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553B1 -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 Google Patents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553B1
KR101063553B1 KR1020080110767A KR20080110767A KR101063553B1 KR 101063553 B1 KR101063553 B1 KR 101063553B1 KR 1020080110767 A KR1020080110767 A KR 1020080110767A KR 20080110767 A KR20080110767 A KR 20080110767A KR 101063553 B1 KR101063553 B1 KR 101063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plane
casserole
earthenwar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51943A (en
Inventor
유상미
Original Assignee
유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미 filed Critical 유상미
Priority to KR1020080110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553B1/en
Publication of KR2010005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9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5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A47J41/0094Indicating means, e.g. for level 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온도가 표시되는 뚝배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enware stand whose angle can be adjusted and the temperature is displayed.

본 발명은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중앙의 반구형 돌출부를 기준축으로 회전하면서 기울기 조정이 가능토록 결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lower pedestal 10 and the upper pedestal 20 to adjust the tilt while rotating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in the center of the reference axi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쉽게 받침대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뚝배기를 받침대에 걸치지 않고도 뚝배기를 기우려 잔여 음식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원탓치(ONE-TOUCH)에 가까운 짧고 심플(SIMPLE)한 동작으로 짧은 시간이내에 뚝배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뚝배기에 수용된 국물이 소비자의 옷 등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과 국물을 남김없이 먹을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평소에 익숙한 온도에서 식사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상부받침대만을 따로손쉽게 세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pedestal to easily ingest the remaining food by tilting the casserole without hanging the casserole. In addition, the short and simple operation close to the one touch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casserole with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soup contained in the earthenware can be minimized to be scattered to the clothes of the consumer, etc., and also can eat food and soup without leaving i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food waste, it is possible to enjoy a meal at a temperature familiar with the usual. Also, only the upper stand can be easily cleaned separately.

하부받침대, 상부받침대, 반구형 돌출부, 원주턱, 걸림턱, Lower pedestal, upper pedestal, hemispherical protrusion, circumferential jaw, locking jaw,

Description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An inclinable temperature display pedestal for bowl}An inclinable temperature display pedestal for bowl}

본 발명은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온도가 표시되는 뚝배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뚝배기 그릇을 올려 놓는 받침대를, 사용자가 임의로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평소에는 수평 구조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 즉 뚝배기 바닥에 깔린 음식이나 국물을 먹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를 경사 구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뚝배기의 내부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알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에 따라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한 뚝배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serole pedestal tha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nd displaying a temperature,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pedestal on which a casserole bowl is placed,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If you want to eat food or soup on the bottom of the earthenware pot, you can adjust the pedestal to use the inclined structure and know the temperature of food inside the earthenware pot to eat foo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red temperature. It is about a casserole base.

일반적으로, 국밥과 같이 오랜시간 동안 열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예로부터 뚝배기에 음식물을 수용한 후, 상기 뚝배기 저면에 받침대를 놓고 소비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 국내에서는 당연시 되어져 왔다.In general, in order to maintain the heat for a long time, such as gukbap it has been taken for granted in the country to receive food in the earthenware pot, and to provide the consumer with a base on the bottom of the earthenware pot.

이같은 뚝배기는 최근들어 다양한 음식소재의 개발과 함께 겨울철과 같이 더운 음식을 선호하게 되는 계절이 도래할 경우, 뚝배기 내부에 국밥이외에도 다양한 음식 물을 수용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되는데, 공급된 음식물은 일정시간이 흐르면 그 온도의 보온성을 상실하여 서시히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온도가 하강하게 될 정도면 소비자는 뚝배기 내부의 음식을 거의 다 섭취하게 된다.In recent years, when the season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od materials and the preferment of hot foods, such as winter season, is coming, the casserole is provided with various foods in addition to the soup in the casserole. When this flow loses the warmth of the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lowly decreases, and when the temperature decreases, the consumer almost eats the food inside the casserole.

이때,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뚝배기(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거의 다 섭취하게 되면, 소비자는 뚝배기의 국물 또는 국물에 포함된 여러가지 잔여 음식물(3)을 섭취하기 위해 뚝배기를 받침대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음식물을 숫가락(2)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섭취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intake of almost all the food contained in the earthenware (1), the consumer placed the earthenware pot over the pedestal to ingest various residual foods (3) contained in the soup or soup of the earthenware pot In the state, the food is ingested by using a tool such as spoon (2).

