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128B1 -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128B1
KR101065128B1 KR1020080095371A KR20080095371A KR101065128B1 KR 101065128 B1 KR101065128 B1 KR 101065128B1 KR 1020080095371 A KR1020080095371 A KR 1020080095371A KR 20080095371 A KR20080095371 A KR 20080095371A KR 101065128 B1 KR101065128 B1 KR 101065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handover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965A (ko
Inventor
하진
이성주
정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9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12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에서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일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핸드오버, 신호세기, 무선링크, 무선망 제어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handov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세스 망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판단 및 처리 절차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유럽식 이동통신시스템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를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WCDMA'라 한다)을 사용하는 제 3 세대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이다.
상기 3GPP 시스템에서는 CELL_DCH(CELL_Dedicated channel) 단말기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핸드오버(Hand-over) 절차와 측정 보고(Measurement Report) 절차를 정의하고 있다.
우선, CELL_DCH 단말기란, 무선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RRC'라 칭함) 상태의 단말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단말기의 상태가 네트워크와 시 그널링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접속 모드(Connected mode)이면서, 전용데이터/컨트롤채널(Dedicated data/control channel), 전용물리데이터채널(DPDCH :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전용물리제어채널(DPCCH :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이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핸드오버』란, 단말기의 이동성으로 인해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셀(서빙셀)이 변경될 경우, 상기 단말기가 수신받고 있던 전용데이터/컨트롤채널을 변경된 셀(목적셀)에서도 계속적으로 수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프로시져 (Procedure)를 나타낸다.
그리고, 『측정보고』는 상기 핸드오버를 지원하기 위해 단말기가 현재 셀과, 상기 현재 셀과 인접한 다수의 인접 셀들에 대한 라디오 상태(Radio condition)를 측정하여 네트워크에 보고하는 일련의 프로시져를 나타낸다.
다시 정리하면, 단말기는 현재 셀과 인접 셀들에 대한 라디오 상태의 측정 결과를 측정 보고 메시지(Measurement Reporting Message)를 통해 네트워크에 알려 주고, 만약 필요하다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측정 보고 메시지를 바탕으로 상기 단말기를 목적 셀(Target cell)로 이동, 즉 핸드오버 시킨다.
이때, 만약 상기 목적 셀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이전 셀(서빙 셀)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노드와 상이하다면, 네트워크 노드 간의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정보 교환, 상기 단말기의 서비스 정보 교환, 및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컨트롤 전송을 위한 자원 예약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HSDPA 방식과 같은 이동통신 데이터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데, 이러한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는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이 중요시되고 있다.
HSDPA 방식과 같은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기지국간 핸드오버 절차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단말이 액세스 망 시스템으로부터 핸드오버의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를 내려받아 단말이 무선 링크(radio link)들의 신호 세기(Ec/No)를 측정하고 파라미터의 기준에 따라 액세스 망 시스템으로 보고하면, 액세스 망 시스템의 명령에 따라 타겟이 되는 목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액세스 망 시스템은 핸드오버할 타켓이 되는 목적 기지국을 선택할 때, 측정되어 보고된 무선 링크의 신호 세기 중 가장 큰 신호 세기의 기지국(best cell)을 선택하게 된다.
아울러, 소스 기지국에서 목적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는 시그널 처리 구간에서는 대기시간(Latency)이 발생한다. 또한, 무선 링크가 완전하게 목적 기지국으로 바뀌는 순간에는 끊김 시간(Break Time)이 발생하여 데이터가 흐르지 않는 순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대기시간과 끊김 시간의 발생은 데이터 처리량의 저하를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잦은 핸드오버 처리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량이 저하되어 양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들의 신호 세기가 비슷하여 핸드오버가 자주 발생하거나 신호들이 혼재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량 저하가 심하게 나타나고 이는 데이터 서비스 품질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시에 핸드오버 처리 횟수를 줄여 데이터 처리량 저하의 원인을 개선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에서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일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일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처리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는 신호 세기 비교부; 및 상기 신호 세기 비교부에서 비교 결과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일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시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 판단 주체, 시점 및 처리 절차를 개선하여 핸드오버 처리 횟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나아가 잦은 핸드오버로 인해 발생하던 데이터 처리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핸드오버 처리 횟수의 감소로 인한 액세스 망 시스템의 부하를 경감하여 유지 관리 비용의 절감과 함께 가입자들에게 양질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나아가, 기존과 같이 시스템에서 단말로 수시로 신호세기 측정을 요청하고 그 값을 토대로 시스템측에서 핸드오버 제어 처리를 수행할 경우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단말 측에서 측정과 비교 그리고 핸드오버 여부의 판단을 모두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측과 단말 사이의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을 줄여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측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시스템(특히, WCDMA에 기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의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본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코어망(Core Network: CN)(300), 무선망 제어 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100), 기지국(Node B)(201,202) 및 이동통신 단말(User Equipment: UE)(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기지국(201,202)과 무선망을 통해 접속하여 연결되고, 상기 기지국(201,202)은 무선망 제어기(1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무선망 제어기(100)는 코어망(300)과 연결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과 같은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외부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접속하거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201,202)과 무선망 제어기(100)를 이용한다. 이하, 기지국(201,202)과 무선망 제어기(100)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시스템(Radio Access Network System)으로 통칭한다.
