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827B1 -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 Google Patents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27B1
KR101066827B1 KR1020110041842A KR20110041842A KR101066827B1 KR 101066827 B1 KR101066827 B1 KR 101066827B1 KR 1020110041842 A KR1020110041842 A KR 1020110041842A KR 20110041842 A KR20110041842 A KR 20110041842A KR 101066827 B1 KR101066827 B1 KR 101066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data
meter reading
sensor nod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열
우현욱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이디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1004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은 소정 구역 내의 전력 총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와, 각 부하의 전력 소비량을 각각 검침할 수 있는 분전검침 집중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 검침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달받는 센서노드; 상기 스마트미터기, 분전 검침 집중기 및 센서노드로부터 검침 데이터들을 전달받는 지능형 게이트웨이; 및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원격 검침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노드의 제어부는 상기 설비 검침기들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기 위한 적어도 2이상의 통신 규약이 모듈화된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that can determin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 a predetermined area, and a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that can read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load; A sensor node receiving meter reading data from at least one facility meter; An intelligent gateway that receives meter reading data from the smart meter, a meter reading concentrator, and a sensor node; And a remote metering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data parsing and data analysis on the metering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gateway to a higher system, wherein the control unit of the sensor node is configured to at least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s of the facility meter reader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include a modular meter reader protocol adapter processing unit.

Figure R1020110041842
Figure R1020110041842

Description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본 발명은 제조사에 따라 다른 통신규약으로 제조될 수 있는 계량기들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노드를 구비함으로써, 빌딩의 에너지 관리를 위하여 계량기들 각각의 통신규약에 맞는 별도의 센서노드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원격 검침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or node that can effectively collect the meter reading data for meters that can be manufactured by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 separate sensor for each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meter for energy management of the building It is for a remote meter reading system that does not need to have a node.

에너지 절약과 지구 온난화 대책기술로 업무용 빌딩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또는 공장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FEMS),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HEMS)은 건물의 에너지 공급 수요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기기나 설비의 운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에너지 절감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As energy saving and global warming prevention technology, the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the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EMS) and the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HEMS) of business buildings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energy supply demands of buildings and It is a technology that realizes energy saving by controlling operation efficiently.

여기서, HEMS는 주택의 에너지 소비 기기인 가전 기기나 급탕 기기를 IT기술의 활용에 의해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자동 제어하는 기술이며, 가정의 에너지 사용량이나 기기의 동작을 계측하여 표시하고, 거주자에게 에너지 절약을 환기할 뿐만 아니라, 기기의 바람직한 사용방법을 제안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억제하는 효과도 달성할 수 있다. Here, HEMS is a technology that connects home appliances or hot water appliances, which are energy consuming devices in homes, to the network by the use of IT technology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m. In addition to the ventilation, the proposed method of using the device can be proposed to achieve an effect of suppressing energy consumption.

그리고, BEMS는 건물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면서 각종 설비의 최적화 운영 제어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을 하는 에너지 절약형 시스템으로서, 냉난방 엔탈피 제어, 최적 기동제어, 외기 취입냉방, 야간배기, 절전운전, 정복전 제어, 최대 수요 전력제어 등 다양한 설비의 에너지 제어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대형 건물은 첨단화/자동화되면서 기능성과 편리성이 중요시되고 있지만, 에너지 사용량도 이와 함께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addition, BEMS is an energy-saving system that saves energy by optimizing operational control of various facilities while maintaining a pleasant environment of a building.It is air-conditioning enthalpy control, optimum start control, air blowing, night exhaust, power saving operation, control before conquest, Energy control management functions of various facilities such as maximum demand power control should be provided. And while large buildings are becoming more advanced / automated,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are becoming important, but energy consumption is also increasing.

이러한 에너지 절감의 노력은 IT 기술을 이용하여 센서, 설비 및 사무기기, 가전기기의 총괄적인 운영 및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능성과 편리성을 지향하면서 에너지 절감의 효과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This energy saving effort can achieve energy savings while aiming for functionality and convenience by applying a comprehensiv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sensors, facilities, office equipment, and home appliances using IT technology.

기존의 계량기를 원격으로 검침할 수 있는 시스템은 전력회사, 가스회사, 수도회사 각각의 인프라 구축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구축 운영되고 있는데, 실 사용자 입장에서 건물 내 에너지 사용 현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최적의 운전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Existing meters can be remotely read and operat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infrastructure of the power company, gas company, and water company. It is necessary to build a separate system to manage the driving status.

즉, 각 제조사별로 다양하게 제조되는 전력, 수도 및 가스 등의 계량기들은, 각각 별도의 통신 규약으로 제조되고 있었고, 이러한 경우에 각 계량기들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노드들은 그에 맞게 교체되거나 수리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power, water, and gas meters manufactured by each manufacturer were manufactured under separate communication protocols, and in this case, sensor nodes for collecting meter data from each meter were replaced or repaired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that should be.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은, 각 부하의 전력 소비량을 각각 검침할 수 있는 분전검침 집중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 검침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달받는 센서노드; 상기 분전 검침 집중기와 센서노드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달받는 지능형 게이트웨이; 및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서버 또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원격 검침 처리부;를 포함하고, An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capable of metering power consumption of each load; A sensor node receiving meter reading data from at least one facility meter; An intelligent gateway that receives meter reading data from the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and the sensor node; And a remote metering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data parsing and data analysis on the metering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gateway and transmit the data to a server o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상기 센서노드의 제어부는 상기 설비 검침기들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기 위한 적어도 2이상의 통신 규약이 모듈화된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The control unit of the sensor node includes a meter reader protocol adapter processing unit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s of the facility meter readers are modularized.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와, 분전검침 집중기 및 센서노드를 통하여 검침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와, 상기 원격 검침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The intelligent gateway includes a data input / output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read through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a distribution meter reading device and a sensor node,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 또는 분전검침 집중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PLC 모뎀부 또는 상기 센서노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지그비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The data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PLC modem uni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or a meter reading meter concentrator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node.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위한 IEEE802.15.4 표준 제어부와, 지그비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SE 프로파일 처리부와, 상기 센서노드의 설정관리를 위하여 제어명령을 처리하는 센서노드 제어 명령부를 포함한다. The controller of the intelligent gateway may include an IEEE802.15.4 standard controll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Zigbee protocol processor, an SE profile processor for processing meter rea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and a control command for setting management of the sensor node. It includes a sensor node control command unit for proces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원격 검침 방법에 의하여, 서로 다른 통신규약으로 제조된 계량기들이라고 할지라도, 본 발명에 따른 센서노드에 의하여 각각의 계량기들로부터 용이하게 검침 데이터가 수집됨으로써, 원격 검침 시스템의 검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nd the method of remote meter rea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though the meter is manufactured by different communication protocols, the meter node can easily read meter data from each meter. By collect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metering efficiency of the remote meter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의 개력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센서노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센서노드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분석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침 데이터의 처리 흐름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 메시지 처리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처리 흐름도.
1 is a view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ired or wireless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 wired or wireless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n intelligent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meter re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data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data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1 illustrate a data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acket analysis flowchart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processing of meter reading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 diagram of command messag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flowchart of a schedul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scope of the inventive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by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inventive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by adding, deleting, or modifying components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will be said to include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의 개력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은 단일의 빌딩 뿐만 아니라, 다수의 빌딩이나 주택, 공장이 집합된 특정 지역에 대해서도 검침 데이터의 수집/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일의 빌딩에 대하여 검침 데이터의 수집과 명령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collection / command of the meter reading data not only for a single building but also for a specific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buildings, houses, and factories are collected.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collection and instruction of the meter data is made for a single building.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에너지를 소비하는 기기들에 대하여 전기를 분전시키는 전기 분전반(410)과, 가스, 수도 등의 설비 시설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설비 검침(440)과, 인텔리전트 빌딩의 경우에 빌딩의 제어 설비와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IBS/FMS 시스템(500)이 빌딩 내에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410 for distributing electricity for devices consuming electrical energy, a facility meter 440 for collecting meter data from facility facilities such as gas and water, and an intelligent building In some cases, an IBS / FMS system 500 for controlling the building's control equipment and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building.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은 상기 전기 분전반(410)과 설비 검침(440)으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lligent gateway 400 for collecting the meter data from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410 and the facility meter 440.

