참여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타겟 기능을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상기 네트워크 참여자 둘 중 하나가 네트워크에서 이들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특히, 대응하는 QoS 기능이 (아직) 구현되지 않은, 예를 들어 비디오 레코더들, 텔레비전들, 개인용 컴퓨터들 등과 같은 보다 오래되고 및/또는 보다 저렴한 장치들일 수 있다.
b) 대역폭 관리자(bandwidth manager)로서 기능하는 제 3 네트워크 참여자는 네트워크의 방송 특징을 기반으로 가능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찰한다. 결정된 상기 네트워크의 과부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메시지(바람직하게는 첫 번째 두 참여자들 간의 데이터 스트림을 제어하는데 통상 사용되는 메시지)를 앞서 언급한 소스에 전송하고, 여기서 제어 메시지는 상기 소스로 하여금 이전에 언급한 타겟에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게 한다.
이와 같이 설명된 상기 방법은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그들 자신의 보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경우에도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그러한 네트워크 참여자들에 대한 제어 기능을 떠맡는다.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임의의 다른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법은 독립적으로 되어 있는(self-contained), 즉 다른 네트워크들로의 임의의 제어가능한 전이들(controllable transitions)을 갖지 않는, 네트워크들에서도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데이터들은 바람직하게는 패킷 지향(packet-oriented) 방식으로, 예를 들면 TCP/IP 기반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에서 교환된다. 상기 프로토콜은, 예를 들면 전송된 두개의 확인들(ACK들) 사이의 시간 간격에 의해 또는 주어진 제어 패킷들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을 조절하기 위해 알려진 효율적인 메커니즘들을 가진다.
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역폭 관리자는 상기 제어 메시지를 상기 타겟의 시뮬레이팅된(simulated) 또는 의사(擬似)(false) 송신기를 통하여 상기 소스에 전송한다. 그래서 상기 소스는 제어 메시지가 상기 타겟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타겟으로부터의 메시지의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데이터 스트림의 원하는 감소를 달성하도록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는, 종래의 또는 보다 오래된 프로토콜에서 피드백 메시지들을 활용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대역폭 관리자에 의해 전송된 제어 메시지는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직접 요청을 나타낼 수 있다. 대응 명령("ICMP Source Quench")이 예를 들면, TCP/IP 프로토콜에 제공되지만, 대역폭 관리자는 타겟에 의한 메시지의 전송을 시뮬레이팅해야만 한다.
선택적으로, 대역폭 관리자는 또한 제어 메시지를 소스에 전송할 수 있고, 제어 메시지는 소스에서 타겟으로의 데이터 스트림의 에러 전송을 시뮬레이팅하며, 여기서 소스는 이러한 에러 메시지로 인해 그리고 내부 프로토콜 메커니즘들(예를 들면, Multiplicative Decrease and Linear Congestion Avoidance)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능성은 앞서 언급한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직접 요청이 이용가능하지 않거나 그것이 아무 효과도 보이지 않을 때 특히 유용하다.
더욱이, 상기 제어 메시지는 또한 소스와 타겟 사이의 완전한 접속 단절(a complete connection breakdown)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러한 조치는 보통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덜 심각한 조치들이 아무런 결과도 보이지 않을 때만 취해진다. 게다가 중단된 데이터 스트림은 네트워크에서 실행되는 다른 서비스들보다 낮은 우선순위를 가져야 한다.
많은 경우들에서, 상이한 장치들 간의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처리될 것이다. 그 후 이러한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은 네트워크에서 이들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를 하지 않는 장치들 간에 데이터 스트림들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대역폭 관리자는 그 후 이 데이터 스트림이 감소되도록, 과부하의 위험이 있는 경우 최근 언급된 데이터 스트림들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대역폭 관리자는 바람직하게는 감소되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시퀀스를 제공한다. 특히, 가장 큰 데이터 스트림이 먼저 올 것이며, 즉 그것은 과부하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제 1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감소될 것이다.
