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219B1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219B1
KR101062219B1 KR1020050015579A KR20050015579A KR101062219B1 KR 101062219 B1 KR101062219 B1 KR 101062219B1 KR 1020050015579 A KR1020050015579 A KR 1020050015579A KR 20050015579 A KR20050015579 A KR 20050015579A KR 101062219 B1 KR101062219 B1 KR 10106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etwork
layer
link lay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430A (ko
Inventor
이군석
정종훈
이상균
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5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2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집안 또는 집밖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 설치된 RS-485 네트워크, 소출력 RF 네트워크, 그리고 전력선(Power Line) 네트워크 등과 같은 리빙 네트워크(Living Network)를 통해, 냉장고 또는 세탁기와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들을 동작 제어하거나, 또는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격 제어 및 감시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리빙 네트워크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전송 매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패킷을 한 바이트씩 송수신함으로써, 리빙 네트워크의 계층간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Figure R1020050015579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 LnCP 네트워크, LnCP 계층 구조, 프리미티브,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패킷, 전송 매체

Description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data receive and transmit in data link lay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스터-슬레이브 기반 통신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LnCP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통신 싸이클 서비스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nCP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과 매개 변수 관리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리미티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층간 인터페이스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비동기 송수신(URAT) 프레임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리미티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리미티브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 프레임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p-DCSMA 알고리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송 우선 순위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LnCP 인터넷 서버 200 : 통신 단말기
300 : 인터넷 400 :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
40 : 홈 게이트웨이 41 : 네트워크 매니저
42 : LnCP 라우터 43 : LnCP 어댑터
44 : 가전기기
본 발명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집안 또는 집밖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리빙 네트워크(Living Network)에 연결 접속된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을 효율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 포함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란, 사용자가 집안 또는 집밖에서 언제든지 편리하고 안전하게 경제적인 생활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가전기기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가전기기들이 점차 디지털 화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가전기기 용 운영체제(Operation System) 기술과 고속 멀티 미디어(Multi-Media) 통신 기술 등이 디지털 가전기기에 접목됨과 아울러, 새로운 형태의 정보 가전기기들이 등장함에 따라 홈 네트워크가 더욱 발전하고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PC)와 주변 기기들간에 파일 교환이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축되는 네트워크와, 오디오(Audio)나 비디오(Video) 정보를 다루는 가전기기들간의 네트워크, 그리고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 기기와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원격 검침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의 제어를 위하여 구축되는 네트워크 등을 포괄적인 의미에서 리빙 네트워크(Living Network)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리빙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가전기기, 예를 들어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Remote Control) 또는 동작 상태의 모니터링(Monitoring) 등을 위한 소규모의 데이터 전송을 주요 통신 목적으로 하는 리빙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최소한의 통신 자원을 이용함과 아울러, 리빙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매니저(Network Manager)를 중심으로 하여, 각각 연결 접속된 가전기기들을 직접 컨트롤해야만 하는 데, 이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아, 그 해결 방안 마련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집안 또는 집밖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리빙 네트워크(Living Network)에 연결 접속된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들을, 최소한의 통신 자원만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리빙 네트워크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방법은, 리빙 네트워크의 물리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한 바이트 씩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1단계; 상기 한 바이트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추가적인 바이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데이터 수신 완료로 판단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불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2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송한 후,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은, 리빙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전송 매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전송 매체가 소정 시간 동안 사용 중이지 않으면,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나서, 한 바이트를 송신한 후 송신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2단계; 및 상기 송신 성공이 확인되면, 그에 상응하는 값을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서의 계층간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새롭게 정의하는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프로토콜(LnCP: 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이 적용되는 LnCP 인터넷 서버(100)와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4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300)을 통해 연결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LnCP 인터넷 서버(100)에서는, 개인용 컴퓨터(PC), 피디에이(PDA), 피씨에스(PCS)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200)와의 인터페이스 동작을 수행하게된다.
