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248B1 -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 Google Patents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248B1
KR101068248B1 KR1020100012055A KR20100012055A KR101068248B1 KR 101068248 B1 KR101068248 B1 KR 101068248B1 KR 1020100012055 A KR1020100012055 A KR 1020100012055A KR 20100012055 A KR20100012055 A KR 20100012055A KR 101068248 B1 KR101068248 B1 KR 10106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artridge
storage tank
compressed air
refill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0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2569A (en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티스 (Ecotis)
Priority to KR1020100012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248B1/en
Publication of KR2011009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5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248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리터 혹은 복사기의 카트리지에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토너 자동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자동으로 토너를 충전하면서, 센싱바로 충전량을 감지하여 외부에서 자동으로 토너를 충전하여 주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리필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에 저장된 토너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 속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 펌프(101)와; 상기 압축 공기 펌프(10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3 웨이 밸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호스(141)와; 상기 3 웨이 벨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7)와;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126)가 감지되면 토너 공급을 시작하고,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하이 센싱바(125)가 감지되면 토너의 공급을 중단 하도록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 및 상기 3 웨이 밸브(111)를 제어하여 토너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105)에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의 상태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사용중인 레이저 프린트 혹은 복사기의 카트리지를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부족한 토너를 자동으로 충전을 하여주므로, 본체에서 카트리지를 분리하지 않고도 토너의 충전이 가능하게 하여 주는 편리함이 있으며, 설정된 충전량이 충전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멈추므로 과충전이 방지되는 편리함이 있으며, 토너 리필 탱크에 센싱바가 부착되어 있어 토너 리필 탱크가 비어 있는 경우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a cartridge of a laser printer or a copier. More particularly, the toner is automatically charged from the outside using compressed air, and the sensing amount is sensed by a sensing bar while the toner is automatically char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ridge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which automatically charges toner.
The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 storing toner being refilled; An air compression pump (10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flows into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3-way valve 1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ump 101; A first connecting hose 141 connecting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second connecting hose 157 connecting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When the low sensing bar 126 that generates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toner supply starts.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high sensing bar 125 generates a signal. A control unit 105 for controlling the toner conveyance by controlling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111 to stop supply of toner when the toner is detected; And an input / output unit 1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5 or outputt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105.
The automatic cartridge toner fi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utomatically charge insufficient toner without removing the cartridge of the laser printer or copier in use from the main body, thereby enabling toner to be charged without removing the cartridge from the main body. There is a convenience, there is a convenience to prevent overcharging because the charging stops automatically when the set amount of charge is charged,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when the toner refill tank is empty because the sensing bar is attached to the toner refill tank.

Description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er Which has Sensing Bars}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er Which has Sensing Bars}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 혹은 복사기의 카트리지에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토너 자동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자동으로 토너를 충전하면서, 센싱바로 충전량을 감지하여 외부에서 자동으로 토너를 충전하여 주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a cartridge of a laser printer or a copier. More particularly, the toner is automatically charged from the outside by using compressed air, and the sensing amount is sensed by a sensing b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ridge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which automatically charges toner.

일반적으로 복사기 또는 레이저 프린터 등에는 분말 가루 형태의 토너(toner)를 사용하여 복사 또는 인쇄를 하게 되는데, 드럼이 토너 수납부와 결합된 카트리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토너가 담겨지는 카트리지는 소모품이면서도 토너의 재충전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고가의 1회용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카트리지에 충전되어 있는 토너를 모두 사용하게 되면 카트리지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프린트의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자원의 낭비가 심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중인 카트리지를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토너의 잔량을 감지하여 카트리지에 자동으로 부족한 토너를 충전을 하여주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히 제기되고 있다.In general, a copying machine or a laser printer is used to copy or print by using a powder toner (toner), a cartridge in which the drum is combined with the toner housing is mainly used. Most of the cartridges containing toner are expensive one-time supplies that are not consumables but cannot be recharged. Toner cartridges need to be replaced when all of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wasteful.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ing device that detects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without automatically removing the cartridge from the main body and automatically fills the cartridge with insufficient toner.

