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508B1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4508B1 KR101064508B1 KR1020090084484A KR20090084484A KR101064508B1 KR 101064508 B1 KR101064508 B1 KR 101064508B1 KR 1020090084484 A KR1020090084484 A KR 1020090084484A KR 20090084484 A KR20090084484 A KR 20090084484A KR 101064508 B1 KR101064508 B1 KR 1010645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ilure
- fault
- section
- distribution automation
- termina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3—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measured val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6—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s, i.e. with interconnected conduc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2—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combined with means for locating the faul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26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Description
단말장치 #1과 인터페이스된 배전기기를 기준으로 S/S가 연결된 측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1회로, 부하(Load)에 연계된 2회로와 3회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4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장치 #2와 인터페이스된 배전기기를 기준으로 단말장치#1이 연결된 측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1회로, 부하(Load)에 연계된 2회로와 3회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4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장치 #3과 인터페이스된 배전기기를 기준으로 단말장치#2가 연결된 측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1회로, 부하(Load)에 연계된 2회로와 3회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4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장치 #4와 인터페이스된 배전기기를 기준으로 단말장치#3이 연결된 측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1회로, 부하(Load)에 연계된 2회로와 3회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4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단말장치 #5와 인터페이스된 배전기기를 기준으로 단말장치#4가 연결된 측부터 시계방향으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1회로, 부하(Load)에 연계된 2회로와 3회로, 배전선로에 연계된 4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Claims (11)
- 다수의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가 연결되는 배전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상기 고장이 발생한 구간을 판단하여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배전기기를 통해 전압과 전류를 계측하여 고장을 검출하는 1단계;상기 고장이 검출되면, 상기 계측된 전압과 전류를 통해 영상분 전압, 영상분 전류, 정상분 전압, 및 정상분 전류의 크기와 위상을 계산하여 고장방향을 판단하는 2단계;인접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와 1:1 통신을 통해 상기 인접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방향을 수신하는 3단계;상기 2단계에서 판단된 고장방향과 상기 3단계에서 수신된 고장방향을 비교하여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을 판단하는 4단계; 및상기 고장 구간의 인접한 두 개의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배전기기를 작동하여 상기 고장구간을 분리하는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을 검출하는 1단계에 있어서,상기 고장은 상(A,B,C) 고장과 지락(N상) 고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이 상(A,B,C) 고장일 경우상기 정상분 전압과 정상분 전류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정상분 전압의 위상과 상기 정상분 전류의 위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장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이 지락고장일 경우상기 영상분 전압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영상분 전압의 위상과 상기 영상분 전류의 위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고장방향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이 상(A,B,C) 고장일 경우 상기 정상분 전압과 정상분 전류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 고장에 의한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정상분의 전압의 위상과 상기 정상분 전류의 위상 차이가 -90° ~ +90°범위에 존재하면 고장방향을 정방향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고장이 지락 고장일 경우 상기 영상분 전압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락 고장에 의한 설정값 이상일 경우, 상기 영상분의 전압의 위상과 상기 영상분 전류의 위상 차이가 -90° ~ +90°범위에 존재하면 고장방향을 정방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 고장방향과 지락 고장방향이 다를 경우 상 고장방향을 고장방향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을 판단하는 4단계에서,상기 2단계에서 상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가 판단한 고장방향이 정방향이고, 제 3단계에서 인접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에서 수신한 고장방향이 정방향일 경우 그 사이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을 판단하는 4단계에서,상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가 변전소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는 배전기기와 연계되어 있을 경우, 상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방향이 정방향이면 상기 변전소와 상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사이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구간을 판단하는 4단계에서상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방향이 정방향일 때, 상기 3단계에서 인접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로부터 고장방향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와 인접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사이의 구간을 고장구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방향을 판단하는 2단계에서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선로 연계회로의 고장방향이 모두 역방향이고, 부하연계회로에서 역방향 판단 또는 고장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 배전기기 내부 고장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전기기의 모든 회로를 작동시켜 배전 선로로부터 상기 배전기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을 분리하는 5단계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이 자동으로 분리된 후, 소정 시간 동안 고장이 제거되지 않으면 배전기기의 모든 회로를 작동하고, 작동 실패 정보를 인접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484A KR101064508B1 (ko) | 2009-09-08 | 2009-09-08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484A KR101064508B1 (ko) | 2009-09-08 | 2009-09-08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719A KR20110026719A (ko) | 2011-03-16 |
