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080B1 -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080B1
KR101068080B1 KR1020090008189A KR20090008189A KR101068080B1 KR 101068080 B1 KR101068080 B1 KR 101068080B1 KR 1020090008189 A KR1020090008189 A KR 1020090008189A KR 20090008189 A KR20090008189 A KR 20090008189A KR 101068080 B1 KR101068080 B1 KR 101068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rea
repeater
resourc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000A (ko
Inventor
오성근
이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0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8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영역을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으로 설정하고, 가용 자원 내에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한다.
기지국 영역, 중계기 영역, 기지국 영역 자원, 중계기 영역 자원, 세그먼트, 백홀 링크

Description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USING RESOURCES IN A MUITLCELL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셀(multicell)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들에게 다양한 고속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이렇게 차세대 통신 시스템이 발전해나감에 따라 그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들이 다양해지고,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되는 무선 자원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무선 자원으로는 주파수 자원과, 시간 자원, 코드 자원, 공간 자원 등이 있다.
하지만, 무선 자원은 한정된 자원이기 때문에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다양 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무선 자원을 무한정 증가시킬 수는 없는 상황이다. 일 예로, 주파수 자원의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별로 라이센스(license) 비용이 소요되는데,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야만 하는 주파수 대역이 증가할 경우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 역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제안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파수 대역에 대한 라이센스 비용 증가로 인해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통신 장치간에 한 개의 통신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한 개의 채널을 할당하는데, 상기 생성된 통신 링크의 상태가 비교적 양호할 경우 신호 송신 장치가 사용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두 개의 통신 장치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송신 전력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의 낭비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자원의 한정성을 극복하면서도, 무선 자원의 효율성을 최대화시키는 형태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영역을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 역으로 설정하고, 가용 자원 내에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을 설정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는 제어기와,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과, 적어도 두 개의 중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에 있어서, 통신 영역을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가용 자원 내에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본 발명은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영역을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으로 설정하고, 각 기지국 영역에 기지국을 위치시키고, 각 중계기 영역에 중계기를 위치시키며, 가용 자원을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 중 한 개의 세그먼트를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 중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된 세그먼트를 제외한 나머지 세그먼트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함으로써 자원 사용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효과를 가진다.
(2) 본 발명은 기지국 영역에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도록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에 할당된 중계기 영역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재사용하도록 할당함으로써 간섭을 감소시키고, 자원 사용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효과를 가진다.
(3) 본 발명은 기지국 영역 자원을 기지국-중계기간 백홀(backhaul, 이하 'backhaul'이라 칭하기로 한다)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중계기-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함으로써 자원 사용 효율 성을 증가시킨다는 효과를 가진다.
(4) 본 발명은 중첩 코딩(superposition coding) 방식과, 코드 분할 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C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전력 분할 다중화(PDM: Power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P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적응적 빔포밍(beam forming) 방식과, 스위치된 빔(switched beam) 방식과, 공간 분할 다중화(SDM: 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S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다중 사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IMO'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같은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자원 사용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효과를 가진다.
(5) 본 발명은 기지국과 중계기가 적어도 한 개의 인접 중계기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인접 기지국과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무선망을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6) 본 발명은 기지국 영역 자원을 기지국-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중계기-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함으로써 자원 사용 효율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 분할 없이 연속적인 중계 송수신을 가능하도록 하여 지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7) 본 발명은 중계기가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로부터 자원들을 할당받고, 상기 할당받은 자원들을 통합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효과를 가진다.
(8) 본 발명은 중계기 영역에 할당된 중계기 영역 자원을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가 공통으로 사용하게 하고, 중계기가 미리 설정된 레벨의 독립적인 핸드오버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셀 간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9) 본 발명은 중계기를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 직접 송수신이 어려운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여 셀 경계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들의 신호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중 셀(multicell)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A 및/또는 B'로 기재되어 있을 경우, 상기 'A 및/또는 B'는 'A와 B' 및 'A 혹은 B'의 두 가지 경우를 모두 나타냄에 유의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영역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지국 영역
상기 기지국 영역은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는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영역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직접 제어는 해당 통신 장치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제어 신호를 중계없이 직접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상기 직접 송수신은 해당 통신 장치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중계없이 직접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한 개의 기지국 영역은 적어도 두 개의 섹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2) 중계기 영역
상기 중계기 영역은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중계기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적어도 두 개의 섹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선 자원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지국 영역 자원
첫 번째로,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은 기본적으로 기지국 영역에 할당되고,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는 기지국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기지국 영역에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이 할당되는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는 기지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중계기간에 생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중계기간 백홀(backhaul, 이하 'backhaul'이라 칭하기로 한다) 링크를 위해 기지국 영역 자원이 공유될 수 있다.
