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525B1 -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525B1
KR101059525B1 KR1020100082432A KR20100082432A KR101059525B1 KR 101059525 B1 KR101059525 B1 KR 101059525B1 KR 1020100082432 A KR1020100082432 A KR 1020100082432A KR 20100082432 A KR20100082432 A KR 20100082432A KR 101059525 B1 KR101059525 B1 KR 10105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witch
inpu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영재
장미숙
이선은
Original Assignee
나영재
이선은
장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93377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595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나영재, 이선은, 장미숙 filed Critical 나영재
Priority to KR1020100082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5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3/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13/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by tap-changing; by rearranging interconnections of winding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upply rate current to a load by controlling voltage supplied from an electric power company without an additional automatic voltage controller. CONSTITUTION: In an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a smart voltage stabilizer includes a multi-tap transformer(20), a multi contacting switch(40), and a controller thereof. The multi-tap transformer includ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comprised of a plurality of multi-tap transformers The primary coil is connected to a circuit breaker(10) receiving power form an electric power company. The multi-tap transformer compares a voltage inducted in the primary coil with a reference voltage. The multi-tap transformer includes the secondary coil having a plurality of taps to boost and drop as much as a comparison result.

Description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분배전반{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using the same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분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전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자동으로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한 후 분기스위치 측으로 출력하여 부하에 정격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분배전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nd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is automatically and precisely and stably adjusted, and outputs to the branch switch side to supply the rated power to the load. It relates to a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nd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기구를 무리없이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전압, 전류, 전력인 정격전압, 정격전류, 정격전력이 공급되어야 한다.      In general, in order to use various electric appliances safely and safely, appropriate voltage, current, and power, rated voltage, rated current, and rated power must be supplied.

이때, 상기 정격전력 이상으로 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위험하지만 그 이하로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는 큰 무리가 없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각 전기기구에는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의 한계가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use of the device above the rated power is dangerous, but there is no great force in using below that, there is a limit of the power available for each electric appliance.

이 한계는 순간적인 한계와 장시간 사용했을 때의 한계가 있는데, 장시간 사용해도 해당 기기가 손상되지 않고 무리없이 동작되는 최대 전력을 정격전력으로 정한 후, 상기 정격전력 이하로 기기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게 되는 것이다.      This limit has a momentary limit and a limit when using it for a long time, and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device below the rated power after setting the maximum power that can operate without any damage even if it is used for a long time. will be.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단상용 220볼트[V]±6%(207[V]~233[V]), 삼상용 380±10%(342[V]~4118[V])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데,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부분이 220[V] 이상의 과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Meanwhile, in Korea, power is supplied at 220 volts [V] ± 6% (207 [V] ~ 233 [V]) for single phase and 380 ± 10% (342 [V] ~ 4118 [V]) for three phas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most of them supply power with overvoltage of 220 [V] or more.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과전압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정밀성이 요구되는 기기에는 자동전압조절장치(AVR: Automatic Voltage Regulator)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a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is mounted and used in a device requiring precision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power supplied by overvoltage.

그러나, 상기 자동전압조절장치는 전력을 제어하는 회로가 매우 복잡하게 설계됨과 아울러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구성하게 되므로, 제품의 부피가 크고 가격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고장발생 빈도가 높은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since the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ower is designed to be very complicated and the switch is configured us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automatic voltage regulator has a problem that the product is bulky and expensive, and a high frequency of failure occurs. Problems also ari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한전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멀티탭 트랜스포머와 다접점 스위치 및 소정 제어수단을 통해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부하 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분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stably regulate the AC voltage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through a multi-tap transformer and a multi-contact switch and a predetermined control means to supply to the load side It is to provide a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nd an electric distribution board us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는, 한전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분기스위치 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전압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한전 측으로부터의 전력이 인입되는 주차단기에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압 범위에 따라 권선된 1차측 코일부와,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그 차이만큼 승압 또는 감압할 수 있도록 권선된 다수 개의 탭으로 이루어진 2차측 코일부를 포함하는 토로이달형의 멀티탭 트랜스포머와;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각 탭이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접점이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그 중 한 개의 접점이 선택적으로 부스바와 연결되면서 자동으로 조절된 전압을 분기스위치 측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다접점 스위치 및; 공급되는 전압의 평균 값 및 이에 따라 분석된 변압 값이 설정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단기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다접점 스위치가 동작되면서 정격전압을 출력시키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for stably controlling the AC voltage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output to the branch switch side, the power from the KEPCO side is drawn in It is connected to the parking terminal to be connected, and includes a secondary coil portion wound by a primary coil portion woun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voltage range, and a plurality of taps that can be increased or reduced by a difference after comparing with the set reference voltage A toroidal type multi-tap transformer; 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contacts are provided so that each tab of the multi-tap transform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one of the contacts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busbars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supplies a regulated voltage to the branch switch side. A switch; In the state where the average value of the supplied voltage and the analyzed transformer value are set and stored,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output to output the rated voltage while the multi-contact switch is operated based on the range of the voltage value input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means for applying;

