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137B1 -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 Google Patents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137B1
KR101062137B1 KR1020090132270A KR20090132270A KR101062137B1 KR 101062137 B1 KR101062137 B1 KR 101062137B1 KR 1020090132270 A KR1020090132270 A KR 1020090132270A KR 20090132270 A KR20090132270 A KR 20090132270A KR 101062137 B1 KR101062137 B1 KR 10106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erminal
building
zone
flo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5736A (en
Inventor
박기석
정근채
유인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공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공테크
Priority to KR102009013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137B1/en
Publication of KR2011007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건물맵에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main server,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to receive images from each of the cameras,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comprises the first server from the main server. Receive and display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a building map, and the display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cond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information about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And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A second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o the main server to select and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And a third step of the display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A fourth step of displaying, by the control terminal,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first building map when receiving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in at least on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 fifth step of, when the control terminal inputs a selection for one of the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from the user, a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three zones and stereoscopically displays the map; A six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from the user and enlarging the selected zone in three dimensions; And a seven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It includes.

건물맵, 디스플레이, 제어, 메인서버, 터치스크린 Building Map, Display, Control, Main Server, Touch Screen

Description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dangerous situation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본 발명은 위험상황감지 및 조회를 위한 터치기반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제어단말은 건물의 층과 존을 검색하기 위한 화면구성을 이루고, 디스플레이단말은 건물의 층과 존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다 대형화된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에 대한 조회 및 촬영한 영상을 입체적으로 조회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based technology for detecting and inquiring a risk situation, the control terminal comprises a screen configuration for searching the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and the display terminal to enlarge the details of the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or inquiring about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user's building and three-dimensional inquiry of photographed images.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건물에 설치되는 보안시스템은 가정이나 건물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외부인의 침입이나, 화재 또는 수재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Typically, a security system installed in a home or building is installed at a specific location in a home or building to be used to prevent damage caused by outsider intrusion, fire or flood.

요즘, 각종 통신 및 전자기기가 급속도로 발달함에 따라 정보 교환이 활발해 지고 있고 지식정보 강국이라는 말이 출현할 정도로 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을 비롯한 공공기관, 제조회사 등의 출입 통제 분야에서도 통신 인프라의 국제화와 같은 통신 분야의 발전에 힘입어 통신 체계를 이용한 폐쇄회로 텔레비전(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과 같은 카메라 및 기타 음성/영상 정보를 통합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s are rapidly developed, information exchange is becoming active,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so that the term "knowledge information power" appears. By using this information, cameras such as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using a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like in access control fields such as individuals, public institution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have been develop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fields such as internationalization of communication infrastructures. Other technologies incorporating voice and video information have been studied.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건물 내의 곳곳에 설치되어 주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카메라부와, 카메라부와 마찬가지로 건물 내의 곳곳에 설치되어 방범 및 안전 유지를 위해 침입자나 화재 및 홍수와 같은 재해 대상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카메라부와 센서부에서 전달되는 각종 정보를 녹화하는 동시에 그 녹화된 정보를 통해 현재 상황을 알려주기 위해 상황제어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녹화제어부와, 녹화제어부의 상황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특정 날짜나 시간에 녹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녹화제어부의 상황제어신호에 의해 센서부를 통해 방범및 재해 위험이 감지되거나 인위적인 기계적 신호에 의해 사이렌이나 경보 등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알려주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urveillance system using a camera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building to take a picture of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the camera unit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in the building, like the camera unit, to prevent intrusion or fire to maintain security An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 disaster target such as a flood, a recording controller for recor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amera unit and the sensor unit,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ituation control signal to inform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the record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tuation control signal of the recording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image currently being shot through the camera unit or displays the image recorded on a specific date or time, and the situation of the control unit by the situation control signal of the recording controller prevents the risk of crime and disaster. Due to detected or artificial mechanical signals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larm unit for notifying through on / off operation such as an alarm.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작동은 각종 정보의 저장, 보관,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한정된 공간 내에 종합 상황실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나 녹화제어부를 구비하게 되고 한정된 인원이 각 장비를 관리 및 운영하고 있다.The operation of the surveillance system using a conventional camera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s a display unit or a recording control unit by configuring a comprehensive situation room in a limited space where various information can be stored, stored, and managed, and a limited number of people manage and operate each equipment. Doing.

상기 종합 상황실에 근무하고 있는 관리자들은 카메라부나 센서부를 통해 녹화제어부에 전달되는 각종 영상 및 경보 정보를 감시, 녹화, 관리하면서 경보 발생 상황이 발생하면 경보를 발생이나 경보 해제를 담당하게 된다. The administrators working in the general situation room are responsible for generating or releasing alarms when an alarm occurrence situation occurs while monitoring, recording, and managing various video and alarm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recording control unit through a camera unit or a sensor unit.

그러나 종래의 감시 시스템은 카메라의 수가 수백개로 늘어날 경우 다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대한 조회가 번거러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감시 시스템의 감시 대상이 대형 건물인 경우 건물의 각 층과 층을 세분화한 존에 대한 정보 및 각 건물에서의 해당 카메라의 위치를 가늠하기는 어려워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의 정확한 구역정보를 얻는데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rveillance system, when the number of cameras increases to several hundreds, it is troublesome to inquire about images captured by a plurality of cameras. In addition, when the monitoring target of the monitoring system is a large building,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information on the zones and the location of the camera in each building, which is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zone information in the monitoring system. Is present.

