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549B1 -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549B1
KR101061549B1 KR1020090116795A KR20090116795A KR101061549B1 KR 101061549 B1 KR101061549 B1 KR 101061549B1 KR 1020090116795 A KR1020090116795 A KR 1020090116795A KR 20090116795 A KR20090116795 A KR 20090116795A KR 101061549 B1 KR101061549 B1 KR 10106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texture
imag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261A (ko
Inventor
손영두
Original Assignee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54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Image Gene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맵에서 3차원 사물, 특히 건물 등을 표현함에 있어 사용되는 텍스처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고, 단순하게 처리하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되는 텍스처 맵핑 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사물의 표면을 표현하는 텍스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상기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한 변에 인접한 제2영역을 선정하는 영역 선정부, 제1영역에 맵핑될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맵핑하고, 상기 제2영역에 대해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을 반복 적용하는 이미지 적용부를 포함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3차원, 네비게이션, 텍스쳐, 맵핑

Description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Texture mapping system for 3D objec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차원 사물에 대한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맵에서 3차원 사물, 특히 건물 등을 표현함에 있어 사용되는 텍스처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고, 단순하게 처리하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네비게이션용 지도 제공 서비스는 단순히 2차원 지도만을 제공하는 것에서 가상의 3차원 화면으로 지도를 표시하여 제공하는 서비스로 바뀌는 추세이다.
이러한 3차원 지도에서는 기존의 2차원 지도에서 평면적인 영역으로 제공되던 가옥, 아파트, 빌딩 등이 도로 주변 요소와 교량, 터널 등의 도로 요소들을 3차원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네비게이션의 3차원 지도는 빠른 처리속도가 요구되므로 상세하게 건축물을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나 일정한 사실감의 제공과 처리속도 향상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비슷한 형상의 건축물에 대해 동일한 텍스쳐를 맵핑하거나 일정한 단위 텍스쳐를 사물에 직접 반복적으로 맵핑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즉, 건축물의 사실적인 표현을 위해서는 각 건축물의 너비와 높이가 실제와 비슷하여야 하나 그 너비와 높이에 따라 모두 다른 텍스쳐를 사용하게 되면 메모리 용량이나 처리속도에 문제가 생기며, 텍스쳐를 너비와 높이에 맞춰 늘리게 된다면 사실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의 텍스쳐 문양이 창문 등과 같은 반복적 패턴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일정한 여러 종류의 단위 텍스쳐를 두고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그 표면에 단위 텍스쳐를 반복함으로써 맵핑하되 건축물의 너비와 높이에 따라 건축물의 표면에 적용되는 단위 텍스쳐의 개수를 결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건물의 모든 면에 대해 단위 텍스쳐를 반복적으로 사용한다면 주로 한면의 너비가 긴 직사각형 형태이고 너비가 긴 면 정면에 창문을 설치하는 건물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조로운 텍스처가 된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너비가 짧은 건물 측면에 대해 단일색으로 맵핑하면 건물 정면의 텍스처와 연관성이 떨어져 부자연스러운 입체 형상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맵에서 3차원 사물, 특히 건물 등을 표현함에 있어 사용되는 텍스처 이미지의 크기를 줄이고, 단순하게 처리하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되는 텍스처 맵핑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3차원 맵의 특정 사물을 표현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 있어서, 사물의 표면을 표현하는 텍스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상기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한 변에 인접한 제2영역을 선정하는 영역 선정부, 제1영역에 맵핑될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맵핑하고, 상기 제2영역에 대해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을 반복 적용하는 이미지 적용부를 포함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서 일부 픽셀은 제1영역에 맵핑된 텍스처 이미지의 픽셀들 중 제2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한 열의 픽셀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인접한 변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일부 픽셀을 반복 맵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서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정면 중 적어도 한 개층을 표현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측면 중 상기 제1영역에서 표현하는 층에 대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서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최상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상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서 이미지 적용부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미지 적용부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정수로서 반복 적용하는 경우 잔여 영역이 있는 때에는 그 잔여 영역을 상기 제1영역에서 제외하고, 상기 제2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맵의 특정 사물을 표현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방법에 