바람직하게,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는, 1개의 기준탭과, -3[V], -6[V],-9[V],-12[V]로 구성되는 4개의 감압탭과, +3[V], +6[V]로 구성되는 2개의 승압탭이 구비되어, 총 7개의 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multi-tap transformer comprises one reference tap, four pressure reducing taps consisting of -3 [V], -6 [V], -9 [V], and 12 [V], and +3 [V]. ], +6 [V] is provided with two boosting tap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otal of seven taps.

이때,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탭 수는 그 사용환경에 따라 2개 내지 15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taps of the multi-tap transformer can be changed in various designs within the range of 2 to 15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바람직하게, 상기 다접점 스위치는, MCC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바이패스 모드 및 전압조절 모드로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연동스위치와,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부에 구비된 다수 개의 탭이 각각 대응되게 연결된 상태로 나란히 배열되어 구성되는 다수 개의 접점과, 상기 연동스위치 또는 임의의 접점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 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다수 개의 접점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및 나란히 배열된 다수 개의 접점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사각타입의 나사피치를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샤프트가 회전 동작되도록 하는 엔코더를 장착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드라이버 및, 샤프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서 임의의 접점과 부스바를 상호 연결시켜 해당 접점의 전력이 부스바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multi-contact switch, the power supply is supplied from the MCCB and selectively switched to the bypass mode and the voltage control mode, the plurality of taps provided in the secondary coil portion of the multi-tap transform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ate, a bus bar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contacts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contacts so as to transfer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terlock switch or any contact to the load side, and the bus bar And a shaft having a threaded pitch of a square typ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side by side, and an encode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haft to be drive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to rotate the shaft. Driver consisting of a drive motor equipped with Characterized by; in state is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head that while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o interconnect any of the contact and the busbar such that the power of the contact points toward the supply busbars.