대역폭 관리자의 기능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소비자 및 의료 전자기기들의 분야에서 종래의 장치들에 대한 부가적인 특징으로서 실현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대역폭 관리자들로서 동작할 수 있는 일이 규칙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데이터 스트림들의 충돌들 또는 교차 감소(intersecting reduction)를 피하기 위해, 대역폭 관리자들의 능력들 또는 태스크들이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밝혀진 방법의 의미에서 대역폭 관리자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응되는 네트워트 장치에 관련된다. 이것은 네트워크 장치가 방송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을 관측할 수 있고, 위협적인 과부하를 결정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 소스가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이들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 없이, 두 장치들간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에게 제어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리하게는, 네트워크 장치는 이전에 설명한 방법의 변형들을 또한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대역폭 관리자로서 동작할 수 있는 앞에 기재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참여자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와 관련이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는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것에 관하여 모든 접속된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독립적으로 그것들의 데이터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행되는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에 도시된 네트워크(1)는 버스(2)를 포함하며, 그 버스에는 복수의 장치들(3 내지 9)이 접속된다. 상기 네트워크(1)는 특히 예를 들어 위성 장치들(8), 텔레비전들(4), 비디오 레코더들, 개인용 컴퓨터들(3), 오디도 장치들 등과 같은 소비자 전자 기기들이 접속된, 홈 네트워크(IHDN: In-Home Digital Network, 인-홈 디지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방송-기반(broadcast-based) 통신은 등시성(isochrone) 데이터 스트림들, 즉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네트워크에서(예를 들어, 즉 IEEE 802.11, 10Base-2/10Base-3 Ethernet에 따라) 수행된다.
많은 현대의 네트워크 장치들은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QoS 기능(Quality of Service)을 이미 가지고 있다. QoS는, 예를 들면 관통 접속(through-connection), 지연 시간, 전송 시간 변동(불안정) 등과 같은, 접속에 관한 주어진 속성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공들 중 일부는 (예를 들면, 비주기적 전류의 낮은 지연) 비-QoS 트래픽(non-QoS traffic)의 매우 낮은 공유(share)로 인해 이미 위험 상황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비-QoS(non-QoS) 전류들은 대역폭이 소진되기 훨씬 전에 낮게 제어되어야 한다. 더욱이, QoS 방식들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예를 들면, RSVP, MPLS)의 입/출력 라우터에 의해 보장되는, 광역 통신망들(WANs)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들은 접속된 모든 장치들이 예를 들어 라우터들 또는 스위치들의 개입 없이 동일 매체를 통하여 통신하는 IHDN과 같은, 서브 네트워크(sub-network)에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QoS 방식들이 단일의 서브 네트워크들(예들 들어, IEEE 802.11e)에 대해 알려져 있고, 이것들은 아직 대응하는 방식을 구현하지 않은 네트워크에서의 장치들이 있을 때 QoS를 보장할 수 없다.
앞서 언급한 이유들로, QoS 기능이 없는 현대의 "보다 오래된" 장치들이 존재하는 IHDN 홈 네트워크들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수단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후자의 장치들은 특히 CE 장치들뿐만 아니라 종래의 표준을 벗어난 컴퓨터들 또는 장치들이다. 그러나 아날로그 접속된 CE 장치들로부터 디지털 접속된 장치들로의 전이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을 위해 IHDN들에서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네트워크내의 장치들은,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지 않고, 대역폭 내에서 이용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려는 시도를 할 수 있으나, 이것은 최종 장치들(예를 들어, TV나 DVS와 같은) 내에 스파이크들 또는 아티팩트들(artifacts)을 야기할 수 있어, 상기 사용자는 아날로그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열화를 경험할 수 있다.
이후 훨씬 상세하게 기술될,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서는, 비록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들(3 내지 9)이 QoS 기능을 가지진 않지만, 네트워크(1)에서 QoS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QoS 장치들이 이미 시장에서 완벽한 돌파구를 찾아야 할 필요성 없이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에서 높은 전송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책은, 방송 기반 네트워크(1)에서, (종래의) QoS 기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장치들(8)이 대역폭 관리자로서 부가적 기능을 갖는 데 있다. 상기 대역폭 관리자의 기능은 대응 장치들에 의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트래픽에 항상 귀기울이고, 그 결과로서 대역폭 부하를 결정하는 것을 수반한다. 상기 부하가 미리 결정된 문턱값을 초과할 때, 그들의 통신에 대해 QoS를 수행하지 않는 장치들은, 상기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표준에 따라 전송률의 감소를 일으킬 거짓(false) 제어 메시지들이 그들에게 보내진다는 점에서, 낮게 제어된다("controlled down").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기재된 해결책에 대한 특정 실시예의 단계들 및 구성요소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1) 및 그것의 동작은 다음과 같은 특징에 의해 특성화된다.