상기 무선망 제어기(100)는 복수개의 기지국들(201,20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기지국들(201,202)의 무선 자원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무선망 제어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어망(300)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지국(201,202)은 특정 커버리지 셀 영역(A,B)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400)을 관리하며, 상기 무선망 제어기(100)로 전송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다른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201,202)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망 제어기(100)로 전달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동일 무선망 제어기(100)의 관리하에 있는 다른 기지국(202)으로 이동(400')하거나 다른 무선망 제어기의 관리하에 있는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 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은 핸드오버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400)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의 제어에 따라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처리 서버(1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핸드오버 처리 서버(100)는 WCDMA 환경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망 제어기(RNC)(100)가 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처리 서버(10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로부터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한다. 아울러, 이때의 핸드오버 처리는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에 기지국 간 핸드오버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400)은 단말 내에서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여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시스템측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말 스스로 핸드오버 처리 여부를 제어하고 시스템에 핸드오버를 요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400)은 무선망에서의 신호 세기(Ec/No)를 측정하는 신호세기 측정부(410), 측정한 신호세기를 기준에 따라 비교하는 신호세기 비교부(420), 비교 결과를 통해 핸드오버 여부를 판단하고 시스템 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버 제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410)는 이동통신 단말을 현재 관할하고 있는 소스 기지국(201) 및 인접한 기지국(202)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세기는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각 기지국의 무선 링크(Radio Link)들의 신호의 강함을 나타낸 수치이다. 아울러,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410)는 계속적으로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도 있고, 소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하여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도 있다. 주기적으로 측정할 경우에는 단말의 부하 및 전원 소모를 감안하여 주기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신호세기 비교부(420)는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410)에서 측정한 값들을 소정 기준에 따라 비교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세기 비교부(420) 소스 기지국(201)의 신호세기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세기 기준치를 비교하고, 소스 기지국(201)의 신호세기와 인접 기지국(202)의 신호세기를 비교한다. 이와 함께, 상기 신호세기 비교부(420)는 비교한 결과를 후술할 핸드오버 제어부(4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소스 기지국(201)의 신호세기가 신호세기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와, 인접한 기지국(202)의 신호 세기가 소스 기지국(201)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비교 결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신호 세기 기준치(임계치)는 무선 액세스망을 통해 원활하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링크의 신호 세기 임계치 값인 것이 바람직하며, 망 시스템 관리자나 운영자들에 의해 산출되어 설정할 수 있다. 이 기준치 값은 HSDPA 방식의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양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430)는 상기 신호세기 비교부(42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미만이며, 인접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핸드오버할 경우로 판단하고 핸드오버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에는 소스 기지국에서 상기 신호 세기가 더 큰 인접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처리 노드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수신한 핸드오버 처리 노드에서는 해당 이벤트 메시지에 따라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부(430)에서는 상기 신호세기 비교부(420)에서 전달받은 비교결과 중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 핸드오버할 경우로 판단하고 핸드오버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즉,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처리 노드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전송하는 이벤트 메시지에는 상기 신호세기 측정부(410)에서 측정한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세기 측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핸드오버 처리 노드에서는 해당 이벤트 메시지에 따라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며, 일반적인 절차대로 핸드오버할 대상 기지국은 메시지에 포함된 인접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통해 판단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단말에서 측정한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소정 기준치 미만일 경우에만, 핸드오버가 진행되고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핸드오버를 진행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핸드오버 회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과 같이 시스템에서 단말로 수시로 신호세기 측정을 요청하고 그 값을 토대로 시스템측에서 핸드오버 제어 처리를 수행할 경우와 대비하여, 단말 측에서 측정과 비교 그리고 핸드오버 여부의 판단을 모두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측과 단말 사이의 불필요한 메시지 전송을 줄여 무선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이로 인해 시스템측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커버리지 셀 내에 존재하는 각 기지국의 무선 링크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즉, 현재 관할하고 있는 소스 기지국의 무선 링크 신호 세기와 인접한 기지국들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여기서, 인접한 기지국은 네이버리스트에 포함된 기지국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측정은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측정할 수도 있고, 소정 시간 간격을 주기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S10)