더 바람직하게, 상기 다접점 스위치에는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각 탭이 대응되게 연결된 접점의 상태 및 연동스위치의 바이패스 모드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ED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multi-contact swit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LED display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contact and the bypass mode operation of the interlock switch connected to each tap of the multi-tap transformer correspondingly.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수단은, 전압 조절을 위한 기기의 운전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조건을 매개로 조절된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함과 아울러 저전류 또는 과전류와 같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에서 바이패스 또는 자동전압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입력부와 검출부 및 연산부에서 입력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정보 및 상기 입력부의 운전조건,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모니터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소정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운전조건에 따라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어값을 통해 상기 다접점 스위치를 제어하여 부하 측으로 일정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기기 전반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trol means,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evice for voltage regulation, and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adjusted by the conditions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 abnormal current such as low current or over current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signal,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ontrol value so that the control unit performs bypass or automatic voltage control according to the data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and a storage for storing data input or measured by the input unit, the detection unit, and the operation unit The unit transmits pow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electronic watt-hour meter, operation conditions of the input unit, and variou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he external monitor for the user to check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from the user.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directional mann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multi-contact switch through a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calculator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 input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entire apparatus so that a predetermined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load side.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를 이용한 전기 분배전반ㅇ의 구성에 있어서는, 전기 분배전반 내에 한전 측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주차단기로부터의 전압을 자동으로 안정화시켜 분기스위치 측으로 출력시키는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가 구비되되; 상기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는; 상기 주차단기에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압 범위에 따라 권선된 1차측 코일부와,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그 차이만큼 승압 또는 감압할 수 있도록 권선된 다수 개의 탭으로 이루어진 2차측 코일부를 포함하는 토로이달형의 멀티탭 트랜스포머와;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각 탭이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접점이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그 중 한 개의 접점이 선택적으로 부스바와 연결되면서 자동으로 조절된 전압을 분기스위치 측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다접점 스위치 및; 공급되는 전압의 평균 값 및 이에 따라 분석된 변압 값이 설정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단기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다접점 스위치가 동작되면서 정격전압을 출력시키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using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to automatically stabilize the voltage from the parking short circuit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KEPCO side in the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to output to the branch switch side. Device is provided;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is; A secondary coil part connected to the parking terminal and configured to have a primary coil part wound according to an input voltage range, and a plurality of taps wound up or down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pressure by a difference after comparing with a set reference voltage; A toroidal type multi-tap transformer; 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contacts are provided so that each tab of the multi-tap transform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one of the contacts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busbars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supplies a regulated voltage to the branch switch side. A switch; In the state where the average value of the supplied voltage and the analyzed transformer value are set and stored,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output to output the rated voltage while the multi-contact switch is operated based on the range of the voltage value input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means for applying;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자동전압조절장치(AVR) 없이도 한전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부하에 정격 전력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부하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킴은 물론, 전력 사용량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a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load by precisely and stably adjusting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KEPCO without a separate 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so As a result, the performance and lifespan of the load can be improv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가 분배전반에 적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의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의 다접점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의 제어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mart voltage stab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distribution board;
2a and 2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tap transformer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contact switch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가 분배전반에 적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의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의 다접점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의 제어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distribution board. FIGS. 2A and 2B are views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tap transformer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ulti-contact switch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means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는, 한전 측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특정 구조의 전압 안정화 장치를 통해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부하 측에 정격 전력으로 공급되도록 함에 따라 구현된다.First,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stably adjusting the AC voltage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through a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of a specific structure to be supplied to the load side at rated power.

본 발명에 따라, 한전 측으로부터의 교류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분기스위치(56) 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는 토로이달형의 멀티탭 트랜스포머(20)와 다접점 스위치(40)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 제어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for stably controlling the AC voltage from the KEPCO side to the branch switch 56 side is a toroidal multi-tap transformer 20 and the multi-contact switch 40 and for controlling the same. It comprises a predetermined control means 60.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는 한전 측으로부터의 전력이 인입되는 주차단기(10)에 연결되어 전력이 공급되는 1차측 코일부(22)와, 상기 1차측 코일부(22)에 유기되는 전압을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그 차이만큼 승압 또는 감압할 수 있도록 권선된 다수 개의 탭으로 이루어진 2차측 코일부(24)를 포함하는 토로이달형의 멀티탭 트랜스포머로 구성된다.The multi-tap transformer 20 is connected to the parking terminal 10 into which the electric power from the KEPCO side is drawn, and supplies the electric power to the primary coil part 22 and the voltage induced by the primary coil part 22. It is composed of a toroidal multi-tap transformer including a secondary coil part 24 having a plurality of taps wound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pressure by the difference after comparison with voltage.

즉,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단상 또는 3상의 전압 변동에 관계없이 설정된 일정 전압 값의 감압/승압 탭 체인징 방식이 아닌 가변적인 입력 전압에 따른 감압/승압 값을 임의로 조절하여 입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존의 AVR 탭 방식에 비해 적은 탭 방식이나 동일한 개수의 탭 방식으로 전압을 약 220[V] ± 2%(216[V]~224[V]) 또는 380 ± 3%(370[V]~390[V])로 조절할 수 있도록 권선된다.That is, the multi-tap transformer 20 arbitrarily adjusts the decompression / step-up value according to the variable input voltage instead of the decompression / step-up tap changing method of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regardless of the voltage variation of the single phase or the 3-phase input from the outside.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VR tap method, the voltage is about 220 [V] ± 2% (216 [V] to 224 [V]) or 380 ± 3% (370 [ V] ~ 390 [V]) winding to adjust.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는, 1개의 기준탭과, -3[V], -6[V],-9[V],-12[V]로 구성되는 4개의 감압탭과, +3[V], +6[V]로 구성되는 2개의 승압탭이 구비되어, 총 7개의 탭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탭의 개수는 그 설치환경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설계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tap transformer 20 includes four reference tabs and four -3 [V], -6 [V], -9 [V], and 12 [V]. A pressure reducing tap and two boosting taps composed of +3 [V] and +6 [V] are provided, and the total number of taps is composed of seven taps. The number of taps vari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conditions. Of course you can.