-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들(3 내지 9)은 각각의 네트워크 참여자가 모든 메시지들을 청취할 수 있도록, 물리적 버스 구조(structure)(2)에 의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장치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3)와 위성 장치(8m)는, (임의의) QoS 방식을 구현한다.
- 더욱이, 상기 장치들(예를 들어, 위성 장치(8) 또는 액세스 포인트)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한다. 만약 상기 방법이 복수의 장치들에 의해 구현된다면, 제어 메시지들의 반복된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그것들은 조정되어야(co-ordinated) 한다. 이어서,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대역폭 관리자"(BM)로서 정의된다.
- 네트워크(1)에서의 개시 및 변경들의 경우에, 대역폭 관리자(BM)는 어떤 장치들이 QoS 방식을 수행할지를 결정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그것은 상기 QoS 방법에 있어서 또한 중심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것은 이들 장치들이 그것에 보고함으로써 행해진다. 대안적으로 대역폭 관리자(BM)는 또한 QoS 프로토콜에 대해 특정한 패킷들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 동작 동안, 대역폭 관리자(BM)는 (그것이 데이터 자체를 전송하지 않는 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스트림들을 항상 감시하고, 그것에 의하여 사용된 대역폭을 잃는다(misses). 또한, 그것은 충돌들 또는 재전송들을 계수할 수도 있다. 더욱이 대역폭 관리자는 특히 비-QoS 장치들이 높은 대역폭 부하를 가질 때, 비-QoS 장치들 간 데이터 스트림들의 소스 및 타겟 IP 어드레스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패킷의 처음 64 데이터 비트(bits) 뿐만 아니라 인터넷 헤더들 또는 더 간단한 예로 이들의 처음 64 바이트들(bytes)은 저장되어야 한다. 상기 데이터 스트림들은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추정된 대역폭 부하에 따라 분류된다. 또한,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비-QoS 대역폭들에 대해 추정될 수 있는 문턱값을 (사용된 QoS 방법에 의존하여) 결정한다.
- 위에서 언급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대역폭 부하의 문턱값이 초과되기 때문에, 만약 이용가능한 대역폭이 소진된 것으로 보인다면, 이것은 정의에 의해, QoS를 수행하는 장치들에 의해서는 행해질 수 없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비-QoS 장치의 대역폭 부하는 비등시성(non-isochronic) 트래픽에 제공되는 부하를 넘어선다. 그 결과로 대역폭 관리자(BM)는 저장된 데이터 스트림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것은 상기 내부 분류(internal sorting) 또는 (만약 패킷들의 처음 64 바이트가 저장되지 않았다면) 다음의 것으로서 패킷이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다. 데이터 패킷들(P)을 갖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 스트림은, 소스(Q)로서 동작하는 상기 장치(7)로부터 타겟(Z)으로서 동작하는 장치(6)로 이동한다.
- 이후 대역폭 관리자(BM)는 타겟(Z)의 거짓(false) 송신기 어드레스와 함께 하나 이상의 "ICMP Source Quench"(RFC792) 패킷들을 소스(Q)에 전송하고, 그것을 저장한다. 상기 대역폭 관리자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TCP/IP 스택(stack)을 액세스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예측된 새로운 대역폭 부하가 제 2의 보다 낮은 문턱값 이하로 될 때까지, 비 QoS 장치들 간의 추가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반복된다. 예를 들면 소스(Q)가 "ICMP Source Quench" 패킷을 무시하기 때문에, 대역폭 부하가 감소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추가 단계들이 취해질 수 있다.
1. TCP 접속들은 다음 패킷의 비확인 NACK에 대응하는, 이미 이전에 확인된 패킷의 거짓 확인 신호 ACK를 가진다. 그래서, 상기 접속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대역폭 부하가 감소하도록, RFC 2581에 따라 그것들의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를 감소시킨다.
2. 또한 위에서 언급된 방법들을 무시하는, 다른 접속들 또는 TCP 접속들은, 접속 단절을 야기하는 거짓 "ICMP Destination Unreachable Code 3" 패킷을 수신한다.
3. 거짓 패킷은 ECN 흐름 제어(현재 널리 알려지지 않음)에 의해서 또한 보내진다(ECN= Early Congestion Notification, RFC 3168).