(2) 중계기 영역 자원
첫 번째로,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은 기본적으로 중계기 영역에 할당되고,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는 중계기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할당된 중계기 영역에 배치된 중계기와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에 배치된 중계기 사이에 생성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위해 중계기 영역 자원이 공유될 수 있다.
세 번째로, 경계가 접해있는 중계기 영역들에서 동일한 세그먼트(segment)가 사용되거나, 혹은 상이한 세그먼트가 사용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네 번째로, 중계기 영역에 할당된 중계기 영역 자원을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장치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지국
상기 기지국은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며,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 제어 또는 직접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이다.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한 개의 인접한, 다른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인접 중계기간에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통신 장치이다. 상기 기지국은 셀룰러(cellular) 기지국 및/또는 펨토셀(femtocell)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펨토셀 기지국은 독립된 사무실, 주거지, 빌딩 등과 같은 독립적인 펨토셀에서 운영되는 소규모 통신 장치를 나타내며, 유선으로 코어망(core network)과 연결되거나 적어도 한 개의 셀룰러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backhaul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ackhaul 링크는 통신 장치들 상호간에 생성되는 통신링크의 타입에 따라 유선 backhaul 링크, 무선 backhaul 링크, 유무선 복합 backhaul 링크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영역에 배치되는 기지국은 섹터화된 기지국일 수 있다.
(2) 중계기
상기 중계기는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며,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이다. 상기 중계기는 적어도 한 개의 인접 중계기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인접 기지국과 backhaul 링크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영역에 배치되는 중계기는 섹터화된 중계기일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해당 중계기 영역에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로부터 자원들을 할당받고, 상기 할당받은 자원들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미리 설정된 레벨의 독립적인 핸드오버 프로세스와 미리 설정된 레벨의 자원 관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이다. 상기 중계기는 단순 중계기와, 릴레이와, 중계 전송 펨토셀 기지국 및/또는 중계 전송 단말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에서 통신 영역을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들 각각은 여섯 개의 중계기 영역과 오버랩(overlap)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은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들 각각은 여섯 개의 중계기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은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들 각각은 다수개, 일 예로 세 개의 섹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은 적어도 두 개의 섹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들 각각은 두 개의 기지국 영역과 네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중계기 영역들 각각은 두 개의 기지국 영역과 그 경계가 접하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해당 중계기 영역이 적 어도 두 개의 기지국 영역들에 그 경계가 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기 영역들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한 기지국 영역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해당 중계기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한 기지국 영역들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해당 중계기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한 기지국 영역들이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해당 중계기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한,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 영역들을 차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들 각각은 두 개의 기지국 영역과 네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들 각각은 상기 중계기 영역들 각각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들과 세 개의 기지국들간에 직접 제어 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도 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들과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들 각각은 다수개, 일 예로 여섯 개의 섹터 영역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은 적어도 두 개의 섹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8 내지 도 14에서 기지국 및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기지국 영역들 각각에 기지국이 위치하게 되는데, 각 기지국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중계기 영역들 각각에는 중계기가 위치하게 되는데, 각 중계기의 위치는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들 각각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한 여섯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들 각각의 위치는 다른 기지국 영역에 배치된 기지국들과 backhaul 링크를 통해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기지국의 위치는 다른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들 각각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해있는 여섯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들과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해당 기지국은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 1(1211)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해있는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 즉 중계기1(1215)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고, 해당 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해있는, 다른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 2(1217)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다른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2(1213)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 1(1211)과 중계기1(1215)간의 backhaul 링크는 유선 backhaul 링크이고, 상기 기지국 1(1211)과 중계기 2(1217)간의 backhaul 링크는 무선 backhaul 링크이고, 상기 기지국 1(1211)과 기지국2(1213)간의 backhaul 링크는 유무선 복합 backhaul 링크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의 위치는 적어도 한 개의 인접한, 다른 기지국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인접 중계기 사이에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중계기들 각각의 위치는 해당 중계기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해있는, 다른 세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들과 backhaul 링크, 일 예로 무선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의 위치는 다른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중계기들 각각의 위치는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기 지국과 backhaul 링크, 일 예로 무선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의 위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backhaul 링크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용 자원은 세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한 개의 세그먼트는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한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결정되고, 나머지 두 개의 세그먼트들은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한 중계기 영역 자원 1과 중계기 영역 자원 2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용 자원은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한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결정되고, 나머지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한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용 자원은 한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한 개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위한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결정된다. 