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668B1 -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668B1
KR101060668B1 KR1020090030685A KR20090030685A KR101060668B1 KR 101060668 B1 KR101060668 B1 KR 101060668B1 KR 1020090030685 A KR1020090030685 A KR 1020090030685A KR 20090030685 A KR20090030685 A KR 20090030685A KR 101060668 B1 KR101060668 B1 KR 10106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key
value
encryption
h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264A (ko
Inventor
이요섭
김종대
Original Assignee
시모스 미디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모스 미디어텍(주) filed Critical 시모스 미디어텍(주)
Priority to KR1020090030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66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0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block codes, i.e. a predetermined number of check bits joined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information bits
    • H03M13/09Error detection only, e.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CRC] codes or single parity bit
    • H03M13/095Error detection codes other than CRC and single parity bit codes
    • H03M13/096Checksums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방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제표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라 구현되어진 방송장비와 수신단말기들의 기본적인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하도록 현재의 수신제한규격 및 수신기에서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Encoding/Decoding Method for preventing hacking(illegal watching) at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of Satellite/Terrestrial Receiver}
본 발명은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방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제표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라 구현되어진 방송장비와 수신단말기들의 기본적인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하도록 현재의 수신제한규격 및 수신기에서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 또는 지상파 디지탈 방송시스템에서는 영상의 경우 통상적으로 MPEG2 또는 MPEG4, H.264 와 같은 국제규격의 압축방식을 적용하고 유료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 수신제한장치(CAS, conditional access system) 을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전달을 위한 규격으로는 영상과 음성을 압축한 신호를 188byte 단위의 packet으로 구성되는 TS(transport stream) 라는 규격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 각각의 TS packet은 국제표준 CSA(common scrambler algorithm) 방식을 사용하여 암호화 되어있다.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국제표준에 따른 수신제한 시스템의 방송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예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88 byte TS packet은 특정 Key(또는 code word)에 의해서 CSA 방식으로 스크림블링되어 암호화된 새로운 188 byte TS(e) packet 을 만들어 보내고, Key 역시 RSA(Rivert Shamir Adleman) 공개키 암호시스템 방식의 암호화 과정을 거쳐서 Key(e) 을 만든 뒤 TS(e) 와 다중화(Multiplxer) 하여 보낸다.
수신단에서는 먼저 암호화되어 전송되어온 Key(e) 을 복호하여 Key 를 복원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신되어온 188 byte TS(e) packet 들을 디스크램블링하여 TS packet 으로 복원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TS packet은 방송 송출시스템 및 수신제한 장치 등의 운용 및 관리 등을 위해서 보통 5초 정도 마다 Key 를 변경하여 전송하며, 그에 따라 만일의 경우 어떤 방법으로 Key 를 알아내어 해킹에 성공해도 단지 5초정도 사이의 영상,음성만이 복원가능하다.
위의 방식들은 모두 국제표준화 된 기술이지만 궁국적으로 해킹이 가능하고 대부분 해킹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라 보다 실효성있는 해킹방지 시스템과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방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국제표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라 구현되어진 방송장비와 수신단말기들의 기본적인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현실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하도록 현재의 수신제한규격 및 수신기에서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방법의 특징은, 순차적으로 4 byte 용량의 헤더와 184 byte의 데이터가 하나의 TS 패킷(packet)을 이루며 각 패킷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되, 소정시간 단위로 전송되는 TS 패킷들에 약정된 암호키를 활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는 수신제한 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TS 패킷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억세스 되어진 값을 보조키로 설정하여 상기 암호키와 약정된 순서로 합성하여 합성키를 생성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합성키를 변경된 암호키로 설정한 후 상기 제 1과정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한 해당 TS 패킷을 암호화 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복호화 방법의 특징은, 순차적으로 4 byte 용량의 헤더와 184 byte의 데이터가 하나의 TS 패킷(packet)을 이루며 각 패킷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되, 소정시간 단위로 전송되는 TS 패킷들에 약정된 암호키를 활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는 수신제한 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TS 패킷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억세스 되어진 값을 보조키로 설정하여 상기 암호키와 약정된 순서로 합성하여 합성키를 생성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합성키를 변경된 암호키로 설정한 후 상기 제 1과정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 한 해당 TS 패킷을 복호화 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와 복호화 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특정 값은 TS packet 표준방식에서 4byte 헤더에 들어있는 패킷넘버에 해당하는 순차적인 번호 값을 활용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와 복호화 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특정 값은 특정 TS 패킷의 header 또는 data의 CRC 또는 Check Sum 형태의 값을 활용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와 복호화 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특정 값은 송수신되는 실시간적인 현 시점의 TS 패킷내의 특정위치의 데이타값 또는 조합된 값을 활용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방법으로 특정방송이나 독립적인 방송사업자가 방송을 송출할 때 본 특허에서 정의된 방식으로 암호를 한 후 수신쪽에서는 이를 적용한 전용칩을 수신칩 전단에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어진 기술적 사상을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발생되는 요인을 검토하며 살펴보면,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국제표준안에 따른 수신제한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TS packet은 특정 Key에 의해서 암호화 되어서 전송되며 수신제한시스템의 운용상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5초 정도의 주기를 가지고 Key 가 변경된다.
