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854B1 -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 Google Patents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854B1
KR101065854B1 KR1020090080342A KR20090080342A KR101065854B1 KR 101065854 B1 KR101065854 B1 KR 101065854B1 KR 1020090080342 A KR1020090080342 A KR 1020090080342A KR 20090080342 A KR20090080342 A KR 20090080342A KR 101065854 B1 KR101065854 B1 KR 101065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mpeller
region
rotor
power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864A (ko
Inventor
이건택
진배동
Original Assignee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비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비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8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22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8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수도 압력에 의해 상기 중공부로 물이 유입ㆍ유출되도록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와 연결되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각각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중공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유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주부를 감싸는 측벽 및 상기 중공부를 하부의 제1영역과 상부의 제2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격벽부재;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영역으로 유입된 상기 물이 상기 임펠러에 분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ㆍ하부몸체 내부에 모든 구성요소가 치밀하게 구비되어 부피가 작고 설치 및 철거가 용이 간편하며, 상ㆍ하부몸체 내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므로 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욕실 등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고, 하부몸체 내부의 중공부를 임펠러가 설치되는 물이 통과하는 제1영역 및 동력전달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인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제2영역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벽이 구비되어 임펠러 이외의 구성요소들이 물과 과도하게 접촉됨에 따른 급격한 부식, 성능 저하 및 수압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면이 수축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입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난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분리벽에 의해 안내되어 격벽부재 측벽의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을 통해 임펠러의 날개에 집중 분사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그 회전을 증속하여 회전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 발전 성능이 향상되며, 수도 압력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수도, 발전장치, 수온표시

Description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Power generating apparatus for waterworks and water temperature indicator for waterwork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가 작고 설치가 용이 간편하며, 욕실 등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고, 구성요소들이 과도하게 물과 접촉됨에 의한 급격한 부식, 성능 저하 및 수압 감소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전 성능이 향상되고 낮은 수도 압력에서도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한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마다 수도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데, 이러한 수도에 연결되고 물을 토출하는 수전(水栓)은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과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적절히 혼합한 혼합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온수관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각 가정의 보일러를 통해 가열되어 공급되거나 중앙 공급 방식으로 아파트 등의 기계실을 통해 공급되는데, 그 온도가 60 ℃ 이상으로써 사용자가 수전을 오작동시키게 되면 이러한 온수에 의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
특히, 온수 사용 초기에는 온수관 내부에 남아 있는 낮은 온도의 온수가 공급되어 온수의 온도 설정을 높게 사용하는 경우가 잦은데, 이 상태에서 온수를 계속 사용하게 되면 해당 온도 설정에 대응되는 높은 온도의 온수가 갑작스럽게 공급됨에 따라, 예기치 않게 화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전에서 토출되는 혼합수의 온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수도 압력에 의한 물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수도용 발전장치가 구비되고, 수도용 발전장치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배출되는 물의 수온을 표시하는 수도용 수온표시 수전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수도용 발전장치를 포함한 수도용 수온표시 수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종래의 수도용 수온표시 수전은, 수돗물의 토출 압력을 이용하여 자석 터빈(11)을 회전시킴으로써 교류를 생산하는 발전부(10), 상기 발전부(10)에서 만들어진 교류를 직류로 전환하여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는 전원부(20), 수도관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2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30), 냉수와 온수와 혼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수돗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0), 상기 센서부(40)에서 감지된 수온에 따라 색깔을 달리하여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50) 및 상기 발광부(50)에서 출력된 빛을 입력받아 수도관의 토출구까지 전달하는 광전달부(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전부(10)는 수돗물의 토출구에 자석 터빈(11)을 설치하고, 그 주변에 코일(13)을 고정시킴으로써 수돗물의 토출 압력에 의해 자석 터빈(11)이 회전되면서 코일(13)에 전기가 발생되도록 한다.
즉, 자석 터빈(11)이 회전자의 역할을 하고, 코일(13)이 고정자의 역할을 하여 코일(13)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함으로써 전력이 생산되는데, 종래의 수도용 수온표시 수전은 이러한 자석 터빈(11), 코일(13)뿐만 아니라 광전달부(60)도 물이 통과하는 유로에 노출되어 물과 과도하게 접촉된다.