그리고,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와 상기 IBS/FMS 시스템(500)으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를 전달받고, 전달받은 검침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파싱 등을 수행하여 검침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와 IBS/FMS 시스템(500)으로 명령 데이터를 전달하는 원격 검침부(100)가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meter 100 receives the rea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gateway 400 and the IBS / FMS system 500, performs data parsing on the received reading data, and processes the reading data, and the intelligent gateway 400 And a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for transmitting command data to the IBS / FMS system 500.

특히, 상기 원격 검침부(100)는 상기 설비 검침(440)의 유무선 센서노드들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통신규약의 패킷들에 대한 패킷 분석과, 패킷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해당되는 항목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n particular,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performs packet analysis and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packets of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transmitted from wired / wireless sensor nodes of the facility meter 440. Together, the corresponding item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전기 분전반(410)은 인입되는 전력을 각각의 부하로 분전시키기 위한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는 각각의 부하에 연결된 다수의 분전 검침기(431,432,433,434)들의 전체 전기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를 통하여 검침되는 데이터는, 빌딩 전체 또는 특정 지역의 총 전력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The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 410 includes a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for distributing incoming power to each load, and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includes a plurality of distribution meter reading devices 431, 432, 433, and 434 connected to the respective loads. Their total electricity usage can be read. For example, the data read through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includes information 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building or a specific area.

그리고, 상기 전기 분전반(410)은 각각의 분전 검침기(431,432,433,434)에 대한 전기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는 분전검침 집중기(430)를 포함한다. 상기 분전검침 집중기(430)는 각각의 분전 검침기들을 통하여 각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기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도 조명에 대한 부하의 전기 사용량을 검침하는 제 1 분전 검침기(431)로부터 해당되는 복도 조명의 전기 사용량을 상기 분전검침 집중기(430)가 검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410 includes a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430 that can read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for each distribution meter (431, 432, 433, 434). The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430 may read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at each load through the distribution meters.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430 may collect meter reading data from the first distribution meter reading meter 431 that reads the amount of electricity used for the hall lighting.

즉,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는 관리대상의 특정 지역 또는 빌딩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분전검침 집중기(430)는 각각의 부하에 마련되는 분전 검침기로부터 각 부하의 전기 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며,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와 분전검침 집중기(430)는 수집된 전체 전력사용량 및 각 부하별 전력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로 전달한다. That is,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collects the metering data on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or a specific area or building to be managed, and the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430 from each distribution meter reading device provided in each load The meter reading data on the electricity usage of the load is collected, and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and the distribution meter concentrator 430 collect the meter reading data on the collected total power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of each load by the intelligent gateway 400. To pass).

그리고,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에 의해서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하여 관리되는 소정의 빌딩 내지는 지역에 대한 전체 전력사용량을 검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분전검침 집중기(430)에 의하여 전력 소비가 이루어지는 부하에 대한 개별적인 검침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is capable of read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for a predetermined building or area managed by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by the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 430 Individual meter readings for the loads made can be ma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사용량 이외에, 가스, 수도 및 열량 등에 대한 설비의 검침이 이루어지며, 상기 설비 검침(440) 내에 마련되는 유무선 센서노드들이 가스 검침기, 수도 검침기 및 열량 검침기에 의해 측정되는 다양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유무선 센서노드들(450,460,470)은 다양한 제조회사들에 의해 제조된 가스/수도/열량 검침기이더라도, 다양한 통신규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무선 센서노드들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해당 항목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lectricity consumption, the inspection of the equipment for gas, water and calorie, etc. is made, and the wired and wireless sensor nodes provided in the facility meter 440 are measured by a gas meter, a water meter and a calorimeter. Collects various meter reading data is delivered to the intelligent gateway 400. Here, the wired / wireless sensor nodes 450, 460, and 470 may be configured to cope with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even if they are gas / water / calorimeter meters manufactured by various manufacturers. The wired / wireless sensor nod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corresponding items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한편, 본 실시예의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에는 제어설비(511)와 다양한 센서(512)들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를 수집 및 제어하는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를 제어하는 IBS/FMS 시스템(500)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acility control SCADA 510 for collecting and controlling data collected from the control facility 511 and various sensors 512, and controls the facility control SCADA 510. It includes an IBS / FMS system 500.

상기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는 컨트롤러들(제어설비,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통합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레벨의 그림(도면)을 자동적으로 작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각 컨트롤러, 즉, 제어 설비(511) 및 센서(512)는 물리적 위치와 논리적 및 물리적인 상호 접속을 보고하기 때문에, SCADA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상의 장치의 물리 구성만이 아니라, 배관 및 전기적 접속의 그림(도면)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업 기기 또는 툴에 연관되는 컨트롤러와 같은 장치가 SCADA 시스템에 스스로의 존재를 경고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상의 새로운 툴 또는 기기를 SCADA 시스템에 통지하기 때문에, 장치에 의한 브로드캐스트 또는 서버에 의한 폴링(polling)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는 제어설비(511) 및 센서(512)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장치 및 연관되는 기기 및 그러한 상호 접속의 공간 표시를 동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기기가 추가 또는 삭제되는 경우에, 상기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는 자동적으로 그 기록 및 표시를 갱신할 수 있다. The facility control SCADA 510 is programmed to automatically create a system-level picture (drawing) by integrating information from controllers (control equipment, sensors). Because each controller, control facility 511 and sensor 512, reports physical location and logical and physical interconnections, SCADA software not only provides a picture of the piping and electrical connections, but also the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devices on the network. Drawing) can be created. Also, for example, a device, such as an industrial device or a controller associated with a tool, may provide a mechanism to alert the SCADA system of its existence and to notify the SCADA system of new tools or devices on the network. Broadcast by or polling by the server may be used. The facility control SCADA 510 can also dynamically create spatial representations of devices and associated devices and their interconnections, u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facility 511 and sensors 512. When a device is added or deleted, the facility control SCADA 510 can automatically update its record and display.