종래 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단순히 흑백 토너를 회전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공급하는 형식으로 회전 스크류에 의해 토너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카트리지의 내부에 남은 토너의 잔량을 알지 못하고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가 과잉 공급되거나, 토너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토너 리필장치는 토너 리필 탱크의 충전 상태를 알 수 없어 수시로 토너 리필 탱크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toner refilling apparatus of the related art simply supplies black and white toner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crew, and the toner is not supplied properly by the rotating screw and the toner is supplied without knowing the remaining amount of toner remaining inside the cartridg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versupply or toner leaked. In addition, the toner refill apparatus of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state of the toner refill tank cannot be checked at any time because the state of charge of the toner refill tank is unknow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프린트 혹은 복사기의 카트리지에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사용중인 카트리지를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며, 토너 리필 저장 탱크의 무게 감소량을 센싱바로 감지하여 부족한 토너를 일정량 자동으로 충전하여 주는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the cartridge of the laser printer or cop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o fill the toner in the cartridge without removing the cartridge in use,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ing device having a sensing bar that senses a weight reduction amount of the light by a sensing bar and automatically fills a predetermined amount of insufficient to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리필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에 저장된 토너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 속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 펌프(101)와; 상기 압축 공기 펌프(10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3 웨이 밸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호스(141)와; 상기 3 웨이 벨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7)와;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126)가 감지되면 토너 공급을 시작하고,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하이 센싱바(125)가 감지되면 토너의 공급을 중단 하도록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 및 상기 3 웨이 밸브(111)를 제어하여 토너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105)에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의 상태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ccordance with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apparatus having a sensing bar, comprising: a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 storing toner being refilled; An air compression pump (10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flows into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3-way valve 1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ump 101; A first connecting hose 141 connecting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second connecting hose 157 connecting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When the low sensing bar 126 that generates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toner supply starts.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amount, the high sensing bar 125 generates a signal. A control unit 105 for controlling the toner conveyance by controlling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111 to stop supply of toner when the toner is detected; And an input / output unit 1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5 or outputt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105.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사용중인 레이저 프린트 혹은 복사기의 카트리지를 본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부족한 토너를 자동으로 충전을 하여주므로, 본체에서 카트리지를 분리하지 않고도 토너의 충전이 가능하게 하여 주는 편리함이 있으며, 설정된 충전량이 충전되면 자동으로 충전을 멈추므로 과충전이 방지되는 편리함이 있으며, 토너 리필 탱크에 센싱바가 부착되어 있어 토너 리필 탱크가 비어 있는 경우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The cartridge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harges insufficient toner without removing the cartridge of the laser printer or copier in use from the main body, and thus allows the toner to be charged without removing the cartridge from the main body. There is a convenience to prevent overcharging because the charging stops automatically when the set amount of charge is charged, there is a convenience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when the toner refill tank is empty because the sensing bar is attached to the toner refill t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2는 토너 리필 저장 탱크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검정 토너만 있는 경우의 실시 예에 관한 구성도이며,
도 4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정면 단면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toner refill storage tank;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relating to an embodiment in which only black toner is present,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ner cartridge,
5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toner cartrid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ic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리필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에 저장된 토너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 속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 펌프(101)와; 상기 압축 공기 펌프(10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3 웨이 밸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호스(141)와; 상기 3 웨이 벨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7)와;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126)가 감지되면 토너 공급을 시작하고,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상이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하이 센싱바(125)가 감지되면 토너의 공급을 중단 하도록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 및 상기 3 웨이 밸브(111)를 제어하여 토너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105)에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의 상태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ing device having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 storing toner to be refilled; An air compression pump (10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flows into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3-way valve 1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ump 101; A first connecting hose 141 connecting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second connecting hose 157 connecting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When the low sensing bar 126 that generates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amount, the toner supply is started. A control unit 105 for controlling the toner conveyance by controlling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111 to stop supply of toner when the toner is detected; And an input / output unit 1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5 or outputt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10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상기 제어부(105)의 지시에 의하여 경보를 생성하는 경보생성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cartridge toner charg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n alarm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control unit 10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의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의 하부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토너가 유연하게 흘러 내리도록 깔때기부(20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의 내부 측면 벽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덕트(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덕트(201)의 하방은 상기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의 외부로 하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덕트(201)의 상기 하방 돌출부에 상기 제 2 연결 호스(143)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of the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having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funnel portion 203 so that the toner flows flexibly by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In addition, an air duct 201 is formed on an inner side wall of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so that compressed air flows from below to upward, and the air duct 201 is formed below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 A downward protrusion is formed outside the 133, and the second connection hose 143 is connected to the downward protrusion of the air duct 201.