동일 호스트로의 동일 패킷의 반복된 전송은 불필요한 대역폭 부하를 피하도록 대역폭 관리자(BM)에 의한 대응 카운트(corresponding count)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물리적 버스 구조가 없는 교환 네트워크들(switched networks)에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은 대역폭 관리자로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상기 설명된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 네트워크에서의 모든 장치들에게 그들 자신의 QoS 기능을 요구하지 않는 802.11 기반 네트워크들에서의 신뢰성 있는 서비스 품질;
- 특별한 QoS 방법들에 독립적;
- 예를 들어 스위치들과 같은, 부가적인 하드웨어가 없는 방송 네트워크들에서의 기능;
- 가능한 한 많이 회피되는 접속 단절들;
- 버스트형(burst-like) 데이터 트래픽(예를 들며, ftp)으로 인한 가장 높은 간섭가능성을 가지는 TCP 스트림들을 위한 특히 만족할만한 기능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송 네트워크
2 : 버스
3 내지 9 : 네트워크 참여자들
P : 데이터 패킷
A : 제어 메시지
Q : 소스 장치
Z : 타겟 장치
BM : 대역폭 관리자

Claims (10)

  1. 방송 네트워크(1)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소스(Q)로서의 하나의 네트워크 참여자(7)가 그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타겟(Z)으로서의 또 다른 네트워크 참여자(6)에게 데이터 스트림(P)을 전송하는 단계;
    b) 대역폭 관리자(bandwidth manager,BM)로서의 추가 네트워크 참여자(8)가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관찰하고, 과부하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 송신기 어드레스로서 상기 타겟(Z)의 송신기 어드레스를 거짓으로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A)를 상기 소스(Q)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소스(Q)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스트림(P)을 감소시키게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TCP/IP 기반 프로토콜을 따라, 패킷 지향 방식(packet-oriented manner)으로 상기 네트워크(1)에서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A)는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직접 요청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A)는 상기 소스(Q)로부터 상기 타겟(Z)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P)의 전송에서의 에러를 시뮬레이팅하여, 상기 소스(Q)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A)는 접속 단절을 트리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관리자(BM)는 먼저 상기 네트워크(1)의 과부하 위험의 경우에 네트워크 참여자들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를 하지 않고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 복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고려하여 가장 큰 데이터 스트림을 감소시키도록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대역폭 관리자들로서 동작할 수 있는 복수의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의 태스크들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9. 방송 네트워크(1)에서의 대역폭 관리자(BM)에 있어서,
    상기 방송 네트워크(1)는 자신의 서비스 품질의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타겟(Z)으로 데이터 스트림(P)을 전송하기 위한 타겟(Z)과 소스(Q)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역폭 관리자(BM)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찰하고, 과부하의 위험의 경우에, 송신기 어드레스로서 상기 타겟(Z)의 송신기 어드레스를 거짓으로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A)를 상기 소스(Q)로 전송하여 상기 소스(Q)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스트림(P)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대역폭 관리자.
  10. 네트워크(1)에 있어서,
    타겟(Z);
    자신의 서비스 품질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타겟(Z)으로 데이터 스트림(P)을 전송하기 위한 소스(Q); 및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찰하고, 과부하 위험의 경우에, 송신기 어드레스로서 상기 타겟(Z)의 송신기 어드레스를 거짓으로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A)를 상기 소스(Q)로 전송하여, 상기 소스(Q)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스트림(P)을 감소시키게 하는, 대역폭 관리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1).