또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는 단상에서는 한 개씩의 1차측 코일부(22)와 2차측 코일부(24) 및 연동스위치(26)를 매개로 구성되며, 3상에서는 각각 3개씩의 1차측 코일부(22)와 2차측 코일부(24) 및 연동스위치(26)를 매개로 구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the multi-tap transformer 20 is composed of one primary coil portion 22, the secondary coil portion 24 and the interlock switch 26 on a single phase. In each of the three phases, each of the three primary coil parts 22, the secondary coil parts 24, and the interlock switch 26 is configured as a medium.

그리고, 상기 다접점스위치(40)는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각 탭이 각각 연결되도록 그와 대응되게 다수 개의 접점(44)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수단(60)으로부터의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한 개의 접점(44)이 선택적으로 부스바(26)와 연결되어 자동 조절된 전압을 출력시키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multi-contact switch 40 i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60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44 are provided correspondingly so that each tab of the multi-tap transformer 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is, one contact point 44 is selectively connected with the busbar 26 to output an automatically regulated voltage.

상기 다접점 스위치(40)는 MCC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바이패스 모드 및 전압조절 모드로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연동스위치(42)가 구비되는데, 즉 상기 연동스위치(42)는 상기 MCC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한 개의 선은 부스바(46) 측(바이패스 모드 시)으로 직접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 한 개의 선은 트랜스포머 측(전압조절 모드 시)으로 연결된다.      The multi-contact switch 40 is provided with power from the MCCB and the interlock switch 42 is selectively switched to the bypass mode and the voltage control mode, that is, the interlock switch 42 receives the power from the MCCB One lin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usbar 46 side (in bypass mode) and the other line is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side (in voltage regulation mode).

이에 따라, 상기 연동스위치(42)는 코일이나 다접점 스위치 등의 오작동 발생 시에 트랜스포머로 연결된 스위치가 OFF 상태로 절환 되면서 부스바(46) 측으로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interlock switch 42 can supply power directly to the busbar 46 while the switch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is switched OFF when a malfunction such as a coil or a multi-contact switch occurs.

그리고, 상기 다접점 스위치(40)에는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2차 코일부(24)에 구비된 다수 개의 탭이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접점(44)이 나란한 상태로 배열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다수 개가 나란히 배열된 다수 개의 접점(44)과는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부스바(46)가 설치되어 상기 연동스위치(42)나 임의의 접점(44)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 측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multi-contact switch 40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44 side by side so that a plurality of tabs provided in the secondary coil unit 24 of the multi-tap transformer 20 is corresponding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bus bar 46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a plurality of contacts 44 arranged side by si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paced in parallel to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terlock switch 42 or any contact 44 It is configured to deliver to the load side.

또한, 상기 다수 개가 나란히 배열된 접점(44) 및 부스바(46) 사이의 공간부 사이에는 사각타입의 나사피치로 이루어진 샤프트(48)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샤프트(48)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수단(60)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샤프트(4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엔코더를 장착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드라이버(50)가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다.      In addition, a shaft 48 made of a threaded pitch of a square type is installed between the space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tacts 44 and the busbars 46 arranged side by side, and at one side of the shaft 48. A driver 50 made of a drive motor equipped with an encoder is connected and installed to rotate the shaft 48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means 60.