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의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에는 RF-ID 송신기(187)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05)에는 RF-ID 송신기(187)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RF-ID 수신기(17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RF-ID transmitter 187 is further attached to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of the automatic cartridge toner recharg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unit 105 has an RF-ID transmitter. An RF-ID receiver 175 for receiving a signal from 187 is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는 상기 제 3 연결 호스와 상기 3 웨이 밸브의 사이에는 압축 공기를 분배하는 압축 공기 분배기(10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축 공기 분배기(109)에는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3 웨이 밸브가 더 구비되어 연결되고,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가 더 구비되어 연결되고,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와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3 웨이 밸브를 연결하는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2 연결 호스(143, 145, 147)가 더 구비되고,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와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칼라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을 연결하는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연결 호스(135, 137, 139, 141);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for distributing compressed air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hose and the three-way valve,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The 109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ree-way valve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and further provided with a toner refill storage tank 127, 129, and 131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And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connecting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and 131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and the three-way valve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Corresponding second connecting hoses 143, 145 and 147 are further provided, and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and 131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of the color toner cartridges. Color toner cartridges corresponding to the colors (167, 169, 171) a first connecting pipes corresponding to each color to connect (135, 137, 139, 141); made by further comprising: a.

또한, 프린터 또는 복사기에 장착되는 리필용 카트리지에는 토너가 일정양 이상 충전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하이 센싱바와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fill cartridge mounted on the printer or copi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 sensing bar for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toner is charged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and the low sensing bar for generating a signal when the charged toner is a certain amount or less.

도 1을 참조하면, 토너는 각각의 색상에 따라 각기 다른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 저장되며, 빨강 토너는 빨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에 저장되며, 파랑 토너는 파랑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9)에 저장되며, 노랑 토너는 노랑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1)에 저장되며, 검정 토너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에 저장된다. 각각의 색상에 해당하는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 저장된 토너는 공기 압축 펌프(101)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각각의 색상에 해당하는 카트리지(167, 169, 171, 173) 속으로 흘러들어 가게 된다.1, toner is stored in different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according to respective colors, red toner is stored in red toner refill storage tank 127, and blue toner The blue toner refill storage tank 129 is stored, yellow toner is stored in the yellow toner refill storage tank 131, and black toner is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The toner stored in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is cartridges 167, 169, and 17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by the compressed air supplied by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 173).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 가해지는 압축 공기는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에 의해 제어 되며,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가 On 상태일 때는 공기 압축 펌프(101)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제 3 연결 호스(161)와 압축 공기 분배기(109) 및 제 2 연결 호스(151, 153, 155, 157)를 통해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로 전달된다. 그러나,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가 Off 상태일 때에는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가 막혀 공기 압축 펌프(101)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로 전달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공기 배출구(112, 114, 116, 118)가 열려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 내부의 압축 공기도 배출되어,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 내부에는 압력이 없는 상태가 된다.The compressed air applied to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is controlled by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and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are turned on. When the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is in the state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 (3) through the third connecting hose 161,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and the second connecting hoses (151, 153, 155, 157) 127, 129, 131, 133. However, when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are in the off state,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are blocked so that the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is filled with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 ( Not only cannot be delivered to the 127, 129, 131, and 133, but the air outlets 112, 114, 116, and 118 are opened, and the compressed air inside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is also discharged, There is no pressure inside the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제어부(105)에서는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의 토너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와 토너가 일정 높이 이하가 되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로우 센싱바(120, 122, 124, 126)을 통해 지속적으로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의 상태를 감시하며, 토너의 이송 상태와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상태를 감시하며, 로우 센싱바(120, 122, 124, 126)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에 토너를 공급하고,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토너를 공급을 중단한다. The control unit 105 detects the high sensing bars 119, 121, 123, and 125 that generate a detection signal when the toner of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height, and when the toner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height. The state of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is continuously monitored through the row sensing bars 120, 122, 124, and 126 generating signals, and the toner transfer state and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 131, and 133, and when a signal is detected by the row sensing bars 120, 122, 124, and 126, toner is supplied to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and a high sensing bar ( When signals are detected at 119, 121, 123, and 125, the supply of toner is stopped.