이렇게, 가용 자원이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에 중계기 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의 일부가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결정된다. 즉, 가용 자원이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에 중계기 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한 개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 중 한 개는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용 자원이 한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한 개의 세그먼트가 기지국 영역으로 사용되는 중에 필요에 따라 상기 한 개의 세그먼트 는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 중 한 개는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가용 자원은 세그먼트로 분할되지 않고, 기지국 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가용 자원이 한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한 개의 세그먼트가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결정된다. 또한, 이렇게 한 개의 세그먼트가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에 중계기 영역에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한 개의 세그먼트는 적어도 두 개로 분할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 중 한 개는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가용 자원이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 혹은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 혹은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 각각이 해당 영역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에서, 가용 자원이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세그먼트가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결정될 경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 기로 한다. 또한, 도 18 내지 도 27에서, 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기지국1(1811)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1(1813)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기지국 영역 자원1이 할당되고, 기지국2(1815)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2(1817)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기지국 영역 자원2가 할당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1(1811)은 기지국 영역 1에 위치하고, 기지국2(1815)는 기지국 영역 2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 영역 자원이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은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중계기 1(1911)과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 한 사용자 단말기 1(1913)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중계기 영역 자원1이 할당되고, 중계기 2(1915)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2(1917)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중계기 영역 자원2가 할당된다. 여기서, 상기 중계기 1(1911)은 중계기 영역 1에 위치하고, 중계기 2(1915)는 중계기 영역 2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계기 영역 자원이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직접 제어 및/또는 직접 송수신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의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는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1(2011)과 기지국 1(20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은 사용자 단말기 2(2015)와 기지국 2(2017)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과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11)와 기지국 1(2013)은 기지국 영역 1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2(2015)와 기지국 2(2017)는 기지국 영역 2에 위치하고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 1(2011)과 기지국 1(20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 2(2015)와 기지국 2(2017)간의 통신을 위해 재사용되도록 할당된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 원은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그 경계가 접해있는 중계기 영역들이 상이한 세그먼트를 사용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1(2111)과 중계기1 사이의 통신을 위해 중계기 영역 1에는 중계기 영역 자원1이 할당되고, 상기 중계기 영역 1과 그 경계가 접해 있는 중계기 영역2에는 인접한 영역들 상호간에 직접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세그먼트가 사용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2가 할당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 2(2115)와 중계기2(2117)간의 통신을 위해 중계기 영역 2에는 중계기 영역 자원2가 할당되고, 상기 중계기 영역 1과 그 경계가 접해있지 않은 중계기 영역3에는 동일한 세그먼트가 재사용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1이 할당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 3(2119)와 중계기3(2121)간의 통신을 위해 중계기 영역3에는 중계기 영역 자원 1이 할당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 경계가 접해 있는 중계기 영역들에는 상이한 세그먼트가 사용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할당되고, 그 경계가 접해있지 않은 중계기 영역들에는 동일한 세그먼트가 사용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그 경계가 접해있는 중계기 영역들이 동일한 세그먼트를 사용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그 경계가 접해 있는 중계기 영역1과 중계기 영역2에 동 일한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할당된다. 