또, 상기 샤프트(48)에는 스위치헤드(52)가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에 상기 드라이버(50)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48)의 회전 시에 상기 스위치헤드(52)가 이동되면서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각 탭이 연결된 임의의 접점(44)과 부스바(46)를 상호 연결시켜 해당 접점(44)을 통해 감압 또는 승압된 조절된 전력이 부스바(46)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witch head 52 is installed on the shaft 48 in a movable state, and the switch head 52 is moved when the shaft 48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er 50. Each tab of the transformer 20 interconnects any of the contacts 44 connected to the busbars 46 so that regulated power, decompressed or boosted, can be supplied to the busbars 46 through the contacts 44. Done.

상기 다접점 스위치(40)의 상세한 구성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ulti-contact switch 40 is as shown in Figs. 3a and 3b.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상용에서는 두 개의 부스바(46)를 매개로 연동스위치(42)가 연결되게 되며, 3상용에서는 3개의 연동스위치(42)가 구비된 상태에서 각 연동스위치(42)와 대응되도록 1개씩의 부스바(46)가 설치되어 구성되게 된다.      As shown, in the single phase, the interlock switch 42 is connected via two bus bars 46, and in the three phase, each interlock switch 42 and three interlock switches 42 are provided. Each bus bar 46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한편, 상기 다접점 스위치(40)는 전압의 탭 수에 맞춰 가감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설계되어 구성되며, 또한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각 탭이 대응되게 연결된 접점(44)의 상태 및 연동스위치(42)의 바이패스 모드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ED 표시부(54)가 추가로 구성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ulti-contact switch 40 is designed and configured so as to be configured by adding or subtract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taps of the voltage, and the state of the contact 44 connected to each tab of the multi-tap transformer 20 correspondingly and The LED display unit 54 for checking whether the interlock switch 42 is in bypass mode operation is further configured.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6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평균 값 및 이에 따라 분석된 변압 값이 설정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단기(10)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다접점 스위치(40)를 동작시키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변압 값은 입력되는 전압의 분포도로 얻어진 평균 값과 경험치를 바탕으로 설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60 is the multi-contact point based on the range of the voltage value input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10 in a state in which the average value of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the transformed value analyzed accordingly are set and stored.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operate the switch 40, the transformer value is set based on the average value and the empirical value obtained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input voltage.

이를 위해, 상기 제어수단(60)은 전압 조절을 위한 기기의 운전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2)와, 상기 입력부(62)에서 입력된 조건을 매개로 조절된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함과 아울러 저전류 또는 과전류와 같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64)와, 상기 검출부(64)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72)에서 바이패스 또는 자동전압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값을 연산하는 연산부(66)와, 상기 입력부(62)와 검출부(64) 및 연산부(66)에서 입력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68)와, 전자식 전력량계(90)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정보 및 상기 입력부(62)의 운전조건, 저장부(68)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모니터(80)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소정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부와 수신부(70a,70b) 및, 상기 입력부(62)에 입력된 운전조건에 따라 연산부(66)에서 연산된 제어값을 통해 상기 다접점 스위치(40)를 제어하여 부하 측으로 일정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기기 전반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제어부(72)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control means 60 measures an input unit 62 for inputt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the device for voltage regulation, and a voltage and current adjusted through the conditions input from the input unit 62. A detection unit 64 for detecting an abnormal current such as low current or overcurrent, and an operation unit for calculating a control value so that the control unit 72 can perform bypass or automatic voltag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ata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64 ( 66, a storage unit 68 in which data input or measured by the input unit 62, the detection unit 64, and the calculation unit 66 are stored, pow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90, and the input unit 62. Operation conditions, variou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68 is transmitted to the external monitor 80 so that the user can check, and also b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receive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from the user The multi-contact switch 40 is controlled by a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66 according to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70a and 70b and the operating condition input to the input unit 62 to perform a constant voltage to the load side. It is composed of a control unit 72 made up of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overall apparatus so that it can be supplied.

상기 송수신부(70a,70b)는 유선방식인 RS-485 통신이나, 무선통신인 RF, 지그비 등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The transceivers 70a and 70b may be configured by wired RS-485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RF, or ZigBee.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를 매개로 한전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안정적으로 조절하여 정격 전력으로 부하 측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한전 측으로부터 단상 220[V], 삼상 380[V]로 공급되는 전압 측정 값 중, 그 이상 및 이하 값들을 취합하여 평균 값을 구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분석하여 변압 값을 설정한다.      First, in order to stably adjust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through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ly to the load side at the rated power, it is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to single-phase 220 [V], three-phase 380 [V]. Among the measured voltage values, the above and below values are collected to obtain an average value, and then analyzed by various methods to set the transformer value.