그러나, 상기 받침대에 걸쳐진 뚝배기는 받침대의 표면이 코팅처리됨에 따라 안정된 상태로 받침대에 걸쳐지지 않게되어 작은 진동에 의해서도 뚝배기가 받침대에서 떨어지면서 뚝배기에 수용된 국물이 소비자의 옷 등으로 비산되어 소비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However, as the surface of the base is coated, the casserole over the pedestal is prevented from being spread over the pedestal in a stable state. As the casserole falls off from the pedestal even by a small vibration, the soup contained in the casserole is scattered by the clothes of the consumer and the like is considerable to the consumer. There is an inherent problem of discomfor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제시되었던 해결책의 하나는 뚝배기 자체의 내부 바닥면을 경사지게 만드는 것이다. 도 2는 이와 같이 내부 바닥면이 경사진 구조로 된 뚝배기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2를 보면 뚝배기(1)의 바닥면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부바닥은 평면인데 반하여 상부바닥(4)은 경사진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부 바닥과 하부바닥의 사이는 공간부(5)를 이루거나 아니면 뚝배기와 같은 재질로 채워진다.One of the solutions proposed in the related art to solve this problem is to make the inner bottom of the earthenware itself inclined. 2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sero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bottom is inclined. 2,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serole 1 has a double structure, and the bottom bottom is flat, whereas the top bottom 4 has an inclined structure.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floors forms a space 5 or is filled with a material such as a pot.

그러나 이와 같은 뚝배기(1)는 사실상 사용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로는 우선 뚝배기 자체가 대단히 무거워져 운반시 손목에 많은 부담을 주기 때문이며,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고객들이 식사 도중 바닥의 경사면을 보는 순간 우선은 음식점에서 재료를 줄이기 위하여 바닥을 경시지게 만들었다는 상술로 받아들여 불신과 오해를 낳게됨으로써 고객의 신뢰를 잃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닥이 너무 두꺼워 열전도율이 낮아 뚝배기를 가열하는데 있어 열량 소모가 심해 비경제적이기도 하다.However, such a casserole 1 is not actually us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asserole itself is very heavy and puts a lot of strain on the wrists when carrying it. More importantly, the moment the customer sees the slope of the floor during a meal, the first thing is to make the floor belittle to reduce the ingredients in the restaurant. This is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stomer's trust is lost by accepting and creating distrust and misunderstanding. In addition, because the floor is too thick,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 it is also uneconomical because it consumes a lot of heat to heat the pot.

그 다음으로 제시된 해결책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38632호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이다. 이하, 상기 종래기술의 받침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next proposed solution is a pedestal with adjustable angle as show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8632.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edestal of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뚝배기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earthenware pot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에 따르면, 뚝배기 받침대(201)는 함몰부(211)과 고정손잡이(221)로 구성된다. 상기 함몰부(211)는 뚝배기(100)를 안착할 수 있도록 함몰형성된 것으로, 이때, 상기 함몰부(211) 상부에는 받침판(212)의 일측은 고정되고, 타측은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According to FIG. 3, the casserole pedestal 201 includes a depression 211 and a fixed handle 221. The depression 211 is formed to be recessed to seat the earthenware 100,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support plate 212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pression 211,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flow.

또한, 상기 함몰부(211)에는 받침판(212)의 타측과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받침판(212)의 유동을 조절하는 조절손잡이(213)가 구비된 것으로, 이는 받침판(212)의 타측과 스크류(213a) 결합되어 조절손잡이(213)의 회전에 따라 받침판(212)의 타측이 유동되게 된다.In addition, the depression 211 is provided with a control knob 213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12 to move the flow of the support plate 212,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12 and the screw 213a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knob (213).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뚝배기 받침대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받침대(201)에 형성된 함몰부(211)에 뚝배기(100)를 안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함몰부(211)에 결합된 받침판(212)에 뚝배기(100)의 하부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뚝배기(100)가 안착된 받침대(201)를 고정손잡이(221)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 후, 뚝배기(100)에수용된 음식물을 섭취하게 된다.Thus, in using the prior art casserole pedestal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sserole 100 is seated on the depression 211 formed in the pedestal 201, in this case, is coupled to the depression 211 The lower portion of the casserole 100 is located on the support plate 212. As described above, after moving the base 201 on which the earthenware 100 is seated to a desired position using the fixing knob 221, the food accommodated in the earthenware 100 is ingested.