KR101064508B1 true KR101064508B1 (ko) | 2011-09-16 |
Family
ID=4393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4484A KR101064508B1 (ko) | 2009-09-08 | 2009-09-08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645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698B1 (ko) * | 2011-09-29 | 2013-08-08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배전선로에서의 고장검출 및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배전자동화용 제어단말장치 |
KR101514999B1 (ko) * | 2013-10-29 | 2015-04-24 |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전계통에서 스마트 보호기기를 이용한 자율적 고장구간 확인 및 분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640532B1 (ko) * | 2015-12-28 | 2016-07-29 | (주)대광 | 배전선로의 지능화 시스템 |
KR102103936B1 (ko) * | 2018-09-11 | 2020-04-24 | 주식회사 포스코 | 계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계전 시스템 |
EP3754805B1 (en) * | 2019-06-19 | 2022-12-14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locating a fault in a power distribution grid |
CN118523269B (zh) * | 2024-07-24 | 2024-10-25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丽水供电公司 | 一种通讯异常场景下的双环网型配电网自愈方法及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924A (ja) | 1996-07-15 | 1998-02-03 | Nissin Electric Co Ltd | 配電系統の故障区間区分装置 |
JP2004080894A (ja) * | 2002-08-15 | 2004-03-11 | Meidensha Corp | 環線系統の保護方式 |
KR20080070397A (ko) * | 2007-01-26 | 2008-07-30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전자동화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고장표시 생성방법 |
KR20090041660A (ko) * | 2007-10-24 | 2009-04-29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그의 고장전류 보호협조 방법. |
-
2009
- 2009-09-08 KR KR1020090084484A patent/KR1010645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2924A (ja) | 1996-07-15 | 1998-02-03 | Nissin Electric Co Ltd | 配電系統の故障区間区分装置 |
JP2004080894A (ja) * | 2002-08-15 | 2004-03-11 | Meidensha Corp | 環線系統の保護方式 |
KR20080070397A (ko) * | 2007-01-26 | 2008-07-30 |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전자동화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고장표시 생성방법 |
KR20090041660A (ko) * | 2007-10-24 | 2009-04-29 |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그의 고장전류 보호협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719A (ko) | 201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64508B1 (ko)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 | |
KR101090425B1 (ko) | 배전 보호협조 시스템 및 운영방법 | |
EP3001535B1 (en) | Protection control system for process bus, merging unit, and computation device | |
WO2018105989A1 (ko) |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고장 처리 방법 | |
US9819196B2 (en) | Power distribu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 fault detection in a distributed manner and method thereof | |
EP2206208B1 (en) | Differential protec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 |
US11258249B2 (en) | Primary and system protection for a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 | |
KR101294698B1 (ko) | 배전선로에서의 고장검출 및 고장구간 자동 분리 방법과 이를 구현하는 배전자동화용 제어단말장치 | |
JP5518926B2 (ja) | 配電自動化システム | |
KR101101981B1 (ko) | 에스피디 단로장치 | |
US1105687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eeder protection in electrical power network | |
US11114892B2 (en) | Electric power system transducer failure monitor and measurement recovery | |
WO2008071899A1 (en) |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tecting a bus in a three-phase electrical power system | |
JP5044328B2 (ja) | ネットワーク送電保護装置 | |
JP5381415B2 (ja) | 配電線の保護システム及び保護継電器 | |
KR102613905B1 (ko) | 계전기 | |
WO2008067299A2 (en) | Method and system for isolating disturbances to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 |
EP4339625A1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nsors for use in hvdc power transmission networks | |
KR20160021653A (ko) | 보호계전기 | |
US12149084B2 (en) | Sensors for use in HVDC power transmission networks | |
KR20110013885A (ko) | 가공 루프 배전계통 시스템 | |
KR20100010689A (ko) | 폐루프 배전계통시스템 | |
JP4960328B2 (ja) | ネットワーク送電保護装置 | |
KR101517344B1 (ko) | 배전계통에서 스마트 보호기기를 이용한 자율적 hif 구간 확인 및 분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
JP2009055764A (ja) | ネットワーク送電保護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