따라서 이렇게 물이 통과하는 유로에 노출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물과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접촉되면서 부식되어 내구성 및 수명이 감소하고, 물에 포함된 철분 등과 같은 이물질이 구성요소들에 점착되면서 그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회전자의 역할을 하는 자석 터빈(11)이 무거운 자석을 포함한 상태로 물의 유동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임펠러(impeller)의 역할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임펠러의 크기와 무게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물과의 마찰이 증대됨에 따라 발전 성능이 저하되고, 이렇게 상대적으로 크고 무거운 임펠러와 물이 통과하는 유로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에 의해 물의 유동이 방해를 받아 수압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수도용 수온표시 수전에 구비되는 발전부(10)는 수도 압력이 낮은 경우에, 크고 무거운 자석 터빈(11)이 그 회전축에 작용하는 마찰력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거나 매우 저속으로 회전하여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불가능한 문제 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수도용 수온표시 수전은 모든 구성요소가 수전의 각 부분에 분산 설치되어 그 설치, 교체 및 철거를 위해서는 부피가 큰 해당 수전 전체를 설치, 교체하거나 철거해야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 비용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든 구성요소가 하나의 몸체 내부에 치밀하게 모듈화된 상태로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몸체 내부에서도 물이 통과하는 제1영역 및 동력전달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제2영역이 구분되며, 통과하는 물을 임펠러의 날개에 집중 분사되도록 하고 임펠러의 회전을 증속하여 발전 성능 및 전력 생산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수도 압력에 의해 상기 중공부로 물이 유입ㆍ유출되도록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와 연결되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각각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중공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유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주부를 감싸는 측벽 및 상기 중공부를 하부의 제1영역과 상부의 제2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격벽부재;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영역으로 유입된 상기 물이 상기 임펠러에 분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수도용 발전장치는,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분리벽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임펠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제1기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기어, 및 상기 격벽부재에 자유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ㆍ제2기어의 치형과 각각 맞물리며 서로 다른 치형 개수를 가진 제1ㆍ제2치형이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증속하여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수관은, 단면적이 상기 제1영역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그 내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자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부와 연통되는 수용홈부의 내부 중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인접 또는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접선방향에 대해 상기 임펠러의 중심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홀의 주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수공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이 분사슬릿을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은, 그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물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수공을 통해 원활히 유출되도록 상기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날개가 구비된 안 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는, 사용자 조작에 따른 소정의 비율로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는 혼합밸브와 상기 혼합밸브에 의해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또는 연결호스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수도용 발전장치;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설치홀을 통해 상기 제1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고정자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부가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회로부로부터 직류전압이 인가되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혼합밸브의 주변부에 열을 지어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이 클수록 일측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점등되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에 의하면, 상ㆍ하부몸체 내부에 모든 구성요소가 치밀하게 구비되어 부피가 작고, 하부몸체에는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입수관 및 출수관이 구비되므로 설치 및 철거가 용이 간편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ㆍ하부몸체는 밀폐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되므로 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욕실 등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고, 하부몸체 내부의 중공부를 임펠러가 설치되는 물이 통과하는 제1영역 및 동력전달 구성요소 들이 설치되는 제2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벽이 구비되어 임펠러 이외의 구성요소들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임펠러 이외의 구성요소들이 물과 과도하게 접촉됨에 따른 급격한 부식, 성능 저하 및 수압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내면이 수축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 입수관을 통해 유입된 물이 난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분리벽에 의해 안내되고 격벽부재 측벽의 하나 이상이 분사슬릿을 통해 임펠러의 날개에 집중 분사되어 효과적으로 임펠러를 회전시키므로 발전 성능이 향상되고, 그 회전을 증속하여 회전자에 전달하는 증속기어를 포함한 동력전달부가 구비되어 회전자가 고속 회전됨으로 인해 발전 용량이 제고되며 수도 압력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소정의 최소 회전 속도 이상으로 회전자가 회전될 수 