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622B1 - 치아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622B1
KR101059622B1 KR1020090122891A KR20090122891A KR101059622B1 KR 101059622 B1 KR101059622 B1 KR 101059622B1 KR 1020090122891 A KR1020090122891 A KR 1020090122891A KR 20090122891 A KR20090122891 A KR 20090122891A KR 101059622 B1 KR101059622 B1 KR 101059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ixing
cleaning nozzle
hand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295A (ko
Inventor
심종원
Original Assignee
심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원 filed Critical 심종원
Priority to KR102009012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6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4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consta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4/00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2204/002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관과 휴대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입안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치아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치아 세정장치는,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110)가 형성된 손잡이부(100); 미사용시 상기 공간부(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손잡이부(100)의 상부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110)로부터 물을 압송시켜 주기 위한 압송수단(210)이 구비된 몸체(200); 및 상기 몸체(200)의 선단에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압송수단(210)에 의해 압송된 물을 분사시켜 주는 세정노즐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치아, 세정, 펌프, 구동모터, 노즐

Description

치아 세정장치{Toot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조립과 분리가 가능하고, 특히 미사용시에는 본체를 손잡이 안에 집어넣어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사용방법으로 입안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치아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세정은 입안을 물로 헹구거나 치실을 많이 이용해 왔다. 물로 세정하는 경우 입안을 한번에 세정할 수는 있으나, 입안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경우 스스로 세정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치실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경우, 어금니라든가 앞니처럼 특정 치아등에 대한 세정효과는 높일 수 있었으나 입안 전체에 대한 세정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치실을 너무 오래 사용하다 보면 치아에 손상을 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관과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노약자나 어린이들도 입안 구석구석을 손쉽게 세정할 수 있는 치아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는,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손잡이부; 미사용시 공간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손잡이부의 상부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간부로부터 물을 압송시켜 주기 위한 압송수단이 구비된 몸체; 및 몸체의 선단에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압송수단에 의해 압송된 물을 분사시켜 주는 세정노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몸체는 일측단부에 손잡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플랜지부에는 폭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손잡이부에는 상부의 내주면에 플랜지부의 진입을 제한하기 위한 단턱부와, 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돌기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쌍의 고정가이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압송수단은, 소형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 공간부의 물을 상기 세정노즐부을 통해 분출시켜 주는 왕복펌프;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왕복펌프의 상하 작동력으로 전환시켜 주는 동력전달수단; 및 공간부와 왕복펌프를 연결시켜 주는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동력전달수단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환시켜 주는 링기어부 및 왕복펌프의 플런저를 링기어부 에 편심되게 연결시켜 주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몸체는 상부에 세정노즐부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끼움구멍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가이드가 구비되며;, 세정노즐부의 하부에는 끼움구멍에 일정 부분 이상이 끼워지지 않도록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하는 플랜지부와, 플랜지부의 저부에 세정노즐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가이드의 안내를 받는 한쌍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아 세정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칫솔과 같은 사용방법으로 세정노즐부를 이용하여 입안 구석구석까지 물을 분사하면서 치아를 세정할 수 있어 보다 청결한 치아 세정이 가능하다.