여기서, 상기 뚝배기(100)에 수용된 음식물의 많은 량을 섭취하여 바닥의 음식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판(212)의 타측과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손잡이(213)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213a)에 의해 상기 받침판(212)의 타측이 상승하여 뚝배기(100)가 기우러진 후, 계속하여 음식을 섭취하게 된다.Here, when ingesting a large amount of food accommodated in the earthenware 100, if you want to eat the food of the bottom, when the control knob 213 coupled to flow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12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fter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12 is raised by the screw 213a to raise the casserole 100, the food is continuously inges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받침대는, 뚝배기와 남은 음식의 무게로 인하여, 조절 손잡이(213)를 회전시켜 받침판(212)의 경사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회전에 다소 많은 힘이 주어져야 하며, 경사를 만드는 작업에 있어서도 다소 길게 느껴지는 시간동안의 회전 작업이 필요하고, 더우기 음식점 등의 접객업소에서는 고객에게 번거롭고 복잡한 작업을 요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as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weight of the earthenware and the remaining food, in order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plate 212 by rotating the adjustment knob 213, a little more force must be given to the rotation, making the inclin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is required to rotate during a time that feels a little longer, and moreover, hospitality establishments such as restaurants require a cumbersome and complicated work for the customer.

또한, 뜨거운 국물이 담긴 음식물의 경우, 지나치게 뜨거운 상태의 음식을 섭취하여 입안을 상하게 하는 문제가 있어도 이에 대한 대책이 없었고, 적절히 선호하는 온도에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기능은 종래기술에서 제공된 바가 없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food containing hot broth, even if there is a problem of injuring the mouth by eating food that is too hot, there is no countermeasure, and there is no function to eat food at a suitable temperatur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쉽게 받침대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뚝배기를 받침대에 걸치지 않고도 뚝배기를 기우려 사용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원탓치(ONE-TOUCH)에 가까운 짧고 심플(SIMPLE)한 동작으로 짧은 시간이내에 뚝배기의 각도 조절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뚝배기에 수용된 국물이 소비자의 옷 등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또한 쉽고 편안한 마음으로 뚝배기의 남은 음식 및 국물을 뚝배기를 기우려 섭취할 수 있고, 또한 온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온도를 인지하여 뜨거운 음식으로 인하여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고, 선호하는 적당한 온도의 음식을 즐길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받침대만을 이동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받침대의 세척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pedestal so that the user can be used to tilt the earthenware without hanging the earthenware, and also one touch (ONE-TOUCH) By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earthenware pot in a short time by the simple and simple operation of), the soup stocked in the earthenware pot is minimized from scattering to the clothes of consumers, and also the remaining food and soup in the earthenware pot is easy and comfortable. It can be ingested inclined to the casserole, and also to recognize the temperature through the temperature display so as not to be burned by hot food, and to enjoy the food of a suitable temperature preferred.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move by washing only the upper pedestal, to facilitate the washing of the pedest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뚝배기 등 식기를 올려놓는 받침대에 있어서, 낮은 원기둥의 윗부분을 비스듬히 자른 구조로 만들어 져, 바닥쪽 하부면은 수평면 상의 원형의 평면이고, 윗쪽 상부평면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기우러진 경사 구조를 이루고 있고, 경사진 상부평면의 중앙에는 반구형 돌출부(30)가 형성된 하부받침대(10)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se for placing tableware, such as casserol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ylinder is cut obliquely, the bottom bottom surface is a circular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the top upper plane is A lower pedestal 10 formed with a slanted structure gradually inclined while go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having a hemispherical protrusion 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clined upper plane;

낮은 원기둥의 아랫부분을 비스듬히 자른 구조로 만들어 져, 윗쪽 상부면은 수평면 상의 원형의 평면을 이루되, 동 원형의 평면의 원둘레쪽 끝부분에는 울타리형 원주턱(23)이 형성되고, 경사진 하부평면의 중앙에는 아랫쪽을 향하여 반원형 요홈이 형성된 상부 받침대(20)와;The lower part of the lower cylinder is made of an obliquely cut structure, the upper upper surface forms a circular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circular cylindrical fence 23 is formed, the inclined lower portion An upper pedestal 20 in which a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ne toward the bottom;

상기 하부받침대(10)의 반구형 돌출부(30)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받침대(10)의 하부로 고정된 열감지센서가 부착된 열전대(40)와, 상기 열전대(40)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대(40)에서 전달받은 온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41)와, 상기 디스플레이(4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10)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42)로 구성된 온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hermocouple 40 having a heat sensing sensor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edestal 10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0 of the lower pedestal 10 is connected to the thermocouple 40. And a display 4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 10 so as to display a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thermocouple 40 and provided inside the lower support 10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4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mperature display portion composed of a battery (42).