따라서, 해당기술분야에 있어서,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감시의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디스플레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카메라에 대한 간이한 접근 절차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o provide a simple access procedure for a plurality of cameras as well as to display a relative position of an object to be monitored using a surveillance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단말은 건물의 층과 존을 검색하기 위한 화면구성을 이루고, 디스플레이단말은 건물의 층과 존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다 대형화된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에 대한 조회 및 촬영한 영상을 입체적으로 조회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trol terminal comprises a screen configuration for searching the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the display terminal by providing a detailed information on the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in a larger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or inquiring about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user's building and inquiring photographed images in three dimension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단말로 다수의 카메라 중 특정 위치의 카메라를 용이하게 조회하며, 디스플레이단말로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terminal easily inquires a camera of a specific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and the display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o provide a risk detection system and a risk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ameras in each flo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단말을 이용해 제어단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sk situation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or providing a daily and time zone inquiry through a timeline function for an image of one zone selected from a control terminal user using the control terminal is provided. It is to provide a detection system and a risk detection meth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건물맵에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erver, a control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receiving images from each camera. 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first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the display terminal,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together with the second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First step; A second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o the main server to select and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And a third step of the display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A fourth step of displaying, by the control terminal,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first building map when receiving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in at least on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 fifth step of, when the control terminal inputs a selection for one of the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from the user, a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three zones and stereoscopically displays the map; A six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from the user and enlarging the selected zone in three dimensions; And a seven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venth step, the control terminal, the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of the selected zone from the user Through,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daily, time-based inqui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상기 제 5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과, 위험상황을 포착한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영상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sk situation detecting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in the fifth step, the control terminal, the selectivity of one or more layers of the one or more occurrences of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user Receiving an image list of a camera including a floor and zone information o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been generated and an image of a camera capturing a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main server, if not input; And outputting, by the control terminal, an image of the selected camera according to a selection of an image of the image list of the camera from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상기 제 5 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may be performed in the fifth step, and the display terminal may display the map of the selected layer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ree dimension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zones are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with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해서도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 중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의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anger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the risk situation using a main server,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for receiving images from each camera In the sensing method,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first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and the display terminal, the first terminal from the main server A first step of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together with a building map; A second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o the main server to select and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And a third step of the display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If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 selection for one of the first building maps from the user without receiving a risk occurrence for one or mor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 fourth step of dividing the maps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ing them in three dimensions; A fif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from the user and enlarging the selected zone three-dimensionally; And a sixth step of receiving, by the control terminal,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xth step, the control terminal, the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of the zone selected from the user Through,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daily, time-based inquir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상기 제 4 단계에서 수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detecting a risk situation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wherein the display terminal performs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by dividing the map for the selected layer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zones are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with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그리고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포함한 위험상황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1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2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건물맵에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erv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receive images from each camera, and the risk situation including the control terminal and the display terminal In the sensing system,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from the main server the first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and the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and displays, and connected to the main server to the first building Select and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map, and the display terminal includes, from the main server, an entire second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and each floor and each of the building. Information about zones,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cameras on each floor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number, and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the control terminal, the main On receipt of a risk occurrence of at least on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a server, one or more floors of the occurrence of the dangerous situation are displayed on the first building map, and one of the one or more floors of the occurrence of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a user. When a selection for is inputted, the map of the selected flo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The selected zone is received by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zones from the user. To enlarge and display in three dimensions, and to enlarge the And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camera from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zone,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terminal, by the user through the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for the selected zone, the inquiry by day, time zone I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과, 위험상황을 포착한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영상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terminal, if the selection for one or more of the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s from the user is not input, the main Receives a video list of the camera including the floor and zon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server, and a video of the camera that has captured the dangerous situation,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any one of the video list of the camera, The image of the selected camera is outpu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terminal, three-dimensionally display the map for the selected layer into a plurality of zones, one in the plurality of zones The above camera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그리고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포함한 위험상황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1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2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해서도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 중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의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sk including a main server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and receiving images from each camera, and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In the situation detection system,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the first overall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nd accesses the first server to access the first server. Selects and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building map, and the display terminal comprises: a second overall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and each floor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Information about each zone, and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ameras,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to display the location of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Zones for the selected floor may be mapped to the selected floor when the user inputs a selection of one of the first building maps without receiving a risk occurrence even for one or mor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the user receives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zones from the user and enlarges the selected zone to display three-dimensionally, and one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Receiving the selection of one of the cameras above the selection Characterized by displaying a real time image of a single zo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terminal, by the user through the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for the selected zone, the inquiry by day, time zone It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은,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isk detection system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terminal is to display the map for the selected layer in a plurality of zones three-dimensionally, one or more in the plurality of zones It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with the camera install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제어단말은 건물의 층과 존을 검색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이루고, 디스플레이단말은 건물의 층과 존에 대한 세부정보를 보다 대형화된 화면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에 대한 조회 및 촬영한 영상을 입체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the control terminal comprises a screen configuration for searching the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the display terminal is the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By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larger screen,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inquire about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user's building and three-dimensionally look up the image take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제어단말로 다수의 카메라 중 특정 위치의 카메라를 용이하게 조회하며, 디스플레이단말로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trol terminal to easily look up the camera of a specific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s, the display terminal of the building Information about each floor and each zone, as well as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 및 위험상황감지 방법은, 제어단말을 이용해 제어단말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for one zone selected from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using the control terminal Can provide daily, hourly and hourly lookups.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은 제어단말(100), 디스플레이단말(300) 및 메인서버(500)를 포함한다.1 is a view showing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includes a control terminal 100, a display terminal 300, and a main server 500.

제어단말(100)은 메인서버(500)로부터 건물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수 신하며, 디스플레이단말(300)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제어단말(100)은 42인치의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 terminal 100 receives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on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500, and refers to a terminal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display terminal 3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terminal 1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formed of a 42-inch touch screen.

제어단말(100)의 사용자는 건물의 층별 또는 존별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확인하고, 건물의 층 또는 존에 위치한 다수의 카메라 중 특정 카메라를 직접 선택해 조회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may check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for each floor or zone of a building, and directly select and display a specific camera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located on the floor or zone of the building.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단말(100)은 건물(층, 존) 탐색, 건물 층별/존별 카메라정보 조회, 카메라 선택 및 영상 조회, 위험상황 발생정보 조회, 및 위험상황 발생정보에 따른 실시간 영상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terminal 100 searches for buildings (floors and zones), searches camera information for each floor / zone, selects a camera and displays video, searches for dangerous occurrence information, and performs real-time video search according to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can do.