제어부(105)에서는 입출력부(103)의 리필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에서 신호가 감지될 때까지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에 토너를 공급하며, 압축 공기에 의해 토너가 자동으로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서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로 이송된다. 제어부(105)는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에서 신호가 감지되면, 공기 압축 펌프(10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를 Off 시켜,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의 공기 배출구(112, 114, 116, 118)가 열리게 하여,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 더 이상 압력이 걸리지 않게 하여 토너의 이송이 중지되도록 한다. 또한, 토너의 충전은 1회 충전과 연속 충전을 선택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05 presses the refill button (not shown) of the input / output unit 103, the control unit 105 supplies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until a signal is detected by the high sensing bars 119, 121, 123, and 125. The toner is supplied, and the toner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from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to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by the compressed air. When the signal is detected by the high sensing bars 119, 121, 123, and 125, the control unit 105 stops the operation of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urns off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To open the air outlets 112, 114, 116, and 118 of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so that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are no longer pressurized. Allow the transfer of toner to stop. In addition, the filling of the toner can be selected from one-time charge and continuous charge.

제어부(105)에서는 공기 압축 펌프(101)을 제어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하며, 압축 공기 흡입구(16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일정한 압력의 압축 공기를 생산하여, 압축 공기 분배기(109)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공기 압축 펌프(101)와 압축 공기 분배기(109) 사이는 제 3 연결 호스(161)로 연결되고, 압축 공기 분배기(109)에는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가 연결되며, 직접 연결되거나, 제 4 연결 호스(143, 145, 147, 149)를 통한 연결도 가능하다. 각각의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와 각각의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 사이는 제 2 연결 호스(151, 153, 155, 157)로 연결된다. The control unit 105 controls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to supply compressed air, and compresses the air sucked through the compressed air inlet 163 to produce compressed air of a constant pressure, thereby providing a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To supply compressed air.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are connected by a third connecting hose 161, and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is connected with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directly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or via the fourth connecting hoses 143, 145, 147, 149. Each three-way valve 111, 113, 115, 117 and each toner refill storage tank 127, 129, 131, 133 are connected by a second connecting hose 151, 153, 155, 157.

압축 공기 분배기(109)는 공기 압축 펌프(101)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로 분배하는 역활을 하며,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로 분배된 압축 공기는 각각의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로 공급되고, 제어부(105)는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를 통하여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 가해지는 압력을 On 또는 Off 한다. 각각의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와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의 사이는 제 1 연결 호스(135, 137, 139, 141)로 연결된다.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serves to distribute the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to the three 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and the three 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The compressed air distributed to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are supplied to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and the control unit 105 passes through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 129, 131, 133 to turn on or off the pressure applied. The respectiv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133 and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173 are connected by first connecting hoses 135, 137, 139, 141.

또한, 제어부(105)에서는 입출력부(103)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1 회를 선택하거나, 연속 충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연속 충전을 선택하면,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충전을 하며,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충전을 중지한다. 그리고, 토너의 사용에 의해 토너의 높이가 줄어 들어 로우 센싱바(120, 122, 124, 126)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하면 다시 충전을 시작하며, 이를 반복한다. 또한, 제어부(105)는 토너 리필 횟수에 대한 정보를 입출력부(103)를 통하여 출력하여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일정 횟수 이상을 초과하여 충전하였을 경우에는 경보 생성부(미도시)을 통하여 경보를 생성하여 사용자가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를 보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5 may select one time or continuous charging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input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03. When the continuous charging is selected, the high sensing bars 119, 121, 123, Charging is performed until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t 125. If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t the high sensing bars 119, 121, 123, and 125, charging is stopped. When the height of the toner decreases due to the use of the toner and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row sensing bars 120, 122, 124, and 126, charging is started agai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5 output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oner refills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03, or when an alarm is charged ov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et by a user, an alarm is generated through an alarm generation unit (not shown). To refill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133).