또한 상기 뚝배기 받침대는, 상기 하부 받침대(10)의 상부평면의 원둘레 내측으로 적어도 4개의 보조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받침대(20)의 원주턱(23)의 양측 단부는 연장되어 손잡이(24)를 더 구비하고, 경사진 하부평면의 원둘레쪽 끝부분에는 아랫쪽을 향하여 울타리형 원주턱이 더 형성되며, 중앙에는 아랫쪽을 향하여 반원형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받침대(20)가 상기 하부 받침대(10)와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부 받침대의 회전을 더 용 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asserole pedestal, at least four auxiliary projections (13)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ne of the lower pedestal (10); Both end portions of the circumferential jaw 23 of the upper pedestal 20 is further extend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24, and a fenced circumferential jaw is further formed at the circumferential end portion of the inclined lower plane toward the bottom, and the cen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toward the bottom, when the upper pedestal 20 is coupled to the lower pedestal 10, a space is formed therebetween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pedestal.

또한 상기 상부받침대(20)는, 외곽 원주면 일측에 상부받침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걸림턱(2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pport 2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step 22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suppor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손쉽게 받침대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뚝배기를 받침대에 걸치지 않고도 뚝배기를 기우려 잔여 음식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원탓치(ONE-TOUCH)에 가까운 짧고 심플(SIMPLE)한 동작으로 짧은 시간이내에 뚝배기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뚝배기에 수용된 국물이 소비자의 옷 등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과 국물을 남김없이 먹을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화상을 입지 않고, 선호하는 적당한 온도에서 음식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받침대만을 이동 가능토록 하여 상부받침대만 청소하면 되므로 세척이 매우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angle of the pedestal to easily eat the remaining food by tilting the pot without hanging the pot. In addition, the short and simple operation close to the one touch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casserole within a short time. Therefore, the soup contained in the casserole can be minimized from being scattered to the clothes of the consumer, and also the food and the soup can be eaten without leaving the food waste, and the foo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urned and the food can be eaten at a suitable temperature. You can enjoy it. In addition, it is very easy to clean because only the upper support can be cleaned by moving only the upper suppor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뚝배기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부 받침대의 일부는 설명의 편의 상 절개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뚝배기 받침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수평으로 유지된 뚝배기 받침대 위에 뚝배기가 수평으로 놓인 모양과 온도표시부를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 는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arthenwar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upper pedestals are shown in a cut stat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keeping the earthenwar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orizontal.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structure of a shape and a temperature display part in which the earthenware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earthenware holder which is horizontally maintained.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사각을 줄 수 있는 뚝배기 받침대는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 그리고 하부받침대 중앙에서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반구형 돌출부(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4, the earthenware bracket that can give an inclination ang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lower pedestal 10 and the upper pedestal 20, and a hemispherical protrusion 30 that serves as a rotating shaft in the center of the lower pedestal.

<하부 받침대><Bottom stand>

우선 하부받침대(10)를 보면, 하부받침대는 낮은 원기둥형의 구조물의 윗부분을 비스듬히 자른 모양의 구조로 만들어 진다. 바닥쪽 하부면은 원형으로서 수평면 상의 평면을 이루나, 윗쪽 상부평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볼때 좌측은 두껍고 우측은 얇은 두께를 취하면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기우러진 경사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대(10)의 경사진 상부평면의 중앙에는 반구형 돌출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반구형 돌출부는 하부받침대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별도의 공 모양으로 만들어져 상기 하부받침대(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반구형 홈에 끼워 넣어 유동 가능토록 해도 무방하다. First, when looking at the lower support 10, the lower support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ylindrical structure is cut obliquely.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is circular and forms a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but the upper top plane has a thick thickness on the left side and a thin side on the right side, and forms a slanted structure gradually going from left to right. In addition, a hemispherical protrusion 3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clined upper plane of the lower support 10.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support, or may be made into a separate ball shape and inserted into a hemispherical groov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pport 10 to allow flow.

또한 상부평면의 원둘레쪽에서 약간 안쪽으로는 4개의 작은 반구형 보조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후술하는 상부받침대(20)가 하부받침대(10)와 면접하는 것을 막고 다소 공간을 가지고 접하도록 하여 상부받침대의 외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보조돌기는 하부받침대(10)의 상부평면의 원둘레 보다 약간 안쪽 의 동심원 상에 존재하게 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보조돌기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동심원 상에 다수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레일처럼 설치하여도 좋다. In addition, four small hemispherical auxiliary protrusions 13 are formed slightly inward from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upper plane. This is to prevent the upper pedestal 2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interviewed with the lower pedestal 10 and to have a little space to make the abduction of the upper pedestal more easily. This auxiliary projection is present on the concentric circle slightly inward of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ne of the lower support 10, in this embodiment only four auxiliary projections, but may b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les, like a rail You may install it.

