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538B1 -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538B1
KR101065538B1 KR1020090084890A KR20090084890A KR101065538B1 KR 101065538 B1 KR101065538 B1 KR 101065538B1 KR 1020090084890 A KR1020090084890 A KR 1020090084890A KR 20090084890 A KR20090084890 A KR 20090084890A KR 101065538 B1 KR101065538 B1 KR 10106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nt message
message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6999A (ko
Inventor
김종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84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538B1/ko
Publication of KR2011002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8Connection release triggered by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연결된 세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PROVIDING INSTANT MESSAGE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Y INSTANT MESSAGE THROUGH TH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메시지(IM : Instant message) 서비스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와는 달리 상대방과 실시간 채팅 등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서, 최근 유선통신망은 물론 무선 통신망에서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IM 서비스를 시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에서 PSVT(Packet Switched Video Telephony)를 통한 IM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드웨어의 제한과 무 선 통신 구간의 특징을 고려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을 켤 때마다 EV_DO(Evolution-Data Optimized, CDMA 1x EV-DO)망에 진입시 IM 서비스를 위한 소정 정보들을 등록 하게 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한번 등록된 정보는 삭제되지 않고 항상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어서, 실제로 IM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즉, 이동통신 단말기)도 IM에 관련된 시스템, 예를 들어 PS(Presence Server), XDMS(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 HSS(Home Subscriber Server),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PCF(Packet Control Function) 등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게 되어 시스템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이동통신망의 각종 시스템 자원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실제 IM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가입자에게 IM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유지하는 것은 시스템 부하를 높이는 것일 뿐만 아니라, 실제 필요한 가입자에게 신속하게 시스템 자원을 할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내역을 확인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IM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해서는 기 할당된 IM 서비스용 시스템 자원을 회수하여 보다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M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부터의 소정 제어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단말에서 유지하고 있는 IM 서비스용 자원을 회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연결된 세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용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세션 연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인스 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연결된 세션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저장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단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말기 연결 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연결된 세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사용 판단부와; 상기 단말 사용 판단부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자원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부와;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용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부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세션 연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세션 연결 처리부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연결된 세션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말 자원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시스템은 소정의 시간동안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이 없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시스템 자원(즉,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된 시스템 자원)을 회수하여 자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자원 회수 메시지를 수신하면 해당 시스템과 기 연결된 세션을 포함하는 단말 자원을 회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무선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특히 본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IM : Instants Message)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300), 예를 들어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서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IMS는 패킷 스위치(Packet Switch) 도메인에 접속하여 종래의 서킷 스위치(Circuit Switch) 도메인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서비스를 IP 기술로 제공하는 통신망을 통틀어 말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 블록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저장부(110), 세션 연결 요청부(120), 세션 연결 처리부(130), 단말 자원 회수부(140), 표시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부(110)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연결된 통신 채널 즉, 세션 정보와, 소정의 자원 회수 메시지에 매칭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이 저장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세션 연결 요청부(120)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용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세션 연결 요청부(120)는 사용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인스턴트 메시지 사용을 위한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
세션 연결 처리부(13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그 생성한 세션 연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태 정보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연결된 세션 정보와 기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버디리스트 또는 각종 상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단말 자원 회수부(14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가 수신되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연결된 세션을 차단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버디 리스트는 추후 신속한 연결을 위해 삭제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제어부(150)는 단말 자원 회수부(140)가 저장부(110)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한 경우, 자원 회수 메시지에 매칭된 저장부(110)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들이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PCF(Packet Control Function)(201), PDSN(Packet Data Serving Node)(202),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203), PS(Presence Server)(206),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205), HSS(Home Subscriber Server)(204) 등의 서버 또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PCF(201)는 BSC(기지국 제어기)와 PDSN(202)(Packet Data Serving Node) 사이의 패킷 전송을 담당하고 핸드오프 제어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전 PCF(201)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의 패킷 데이터 세션 프로파일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DSN(202)은 무선 시스템 상에서 무선 packet data networking을 지원하기 위한 핵심 장비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패킷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필요한 Authentication & Authorization, Packet Routing, 이동성 보장을 위한 Handover, QoS, Accounting 등을 담당하는 장비이다
즉, 2세대 이동통신망(300)(95A, 95B)까지는 IWF(InterWorking Function)가 무선인터넷 접속에 필수 장치였지만, 3세대(EVDO)부터는 음성과 데이터망이 구분되어 IWF 대신 데이터 교환 장비인 PDSN(202)(Packet Data Serving Node)(202)이 이용된다. 즉, PDSN(202)은 3세대 이동통신에서 음성과 데이터 신호가 아예 구분돼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IP를 할당해 주고 데이터 통신이 이동통신 단말기(100) 간에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SCF(203)는 호 및 세션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인입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Incoming Call Gateway)과 호 제어 기능(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기능 등을 수행한다.
