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912B1 -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 Google Patents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912B1
KR101060912B1 KR1020090066336A KR20090066336A KR101060912B1 KR 101060912 B1 KR101060912 B1 KR 101060912B1 KR 1020090066336 A KR1020090066336 A KR 1020090066336A KR 20090066336 A KR20090066336 A KR 20090066336A KR 101060912 B1 KR101060912 B1 KR 10106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video call
portable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8809A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6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912B1/en
Publication of KR20110008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외부의 매체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 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TV:television)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user interface device provided in 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medium to a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Receiving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a signal conver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video call signal to a control unit of a television (TV). The video call data may be stored in connection with the TV link unit.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USER INTERFACE APPARATUS AND DISPLAY DEVICE}USER INTERFACE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티비에 외부의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terface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device external to a TV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interface devic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란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TV, 게임기나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based on an image signal, and is widely us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TVs, game machines, computers, mobile phones, and the like.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외부에서 디스플레이를 무선으로 원격 조정하기 위한 리모콘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크기가 큰 디스플레이를 선호하여 디스플레이가 보다 대형화되고 있다.The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and a remote controller for wirelessly remotely controlling the display from the outside. In recent years, many people prefer large displays, and the displays have become larger.

최근에는 휴대폰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각종 통신 기기들이 진보를 거듭하여 음성은 물론 데이터 통신까지 가능하도록 그 영역을 넓혀왔다. 그 중에서도 휴대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대방의 모습을 보면서 통화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화상 통신은 시험단계를 넘어 일반적으로 많은 이들이 사용하는 실용화단계에 이르렀다.Recently, various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ave expanded their range to enable not only voice but also data communication. Among them, the video communication, which enables the user to talk while looking at the other party's appearance through the display device mounted on the mobile phone, has gone beyond the testing stage to the practical stage used by many people.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을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상대방의 얼굴을 마주보고 통화하는 효과가 있을만큼 크지 않으므로 실제적으로 상대방의 얼굴을 보는 것보다 단순히 화상 통화에 의미를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들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when making a video call using such a mobile phone, the size of the displa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is not large enough to have the effect of facing the other party's face, so it is more meaningful to the video call than to see the other party's face. In most case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iques that can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화상 통화 시에 그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user interface device and an interface device for connecting the video signal to a display during a video call of a personal mobile terminal.

외부의 매체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 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TV:television)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user interface device provided in 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and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medium to a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ser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Receiving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a signal conver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video call signal to a control unit of a television (TV). The video call data may be stored in connection with the TV link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외부의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온/오프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수신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리모콘 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 and the on /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 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A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signal conver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ler of a TV. Interface unit including; And a seating unit configured to fix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the main body such that a camera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faces the front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TV link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receive video call data. It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that is bent outward from the extension to suppor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cated above the main body, and may partially accommodat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의 리모콘에서 수신되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송신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송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리모콘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 and the on /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ssion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 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 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신호 변환부 및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A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signal conver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ler of a TV. Interface unit including; And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TV link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store video call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범용 직렬 버스(USB:Universal Serial Bus)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용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 TV 등의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eive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convert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display video signal, the user can make a video call from a large display device such as a TV at hom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콘을 사용하여 개인휴대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서도 간편하게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interface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using a remote control, it is possible to easily make a video call even at a long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A user interface device and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iorate other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modify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readily proposed, but they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apparatus in the display apparatus of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안착부(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100, a user interface unit 120, and a seating unit 130.

본체(100)는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전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10 formed on a front surface to output image information.

이때, 디스플레이부(110)는 수신된 영상 정보를 티비 제어부(20)로부터 전달바아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부(110)가 TV 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110 outputs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from the TV control unit 20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b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10 preferably uses a TV monitor, but may be applied to the display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그리고, 본체(100)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110)는 LCD, LED 나 PDP 종류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may be configured as one of LCD, LED, and PDP types.

또한, 본체(100)는 리모콘과 신호를 수신하여 여러 가지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수신부가 포함되며, 소리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스피커(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and a remote receiver that may control a variety of functions by receiving signals and a speak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sound to a user.