KR1020057019015A 2003-04-07 2004-03-25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KR1010686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0915.2 2003-04-07
EP03100915 2003-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946A KR20060002946A (ko) 2006-01-09
KR101068661B1 true KR101068661B1 (ko) 2011-09-28

Family

ID=33155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15A KR101068661B1 (ko) 2003-04-07 2004-03-25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09969A1 (ko)
EP (1) EP1614259A2 (ko)
JP (1) JP4504972B2 (ko)
KR (1) KR101068661B1 (ko)
CN (1) CN1768509B (ko)
WO (1) WO20040911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263B1 (en) * 2002-01-19 2009-05-05 Ucentric Systems, Inc. Local area-networked system having intelligent traffic control and efficient bandwidth management
US20070226344A1 (en) * 2004-07-23 2007-09-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entralized Resource Manager With Power Switching System
DE102012222474A1 (de) * 2012-12-06 2014-06-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usgeräts einer Gebäudeautomatisierungseinrichtung
US9083637B2 (en) * 2013-06-04 2015-07-14 Netge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QoS to maximize bandwidth utilization
US10958705B2 (en) * 2019-02-27 2021-03-23 Citrix Systems, Inc. Client computing device providing end-to-end quality of service (QoS) control for software as a service (SaaS) sessions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990A (en) * 1982-04-14 1985-02-19 Nec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circuitry responsive to an overflow of an input packet buffer for causing a collision
US5633861A (en) * 1994-12-19 1997-05-27 Alcatel Data Networks Inc. Traffic management and congestion control for packet-based networks
EP1024637A1 (en) * 1999-01-26 2000-08-02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ding algorithm adjustment in telephony-over-la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7235B1 (en) * 1990-11-21 1999-02-03 AT&T Corp. Bandwidth and congestion management in accessing broadband ISDN networks
JP2859749B2 (ja) * 1991-03-14 1999-02-24 マツダ株式会社 多重伝送装置
JPH0522305A (ja) * 1991-07-15 1993-01-29 Nec Eng Ltd 通信方式
US6473793B1 (en) * 1994-06-08 2002-10-29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allocating and enforcing bandwidth usage requirements on network users
US20020133589A1 (en) * 1998-09-11 2002-09-19 Rajugopal R. Gubbi Dynamic bandwidth negotiation scheme for wireless computer networks
EP1326459B1 (en) * 2000-09-20 2008-04-23 Fujitsu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07524B2 (en) * 2001-03-30 2012-01-31 Vixs Systems, Inc. Adaptive bandwidth footprint matching for multiple compressed video streams in a fixed bandwidth network
JP2002300181A (ja) 2001-03-30 2002-10-11 Nec Corp 統合ネットワークQoS制御方式
US7284061B2 (en) * 2001-11-13 2007-10-16 Canon Kabushiki Kaisha Obtaining temporary exclusive control of a device
ATE389291T1 (de) * 2003-01-09 2008-03-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codec-auswah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0990A (en) * 1982-04-14 1985-02-19 Nec Corporation Data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circuitry responsive to an overflow of an input packet buffer for causing a collision
US5633861A (en) * 1994-12-19 1997-05-27 Alcatel Data Networks Inc. Traffic management and congestion control for packet-based networks
EP1024637A1 (en) * 1999-01-26 2000-08-02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ding algorithm adjustment in telephony-over-lan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22532A (ja) 2006-09-28
EP1614259A2 (en) 2006-01-11
CN1768509A (zh) 2006-05-03
WO2004091152A8 (en) 2005-10-27
CN1768509B (zh) 2011-09-07
JP4504972B2 (ja) 2010-07-14
WO2004091152A2 (en) 2004-10-21
US20070109969A1 (en) 2007-05-17
WO2004091152A3 (en) 2005-03-24
KR20060002946A (ko) 2006-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55847B1 (en)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data packet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system
Baker et al. IETF recommendations regarding active queue management
CN106385374B (zh) 一种局域网发送端的缓解网络拥塞的传输控制方法及系统
US6115357A (en) Method for pacing data flow in a packet-based network
US5781532A (en) Data link interface for packet-switched network
JP2008508817A (ja) 低頻度ackのシステムに適した高性能tcp
EP2219343A1 (en) Modification of 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 (ECN) by skipping congestion experienced (CE) events
US20020075895A1 (en) Transmission rate controller and transmission rate control method
Badrinath et al. Gathercas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grammable aggregation mechanism for the Internet
Nguye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TCP congestion control algorithms in data center networks
Comer et al. A rate-based congestion avoidance and control scheme for packet switched networks
KR20020059431A (ko)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 및 방법
KR101068661B1 (ko)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방법
WO2010092323A2 (en) Data transmission
Hisamatsu et al. Non bandwidth-intrusive video streaming over TCP
Caini et al. Packet spreading techniques to avoid bursty traffic in long RTT TCP connections [satellite link applications]
Fairhurst et al. Quick-start for the datagram congestion control protocol (DCCP)
Bhat et al. MPTCP combining congestion window adaptation and packet scheduling for multi-homed device
Kirov A simulation analysis of the TCP control algorithms
Oda et al. Design and evaluation of hybrid congestion control mechanism for video streaming
Dracinschi et al. Efficient congestion avoidance mechanism
Savoric Improving congestion control in IP-based networks by information sharing
Camarillo et al. Signalling transport protocols
Ku et al. Improving end-to-end performance by active queue management
Seshadri et al. Improving quality of services from TCP/IP performance degra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