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04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040B1
KR101066040B1 KR1020100016414A KR20100016414A KR101066040B1 KR 101066040 B1 KR101066040 B1 KR 101066040B1 KR 1020100016414 A KR1020100016414 A KR 1020100016414A KR 20100016414 A KR20100016414 A KR 20100016414A KR 101066040 B1 KR101066040 B1 KR 10106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nk
housing
main bod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96891A (en
Inventor
박용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0001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040B1/en
Publication of KR2011009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된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이격가능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이격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 내부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n additional device is mounted so that a housing housed inside a main body can move out of the main bod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the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t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Mobile phon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된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can be moved outside the main body by mounting an additional device.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손가락이나 터치 펜을 이용해서 스크린을 직접 건드리면 접촉이 일어난 부분을 인지해서 명령이 실행되거나 커서의 위치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스크린을 통칭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a touch screen is a general concept of a screen designed to execute a command or move a cursor by recognizing a contact portion when a user directly touches the screen using a finger or a touch pen.

마우스와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입력 방식인 터치스크린은 현재 PDA, LCD, CRT, 은행이나 관공서, 각종 의료장비, 관광 및 주요 기관의 안내,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키보드와 같은별도의 입력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여러 가지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Touch screen, a new input method that can replace input devices such as mouse and keyboard, is currently applied in many fields such as PDA, LCD, CRT, banks and government offices, various medical equipment, tour and guidance of major institutions, transportation guidance, etc. . The touch screen has been applied to various product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easily interfaces with a user.

한편, PDA나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에 터치스크린이 장착되고, 이동통신 서비스가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멀티미디어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면적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touch screen input method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DA or a mobile phone, a touch screen is typically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expanded to various areas, thereby enhancing the multimedia function. The area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위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동영상 감상, 모바일 게임 등을 즐기고자 할 때는 몇몇 한정된 수의 기능키만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touch screen has a problem that the touch screen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only a limited number of function keys can be used to enjoy video viewing and mobile gam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된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mounted to the additional device to move the housing housed inside the main body outside the main body.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서로 이격가능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이격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 내부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using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where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When the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outside.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공간과,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제1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링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이격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링크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receive the housing, one end is hinged to the first cas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econd case And a first link connect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wherein the housing is hinged to the first link, and the housing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ase wh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moves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receiving spac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ink.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링크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link is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the accommodation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irst link is formed.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수용공간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링크와, 상기 수용공간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link may include a left link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right link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좌측 링크와 상기 우측 링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은 상기 좌측 링크의 중앙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은 상기 우측 링크의 중앙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using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link and the right link,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is hinged to the center of the left link,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is hinged to the center of the right link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bined.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제2링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one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hinged to the first cas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econd case and the first case A second link connecting the second case is provided.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링크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cond link is formed.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이격을 제한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device for limiting the separation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설치된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locking device may be a magnet provided 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터치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키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a touch screen is installed,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is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부가적인 장치를 장착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된 하우징을 간단한 조작으로 본체 외부로 이동시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부가기능이 더욱 다양화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갖추고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moving the housing housed inside the main body by installing an additional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a simple operation. Equipp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이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outside the main body.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commodated in a main body.
3B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outside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ou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구비한 본체(1) 및 키패드(40)가 장착된 하우징(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하우징(30)에 키패드(40)가 장착된 구성을 예로 하였으나, 하우징(30)에는 키패드(40) 이외에 보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부가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1 having a front case 10 and a rear case 20 and a housing 30 on which a keypad 40 is moun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keypad 40 is mounted on the housing 30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housing 30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additional devices such as an auxiliary display in addition to the keypad 40. .

전방케이스(1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및 숫자,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11)이 마련되고, 전방케이스(10)의 측면 및 전면의 하단에는 여러 가지 기능을 위해 구성된 기능키(12)가 설치된다. 터치스크린(11)이 전방케이스(10) 전면의 면적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터치스크린(11)의 일측에 형성되는 기능키(12)의 개수는 한정적으로 구성된다.The front of the front case 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a touch screen 11 for input of numbers and letters, and the function key 12 configured for various functions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and the front of the front case 10. do. Since the touch screen 11 occupies most of the area of the front case 10, the number of function keys 12 formed on one side of the touch screen 11 is limited.