CSCF(203)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기능에 따라 P-CSCF(203)(Proxy), I-CSCF(203)(Interrogating), S-CSCF(203)(Serving)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P-CSCF(20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IMS에 접속할 때 처음 만나는 지점이다. 즉,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IMS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 지점에 해당하고, I-CSCF(203)는 망 내의 가입자에게 연결하기 위해서 들어오는 모든 호에 대해서 접점 역할 및 망 내에 로밍한 타망 가입자와의 접점 역할을 수행하며, S-CSCF(203)는 IMS의 모든 세션상태 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HSS(204)와 연동하여 가입자 프로파일(Profile)을 수신하여 호 처리를 위한 주요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PS(206)는 프레즌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여기서 프레즌스 서비스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들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그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프레즌스 정보는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통신과 관련된 일종의 상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각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이 가능한 로그인 상태인지 로그오프 상태인지, 또는 사용자가 로그인 은 하였으나 현재 통신은 할 수 없는 상태인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AAA(205)는 신분을 확인하는 인증(authentication), 접근허가를 결정하는 인가(authorization), 리소스 사용정보를 수집관리하는 계정(accounting)과 관련된 처리 즉, 네트워크 환경에서 가입자에 대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인증, 권한 검증, 과금 기능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HSS(204)는 가입자 정보(위치정보, 인증정보, 서비스 정보 등)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전통적인 HLR(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과 함께 AuC(Authentication Center) 기능들을 모두 수행한다. HSS(204)는 All-IP 망에서 뿐만 아니라, 2.5G/3G망으로의 진화 과정에 존재하는 모든 망에서의 가입자 정보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Database 시스템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각각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하나의 서버로 구성된 것을 가정하여 각 기능 블록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하 설명하는 기능 블록 각각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들이 상술한 각각의 서버의 기능에 단독으로 또는 중첩하여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저장부(210), 단말 연결 처리부(220), 단말 사용 판단부(230), 자원 회수부(240), 자원 회수 통지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10)에는 소정의 정보들, 예를 들어 통신 채널을 형성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 술토록 한다.
단말 연결 처리부(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세션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단말 정보를 저장부(2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사용 판단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연결된 세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자원 회수부(240)는 단말 사용 판단부(230)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저장부(21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원 회수부(240)는 소정의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할당된 자원, 예를 들어 세션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할당된 저장부의 자원을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자원 회수 통지부(250)는 단말 사용 판단부(230)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구 성된 전체 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이 켜지는 경우(단계 S1)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IP 할당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3). 물론 여기서 IP 주소의 할당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시스템이 반드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넓게 IP 기반 통신을 위해 구성된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IP 주소를 할당하고(단계 S5), 그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7).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호간 PPP 세션을 설정하여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단계 S9).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데(단계 S11), 여기서 등록 요청신호는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등을 등록하기 위해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등록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13) 그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15).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프레즌스(Presence) 정보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한다(단계 S17).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에 필요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정보로써,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 등이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저장하고(단계 S19), 그 저장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2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버디 리스트를 요청한다(단계 S23). 여기서 버디 리스트는 각 사용자(즉,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매칭되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소정의 서버 등에 저장된 것으로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통해 즉시 연결 가능한 상대방의 리스트에 해당한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요청받은 사용자의 버디 리스트를 추출하여(단계 S25)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27).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된 버디 리스트를 저장한다(단계 S29).
상술한 과정을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버디 리스트를 선택하여 소정의 상대방과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세션이 연결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고, 이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즉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 자원을 할당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도 5 과정을 통해 할당된 자원을 회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자원을 할당(예를 들어 아이피 주소를 할당하고 프레즌스 정보 등을 저장)한 이후에 타이머를 동작시켜(단계 S31)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
판단 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자원 회수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35).
자원회수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면(단계 S37),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할당된 자원을 회수한다(단계 S39).
여기서 자원 회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등록 저장한 프레즌스 정보의 삭제는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연결된 세션의 제거도 포함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자원 회수 완료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통보하고(단계 S4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용 단말 자원을 회수한다(단계 S43).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자원 회수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연결된 세션의 제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용 단말 자원을 회수한 이후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되는 상태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단계 S45).
즉, 현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 통신 채널이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선택 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과의 세션 연결 과정을 거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표시(예를 들어 아이콘)를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과정을 보다 이동통신망(300)의 구체적 서버들을 이용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즌스 서버(206)는 타이머를 동작시키고(단계 S51),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였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53).
판단결과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프레즌스 서버(206)는 HSS(204)에 삭제 메시지 신호(SAR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55), HSS(204)는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 신호(SAA 신호)를 프레즌스 서버(206)에 전송한다(단계 S57).
프레즌스 서버(206)는 CSCF(203)에 가입자(즉,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SLEEP 상태로 변경하라는 신호를 전송하고(단계 S59), CSCF(20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SLEEP 상태로 변경하라는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6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LEEP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CSCF(203)에 전송하고(단계 S63), 마찬가지로 CSCF(203)는 프레즌스 서버(206)에 SLEEP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65).