한편, 상기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400)에는,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40), 네트워크 매니저(Network Manger)(41), LnCP 라우터(Router)(42), LnCP 어댑터(Adaptor)(43), 그리고 가전기기(Appliance)(44)들이 포함 구성되며, 상기 구성 수단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RS-485 네트워크 또는 소출력 RF 네트워크와 같은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이 비 규격화된 전송매체(Non-Standard Transmission Medium)를 이용하거나, 전력선(Power Line) 통신 또는 IEEE 802.11, ZigBee(IEEE 802.15.4)와 같은 데이터 링크 계층이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이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400)은, 예를 들어 'LnCP 네트워크'라고 일컬어질 수 있는 데, 상기 LnCP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립된 가정 내에서 리빙 네트워크 범주에 속하는 가전기기(Applian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전송 매체로 연결하는 독립형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LnCP 네트워크에는, 다른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동 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의 요구에 응답하는 기능과 자신의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기능을 갖는 슬레이브 디바이스(Slave Device)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LnCP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들(44)의 환경 설정과 관리 기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매니저(41)에서 담당하게 되는 데, 상기 가전기기들(44)은,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LnCP 어댑터(43)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LnCP 네트워크 내의 RS-485 네트워크, RF 네트워크, 그리고 전력선 네트워크 등은, 상기 LnCP 라우터(42)를 통해 연결 접속된다.
또한, 상기 LnCP 네트워크는, 외부 인터넷(300)과의 연결을 통해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 설치된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이를 위한 LnCP 네트워크와 외부 인터넷간의 연결 기능은, 상기 홈 게이트웨이(40)가 담당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는 외부에서 LnCP 인터넷 서버(100)에 접근하여 인증 과정을 거치게 되면, 자신이 LnCP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또는 제어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LnCP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에서 홈 게이트웨이(40)를 통해 LnCP 인터넷 서버(100)에 접속한 후, 그 LnCP 인터넷 서버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는 데, 이를 위한 LnCP 네트워크의 주요 특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디지털 정보 가전기기들은, 제각기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성능의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를 가지고 있는 데, 본 발명에 따른 LnCP 네트워크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성능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동작 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단순화함으로써, 가전기기에 탑재된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낮은 성능의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가전기기 고유의 기능들을 수행하면서도 LnCP 통신 기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높은 성능의 마이크로 컨트롤 컨트롤러는 멀티태스킹(Multi Tasking) 기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LnCP 네트워크의 주요 특징은, 마스터-슬레이브 기반 통신 구조, 이벤트 기반 통신 지원, 복수의 네트워크 매니저 지원, 4 계층 구조, 통신 싸이클 서비스, 융통성있는 번지 관리, 가변 길이의 패킷 통신, 그리고 표준 메시지 셋 제공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기반 통신 구조는,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 가전기기들간의 연결 통신 구조로 사용되는 것으로, 최소한 하나 이상의 마스터 디바이스가 있어야 하며,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는, 제어하려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 및 제어코드들 가지고 있어야 하는 데, 이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서는, 이미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르거나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다른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간의 메시지 흐름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에서 슬레이브로 요청(Request) 메시지를 보내면, 슬레이브에서 이에 대한 응답(Response) 메시지를 마스터로 보내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되며, 상기 LnCP 네트워크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마스터와 다중 슬레이브(Multi-Master and Multi-Slave) 기반 통신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는, 이벤트 기반(Event-driven)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전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가전기기에서는, 임의의 동작을 수행하던 도중, 사용자가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그 이벤트 발생 사실 또는 내용을 다른 