다음으로, 단말에서는 이렇게 측정된 기지국들의 신호 세기를 소정 기준에 따라 비교하는 처리를 진행한다. 즉,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소정 의 신호 세기 기준치를 비교 처리하고, 소스 기지국과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비교 처리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에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미만인지 여부와, 인접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지 여부 등을 비교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기준치 값은 무선 액세스망을 통해 원활하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링크의 신호 세기 임계치 값으로, 운영자 및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다.(S20)
이동통신 단말에서 신호 세기를 비교한 결과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설정된 기준치 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 S10에서부터의 절차를 계속 수행하도록 진행한다.(S30)
반면에, 기준치 미만인 것으로 판별되면 핸드오버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시스템으로 전송할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에는 핸드오버할 대상인 인접한 목적 기지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비교 결과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인접 기지국의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S40)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처리 노드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한다.(S50)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처리 노드(무선망 제어기: RNC)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메시지에 따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에, 핸드오버할 대상인 목적 기지국이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목적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을 핸드오버 처리한다. 반면에, 목적 기지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절차대로 인접 기지국들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기지국을 핸드오버 대상으로 설정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60)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WCDMA 통신 규격에서 HSDPA 방식의 이동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시의 구체적인 핸드오버 처리의 실시예를 도면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프로시져(Procedure)를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UE)은 현재 셀에서 감지된 무선링크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이때에는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함께 측정한다.(a,b)
이동통신 단말은 측정한 신호 세기 값을 근거로 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라 핸드오버 여부와 핸드오버할 대상인 목적 기지국을 판단하는 핸드오버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판단, 비교 절차 및 기준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측정된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소정 기준치 미만일 경우에만 핸드오버를 개시하도록 하는 제어 처리가 진행된다.(c)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에서 핸드오버 제어 처리가 진행된 후에는, 무선망 제어기로 핸드오버를 요청할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이때에 이벤트 메시지에는 상기 핸드오버 제어 처리 결과 핸드오버할 소스 기지국 정보와, 목적 기지국 정보가 포함된다.(d)
무선망 제어기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망 제어기에서는 핸드오버 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소스 기지국과 목적 기지국으로 각각 재설정 준비 신호(Reconfiguration Prepare)를 전송한다.(h,j)
소스 기지국과 목적 기지국에서 재설정 준비가 완료된 후에는 무선망 제어기로 각각 재설정 준비 완료 신호(Reconfiguration Ready)를 전송한다.(i,k)
무선망 제어기에서는 소스 기지국 및 목적 기지국에서 각각 재설정 준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각 기지국으로 동시에 재설정 수행(Reconfiguration Commit) 신호를 전송한다.(l,m)
이와 함께, 무선망 제어기에서는 이동통신 단말로 소스 기지국에서 목적 기지국으로 물리 채널 재설정 신호를 전송한다.(n)
이동통신 단말에서는 물리 채널 재설정 처리 후, 재설정 완료 신호를 무선망 제어기로 전송한다.(o)
그러면, 도 4를 통해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프로시져에 따라 단말에서 각 기지국의 신호세기의 변화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핸드오버 프로시져에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에 미달하여 일반적인 핸드오버 처리가 진행될 때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감소하고 목적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400)이 소스 기지국(201)의 커버리지 셀에 위치하다, 목적 기지국(202)의 커버리지 셀로 이동하여 위치(400') 하는 경우로 볼 수 있겠다.
T1 시점에서 목적 기지국의 무선 링크(1A)가 감지되고(상기 도 4의 (a)) 시간이 경과하여, T2 시점에서 핸드오버 처리가 수행된다. 즉, T2 시점에서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이하이고(도 5는 기준치 이하인 경우로 가정하였음) 목적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더 크기 때문에, 목적 기지국을 최적 셀(1D)로 판단하고 핸드오버 처리가 수행된다.
이후,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는 약해지고, T3 시점에서 소스 기지국의 무선 링크(1B)는 삭제 처리된다.
다음, 도 6은 핸드오버 프로시져에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가 진행될 때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에서 측정된 각 기지국 셀의 신호 세기가 변화가 심하게 나타난다. 이는 각 기지국 커버리지 셀이 교차하는 범위에서 이동통신 단말이 불규칙하게 이동하고 있는 경우로 예측할 수 있다.