상기 TS packet 단위의 스트림 및 구성 예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데,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암호화된 Packet이 각각 5초정도씩 0x23543498, 0x19724238 라는 다른 값의 Key 로 암호화되어 있는 예로서, 하나의 Packet 내의 통상적인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만약 그런 Key가 노출이 되거나 누군가가 Key을 획득한다면 5초 동안은 해킹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5초 정도의 시간간격은 해킹방지를 위해 변경된 Key을 수신단에서 복호화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간격으로 수신단의 전용 Key 복원부의 Key 복원능력을 고려하여 정해진 최소한의 시간이다.
즉, 통상적인 위성방송시스템을 예로 들어 살펴보면, 통상적인 위성방송의 경우 5개 정도의 채널을 포함하여 보통 27,500,000 symbol rate 정도로 전송되는데, 이는 초당 약 18,000개의 TS packet에 해당한다.(27,500,000/(188byte * 8 bit))
그러므로 각 packet은 최소 55㎲ 정도의 간격을 주기로 하여 전송되며 5개의 채널이 순차적으로 전송가능하며, 이에 최대 275 usec(55 usec * 5) 마다 특정 채널의 TS packet이 수신된다.
따라서 수신시스템은 275㎲ 마다 CSA 방식으로 암호화된 TS packet을 풀어야 하며, 이렇게 5초 동안 동일 Key에 의해서 하드웨어화 된 CSA 로 풀고 그사이 다음 암호구간을 위해 새로이 수신된 Key(e) 을 Key 로 복호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는 프로세서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수신 장비에 내장된 프로세서 등이 위의 능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고 해커들이 Key을 해킹하기 위한 공식 또는 방정식 등을 제공하여 그런 Key 가 5초 이내에 알아내고 이것을 매번 Key 변경 때마 다 반복하여 결국 수신제한시스템이 해킹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혹자는 매 TS packet 마다 Key를 바꾸고 바뀐 Key로 TS packet 을 암호화하여 보내주고 수신부에서도 매 Packet 마다 각각에 해당하는 Key을 수신하여 디스크램블링 한다면 위의 해킹은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개진할지 모르나, 이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양산하게 된다.
전술한 개성방향으로 시스템을 구현하면 첫 번째로 수신제한시스템의 조건상 55㎲ 마다 매번 암호화된 Key 을 전송해 주어야 하는데, 이는 55㎲ 마다 64bit 의 별도정보를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과도한 Data Overload 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또한 두 번째로 각 수신기에서는 전용 Key 복호화 블럭에서 매 packet 마다 소프트웨어적으로 Key 복원을 해야 하는 데, RSA와 같은 암호화된 Key복호를 275 usec 내에 software 적으로 복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TS packet 마다 어떤 Key 로 디스크램블링해야 하는가에 대한 매핑정보가 추가로 필요한데, 수신되는 TS packet에 어떤 Key가 대응하는가를 판단하는 별도의 과정이 매우 고속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처리 능력을 보이기 위해서는 고사양 고비용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데 따른 소비자 부담의 비용적 측면과 방송 서비스 수신의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이런 문제점 등으로 국제규격 DVB 및 CAS 시스템에서는 적절한 최소 암호화 구간을 5초 정도의 소정시간으로 정의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송국의 사정에 따라서 이보다 매우 크거나 또는 Key 을 변경하지 않는 경우 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TS packet 단위의 스크림 구조에서 실제적인 184 byte의 데이터와 함께 전달되는 4 byte의 헤더 내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부가적인 키로 활용한다면 불가능할 것처럼 보였던 해킹방지 개선안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는데 착안한 것이다.