있어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센서부로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를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표시부를 작동시켜 높은 온도의 온수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고 수도용 발전장치가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내구성이 높으므로, 그 유지 보수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 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는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에 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도 압력에 의한 물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고,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는 상기 수도용 발전장치가 생산한 전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배출되는 물의 수온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는, 하부몸체(110), 임펠러(120), 격벽부재(130), 상부몸체(140), 회전자(150), 고정자(160) 및 동력전달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110)는 상측이 개방된 중공부(111)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부몸체(140)와 결합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110)에는 그 측면과 하면에 수도 압력에 의해 중공부(111)로 물이 유입ㆍ유출되도록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입수관(112) 및 출수관(11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입수관(112) 및 출수관(113)의 외주면에는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에 용이하게 직접 설치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관(112)에는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증가할 수 있도록 단면적이 중공부(111)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그 상측 내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12-1)이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사면(112-1)이 입수관(112)의 상측 내면에 한정되어 형성되 는 것은 아니며, 그 내면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입수관(112) 내부가 수축 노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110)에는 입수관(112) 측 하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설치되어 입수관(112)으로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10)를 포함한 센서부(2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센서부(200)는 후술되는 수도용 수온표시기에 있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물의 수온을 측정하기 위한 것인데, 번거롭게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수도용 발전장치(1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를 설명함에 있어, 함께 도면에 도시하고 그 연결관계를 설명하였다.
이 센서부(200)는 수도용 발전장치(100)의 제1영역(132a)을 통과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부몸체(110)에 설치하기가 간편하고, 센서부(200)에 대한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교체 또는 해체와 재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센서부(200)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면 족하고, 그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출수관(113)은 하부몸체(110)의 하면에 구비되는데, 중공부(111)로 유입된 물은 중공부(1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수공(113-1)을 통해 출수관(113)으로 유출된다.
상기 복수의 출수공(113-1)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공부(111)의 바닥면 중심에는 임펠러(1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122)이 설치되는 고정홀(114)이 형성되는데, 복수의 출수공(113-1)은 이 고정홀(114)의 주변부에 각각 1/4 원형에 해당하는 부채꼴 형상으로 네 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입수관(112)을 통해 중공부(111)의 하부로 유입된 물은 임펠러(120)를 회전시킨 후 중공부(1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복수의 출수공(113-1)을 통해 유출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122)의 상단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출수공(113-1)을 통해 물이 원활히 유출될 수 있도록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122-1)가 고정 구비된다.
이 안내부재(122-1)에는 네 개의 출수공(113-1) 각각에 대응되는 네 개의 안내날개(122-1')가 구비된다. 이 안내날개(122-1')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물의 흐름을 각각의 출수공(113-1) 측으로 안내함으로써, 물이 신속하게 출수공(11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날개(122-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네 개가 구비되고, 중심으로 갈수록 날개의 폭이 두꺼워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임펠러(120) 내측에서의 물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출수공(113-1) 근처에서는 효율적으로 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수공(113-1)과 안내날개(122-1')는 하부몸체(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90°간격으로 각각 네 개씩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개수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임펠러(120)는 전술된 고정홀(114)에 설치되는 고정축(122)에 의해 중공부(1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공부(111)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에 따라 회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임펠러(120)에는 물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수개의 날개(121)가 구비되고, 수지 등의 경량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개의 날개(121)는 그 단면 형상이 후술되는 복수의 분사슬릿(131-1)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흐름을 직접 받을 수 있는 호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중심부가 분사되는 물의 흐름에 대해 직각을 이루어 물의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날개(121)는 복수의 분사슬릿(131-1)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가압력을 효과적으로 받으면서도 출수공(113-1)으로 배출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임펠러(120)의 외주부에 배치되도록 작은 크기로 구비된다.