디스플레이단말(300)은 제어단말(10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대형화면으로 출력을 발생시키는 프로젝터 기반 모니터링 단말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단말(300)은 80인치의 대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display terminal 300 refers to a projector-based monitoring terminal that generates an output on a large scree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terminal 10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terminal 300 may include a large display unit of 80 inches.

디스플레이단말(300)은 다수의 사용자가 정보를 조회하는 관제용 플랫폼으로 위험발생 상황정보를 제공하며, 제어단말(1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단말(100)에 출력되는 내용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하는 관제용 단말이다.The display terminal 300 provides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as a control platform for a plurality of users inquiring information, and is more detailed than the contents output to the control terminal 10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terminal 100. It provides a control terminal.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단말(300)은 건물 층별/존별 카메라정보 디스플레이, 위험상황 발생정보 디스플레이, 제어단말(100)의 제어신호에 따른 카메라의 영상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디스플레이, 위험상황 발생정보에 따른 카메라의 영상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디스플레이를 수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terminal 300 includes a camera information display for each floor / zone, a risk occurrence information display, a video display of a camera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terminal 100, a real-time video display of the camera, and a risk occurrence information. The image display of the camera and the real time image display of the camera can be performed.

메인서버(500)는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위험상황 발생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단말(100)로 전송한다. 한편, 메인서버(500)의 관리자는 메인서버(500)를 이용해 건물에 설치된 카메라를 등록하고 위험상황 발생정보 인지 여부에 관한 세부 항목을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인서버(500)는 카메라 추가, 삭제, 위험상황 발생정보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이다.The main server 500 receives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terminal 100. On the other hand, the administrator of the main server 500 registers the camera installed in the building using the main server 500 and sets the detailed items on whether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the main server 500 is a server for performing camera addition, deletion, and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setting.

또한, 메인서버(500)는 제어단말(100)과 디스플레이단말(300)로 초기UI화면 구현을 위한 건물맵 정보, 건물의 각층과 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의 제어서버(500)가 디스플레이단말(300)로 제공하는 정보는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됨을 전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main server 500 provides the control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terminal 300 with building map information for initial UI screen implementation and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zone of the building. It is assume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o the display terminal 300 by the following control server 500 is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500.

도 2는 도 1의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초기UI화면(도 2a)과 위험상황 발생UI화면(도 2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단말(100)은 초기UI화면으로 메인서버(500)로부터 전체적인 건물맵,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UI screen (FIG. 2A) and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UI screen (FIG. 2B)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of FIG. 1. 1 and 2, the control terminal 100 receives the overall building map, the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500 to the initial UI screen to provide to the user.

도 2(a)와 같이 제어단말(100)의 초기UI화면은, 축소뷰영역(2-1), 축소층정보영역(2-2), 제어정보영역(2-3), 및 카메라정보영역(2-4)을 포함하며, 각 영역은 터치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the initial UI screen of the control terminal 100 includes a reduced view area 2-1, a reduced layer information area 2-2, a control information area 2-3, and a camera information area. (2-4), each area may be selected by touch.

축소뷰영역(2-1)은 다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건물맵 정보를 제공하며, 제어정보영역(2-3)와 건물맵 중 해당 층 및 존의 터치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건물의 회전(예컨대, 뷰체인지(2-3-6)를 이용), 확대/축소(층/존에 대한 디스플레이로의 터치를 이용)을 세분화하여 구현 가능한 영역이다. The reduced view area 2-1 provides building map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and the building is rota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by touching a corresponding floor and zone among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and the building map. (E.g., using a view change (2-3-6)) and an enlargement / reduction (using a touch to a display for a layer / zone).

축소층정보영역(2-2)은 건물의 층 정보, 각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구현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위험상황 발생시 해당 층이 빨간색으로 구현되며, 위험상황발생이 아닌 경우 해당 층이 초록색으로 구현된다.The reduced floor information area 2-2 is an area that implements floor information of a building and whether or not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for each floor. Her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layer is implemented in red, and when it is not a dangerous situation, the corresponding layer is implemented in green.

제어정보영역(2-3)은 건물맵기반 조회, 그리고 후술할 층기반조회 또는 채널기반조회에서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영역이다. 제어정보영역(2-3)은 홈영역(Home: 2-3-1), 이전영역(Previous: 2-3-2), 다음영역(Next: 2-3-3), 핏영역(Fit: 2-3-4), 컨버트뷰(Convert View: 2-3-5) 및 뷰체인지(View Change: 2-3-6)을 포함한다. 제어정보영역(2-3)은 해당 세분화된 영역(2-3-1 내지 2-3-6)에 대한 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단말(300)과 제어단말(100)의 디스플레이로 각각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제어정보영역(2-3)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홈영역(Home: 2-3-1)은 UI화면의 최상위 카테고리로 이동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버튼 영역이며, 이전영역(Previous: 2-3-2)은 UI화면의 이전 단계로 이동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버튼 영역이며, 다음영역(Next: 2-3-3)은 각 UI화면에서 설정된 모듈의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버튼 영역이다. 또한, 핏영역(Fit: 2-3-4)은 가장 최적화된 객체(건물, 층, 존) 정보의 화면을 자동보정하여 구현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버튼 영역이며, 컨버트뷰(Convert View: 2-3-5)는 후술할 축소브로드채널뷰와 축소서클채널뷰, 그리고 확대브로드채널뷰와 확대서클채널뷰 간의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버튼 영역이며, 뷰체인지(View Change: 2-3-6)는 도 2의 축소뷰영역(2-1)에 구현된 건물맵의 회전을 위한 터치스크린에 구현된 버튼 영역이다.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is an area used for building map based inquiry and control in a floor based query or a channel based query to be described later.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is the home area (Home: 2-3-1), the previous area (Previous: 2-3-2), the next area (Next: 2-3-3), the fit area (Fit: 2-3-4), Convert View (2-3-5) and View Change (2-3-6).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terminal 300 and the display of the control terminal 100, respectively, according to a touch on the corresponding subdivided areas 2-3-1 to 2-3-6. do.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each component of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the home area (Home: 2-3-1) is a button area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for moving to the top category of the UI screen, the previous area (Previous: 2-3-2) is the button area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to move to the previous step of the UI screen, and the next area (Next: 2-3-3) is the next step of the module set in each UI screen. It is a button area implemented on the touch screen for moving. In addition, the fit area (Fit: 2-3-4) is a button area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nd implementing the screen of the most optimized object (building, floor, zone) information. 2-3-5) is a button area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for switching the screen between the reduced broadcast channel view and the reduced circle channel view, and the expanded broadcast channel view and the enlarged circle channel view,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2-3-6) is a button area implemented in the touch screen for rotating the building map implemented in the reduced view area 2-1 of FIG.