있어서,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을 표현하는 제1단계, 상기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한 변에 인접한 제2영역을 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될 텍스처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맵핑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대해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을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에서, 일부 픽셀은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픽셀들 중 상기 제2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한 열의 픽셀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인접한 변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일부 픽셀을 반복 맵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에서,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정면 중 적어도 한 개층을 표현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측면 중 상기 제1영역에서 표현하는 층에 대한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에서,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최상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상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에서, 제3단계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에서, 제4단계는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정수로서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고, 제4단계 이후 상기 제4단계에서 잔여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잔여 영역을 상기 제1영역에서 제외하고, 상기 제2영역에 포함시키는 제4-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은 3차원 맵에서 3차원 사물을 표현함에 있어 사용되는 텍스처 이미지의 전체 크기를 줄임으로써 사용되는 메모리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은 3차원 맵에서 3차원 사물의 표현시 단순 하게 처리하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시스템의 개요도로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텍스처 맵핑 시스템은 3차원 맵에서 3차원으로 표현될 특정 사물의 3차원 폴리곤(100)에 대해 텍스처 맵핑을 하기 위해 이미지 저장부(200), 영역 선정부(300), 이미지 선택부(400), 이미지 적용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텍스처 맵핑 시스템은 3차원 맵 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게 되며, 3차원 맵 처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3차원 맵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 의해 3차원으로 표현될 특정 사물은 각종 건축물, 주유소, 교량, 터널, 도로 등 3차원 맵에 표현되는 모든 사물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건물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서 이미지 저장부(200)는 각 사물에 대한 속성에 따라 다양한 텍스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으며, 특정 텍스처 이미지의 선택이 있으면 그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를 호출된 곳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영역 선정부(300)는 다른 3차원 맵 처리 시스템에서 처리한 특정 사물의 3차원 폴리곤(100)과 속성 데이터를 받아 그 3차원 폴리곤(100)에서 텍스처가 맵핑될 제1영역 및 그와 인접한 제2영역을 선정한다. 본 발명에서 제1영역에는 텍스처 이미지가 맵핑되며, 제2영역에는 제1영역에 맵핑된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220)만이 반복적으로 맵핑된다.
이미지 선택부는 제1영역에 대해 맵핑할 텍스처 이미지를 사물의 속성과 사물에서 제1영역이 위치하는 위치에 따라 선택한다. 하나의 제1영역에 대한 텍스처 이미지는 보통 하나만이 선택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2 이상의 텍스처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이미지 적용부(500)는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를 이미지 저장부(200)로부터 가져와 제1영역에 맵핑하고, 제1영역에 맵핑된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220)을 제2영역에 반복적으로 맵핑한다. 맵핑된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220)이란 제1영역에 맵핑된 텍스처 이미지에서 제2영역에 인접하는 픽셀열을 의미하며, 이때 1개열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적용부(500)는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가 반복 패턴의 단위 이미지인 경우로서 반드시 정수배로 맵핑이 이루어져야 3차원 사물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때에는 제1영역에 대해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를 정수배로 맵핑하되 잔여부분을 제1영역에서 제외시키고 제2영역에 편입시킴으로써 새로운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정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텍스처 맵핑 시스템이 텍스처 맵핑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와 같이 텍스처 맵핑을 하고자 하는 건물의 높이가 5층인 경우 영역 선정부(300)에서는 먼저 건물 폴리곤(100)(S0)의 정면에서 1층에 해당되는 영역을 제1영역(130)으로 선정하고, 건물의 오른쪽 또는 왼쪽 측면에서 1층에 해당되는 영역(120)을 제2영역(120)으로 선정한다(S1).
건물 폴리곤(100)의 정면과 측면의 구분은 예를 들어 각 면의 너비에 의해 너비가 상대적으로 긴 면을 정면으로 판단하며, 이 경우 정면과 후면의 구분이 없으므로 정면과 후면의 구분없이 모두 정면으로 판단해 본 실시예의 텍스처 맵핑을 실행한다. 정면과 후면의 구분이 필요한 경우 건물에 인접한 도로 중 그 폭이 넓은 도로를 바라보는 면을 정면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미지 선택부(400)는 정면 1층 영역(130)에 대해 그 건물의 속성에 따라 도 4와 같은 정면 1층 이미지(210)를 선택한다(S2).
이미지 적용부(500)는 정면 1층 영역(130)에 대해 선택된 정면 1층 이미지(210)를 맵핑하고(S3), 정면 1층 이미지의 우측단 또는 좌측단에 위치하는 1열의 픽셀(220)(도 4의 점선부분)을 건물 폴리곤(100)에 대한 측면 1층 영역(120) 전체에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맵핑한다(S4)(도 5 참조).