상기 격벽부재(130)는 입수관(112)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임펠러(120)를 회전시키기에 이상적인 상태로 변화시키며, 중공부(111)를 물이 통과하는 제1영역(132a), 물의 유입이 비교적 차단되는 제2영역(132b)로 분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격벽부재(130)는 임펠러(120)의 외주부를 감싸는 측벽(131), 중공부(111)를 하부의 제1영역(132a)과 상부의 제2영역(132b)으로 분리하도록 수평으로 구비된 분리벽(132), 및 입수관(112)을 통해 유입된 물이 제1영역(132a) 내에서 측벽(13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벽(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131)은 원형으로 구비되어 임펠러(120)의 외주부를 감싸고, 입수 관(112)을 통해 제1영역(132a)으로 유입된 물이 내부의 임펠러(120)에 분사되도록 복수의 분사슬릿(131-1)이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분사슬릿(13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31)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의 흐름이 생길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내부의 임펠러(120)에 구비된 날개(121)에 물이 집중 분사될 수 있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분사슬릿(131-1)은 임펠러(120)의 회전 접선방향에 대해 임펠러(120)의 중심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날개(121)에 물이 집중 분사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슬릿(131-1)은 임펠러(120)에 대해 90°간격으로 네 개가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고, 180°간격으로 두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벽(132)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공부(111)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측벽(131)의 상측에 결합 형성되어 중공부(111)의 하부와 상부를 제1영역(132a)과 제2영역(132b)으로 분리 구분한다.
따라서 이 분리벽(132)을 기준으로 그 하측은 제1영역(132a)으로서 임펠러(120)가 위치되고, 그 상측은 제2영역(132b)으로서 동력전달부(170)가 위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70)의 상측으로 회전자(150), 고정자(160) 등이 배치되므로, 이 분리벽(132)에 의해 동력전달부(170), 회전자(150), 고정자(160) 등은 물과의 접촉이 가급적 차단된다. 그러므로 동력전달부(170)가 물과 과도하게 접촉됨에 따른 급격한 부식, 성능 저하 및 수압 감소 등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는 물과 반드시 접촉되어 힘을 전달받아야 하는 임펠러(120)만 제1영역(132a)에 위치시켜 물과 충분하게 접촉되게 구성하고, 물과 접촉되지 않아도 되는 구성요소들은 분리벽(132)으로 분리된 제2영역(132b) 측에 배치하여 제2영역(132b) 내에 기 존재하는 공기에 의해 제2영역(132b)으로의 물 유입을 최대한 억제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리벽(132)의 분리 기능은 이 정도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벽(132)의 관통홀(132-1) 또는 이와 인접한 공간에 오링과 같은 별도의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제2영역(132b)이 제1영역(132a)에 대해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제1영역(132a)의 물이 제2영역(132b)으로 전혀 침투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제1영역(132a)은 물이 통과되는 침수영역, 제2영역(132b)은 물이 전혀 침투하지 못하는 방수영역으로 분명하게 구분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영역(132b) 내에 위치한 동력전달부(170)는 물과 전혀 접촉되지 않으므로, 물과의 접촉에 따라 부식, 저항 증가로 인한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벽(132)은, 입수관(112)으로 유입된 물이 동력전달부(170) 등이 위치한 영역을 통과하면서 난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물의 흐름을 안내하여, 물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복수의 분사슬릿(131-1)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내벽(133)은 분리벽(132) 하면의 입수관(112) 측에 형성되어, 입수 관(112)을 통해 제1영역(132a)으로 유입되는 물이 제1영역(132a) 내에서 일방향으로의 회전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벽(1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11)의 내면과 측벽(131)의 외면 사이 공간의 일측을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격벽부재(130)의 안내벽(133)에 의해 입수관(112)을 통해 유입된 물은 제1영역(132a) 내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게 측벽(131)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슬릿(131-1)을 통해 임펠러(120)의 날개(121)에 집중 분사됨으로써, 임펠러(120)를 효과적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몸체(140)는 하측이 개방된 공동부(141)가 내부에 형성되고 하부몸체(110)와 결합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몸체(1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중공부(111)의 내면을 따라 삽입되어 격벽부재(130)의 분리벽(132)을 가압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격벽부재(130)는 상부몸체(14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중공부(111) 내에서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40)의 하면에는 외주부를 따라 상측으로 삽입홈(142)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142)에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밀폐부재(143)가 삽입 설치되고 상ㆍ하부몸체(140, 110)가 결합될 때 하부몸체(110)의 상단이 삽입되어 밀폐부재(143)를 가압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상ㆍ하부몸체(140, 110)의 결합으로 형성된 그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상ㆍ하부몸체(140, 110)는 서로 결합됨에 따라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다른 모든 구성요소가 설치되게 구비되므로, 수도용 발전장치를 하나의 모듈화하는 케이스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몸체(140)에는 그 상측 내면에 공동부(141)와 연통되는 수용홈부(141-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부(141-1)는 고정자(16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고정자(16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수용홈부(141-1)의 내측에 인접되게 고정자(160)가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자(160)의 내부 중심에는 회전자(150)가 위치된다.