상기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상기 IBS/FMS 시스템(500)을 통하여 상기 원격 검침부(100)로 전달되고, EMS(Energy Management System)(200)은 상기 원격 검침부(100)를 통하여 전기 분전반과 설비 검침을 제어하거나, 시설물 제어용 SCADA(510)를 통하여 제어 설비(511)와 센서(512)를 제어할 수 있다. The data obtained from the facility control SCADA (510) is transmitted to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through the IBS / FMS system 500,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200 is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and the meter reading control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facility 511 and the sensor 512 through the SCADA 510 for facility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센서노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센서노드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wired / wireless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 wired / wireless sensor n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무선 센서노드는, 가스 검침기 또는 수도 검침기 또는 열량 검침기와 같은 각 검침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452)와,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452)를 통하여 입력된 검침 데이터에 대하여 다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451)와, 상기 제어부(451)의 제어에 따라 각 검침기로부터 수집된 검침 데이터를 상위의 지능형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454) 또는 유선 송수신부(4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무선 센서노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453)가 마련된다. 2 and 3, the wired / wireless sensor n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data input / output unit 452 for receiving reading data from each meter such as a gas meter, a water meter or a calorimeter, and the data input / output unit 452. A control unit 451 for detecting information on data transmitte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respect to the meter reading data inputted through a), and meter reading data collected from each meter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451. It includes a wireless transceiver 454 or a wired transceiver 455 to deliver to the intelligent gateway. A power supply 453 is provided to supply power of the wired and wireless sensor nodes.

상세히,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452)는 DC PLC 통신부(452b)와, 시리얼 통신부(452a)를 포함하며, 상기 DC PLC 통신부(452b)는 DC-PLC를 지원하는 검침기(예를 들면, 전력, 수도, 가스, 온수 등)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로서, 검침기의 통신신호를 센서노드 자체 전원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DC PLC 통신부(452b)에 의하여 각 검침기와 유무선 센서노드가 통신을 수행할 경우에, 데이터 통신으로 검침치의 내부 배터리가 소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In detail, the data input / output unit 452 includes a DC PLC communication unit 452b and a serial communication unit 452a, and the DC PLC communication unit 452b includes a meter (eg, power, water) that supports DC-PLC. , Gas, hot water, etc.), and detects th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meter using the sensor node itself. When each meter and the wired / wireless sensor node perform communication by the DC PLC communication unit 452b, the internal battery of the meter reading may be reduced by data communication.

그리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452)의 시리얼 통신부(452a)는 시리얼 통신(RS485)을 지원하는 검침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452a of the data input / output unit 452 serves to collect meter reading data from a meter reader that supports serial communication (RS485).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부(454)와 유선 송수신부(455)는 상위의 지능형 게이트웨이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무선 송수신부(454)는 지능형 게이트웨이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 802.15.4 기반의 RF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선 송수신부(455)는 상위의 지능형 게이트웨이와 데이터 송수신을 하기 위하여 시리얼 통신부(RS485, PLC)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ceiver 454 and the wired transceiver 455 play a role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intelligent gateway, and the wireless transceiver 454 is a wireless sensor network 802.15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intelligent gateway. It can be implemented as .4 based RF communication module. The wired transceiver 455 may be a serial communication unit RS485 or PLC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an upper intelligent gateway.

본 실시예의 센서노드의 제어부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노드의 제어부(45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센서노드의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와, 건물에 설치된 각종 검침용 계량기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는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451e)와,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에서 수집된 검침 정보를 SE 프로파일 규약에서 SE 클러스터 세부 속성에 할당가능한 데이터로 변환처리하는 프로토콜 컨버트(451c)와, 무선통신 제어부(451d)와 시리얼 통신부(451f)를 통하여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에서 수신받은 상위의 SE 클러스터의 검침 데이터 획득 명령에 대응하여 각 검침기에게 검침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는 SE 프로파일 처리부(451b)를 포함하고, 각 검침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부(451f) 또는 무선통신 제어부(45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for the controller of the sensor node of the presen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ler node 451 of the sensor node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d / wireless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er read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or 451a and the meter node protocol framework processor 451e which serves a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meter reading meters installed in the building. Meter reading data of the upper SE cluster received by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ing unit 451a through a protocol converter 451c for converting and converting data into data assignable to an attribut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unit 451d and a serial communication unit 451f. And an SE profile processor 451b for requesting each meter to transmit meter reading data in response to an acquisition command. , It may further comprise the respective probes and the wire or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451f)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ler (451d) for wireless communication.

상세히,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control framework) 처리부(451a)는 센서노드가 검침하는 검침기의 타입(수도, 가스, 열량 등), 검침주기, 검침 디바이스의 통신 타입(예를 들면, DC-PLC, RS485, 고속 PLC), 통신 속도 설정 등 센서노드의 전체적인 동작을 관리하는 처리부로서, 무선통신 제어부(451d)와 시리얼 통신부(451f)를 통하여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센서노드 관리 제어명령은 자체 처리하고, SE Profile 명령은 SE 프로파일 처리부(451b)로 전달하여 검침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In detail,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ing unit 451a may include a type of meter reading (water, gas, calories, etc.), a meter reading period, and a communication type of a metering device (for example, DC-PLC). (RS485, high-speed PLC), the processing unit for manag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nsor node, such as communication speed settings, the sensor node management control command by analyz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upper system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unit 451d and serial communication unit 451f Is self-processing, and the SE Profile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E profile processing unit 451b to perform the meter reading function.

상기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meter protocol adaptor) 처리부(451e)는 건물에 설치된 각종 검침용 계량기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제어부로서, 검침 데이터 송수신 레이어는 계량기의 DC-PLC, RS485, 고속 PLC 등의 통신 데이터를 수신처리하며,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는 제조사별 특성에 맞게 수도, 가스, 열량 계량기별로 통신 규약에 대해 모듈화하여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필요시에, 특정 제조사의 통신 규약에 맞도록 해당 기능을 추가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The meter protocol adapter processor 451e is an interface controller for communicating with various meter meter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he mete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layer receives communication data such as DC-PLC, RS485, and high-speed PLC of the meter. In addition, the meter protocol adapter processing un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communication function by modularizing the communication protocol for each water, gas, calorimet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pecific characteristics. And, if necessary, it is also possible to add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meet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a specific manufacturer.

상기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451e)에 의해 수집된 검침 데이터는 프로토콜 컨버트(protocol convert)(451c)로 전달되며, 상기 프로토콜 컨버트(451c)는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에서 수집된 검침 정보를 에너지 무선 제어용 프로토콜인 Smart Energy Profile(SE Profile) 규약에서 SE 클러스터 세부 속성에 할당가능한 데이터로 변환처리하고, SE 프로파일 처리부(451b)는 무선통신 제어부(451d)와 시리얼 통신부(451f)를 통하여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에서 수신받은 상위의 SE 클러스터의 검침 데이터 획득(get) 명령에 대해서 획득 요청(get request) 처리를 담당하며, 프로토콜 컨버트(451c)에서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451e)에서 수집된 정보를 매핑하여 요청 처리한다. The meter data collected by the meter protocol adapter processing unit 451e is transferred to a protocol convert 451c, and the protocol converter 451c reads the meter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or 451a. Is converted into data assignable to the SE cluster detailed attributes in the Smart Energy Profile (SE Profile) protocol, which is an energy wireless control protocol, and the SE profile processing unit 451b 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unit 451d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451f.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ing unit 451a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 get request for a reading command of a higher SE cluster received from the sensor cluster, and the protocol converter 451c in the protocol converter 451c. Process the request by mapp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from.