즉, 정상적인 기존의 Key는 유지하면서 부가적으로 각 TS packet의 헤더에 존재하는 특정한 위치 값을 보조적인 암호화 키로서 활용한다면, 결국 각각의 TS packet 마다 별개의 key로 암호화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각 TS packet의 헤더 또는 데이터에 존재하는 부가적인 값을 활용하여 복호화함에 따라 처리능력의 향상 없이 손쉽게 복호화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착안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TS packet의 헤더에 존재하는 특정한 위치 값을 보조적인 암호화 키로 활용함에 따라 이하에서는 해단 값을 “TS packet의 고유정보”라 칭 한다.
상기 TS packet의 고유정보는 특정 Packet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내용으로는 다른 packet과는 독립적으로 단지 그 Packet만의 정보만으로 취득할 수 있어야 하는데, 예를 들면 특정 채널의 Packet에 순차적으로 할당된 CSA의 표준방식에서 4byte Header에 들어있는 packet number에 해당하는 순차적인 번호 값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정 packet 의 header 또는 data 의 CRC 또는 Check Sum 형태의 값을 활용 할 수도 있고, Packet 내의 특정위치의 데이타값 또는 조합된 값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내는 구성예시도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림 3과 같이 원래의 5초 사이마다 바뀌는 Key 는 그대로 적용하며 매 TS packet 마다 해당 Packet이 가지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하여 원래의 Key 와 함께 변형된 Key 을 만들고 암호화 한다.
즉 5초 정도의 암호구간동안 단 1개의 Key 만을 전송하지만 실제 각각의 TS packet 에 적용된 Key 는 각각의 모든 TS packet 이 독립적으로 만들어낸 고유정보와 조합되어서 Key(m) = (Key # TS packet 고유정보) 형태로 암호화 된다.
Key(m,1) = Key # TS Packet(1) 고유정보
Key(m,2) = Key # TS Packet(2) 고유정보
TS Packet(m,n) 고유정보 : m 번째 암호구간에서 n 번째 TS packet 에 의해서 결정된 독립적인 특정값.
C = A # B : C 는 A 값과 B 값을 연산 또는 변형에 방정식에 의해서 C 값이 결정됨.
그리고 수신단에서는 5초에 1개의 Key 을 복구한 후에 들어오는 TS 의 고유정보정보와 함께 Key(m,n) 으로 CSA 암호화된 현재의 TS packet을 디스크램블링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Key 는 암호구간동안 1개만이 전송되며 실제 암호화는 모든 TS packet 마다 별개의 Key 로 암호화 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위와 같은 형태로 송신단에서 보내주면 기존의 수신칩에서는 이 시간안에 특정채널의 packet 마다 software 적으로 Key 을 알아내어서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된 CSA 에 Key 을 변경시켜주어야 하는데 설령 위의 # 에 해당하는 연산방정식을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275use 마다 들어오는 TS packet 을 찾아서 해당되는 Key(m,n) 을 매핑시켜주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수신칩은 하드웨어방식의 CSA 을 가지고 있음에서 불구하고 채널의 복구가 불가능하고 따라서 해킹이 이루어질 수 없다.
이것은 또한 Key 와 고유정보 및 Key 변형 연산방정식 # 을 알고 있어도 현재의 수신칩들은 실제 반영해 줄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전용 하드웨어가 없다면 복원이 불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국제표준에 따른 수신제한 시스템의 방송체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국제표준에 따른 TS packet 단위의 스트림 및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방법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구현 개념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TS Packet 고유특성정보 추출부
200 : Key(#) 합성부

Claims (8)

  1. 순차적으로 4 byte 용량의 헤더와 184 byte의 데이터가 하나의 TS 패킷(packet)을 이루며 각 패킷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되, 소정시간 단위로 전송되는 TS 패킷들에 약정된 암호키를 활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는 수신제한 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TS 패킷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억세스 되어진 값을 보조키로 설정하여 상기 암호키와 약정된 순서로 합성하여 합성키를 생성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합성키를 변경된 암호키로 설정한 후 상기 제 1과정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한 해당 TS 패킷을 암호화 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CSA의 표준방식에서 4byte 헤더에 들어있는 패킷넘버에 해당하는 순차적인 번호 값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특정 TS 패킷의 header 또는 data의 CRC 또는 Check Sum 형태의 값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송수신되는 실시간적인 현 시점의 TS 패킷내의 특정위치의 데이타값 또는 조합된 값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방법.