본체(100)의 저면에는 본체(1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12)가 장착되며, 지지대(112)에 의해서 본체(100) 자체가 평평한 지면이나 진열대 등에 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12)가 포함되도록 설계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지대는 생략될 수도 있다.A support 112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main body 10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itself may be mounted on a flat surface or a display stand by the support 112.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112 is designed to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may be omitt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또한, 본체(100)의 측면에는 개인휴대단말기가 구조적으로 고정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안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structurally fixed.

여기서, 개인휴대단말기란 휴대폰, PDA 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통신망이나 위성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정지화상이나 동영상 등 각종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성 있는 일체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Her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ny mobile terminal capable of being portable such as a mobile phone, a PDA,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capable of receiv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그리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티비 링크부(122), 티비 튜너 모듈부(124), 신호 변환부(126) 및 화상통화신호 수신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interface 120 may include a TV link unit 122, a TV tuner module unit 124, a signal converter 126, and a video call signal receiver 128. have.

티비 링크부(122)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외장형 PVR(personal video recorder) 및 셋톱박스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 외부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텔레비젼(DTV)과 상호 연결된 구성으로, 외부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기반의 제어용 유저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TV link unit 12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external devices such as a digital video recorder (DVR), an external personal video recorder (PVR), and a set-top box are interconnected with a digital television (DTV) through a network. Therefor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nd output a user interface for control based on its own On Screen Display.

또한, 티비 링크부(122)는 티비 제어부(20)와 연결되며, 티비 제어부(20)는 티비 링크부(122)와의 통신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V link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the TV control unit 20, and the TV control unit 20 may perform a communication and control function with the TV link unit 122.

그리고, 티비 튜너 모듈부(124)는 공중파 또는 유선, 케이블 방송 등의 티비 신호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티비 튜너 모듈부(124)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를 티비 제어부(2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V tuner module unit 124 serves to receive a TV signal such as over-the-air, wired or cable broadcasting. Therefor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V tuner module unit 124 is transmitted to the TV control unit 20 to output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110.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128)는 개인휴대단말기 제어부(30)에서 화상통화 시 개인휴대단말기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써 상기 화상통화신호를 전달받는다.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128 receives the video call signal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obile terminal and the display device to each other when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controller 30 makes a video call.

그리고, 신호 변환부(126)는 수신되는 화상통화 신호를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128)로부터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110)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로 변환한다.The signal converting unit 126 receives the received video call signal from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128 and converts the image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10.

이때, 신호 변환부(126)에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화상통화신호를 출력하기로 결정된다면,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통화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되고, 개인휴대단말기보다 사이즈가 큰 화면으로 영상을 접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conversion unit 126 outputs the video call signal to the display unit 110, the video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You can access the video on a larger screen.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개인휴대단말기로 화상통화 시에 상대방의 얼굴 표정이나 주변 상황 등을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 may mean that a personal mobile terminal can more accurately recognize a facial expression or surrounding situation of the other party during a video call.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describing a seating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부(1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the mounting unit 13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f the display device. However, the position of the seating unit 130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안착부(130)는 본체(10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132) 및, 연장부(132)로부터 본체(100)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개인휴대단말기(10)를 지지하는 지지대(11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unit 130 is an extension portion 132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a support for bending the extension portion 132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o suppor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112).

연장부(132)는 본체(100)의 측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며, 연장되는 길이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tension part 132 extends horizontally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extending length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연장부(132)에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측면에 직접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포트(134)가 마련될 수 있으며, 포트(134)는 인터페이스부(120)의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132 may be provided with a port 134 that can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sid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port 134 is a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128 of the interface unit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따라서, 사용자가 개인휴대단말기(10)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의 안착부(130)에 안착시킨 후에 포트(134)를 개인휴대단말기(10)에 접속시키면, 개인휴대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되면서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128)에 화상통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seats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on the seating unit 130 on the side of the display device and connects the port 134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fix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The video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all signal receiving unit 128.