<상부 받침대><Upper pedestal>

상부받침대(20)는, 낮은 원기둥형 구조물의 아랫부분을 비스듬히 자른 구조로 만들어지며, 윗쪽 상부면의 중심부를 포함한 대부분은 수평면 상의 평면을 이루나, 원둘레의 끝부분 쪽으로는 원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받침대는 도면을 기준으로 볼때 우측은 두껍고 좌측은 얇은 두께를 취하고 있으며, 아랫쪽 하부평면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기우러진 경사 구조를 이루고 있다. The upper pedestal 20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cylindrical structure is cut obliquely, most of which includes the center of the upper upper surface is a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but the circumferential jaw 23 is formed toward the end of the circumference It is. The upper base has a thick right side and a thin side on the basis of the drawing, and the lower lower plane forms a slanted structure gradually going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또한 우측 끝부분의 두꺼운 측면부에는 세로 방향의 빗살 무늬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부받침대(20)의 회전시 손과의 접촉 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부받침대(20)의 경사진 하부평면의 중앙에는 역시 반원형 요홈(11)이 아래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받침대(20)의 원주턱(23)의 양측 단부는 필요시는 연장시켜 손잡이(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받침대(20)는 가열된 뚝배기를 올려도 연화되지 않도록 가볍고 열에 잘견디는 열경화성 소재로 만들어진다. In addition, the thick side portion of the right end portion is formed with a comb pattern latching jaw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to increase the contact strength with the hand when the upper support 20 rotates.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lower plane of the upper support 20 is also a semi-circular groove 11 is formed downward. Both ends of the circumferential jaw 23 of the upper pedestal 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handle 24 by extending as necessary. The upper pedestal 20 is made of a light and heat-resistant thermosetting material so as not to soften even if the heated casserole is raised.

도 5는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정위치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정위치로 결합되면, 하부받침 대(10)의 하부평면과 상부받침대(20)의 상부평면은 모두 수평면 상의 평행한 평면을 이룬다.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pedestal 10 and the upper pedestal 20 is coupled in place. When the lower support 10 and the upper support 20 are coupled in this way, the lower plane of the lower support 10 and the upper plane of the upper support 20 both form a parallel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도 6은 수평으로 유지된 뚝배기 받침대 위에 뚝배기가 수평으로 놓인 모양과 온도표시부를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정위치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뚝배기(1) 역시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상부받침대(20)의 원둘레 끝부분에 위치하는 원주턱(23)의 안쪽에 안착된다.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structure of a shape and a temperature display part of which the earthenware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earthenware holder which is horizontally maintained. As can be seen in Figure 6,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butt 10 and the upper butt 20 is coupled in place, the pot 1 is also kept horizontal, located at the end of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butt 20 It is seated inside the circumferential jaw 23.

상기 하부받침대(10)의 경사진 상부평면의 중앙에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30)는, 상부 받침대(20)의 경사진 하부평면의 중앙에 아랫쪽을 향하여 형성된 반원형 요홈을 매개로 하여,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가 결합되면 상부받침대(2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반구형의 회전축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구형 돌출부(30)의 제작 과정상으로는 하부 받침대(10)의 중앙에 반구형 홈을 파고, 상부 받침대(20)의 하부평면 중앙에 역시 동일한 크기의 반구형 홈을 판 후, 이에 맞는 크기의 공(球)을 만들어 하부 받침대 중앙에 유동가능토록 삽입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열전대 설치를 위하여 반구형 홈에 접착시킨다.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upper plane of the lower pedestal 10 is a lower pedestal 10 through a semicircular groove formed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lower plane of the upper pedestal 20. ) And the upper pedestal 20 are combined to perform a function as a hemispherical rotating shaft that can rotate the upper pedestal 20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0, a hemispherical groove is dug in the center of the lower pedestal 10, and a hemispherical groove of the same size is also sol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ne of the upper pedestal 20, and a ball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hereto To make it possible to flow in the center of the lower pedestal or to adhere to the hemispherical groove for the thermocouple installation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받침대(10)와 상부받침대(20)의 결합은 상기 반구형 돌출부(30) 만을 매개로 면접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는 면접 마찰이 커 다소 큰 힘으로 상부 받침대를 돌려야 만 회전이 가능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support 10 and the upper support 20 can be interviewed only through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0. In this case, however, the interview friction is large, and the rotation may be possible only when the upper pedestal is rotated with a rather large force.