또한, 상기 무선통신 제어부(451d)는 IEEE 802.15.4 기반의 지그비(Zigbee) 통신 처리부이며, 상위의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지그비 코디네이터와 무선으로 통신하며,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로부터 SE 프로파일(Smart Energy Profile) 규약의 클러스터 명령을 지그비 통신으로 수신하여,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로 전달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unit 451d is a Zigbe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based on IEEE 802.15.4, and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a Zigbee coordinator of a higher intelligent gateway, and the SE profile (Smart Energy Profile) protocol from the intelligent gateway. The cluster command is received through ZigBee communic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or 451a.

그리고, 상기 센서노드 제어 프레임워크 처리부(451a)는 센서노드 운용에 관련되는 명령인지, SE 프로파일 명령인지 여부등을 분석하며, SE 프로파일 명령인 경우에는 상기 SE 프로파일 처리부(451b)로 전달하고, 센서노드 운용에 관련되는 명령일 경우에는 검침주기, 디바이스 통신 속성, 센서노드 주소 등의 명령을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sensor node control framework processing unit 451a analyzes whether the command i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node or SE profile command. In the case of commands related to node operation, commands such as meter reading period, device communication property, and sensor node address are processed.

또한, 상기 시리얼 통신부(451f)는 상위의 지능형 게이트웨이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통신이 곤란한 경우, 예를 들면, 건물 지하 보일러실에 계량기 1대만 설치되어 있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신이 어려운 경우), 케이블 직접 결선이 비용면에서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할 수 있으며, 게이트웨이와 시리얼 통신으로 유선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역시, 상기 시리얼 통신부(451f)는 게이트웨이의 SE 프로파일 명령과 센서노드 제어 명령을 송수신처리한다. In addition, when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451f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a high-level intelligent gateway and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example, when only one meter is installed in a boiler room in a building underground,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with a wireless sensor network), direct cable connection It is inexpensive and easy to install in terms of cost, and plays a ro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 wired connection with a gateway and serial communication. In this case, too,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451f transmits and receives an SE profile command and a sensor node control command of the gatewa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n intelligent gatew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는 전기 분전반의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420)로부터 전체 전기 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분전검침 집중기(430)로부터 각 부하에 대한 각각의 전기 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통신규약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유무선 센서노드로부터 각 설비의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입력부(402)를 포함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4, the intelligent gateway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ollects reading data on total electricity usage from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420 of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or from each of the distribution meter reading concentrators 430. It includes a data input unit 402 for collecting the meter data for each electricity consumption for the load, or to receive the meter data of each facility from the wired or wireless sensor node that can respond to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402)는 전자식 전력량계(스마트미터기)와 통신하기 위한 PLC 모뎀부와, 수도, 가스, 열량(온수) 계량기와 통신하기 위한 IEEE802.15.4 기반의 지그비(코디네이터)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 input / output unit 402 may include a PLC modem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smart meter) and an IEEE802.15.4 based Zigbee (coordinator)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a water, gas, and calorific value (hot water) meter. Can be.

또한,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에는 상위 시스템인 AMI 또는 관리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에너지 현황과 DR(Demand Response)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405)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화면 표시부(405)는 IHD(In Home Display)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에너지 사용현황의 이력을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예측 정보 또는 현재 사용현황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설비운전 기준을 사용자가 상기 화면 표시부(405)를 통하여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조절한 정보는 상위 시스템으로 전달되며, 상위 시스템(AMI 및 관리 시스템)에서는 입력정보에 따라 각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lligent gateway 400 further includes a screen display unit 405 for displaying the energy status and DR (Demand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MI or the management system, which is an upper system, and the screen display unit 405 includes an IHD ( In Home Display) function. And, based on the history of the energy use status information such as energy usage prediction information or the current use status can be displayed, and if necessary, the user can adjust the operation criteria through the screen display unit 405,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djusted by the user is transferred to the upper system, and the upper system (AMI and management system) can control each facility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또한,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에 마련되는 통신부(404)는 상위 시스템 연결을 위한 TCP/IP, WiFi와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 역할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404 provided in the intelligent gateway 400 performs a wired /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role such as TCP / IP and WiFi for connecting to a higher system.

또한,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의 제어부(401)에는 PLC 모뎀을 통한 DLMS/COSEM 규약의 스마트미터기 통신 처리부가 포함되며, 지그비 통신으로 수도, 가스, 열량 계량기와 연결되는 센서노드와 무선 센서 네트워크 통신으로 SE 프로파일 규약의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이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1 of the intelligent gateway 400 includes a smart meter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of the DLMS / COSEM protocol through a PLC modem, the sensor node and wireless sensor network communication connected to the water, gas, calorimeter by Zigbee communication In this way, a configuration is provided to handle communication of the SE profile protoco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를 참조하여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통신을 위한 IEEE802.15.4 표준 제어부(401a)가 포함되며, 상기 IEEE802.15.4 표준 제어부(401a)는 PHY Layer와 MAC Layer 통신부를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of the intelligent gateway includes an IEEE802.15.4 standard controller 401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IEEE802.15.4 standard controller 401a controls the PHY layer and the MAC layer communication unit.

그리고, IEEE802.15.4 기반의 지그비 프로토콜 처리부(401b)가 포함되며, 상기 지그비 프로토콜 처리부(401b)는 계량기에 부착된 센서노드 제어를 위하여 지그비 코디네이터 기능이 구비된다. A Zigbee protocol processor 401b based on IEEE802.15.4 is included, and the Zigbee protocol processor 401b includes a Zigbee coordinator function for controlling a sensor node attached to a meter.

그리고, SE 프로파일 처리부(401c)가 포함되며, SE 프로파일 처리부(401c)는 지능형 게이트웨이와 센서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계량기의 센서노드와 에너지 검침 정보 수집을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노드 설정관리를 위한 제어 명령을 처리하는 센서노드 제어 명령부(401d)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SE profile processing unit 401c is included, and the SE profile processing unit 401c plays a role for collecting the sensor node and energy metering information of the meter connected to the intelligent gateway and the sensor network. In addition, a sensor node control command unit 401d for processing a control command for sensor node setting management is included.

또한,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401g)가 포함되며, 상기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401g)는 하위 처리부에서 전달되는 SE 프로파일, DLMS/COSEM 규약과 센서노드 제어 명령 응답에 대한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401e)에서 데이터 처리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 변환하여 이를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401e)로 전달한다. In addition, a protocol analysis and parser unit 401g is included, and the protocol analysis and parser unit 401g analyzes the protocol for the SE profile, DLMS / COSEM protocol, and sensor node control command response transmitted from the lower processing unit. The system interface processor 401e converts the data into a data processable form and transfers the data to the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or 401e.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401e)는 수집된 전력, 수도, 가스, 열량 검침 정보를 네트워크 연결된 상위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401e)는 지능형 게이트웨이에 연결되는 계량기(전력, 수도, 가스, 열량 등)를 등록, 삭제, 속성파악 등의 관리를 위한 설정 명령을 상위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지능형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계량기별 주소를 매핑하여 상기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401g)로 전달한다. 그 다음, 상기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401g)가 계량기별 통신규약을 계량기와의 최종 통신 규약으로 변환하여 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The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or 401e transmits the collected power, water, gas, and calorie reading information to a networked upper system. In addition, the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or 401e receives a setting command for managing a register (power, water, gas, calorie, etc.) connected to the intelligent gateway from the upper system to manage the registration, deletion, and attribute detection, and the intelligent gateway. The meter-specific address connected to the mapping is delivered to the protocol analysis and parser unit (401g). Then, the protocol analysis and parser unit 401g converts the communication protocol for each meter into the final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he meter and transmits a command.