상기 회전자(150)는 수용홈부(141-1)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동력전달부(170)를 통해 임펠러(120)와 연결되어 임펠러(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이 회전자(150)의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회전자(150)가 회전됨에 따라 고정자(160)의 코일부(161) 내부에 구비된 코일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력이 생산된다.
상기 고정자(160)는 회전자(150)를 둘러싸는 형태로 수용홈부(141-1)의 내면에 인접되게 배치되고, 내부에 코일이 구비된 세 개의 코일부(161)를 포함하여, 자석을 포함하는 회전자(150)의 회전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정자(160)에는 서로 60°를 이루도록 세 개의 코일부(161)가 구비되고, 세 개의 코일부(161)는 그 하단에 형성된 체결돌기(161-1)가 조립판(162)의 체결홈(162-1)에 삽입되어 조립판(162)에 조립됨으로써 하나의 고정자(160)를 이룬다.
이러한 조립판(162)은 격벽부재(130)의 상면에 고정된 제1ㆍ제2돌출부(132-2, 13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홀(162-3)이 형성되어, 제1ㆍ제2돌출부(132-2, 132-3)를 통해 격벽부재(13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자(160)는 조립판(162)을 통해 격벽부재(130)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자(160)의 고정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자(160)가 수용홈부(141-1)의 내면에 직접 장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161)는 세 개로 구비되어 서로 60°를 이루도록 배치되었으나, 그 구비 개수 및 배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자(150)를 감싸도록 서로 108°를 이루는 다섯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50)와 고정자(160)는 수용홈부(141-1) 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몸체(140)의 공동부(141)가 충분한 크기로 구비되어 그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150)는 자석을 포함하고 고정자(160)는 코일을 포함하여 고정자(160)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도록 구현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회전자가 코일을 포함하고 고정자는 자석을 포함하여 회전자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170)는 임펠러(120)의 회전력을 회전자(15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제2영역(132b)에 위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부(17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132)에 형성된 관통홀(132-1)을 통해 임펠러(1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제1기어(171), 조립판(162)에 형성된 통과홀(162-2)을 통해 회 전자(150)의 회전축(151)에 결합된 제2기어(172) 및 제1기어(171)의 회전을 가속하여 제2기어(172)에 전달하는 증속기어(173)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증속기어(173)는 분리벽(132)의 제2돌출부(132-3)에 설치되어 격벽부재(130)에 대해 자유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며, 제1기어(171)의 치형과 맞물리는 제1치형(173-1) 및 제2기어(172)의 치형과 맞물리며 제1치형(173-1)보다 많은 치형 개수를 갖는 제2치형(173-2)이 상하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증속기어(173)는 제1기어(171)의 회전을 가속하여 제2기어(172)에 전달함으로써, 회전자(150)를 고속 회전시켜 생산 전력 용량을 제고하고, 제1영역(132a)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비교적 느린 경우에도 회전자(150)가 소정의 최소 회전 속도 이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소정의 최소 회전속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기기의 작동을 위한 최소한의 전력이 생산될 수 있는 회전자(150)의 회전 속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의 동작 및 사용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는 수도관 또는 수도호스를 입수관(112)과 출수관(113)에 각각 연결하고,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기기와 고정자(16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수도를 사용함에 따라 수도 압력에 의해 물의 유동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물의 유동은 입수관(112)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출수 관(113)을 통해 유출되는 형태로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입수관(112)을 통해 유입된 물은 입수관(112) 내면의 경사면(112-1)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가속되고, 분리벽(132)에 의해 난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안내되며, 격벽부재(130)의 안내벽(133)에 의해 제1영역(132a)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되던 물은 측벽(13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이 분사슬릿(131-1)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가속된 상태로 임펠러(120)의 날개(121)로 분사된다.