제어부(105)의 내부에는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 및 로우 센싱바(120, 122, 124, 126)를 통하여 감지된 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증폭기(177) 및 A/D 변환기(175)가 구비되어 있으며, 입출력부(103)와 공기 압축 펌프(101) 및 3 웨이 밸브(111, 113, 115, 117)는 제어부(105) 내부의 I/O 포트를 통하여 접속된다. 각각의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에는 RF-ID 송신기(181, 183, 185, 187)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어부(105)에는 RF-ID 송신기(181, 183, 185, 187)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RF-ID 수신기(179)가 구비되어 있어,제어부(105)는 사전에 등록된 RF-ID 송신기(181, 183, 185, 187)가 아니면, 압축 공기 생성에 의한 토너의 이송을 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어, 비정품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사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Inside the control unit 105, the amplifier 177 and A / to continuously measure the signals sensed through the high sensing bars 119, 121, 123, 125 and the low sensing bars 120, 122, 124, 126. A D converter 175 is provided, and the input / output unit 103,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s 111, 113, 115, and 117 are connected through an I / O port inside the control unit 105. . Each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has an RF-ID transmitter 181, 183, 185, and 187 attached thereto, and the control unit 105 has an RF-ID transmitter 181, 183, 185, An RF-ID receiver 179 is provided which receives the signal from 187, so that the controller 105 is not configured to generate compressed air unless it is a pre-registered RF-ID transmitter 181, 183, 185, 187. The toner can be set so as not to be transported, and the use of the non-genuin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2를 참조하면,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상부에는 토너의 충전을 위하여 토너 리필구(207)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된 토너가 기밀을 유지하도록 토너 리필구(207)를 토너 리필구 마개(205)로 밀봉한다.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토너 리필구(207)가 없이 깔데기부(203)를 통하여 충전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2, a toner refilling hole 207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oner refilling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to fill the toner. 207 is sealed with a toner refill cap 205. Another embodiment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may be configured to fill through the funnel 203 without the toner refill 207.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하부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토너가 유연하게 흘러내리도록 깔때기부(203)를 형성하고 있으며,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내부 측면 벽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덕트(201)가 형성되어 있다.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상부를 통하여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실시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공기 덕트(201) 없이 실시된다. 공기 덕트(201)의 하방은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공기 덕트(201)의 하방 돌출부위는 제 2 연결 호스(151, 153, 155, 157)에 연결되어 압축 공기가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 속으로 유입된다. 또한, 공기 덕트(201)의 상단 끝은 토너가 공기 덕트(20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 'L'자로 형성되어 있다. A lower portion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forms a funnel portion 203 so that the toner flows flexibly by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and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 air duct 201 is formed in the inner side wall of 133 to allow compressed air to flow from below to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compressed air through the top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in which case it is carried out without the air duct 201. The lower side of the air duct 201 protrudes out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and the lower protrusion of the air duct 201 has a second connection hose 151, 153, 155, 157. Compress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133). Further, the upper end of the air duct 201 is formed with an inverted 'L' to prevent the toner from flowing into the air duct 201.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하단부는 토너가 용이하게 흘러 내리도록 깔떼기 모양(203)을 하고 있으며, 제 1 연결 호스(135, 137, 139, 141)로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와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 속으로 토너가 공급된다.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측면에서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실시되는 경우에는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 133)의 측면에 공기 덕트의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고, 여기에 제 2 연결 호스(151, 153, 155, 157)가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has a funnel shape 203 so that the toner can easily flow down, and the toner cartridge (the first connection hoses 135, 137, 139, and 141) The toner is supplied to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in connection with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from the side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the protrusion of the air duct protrudes from the side of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and 133. The second connection hoses 151, 153, 155, 157 are connec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의한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를 흑백 토너 자동 충전 장치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압축 공기 분배기(109)가 생략되고, 압축 공기 분배기(109) 없이 제 3 연결 호스(161)을 직접 3 웨이 밸브(111)에 연결하고, 빨강 토너 카트리지(167)와 파랑 토너 카트리지(169)와 노랑 토너 카트리지(171)을 충전하기 위한 구성인 제 1 연결 호스(135, 137, 139) 및 빨강 토너 리필 탱크(127)와 파랑 토너 리필 탱크(129)와 노랑 토너 리필 탱크(131)가 생략되고, 빨강 토너 리필 탱크(127)와 파랑 토너 리필 탱크(129)와 노랑 토너 리필 탱크(131)와 3 웨이 밸브(113, 115, 117)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1, 153, 155)가 생략되며, 압축 공기 분배기(109)와 제 2 연결 호스(143, 145, 147)를 연결하는 3 웨이 밸브(113, 115, 117)가 생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is omit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cartridg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having the sens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black and white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and without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the third connecting hose ( 16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first connection hoses 135, 137, and 139, which are components for charging the red toner cartridge 167, the blue toner cartridge 169, and the yellow toner cartridge 171, respectively. And the red toner refill tank 127, the blue toner refill tank 129, and the yellow toner refill tank 131 are omitted, and the red toner refill tank 127, the blue toner refill tank 129, and the yellow toner refill tank ( The second connecting hoses 151, 153, and 155 connecting the 131 and the three-way valves 113, 115, and 117 are omitted, and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and the second connecting hoses 143, 145, and 147 are omitted. The three-way valves 113, 115, and 117 to be connected are configured to be omitt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린트 또는 복사기에 장착되고,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리필용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충전이 되면 하이 센싱바(119, 121, 123, 125)에서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토너의 사용에 의해 충전된 토너가 일정 높이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도록 로우 센싱바(120, 122, 124, 126)가 구비되어 있으며, 로우 센싱바(120, 122, 124, 126)에서 감지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감지 신호는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의 제어부(105)에서 수신되어 토너를 자동 충전한다.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 173)에는 제 1 연결 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꼭지(3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실시에 따라 가운데에 수평으로 드럼(303)이 위치하도록 실시 할 수 있다.