또한, 본 실시예의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에는 IHD 처리부(401f)가 포함되며, 상기 IHD 처리부(401f)는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401e)를 통하여 전달받은 에너지 사용량 예측정보, 현재 사용 현황 등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에너지 사용 현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량 예측 정보는 상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검침 정보를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표시하며, 지능형 게이트웨이가 설치된 사용자 영역 범위의 에너지 사용 현황과 에너지 부하에 대한 시스템 제어 현황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시에, DR(Demand Response) 관련 설정을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입력하면, 이러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401e)를 통하여 상위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intelligent gateway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HD processing unit 401f, and the IHD processing unit 401f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energy usage prediction information and current usage status received through the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ing unit 401e. By displaying on the screen,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energy usage status. Here, the usage prediction information analyzes and displays the energy usage pattern based on the meter reading information accumulated in the upper system database, and displays the system control status on the energy usage and energy load in the user area range in which the intelligent gateway is installed in real time. You can also mark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DR (Demand Response) related setting by touching a screen, such user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a higher level system through the higher level system interface processor 401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mote meter re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부(100)는 지능형 게이트웨이(400)의 상위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를 통하여 수신되는 다양한 통신 규약의 검침 데이터들을 수집, 이에 대한 데이터 분석 및 명령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upper system of the intelligent gateway 400, and collects meter reading data of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received through the intelligent gateway 400, and analyzes data and processes commands thereof. Play a role.

상기 원격 검침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에 해당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통신 제어부(110)와, 상기 통신 제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파싱을 통하여 패킷 분석을 수행하는 패킷 분석 처리부(120)와, 상기 패킷 분석 처리부(120)에 의하여 분석된 각각의 데이터에 대하여 데이터 종류별로 해당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130)와,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 API(140)와, 원격 검침 관리부(150)와,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한다.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is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for receiving a dat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metering data delivered from at least one intelligent gateway 400, and parsing the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A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for performing packet analysis through the data processing unit, a data processing unit 130 for processing corresponding data for each data type for each data analyzed by the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and an external system The interface API 140,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50, and the database 160 are included.

상세히,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능형 게이트웨이(400)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브로커(data broker)로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 제어부(110)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는 상기 패킷 분석 처리부(120)로 전달된다. In detail,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functions as a data brok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intelligent gateway 400 connected to a network, and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110. The receiv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acket analysis processor 120.

그리고, 상기 패킷 분석 처리부(120)는 본 발명에 따라 통합 프로토콜 규약을 기반으로 처리되며, 다양한 프로토콜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 규약의 데이터 패킷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In addition, the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is processed based on an integrated protocol proto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packet structure of the integrated protocol corresponding to various protocols is illustrated in FIG. 7.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구조를 간략히 설명한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통합 프로토콜은 지그비 SE 프로파일, DLMS/COSEM, SenseNode 등 검침에 필요한 통합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ZigWISE, IHD, IBS, SEM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이 더 추가될 수 있으며,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iagram briefly explaining a data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protoco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upports integrated protocols required for meter reading such as ZigBee SE profile, DLMS / COSEM, SenseNode, and various protocols such as ZigWISE, IHD, IBS, SEMP, etc. can be further added. consist of.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데이터 패킷 구조는 프레임 시작 구분자인 1Byte의 STX, 프레임 총 크기를 나타내는 2Byte의 Frame Size, 프레임 일련번호를 나타내는 2Byte의 SEQ, 체크썸인 1Byte의 CRC, 실제 데이터가 포함되는 가변 크기의 Payload, 데이터 끝 구분자로서 1Byte 크기의 DLE, 프레임 끝 구분인 1Byte의 ETX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data packet structure of the embodiment includes an STX of 1 byte as a frame start delimiter, a Frame Size of 2 bytes indicating a total frame size, a SEQ of 2 bytes indicating a frame serial number, a CRC of 1 byte as a checksum, and an actual data packet structure. It consists of variable size payload including data, 1 byte DLE as data end delimiter and 1 byte ETX as frame end delimiter.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패킷 구조에서 Payload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Payload의 각 구성요소를 간략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yload structure in a data packe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for briefly explaining each component of a payloa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명령 및 데이터가 포함되는 페이로드는, SMART 프로토콜 버전이 되는 1Byte 크기의 version 정보와, 프로토콜 그룹을 나타내는 1Byte의 Protocl Group과, 명령어 그룹을 나타내는 1Byte의 Command Group과, 실제 명령어를 나타내는 1Byte의 Sub Command와, 명령별 요청/응답 데이터를 나타내는 Parameter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version은 상기 원격 검침부(100)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정상 여부 판별을 위한 것으로서, 해킹 데이터 등의 불완전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프로토콜 그룹에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해당 데이터 패킷의 통신 규약을 판별할 수 있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9 and 10, a payload including instructions and data includes a version information of 1 byte, which is a SMART protocol version, a Protocl Group of 1 byte representing a protocol group, a Command Group of 1 byte representing a command group, and It consists of a 1 byte sub command that represents the actual command and a parameter that represents the request / response data for each command. Here, the version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received by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is normal, and is used to determine incomplete data such as hacked data, and the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corresponding data packet from the data recorded in the protocol group. Contains data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Byte로 복수의 통신 규약에 대한 정의를 설정하여 둘 수 있으며, 0x01는 ZigWISE를, 0x02는 SE 프로파일을, 0x03은 DLMS/COSEM을, 0x04는 센스노드 설정을, 0x05는 IHD를, 0x06은 IBS를, 0x07은 SEMP에 대응되는 것으로 약속하여 둘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the definition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rotocols can be set to 1 byte, where 0x01 is ZigWISE, 0x02 is SE profile, 0x03 is DLMS / COSEM, and 0x04 is a sense node. It can be set that 0x05 corresponds to IHD, 0x06 corresponds to IBS, and 0x07 corresponds to SEMP.

도 7 내지 도 11에 예시되는 데이터 패킷 구조에서, 메인 프레임 구조는 간단하지만, 페이로드 부분에 세부 단계별로 정의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토콜 그룹은 검침을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별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구분하며, 각 Protocol Version, Command Group, Command, Parameter로 세분화하여 데이터 패킷 구조에서 최종 프로토콜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와 직접적인 통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데이터 패킷부분은 Parameter에 정의된다. 또한, 프로토콜 그룹 코드는 0x01 ~0xFF의 255개까지 확장가능하며, null 문자에 해당하는 0x00는 제외하였음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In the data packet structure illustrated in FIGS. 7 to 11, the main frame structure is simple, but is defined in detail in the payload s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otocol group classifies the protocols used by the devices used for the meter reading. In addition, the protocol can be divided into each Protocol Version, Command Group, Command, and Parameter to easily distinguish the final protocol from the data packet structure. The data packet part corresponding to the direct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he device is defined in the paramete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note that the protocol group code can be extended to 255 of 0x01 to 0xFF, and 0x00 corresponding to a null character is excluded.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분석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패킷 분석 처리부(120)의 AMI MDC(Meter Data collector:검침 데이터 수집기)(미도시)가 네트워크 소켓 통신을 통해 검침 및 제어명령 패킷 데이터를 수집하고(S101), 해당 패킷 데이터에서 프로토콜 버전 번호를 확인한다(S102). Here, referring to the packet analysis flowch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 12, an AMI MDC (meter reading data collector) (not shown) of the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network socket communication. The meter reading and control command packet data is collected (S101), and the protocol version number is checked from the corresponding packet data (S102).