이렇게 분사된 물에 의해 임펠러(120)가 효과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임펠러(120)의 회전은 동력전달부(170)를 거치면서 가속되어 회전자(15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150)가 회전하면, 고정자(160)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그 후, 발생된 유도기전력은 목적한 기기에 직접, 또는 직류 상태로 변환된 상태로 인가됨으로써, 해당 기기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전력은 욕실 내의 심미감 형성을 위한 조명기기나, 거울 주변부에 배치되어 얼굴을 비추는 조명기기 등 다양한 기기들을 작동시키도록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는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샤워기에 구비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이를 설명함에 앞서,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샤워기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관(HP)과 냉수가 공급되는 냉수관(CP)이 혼합밸브(MV)에 연결되고, 혼합밸브(MV)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의 위치에 따라 온수와 냉수의 혼합 비율을 조절하여 혼합수를 만든다.
이러한 혼합수는 연결호스(CH)를 통해 토출부(EH-1, 2, 3)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혼합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수도용 발전장치(100)가 연결호스(CH)에 설치된다. 또한, 이 수도용 발전장치(100)는 혼합밸브(MV)에서 배출되는 혼합수가 바로 입수관(112)으로 유입되도록 혼합밸브(MV)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샤워기에는 다양한 토출부(EH-1, 2, 3)를 통해 혼합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데, 어느 토출부(EH-1, 2, 3)로 혼합수가 배출될지 사용자가 선택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선택밸브(FV)가 연결호스(CH)에 설치된다. 따라서 혼합수는 혼합밸브(MV)에서 만들어져 수도용 발전장치(100)를 거쳐 선택밸브(FV)로 유입되고 사용자가 선택밸브(FV)를 조작한대로 특정 토출부(EH-1, 2, 3)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선택밸브(FV)를 어떻게 조작하더라도 혼합수는 수도용 발전장치(100)를 거치게 되고, 이러한 혼합수의 유동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혼합수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는, 상술한 수도용 발전장치(100), 회로부(미도시), 센서부(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도용 발전장치(100) 및 센서부(200)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로부는 수도용 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유도기전력을 후술되는 표시부(300)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체(310)에 사용될 수 있도록 직류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센서부(200)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복수의 발광체(310)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킨다.
이러한 상기 회로부에 있어서, 수도용 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유도기전력을 직류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100)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기기가 교류 LED와 같이 교류전압에 의해 작동되는 기기일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기능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등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체(31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복수의 발광체(310)는 샤워기의 백패널(BP)에 비누 등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선반(SH)을 통해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열을 지어 구비되고, 청색, 녹색, 적색의 빛을 각각 방출하는 한 쌍의 청색 발광체(310-1), 한 쌍의 녹색 발광체(310-2) 및 한 쌍의 적색 발광체(310-3)로 구비된다.
이러한 복수의 발광체(310)는, 센서부(200)의 측정값에 따라 그 측정값이 기설정된 소정의 구간의 온도 범위에 해당할 경우, 그 해당 구간에 대한 기설정된 대응 색깔의 발광체(310)가 점등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소정의 구간이 0℃ 이상 25℃ 미만의 저온 구간, 25℃ 이상 39℃ 미만의 중온 구간, 39℃ 이상 50℃ 미만의 고온 구간으로 설정되고, 저온 구간에 대응되는 색깔의 발광체(310)는 청색 발광체(310-1), 중온 구간에 대응되는 색깔의 발광체(310)는 녹색 발광체(310-2), 고온 구간에 대응되는 색깔의 발광체(310)는 적색 발광체(310-3)로 설정된 경우, 센서부(200)의 측정값이 35℃라고 가정하면, 이 측정값은 중온 구간에 해당하므로 중온 구간에 대응되는 색깔을 가진 녹색 발광체(310-2)가 점등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발광체(310)는 소정의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샤워기의 백패널(BP)의 배면부에 구비되고, 백패널(BP)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로 구비되어,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백패널(BP)에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300)는 선반(SH)을 통해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 6개의 발광체(310)가 온도 측정값에 따라 서로 다른 세 개의 색깔을 방출하도록 구현되었으나, 그 구비 개수, 구비 위치, 방출하는 빛의 색깔 및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소형 액정으로 혼합밸브(MV)의 주변부에 구비되어 측정된 온도를 숫자로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온도표시기에 의하면, 