그리고, 상기 변압 값이 설정되면, 이를 기초로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기준 및 감압, 승압 탭 등을 설계하게 되는데,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탭의 설계는 상술한 측정 값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When the transformer value is set, the reference, the reduced pressure, the boosted tap, and the like of the multi-tap transformer 20 are designed based on this, and the design of the tap of the multi-tap transformer 20 varies depending on the measured value. Can be designed.

또한, 상기 제어수단(60)의 입력부(62)에는 전압조절을 위한 운전조건이 입력됨과 아울러, 상기 연산부(66)는 이를 기초로 검출부(64)로부터 검출된 전압 및 전류값을 기초로 연산을 행하여 제어부(72)를 통한 기기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In addition, an operation condition for voltage regulation is input to the input unit 62 of the control unit 60, and the calculation unit 66 performs calculation based on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detected from the detection unit 64 based on this. In order to control the device through the control unit 72 is performed.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를 구성한 상태에서, 주차단기(10)를 통해 한전 측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제어수단(60)의 검출부(64)는 입력부(62)에서 입력된 조건 값을 통해 조절된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함과 아울러, 저전류나 과전류 등과 같은 이상 전류를 측정하게 되며, 이에 상기 연산부(66)에서는 검출부(64)의 측정 값을 기초로 소정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소정 제어값을 연산하게 된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10 in the state of configuring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unit 64 of the control means 60 is the input unit 62 In addition to measuring the adjusted voltage and current through the condition value input from the), and to measure the abnormal current, such as low current or overcurrent, the operation unit 66 is predetermin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detection unit 64 A predetermined control value is calculat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이에, 상기 제어수단(60)은 제어부(72)의 제어하에 상기 다접점 스위치(40) 측으로 상기 연산부(66)에서 연산한 전압조절을 위한 소정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다접점 스위치(40)의 드라이버(50)가 구동되면서 샤프트(48)를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샤프트(4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헤드(52)는 다수 개의 접점(44) 중 상기 제어수단(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지정된 접점(44) 측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rol means 60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or voltage regulation calculated by the calculation unit 66 to the multi-contact switch 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2. Accordingly, the multi-contact switch As the driver 50 of the 40 is driven to rotate the shaft 48, the switch head 52 of the plurality of contacts 44 of the control means 6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haft 48. The movement is made to the designated contact 44 sid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따라서, 상기 주차단기(10)를 통해 공급된 전력은 상기 제어수단(60)으로부터의 연산값에 의해 스위치헤드(52)가 제어됨에 따라, 멀티탭 트랜스포머(20)의 기준탭이나 감압탭, 승압탭 등을 통해 전압이 감압 또는 승압되면서 부스바(46) 및 분기스위치(56)를 통해 부하 측에 정격전력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as the switch head 52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value from the control means 60,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arking short circuit 10 is a reference tap, a decompression tap, and a boost tap of the multi-tap transformer 20. As the voltage is reduced or increased through the bus bar 46 and the branch switch 56, the load side can be supplied at rated power.

이때, 상기 다접점 스위치(40)의 연동스위치(42)는 장치에 이상상태가 발생될 경우, MCC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직접 부스바(46) 측으로 출력시키는 바이패스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그 상태는 LED 표시부(54)를 통해 표시되므로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가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interlock switch 42 of the multi-contact switch 40 performs a bypass function of directly output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MCCB to the busbar 46 when an abnormal state occurs in the device. Is displayed through the LED display unit 54, so that the user can take appropriate measures after visually confirming.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전반(100)에 설치된 상태의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는 특수한 설비에 적용되는 고가의 자동 전압 조절기(AVR)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용도로 범용화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of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in the state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panel 100, as shown in Figure 1, th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nsive to be applied to a special equipment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replacing the automatic voltage regulator (AVR).