해당 패킷 데이터의 프로토콜 버전을 확인하여, 현재 연동되고 있는 버전 번호와 일치하면 패킷의 프로토콜 그룹번호를 통하여 각각의 모듈로 분리된 분석기(ZigWISE, Zigbee SE Profile, DLMS/COSEM, 센스노드, IHD, IBS, SEMP) 중 하나나를 로딩(S104)하여 패킷 분석을 진행한다(S105). Check the protocol version of the packet data and if it matches the version number that is currently interworking, the analyzer divided into each module through the protocol group number of the packet (ZigWISE, Zigbee SE Profile, DLMS / COSEM, sense node, IHD, IBS). , One of the SEMP) is loaded (S104) to proceed with packet analysis (S105).

여기서, 패킷 데이터의 프로토콜 버전 확인 후 대응되는 분석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S103), 대응되는 분석기가 상기 패킷 분석 처리부(120)내에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에러 기록과 에러 처리를 수행(S109)한 다음 완료한다. 즉, 프로토콜 버전이 연동되는 버전번호와 다르거나, 패킷에 대응되는 분석기가 없는 경우에는, 에러 관련 기록 처리가 가능하다면 에러 처리를 수행하고, 에러 처리가 가능하지 않다면 특별한 기록없이 바로 패킷을 버림으로써 오류 패킷 분석을 통한 리소스 낭비 및 고의적인 해킹 및 보안 위협 요소로 간주한다. Here, after checking the protocol version of the packet data,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analyzer (S103). If the corresponding analyzer is not provided in the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error recording and error processing may be performed ( S109) and then complete. That is, if the protocol version is different from the version number to which the interworking version is or there is no analyzer corresponding to the packet, error processing is performed if error-related recording processing is possible. It is considered a waste of resources through error packet analysis and a deliberate hacking and security threat.

한편, 패킷 분석의 처리 과정 중에, 해당 데이터 패킷이 검침 데이터가 포함된 검침 패킷인지, 계량기 또는 센서노드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명령 패킷인지 여부에 따라(S106), 패킷을 검침 데이터 형태로 추출 후 검침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거나(S107), 명령 메시지를 처리한다(S108). Meanwhile, according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data packet is a reading packet including reading data or a command packe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eter or a sensor node (S106), the packet is extracted in the reading data format during packet analysis processing. The meter reading data processing is performed (S107) or the command message is processed (S108).

이러한 흐름의 패킷 분석 처리는, AMI MDC에서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를 검침 및 명령과 같은 AMI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로 정보화 및 구조화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패킷 처리 절차 뿐만 아니라, 분석기 선별과정에서는 여러 다중의 통합된 프로토콜에 대응하면서도 추후에 확장이 용이하도록 분석기를 하나의 DLL 모듈로 작성하여 확장시에 다시 컴파일을 수행하는 것 없이 플러그인 형태의 구조가 될 수 있다. This flow packet analysis process represents a process of informatizing and structuring raw data in AMI MDC into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in AMI servers such as meter reading and instructions. In addition to the packet processing procedure, the analyzer screening process is designed to be a plug-in structure without responding to multiple integrated protocols and easily expanding the analyzer in one DLL module. Can b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분석 처리부(120)의 패킷 Parser/Analyzer/Generator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통합 규약을 기반으로 각 프로토콜을 구분하고, 실질적인 통신 데이터를 검출하여 프로토콜 어댑터 레이어(Protocol Adaptor Layer)로 전달한다. Meanwhile, the packet parser / analyzer / generator of the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each protocol based on an integrated protocol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ects the actual communication data to make a protocol adapter layer. To pass).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어댑터 레이어에 구비된 DLMS/COSEM, SE 프로파일, 지그비 응용, BACnet 통신 어댑터별로 해당되는 규약의 장치들과 통신을 처리한다. In addition, it processes communication with devices of protocols corresponding to DLMS / COSEM, SE profile, Zigbee application, and BACnet communication adapter included in the protocol adapter layer.

여기서, 상기 DLMS/COSEM 어댑터는 OBIS code별 패킷을 생성하여 검출하고, SE 프로파일은 검침 클러스터의 획득(get) 명령 호출 또는 획득 응답(get response) 세부 속성에서 정보를 검출한다. BACnet 어댑터는 건물 제어용 설비의 표준 통신규약인 BACnet 프로토콜 기반으로 구성되며, 건물내 각종 관제점(센서, 엑츄에이터) 세부 속성 정보를 수집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Here, the DLMS / COSEM adapter generates and detects a packet for each OBIS code, and the SE profile detects information in a get command call or get response detailed attribute of a meter cluster. The BACnet adapter is based on the BACnet protocol, a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for building control equipment, and collects and controls detailed property information of various control points (sensors and actuators) in the building.

제어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검침 시스템과 연동되는 상위의 관리 시스템에서 수신받아 처리하는데, 여기서 상위 시스템은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와 같은 건물의 에너지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시설물이 최적의 상태에서 에너지 소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운전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될 수 있다. The control command is received and processed by the upper management system linked to the building meter rea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the upper system collects and analyzes energy information of a building such as a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and installs a facility. In this optimal state, it can be a system that controls operation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또한, 실시예의 원격 검침부(100)는 상기 패킷 분석 처리부(120)에 의하여 분석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데이터의 명령 내용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30)는 하위의 다양한 통신 방법으로 수집된 정보에서 최종적인 상위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정보를 취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 데이터 처리부, 명령 데이터 처리부, 검침 스케줄 처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1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 data processing unit 130 for receiving the data analyzed by the packet analysis processing unit 120 to perform the command content of the data. The data processor 130 collects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final upper system from information collected by various lower communication methods. As shown in the drawing, the data processor 130 may be a meter data processor, a command data processor, or a meter schedule scheduler. Can be done.

여기서, 상기 검침 데이터 처리부는 수집된 계량기 종류별로 검침 정보를 분류처리하고, DLMS/COSEM 어댑터를 통하여 유료전력, 무효전력, 역률, 순시 전압, 전력 누적값, TOU 검침 정보를 OBIS Code를 호출하여 검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가스, 수도, 열량(온수)의 검침은 SE 프로파일 어댑터를 통한 검침 클러스터의 획득 명령과 획득응답 정보를 통해 사용 누적량이 검침된다. Here, the meter reading data processor classifies the meter information by the collected meter type, and reads the paid power, reactive power, power factor, instantaneous voltage, power accumulation value, and TOU meter information through the DLMS / COSEM adapter by calling the OBIS Code.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Gas, water, and calorie (hot water) metering is measured through the acquisition command and acquisition response information of the metering cluster through the SE profile adapter.