후방케이스(20)는 전방케이스(10)의 후면에 결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1)를 형성하는데,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는 후술할 링크(50,60)로 연결되어 서로 이격가능하게 연결된다.The rear case 2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case 10 to form the main body 1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re connected by links 50 and 60 to be described lat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전방케이스(10)의 후면 하부와 후방케이스(20)의 전면 하부는 내부로 함몰되어 하우징(30)이 수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고, 수용공간(S)은 하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과 수용공간(S)은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전방케이스(10)의 후면 하부와 후방케이스(20)의 전면 하부는 동일한 형태로 함몰되어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rear part of the front case 10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art of the rear case 20 are recessed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S in which the housing 30 is accommodated, and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ide is opened. . And, as shown, the housing 30 and the receiving space (S) is made of a rectangular shape, the lower back of the front case 10 and the lower front of the rear case 20 is recessed in the same form to accommodate the receiving space (S) Is preferably formed.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 및 하우징(30)이 서로 결합되는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 및 하우징(30)은 수용공간(S)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링크(50)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When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nd the housing 3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to each other,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nd the housing 30 is of the receiving space (S) It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link 50 disposed inside.

수용공간(S)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링크(50)는 수용공간(S)의 좌측면에 설치되는 좌측 링크(51)와 수용공간(S)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우측 링크(52)를 포함하고, 좌측 링크(51)와 우측 링크(52)는 동일한 형태의 2절 링크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link 50 dispos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 includes a left link 51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and a right link 52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link 51 and the right link 52 are two-section links of the same type.

한편, 수용공간(S)의 좌우측 단부에는 좌측 링크(51)와 우측 링크(52)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좌측 수용홈(53)과 우측 수용홈(54)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좌측 수용홈(53)과 우측 수용홈(54)은 제1링크(50)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receiving space (S), the left receiving groove 53 and the right receiving groove 54 for accommodating the left link 51 and the right link 52, respectively, ar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eft receiving The groove 53 and the right receiving groove 54 ar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nk 50.

즉, 좌측 링크(51)의 일단은 후방케이스(20)의 수용공간(S)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1힌지공(51a)에 힌지결합하고, 좌측 링크(51)의 타단은 전방케이스(10)의 좌측 수용홈(53)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힌지공(51b)에 힌지결합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링크(52)의 일단은 후방케이스(20)의 수용공간(S)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3힌지공(52a)에 힌지결합하고, 우측 링크(52)의 타단은 전방케이스(10)의 우측 수용홈(54)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4힌지공(52b)에 힌지결합한다.That is, one end of the left link 51 is hinged to the first hinge hole (51a) formed in the lef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rear case 20, the other end of the left link 51 is the front case (10). Hinge coupling to the second hinge hole (51b)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left receiving groove (53) of. Similarly, one end of the right link 52 is hinged to the third hinge hole 52a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ceiving space S of the rear case 20, and the other end of the right link 52 is the front case 10. The hinge is coupled to the fourth hinge hole (52b)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right receiving groove (54).

키패드(40)가 장착된 하우징(30)은 제1링크(50)에 결합되는데, 하우징(30) 좌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홀(31)은 좌측 링크(51)의 중앙에서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미도시)에 삽입되고, 하우징(30) 우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홀(미도시)은 우측 링크(52)의 중앙에서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55)에 삽입된다.The housing 30 on which the keypad 40 is mounted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50. The hole 31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ft link 51.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inward, the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30 is a coupling protrusion 55 protruding inward of the receiving space (S) in the center of the right link 52 ) Is inserted.

따라서, 수용공간(S)에 수납되는 하우징(30)은 좌측 링크(51)와 우측 링크(52) 사이에 배치되어 제1링크(50)의 중앙에 힌지결합된다.Accordingly, the housing 3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link 51 and the right link 52 and hing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이격시켜 본체(1) 내부에 수납된 하우징(30)을 본체(1) 외부로 이동시킨 후 하우징(30)에 장착된 키패드(4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세한 동작은 후술할 내용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ousing 30 accommodated inside the main body 1 is separated by the user from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s necessary. (1) After moving to the outside, the keypad 40 mounted on the housing 30 can be used. Detailed oper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1)의 상부에 제2링크(60)를 설치할 수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link 6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

제2링크(60)는 제1링크(50)와 동일한 2절 링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링크(60)는 본체(1) 상부의 중앙에 설치되어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이격될 때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link 60 preferably uses the same two-section link as the first link 50, and the second link 6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It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when the 20 is spaced.