가전기기로 통보하거나 또는 그 이벤트에 상응하여, 다른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LnCP 네트워크에는, 가전기기들의 환경 설정 및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네트워크 매니저가 포함 구성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네트워크 매니저를 지원할 수 있는 데, 이 경우 복수의 네트워크 매니저의 오류에 대비하기 위하여, 가전기기들의 관리정보가 동기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그리고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의 4 계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는, 통신 싸이클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데,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는, 주어진 시점에 하나만의 통신 싸이클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서 통신 싸이클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어떠한 마스터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제어를 받을 수 없으나,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서는 주어진 시점에 복수 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을 위한 복수개의 통신 싸이클이 수행될 수 있는 데, 이러한 통신 싸이클은, {1-Request, 1-Response}, {1-Request, Multi-Response}, {1-Notification}, {Repeated-Notification}의 네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1-Request, 1-Response} 통신 싸이클은, 하나의 마스터가 하나의 슬레이브에 하나의 요청 패킷(Request Packet)을 송신하고, 슬레이브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하나의 응답 패킷(Response Packet)을 전달하는 통신 싸이클로서, 만약 수신된 패킷에서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에서는 재 요구 패킷(Re-Request)을 송신하고, 슬레이브는, 그에 대한 응답 패킷(Response Packet)을 다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1-Request, Multi-Response} 통신 싸이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마스터가 다수의 슬레이브들에게 그룹 번지를 가진 하나의 요청 패킷을 송신하고, 각 슬레이브들은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송신하게 되는 데, 상기 마스터는, 허용된 최대 수신 시간이 지나면, 싸이클을 종료하게 되며, 이때 마스터는 슬레이브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Notification} 통신 싸이클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터 디바이스가, 하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하나의 통지(Notification) 패킷을 송신한 다음 즉시 통신을 종료하는 싸이클이고, 상기 {Repeated-Notification} 통신 싸이클은, {1-Notification} 통신 싸이클에서의 전송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동일한 패킷을 반복 전송하고 나서 통신을 종료하는 싸이클이다.
한편, 상기 PnCP 네트워크에서는, 융통성있는 번지 관리를 지원하는 데, 예를 들어 LnCP 기능이 구비된 가전기기들은, 공장 출하 시에 기기 종류별로 번지가 할당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동일한 종류의 가전기기들은, 동일한 번지로 초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매니저는, 가전기기가 연결될 때 유일한 고유의 번지를 할당하는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는, 동일한 종류에 속하는 가전기기들에 고유의 그룹 번지를 지정함으로써, 하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그룹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가전기기들을 클러스터(Cluster)로 분류하고, 각 클러스터에 그룹 번지를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PnCP 네트워크에서는, 가변 길이의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데, 예를 들어, 가전기기의 조작에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콘텐츠를 다운로드하거나, 가전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에는, 상호 교환된 가전기기의 버퍼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의 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는, 표준 메시지 셋을 제공하는 데,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다른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응용 계층에서 각종 가전기기에 적합한 표준 메시지 셋을 정의함과 아울러, 상기 메시지 셋은 기본적인 LnCP 통신을 위한 공통 기능 영역 메시지 셋(Common Area Message Set), 가전기기의 고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제품 응용 영역 메시지 셋(Application Area Message Set), 그리고 제조회사의 고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자 영역 메시지 셋(Developer Area Message Set)으로 나누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메시지 셋은 필요에 따라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에 정의된 메시지에 인자를 추가시킬 수도 있는 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LnCP 네트워크에서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계층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nCP 프로토콜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LnCP 네트워크에서는, 냉장고 또는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들의 동작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하여,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그리고 응용 계층의 4 계층 구조를 갖는 다.