이미지 적용부(500)에서 정면 1층 영역(130)의 이미지로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210)를 적용함에 있어서, 정면 1층 영역(130)의 크기와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210)의 크기가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텍스처 이미지의 데이터를 줄이기 위해 같은 속성을 갖는 건물 집단에 대해 같은 텍스처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텍스처 이미지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으나 같은 속성을 갖는 건물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그 정면의 넓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면 1층 영역(130)의 높이는 건물의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너비는 각 건물마다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210)의 너비가 정면 1층 영역(130)의 너비보다 큰 경우가 발생되면 이미지 적용부(500)에서는 정면 1층 영역(130)의 너비로 잘라내어 텍스처를 적용한다. 선택된 텍스처 이미지(210)의 너비가 정면 1층 영역(130)의 너비보다 작은 경우에는 이미지 선정부(300)에서 선정한 제1영역인 정면 1층 영역(130)에서 텍스처 이미지(210)가 적용된 너비만큼의 영역만을 새로운 제1영역으로 결정하고, 나머지 영역은 이미지 선정부(300)에서 제2영역으로 선정한 영역에 포함시킨다. 이후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경계의 결정, 제1영역에 맵핑된 텍스처에서 제2영역에 인접한 픽셀열의 결정 및 제2영역에 대한 그 픽셀열의 반복적 적용은 이미지 적용부(500)에서 새로 결정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기준으로 실행된다.
건물의 1층에 대한 텍스처 맵핑이 완료되면, 건물의 5층에 대한 텍스처 맵핑을 이상의 건물 1층에 대한 텍스처 맵핑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하고, 그 다음 나머지 건물의 중앙부인 2층에서 4층 부분에 대한 텍스처 맵핑을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한다. 건물의 후면은 정면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며, 정면에 대한 이미지 맵핑시 함께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건물의 옥상면은 건물의 최상층에 대한 텍스처 맵핑시 최상층 이미지의 상단 1열의 픽셀을 건물의 옥상면에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맵핑된다.
건물의 중앙부인 2층에서 4층에 텍스처 맵핑을 실행할 경우에 있어서 텍스처 이미지는 도 6과 같은 반복적인 패턴에 대한 최소 단위인 단위 텍스처 이미지(230)가 선택되어 도 7에서와 같이 건물의 정면 중앙영역(310)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적용됨으로써 맵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건물 중앙부의 정면(310) 너비가 단위 텍스처 이미지(230) 너비의 정수배가 되지 않는다면 그 정수배 만큼 단위 텍스처 이미지(230)가 너비방향으로 적용된 후에는 단위 텍스처 이미지(230)의 일부만이 적용되어 부자연스러운 3차원 표현이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연스러운 3차원 표현을 위해 이미지 적용부(500)는 제1영역으로 선정된 정면 영역(310)에 대해 단위 텍스처 이미지(230)를 정수값으로만 적용하고, 제1영역(310) 중 단위 텍스처 이미지가 적용되지 않는 영역을 제1영역(310)에서 제외시키되 이를 우측면 또는 좌측면인 제2영역(320)에 추가시켜 텍스처 맵핑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롭게 정의된 제2영역에는 새롭게 정의된 제1영역에 맵핑 된 이미지에서 새롭게 정의된 제2영역에 인접하는 1열의 픽셀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맵핑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처 맵핑 방법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물 폴리곤에 대해 영역을 선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건물 1층에 대한 텍스처 이미지와 일부 픽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건물 1층에 대해 텍스처가 맵핑된 3차원 구조물,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택된 건물 중앙부에 대한 단위 텍스처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위 텍스처 이미지가 맵핑된 3차원 구조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3차원 폴리곤 120 : 1층 제2영역
130 : 1층 제1영역 200 : 이미지 저장부
210 : 정면 1층 이미지 211 : 출입문
220 : 일부 픽셀 230 : 단위 텍스처 이미지
300 : 영역 선정부 310 : 중앙부 제1영역
320 : 중앙부 제2영역 400 : 이미지 선택부
500 : 이미지 적용부

Claims (14)

  1. 3차원 맵의 특정 사물을 표현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물의 표면을 표현하는 텍스처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
    상기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한 변에 인접한 제2영역을 선정하는 영역 선정부;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될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 및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맵핑하고, 상기 제2영역에 대해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을 반복 적용하는 이미지 적용부
    를 포함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픽셀은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픽셀들 중 상기 제2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한 열의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인접한 변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일부 픽셀을 반복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정면 중 적어도 한 개층을 표현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측면 중 상기 제1영역에서 표현하는 층에 대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최상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옥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적용부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적용부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정수로서 반복 적용하되 잔여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잔여 영역을 상기 제1영역에서 제외하고, 상기 제2영역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시스템.