또한, 지지대(112)는 연장부(132)와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100)의 외측으로 절곡되므로 개인휴대단말기(1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1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ortion 132, and can be ben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can stably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그러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개인휴대단말기(10)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향하여 배치되므로 화상 통화 시에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기가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10 on the display device, and since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10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it is easier to photograph his face during a video call. There i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unit among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안착부(230) 및 리모콘(240)을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210, a user interface unit 220, a seating unit 230, and a remote controller 240.

본 실시예에서 본체(2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 및 안착부(230)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in body 210, the user interface 220 and the seating portion 2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안착부(230)는 본체(2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1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230)는 본체(210)의 상부에 내측으로 들어가며 개인휴대단말기의 폭에 대응된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30)로 개인휴대단말기의 하부가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된다. The seating part 23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nd may partially accommodat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At this time, the seating portion 230 enters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10 and is formed 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 lower portion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portion 230 is fixed in its position do.

그러므로, 사용자는 손쉽게 개인휴대단말기(10)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10)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향하여 배치되므로 화상 통화 시에 자신의 얼굴을 촬영하기가 보다 용이하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on the display device, and since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it is easier to photograph his face during a video call.

그리고, 리모콘(240)은 TV 모니터인 디스플레이부(210)의 채널과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디스플레이부(210)의 화면 조정을 하거나, TV와 외부에 연결된 비디오나 DVD 튜너를 원격 조정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ler 240 adjusts a channel and a volume of the display unit 210 which is a TV monitor, and adjust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210 or remotely controls a video or DVD tuner connected to the TV and the outside. It can have a function.

그리고, 리모콘(240)에는 디스플레이부(210)의 다른 기능들을 원격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ler 24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remotely controlling other functions of the display unit 210.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20)는 외부의 리모콘(240)에서 수신되는 개인휴대단말기(10)를 온/오프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수신부(222) 및 리모콘 신호 수신부(222)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온/ 오프 신호를 개인휴대단말기(10)에 전달하는 리모콘 신호 제어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user interface 220 includes a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222 and a remote controller signal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receiv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240. The on /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222 may include a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unit 224 for transmitting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따라서, 리모콘 신호 송신부(242)에서는 무선으로 상기 온/오프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222) 및 리모콘 신호 처리부(224)를 통해서 개인휴대단말기 제어부(30)로 신호를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해서 개인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에 대해서 온/오프할 수 있다.Therefore,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er 242 wirelessly transmits the on / off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ntroller 30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receiver 222 and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processor 224. The remote controller can be used to turn on / off the video call of the personal mobile device.

또는, 리모콘 신호 송신부(242)에서 전화번호 입력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리모콘(240)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리모콘(240)은 이러한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에 번호를 입력하거나 커서를 조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r 242 may transmit the signal so that the telephone number can be input, and through this process, a telephone call can be made using the remote controller 240. However, the remote controller 240 is not limited to such a function, but may be designed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inputting a number or adjusting a cursor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3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 및 케이블(3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main body 310, a user interface 320, and a cable 330.

본 실시예에서 본체(31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앞선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ain body 310 and the user interface 3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vious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may be omitted.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0)는 케이블(330)에 의해서 개인휴대단말기(10)와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user interface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rsonal mobile terminal 10 and the display device by a cable 330.

그리고, 케이블(330)은 화상신호 중에서 영상신호 및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잭(332)이 일단에 형성되며, 나머지 타단에는 개인휴대단말기(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범용 직렬 버스(334/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le 330 has a jack 332 formed at one end for transmitting a video signal and an audio signal among image signals, and a general serial bus 334 / US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at the other end. (Universal Serial Bus).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휴대단말기(10)의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를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erminal currently being used can be applied without a separate design change o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330)에 의해서 연결된 개인휴대단말기(10)는 거치대에 장착되거나 바닥에 놓여지게 되는데, 사용자의 영상을 상대방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본체(300)의 상부에는 카메라부(312)가 장착될 수 있다.T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connected by the cable 330 is mounted on the cradle or placed on the floor, the camera unit 312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00 to provide an image of the user to the other party. Can be.