  5. 순차적으로 4 byte 용량의 헤더와 184 byte의 데이터가 하나의 TS 패킷(packet)을 이루며 각 패킷들이 순차적으로 전송되되, 소정시간 단위로 전송되는 TS 패킷들에 약정된 암호키를 활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는 수신제한 방법에 있어서: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TS 패킷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억세스되어진 값을 보조키로 설정하여 상기 암호키와 약정된 순서로 합성하여 합성키를 생성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생성되어진 합성키를 변경된 암호키로 설정한 후 상기 제 1과정에서 특정 값을 억세스 한 해당 TS 패킷을 복호화 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복호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CSA의 표준방식에서 4byte 헤더에 들어있는 패킷넘버에 해당하는 순차적인 번호 값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복호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특정 TS 패킷의 header 또는 data의 CRC 또는 Check Sum 형태의 값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복호화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값은 송수신되는 실시간적인 현 시점의 TS 패킷내의 특정위치의 데이타값 또는 조합된 값을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복호화 방법.
KR1020090030685A 2009-04-09 2009-04-09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10106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685A KR101060668B1 (ko) 2009-04-09 2009-04-09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685A KR101060668B1 (ko) 2009-04-09 2009-04-09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264A KR20100112264A (ko) 2010-10-19
KR101060668B1 true KR101060668B1 (ko) 2011-08-30

Family

ID=4313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685A KR101060668B1 (ko) 2009-04-09 2009-04-09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0677B2 (en) 2011-09-21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client device,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port stream thereof and processing the transport stream thereof
KR20160129990A (ko) 2015-04-30 2016-11-10 이호준 해킹 방지용 원격지원 제어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804A (ja) 2005-03-30 2006-10-1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クランブ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9804A (ja) 2005-03-30 2006-10-12 Pioneer Electronic Corp スクランブ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0677B2 (en) 2011-09-21 2015-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client device, method for generating a transport stream thereof and processing the transport stream thereof
KR20160129990A (ko) 2015-04-30 2016-11-10 이호준 해킹 방지용 원격지원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264A (ko) 201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7850B2 (en) Content data,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US821360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crypting and decrypting a transport stream using multiple algorithms
US8472623B2 (en) Content data,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ing apparatus and decoding method
CN1186731C (zh) 保护计算机系统内版权数据的装置、方法
US4887296A (en) Cryptographic system for direct broadcast satellite system
JP3655921B2 (ja) 伝送地点において複数のサービスを一意的に暗号化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0782865B1 (ko)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1277418B1 (ko) 콘텐츠 암호화 업그레이드 방법
US8281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rypting transport stream of multimedia cont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rypting transport stream of multimedia content
US100844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non-persistent real-time encryption key distribution
JP2000138668A (ja) デジタルカオスモデルに基づくパケット交換回路網用の暗号化システム
JP2831650B2 (ja) 信号スクランブル伝送方式および装置
WO2005029765A1 (ja) 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伝送システム
EP297433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extracting command and control data
JP2004138933A (ja) デジタル映像スクランブル装置、デスクランブル装置および該装置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US73696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loss of cipher synchronization
RU2541190C2 (ru) Способы дешифровани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контрольных слов, наситель записи и сервер контрольных слов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их способов
EP0179612A2 (en) Cryptographic system for direct broadcast satellite network
KR100739487B1 (ko) 송출국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060668B1 (ko) 위성/지상파 수신제한시스템에서 해킹방지를 위한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KR20050009227A (ko) 개별 비디오 암호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005844B1 (ko) 메모리 카드 기반의 ts 패킷 처리를 위한 수신 제한 시스템
RU2534925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пособ расшифрования,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и терминал для способа защиты
CN100440884C (zh) 本地数字网络、安装新设备的方法及数据广播和接收方法
JP4127778B2 (ja) 放送送受信方法、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