모든 구성요소가 상ㆍ하부몸체(140, 110)의 밀폐된 중공부(111)의 내부에 치밀하게 구비되어 부피가 작고 설치 및 철거가 용이 간편하며 물과의 접촉이 빈번한 욕실 등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ㆍ하부몸체(140, 110)의 밀폐된 중공부(111)의 내부가 격벽부재(130)의 분리벽(132)에 의해 물이 통과되는 제1영역(132a)과 물의 유입이 가급적 억제되는 제2영역(132b)으로 구분되며, 제1영역(132a)에 임펠러(120)가 설치되고 임펠러(120) 이외의 동력전달부(170) 등은 제2영역(132b)에 설치됨으로써, 임펠러(120) 이외의 구성요소들이 물과 과도하게 접촉됨에 따른 급격한 부식, 성능 저하 및 수압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물이 하나 이상이 분사슬릿(131-1)을 통해 임펠러(120)의 날개(121)에 집중되어 분사되도록 구비되고 증속 기능을 갖는 동력전달부(170)가 구비되어 발전 성능이 향상되고 안정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도용 발전장치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를 센서부가 구비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를 센서부가 구비된 상태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를 센서부가 구비된 상태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A-A의 단면을 물을 흐름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를 센서부가 구비된 상태로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B-B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발전장치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가 구비된 샤워장치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수온표시기가 구비된 샤워장치를 백패널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도용 발전장치 110 : 하부몸체
111 : 중공부 112 : 입수관
112-1 : 경사면 113 : 출수관
113-1 : 출수공 114 : 고정홀
120 : 임펠러 121 : 날개
122 : 고정축 122-1 : 안내부재
122-1' : 안내날개 130 : 격벽부재
131 : 측벽 131-1 : 분사슬릿
132 : 분리벽 132a : 제1영역
132b : 제2영역 132-1 : 관통홀
132-2 : 제1돌출부 132-3 : 제2돌출부
133 : 안내벽 140 : 상부몸체
141 : 공동부 141-1 : 수용홈부
142 : 삽입홈 143 : 밀폐부재
150 : 회전자 151 : 회전축
160 : 고정자 161 : 코일부
161-1 : 체결돌기 162 : 조립판
162-1 : 체결홈 162-2 : 통과홀
162-3 : 지지홀 170 : 동력전달부
171 : 제1기어 172 : 제2기어
173 : 증속기어 173-1 : 제1치형
173-2 : 제2치형 200 : 센서부
210 : 온도센서 300 : 표시부
310 : 발광체 310-1 : 청색 발광체
310-2 : 녹색 발광체 310-3 : 적색 발광체
MV : 혼합밸브 HP : 온수관
CP : 냉수관 SH : 선반
EH-1, EH-2, EH-3 : 제1ㆍ제2ㆍ제3토출부
FV : 선택밸브 CH : 연결호스
BP : 백패널

Claims (9)

  1. 상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수도 압력에 의해 상기 중공부로 물이 유입ㆍ유출되도록 수도관 또는 수도 호스와 연결되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각각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중공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의 유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외주부를 감싸는 측벽 및 상기 중공부를 하부의 제1영역과 상부의 제2영역으로 분리하는 분리벽을 포함하는 격벽부재;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상측을 덮어 밀폐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와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자; 및
    상기 회전자를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고정자;를 포함하되,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제1영역으로 유입된 상기 물이 상기 임펠러에 분사되도록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분리벽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임펠러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제1기어,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기어, 및 상기 격벽부재에 자유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ㆍ제2기어의 치형과 각각 맞물리며 서로 다른 치형 개수를 가진 제1ㆍ제2치형이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증속하여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증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관은,
    단면적이 상기 제1영역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그 내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부와 연통되는 수용홈부의 내부 중심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정자는,
    상기 수용홈부의 내측면에 인접 또는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은,
    상기 임펠러의 회전 접선방향에 대해 상기 임펠러의 중심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고정홀에 고정 설치된 고정축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홀의 주변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출수공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슬릿을 통과한 상기 물이 상기 출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그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물이 상기 하나 이상의 출수공을 통해 원활히 유출되도록 상기 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날개가 구비된 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발전장치.