제2링크(60)를 설치하기 위해서 전방케이스(10)의 후면 중앙과 후방케이스(20)의 전면 중앙에는 상부 수용홈(61,62)이 각각 형성되고, 제2링크(60)의 일단은 후방케이스(20)의 상부 수용홈(61)의 내측에 형성된 제5힌지공(61a)에 힌지결합하며, 제2링크(60)의 타단은 전방케이스(10)의 상부 수용홈(62)의 내측에 형성된 제6힌지공(62a)에 힌지결합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second link 60, the upper receiving grooves 61 and 62 are formed at the rear center of the front case 10 and the front center of the rear case 20, respectively,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60 is It is hinged to the fifth hinge hole 61a formed inside the upper accommodating groove 61 of the rear case 2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accommodating groove 62 of the front case 10. Hinge coupling to the sixth hinge hole (62a) formed inside.

또한,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의 이격을 제한하기 위해서 전방케이스(10)의 후면과 후방케이스(20)의 전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자석(M)이 마련된 록킹장치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limit the separation between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the rear of the front case 10 and the front of the rear case 20, the lock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agnets (M)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installed.

다수의 자석(M)은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밀착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자력을 발생하므로, 사용자는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이격시키기 위해서 자력보다 강한 힘으로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잡아당겨야한다.Since the plurality of magnets M generate magnetic force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ser is stronger than the magnetic force to separate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should be pulled by force.

따라서, 자석(M)으로 이루어진 록킹장치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쉽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다수의 실험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성과 록킹장치의 역할을 만족하는 자력의 세기를 도출하여 전방케이스(10) 및 후방케이스(20)에 설치되는 자석(M)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locking device made of magnet M serves to prevent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due to external factors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does not intend, and the user 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By deriving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that satisfies the role of the operability and the locking device can be adjusted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magnet (M) installed in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자석(M)으로 구성되는 록킹장치를 예로 하였으나, 후크와 같은 다른 형태의 록킹장치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device composed of a magnet M is taken as an example, but other types of locking devices such as hooks are possible.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이 본체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가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우징이 본체 외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commodated in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state in which a main bod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outside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하우징(30)에 설치된 키패드(4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하우징(30)이 본체(1)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3a to 3c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keypad 40 installed in the housing 30, as shown in Figure 3a (a) 30 is housed inside the main body 1.

이 때, 2절 링크로 이루어진 제1링크(50)는 수용공간(S)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측 수용홈(53,54)을 따라 상측으로 접혀진 상태이므로, 제1링크(50)의 중앙이 제1링크(50) 중에서 최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링크(50)의 중앙에 힌지결합된 하우징(30)은 제1링크(50)의 중앙을 따라 수용공간(S)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용공간(S)에 완전히 수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link 50 formed of the two-section link is folded upwardly along the left and right receiving grooves 53 and 54 formed in the storage space 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link 5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50.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is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Therefore, the housing 30 hing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is located above the receiving space S along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to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S. Keep it.

사용자가 하우징(30)에 설치된 키패드(40)를 사용하기 위해서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자력보다 강한 힘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도 3b와 같이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격하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with a stronger force than the magnetic force in order to use the keypad 40 installed in the housing 30,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s shown in Figure 3b. ) Are spaced apart in opposite directions.

위와 같이,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이격하게 되면 제1링크(50)는 제1링크(50)의 중앙에 힌지결합된 하우징(30)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좌·우측 수용홈(5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고, 하우징(30)도 제1링크(50)를 따라 수용공간(S)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re spaced apart, the first link 50 is rotated by the weight of the housing 30 hing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t moves downward along the accommodating groove 54, and the housing 30 also moves downward along the first link 50 in the accommodating space S.

제1링크(50)가 좌·우측 수용홈(53,54)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제1링크(50)가 대략 V자 형태를 이루게 되면, 도 3c와 같이 이격된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를 다시 밀착시켜 결합시킨다.When the first link 50 moves downward along the left and right accommodating grooves 53 and 54 so that the first link 50 has a substantially V-shape, the front case 10 spaced apart as shown in FIG. 3C. The rear case 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again.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다시 밀착하여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링크(50)는 좌·우측 수용홈(53,54)을 따라 하측으로 완전히 접혀지기 때문에 제1링크(50)의 중앙이 제1링크(50) 중에서 최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1링크(50)의 중앙에 힌지결합된 하우징(30)은 제1링크(50)의 중앙을 따라 본체(1)의 외부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하우징(30)에 장착된 키패드(4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In the process where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link 50 is completely folded downward along the left and right receiving grooves 53 and 54, so that the first link 50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is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Therefore, the housing 30 hing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moves out of the body 1 along the center of the first link 50 so that the user can mount the keypad 40 mounted on the housing 30. Keep) available.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자석(M)으로 이루어진 록킹장치는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일정 간격 이내로 밀착되면 자력을 발생하여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nd, in this process, the locking device made of a magnet (M) generates a magnetic force when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is in close contact within a predetermined interval to accurately couple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Act as a guide.