이때, 카메라부(312)는 소형 카메라 모듈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개인휴대단말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화상통화를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mera unit 312 may be a small camera module, and may take a function of capturing an image of a user and delivering the image to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erefore, the user can simply make a video call using th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device i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안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for describing a seating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 Main Unit 120 .... User Interface

130.... 안착부 240.... 리모콘130 .... seating 240 .... remote control

Claims (10)

외부의 매체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A user interface device provided in a display device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n external medium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display unit.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A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receiving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tv)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며,And a signal convert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video signal to a TV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TV link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user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video call dat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외부의 리모콘에서 송신하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온/오프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수신부; 및A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리모콘 신호 제어부;A remote control signal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on /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The user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A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 및A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signal conver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 unit of a TV. Interface unit including; And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가 상기 본체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안착부;를 포함하며,And a seating part for fix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camera mounted o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faces the front of the main body.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TV link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video call dat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seating part is located at a side of the main body.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seating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extending along th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upport that is bent from the extension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seat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 partially receiv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외부의 리모콘에서 수신되는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온/오프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송신부 및, 상기 리모콘 신호 송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온/오프 신호를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전달하는 리모콘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interface unit may include a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ignal for turning on / off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remote controller, and a remote controller signal for transmitting the on / off signal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signal transmitter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본체;A main body hav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image information; 외부의 개인휴대단말기로부터 화상통화 신호를 전달받는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화상통화 신호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상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티비의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부; 및A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call signal from an external personal mobile terminal, and a signal convert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video call signal receiving unit and converting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and transmitting it to a controller of a TV. An interface unit; And 상기 신호 변환부 및 상기 개인휴대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며,And a cabl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ignal conversion unit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부는 외부기기에 연결된 티비 링크부와 연결되어 화상 통화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TV link unit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video call dat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케이블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범용 직렬 버스(USB:Universal Serial Bu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he cable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the user.
KR1020090066336A 2009-07-21 2009-07-21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KR101060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36A KR101060912B1 (en) 2009-07-21 2009-07-21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36A KR101060912B1 (en) 2009-07-21 2009-07-21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09A KR20110008809A (en) 2011-01-27
KR101060912B1 true KR101060912B1 (en) 2011-08-30

Family

ID=4361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336A KR101060912B1 (en) 2009-07-21 2009-07-21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9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3973B2 (en) 2020-01-0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96124B2 (en) 2020-01-0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258B1 (en) * 2014-09-17 2016-12-2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3973B2 (en) 2020-01-06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05024B2 (en) 2020-01-06 202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796124B2 (en) 2020-01-06 2023-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996016B2 (en) 2020-01-06 2024-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09A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9899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responding to message, and program
US20080194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edia Data
US20050174488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from a remote electronic device
JP2011091699A (en) Cell-phone and incoming call notification system
KR101060912B1 (en) User Interface Devices and Display Devices
KR101469838B1 (en) Image sensor and observ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663470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taking a photograph method using that
KR101368698B1 (en) Smart phone mounting arm
KR100715972B1 (en) Game method using mobile terminals having a function of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EP2401681B1 (en) Methods and an apparatus for optimizing playback of media content from a digital handheld device
KR100584390B1 (en) Method for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3514818A (en) Display device
KR101390949B1 (en) Smart phone cradle with built in video output
US20060143014A1 (en) [adapter]
EP16597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hone video conferencing
KR100518125B1 (en) Business method for monitoring multi-media playback by television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KR1011023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ocking station's controlling mobile station on TV display
KR101050609B1 (en) Video signal output interface device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63471B1 (en) System for including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taking a photograph method using that
KR10063010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home theater with multi-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CN210642905U (en) Carrying bag with television
KR20030065015A (en) System for transmitting of radio data in bluetooth module by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63141B1 (en) Zoom camera system with high-pixel
KR1011506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image and sound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995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D service of TV system using th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