  8. 사용자 조작에 따른 소정의 비율로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는 혼합밸브와 상기 혼합밸브에 의해 혼합된 혼합수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또는 연결호스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수도용 발전장치;
    상기 하부몸체의 하면에 형성된 설치홀을 통해 상기 제1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고정자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부가 구비된 회로기판; 및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회로부로부터 직류전압이 인가되어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수도용 수온표시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색깔의 빛을 각각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체로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의 측정값이 기설정된 소정의 구간의 온도 범위에 해당할 경우, 해당 구간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색깔의 상기 발광체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수온표시기.
KR1020090080342A 2009-08-28 2009-08-28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KR10106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42A KR101065854B1 (ko) 2009-08-28 2009-08-28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342A KR101065854B1 (ko) 2009-08-28 2009-08-28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64A KR20110022864A (ko) 2011-03-08
KR101065854B1 true KR101065854B1 (ko) 2011-09-19

Family

ID=43931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342A KR101065854B1 (ko) 2009-08-28 2009-08-28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8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80U (ko) 2020-06-04 2021-12-14 세비앙 주식회사 자가수력발전을 이용한 온도 및 유량표시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455B1 (ko) * 2016-02-26 2017-01-18 박병억 소수력 발전장치
KR102229208B1 (ko) * 2019-06-18 2021-03-17 하우드 주식회사 복수의 자동 스위치를 갖는 샤워바
KR102209994B1 (ko) * 2020-09-17 2021-02-01 (주)버베나 칫솔 살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69Y1 (ko) 2004-12-02 2005-03-11 (주) 엔유알아이인터내셔날 수온감응 발광 샤워헤드
KR100905629B1 (ko) 2009-02-24 2009-06-30 배익주 진동 충격 분사장치
KR20090088711A (ko) * 2008-02-15 2009-08-20 변순남 샤워기 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69Y1 (ko) 2004-12-02 2005-03-11 (주) 엔유알아이인터내셔날 수온감응 발광 샤워헤드
KR20090088711A (ko) * 2008-02-15 2009-08-20 변순남 샤워기 헤드
KR100905629B1 (ko) 2009-02-24 2009-06-30 배익주 진동 충격 분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80U (ko) 2020-06-04 2021-12-14 세비앙 주식회사 자가수력발전을 이용한 온도 및 유량표시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864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854B1 (ko) 수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도용 수온표시기
US10393363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a fluid delivery apparatus
JP4995569B2 (ja) 電源内蔵型小型液体処理システム
JP5166542B2 (ja) 小型水力発電システム
CA2716172C (en) A generator
WO2010133137A1 (zh) 智能恒温出水装置
CN101576175A (zh) 数显水龙头
CN101576174A (zh) 发光水龙头
EP3739247B1 (en) Faucet for outputting ozonated water
EP2158972B1 (en) Showerhead structure having functions of temperature sensing and micro-hydro-electric power generating
JP4342894B2 (ja) 吐水端部ユニット
CN112871479B (zh) 中空发光出水机构及出水装置
KR20120050604A (ko) 수력발전기 및 이를 이용한 샤워장치
KR101261520B1 (ko) 수력 회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 표시 수전
KR101893491B1 (ko)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CN210218845U (zh) 一种便于调节的水龙头
CN201354883Y (zh) 出水器
KR20110064750A (ko) 발전과 수온표시 및 버블 발생을 위한 다기능 수도 장치
KR200376769Y1 (ko) 수온감응 발광 샤워헤드
CN212561732U (zh) 一种带水温显示功能的出水装置和起泡器
CN216813110U (zh) 一种数码显示温度阀芯
CN215878380U (zh) 一种花洒
CN211099640U (zh) 花洒
US11175005B2 (en) Light-emitting assembly with micro hydraulic power generator
CN218377963U (zh) 水嘴及水龙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