4 and 5, the refill toner cartridge for mounting to a printer or copier, and to be applied to a cartridge toner automatic refilling device having a sensing bar, has a high sensing bar 119, 121, 123 when the toner is charged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ow sensing bar (120, 122, 124, 126)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at the toner, and generates a signal when the toner charged by the use of the toner is below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at the, 122, 124, and 126, the generated detection signal is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105 of the cartridge toner auto charging device having the sensing bar to automatically charge the toner. The toner cartridges 167, 169, 171, and 173 are provided with connection taps 301 for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hoses, and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drum 303 is horizontally positioned in the cen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00 : 토너 자동 충전 장치, 101 : 공기 압축 펌프,
103 : 입출력부, 105 : 제어부,
109 : 압축 공기 분배기,
111, 113, 115, 117 : 3 웨이 밸브,
112, 114, 116, 118 : 공기 배출구,
119, 121, 123, 125 : 하이 센싱바,
120, 122, 124, 126 : 로우 센셍바,
127 : 빨강 토너 리필 저장 탱크, 129 : 파랑 토너 리필 저장 탱크,
131 : 노랑 토너 리필 저장 탱크, 133 :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
135, 137, 139, 141 : 제 1 연결 호스,
143, 145, 147, 149 : 제 4 연결 호스,
151, 153, 155, 157 : 제 2 연결 호스
161 : 제 3 연결 호스, 163 : 압축 공기 흡입구,
167 : 빨강 토너 카트리지, 169 : 파랑 토너 카트리지,
171 : 노랑 토너 카트리지, 173 : 검정 토너 카트리지,
175 : A/D 변환기, 177 : 증폭기,
179 : RF-ID 수신기,
181, 183, 185, 187 : RF-ID 송신기,
201 : 공기 덕트, 203 : 깔때기부,
205 : 토너 리필구 마개, 207 : 토너 리필구,
301 : 연결 꼭지, 303 : 드럼
100: automatic toner filling device, 101: air compression pump,
103: input and output unit, 105: control unit,
109: compressed air distributor,
111, 113, 115, 117: 3-way valve,
112, 114, 116, 118: air outlet,
119, 121, 123, 125: high sensing bar,
120, 122, 124, 126: Low Sensamba,
127: red toner refill storage tank, 129: blue toner refill storage tank,
131: yellow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5, 137, 139, 141: the first connecting hose,
143, 145, 147, 149: fourth connection hose,
151, 153, 155, 157: second connection hose
161: third connection hose, 163: compressed air inlet,
167: red toner cartridge, 169: blue toner cartridge,
171: yellow toner cartridge, 173: black toner cartridge,
175: A / D converter, 177: amplifier,
179: RF-ID receiver,
181, 183, 185, 187: RF-ID transmitter,
201: air duct, 203: funnel,
205: toner refill plug, 207: toner refill plug,
301: connecting tap, 303: drum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카트리지에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있어서, 리필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에 저장된 토너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 속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 펌프(101)와;
상기 압축 공기 펌프(10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3 웨이 밸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호스(141)와;
상기 3 웨이 벨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7)와;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126)가 감지되면 토너 공급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도록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 및 상기 3 웨이 밸브(111)를 제어하여 토너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105)에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의 상태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의 하부는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토너가 유연하게 흘러 내리도록 깔때기부(203)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의 내부 측면 벽에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압축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덕트(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덕트(201)의 하방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의 외부로 하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덕트(201)의 상기 하방 돌출부에 상기 제 2 연결 호스(143)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
A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a cartridge, comprising: a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 storing toner to be refilled;
An air compression pump (10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flows into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3-way valve 1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ump 101;
A first connecting hose 141 connecting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second connecting hose 157 connecting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When the low sensing bar 126 that generates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below a certain amount,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may be started to supply the toner and fill the toner in the cartridge for a predetermined time. A control unit 105 for controlling the toner conveyance by controlling 111;
And an input / output unit 1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5 or outputt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105.