여기서,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검침 데이터 처리부에 의하여 검침 데이터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AMI MDC가 패킷을 받아 검침 데이터로 정제한 후 상기 검침 데이터 처리부의 큐에 검침 데이터를 넣으면(S201), 큐 이벤트에 의하여 들어온 검침 데이터를 관제점을 갱신할 수 있도록 검침 데이터 갱신기를 할당한다(S203). Here, a process of processing the meter reading data by the meter reading data proces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When the AMI MDC receives the packet and purifies it into meter reading data and puts the meter data into the queue of the meter data processing unit (S201), the meter data updater is assigned to update the point of reading of the meter data received by the queue event (S203). ).

할당된 갱신기는 검침 데이터에 있는 물지적 장치의 주소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상주해 있는 관제점의 물리적 주소와 비교한 다음 동일한 주소의 관제점에 검침 데이터를 갱신하는 작업을 수행한다(S204). 만약, 갱신 작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면, 에러 기록 가능여부에 따라 에러 처리 후 종료하거나 에러 처리시 알림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면 알림 처리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The assigned updater compares the physical address of the control point resident in the memory using the address of the physical device in the metering data and then updates the metering data at the control point of the same address (S204). If the update operation is not normally performed, the processing is terminated after error processing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n error can be recorded, or if a notification function is added during error processing, the notific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nd ends.

한편, 메모리에 상주해 있는 관제점을 정상적으로 갱신한 다음에는, 갱신기는 관제점 영구 저장 처리기가 있는 여부를 판단하고(S205), 영구 저장 처리기가 있는 경우에 검침 데이터의 영구 저장을 처리한다(S206). 여기서, 관제점 영구 저장 처리기는 데이터베이스를 가리키는 것이며, 이외에 파일, 분산 메모리 서버 등 처리기 종류에 따라 관제점 영구 저장소를 변경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updating the control point resident in the memory normally, the updater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control point permanent storage processor (S205), and if there is a permanent storage processor, processes the permanent storage of the metering data (S206). ). Here, the point persistent store processor refers to a database, and in addition, the point persistent sto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processor type such as a file or a distributed memory server.

그리고, 상기 단계S205의 판단결과, 영구 저장 처리기가 없는 경우에는, 예외처리 가능 여부에 따라 예외처리(S207) 후 알림 가능 여부에 따라 알림 처리(S208)를 수행한다. When there is no permanent storage processo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5, notification processing (S208) is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notification is possible after exception processing (S207) according to whether exception processing is possible.

관제점 영구저장 처리기 역시 저장소에 따른 처리기를 DLL 모듈 형태로 분리하여 추후 다른 저장소의 확장이 용이해지도록 플러그인 방식으로 AMI 서버에서 유도할 수 있다. Point persistent storage handler can also be derived from the AMI server in a plug-in method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other repositories later by separating the handler according to the repository in the form of a DLL module.

그리고, 명령 데이터 처리부는 하위의 각종 계량기, 지능형 게이트웨이, 센서노드의 세부적인 환경설정과, 제어 기준을 설정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원격 검침 관리부(150)로부터 등록하거나 설정하고자 하는 각종 장치의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command data processor plays a role of setting and managing detailed environment settings and control criteria of various meters, intelligent gateways, and sensor nodes. In addition, the remote meter management unit 150 receives information of various devices to be registered or set up and processes it.

상기 명령 데이터 처리부의 동작에 관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명령 메시지 처리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명령 데이터 처리부는 해당 데이터 패킷이 명령을 가리키는 경우라도 명령의 제어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 메시지는 당연히 취소된다. 그러나, 제어 대상이 존재한다면,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취득하여(S301), 해당 명령의 정보를 처리한 다음(S302), 실제 장치에 대한 제어를 패킷처리하여 해당 장비로 전송한다(S303). The operation of the command data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ommand message processing flowchart shown in FIG. The command data processing unit naturally cancels the command message even when the data packet indicates the command, when the command control object does not exist. However, if there is a control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is acquired (S301), the information of the command is processed (S302), and the control of the actual device is packetized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vice (S303).

제어 대상의 정보 처리시에 명령에 따른 처리를 기록하며 기록되는 기본 저장소는 데이터베이스가 될 수 있으며, 명령 기록 저장소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잇를 채택하고 있지만, 파일 및 분산 메모리 서버 등으로 저장소를 변경할 수도 있다. In the processing of the information to be controlled, the basic storage that records and records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mmand may be a database. The command recording storage basically adopts a database, but the storage may be changed to a file and a distributed memory server. .

상기 검침 스케줄 처리부는 계량기의 검침 주기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원격 검침 관리부(150)가 계량기별 검침 스케줄을 DB(160)에 저장하여 두면, 상기 검침 스케줄 처리부가 상기 DB(160) 정보를 이용하여 수집 명령을 자동생성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 처리부로 해당 수집 명령을 전달하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계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The metering schedule processor performs a role of setting a metering cycle of the meter. When the remote meter reading management unit 150 stores the meter reading schedule for each meter in the DB 160, the metering schedule processing unit automatically generates a collection command using the DB 160 information, and collects the reading with the meter data processing unit. By sending a command, the metering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ccording to a set schedule.

상기 검침 스케줄 처리부에 의한 스케줄링 처리에 대하여 도 15에 도시된 스케줄링 처리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기로 한다. Scheduling processing by the meter reading schedule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cheduling processing flowchart shown in FIG. 15.

상기 검침 스케줄 처리부는 예약정보를 기본 예약정보 저장소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예약정보를 불러들인 후(S401), 예약정보의 유무를 확인한다(S402). 만약, 예약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대기(S406)후 예약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되면 예약정보를 다시 읽어들인다. The meter reading schedule processor reads reservation information from a database, which is a basic reservation information store (S401), and then checks whether there is reservation information (S402). If there is no reservation information, if reservation information is added to the database after waiting (S406), the reservation information is read again.

설정된 각각의 예약 정보는 외부 데이터(관제점 관련 시간, 검침값)를 바탕으로 예약정보에 포함되는 내용에 따라 동작을 개시한다(S403). 예약처리를 기록한 후(S404) 스케줄러는 각 예약에 따른 관제점 수정, 알림 처리, 에러 기록 등의 명령 메시지 처리(S405)를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을 생성한 후 AMI 서버에 처리를 지시한다. 예약정보 저장소 및 예약처리 기록 저장소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소로 채택하고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 및 분산 메모리 서버 등으로 저장소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Each set reservation information starts operation according to contents included in the reservation information based on external data (time related to a point of measurement, meter reading value) (S403). After recording the reservation process (S404), the scheduler generates a command so as to perform command message processing (S405) such as point correction, notification processing, error recording, etc. according to each reservation, and instructs the AMI server to process it. The reservation information store and the reservation processing record store basically adopt a database as a store, but as described above, the store can be changed to a file and a distributed memory server.

한편, 상기 원격 검침 관리부(150)는 시스템 사용자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스템 기준정보 관리와 수집정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관련 기준 정보와 설정정보, 및 수집된 모니터링 로그정보를 상기 DB(160)에 저장관리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mote meter reading management unit 150 provides a system user service, and serves to perform system reference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llection information monitoring. The relevant reference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collected monitoring log information are stored and managed in the DB 160.