즉, 상기 중계기 영역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1(2211)과 중계기1(22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중계기 영역 자원이 상기 중계기 영역2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2(2215)와 중계기2(2217)간의 통신을 위해 재사용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 경계가 접해 있는 중계기 영역들에서 동일한 세그먼트가 사용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에서 재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 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1(2311)과 기지국1(23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1이 중계기 영역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2(2315)와 중계기1(2317)간의 통신을 위해 재사용되도록 할당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이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 할당된 중계기 영역 자원이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섹터화된 기지국 영역과 섹터화된 중계기 영역으로 분할된 통신 영역에서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설명하기에 앞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 섹터화된 기지국이 위치하는 경우, 섹터화된 기지국 영역에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가 해당 섹터화된 기지국 영역을 위한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 섹터화된 중계기가 위치하는 경우, 섹터화된 중계기 영역에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가 해당 섹터화된 중계기 영역을 위한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섹터화된 기지국 영역에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이 섹터화된 중계기 영역에서 재사용하도록 할당되고, 섹터화된 중계기 영역에 할당된 중계기 영역 자원이 섹터화된 기지국 영역에서 재사용하도록 할당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기지국-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1에서 사용자 단말기 1(2511)과 기지국1(25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은 중계기 영역1에서 중계기 1(2515)과 기지국1(2513)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할당된다. 즉, 기지국 영역1에서 사용자 단말기 1(2511)과 기지국1(25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되는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1에서 중계기 1(2515)과 기지국1(2513)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할당되는 자원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해당 기지국 영역에 할당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이 해당 기지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 기간의 적어도 한 개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의 기지국-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세그먼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기지국1(2611)과 중계기1(2613)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 영역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1(2615)과 기지국 1(2611)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1과 동일하고, 상기 기지국1(2611)과 중계기2(2617)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 영역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 2(2619)와 기지국 1(2611)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된 기지국 영역 자원2과 동일하다. 이 경우, 상기 기지국1(2611)과 중계기1(2613)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과 상기 기지국1(2611)과 중계기2(2617)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상이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기지국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자원을 공유하는,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세그먼트가 할당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 자원을 중계기-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1에서 사용자 단말기 1(2711)과 중계기 1(2713)간의 통신을 위해 할당되는 중계기 영역 자원1은 중계기 영역2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2(2715)와 중계기1(2713)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해당 중계기 영역에 할당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해당 중계기 영역에 배치된 중계기와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중계기간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된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해당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자원을 공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중계기-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위해 backhaul 링크마다 상이한 세그먼트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에서 해당 기지국 영역에 할당되는,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이 해당 기지국과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간의 적어도 한 개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화 방식은 중첩 코딩(superposition coding) 방식과, 코드 분할 다중화(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C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전력 분할 다중화(PDM: Power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P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적응적 빔포밍(beam forming) 방식과, 스위치된 빔(switched beam) 방식과, 공간 분할 다중화(SDM: 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SDM'이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과, 다중 사 용자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MIMO'라라 칭하기로 한다) 방식 중 어느 한 개가 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에서 해당 중계기 영역에 할당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이 해당 중계기와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간의 적어도 한 개의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중화 방식을 사용하여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여기서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중첩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중첩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이 공유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링크 각각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중첩 코딩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중첩 코딩 방식은 중첩 송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송신 전력을 전체 송신 전력을 분할하여 설정함으로써 신호들을 계층화하여 다중화하는 방식이며, 상기 중첩 코딩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송신해야할 신호의 개수가 N개일 경우 상기 통신 장치가 송신하는 신호 X는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9006495816-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ixi는 상기 통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송신해야할 N개의 신호 중 i번째 신호를 나타내며(단, i = 1, ... , N), ai는 i번째 신호의 송신 전력 조절 계수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장치는 ai를 조절하여 N개의 독립적인 신호들을 계층화하여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C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중 링크 중계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C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이 공유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 각각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CDM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CDM 방식은 다수의 신호들을 상호 직교하거나 또는 상관성이 거의 없는 시퀀스(혹은 코드)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다중화 방식으로서, 상기 CDM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다중 통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송신해야할 신호의 개수가 N개일 경우 N개의 코드가 필요하며, 상기 N개의 코드는 상호 직교하거나 또는 상관성이 거의 없다.