먼저, 최적 셀(1)이 관할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접 기지국 셀(2)의 무선 링크(1A)를 감지한다.(T4 시점) 이후 T5 시점에 두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역전되어 인접 기지국 셀(2)의 신호 세기가 최적 셀(1) 보다 커지게 된다. 그러나 최적 기지국 셀(1)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값 이상이기 때문에 핸드오버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시간이 흘러 T6 시점에서와 같이 다시 신호 세기가 역전이 되어도 최적 기지국 셀(1)의 신호 세기가 여전히 기준치 값 이상이므로 핸드오버 처리는 수 행되지 않는다. 만약, 이때 기존 방식대로 핸드오버 처리가 이루어진다면, T5 시점과 T6 시점에 모두 핸드오버 처리가 수행된다.
다시 시간이 흘러 T7 시점과 같이 최적 기지국 셀(1)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값 이하인 상태가 되면, 이때에는 기존 방식대로 정상적인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인접 기지국 셀 중 신호 세기가 가장 큰 무선 링크(1D)를 판별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처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이 구현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프로시져(Procedure)를 설명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핸드오버 프로시져에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에 미달하여 일반적인 핸드오버 처리가 진행될 때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핸드오버 프로시져에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처리가 진행될 때의 예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망 제어기 201,202 : 기지국
300 : 코어망 400 : 이동통신 단말

Claims (15)

  1.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시에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a) 이동통신 단말이,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비교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며, 상기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인접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는, 무선 액세스망을 통해 원활하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링크(Radio Link)의 신호 세기(Ec/No) 임계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은 소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과 코어망(Core Network)을 연결하는 무선망 제어기(RN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시에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비교하여,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며, 상기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인접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핸드오버 처리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처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처리 서버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코어망(Core Network)을 연결하는 무선망 제어기(RN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시스템.
  13. 이동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시에 이동통신 단말의 기지국 간 핸드오버 처리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로서,
    현재 관할하는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신호 세기 측정부;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신호 세기 기준치와 비교하고, 상기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와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는 신호 세기 비교부; 및
    상기 신호 세기 비교부에서 비교 결과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기준치 미만이고, 상기 인접한 기지국의 신호 세기가 상기 소스 기지국의 신호 세기를 초과하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인접한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핸드오버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95371A 2008-09-29 2008-09-2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06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71A KR101065128B1 (ko) 2008-09-29 2008-09-2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371A KR101065128B1 (ko) 2008-09-29 2008-09-2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65A KR20100035965A (ko) 2010-04-07
KR101065128B1 true KR101065128B1 (ko) 2011-09-16

Family

ID=4221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371A KR101065128B1 (ko) 2008-09-29 2008-09-2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3888A2 (ko) * 2011-01-07 2012-07-12 주식회사 팬택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US10764807B2 (en) 2016-06-23 2020-09-01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method for high-speed moving vehic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26B1 (ko) * 2003-09-0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0673202B1 (ko) 2004-11-05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과 이기종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간핸드오버 처리방법
KR100808464B1 (ko) * 2006-08-31 2008-03-0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26B1 (ko) * 2003-09-0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시스템과 동기시스템간의 핸드오버를 위한이동단말의 셀 탐색 방법 및 장치
KR100673202B1 (ko) 2004-11-05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과 이기종의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 간핸드오버 처리방법
KR100808464B1 (ko) * 2006-08-31 2008-03-0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965A (ko) 201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9766B2 (ja) 無線端末、基地局、及びこれらの方法
EP2132949B1 (en) Selection of an uplink carrier frequency corresponding to one of co-sited cells having different coverage areas and supporting different uplink data rates
JP4938863B2 (ja) 端末装置をマクロセルにハンドオーバ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端末装置、アクセスノード、およびゲートウェイ
JP5366888B2 (ja) 無線基地局及びその制御方法
EP1487131B1 (en) Adjust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a forward access channel (FACH), and a corresponding network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US7215962B2 (en) Method for an intersystem connection handover
US10924915B2 (en) Exchange of mobility information in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EP2117135A1 (en) Base station device, user device,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013618A1 (zh) 小区更换的方法和设备
KR2011011927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2557842B1 (en) Autonomous cell reselection by a user equipment
US2013023001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398407B1 (ko) 핫 스팟 검출을 위한 ue 측정들
WO2011018033A1 (zh) 一种用户设备向载波聚合小区切换的方法及系统
RU241084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б уровне шума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го пакетного доступа по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KR20060030428A (ko) 이동통신망의 하드 핸드오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2146033A1 (zh) 自动邻区关系测量方法及系统
US20090280813A1 (en) Handover Procedure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US9756541B2 (en) Handover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EP1192830A1 (en) Network-evaluated handover assisted by both mobile and base-stations
KR101065128B1 (ko)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828544B1 (ko) 과부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24962A1 (zh) 一种实现自动邻区关系测量的方法及系统
US8687598B1 (en) Method for managing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812004A (zh) 在无线网络系统内进行流量控制的方法及无线网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