둘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세정이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몸체를 손잡이부에 끼워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셋째,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물이 분사되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등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의 미사용시 몸체가 손잡이부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는, 크게 소정의 양만큼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손잡이부(100)와, 손잡이부(100)로부터 물을 압송하기 위한 압송수단(210)이 구비된 몸체(200)와, 몸체(200)의 상부에 탈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정노즐부(300)를 포함한다. 특히, 몸체(200)는 치아 세정장치의 미사용시 손잡이부(100)에 수납되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손잡이(100)와, 몸체(200) 그리고 세정노즐부(300)는 상하로 끼워 맞춘 후에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에 따라 서로 쉽게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부(100)는 하부가 막히고 소정의 직경을 갖는 얇은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특히, 공간부(110)의 내부에는 상부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하여 단턱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단턱부(120)에는 상면에 공간부(110)와 연통가능하게 통공(122)이 형성되고, 이 통공(122)에는 공간부(110)의 저부까지 도달하도록 튜브(123)가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통공(122)과 튜브(12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부(100)의 개구된 상부에는 한쌍의 고정가이드(121)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각 고정가이드(121)는 손잡이부(100)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절개되었다가 다시 수평으로 절개되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 고정가이드(121)는 수평부분의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가이드(121)는 단턱부(120)의 상면과 손잡이부(100)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몸체(200)는 내부가 빈 중공(240)의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는 윗쪽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도록 테이퍼져 있다. 특히, 내부에는 상기 공간부(110)의 물을 세정노즐부(300)로 압송할 수 있도록 압송수단(210)이 구비된다.
압송수단(210)은 몸체(200)의 내부 저부에 설치되어 소형전지(미도시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11)와, 몸체(200)의 내부 윗쪽에 설치되어 상하작동에 의해 펌핑작용하는 왕복펌프(212)와, 구동모터(211)의 구동력을 왕복펌프(212)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213)과, 공간부(110)와 왕복펌프(212)를 연결시켜 주는 호스(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모터(21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오프스위치는 몸체(20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리고, 동력전달수단(213)은 왕복펌프(212)의 플런저(미도시됨)가 크랭크 구조와 같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저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동력전달수단(213)은 구동모터(211)의 회전방향을 바꿔주기 위한 링기어부(213a)와, 이 링기어부(213a)에 편심되게 힌지고정된 링크부(313b)를 포함한다. 특히, 링크부(313b)는 타단이 왕복펌프(212)의 플런저에 힌지고정된다.
그리고, 왕복펌프(212)는 토출구(212a)가 몸체(200)의 상단에 장착되고, 이 토출구(212a) 측에는 상기 호스(214)의 일단이 연결된다. 호스(214)는 타단이 몸체(2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바닥면을 통해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때, 호스(214)의 돌출위치는 몸체(200)를 손잡이부(100)에 끼워서 돌려 고정시켰을 때, 상기 통공(122)과 일치하게 한다.
한편, 몸체(200)는 저부가 손잡이부(100)의 상부에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200)의 저부에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한쌍의 고정가이드(121)와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돌기(221)가 돌출 성형된다. 이러한 몸체(200)는 고정돌기(221)가 해당 고정가이드(121)에 끼워지게 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단턱부(120)와 플랜지부(220)가 압착되면서 손잡이부(100)와 몸체(200)의 장착을 마치게 된다.
그리고, 몸체(200)에는 상부에 세정노즐부(300)를 탈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200)의 상부에는 상술한 왕복펌프(212)의 토출구(212a)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230)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이 끼움구멍(230)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가이드(231)가 형성된다. 이들 고정가이드(231) 는 상술한 고정가이드(121)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세정노즐부(300)는 일종의 노즐로서, 저부에는 외주면에 플랜지부(310)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310)의 아랫쪽에는 상기 고정가이드(231)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고정돌기(3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세정노즐부(300)는 고정돌기(311)가 고정가이드(231)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230)에 끼운 다음,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플랜지부(310)가 몸체(20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고정된다. 이때, 세정노즐부(300)는 토출구(212a)와 연통되게 되어 왕복펌프(212)의 동작으로 공간부(11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된 몸체(200)의 하부를 손잡이부(100)의 상부에 끼운 다음 돌리게 되면, 도 1b에서와 같이, 단턱부(120)와 플랜지부(220)가 서로 가압하게 되어 손잡이부(100)와 몸체(200)가 서로 결합되면서 호스(214)가 통공(122)과 연통되게 된다. 이어, 몸체(200)의 상부에 세정노즐부(300)를 끼우고 돌리게 되면, 몸체(200)의 상단부와 플랜지부(310)가 가압되면서 일체로 장착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는, 미사용시 도 2에서와 같이 몸체(200)를 손잡이부(100)의 내부, 즉 공간부(110)에 수용하여 보관한다. 이를 위하여, 몸체(200)의 상부가 공간부(110)의 바닥을 향하도록 끼운 다음, 고정돌기(221)를 고정가이드(121)에 맞추게 된다. 그리고 나서, 몸체(20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 술한 몸체(200)와 손잡이부(100)의 결합과 마찬가지 방법에 의하여 몸체(200)가 손잡이부(100) 내부에 수용되게 되는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세정장치의 미사용시 몸체가 손잡이부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손잡이부 110 : 공간부
120 : 단턱부 121 : 고정가이드
122 : 통공 200 : 몸체
210 : 압송수단 211 : 구동모터
212 : 왕복펌프 212a : 토출구
213 : 동력전달수단 213a : 링기어부
213b : 링크부 214 : 호스
220 : 플랜지부 221 : 고정돌기
230 : 끼움구멍 231 : 고정가이드
240 : 중공 300 : 세정노즐부
310 : 플랜지부 311 : 고정돌기

Claims (5)