다음으로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P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P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이 공유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 각각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PDM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PDM 방식은 다수의 신호들을 송신함에 있어 상기 다수의 신호들 각각에 차등적인 송신 전력을 할당하여 송신하는 다중화 방식으로서, 상기 PDM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송신해야할 신호의 개수가 N개일 경우 N개의 차등 송신 전력이 필요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적응적 빔포밍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적응적 빔포밍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이 공유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 각각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적응적 빔포밍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적응적 빔포밍 방식은 다수의 신호들을 상호 간섭이 적은 방향성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다중화 방식으로서, 상기 적응적 빔포밍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송신해야할 신호의 개수가 N개일 경우 N개의 적응적 방향성 빔이 필요하며, 상기 N개의 적응적 방향성 빔은 해당 통신 장치의 채널 정보 혹은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다음으로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스위치된 빔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스위치된 빔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이 공유되기 때문에,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 각각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스위치된 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 스위치된 빔 방식은 다수의 신호들을 미리 생성된 방향성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다중화 방식으로서, 상기 스위치된 빔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통신 장치가 독립적으로 송신해야할 신호의 개수가 N개일 경우 N개의 스위치된 빔이 필요하며, 다른 통신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통신 장치의 위치에 상응하게 상기 N개의 스위치된 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S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SDM 방식은 다수의 신호들을 공간적인 분할이 가능한 안테나 또는 공간적인 경로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다중화 방식으로서, 상기 SDM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해당 통신 장치가 MIMO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중 사용자 MIMO 방식은 다수의 신호들을 MIMO 프리코딩(pre-coding) 방식 혹은 공간 분할 방식 등을 이용하여 송신하는 다중화 방식으로서, 상기 다중 사용자 MIMO 방식 자체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3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3 내지 도 34에서 전체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전체 가용 자원은 8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된다. 상기 8개의 세그먼트 중 세그먼트1 내지 세그먼트2는 중계기 영역 자원1로 할당되고, 세그 먼트3 내지 세그먼트4는 중계기 영역 자원2로 할당되고, 세그먼트4 내지 세그먼트6은 기지국 영역 자원1로 할당되고, 세그먼트6 내지 세그먼트8은 기지국 영역 자원2로 할당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체 가용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는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되고,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 중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는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도 33에서는, 기지국 영역 자원1에 포함되는 세그먼트4는 중계기 영역 자원2에도 포함되며, 기지국 영역 자원1에 포함되는 세그먼트6은 기지국 영역 자원2에도 포함된다. 그러나, 기지국 영역 자원1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 즉 세그먼트4 내지 세그먼트6은 중계기 영역 자원1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 즉 세그먼트1 내지 세그먼트2와는 상이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지국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는 중계기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와 동일하거나, 혹은 기지국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은 기지국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을 제외한, 적어도 한 개의 나머지 세그먼트 및/또는 중계기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설정하는 방법의 일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 자원2에 포함되는 세그먼트2는 중계기 영역 자원1에도 포함되고, 중계기 영역 자원2에 포함되는 세그먼트 4는 기지국 영역 자원1에 동일하게 포함된다. 그러나, 중계기 영역 자원2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 즉 세그먼트2 내지 세그먼트4는 기지국 영역 자원2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 즉 세그먼트6 내지 세그먼트8과 상이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계기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는 기지국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와 동일하거나, 혹은 중계기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은 중계기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세그먼트들 자신을 제외한, 적어도 한 개의 나머지 세그먼트들 및/또는 기지국 영역 자원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5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 내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5 내지 도 36에서 전체 가용 자원 내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 내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 자원1은 중계기 영역 자원2와 오버랩되도록 결정되고, 기지국 영역 자원2와 오버랩되도록 결정되고, 중계기 영역 자원1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 자원과 오버랩되도록 결정되거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기지국 영역 자원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 내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중계기 영역 자원2는 기지국 영역 자원1과 오버랩되도록 결정되고, 중계기 영역 자원1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결정되고, 기지국 영역 자원2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 자원과 오버랩되도록 결정되거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영역 자원 및/또는 적어도 한 개의, 다른 중계기 영역 자원과 오버랩되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 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7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재사용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 자원1은 기지국 영역1에 할당되고, 상기 기지국 영역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1을 상기 기지국 영역1과 인접하지 않은 중계기 영역1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됨으로써, 중계기 영역1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중계기간의 통신을 위해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기지국 영역 자원2는 기지국 영역2에 할당되고, 상기 기지국 영역2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기지국 영역 자원2는 상기 기지국 영역2와 인접한 중계기 영역2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됨으로써, 중계기 영역2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중계기간의 통신을 위해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중계기 영역 자원1은 중계기 영역3에 할당되고, 상기 중계기 영역3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중계기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중계기 영역 자원1은 상기 중계기 영역3과 인접하지 않은 기지국 영역3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됨으로써, 기지국 영역3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의 통신을 위하여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영역 자원2는 중계기 영역4에 할당되고, 상기 중계기 영역4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중계기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중계기 영역 자원2는 중계기 영역 4와 인접한 기지국 영역4에서 재사용되도록 할당됨으로써, 기지국 영역4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들과 해당 기지국간의 통신을 위해 재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8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8 내지 도 39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주체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기지국과 중계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기 기지국과 중계기 중 어느 한 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1에 위치하고, 기지국 영역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인접한 중계기 