카메라정보영역(2-4)은, 도 2(b)와 같이, 건물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의 경우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 및 카메라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위험상황이 발생한 카메라를 직접 터치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위험상황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층은 다수의 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The camera information area 2-4 displays an image list of the camera including the floor and zone information and an image of the camera in case of a risk situation for a building, as shown in FIG. 2 (b). It is an area for making it possible to inquire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by directly selecting the generated camera by touch.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laye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zones, and at least one camera may be installed in one zone.

도 3은 디스플레이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된 초기UI화면(도 3a)과 위험상황발생UI화면(도 3b)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단말(300)은 초기UI화면으로 전체적인 건물맵, 건물의 각 층의 존(Zone)의 수 및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UI screen (FIG. 3A) and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UI screen (FIG. 3B) displayed on the display terminal 300. 1 to 3, the display terminal 300 provides an initial UI screen for the overall building map,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zones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도 3(a)와 같이 디스플레이단말(300)의 초기UI화면은, 확대뷰영역(3-1) 및 확대건물정보영역(3-2)을 포함하며, 대형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어단말(100)의 건물맵보다 큰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As shown in FIG. 3A, the initial UI screen of the display terminal 300 includes an enlarged view area 3-1 and an enlarged building information area 3-2, and the control terminal 100 on a large display. The image is displayed larger than the building map.

확대뷰영역(3-1)은 다수의 카메라가 설치된 건물맵 정보를 제공하며, 제어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정보영역(2-3)의 터치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른 화면구성을 출력할 수 있다. 확대건물정보영역(3-2)은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The enlarged view area 3-1 provides building map inform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s are installed, and displays the 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of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received from the control terminal 100. You can print The enlarged building information area 3-2 outpu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도 3(b)와 같이 디스플레이단말(300)의 위험상황발생UI화면은, 확대뷰영역(3-1)은 건물맵에서 위험상황 발생한 층의 존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여부를 디스 플레이한다. 즉, 위험상황 발생한 층의 존을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위험상황 발생하지 않은 층의 존을 초록색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즉, 디스플레이단말(300)은 제어단말(100)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갖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확대건물정보영역(3-2)도 위험상황 발생한 층에서의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위험상황 발생한 층 정보와 함께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할 뿐만 아니라. 위험상황의 세부정보(화재, 침입, 교통 등)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shown in (b) of FIG. 3,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UI screen of the display terminal 300 displays an enlarged view area 3-1 whether a dangerous situation is generated for a zone of a dangerous situation in a building map. That is, the zone of the floor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displayed in red, and the zone of the floor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not occurred is displayed in green. That is, since the display terminal 300 has a larger display than the control terminal 100, more accurat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he enlarged building information area (3-2) also displays in red, along with information on each zone in the floor where the risk occurred and information on the floor where the situation occurred. Details of the risk situation (fire, intrusion, traffic, etc.) can also be displayed.

도 4는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인 도 4(a) 화면은, 도 2(a) 또는 도 2(b)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거나 위험상황이 발생한 층을 터치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UI화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1 to 4, the screen of FIG. 4 (a), which is a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in FIG. 2 (a) or FIG. 2 (b), a dangerous situation does not occur or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is is a UI screen displayed by the user selecting the generated floor by touching.

이때, 제어단말(100)의 검색UI화면 중 축소뷰영역(2-1)은 도 2(a) 또는 도 2(b)에서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구현한다. 여기서 다수의 존은 각각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축소층정보영역(2-2)은 도 2(a) 또는 도 2(b)에서 선택된 층을 볼드체로 디스플레이한다.At this time, the reduced view area 2-1 of the search UI screen of the control terminal 100 is three-dimensionally implemented by distinguishing the map for the layer selected in FIG. 2 (a) or 2 (b) into a plurality of zones. Here, multiple zones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he reduced layer information area 2-2 displays the layer selected in FIG. 2 (a) or 2 (b) in bold.

축소존정보영역(4-1)은 도 4(a)의 검색UI화면의 축소뷰영역(2-1)에서 디스플레이된 각 존의 색상과 매칭하여 각 존에 대한 색상정보를 표시한다. The reduced zone information area 4-1 displays color information for each zone by matching the colors of the zones displayed in the reduced view area 2-1 of the search UI screen of FIG. 4A.

도 4(b)는, 도 4(a) 상에서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컨버트뷰(2-3-5) 입력에 따라 전환된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컨버트뷰(2-3-5) 영역으로 터치가 입력되면, 축소뷰영역(2-1)은 선 택된 층에 대한 맵으로부터 각 채널에 대한 다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축소브로드채널뷰로 전환된다. 여기서, 채널은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분된 통신로를 의미할 수 있다.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ed search UI screen switched according to a convert view 2-3-5 input of a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on FIG. 4A. Referring to FIG. 4 (b), when a touch is input to the convert view 2-3-5 area by the user, the reduced view area 2-1 displays a plurality of channels for each channel from the map for the selected floor. Switch to reduced broadcast channel view displaying the image. Here, the channel may mean a divided communication path for dividing and outputting an image received from one camera.