따라서 본 발명은,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10)의 상부평면의 원둘레에서 약간 내측으로 적어도 4개 또는 그 이상의 보조돌기(13)가 작은 반구형으로 튀어 나오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상부 받침대(20)의 하부평면도 원둘레쪽에 가까운 부분과 중앙의 반구형 홈 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파내어, 원둘레쪽에 울타리형 원주턱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받침대(20)가 상기 하부 받침대(10)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부 받침대(20)의 회전을 면접하는 경우보다 더 용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ure 6, is formed so that at least four or more auxiliary projections 13 slightly inwardly i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lane of the lower pedestal 10 to protrude into a small hemispherical shape. In addition, the lower plane of the upper pedestal 20 also excavated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the portion near the circumference and the central hemispherical groove side, to form a fence-shaped circumferential jaw on the circumference. Therefore, when the upper pedestal 20 is coupled to the lower pedestal 10, a space is form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structure is easier than the case where the rotation of the upper pedestal 20 is interviewed. can do.

<온도표시부><Temperature display part>

상기 하부받침대(10)에는 온도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받침대(10)의 반구형 돌출부(30)의 중앙에는, 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받침대(10)의 하부로 연결 고정된, 열전대(40)가 설치된다. 이 열전대에는 열감지센서가 부착된다. 상기 열전대(40)는 이와 연결되어 전달받은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1)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41)는 하부받침대(10)내부에 구비된 배터리(42)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온도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뚝배기에 담기 음식물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The lower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display. In the center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0 of the lower support 10, a thermocouple 40 is fixed, penetrated vertically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10. This thermocouple is equipped with a heat sensor. The thermocouple 4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41 which displays the temperature received and connected thereto, and the display 41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battery 42 provided in the lower pedestal 10. Through the temperature displa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know the temperature of the food put in the earthenware in real time.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각을 줄 수 있는 뚝배기 받 침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a method of using the earthenware pot which can give an inclination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우선 초기의 식사 준비단계에서나 식탁에 음식을 나르는 과정까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대를 정위치(하부받침대의 하부평면과 상부받침대의 상부평면이 모두 평행한 수평을 이루는 위치)에 놓고 하부받침대(10)의 하부평면과 상부받침대(20)의 상부평면 모두가 수평면을 이룬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뚝배기를 받침대 위에 올려 놓으면 뚝배기 자체도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뚝배기는 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주턱(23)의 안쪽에 안착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First, in the initial meal preparation step or the process of carrying food to the table, as shown in FIG. 6,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the lower plane of the lower support and the upper plane of the upper support are parallel to each other. Place both the lower plane of the lower pedestal 10 and the upper plane of the upper pedestal 20 is to be used in a horizontal plane. Therefore, when the casserole is placed on the pedestal, the casserole itself is also maintained horizontally, and the casserole is maintained in a shape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23 formed to prevent its separ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뚝배기 받침대가 최대의 경사각을 이룬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최대 경사각이 유지된 뚝배기 받침대 위에 뚝배기가 경사지게 놓인 모양을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the casserol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maximum inclination angle, and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ape of the casserole being inclined on the casserole pedestal of which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is maintained.

수평 상태의 받침대 위에 음식이 담긴 뚝배기가 제공되고, 상기 뚝배기에 수용된 음식물의 많은 량을 섭취한 후 바닦에 깔린 잔여 음식물 및 국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부받침대(20)의 걸림턱(22) 또는 손잡이(24)을 손으로 잡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받침대에 경사각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그 받침대 바닥에 안착된 뚝배기도 아울러 받침대가 기울어진 만큼의 경사각을 이루게 된다. 상부 받침대(10)를 180도 회전시키면 도 7에서와 같 은 가장 급한 경사각을 만들 수 있고, 180도보다 적은 각도 또는 이를 넘어 360도 미만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180도 회전의 경우보다는 작은 경사각을 이루게 된다. When the casserole is provided with food on a horizontal pedestal, and the ingested food and broth laid on the floor after ingesting a large amount of food contained in the casserole, the user may be caught by the upper jaw ( 22) or holding the handle 24 by hand to rotate left or right to give an inclination angle to the pedestal as shown in Figure 7 or 8. Therefore, the casserole seated on the bottom of the pedestal also forms an inclination angle as much as the pedestal is inclined. Rotating the upper pedestal 10 by 180 degrees creates the most inclined angle as shown in FIG. 7, and rotating it at an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or less than 360 degrees to achieve a smaller inclination angle than in the case of 180 degrees rotation. do.