영역1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1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반대로,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인접한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계기 영역 자원을 인접한 기지국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를 참조하면, 기지국 영역1에 위치하고, 기지국 영역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인접한 중계기 영역1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1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영역간 자원 분배 균형을 위해 특정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1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중계기 영역에 위치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할당받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가 인접한 기지국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중계기 영역 자원을 인접한 기지국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함으로써, 해당 사용자 단말기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원을 그대로 유지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영역간 자원 분배 균형을 위해 소정의 기지국 영역 자원을 해당 중계기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을 위한 자원으로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에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그 경계가 접해있는 중계기 영역들이 상이한 세그먼트를 사용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그 경계가 접해있는 중계기 영역들이 동일한 세그먼트를 사용하도록 중계기 영역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에서 재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섹터화된 기지국 영역과 섹터화된 중계기 영역으로 분할된 통신 영역에서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기지국-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의 기지국-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상이한 세그먼트를 할당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 영역 자원을 중계기-중계기간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중첩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다중 링크 중계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C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PDM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적응적 빔포밍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가 스위치된 빔 방식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backhaul 링크를 사용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설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설정하는 방법의 일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 내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가용 자원 내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과 중계기 영역 자원을 재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 면
도 3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셀 통신 시스템의 자원 사용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영역 자원을 중계기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고, 중계기 영역 자원을 기지국 영역 자원으로 할당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38)

  1.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에 있어서,
    가용 자원 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을 제2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재사용하는 과정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을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과,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재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1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2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과 상이하며,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는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하거나,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자원 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이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이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이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이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및 제2기지국 영역 각각은 해당 기지국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이며,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중계기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이고,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영역이며,
    상기 직접 제어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제어 신호를 중계없이 송수신함을 나타내며, 상기 직접 송수신은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중계없이 송수신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혹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1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1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1 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1 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상기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제3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3기지국 영역은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상기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제3기지국 영역을 차단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3기지국 영역은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및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섹터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섹터 영역으로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섹터 영역 각각에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를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섹터 영역 각각에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를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에 존재하는 기지국인 제1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제1중계기 영역에 존재하는 중계기인 제1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에 존재하는 기지국인 제2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제2중계기 영역에 존재하는 중계기인 제2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 각각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위치이고,상기 제1중계기 및 제2중계기 각각의 위치는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중계기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 각각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제3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3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경계가 접해 있는 중계기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의 위치는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2기지국의 위치는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의 위치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거나, 혹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2중계기의 위치는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기지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기지국이며,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기지국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중계기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중계기는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중계기 및 제2중계기 각각은 단순 중계기, 릴레이, 중계 전송 펨토셀 기지국, 중계 전송 단말기 중 한 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19. 제1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동일한 자원이거나,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상이한 자원이거나,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중계기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동일한 자원이거나,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중계기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상이한 자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방법.