한편, 도 4(c)는, 도 4(b) 상에서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컨버트뷰(2-3-5) 입력에 따라 전환된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도 4(b)의 축소브로드채널뷰로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컨버트뷰(2-3-5)가 다시 입력되면, 축소뷰영역(2-1)은 축소브로드채널뷰로부터 각 채널에 대한 다수의 영상을 원통형으로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축소서클채널뷰로 전환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우의 터치에 의해 원통형의 입체적 영상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채널에 대한 영상을 조회할 수 있다. 이때, 원하는 채널은 원통형의 입체적 영상 중 중앙에 위치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을 축소존정보영역(4-1) 상에서 볼드체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Meanwhile, FIG. 4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isplayed search UI screen switch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view 2-3-5 input of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on FIG. 4B. Referring to FIG. 4C, when the convert view 2-3-5 is input again by the user while being displayed in the reduced broadcast channel view of FIG. 4B, the reduced view area 2-1 is reduced. It is switched from the broad channel view to a reduced circle channel view that implements a plurality of images for each channel in a cylindrical shape. 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the user can query the image for the desired channel by rotating the cylindrical three-dimensional image by the left and right touch. In this case, the desired channel may display a zone corresponding to an imag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ylindrical stereoscopic image in bold on the reduced zone information area 4-1.

도 5는 디스플레이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인 도 5(a) 화면은, 도 3(a) 또는 도 3(b) 상태에서, 위험상황이 발생하지 않거나 위험상황이 발생된 층을 터치에 의해 제어단말(100)로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UI화면이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단말(300)의 검색UI화면은 도 3의 확대뷰영역(3-1) 및 확대건물정보영역(3-2)으로부터 도 5(a)의 제 1 확대뷰영역(5-1), 제 2 확대뷰영역(5-2), 확대존정보영역(5-3)으로 전환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terminal 300. 1 to 5,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screen of FIG. 5 (a), which is a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is shown in FIG. 3 (a) or 3 (b). The UI screen is displayed by the user selecting the floor o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does not occur or the dangerous situation is generated by touching the control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search UI screen of the display terminal 300 is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of FIG. 5A from the enlarged view area 3-1 and the enlarged building information area 3-2 of FIG. , The second enlarged view area 5-2 and the enlarged zone information area 5-3 are switched.

제 1 확대뷰영역(5-1)은 도 3(a) 또는 도 3(b)로부터 확대뷰영역(3-2)에 디스플레이된 건물맵 중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다수의 존도 도 4(a)와 동일하게 각기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며, 각 존에 카메라가 설치된 정보도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divides the map for the selected floor among the building maps displayed in the enlarged view area 3-2 from FIG. 3 (a) or FIG. 3 (b) into three-dimensional zones. Display. Here, a plurality of zones are also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s in FIG. 4 (a), and information on which cameras are installed in each zone is also displayed.

제 2 확대뷰영역(5-2)은 도 3(a) 또는 도 3(b)에서의 확대뷰영역(3-2)을 축소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제 1 확대뷰영역(5-1)에 디스플레이된 선택된 층의 건물맵에서의 위치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enlarged view area 5-2 is displayed on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by reducing and displaying the enlarged view area 3-2 in FIG. 3A or 3B. Allows the user to know the location in the building map of the selected floor.

확대존정보영역(5-3)은 제 1 확대뷰영역(5-1)에서 디스플레이된 각 존의 카메라의 수와, 위험발생 상태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The enlarged zone information area 5-3 is an area for displaying the number of cameras of each zone displayed in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and whether or not a risk occurs.

도 5(b)는, 도 5(a) 상에서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컨버트뷰(2-3-5) 입력에 따라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단말(100) 사용자에 의해 컨버트뷰(2-3-5) 영역으로 터치가 입력되면, 제 1 확대뷰영역(5-1)은 선택된 층에 대한 맵으로부터 확대브로드채널뷰로 전환된다. 여기서의 채널도 도 4(b)의 채널과 동일하게 각 존에 하나 이상 설치된 각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구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분된 통신로를 의미할 수 있다.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UI screen that is switch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convert view 2-3-5 input of a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on FIG. 5A. Referring to FIG. 5B, when a touch is input to the convert view 2-3-5 area by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is moved from the map for the selected floor. The display switches to the enlarged broadcast channel view. In this case, the channel may refer to a separate communication path for distinguishing and outputting images received from at least one camera installed in each zone in the same manner as the channel of FIG. 4 (b).

한편, 도 5(c)는, 도 5(b) 상에서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컨버트뷰(2-3-5) 입력에 따라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단말(300)의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 1 확대뷰영역(5-1)은 확대브로드채널뷰로부터 각 채널에 대한 다수의 영상을 원통형으로 입체적으로 구현하는 확대서클채널뷰로 전환된다. 이때, 확대존정보영역(5-3)은 선택된 층에서의 각 존의 카메라의 수, 위 험발생 상태여부를 상태와 함께, 제 1 확대뷰영역(5-1)에 디스플레이된 원통형의 입체적 영상 중 중앙에 위치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을 볼드체로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확대뷰영역(5-1)의 중앙에 위치한 두 개의 영상에 대한 하나 이상의 존을 볼드체로 표시할 수도 있다.5 (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UI screen of the display terminal 300 which is switch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version view 2-3-5 input of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on FIG. 5 (b). to be. Referring to FIG. 5C,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is converted from the enlarged broad channel view to an enlarged circle channel view for three-dimensionally implementing a plurality of images of each channel in a cylindrical shape. At this time, the enlarged zone information area 5-3 is a cylindrical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together with the number of cameras in each zone and a state of a risk state on the selected floor. Zone in the center of the image is displayed in bol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one or more zones for two image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larged view area 5-1 may be displayed in bold.

도 6은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세부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세부검색UI화면은, 도 2(a)에서, 건물맵에서의 하나의 층을 선택하여 세부검색할 경우의 세부검색UI화면을 나타낸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1 to 6, the detailed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shows a detailed search UI screen when a detailed search is performed by selecting one floor in a building map in FIG. Indicates.

도 6(a)은 도 2(a)와 동일한 화면구성을 나타낸다. 도 6(a)의 화면구성으로부터 카메라 선택 및 영상 조회가 시작된다. 즉, 제어단말(100) 사용자는 터치에 의해 건물맵으로부터 층을 선택해 층별로 탐색을 개시한다.FIG. 6 (a) shows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FIG. 2 (a). From the screen configuration of FIG. 6A, camera selection and video inquiry are started. That is,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selects a floor from the building map by touch and starts searching by floor.