사용자는 잔여 음식물 및 국물을 섭취하는데 필요한 만큼의 경사각으로 뚝배기의 각도를 조절하여 본 발명의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받침대(20)가 아닌 하부받침대(10)의 걸림턱(12)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부받침대(20)와 하부받침대(10)을 동시에 회전시켜 받침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음식점과 같은 접객업소에서는 하부받침대(10)는 테이블에 고정시키고 상부받침대(20) 만을 이동 가능하게 운영함으로써,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부받침대 만을 이동시켜 세척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받침대를 세척할 수 있다.The user can use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casserole with the inclination angle necessary to consume the remaining food and broth. If necessar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edestal may be adjusted by rotating the locking step 12 of the lower support 10 instead of the upper support 20, or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upper support 20 and the lower support 10. However, in hospitality establishments such as restaurants, the lower pedestal 10 is fixed to a table, and only the upper pedestal 20 is movable to operate, so when the cleaning is necessary, the pedestal can be more conveniently washed by moving only the upper pedestal. .

상부 받침대(20) 위에 뚝배기를 올려 놓으면 열전대(4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스위치 온(switch on) 상태가 되고, 온도표시부가 작동하기 시작한다. 뚝배기를 올리지 않은 상태로 되면 다시 오프(off)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하부받침대(10)의 측면에 설치된 온도 디스플레이로 음식물의 실시간 온도를 관찰하면서 식사에 임할 수 있다. 너무 뜨거운 온도대에서는 음식물의 섭취를 중지하고 기다리고, 본인이 선호하는 적당한 온도가 되면 음식물의 섭취를 시작할 수 있다. 어린이나 유아가 있는 경우는 평소에 익숙한 온도까지 식힌 후 취식할 수도 있고, 이러한 온도를 모르는 경우는 본 발명의 온도표시 받침대 사용을 거듭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온도를 점차 파악 선택하게 된다. When the earthenware is placed on the upper pedestal 20, the thermocouple 40 moves downward, and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starts to operate. When the casserole is not raised, it is turned off again. The user may come to the meal while observing the real-time temperature of the food with the temperature displa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 10. If it's too hot, you can stop eating and wait, and you can start eating when it's at your preferred temperature. In the case of children or infants, it may be eaten after cooling to a temperature that is familiar to the usual, and in the case of not knowing such a temperature, the use of the temperature display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eatedly used to grasp and select a temperature suitable for oneself.

도 1은 바닥이 평면인 뚝배기에서 수저로 바닥의 음식을 뜨는 경우의 개략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loating the bottom of the food with a cutlery in the earthenware flat bottom.

도 2는 바닥을 경사지게 만든 뚝배기의 부분 절개 단면도이다.2 is a partial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earthenware pot which inclined the floor.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뚝배기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earthenware pot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의 뚝배기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arthenwar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뚝배기 받침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keeping the earthenware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orizontal.

도 6은 수평으로 유지된 뚝배기 받침대 위에 뚝배기가 수평으로 놓인 모양과 온도표시부를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structure of a shape and a temperature display part of which the earthenware is placed horizontally on the earthenware holder which is horizontally maintained.

도 7는 본 발명의 뚝배기 받침대를 경사지게 유지시킨 모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maintaining the inclined casserol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경사지게 유지된 뚝배기 받침대 위에 뚝배기가 경사지게 놓인 모양을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the earthenware is inclined on the earthenware holder that is inclined.

Claims (3)