  1.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110)가 형성된 손잡이부(100);
    미사용시 상기 공간부(11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손잡이부(100)의 상부에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공간부(110)로부터 물을 압송시켜 주기 위한 압송수단(210)이 구비된 몸체(200); 및
    상기 몸체(200)의 선단에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압송수단(210)에 의해 압송된 물을 분사시켜 주는 세정노즐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는 일측단부에 상기 손잡이부(10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220)에는 폭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돌기(221)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00)에는 상부의 내주면에 상기 플랜지부(220)의 진입을 제한하기 위한 단턱부(120)와, 상기 몸체(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돌기(221)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쌍의 고정가이드(1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수단(210)은,
    소형전지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211);
    상기 공간부(110)의 물을 상기 세정노즐부(300)을 통해 분출시켜 주는 왕복펌프(212);
    상기 구동모터(211)의 회전력을 상기 왕복펌프(212)의 상하 작동력으로 전환시켜 주는 동력전달수단(213); 및
    상기 공간부(110)와 상기 왕복펌프(212)를 연결시켜 주는 호스(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13)은,
    상기 구동모터(211)의 회전력을 수직으로 전환시켜 주는 링기어부(213a) 및 상기 왕복펌프(212)의 플런저를 상기 링기어부(213a)에 편심되게 연결시켜 주는 링크부(21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는 상부에 상기 세정노즐부(300)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멍(23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230)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쌍의 고정가이드(231)가 구비되며,
    상기 세정노즐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끼움구멍(230)에 일정 부분 이상이 끼워지지 않도록 끼워지는 깊이를 제한하는 플랜지부(310)와, 상기 플랜지부(310)의 저부에 상기 세정노즐부(300)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고정가이드(231)의 안내를 받는 한쌍의 고정돌기(3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세정장치.
KR1020090122891A 2009-12-11 2009-12-11 치아 세정장치 KR101059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91A KR101059622B1 (ko) 2009-12-11 2009-12-11 치아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891A KR101059622B1 (ko) 2009-12-11 2009-12-11 치아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95A KR20110066295A (ko) 2011-06-17
KR101059622B1 true KR101059622B1 (ko) 2011-08-25

Family

ID=4439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891A KR101059622B1 (ko) 2009-12-11 2009-12-11 치아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6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53B1 (ko) * 2015-02-16 2016-08-08 이승민 내부유로가 형성된 치아세정기구
WO2017105101A1 (ko) * 2015-12-16 2017-06-22 주식회사 갈렙 의료용 세정기
KR20220123834A (ko) 2021-03-02 2022-09-13 허현준 휴대용 구강 세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273Y1 (ko) 2004-08-12 2004-12-04 이상필 휴대용 치아 세정기
KR100646157B1 (ko) 2005-02-05 2006-11-14 학교법인단국대학 휴대용 분사식 구강 세정기
KR200432180Y1 (ko) 2006-08-07 2006-11-30 문지영 휴대용 구강세정액 분사장치
US20070105065A1 (en) 2002-12-31 2007-05-10 Water Pik, Inc. Hand held oral irrig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5065A1 (en) 2002-12-31 2007-05-10 Water Pik, Inc. Hand held oral irrigator
KR200369273Y1 (ko) 2004-08-12 2004-12-04 이상필 휴대용 치아 세정기
KR100646157B1 (ko) 2005-02-05 2006-11-14 학교법인단국대학 휴대용 분사식 구강 세정기
KR200432180Y1 (ko) 2006-08-07 2006-11-30 문지영 휴대용 구강세정액 분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53B1 (ko) * 2015-02-16 2016-08-08 이승민 내부유로가 형성된 치아세정기구
WO2016133265A1 (ko) * 2015-02-16 2016-08-25 이승민 내부유로가 형성된 치아세정기구
JP2018508327A (ja) * 2015-02-16 2018-03-29 ブルーレ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流路が形成された歯洗浄器具
US9974628B2 (en) 2015-02-16 2018-05-22 Bluereo Inc. Tooth cleaning device having internal fluid conduit formed therein
WO2017105101A1 (ko) * 2015-12-16 2017-06-22 주식회사 갈렙 의료용 세정기
KR20220123834A (ko) 2021-03-02 2022-09-13 허현준 휴대용 구강 세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295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574B1 (ko) 무선제어 기능을 갖는 구강 세정기
KR101059622B1 (ko) 치아 세정장치
CN214511386U (zh) 牙齿清洁装置
CN212346772U (zh) 冲牙器水箱及冲牙器
CN211156420U (zh) 泵密封结构以及口腔清洁装置
CN210990179U (zh) 一种具有自洁功能肠胃镜
CN112545694A (zh) 牙齿清洁装置
US11759300B1 (en) Electric toothbrush
US20050096573A1 (en) Non-electrical driven dental hygiene pulsating sprayer
CN216294320U (zh) 一种具有洗牙、刷牙功能的口腔清洁组件
CN211381891U (zh) 一种口腔清洁装置
CN211156421U (zh) 一种泵密封结构以及口腔清洁装置
CN212730047U (zh) 一种电动牙齿清洁装置
CN211749454U (zh) 洗鞋机
CN212368564U (zh) 一种新型洁面装置
CN209529377U (zh) 一种儿科口腔清洗装置
CN218420110U (zh) 一种具有冲洗功能的电动牙刷
CN215384806U (zh) 一种便携式冲牙器
CN211156402U (zh) 一种储液结构以及口腔清洁装置
CN111839776A (zh) 一种口腔清洁装置
CN211381892U (zh) 一种管路连接结构以及口腔清洁装置
CN216985246U (zh) 一种可拆卸的冲牙器储水装置
CN215130609U (zh) 一种冲洗设备用液体输送装置
CN213430715U (zh) 一种带单向阀的冲牙器
CN220158440U (zh) 一体式手持冲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