도 6(b)는 도 6(a) 상에서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구현된 축소뷰영역(2-1)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인 도 6(b)로부터 존에 대한 탐색이 가능하다.FIG. 6 (b) shows a reduced view area 2-1 implemented three-dimensionally by dividing the map for the layer selected on FIG. 6 (a) into a plurality of zon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zone from FIG. 6 (b) which is a map for the selected layer.

도 6(c)는, 도 6(b)로부터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존 선택에 따라 축소뷰영역(2-1)에 디스플레이된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 화면구성을 나타낸다. FIG. 6 (c) shows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lected zone displayed in the reduced view area 2-1 is enlarged and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zone selection of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from FIG. 6 (b).

이에 따라, 제어단말(100) 사용자는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6(c)에는 도시되지 않았지 만, 확대된 존에 한 개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 각 카메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썸네일 화면이 카메라정보영역(2-4)에 디스플레이되면, 이 중 하나를 선택해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may select one of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Although not shown in FIG. 6C, when one or more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a thumbnail screen displaying an image of each camera is displayed in the camera information area 2-4. You can select one of them to display live video.

도 6(d)는, 도 6(c)로부터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카메라 선택에 따라 선택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이 영상뷰영역(6-1)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구성을 나타낸다.FIG. 6 (d) shows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a real-time image of a camera selected according to the camera selection of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from FIG. 6 (c) is displayed in the image view area 6-1.

도 6(e)는, 도 6(d) 상에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뷰영역(6-1)에서 제어단말(100) 사용자에 의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로 영상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구성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어정보영역(2-3)의 이전영역(Previous: 2-3-2), 다음영역(Next: 2-3-3)에 의해 시간에 따라 영상을 조회할 수 있다.FIG. 6 (e) shows an image by day and time zone through a timeline function by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in the image view area 6-1 in which the real-time image of the camera is displayed on FIG. 6 (d). To display the displayed screen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image may be queried over time by the previous area (Previous: 2-3-2) and the next area (Next: 2-3-3) of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도 7은 제어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위험상황 발생시 영상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영상검색UI화면은 위험상황이 발생한 층을 선택하여 영상을 검색할 경우를 나타낸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search UI screen when a dangerous situatio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100 occurs. 1 to 7, the image search UI screen shows a case where an image is searched by selecting a floor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도 7(a)는 도 2(b)와 동일한 화면구성을 나타내며, 도 7(a)의 화면구성으로부터 카메라 선택 및 영상 조회가 시작된다. 즉, 제어단말(100)은 위험상황 발생시 축소뷰영역(2-1)의 건물맵과 축소층정보영역(2-2)으로부터 위험발생 위치인 층에 대한 정보, 그리고 카메라정보영역(2-4)으로부터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과 카메라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목록 중 하나의 영상을 선택해 영상 탐색을 개시한다. FIG. 7A illustrates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at of FIG. 2B, and camera selection and image inquiry are started from the screen configuration of FIG. 7A. That is, the control terminal 100 is a building map of the reduced view area (2-1), information on the floor which is a dangerous location from the reduced floor information area (2-2), and the camera information area (2-4)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Receives an image list of the camera including the floor and zon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and the image of the camera, and selects one image from the image list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start the image search.

도 7(b)는 도 7(a) 상에서 터치에 의한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하나의 영상 선택에 따라 영상뷰영역(6-1)을 통해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이 실시간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예로, 제어단말(100) 사용자는 위험상황 발생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 목록을 표시하는 카메라정보영역(2-4)에서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영상뷰영역(6-1)을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FIG. 7B is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a real-time image of an image of a camera selected through the image view area 6-1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one image by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by touch on FIG. Indicate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through the image view area (6-1) through the image of the camera selected in the camera information area (2-4) for displaying a list of the camera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risk situation It can be displayed in real time.

도 7(c)는 도 7(b) 상에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뷰영역(6-1)에서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 별로 카메라를 조회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이 경우 제어정보영역(2-3)의 이전영역(Previous: 2-3-2), 다음영역(Next: 2-3-3)에 의해 시간에 따라 영상을 조회할 수 있다.FIG. 7 (c) shows the camera by day and time zone through a timeline function by the touch of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in the image view area 6-1 in which the real-time image of the camera is displayed on FIG. 7 (b). Indicates the state to inquire. In this case, the image may be inquired over time by the previous area (Previous: 2-3-2) and the next area (Next: 2-3-3) of the control information area (2-3).

도 7(d)는 도 7(b) 또는 도 7(c)에서의 조회에 따라, 제어단말(100) 사용자의 영상 확인을 위한 영상 재생이 완료된 뒤, 출력된 경보해제 버튼을 선택해 목록에서 삭제를 하기 위한 화면구성을 디스플레이한다. FIG. 7 (d) shows the deletion of the alarm output button after selecting the output of the alarm release button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for checking the image of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inquiry in FIG. 7 (b) or FIG. 7 (c). Display the screen configuration to.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단말(100)은 초기UI화면을 출력한다(S100). 즉, 제어단말(100)은 초기UI화면으로 전체적인 건물맵,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8, the control terminal 100 outputs an initial UI screen (S100). That is, the control terminal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entire building map,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each zone as the initial UI screen from the main server 500 and provides the user.

한편, 제어단말(100)과 연동된 디스플레이단말(300)도 초기UI화면으로 전체적인 건물맵, 그리고,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terminal 300 linked with the control terminal 100 also provides an initial UI screen, the overall building map, and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zones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f each floor.

이후, 제어단말(100)은 메인서버(300)로부터 건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S210).Subsequently, the control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for any one or mor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300 (S210).

단계(S210)의 판단결과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제어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건물 중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는다(S31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0 that the risk situation is not received, the control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for one floor of the building from the user (S310).