사용자가 키패드(40)를 사용하다가 하우징(30)을 다시 본체(1) 내부에 수납하고자 할 때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시행하면 된다. 다만, 하우징(30)을 본체(1) 내부에 수납하고자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시행할 경우 제1링크(50)는 자동으로 상측으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케이스(10)와 후방케이스(20)가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우징(30)의 하면을 손으로 밀어올려서 제1링크(5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주어야 한다.When the user uses the keypad 40 and wants to receive the housing 30 inside the body 1 aga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However, when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accommodate the housing 30 in the main body 1, the front case 10 and the rear case 20 because the first link 50 does not automatically rotate upward. In the spaced apart state, the user should push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30 by hand to rotate the first link 50 upwar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iously change variously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can do it.

1..본체 10..전방케이스
20..후방케이스 30..하우징
40..키패드 50..제1링크
60..제2링크 S..수용공간
M..자석
1..Main body 10..Front case
20.Rear case 30.Housing
40. keypad 50. first link
60..Second link S..accommodation space
M .. Magnet

Claims (10)

서로 이격가능한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이격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 내부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 main body having a first case and a second cas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using housed in the main body,
And the housing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함몰되어 형성된 수용공간과,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제1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링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가 이격되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링크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o accommodate the housing;
One end is hinged to the first cas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econd case includes a first link connect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The housing is hinged to the first link,
And the housing is moved away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link whe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링크를 수용하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link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And a first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link in the accommodation spa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수용공간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링크와, 상기 수용공간의 우측에 설치된 우측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ink includes a left link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a right link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좌측 링크와 상기 우측 링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측면은 상기 좌측 링크의 중앙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우측면은 상기 우측 링크의 중앙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using is disposed between the left link and the right link,
And a left side of the housing is hinged to the center of the left link, and a right side of the housing is hinged to the center of the right lin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케이스에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2케이스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를 연결하는 제2링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below the main body,
One end of the main body is hinged to the first case,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second case is provided with a second link connecting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provided.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제2링크를 수용하는 제2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second link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이격을 제한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locking device for limiting the separation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에 설치된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locking devic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 installed in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터치스크린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키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t least one of the first case and the second case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he housing is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pad is installed.
KR1020100016414A 2010-02-23 2010-02-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66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14A KR101066040B1 (en) 2010-02-23 2010-02-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14A KR101066040B1 (en) 2010-02-23 2010-02-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91A KR20110096891A (en) 2011-08-31
KR101066040B1 true KR101066040B1 (en) 2011-09-20

Family

ID=4493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414A KR101066040B1 (en) 2010-02-23 2010-02-23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04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58A (en) * 1993-06-16 1995-01-17 Toshiba Corp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3186571A (en) 2001-12-17 2003-07-04 Casio Comput Co Ltd Input device
JP2003288149A (en) 2002-03-27 2003-10-10 Casio Comput Co Ltd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125624A (en) * 2008-06-02 2009-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58A (en) * 1993-06-16 1995-01-17 Toshiba Corp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3186571A (en) 2001-12-17 2003-07-04 Casio Comput Co Ltd Input device
JP2003288149A (en) 2002-03-27 2003-10-10 Casio Comput Co Ltd Keyboar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90125624A (en) * 2008-06-02 2009-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891A (en)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3036B2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773849B2 (en) Extendable connecting link
CN105103077B (en) Two-part hinge assembly
CN100495287C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1777921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US7422436B2 (en) Slide module having dual movemen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8238084B2 (en) Notebook computer
CN104765416B (en) Attachment and detachment device for protective cover and electronic device
EP2015544A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keyboard
US8194055B2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07158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446712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2007116A2 (en) Sliding of housings used as input for a mobile phone
WO2013150980A1 (en) Display device
KR20150081752A (en) Detachable cover device
US8902572B2 (en) Electronic device
KR10106604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390602B2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2596621B (en) Electronic equipment
US20130075300A1 (en) Keyboard unit with cradling function
US20120146914A1 (en) port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2017143530A (en) Mobile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and program
CN101039555B (en) Folding electronic apparatus
US20110169784A1 (en) Stylus retain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6559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slidable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for aligning the surfaces of the keypad and display por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