프레즌스 서버(206)는 SLEEP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가입자 정보(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프레즌스 정보 등)를 삭제하고(단계 S67), 삭제 결과 CSCF(203)에 전송한다(단계 S69).
CSCF(203) 역시 기 저장되어 있던 가입자 정보를 삭제하고(단계 S71), 그 삭제 결과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송한다(단계 S7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한 자신의 상태를 SLEEP 상태로 표시 변경하고(단계 S75),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세션을 차단한다(단계 S77).
여기서 SLEEP 상태 표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는 있지만,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새로 세션 연결 과정이 필요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따라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세션 차단 과정과 그 선후가 바뀔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체적 서버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해 구성된 전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0 : 이동통신망 310,310' : 기지국
201 : PCF 202 : PDSN
203 : CSCF 204 : HSS
205 : AAA 206 : PS
210,110 : 저장부 220 : 단말 연결 처리부
230 : 단말 사용 판단부 240 : 자원 회수부
250 : 자원 회수 통지부 120 : 세션 연결 요청부
130 : 세션 연결 처리부 140 : 단말 자원 회수부
150 : 표시 제어부 160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에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세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전원 공급을 감지하여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용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와;
    (b)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연결된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c)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연결된 세션을 차단하고, 기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소정의 자원 회수 메시지에 매칭되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기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하고, 상기 자원 회수 메시지에 매칭된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에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저장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세션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단말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말기 연결 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세션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사용 판단부와;
    상기 단말 사용 판단부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단말 정보를 삭제하는 자원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사용 판단부의 판단결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를 전송하는 자원 회수 통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패킷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저장부와;
    전원 공급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자동으로 인스턴트 메시지용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세션 연결 요청부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세션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연결된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세션 연결 처리부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할당된 자원의 회수를 알리는 자원 회수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과 연결된 세션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하는 단말 자원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자원 회수 메시지에 매칭되는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단말 자원 회수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삭제한 경우, 상기 자원 회수 메시지에 매칭된 상기 저장부의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90084890A 2009-09-09 2009-09-09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06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90A KR101065538B1 (ko) 2009-09-09 2009-09-09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90A KR101065538B1 (ko) 2009-09-09 2009-09-09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99A KR20110026999A (ko) 2011-03-16
KR101065538B1 true KR101065538B1 (ko) 2011-09-19

Family

ID=4393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90A KR101065538B1 (ko) 2009-09-09 2009-09-09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5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560A (ko) * 2001-12-31 2003-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쉬 서비스 방법
KR20050080507A (ko) * 2004-02-10 2005-08-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2000 1xEV-DO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KR20060070339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p 기반의 프리젠스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0879851B1 (ko) 2007-08-01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의 ims 도메인의 세션 상태 관리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560A (ko) * 2001-12-31 2003-07-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쉬 서비스 방법
KR20050080507A (ko) * 2004-02-10 2005-08-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DMA2000 1xEV-DO 시스템에서 세션 정보 관리 방법
KR20060070339A (ko) * 2004-12-20 2006-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ip 기반의 프리젠스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100879851B1 (ko) 2007-08-01 2009-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망의 ims 도메인의 세션 상태 관리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999A (ko)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401B1 (ko) Wlan-gprs 연동 망에서 sip를 이용한 등록되지않은 가입자의 착신 처리 방법
EP2493166B1 (en) Communications Method based on service capability and social presence.
CN100596076C (zh) 个人网管理中用户设备登记、激活系统、方法及装置
CN101772981B (zh) 网络接入选择信息的简单检索的方法
JP4834506B2 (ja) 接続端末数均衡化装置及び接続端末数均衡化方法
WO2018228678A1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EP2257103A1 (en) A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rvice providing
CN103907334A (zh) 用于提供高效的电信服务的方法和系统
WO2020233688A1 (zh) 语音通信方法及其装置
CN100550881C (zh) 一种实现多媒体优先业务的方法
CN10723162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移动管理实体、终端
KR101065538B1 (ko)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지 통신을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95201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음성 호 연속을 위한 도메인 선택 방법 및 장치
CN113038518B (zh) 网络注册方法、装置和用户设备
KR100879851B1 (ko) 비동기망의 ims 도메인의 세션 상태 관리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CN107006057B (zh) 控制无线局域网接入
KR100548905B1 (ko) 프리젠스 서비스의 프리젠스 정보 동적 구성 방법
KR20100063833A (ko) 컨텐츠 추천 조건의 모니터링을 통해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646019B1 (ko) Ims 기반 장애분석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54175A (ko) Ims 기반의 가상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23970A (ko) 트래픽 제어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제어 방법
US992443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verting WCDs based on unavailability of authentication procedure
KR100657633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파일 송수신 서비스 방법
KR101158758B1 (ko) 프레젠스 상태 변경에 따른 호 처리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50027B1 (ko) Ims 망에서 초기필터기준의 트리거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