뚝배기 등 식기를 올려놓는 받침대에 있어서,In the base where utensils are put, such as a casserole, 낮은 원기둥의 윗부분을 비스듬히 자른 구조로 만들어 져, 바닥쪽 하부면은 수평면 상의 원형의 평면이고, 윗쪽 상부평면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기우러진 경사 구조를 이루고 있고, 경사진 상부평면의 중앙에는 반구형 돌출부(30)가 형성된 하부받침대(10)와;The upper part of the lower cylinder is cut out at an angle, and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is a circular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upper top plane forms a slanted structure gradually going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in the center of the inclined top plane A lower support 10 having a hemispherical protrusion 30 formed thereon; 낮은 원기둥의 아랫부분을 비스듬히 자른 구조로 만들어 져, 윗쪽 상부면은 수평면 상의 원형의 평면을 이루되, 동 원형의 평면의 원둘레쪽 끝부분에는 울타리형 원주턱(23)이 형성되고, 경사진 하부평면의 중앙에는 아랫쪽을 향하여 반원형 요홈이 형성된 상부 받침대(20)와;The lower part of the lower cylinder is made of an obliquely cut structure, the upper upper surface forms a circular plane on the horizontal plane,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circumferential end of the circular cylindrical fence 23 is formed, the inclined lower portion An upper pedestal 20 in which a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ne toward the bottom; 상기 하부받침대(10)의 반구형 돌출부(30)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하부받침대(10)의 하부로 고정된 열감지센서가 부착된 열전대(40)와, 상기 열전대(40)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대(40)에서 전달받은 온도를 표시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41)와, 상기 디스플레이(4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하부받침대(10)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42)로 구성된 온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A thermocouple 40 having a heat sensing sensor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edestal 10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hemispherical protrusion 30 of the lower pedestal 10 is connected to the thermocouple 40. And a display 41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 10 so as to display a temperature received from the thermocouple 40 and provided inside the lower support 10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41. Temperature display earthenware pedestal can give an inclination ang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mperature display unit consisting of a battery 4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뚝배기 받침대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arthenware cradle, 상기 하부 받침대(10)의 상부평면의 원둘레 내측으로 적어도 4개의 보조돌기(13)가 형성되고;At least four auxiliary projections (13) are formed in a circumference of an upper plane of the lower pedestal (10); 상기 상부 받침대(20)의 원주턱(23)의 양측 단부는 연장되어 손잡이(24)를 더 구비하고, 경사진 하부평면의 원둘레쪽 끝부분에는 아랫쪽을 향하여 울타리형 원주턱이 더 형성되며, 중앙에는 아랫쪽을 향하여 반원형 요홈이 형성되어,Both end portions of the circumferential jaw 23 of the upper pedestal 20 is further extended to further include a handle 24, and a fenced circumferential jaw is further formed at the circumferential end portion of the inclined lower plane toward the bottom, and the center There is a semi-circular groove is formed toward the bottom, 상기 상부 받침대(20)가 상기 하부 받침대(10)와 결합되는 경우 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부 받침대의 회전을 더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When the upper pedestal 20 is coupled to the lower pedestal 10, a space portion is formed therebetween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pedestal, the temperature display casserole pedestal, which can give an inclination ang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받침대(20)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stand 20, 외곽 원주면 일측에 상부받침대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걸림턱(22)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각을 줄 수 있는 온도표시 뚝배기 받침대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e side of the upper jaw 22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upper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angle can give the temperature display pot
KR1020080110767A 2008-11-10 2008-11-10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KR1010635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67A KR101063553B1 (en) 2008-11-10 2008-11-10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67A KR101063553B1 (en) 2008-11-10 2008-11-10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43A KR20100051943A (en) 2010-05-19
KR101063553B1 true KR101063553B1 (en) 2011-09-08

Family

ID=4227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767A KR101063553B1 (en) 2008-11-10 2008-11-10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5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91A (en) * 2016-12-02 2018-06-12 안유정 Rotatable food vessel suppor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32Y1 (en) 2003-10-25 2004-01-16 이세미나 Angle-controlled supporter
KR200357834Y1 (en) 2004-05-12 2004-07-31 이정호 Earthen bowl
JP2006061244A (en) 2004-08-25 2006-03-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Warning device of temperature retainer bo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632Y1 (en) 2003-10-25 2004-01-16 이세미나 Angle-controlled supporter
KR200357834Y1 (en) 2004-05-12 2004-07-31 이정호 Earthen bowl
JP2006061244A (en) 2004-08-25 2006-03-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Warning device of temperature retainer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91A (en) * 2016-12-02 2018-06-12 안유정 Rotatable food vessel sup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943A (en)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2549B (en) Utensil for preparing food
US6927366B2 (en) Cooking apparatus
US6186055B1 (en) Turntable cooking and serving appliance
CN201404048Y (en) Cooking utensil for heating food
KR101063553B1 (en) Temperature display for giving a tilt angle
US5290997A (en) Rotary electric stove for heating and warming food at a table
KR200338632Y1 (en) Angle-controlled supporter
US20070175886A1 (en) Slow cooker
CN105852412A (en) Rolling rotary isolated electricity conducting device for dining table
KR101191082B1 (en) Functional ttukbaegi prop
US20140096687A1 (en) Apparatus with mixing bowl, base, and magnetic means
US11559168B2 (en) Bread toaster accessory for melting cold solid spreads
US9468324B1 (en) Space saving plate with an integrated napkin dispenser
CN202665310U (en) Electrically heated water heat preservation combined dinner plate
KR100819091B1 (en) Table having a rotating plate
JP3577700B2 (en) Cooking warmth tray
CN212972586U (en) Cup set
KR100843192B1 (en) Heating support for food dishes
KR101537546B1 (en) Saucepan support having spoon support
KR20160126504A (en) Functional dish with heat insulation function
US20240023210A1 (en) Auto Heat Lamp
CN206586611U (en) A kind of dining table
US20170099985A1 (en) Insulating Implement for cooking use
KR20100068674A (en) Earthenware bowl prop that slant changes according to slope angle
KR200287800Y1 (en) multi funtional tea u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