이에 따라, 제어단말(100)은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S410). 한편, 제어단말(100)과 연동된 디스플레이단말(300)도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단말(300)에는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terminal 100 distinguishes the map for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s them in three dimensions (S410). Meanwhile, the display terminal 300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terminal 100 also displays the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s them in three dimensions. In this case, the display terminal 300 may also display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cameras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이후, 제어단말(100)은 다수의 존 중 사용자로부터의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에 따라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510).Thereafter, the control terminal 100 displays the selection of one zone from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in three dimensions by enlarging the selected zone according to the input (S510).

이후, 제어단말(100) 사용자가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면, 제어단말(100)은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S61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단말(100) 사용자는 선택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영상을 조회하여 제어단말(10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selects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the control terminal 100 displays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S61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image by the control terminal 100 by inquiring daily and time zone images through the timeline function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selected camera.

한편, 단계(S210)의 판단결과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한 경우, 제어단말(100)은 건물맵에 메인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을 출력한다(S220). 즉, 위험상황 발생한 층은 빨간색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위험상황 발생하지 않은 층은 초록색으로 디스플레이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receiving the dangerous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0, the control terminal 100 outputs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received from the main server 300 on the building map (S220). In other words, the layer in which the danger situation occurs is displayed in red, and the layer in which the danger situation does not occur is displayed in green.

단계(S220) 이후, 제어단말(100)은 위험상황이 발생된 하나 이상의 층 중 사용자로부터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After step S220, the control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for one floor is input from a user among one or more floors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is generated (S230).

단계(S230)의 판단결과, 제어단말(100)은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경우, 단계(S410, S510, S610)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한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30, the control terminal 100 performs the same process as steps S410, S510, and S610 when a selection for one floor is input.

즉, 제어단말(100)은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다수의 존 중 사용자로부터의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제어단말(100) 사용자가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면, 제어단말(100)은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제어단말(100)과 연동된 디스플레이단말(300)도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도 제어단말(100)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terminal 100 displays the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s them in three dimensions. The control terminal 100 receives a selection of one zone from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and enlarges the selected zone in three dimensions. . Thereafter, when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selects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the control terminal 100 displays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Meanwhile, the display terminal 300 interworking with the control terminal 100 also displays the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s them in three dimensions, and displays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zone together with the control terminal 100. can do.

한편, 단계(S330)의 판단결과, 제어단말(100)은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제어단말(100) 사용자로부터, 메인서버(300)로부터 위험상황 발생시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과, 카메라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여 위험상황이 발생된 영상에 대한 영상 탐색이 개시된다(S530).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30, the control terminal 100, if a selection for one floor is not input, from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a dangerous situation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from the main server 300 and In operation S530, an image search for a video list of a camera including zone information and an image of a dangerous situation is received by receiving an image of the camera.

단계(S530) 이후, 제어단말(100)은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에 따라,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 출력한다(S6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어단말(100) 사용자는 선택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영상을 조회하여 제어단말(10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530, the control terminal 100 outputs the image of the selected camera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any one of the camera list including the floor and the zone information of the dangerous situation (S63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control terminal 100 may display the image by the control terminal 100 by inquiring daily and time zone images through the timeline function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selected camera.

단계(S630) 이후, 제어단말(100)은 사용자의 조회된 영상 확인을 위한 영상 재생이 완료된 뒤, 디스플레이된 경보해제 버튼이 입력되면 위험상황이 발생한 카메라 목록에서 조회된 영상을 삭제한다.After the step S630, the control terminal 100 deletes the inquired image from the list of cameras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when the displayed alarm release button is input after the reproduction of the image for checking the inquired image is completed.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dditions, etc.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changes, etc.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Should be s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제어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초기UI화면과 위험상황 발생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UI screen and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of FIG.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초기UI화면과 위험상황발생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UI screen and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nce UI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terminal of FIG.

도 4는 도 1의 제어단말에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of FIG.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단말에 디스플레이된 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terminal of FIG.

도 6은 도 1의 제어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세부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earch UI scree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of FIG. 1. FIG.

도 7은 도 1의 제어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위험상황 발생시 영상검색UI화면을 나타내는 도면.7 is a view showing an image search UI screen when a dangerous situation displayed on the control terminal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어단말 300: 디스플레이단말100: control terminal 300: display terminal