한편, 상기 물리 계층(Physical Layer)은, 디바이스간의 물리적 인터페이스와, 전송할 비트와 같은 물리적인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상기 물리 계층으로는, RS-485와 소출력 RF 등과 같은 데이터 링크 계층이 비 규격화된 전송 매체와, 전력선 통신이나 이더넷, IEEE 802.11, ZigBee와 같은 규격화된 유무선 전송매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물리 계층을 LnCP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은, 공유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기 위한 매체 접근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이 비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토콜로서 p-DCSMA(probabilistic Delaye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상기 p-DCSMA는, 전송 매체가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여, 사용 중이면 전송을 유보하고, 사용 중이지 않으면 전송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여 전송 매체를 각 디바이스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nCP 프로토콜의 매체 접속 제어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이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매체 접근 제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코드 제어 부속 계층(Home Code Control Sublayer)은, LnCP 네트워크가 전력선 통신이나 IEEE 802.11, ZigBee, 소출력 RF와 같은 비 독립형 전송 매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때, 개별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구분하기 위한 홈 코드(Home Code)의 설정, 관리 및 처리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상기 홈 코드 제어 부속 계층은 RS-485와 같은 독립형 전송 매체에 의하여 개별 네트워크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구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은, 디바이스간의 신뢰성있는 네트워크 연결을 위하여, 가전기기의 번지 관리, 송수신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은, 응용 소프트웨어의 서비스를 수행시키기 위하여, 송수신 제어 기능을 제공함과 아울러, 다운로드 및 업로드 서비스를 위한 흐름 제어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용 계층은 네트워크 관리나 가전기기의 제어 및 모니터링을 위 하여 메시지 셋(Message Set)을 정의하며,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는, 가전기기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며, 응용 계층에서 정의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응용 계층과의 데이터 교환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Network Management Sublayer)은, 매개 변수(Node Parameters)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관리 기능과 네트워크 구성 및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게 되며, 매개 변수 관리 계층(Parameter Management Layer)은,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의 요구에 따라 각 계층에서 사용되는 매개 변수들을 설정하거나 읽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리미티브(Primitive)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에서 매개 변수 관리 계층으로 매개 변수의 값을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structure SetPar)와, 매개 변수 관리 계층에서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으로 매개 변수의 값을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structure GetPar)가 있다.
한편, 상기 매개 변수 관리 계층으로 매개 변수의 값을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structure SetPar)에는, 매개 변수 값을 전달하려는 계층을 나타내는 'uchar DestLayer'와, 계층별 매개 변수로 DestLayer 값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structure SetLayerPar'가 기록되는 데, 상기 DestLayer는, 매개 변수 값을 전달하려는 계층이, 응용 계층인 경우, '1', 네트워크 계층인 경우 '2', 데이터 링크 계층인 경우 '3', 물리 계층인 경우 '4'가 된다.
그리고, 상기 SetLayerPar는, 응용 계층인 경우, 'SetALPar', 네트워크 계층 인 경우 'SetNLPar', 데이터 링크 계층인 경우 'SetDLLPar', 물리 계층인 경우 'SetPHYPar'가 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으로 매개 변수의 값을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structure GetPar)에는, 매개 변수 값을 전송한 계층을 나타내는 'uchar SreLayer'와, 각 계층으로부터 매개 변수 값을 성공적으로 취했는 지를 나타내는 'uchar PMLResult', 그리고 계층별 매개 변수로 SrcLayer 값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structure GetLayerPar'가 기록되는 데, 상기 SrcLayer는, 매개 변수 값을 전송한 계층이, 응용 계층인 경우, '1', 네트워크 계층인 경우 '2', 데이터 링크 계층인 경우 '3', 물리 계층인 경우 '4'가 된다.
그리고, 상기 PMLResult는, 각 계층으로부터 매개 변수 값을 성공적으로 취한 경우, PAR_OK(1), 성공적으로 취하지 못한 경우, PAR_FAILD(0)이 되고, 상기 GetLayerPar는, 응용 계층인 경우, 'RptALPar', 네트워크 계층인 경우 'RptNLPar', 데이터 링크 계층인 경우 'RptDLLPar', 물리 계층인 경우 'RptPHYPar'가 된다.
한편, 매개 변수 관리 계층에서 사용하는 매개 변수는 'const unit ParTimeOut'가 있는 데, 이는 각 계층으로 GetALPar(또는 GetNLPar, GetDLLPar, GetPHYPar) 전달 후 RptALPar(또는 RptNLPar, RptDLLPar, RptPHYPar) 수신을 위하여 대기하는 시간(ms)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매개 변수 관리 계층은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으로부터 SetPar 프리미티브를 전달받으면, 프리미티브에 명시된 계층으로 SetALPar, SetNLPar, SetDLLPar 또는 SetPHYPar 프리미티브를 전달하며, 각 계층에서는 전달 받은 프리미티브에서 모든 비트 값이 '1'인 변수는 무시하게 된다(예: 0xFF, 0xFFFF).