10: 주차단기, 20: 멀티탭 트랜스포머,
22: 1차측 코일부, 24: 2차측 코일부,
40: 다접점 스위치, 42: 연동스위치,
44: 접점, 46: 부스바,
48: 샤프트, 50: 드라이버,
52: 스위치헤드, 54: LED 표시부,
56: 분기스위치, 60: 제어수단,
62: 입력부, 64: 검출부,
66: 연산부, 68: 저장부,
70a,70b: 송신부 및 수신부, 72: 제어부,
80: 외부모니터, 90: 전자식 전력량계,
100: 분배전반.
10: short-term parking, 20: multi-tap transformer,
22: primary side coil portion, 24: secondary side coil portion,
40: multi-contact switch, 42: interlock switch,
44: contact point, 46: busbar,
48: shaft, 50: screwdriver,
52: switchhead, 54: LED display,
56: branch switch, 60: control means,
62: input unit, 64: detection unit,
66: arithmetic unit, 68: storage unit,
70a, 70b: transmitter and receiver, 72: controller,
80: external monitor, 90: electronic meter
100: overall distribution.

Claims (6)

한전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하여 분기스위치 측으로 출력시키기 위하여, 한전 측으로부터의 전력이 인입되는 주차단기에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압 범위에 따라 권선된 1차측 코일부와,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한 후 그 차이만큼 승압 또는 감압할 수 있도록 권선된 다수 개의 탭으로 이루어진 2차측 코일부를 포함하는 토로이달형의 멀티탭 트랜스포머와;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각 탭이 각각 연결되도록 다수 개의 접점이 구비된 상태에서, 외부 제어신호에 따라 그 중 한 개의 접점이 선택적으로 부스바와 연결되면서 자동으로 조절된 전압을 분기스위치 측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다접점 스위치 및; 공급되는 전압의 분포도로 얻어진 평균 값 및 이를 기초로 설정된 변압 값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단기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 값의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다접점 스위치가 동작되면서 정격전압을 출력시키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압 안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접점 스위치는,
MCCB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바이패스 모드 및 전압조절 모드로 선택적으로 절환되는 연동스위치와,
상기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부에 구비된 다수 개의 탭이 각각 대응되게 연결된 상태로 나란히 배열되어 구성되는 다수 개의 접점과,
상기 연동스위치 또는 임의의 접점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 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다수 개의 접점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부스바와,
상기 부스바 및 나란히 배열된 다수 개의 접점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사각타입의 나사피치를 갖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면서 상기 샤프트가 회전 동작되도록 하는 엔코더를 장착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드라이버 및,
샤프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의 구동에 따른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면서 임의의 접점과 부스바를 상호 연결시켜 해당 접점의 전력이 부스바 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스위치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In order to stably control the AC voltage supplied from the KEPCO side and output it to the branch switch side, the primary coil part connected to the parking terminal into which the electric power from the KEPCO side is drawn and wound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range, and the set reference voltage A toroidal type multi-tap transformer including a secondary coil part including a plurality of coils wound so as to increase or decrease pressure by a difference therebetween; 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contacts are provided so that each tab of the multi-tap transformer is connected to each other, one of the contacts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busbars according to an external control signal, and supplies a regulated voltage to the branch switch side. A switch; A predetermined control to output the rated voltage while the multi-contact switch is operated on the basis of a range of voltage values input through the parking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an average value obtained from a distribution of supplied voltages and a transformer value set thereon are stored; A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applying a signal, comprising:
The multi-contact switch,
Interlock switch supplied with power from MCCB and selectively switched to bypass mode and voltage control mode,
A plurality of contacts configured to be arranged side by sid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abs provided in the secondary coil part of the multi-tap transform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bus bar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plurality of contact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transfer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terlock switch or any contact point to the load side;
A shaft having a screw pitch of a square typ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busbar and the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side by side;
A driver comprising a drive mot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haft and equipped with an encoder to rotate the shaft while being driven by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means;
A switch hea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arbitrary contact point and a bus bar while being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shaft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er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shaft so that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point is supplied to the busbar side; Smart voltage stabiliz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접점 스위치에는 멀티탭 트랜스포머의 각 탭이 대응되게 연결된 접점의 상태 및 연동스위치의 바이패스 모드 동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LED 표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ulti-contact switch is a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display for checking the state of the contact and the bypass mode operation of the interlock switch connected to each tap of the multi-tap transformer corresponding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전압 조절을 위한 기기의 운전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조건을 매개로 조절된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함과 아울러 저전류 또는 과전류와 같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에서 바이패스 또는 자동전압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제어값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상기 입력부와 검출부 및 연산부에서 입력되거나 측정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전자식 전력량계로부터 입력되는 전력정보 및 상기 입력부의 운전조건,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 모니터 측으로 전송함과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소정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유.무선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송신부와 수신부 및,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운전조건에 따라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어값을 통해 상기 다접점 스위치를 제어하여 부하 측으로 일정 전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기기 전반에 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rating condition of a device for voltage regulation;
A detection unit for measuring an adjusted voltage and current based on a condition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detecting an abnormal current such as low current or over current;
An operation unit which calculates a control value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perform bypass or automatic voltag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data measured by the detection unit;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input or measured by the input unit, the detection unit, and the calculation unit;
The power information input from the electronic electricity meter,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input unit, and various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r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monitor for the user to check, and bi-directionally in a wired / wireless manner to receive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from the user. A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multi-contact switch through a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condition input to the input unit to control the entire apparatus so that a predetermined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load side. Smart voltage stabilization device.
삭제delete
KR1020100082432A 2010-08-25 2010-08-25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KR101059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32A KR101059525B1 (en) 2010-08-25 2010-08-25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432A KR101059525B1 (en) 2010-08-25 2010-08-25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525B1 true KR101059525B1 (en) 2011-08-26