500: 메인서버500: main server

Claims (18)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방법에 있어서,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main server,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to receive an image from each camera,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first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The display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cond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first ste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및 A second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o the main server to select and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And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A third step of the display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건물맵에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A fourth step of displaying, by the control terminal,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first building map when receiving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in at least on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상기 제어단말이,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A fifth step of, when the control terminal inputs a selection for one of the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from the user, a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three zones and stereoscopically displays the ma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및 A six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from the user and enlarging the selected zone in three dimensions; And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A seventh step of receiving, by the control terminal,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Danger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eventh ste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And the control terminal provides a daily and time zone-based inquiry through a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from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ifth ste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과, 위험상황을 포착한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및 When the control terminal does not input a selection for one of the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from the user, the control terminal displays a video list of the camera including the floor and zone information o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dangerous situation. Receiving an image of a captured camera; And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영상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Outputting, by the control terminal, an image of the selected camera according to a selection of an image of the image list of the camera from the user; Danger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수행되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ich is performed in the fifth step,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The display terminal distinguishes the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s them in three dimensions, and displays the state where at least one camera i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zones together with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How to detect situation.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방법에 있어서,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main server,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to receive an image from each camera,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first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제 2 건물맵과 함께,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1 단계;The display terminal, together with the second building map from the main server,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zones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n each floor. Receiving and displaying a first ste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단계; 및 A second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connecting to the main server to select and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at least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zones divided in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And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3 단계; A third step of the display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해서도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 중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단계;If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 selection for one of the first building maps from the user without receiving a risk occurrence for one or mor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 fourth step of dividing the maps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ing them in three dimensions;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 5 단계; 및A fifth step of the control terminal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plurality of zone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from the user and enlarging the selected zone three-dimensionally; And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의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A sixth step of receiving, by the control terminal,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Danger situation detection method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further compri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sixth step, 상기 제어단말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And the control terminal provides a daily and time zone-based inquiry through a timeline function for the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from the us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수행되는,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ourth step is carried out.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이,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방법.The display terminal distinguishes the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s them in three dimensions, and displays the state where at least one camera i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zones together with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How to detect situation.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그리고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포함한 위험상황감지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including a main server and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to receive images from each camera,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1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the overall first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nd connects to the main server to divide at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Select and display images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installed in multiple zones,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2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The display terminal, from the main server to the overall second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zones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f each flo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한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한 경우 상기 제 1 건물맵에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The control terminal, upon receiving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for one or mor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displays the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on the first building map, and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a user. When a selection for one of the generated one or more floors is input, the map for the selected flo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and the user selects one zone among the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zones. Receiving the input and expanding the selected zone to display in three dimensions, and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enlarged zone from the user,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zone. The display terminal and the control terminal using Hazard Detection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A system for detecting a risk situation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which provides a daily and time zone inquiry through a timeline function for an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from the us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위험상황이 발생한 하나 이상의 층 중 하나에 대한 선택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위험상황 발생한 층 및 존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의 영상 목록과, 위험상황을 포착한 카메라의 영상을 수신하며, If the user does not input a selection for one or more floors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s, the video list of the camera including the floor and zone information in which the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from the main server, and the image of the camera capturing the dangerous situation Receive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영상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선택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any one of the image list of the camera,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image of the selected camera.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play terminal,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And displaying a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ree dimensions, and displaying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zones. 건물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메인서버, 그리고 제어단말 및 디스플레이단말을 포함한 위험상황감지시스템에 있어서,In the risk situation detection system including a main server and a control terminal and a display terminal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in a building to receive images from each camera,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1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건물맵의 각층에서 분할된 다수의 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고, The control terminal receives and displays the overall first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and connects to the main server to divide at each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Select and display images captured by at least one camera installed in multiple zones,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제 2 건물맵 및 상기 건물의 각 층 및 각 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상기 건물의 각 층의 존의 수 및 상기 각 층의 카메라의 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상에 해당하는 존의 위치를 상기 제 2 건물맵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The display terminal, from the main server to the overall second building map of the building and information on each floor and each zone of the building, the number of zones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number of cameras of each floor Receiv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mage from the control terminal, and displaying a location of a zon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mage on the second building map, 상기 제어단말은, 상기 메인서버로부터의 상기 건물의 층 중 하나 이상의 층에 대해서도 위험상황 발생을 수신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건물맵 중 하나의 층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된 다수의 존 중 하나의 존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존을 확대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확대된 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중 하나의 카메라의 선택을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실시간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The control terminal, when receiving a selection for one floor of the first building map from the user without receiving the occurrence of a risk situation for one or more of the floors of the building from the main server for the selected floor The map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The user receives a selection of one zone among the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zones from the user, and enlarges the selected zone in three dimensions. And receiving a selection of one camera among one or more cameras installed in the zone, and displaying a real-time image of the selected zon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말은,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 terminal,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하나의 존에 대한 영상에 대한 타임라인기능을 통해, 일별, 시간대별 조회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A system for detecting a risk situation using a display terminal and a control terminal, which provides a daily and time zone inquiry through a timeline function for an image of the selected one zone from the us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말은,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display terminal, 상기 선택된 층에 대한 맵을 다수의 존으로 구별하여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다수의 존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도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단말과 제어단말을 이용한 위험상황감지 시스템.And displaying a map of the selected floor into a plurality of zones in three dimensions, and displaying a state in which one or more cameras ar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zones.
KR1020090132270A 2009-12-29 2009-12-29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KR101062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270A KR101062137B1 (en) 2009-12-29 2009-12-29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270A KR101062137B1 (en) 2009-12-29 2009-12-29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736A KR20110075736A (en) 2011-07-06
KR101062137B1 true KR101062137B1 (en) 2011-09-05

Family

ID=4491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270A KR101062137B1 (en) 2009-12-29 2009-12-29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1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75B1 (en) * 2014-03-11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entral control apparatus, facility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for controlling facilities
KR101400168B1 (en) * 2014-03-14 2014-05-28 (주)금성보안 Three-dimensional virtual security control system using 360 degree stereoscopic camera, and method thereof
CN111105581B (en) * 2019-12-20 2022-03-15 上海寒武纪信息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early warn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283A (en) 2005-11-04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curity device and program
JP2009110047A (en) 2007-10-26 2009-05-21 Hochiki Corp Disaster prevention display device
KR100934978B1 (en) * 2009-05-28 2010-01-06 강원식 System for security and preventing disatser using spac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8283A (en) 2005-11-04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curity device and program
JP2009110047A (en) 2007-10-26 2009-05-21 Hochiki Corp Disaster prevention display device
KR100934978B1 (en) * 2009-05-28 2010-01-06 강원식 System for security and preventing disatser using space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736A (en)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8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displaying video sources
US10484611B2 (en) Multi-video navigation
WO2018019135A1 (en) Target monitoring method, camera, controller and target monitoring system
JP6399356B2 (en) Tracking support device, tracking support system, and tracking support method
US20170085805A1 (en) Multi-video navigation system
KR20170015622A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98185B1 (en) Mobil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s thereof
KR101933153B1 (en) Control Image Re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bject of Interest
KR101221437B1 (en) Monitoring system using simplified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based cctv camera
JP2009252215A (en) Security device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EP396209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imag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carrier means
KR201100930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object
KR101062137B1 (en) Hazard situation detection system and display method using display terminal and control terminal
JP5824331B2 (en) Monitoring device
US10306185B2 (en) Network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02344897A (en) Video display device
US20210176435A1 (en) Video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displaying of video streams
EP3383031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video display apparatus
KR101063151B1 (en) Smart video detection system
CN112653815B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252921B1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playback method
US9813612B2 (en)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s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uperimposing image data on a display
KR201900519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Object of Interest by Selection of Object
US20220215687A1 (en) Monitoring apparatus
EP4270940A1 (en) Ptz mask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