또한, 상기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으로부터 GetPar 프리미티브를 전달받으면, 프리미티브에 명시된 계층으로 GetALPar, GetNLPar, GetDLLPar, GetPHYPar를 전달하게 되며, 각 계층으로부터 RptALPar, RptNLPar, RptDLLPar 또는 RptPHYPar를 수신하면, GetPar 프리미티브를 포함하고, PARResult 값을 PAR_OK로 하여 네트어크 관리 부속 계층으로 전달하는 데, 만일 ParTimeOut 시간 이내에 각 계층으로부터 프리미티브를 전달받지 못하면, PARResult 값을 PAR_FAILD로 하여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은, 개별 디바이스에서 매개 변수(Node Parameter)를 설정하기 위한 매개 변수 관리 기능과 네트워크의 구성, 환경 설정, 그리고 네트워크의 동작 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되는 데, 만일 응용 소프트웨어 및 마스터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때 매개 변수 관리 계층을 통하여 해당되는 계층에 다음과 같은 매개 변수의 값을 설정하거나 읽게 된다.
예를 들어, 응용 계층의 경우, AddressResult, NP_Alivelnt, SvcTimeOut, NP_BufferSize, 네트워크 계층의 경우, NP_LogicalAddress, NP_ClusterCode, NP_HomeCode, SendRetries, 데이터 링크 계층의 경우, MinPktInterval, 물리 계층의 경우, NP_bps의 매개 변수 값을 설정하거나 읽게 된다.
특히,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은 응용 계층으로부터 '디바이스 노드 매개 변수 설정 서비스' 또는 '디바이스 노드 매개 변수 취득 서비스'에 속한 응용 서비스를 포함하는 UserReqRcv 프리미티브를 전달받으면, 매개 변수 관리 계층을 통하여 해당되는 계층에 매개 변수의 값을 설정하거나 읽고, 그 결과를 UserResSend 프리미티브를 통하여 응용 계층에 전달하게 되는 데, 계층별 매개 변수 관리를 위한 응용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응용 계층의 경우, SetOption 서비스, SetAliveTiem 서비스, SetClock 서비스, GetBufferSize 서비스, 네트워크 계층의 경우, SetTempAddress 서비스, SetAddress 서비스, GetAddress 서비스, 데이터 링크 계층의 경우, 해당 서비스 없으며, 물리 계층의 경우, SetSpeed 서비스가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 관리 부속 계층은, LnCP 네트워크의 구성, 환경 설정 그리고 네트워크의 동작 관리와 같은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데, 일반적인 네트워크 관리 기능은, 마스터의 응용 계층 위에서 동작하고, 복수의 네트워크 관리 기간에 네트워크 정보의 동기화 기능 중에 일부는 슬레이브의 응용 계층 위에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용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는, 슬레이브의 응용 계층과의 인터페이스와 슬레이브의 응용 계층과의 인터페이스가 있는 데, 상기 슬레이브의 응용 계층과의 인터페이스에는, UserReqRcv와 UserResSend 프리미티브가 이용되고, 상기 마스터의 응용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는, UserReq, UserDLReq, UserULReq. UserRes, UserEventRcv, 그리고 ALCompleted 프리미티브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서의 계층간 인터페이 스 방법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PDU: Protocol Data Unit)에 각 계층에서 요구되는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 정보를 합쳐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APDU(Application layer PDU)는, 응용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간에 전달되는 패킷으로서, APDU 헤더와 메시지로 구성되고, NPDU(Network layer PDU)는, 네트워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또는 홈 코드 부속 계층 간에 전달되는 패킷으로서, APDU와 자신의 번지, 목적지 가전기기의 번지, 그리고 전송할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른 패킷의 종류 등과 같은 NPDU 헤더, NPDU 트레일러, APDU로 구성된다.