또한, 외부 시스템 인터페이스 API(140)는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통신규약으로 수집된 검침 데이터들을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Connect Manager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TCP/UDP Socket이나 XML 기반의 SOAP, DB Link, Web Service 등으로 연결된 사용자 및 시스템에 대한 세션 관리 기능을 포함하며, 필요시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Service Function 처리부는 본 시스템을 통한 검침 정보 전달과, 상위 관리시스템에서 필요시에 제어하고자 하는 장치의 제어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는 명령 함수들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external system interface API 140 serves as an interface for linking the meter data collected by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with the extern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 Manager can provide various connection methods through the network, and includes session management functions for users and systems connected by TCP / UDP Socket or XML-based SOAP, DB Link, Web Service, etc. Can be used. The service function processor is configured to transmit meter reading information through the present system, and command functions capable of receiving a control command of a device to be controlled, if necessary, from a higher management system.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다양한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 계량기(검침기)가 사용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센서노드가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센서노드와 네트워크 연결된 지능형 게이트웨이 및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상위의 원격 검침부에 의해서, 데이터 분석 및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meter (meter reader) using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is used, it is possible for the sensor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rrespond, and the intelligent gateway and the intelligent network connected to the sensor node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above the gateway enables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Claims (3)

소정 구역 내의 전력 총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와, 각 부하의 전력 소비량을 각각 검침할 수 있는 분전검침 집중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 검침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달받는 센서노드;
상기 스마트미터기, 분전 검침 집중기 및 센서노드로부터 검침 데이터들을 전달받는 지능형 게이트웨이; 및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 패킷에 대하여 데이터 파싱 및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서버 또는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원격 검침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노드의 제어부는 상기 설비 검침기들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기 위한 적어도 2이상의 통신 규약이 모듈화된 검침기 프로토콜 어댑터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부와,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와, 분전검침 집중기 및 센서노드를 통하여 검침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표시부와, 상기 원격 검침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부는, 상기 전력검침 스마트미터기 또는 분전검침 집중기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PLC 모뎀부 또는 상기 센서노드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지그비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는, 무선통신을 위한 IEEE802.15.4 표준 제어부와, 지그비 프로토콜 처리부와,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전달되는 검침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SE 프로파일 처리부와, 상기 센서노드의 설정관리를 위하여 제어명령을 처리하는 센서노드 제어 명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A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capable of checking the total power consumption in a predetermined region, and a metering meter concentrator capable of metering power consumption of each load;
A sensor node receiving meter reading data from at least one facility meter;
An intelligent gateway that receives meter reading data from the smart meter, a meter reading concentrator, and a sensor node; And
And a remote metering processor configured to perform data parsing and data analysis on the metering dat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intelligent gateway and transmit the data to a server or system connected to a network.
The control unit of the sensor node includes a meter reader protocol adapter processing unit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s of the facility meter readers are modularized.
The intelligent gateway includes a data input / output unit for data communication, a scree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ata read through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a distribution meter reading device and a sensor node, and data communication with the remote meter reading unit.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he data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PLC modem unit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meter reading smart meter or a meter reading meter concentrator or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node.
The controller of the intelligent gateway may include an IEEE802.15.4 standard controll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Zigbee protocol processor, an SE profile processor for processing meter read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sor node, and a control command for setting and managing the sensor node.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comprising a sensor node control command unit for proces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게이트웨이의 제어부는, 수집되는 검침 데이터를 상기 원격 검침부로 전달하는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와,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에서 처리가능한 데이터로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of the intelligent gateway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or for transmitting the collected meter data to the remote meter, and a protocol analysis and parser for converting data into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or. Intelligent remote meter reading syste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시스템 인터페이스 처리부는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는 검침기를 관리하기 위한 설정명령을 상기 원격 검침부로부터 수신하고,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기별 주소를 매핑하여 상기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로 전달하고,
상기 프로토콜 분석 및 파서부가 상기 네트워크 연결된 검침기와의 통신규약에 대응되도록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원격 검침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system interface processor receives a setting command for managing a network connected meter from the remote meter, maps an address for each networked meter to the protocol analyzer and parser,
Intelligent protocol rea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ocol analysis and parser performs data conversion to correspond to the communication protocol with the network connected meter.
KR1020110041842A 2011-05-03 2011-05-03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KR1010668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42A KR101066827B1 (en) 2011-05-03 2011-05-03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842A KR101066827B1 (en) 2011-05-03 2011-05-03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241A Division KR101066822B1 (en) 2010-12-24 2010-12-24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827B1 true KR101066827B1 (en) 2011-09-23

Family

ID=4495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842A KR101066827B1 (en) 2011-05-03 2011-05-03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27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19B1 (en) 2012-08-16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emote insp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411128B1 (en) 2012-12-28 2014-06-27 주식회사 효성 Device agent and method for protocol conversion thereof
CN104464251A (en) * 2014-12-29 2015-03-25 国家电网公司 Energy meter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KR101594237B1 (en) * 2014-03-11 2016-02-15 정정규 Device server for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20160053129A (en) * 2014-10-31 2016-05-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3452775A (en) * 2021-06-25 2021-09-28 福建网能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data by external-hanging type Internet of things gateway auxiliary energy controller
WO2022097761A1 (en) * 2020-11-03 2022-05-12 (주)누리텔레콤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nd control method of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22A (en) *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lective gateway for multiple protocol working toget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22A (en) *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Selective gateway for multiple protocol working togeth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19B1 (en) 2012-08-16 2013-08-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Remote inspec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of the same
KR101411128B1 (en) 2012-12-28 2014-06-27 주식회사 효성 Device agent and method for protocol conversion thereof
KR101594237B1 (en) * 2014-03-11 2016-02-15 정정규 Device server for measuring instrument and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thereof
KR20160053129A (en) * 2014-10-31 2016-05-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688438B1 (en) * 2014-10-31 2016-12-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4464251A (en) * 2014-12-29 2015-03-25 国家电网公司 Energy meter data and information collecting system
WO2022097761A1 (en) * 2020-11-03 2022-05-12 (주)누리텔레콤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nd control method of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CN113452775A (en) * 2021-06-25 2021-09-28 福建网能科技开发有限责任公司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data by external-hanging type Internet of things gateway auxiliary energy control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27B1 (en)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KR101255843B1 (en) System for management of elctrical power energy
Grindvoll et al. A wireless sensor network for intelligent building energy management based on multi communication standards-A case study
US9204208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including an announcement protocol
US8949050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including a visualization, and load fingerprinting process
US8983784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including a storage distribution process and protocol
US9002670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including a storage distribution process
KR101813067B1 (en) SCADA MAINTENANCE MANAGING SYSTEM AND A GATEWAY WITH IoT MONITORING FUNCTION
US201101254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Ma et al. Supervisory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of large public buildings
US9322668B2 (en) Smartgrid energy-usage-data storage and presentation systems, devices, protocol, and processes
JP20111290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art energy management for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US20130170105A1 (en) Load monitoring nodes and apparatuses
Amaro et al. Implementing an advanced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using a z-wave compliant wireless sensor network
CN211149228U (e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collection system based on crowd's intelligence
KR101066822B1 (en) Intelligent remote reading system
KR101262163B1 (e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cabinet panel
CN104025617A (en) Wireless home energy monitoring system
KR101211906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networks
EP25154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compatibility issues within an electrical grid control system
CN104133428A (en) Intelligent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method
Bhatt Building automation systems
Chaiboonruang et al. Small buildings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EEE1888 standard with data compression
CN102685168A (en) Community network system with sensing control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40183889A1 (en)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