A lower portion of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ms a funnel portion 203 so that the toner flows flexibly by the pressure of compressed air, and the lower side of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is downwardly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The air duct 201 is form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flows upward from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of the air duct 201 is formed with a lower protrusion outside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the air duct ( And the second connecting hose (143) is connected to the downward protrusion of 201).
카트리지에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있어서, 리필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에 저장된 토너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 속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 펌프(101)와;
상기 압축 공기 펌프(10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3 웨이 밸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호스(141)와;
상기 3 웨이 벨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7)와;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126)가 감지되면 토너 공급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도록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 및 상기 3 웨이 밸브(111)를 제어하여 토너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105)에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의 상태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에는 RF-ID 송신기(187)가 더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05)에는 RF-ID 송신기(187)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RF-ID 수신기(175)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
A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a cartridge, comprising: a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 storing toner to be refilled;
An air compression pump (10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flows into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3-way valve 1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ump 101;
A first connecting hose 141 connecting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second connecting hose 157 connecting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When the low sensing bar 126 that generates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below a certain amount,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may be started to supply the toner and fill the toner in the cartridge for a predetermined time. A control unit 105 for controlling the toner conveyance by controlling 111;
And an input / output unit 1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5 or outputt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105.
An RF-ID transmitter 187 is further attached to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control unit 105 receives an RF-ID receiver 175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RF-ID transmitter 187. Cartridge toner automatic charging device with a sensing bar,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provided.
카트리지에 토너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토너 자동 충전 장치에 있어서, 리필되는 토너를 저장하는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에 저장된 토너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 속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공기 압축 펌프(101)와;
상기 압축 공기 펌프(101)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3 웨이 밸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와 검정 토너 카트리지(173)를 연결하는 제 1 연결 호스(141)와;
상기 3 웨이 벨브(111)와 상기 검정 토너 리필 저장 탱크(133)를 연결하는 제 2 연결 호스(157)와;
카트리지에 충전된 토너가 일정양 이하가 되면 신호를 발생하는 로우 센싱바(126)가 감지되면 토너 공급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 카트리지에 토너를 충전하도록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 및 상기 3 웨이 밸브(111)를 제어하여 토너 이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05)와;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105)에 입력하거나, 상기 제어부(105)의 상태를 출력하는 입출력부(1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 압축 펌프(101)에 연결된 제 3 연결 호스와 상기 3 웨이 밸브의 사이에는 압축 공기를 분배하는 압축 공기 분배기(109)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축 공기 분배기(109)에는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3 웨이 밸브가 더 구비되어 연결되고,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가 더 구비되어 연결되고,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와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3 웨이 밸브를 연결하는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2 연결 호스(143, 145, 147)가 더 구비되고,
칼라 토너 카트리지의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상기 토너 리필 저장 탱크(127, 129, 131)와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칼라 토너 카트리지(167, 169, 171)을 연결하는 각각의 색상에 대응되는 제 1 연결 호스(135, 137, 139, 141);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센싱바가 있는 카트리지 토너 자동 충전 장치.

A toner automatic filling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a cartridge, comprising: a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for storing toner to be refilled;
An air compression pump (10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so that the toner stored in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flows into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3-way valve 111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ed air pump 101;
A first connecting hose 141 connecting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and the black toner cartridge 173;
A second connecting hose 157 connecting the three-way valve 111 and the black toner refill storage tank 133;
When the low sensing bar 126 that generates a signal is detected when the toner charged in the cartridge is below a certain amount,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may be started to supply the toner and fill the toner in the cartridge for a predetermined time. A control unit 105 for controlling the toner conveyance by controlling 111;
And an input / output unit 103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to the control unit 105 or outputting a state of the control unit 105.