Family

ID=4493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432A KR101059525B1 (en) 2010-08-25 2010-08-25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525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028A (en) * 2014-03-19 2015-10-01 금종관 Automatic voltage regulator
KR101685024B1 (en) * 2016-01-29 2016-12-09 주식회사 케이지에스 Load measuring apparatus
CN111880025A (en) * 2020-07-02 2020-11-03 国网天津市电力公司 JP cabinet automation system integrated debugging device and debugg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028A (en) * 2014-03-19 2015-10-01 금종관 Automatic voltage regulator
KR101685024B1 (en) * 2016-01-29 2016-12-09 주식회사 케이지에스 Load measuring apparatus
CN111880025A (en) * 2020-07-02 2020-11-03 国网天津市电力公司 JP cabinet automation system integrated debugging device and debugg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0835B2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US201700753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power supply circuit
KR101059525B1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voltage and electric distribution board box using the same
US7786717B2 (en) Transform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ree-phase power supply voltage
KR101925182B1 (en) Inductive Power Supply based on Current Transformer
KR102274782B1 (en) Power saving apparatus
JP2012080654A (en) Voltage regulator for distribution line
KR102609402B1 (en) Industrial power saving apparatus
GB2520336A (en) Voltage regulation
KR101029157B1 (en) Thermostat
KR101000321B1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WO2020039207A1 (en) Capacitive unit for local power factor correction and system comprising multiple capacitive units
KR200392618Y1 (en) Electric power saver of saturable reactor using tap select method
KR20130066923A (en) Automatic voltage regulator
KR102467245B1 (en) Power saving apparatus
RU2582581C2 (en) Improved high-efficiency power-saving device, connected between source of electric power and traction and/or lighting load
KR100982786B1 (en) High efficiency automatic voltage regulator for power distributer
JP2015050881A (en) Power factor automatic adjuster
RU74748U1 (en) HIGH PRECISION ELECTRONIC AC VOLTAGE REGULATOR
RU126231U1 (en) AC VOLTAGE STABILIZER
KR20140094328A (en) Output voltage regulator
Chaudhary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Automatic Voltage Stabilizer using Relay-Based Tap Changing of Transformer
RU2531389C1 (en) Line voltage control unit
KR20080098144A (en) Electric power saver equipped with the protective function of diverging coil
KR20060118930A (en) Linear AC Power Control Device Using Phase Comparison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