그리고, HCNPDU(Home Code Control Sublayer PDU)는, 네트워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에 전달되는 패킷으로서, NPDU와 홈 코드로 구성되는 데, LnCP 네트워크의 물리 계층에서는, 디바이스와 LnCP 어댑터 또는 LnCP 라우터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and Transmitter)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위 계층에서 보내오는 패킷을, 10 비트 크기의 UART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하고, LnCP 네트워크에서 UART 프레임은 1 비트의 시작 비트(Start Bit), 8 비트의 데이터, 그리고 1 비트의 정지 비트(Stop Bit)로 구성되며, 패리티 비트(Parity Bit)는 사용하지 않고, UART 프레임은, 시작 비트부터 정지 비트까지 차례대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LnCP 네트워크에서 UART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프레임 헤더와 프레임 트레일러를 사용하지 않으며, 통신 속도는 9600bps를 사용하거나, 또는 디바이스의 성능에 따라 4800bps 또는 19200bps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간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리미티브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물리 계층으로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 'FrameSend'와, 물리 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1 바이트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 'FrameRcv', 그리고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달되는 선로 상태의 프리미티브 'RptLineStatus'가 있으며, 선로에 UART 프레임이 존재하면 LINE_BSY를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LINE_IDLE을 전달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간에 인터페이스를 위한 프리미티브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 'PktSend'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으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한 프리미티브 'PktRcv', 그리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으로 패킷 전송 결과를 알리기 위한 프리미티브 'DLLCompleted'가 있다.
그리고, 상기 PktSend에는, 네트워크 계층의 패킷(NPDU/HCNPDU)과, NPDU/ HCNPDU의 바이트 데이터 길이, 그리고 전송 우선 순위(SvcPriority)가 기록되고, 상기 PktRcv에는, 네트워크 계층의 패킷(PDU)과, PDU의 바이트 데이터 길이(PDULength)가 기록되며, 상기 DLLCompleted에는, 패킷 전송 결과(DLLResult)로서 패킷 전송 과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SEND_OK(1), 그렇지 않으면 SEND_FAILED(0)기록되고, DLLResult가 SEND_FAILED(0)인 경우에 실패 원인을 분류한 값 (DLLFailCode)이 기록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링크 프레임 구조는, NPDU/HCNPDU에 프레임 헤더(Frame Header)와 프레임 테일러(Frame Trailer)가 추가 구성되는 데, 데이터 링크 계층이 비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프레임 헤더 및 트레일러에는 널(Null) 필드가 기록되고,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토콜에서 규정된 사항을 따르며, NPDU 필드는, 상위 네트워크 계층에서 전달된 데이터 단위이다.
그리고, HCNPDU는 물리 계층이 비 독립형 전송 매체인 경우에 사용되는 홈 코드가 NPDU 앞부분에 추가된 데이터 단위이고, 데이터 링크 계층은 NPDU와 HCNPDU를 구분하여 처리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이 비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 가능 상태라면, 물리 계층으로부터 FrameRcv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한 바이트 씩 수신하게 되며, 한 바이트가 수신될 때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버퍼 내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바이트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이내, 예를 들어 FrameTimeOut 동안 추가적인 바이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패킷 수신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데, 이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물리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데 이터 크기와 데이터의 오류 여부는 판단하지 않는다.
한편, 데이터 패킷 수신이 완료되면, MinPktInterval 동안,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불가능 상태로 제어 및 유지한 후, NPDU를 구성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하게 되는 데, 수신 불가능 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응용 계층에서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안 물리 계층으로부터 새로운 바이트가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후 사전에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MinPktInterval이 지나면, 데이터 링크 계층은,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
도 16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나타낸 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려는 디바이스는,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달되는 선로 상태의 프리미티브인 RptLineStatus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전송 매체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는 데(S10), 예를 들어 전송 매체가 현재 사용 중이지 않으면(예: LineStatus=LINE_IDLE), 디바이스는, MinPktInterval 동안 지속적으로 전송 매체의 상태를 확인하게 되고, 만약 전송 매체가 사용 중인 것으로 감지되면(예: LineStatus=LINE_BUSY), 전송 매체의 상태 확인 절차를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MinPktInterval 동안 전송 매체가 사용 중이지 않으면(S11), NPDU/HCNPDU에 포함된 패킷의 우선 순위(SvcPriority)에 따라 경쟁 윈도우(Wc)의 크기를 결정하고, Wc의 범위 내에서 균일한 분포로 RandomDelayTime 값을 생성하며(S12), 그 RandomDelayTime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전송 매체의 상태를 확인한다(S13).