  20.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에 있어서,
    가용 자원 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을 설정하고,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을 제2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재사용하고,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을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과,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재사용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1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2기지국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과 상이하며,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은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계기 영역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1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과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가용 자원을 적어도 한 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하고,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하고, 상기 세그먼트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자원 영역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는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하거나,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로 할당된 세그먼트와 동일하거나 혹은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이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이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이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이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제2중계기 영역 자원과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및 제2기지국 영역 각각은 해당 기지국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이며,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중계기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이고,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영역이며,
    상기 직접 제어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제어 신호를 중계없이 송수신함을 나타내며, 상기 직접 송수신은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사용자 데이터를 중계없이 송수신함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혹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1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과, 제1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2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1 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는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과 제1 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상기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제3기지국 영역에 그 경계가 접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3기지국 영역은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상기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제3기지국 영역을 차단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3기지국 영역은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이거나, 혹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제2중계기 영역 각각은 해당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적어도 두 개의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및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섹터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및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중 적어도 한 개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섹터 영역으로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섹터 영역 각각에 상기 제1기지국 영역 자원과 상기 제2기지국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를 할당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섹터 영역 각각에 상기 제1중계기 영역 자원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자원 중 적어도 한 개를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에 존재하는 기지국인 제1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제1중계기 영역에 존재하는 중계기인 제1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2기지국 영역에 존재하는 기지국인 제2기지국의 위치와 상기 제2중계기 영역에 존재하는 중계기인 제2중계기의 위치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 각각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위치이고,
    상기 제1중계기 및 제2중계기 각각의 위치는 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중계기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및 제2기지국 각각의 위치는 해당 기지국 영역과 적어도 한 개의 제3중계기 영역 내의 사용자 단말기들과 기지국간에 직접 제어와 직접 송수신 중 적어도 한 개가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3중계기 영역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과 제2기지국 영역 중 적어도 한 개와 경계가 접해 있는 중계기 영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의 위치는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2기지국의 위치는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의 위치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거나, 혹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며,
    상기 제2중계기의 위치는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이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이 가능한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기지국은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기지국이며,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기지국은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 중에서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는 기지국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중계기는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한 개와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1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고,
    상기 제2중계기 영역 내의 중계기는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한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제2기지국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기지국과 상기 제1중계기 영역 내의 적어도 한 개의 중계기 중 적어도 두 개와 backhaul 링크를 통해 송수신하며,
    상기 제1중계기 및 제2중계기 각각은 단순 중계기, 릴레이, 중계 전송 펨토셀 기지국, 중계 전송 단말기 중 한 개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38. 제36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동일한 자원이거나,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기지국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상이한 자원이거나,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중계기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동일한 자원이거나,
    상기 backhaul 링크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원은 중계기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자원과 상이한 자원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KR1020090008189A 2009-02-02 2009-02-02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068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89A KR101068080B1 (ko) 2009-02-02 2009-02-02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189A KR101068080B1 (ko) 2009-02-02 2009-02-02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000A KR20100089000A (ko) 2010-08-11
KR101068080B1 true KR101068080B1 (ko) 2011-09-28

Family

ID=4275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189A KR101068080B1 (ko) 2009-02-02 2009-02-02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0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450A (ko) * 2005-03-09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51833B1 (ko) 2006-08-21 2007-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중계기 배치 방법, 이를 이용한 무선 자원 할당방법 및 자원 해제 방법
KR20070098283A (ko) * 2006-03-31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5576A (ko) * 2006-04-26 200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이용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7450A (ko) * 2005-03-09 2006-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98283A (ko) * 2006-03-31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시스템
KR20070105576A (ko) * 2006-04-26 2007-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751833B1 (ko) 2006-08-21 2007-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중계기 배치 방법, 이를 이용한 무선 자원 할당방법 및 자원 해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000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374B1 (ko)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셀 내 간섭 없이 다중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93832B1 (ko)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Oyman et al. Multihop relaying for broadband wireless mesh networks: From theory to practice
CN102461237B (zh) 对分层蜂窝系统分配资源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传输帧
US900171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EP1332636B1 (en) Cellular radio network reusing frequencies
KR101588747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수신 장치
KR10107596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링크 중계 장치 및 방법
US8953476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fer within a relay enhanced telecommunication network
US8340591B2 (en) Scheduling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756482B2 (en) Scheduling method for wireless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s and system thereof
KR100956756B1 (ko)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국-단말 간 간섭 회피를 위한 주파수 재사용 장치 및 방법
KR20190008940A (ko) 송수신 포인트와 송수신 포인트 연결에서의 시분할 듀플렉스 멀티플렉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292075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2792734B (zh) 无线通信系统、通信控制方法基站及移动终端
CN104285488A (zh) 通信控制装置、通信控制方法以及终端装置
US11588544B2 (en) Non-terrestrial network satellite beam switching
JP200008327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6605442B (zh) 适于在无线通信网络中实现设备到设备的通信的资源分配系统和方法
WO2016150488A1 (en) Pilot signal resource allocation for a cellular mimo system
Tabrizi et al. Coordinated tethering over white spaces
AU2010277535B2 (en) Method for multiple access to radio resources in a mobile ad hoc network and system implementing said method
KR20110086754A (ko) 중계 통신 방법들 및 장치
EP35012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KR101068080B1 (ko) 다중 셀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사용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