A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third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ion pump 101 and the three-way valve to distribute compressed air.
The compressed air distributor 109 is further provided with a three-way valve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131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are further provided and connected,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connecting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and 131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and the three-way valv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respectively. Second connection hoses 143, 145, 147 are further provided,
A first color corresponding to each color connecting the toner refill storage tanks 127, 129, and 131 corresponding to each color of the color toner cartridge and the color toner cartridges 167, 169, and 17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colors; A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device having a sensing bar,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hose (135, 137, 139, 141).

KR1020100012055A 2010-02-09 2010-02-09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KR101068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55A KR101068248B1 (en) 2010-02-09 2010-02-09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055A KR101068248B1 (en) 2010-02-09 2010-02-09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69A KR20110092569A (en) 2011-08-18
KR101068248B1 true KR101068248B1 (en) 2011-09-28

Family

ID=4492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055A KR101068248B1 (en) 2010-02-09 2010-02-09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24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36A1 (en) * 2013-06-21 2014-12-24 (주)두림텍 Powder and liquid suppl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04864A1 (en) * 2015-12-17 2017-06-22 주식회사 지알에스코리아 Output device having external toner supply device
CN106919025A (en) * 2015-12-25 2017-07-04 Grskorea株式会社 Output device with outside toner supplying device
US9665064B1 (en) 2015-12-29 2017-05-30 Grs Korea Inc. Output apparatus with an external toner supplying device
KR101977981B1 (en) * 2017-06-12 2019-05-16 주식회사 에코인터내셔널파트너스 Automatic refill-device of toner for prin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715Y1 (en) * 2002-10-24 2003-02-11 주식회사 하이퍼닉스 Ink Automatic Supply Unit Using Air Pressure
KR100738948B1 (en) * 2006-02-20 2007-07-18 주식회사 에이아이티 Apparatus for refilling toner
KR100892392B1 (en) * 2009-01-19 2009-04-10 (주)유로시스템 An automatic toner refiller for cartrid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715Y1 (en) * 2002-10-24 2003-02-11 주식회사 하이퍼닉스 Ink Automatic Supply Unit Using Air Pressure
KR100738948B1 (en) * 2006-02-20 2007-07-18 주식회사 에이아이티 Apparatus for refilling toner
KR100892392B1 (en) * 2009-01-19 2009-04-10 (주)유로시스템 An automatic toner refiller for cart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4036A1 (en) * 2013-06-21 2014-12-24 (주)두림텍 Powder and liquid suppl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569A (en)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248B1 (en) Cartridge Toner Auto Filling Unit with Sensing Bar
KR100892392B1 (en) An automatic toner refiller for cartridge
KR101032482B1 (e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er at toner cartridge
KR100980385B1 (en) 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er of laser printer
KR100961094B1 (en) An automatic cartridge toner refiller which has a load cell
KR101215197B1 (en) Ink-supplying apparatus and inkpack storage case
KR101367805B1 (en) Suppling device of powder and liquid
JP6932788B2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supplying fuel in the fuel tank
KR101337773B1 (en) Ink supply apparatus
KR101063449B1 (en) Cartridge Color Toner Auto Filling Device
KR100971476B1 (en) An automatic toner refiller for cartridge
JP5080430B2 (en) Variable displacement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ed in printing systems
US8376530B2 (en) Ink filling device for office machine
KR200401615Y1 (en) Ink refill container for a printer
KR102002314B1 (en) Automatic toner supplying apparatus
KR101198959B1 (e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cartridge of laser printer by using air pressure difference and the method thereof
US9665064B1 (en) Output apparatus with an external toner supplying device
KR101182825B1 (en) Catridge and apparatus for supplying ind using the same
KR101780950B1 (en) Output apparatus with an external toner supplying device
KR101751431B1 (en) Ink supply device for Supplying Ink at Constant Pressure
KR101319089B1 (en) Ink supplying device of ink jet printer
KR101302829B1 (en) Ink supply apparatus of printer
US11472111B2 (en) Resource consumption control
KR101801152B1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residual ink of photograph printer
KR101670316B1 (en) Ink Supp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