한편, 상기 RandomDelayTime 시간 동안 전송 매체가 사용 중이지 않으면 (S14), 패킷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나서 패킷을 전송하고(S15), 한 바이트를 전송할 때마다 송신된 바이트와 수신된 바이트를 비교하여 송신 성공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 데(S16), 예를 들어 패킷 전송에 성공하면, 네트워크 계층으로 SEND_OK를 포함하는 DLLCompleted 프리미티브를 전달하게 된다(S17).
반면, 송신된 바이트와 수신된 바이트의 두 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충돌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p-DCSMA 알고리즘을 재 시도하게 되는 데, p-DCSMA 알고리즘은, 누적 카운트되는 재 시도 카운트 회수가 BackOffRetries 보다 적으면서(S18), MACExecTime 동안에 한하여 재 시도된다.
그리고, p-DCSMA 알고리즘이 재 시도되는 경우, Wc의 상한은 SvcPriority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어 있는 WindowShift(예: 0,1,2,6) 만큼 증가하는 데, 만일 재 시도 카운트 회수가 BackOffRetries 이상이 되거나(S18), 또는 MACExecTime 시간 이내에 패킷 전송이 성공하지 못하게 되면(S19), 네트워크 계층으로 SEND_FAILED를 포함하는 DLLCompleted 프리미티브를 전달하게 된다(S20).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p-DCSMA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A가 패킷을 전송하고 있는 도중에 전송 준비가 되어 있는 디바이스 B,C,D는 전송 매체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까지 기다리게 되고, 상기 디바이스 A의 패킷 전송이 완료되면, 디바이스 B,C,D는 MinPktInterval 동안을 기다리고 나서 SvcPriority에 따라 정의되어 있는 RandomDelayTime을 발생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C가 가장 작은 RandomDelayTime을 발생시켰다면, 디바 이스 C는 패킷을 전송하고 디바이스 B와 D는 전송매체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까지 기다리며, 디바이스 C의 패킷 전송이 완료되면, 디바이스 B와 D가 p-DCSMA를 수행하고 나서, 경쟁에서 이긴 디바이스 D가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p-DCSMA에서 패킷이 전송될 확률은, 경쟁 윈도우의 크기(Wc)에 따라 결정되며, Wc는 전송 우선 순위(SvcPriority)가 높을수록 전송 확률이 높아야 하고, 패킷 생성 시간이 빠를수록 전송 확률이 높아야 하는 데, 상기 Wc를 정하기 위한 전송 우선 순위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또는 비슷한 시간에 전송하려는 메시지들의 중요도를 가전 제품 사용자의 관점에서 평가된 값이며, 또한 높은(낮은) 우선 순위 값은 패킷이 전송되기 위한 대기 시간이 절대적으로 짧은(긴)것이 아니라 확률적으로 짧다(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Wc는 NPDU/HCNPDU에 포함되어 있는 SvcPriority에 따라,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는 데, 높음(High) 우선 순위를 갖는 패킷은 중상 이하의 우선 순위를 갖는 패킷에 비하여 항상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중상(Medium High) 또는 중하(Medium Low) 우선 순위를 갖는 패킷은 낮음(Low) 우선 순위를 갖는 패킷에 비하여 항상 전송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또한, 발생 시간이 빠른 패킷의 전송 확률을 높이기 위하여, p-DCSMA 알고리즘에서는, 재 시도될 때마다 각 우선 순위에 대한 Wc의 상한을 각각 사전에 설정된 WindowShift 만큼 증가시키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 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빙 네트워크에는, 보다 다양한 가전기기들이 연결 접속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은, 예를 들어 집안 또는 집밖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가정 내에 설치된 RS-485 네트워크, 소출력 RF 네트워크, 그리고 전력선(Power Line) 네트워크 등과 같은 리빙 네트워크(Living Network)를 통해, 냉장고 또는 세탁기와 같은 다양한 가전기기들을 동작 제어하거나, 또는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격 제어 및 감시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리빙 네트워크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물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간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전송 매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데이터 패킷을 한 바이트씩 송수신함으로써, 리빙 네트워크의 계층간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3)

  1. 리빙 네트워크의 물리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한 바이트 씩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1단계;
    상기 한 바이트가 수신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동안 추가적인 바이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데이터 수신 완료로 판단하여,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불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2단계; 및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송한 후,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물리 계층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을, 프레임 수신(FrameRcv)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한 바이트 씩 수신하여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한 바이트가 수신된 시점부터, 사전에 설정된 프레임 타임아웃(FrameTimeOut) 시간동안 추가적인 바이트가 수신되지 않으면, 데이터 패킷이 수신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임시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니트(NPDU)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송한 후, 최소 패킷 간격(MinPktInterval)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 제어방법.