  8. 3차원 맵의 특정 사물을 표현하기 위한 텍스처 맵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을 표현하는 제1단계;
    상기 사물에 대한 3차원 폴리곤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적어도 한 변에 인접한 제2영역을 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될 텍스처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맵핑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2영역에 대해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일부 픽셀을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픽셀은 상기 제1영역에 맵핑된 상기 텍스처 이미지의 픽셀들 중 상기 제2영역에 인접한 적어도 한 열의 픽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이 인접한 변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일부 픽셀을 반복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정면 중 적어도 한 개층을 표현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측면 중 상기 제1영역에서 표현하는 층에 대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은 건물이며, 상기 제1영역은 상기 건물의 최상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건물의 옥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텍스처 이미지를 상기 제1영역에 정수로서 반복 적용하여 맵핑하고,
    상기 제4단계 이후 상기 제4단계에서 잔여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그 잔여 영역을 상기 제1영역에서 제외하고, 상기 제2영역에 포함시키는 제4-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처 맵핑 방법.
KR1020090116795A 2009-11-30 2009-11-30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795A KR101061549B1 (ko) 2009-11-30 2009-11-30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6795A KR101061549B1 (ko) 2009-11-30 2009-11-30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261A KR20110060261A (ko) 2011-06-08
KR101061549B1 true KR101061549B1 (ko) 2011-09-02

Family

ID=4439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795A KR101061549B1 (ko) 2009-11-30 2009-11-30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5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585B1 (ko) 2001-06-20 2006-05-16 가부시끼가이샤 젠린 건조물의 3차원 전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그 장치, 3차원 전자 지도 데이터의 생성 방법, 3차원 모델링 지원 장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기록 매체
KR100888155B1 (ko) 2008-05-14 2009-03-10 팅크웨어(주) 텍스처 맵핑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585B1 (ko) 2001-06-20 2006-05-16 가부시끼가이샤 젠린 건조물의 3차원 전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그 장치, 3차원 전자 지도 데이터의 생성 방법, 3차원 모델링 지원 장치, 데이터 수집 장치, 및 그 기록 매체
KR100888155B1 (ko) 2008-05-14 2009-03-10 팅크웨어(주) 텍스처 맵핑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261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3065B2 (en) Image pres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3D navigation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apparatus
CN107358649B (zh) 地形文件的处理方法和装置
EP29734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 of a repeating texture stored in a texture atlas
US81545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early Z test in title-based three-dimensional rendering
US8411113B1 (en) Layered digital image data reordering and related digital image rendering engine
KR100738500B1 (ko) 영상 기반 돌출 변위 매핑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중 변위매핑 방법
KR101609266B1 (ko) 타일 기반의 랜더링 장치 및 방법
US90134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ile-based rendering
EP29857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ile-based path rendering
CA2834575A1 (en) Method of rendering a terrain stored in a massive database
KR101591427B1 (ko) 3차원 지형 영상 가시화에서의 적응형 렌더링 방법
CN103052969B (zh) 抗失真图像生成装置及抗失真图像生成方法
JP2002304641A (ja) 都市景観表示装置
KR20170025099A (ko) 렌더링 방법 및 장치
KR100888155B1 (ko) 텍스처 맵핑을 이용하여 3차원 지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방법
EP2511877A1 (en) Heightmap generation for a virtual environment
KR101061549B1 (ko) 3차원 사물의 텍스쳐 맵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782324A (zh) 使用纹理坐标导数的加速的纹理查找
CN115129191B (zh) 三维对象拾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González et al. Combining displacement mapping methods on the GPU for real-time terrain visualization
AU2004219190A1 (en) Visual simulation of dynamic moving bodies
KR100624455B1 (ko) 3차원 그래픽스 환경에서의 라이트맵 처리 방법 및 장치
JP7368950B2 (ja) 効率的な建物フットプリント特定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Hoppe et al. Adaptive meshing and detail-reduction of 3D-point clouds from laser scans
JP4920775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