  5. 리빙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전송 매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1단계;
    상기 전송 매체가 소정 시간 동안 사용 중이지 않으면,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나서, 한 바이트를 송신한 후 송신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2단계; 및
    상기 송신 성공이 확인되면, 그에 상응하는 값을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리빙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 우,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달되는 선로 상태(RptLineStatus)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전송 매체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을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하고 나서, 한 바이트를 송신할 때마다, 송신된 바이트와 수신된 바이트를 비교하여 송신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송신 성공이 확인되면, 전송 오케이(Send_OK)를 포함하는 프리미티브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성공 여부를 확인한 결과, 실패한 경우, 전송 매체가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여, 사용 중이면 전송을 유보하고, 사용 중이지 않으면 전송 절차를 실행하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재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데이터 링크 계층이 비 규격화된 전송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매체 접근 제어(MAC) 프로토콜로서 p-DCSMA(probabilistic Delaye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알고리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을 재 시도한 카운트 회수가, 기 설정된 소정 회수 이상이거나, 또는 매체 접근 제어 실행 시간 이내에 데이터 송신을 성공하지 못하면, 전송 실패(Send_Failed)를 포함하는 프리미티브를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신 제어방법.
KR1020050015579A 2005-02-24 2005-02-2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KR10106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579A KR101062219B1 (ko) 2005-02-24 2005-02-2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579A KR101062219B1 (ko) 2005-02-24 2005-02-2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430A KR20060094430A (ko) 2006-08-29
KR101062219B1 true KR101062219B1 (ko) 2011-09-05

Family

ID=3760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579A KR101062219B1 (ko) 2005-02-24 2005-02-24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2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013B1 (ko) * 2005-12-08 2008-07-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전송 지연 감소를 위한 매체 접근 제어프로토콜에서의 다중 재전송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재전송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430A (ko)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91040A1 (en) Layer structure of network control protocol and interface method
KR100615806B1 (ko) 데이터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US20100005166A1 (en) Network device
KR20070120098A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홈 코드 설정 방법 및 디바이스
KR20070114740A (ko) 네트워크 컨트롤 프로토콜의 패킷 구조 및 패킷 전송방법
KR20070118602A (ko)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방법
WO2004107089A2 (en) Home network system
KR20070120099A (ko) 네트워크 컨트롤 프로토콜의 패킷 구조 및 패킷 전송방법
KR100735968B1 (ko)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서의 다운로드 및 업로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119013A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디바이스 장치 및 프로파일 전송 방법
US20070019615A1 (en) Home network system
US20080164980A1 (en) Home Network System
KR20070117585A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네트워크 프로파일 구성 방법
WO2005115096A2 (en) Home network system
US20080130687A1 (en) Data Receiving Method and Transferring Method for Data Link Layer
KR101062219B1 (ko)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제어방법
KR101067333B1 (ko)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서의 계층 구조 관리방법
US20070019654A1 (en) Home network system
WO2005094195A2 (en) Home network system
CN101164292A (zh) 网络控制协议的层结构和接口方法
KR20060089854A (ko)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
KR20070120100A (ko) 네트워크 컨트롤 프로토콜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접속 방법
KR20060094427A (ko) 리빙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관리 일반 동작 수행방법
CN101164294A (zh) 网络控制协议装置和网络连接方法
KR20060089855A (ko) 리빙 네트워크 컨트롤 시스템에서의 이벤트 기반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