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415B1 -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 Google Patents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415B1
KR101059415B1 KR1020090090008A KR20090090008A KR101059415B1 KR 101059415 B1 KR101059415 B1 KR 101059415B1 KR 1020090090008 A KR1020090090008 A KR 1020090090008A KR 20090090008 A KR20090090008 A KR 20090090008A KR 101059415 B1 KR101059415 B1 KR 101059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s
cable
underground
manhol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0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32493A (en
Inventor
백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양전기
(주)클립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양전기, (주)클립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양전기
Priority to KR102009009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415B1/en
Publication of KR2011003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4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관로 이설시,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매설 케이블을 재활용하기 위한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Disclosed is a method for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for recycling reusable underground cables.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은 지중 관로에 매설된 케이블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2홀이 형성된 방수 캡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방수 캡의 제1홀 각각에 끼우면서 지중 관로의 일단을 캡핑하고, 상기 방수 캡의 제2홀을 통하여 지중 관로 내부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지중 관로와 연결되는 맨홀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사다리형 지지대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풀링 그립을 씌우고, 상기 풀링 그립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로 지지하면서 상기 맨홀 외부까지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풀링 그립을 제거하고, 맨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케이블 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맨홀 외부로 인출된 복수의 케이블을 각각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underground cable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ables are formed by using a waterproof cap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ble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Capping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 line while being inserted into each one hole, and spraying the cleaning solution into the underground pipe line through the second hole of the waterproof ca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plurality of cables; Disposing a ladder-type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a manhole connected with the underground pipeline; Putting a pulling grip on the plurality of cables, and using the pulling grip to pull out the manhole whil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with the ladder support; And removing the pulling grips and wi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drawn out of the manhole by using a cable pulling devic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nhole.

Description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POWER CABLE}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POWER CABLE}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을 수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 이설시, 지중에 매설된 재생 가능한 케이블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깨끗한 상태로 수거할 수 있으며, 케이블들이 서로 꼬이는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케이블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llecting cables buried underground, more specifically, when relocating the pipeline, can be collected in a clean state, so that renewable cables buried in the ground can be recycled again, the cables are twisted toge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that can prevent cable breakage caused by such conditions.

최근 전력설비는 미관확보와 가공선로 시설 불가능 등을 이유로 점차 지중화 되는 추세이다.Recently, power facilities are gradually getting underground due to lack of aesthetics and the inability to install overhead lines.

현재의 지중배전 공사 방식은 크게 직매식, 관로식, 전력구식으로 세 가지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Current underground distribution work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direct sales, pipeline, and electricity.

직매식 지중배전 공사 방식은 전력 케이블을 직접 지중에 매설하는 방식이고, 관로식 지중배전 공사 방식은 관재를 사용하여 지중 관로를 구성한 후 케이블을 인입하는 방식이며, 전력구식 지중배전 공사 방식은 터널과 같은 장소를 위한 상부가 막힌 형태를 갖는 방식이다. Direct underground underground construction is a method of embedding power cables directly in the ground, and pipeline underground distribution construc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underground pipelines using pipe materials and then introducing cables. The upper part for the same place has a closed shape.

그러나 이중 직매식 지중선로 공사 방식은 케이블 회선수에 한계가 있고, 보수 점검이 불편하며, 또한 증설 및 철거 곤란 등의 이유로 현재 거의 이용되고 있지 않은 방식이다. However, the direct direct underground construction is limited in the number of cable lines, is inconvenient for maintenance checks, and is currently rarely used due to difficulties in expansion and demolition.

전력구식 지중선로 공사 방식은 다회선의 케이블 포설이 용이하고, 보수 점검이 편리하며, 외상사고 발생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상기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고가의 공사비, 장기간의 공사 소요 등의 이유로 특정한 경우에만 적용하고 있다.The old-fashioned underground line construction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easy cable laying on multiple lines, convenient maintenance and inspection, and low risk of trauma accidents. However, in spite of the above advantages, this method is applied only in certain cases due to the high cost of construction and the long time required for construction.

현재 지중선로를 시설하는 방식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공사방식은 관로식이다. 관로식 지중선로 공사 방식은 증설 및 철거가 용이하고, 또한맨홀을 통한 보수 점검이 용이하며, 외상사고 발생 우려가 적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Currently, the most common construction method among underground underground facilities is pipeline. Pipeline underground lines are most frequently used because they are easy to expand and dismantle, easy to check and repair through manholes, and less risk of traumatic accidents.

이러한 관로식 지중선로 공사는 일정 거리로 땅속에 관로(지중 관로)를 매설하고, 지중관로의 양 끝에는 맨홀을 설치한 후, 케이블을 설치 및 접속함으로써 이루어진다. Such pipeline type underground railway works are constructed by embedding pipelines (underground pipelines) in the groun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stalling and connecting cables after installing manholes at both ends of the underground pipelines.

한편, 관로식 지중선로 공사를 통하여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은 외피가 흙이나 돌과 같은 이물질에 계속하여 노출된다. 특정한 이유로 관로 이설을 하여야 할 경우,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을 수거해야 하는데, 이를 직접 수거하는 경우 수거중에 케이블이 이물질에 긁힘 등으로 인하여 벗겨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이 점차 열화될 수 있고,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른 전기 장치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재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able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pipeline underground line is exposed to the foreign material such as the soil and stone continuously. If it is necessary to relocate the pipe for a specific reason, the cable buried in the ground must be collected. If the cable is collected directly, the cable may be peeled off due to scratches on foreign materials. In this cas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ble may be gradually deteriorated, and may affect other electrical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cable, and thus may be difficult to reuse.

따라서, 관로이설에 따른 케이블 수거시, 재사용 가능한 케이블을 다시 깨끗한 상태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깨끗한 표면 상태와 끊어짐이 발생하지 않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이 요구된다. Therefore, when collecting the cable according to the relocation of the pipelin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collecting the underground buried cable that does not cause a clean surface and break so that the reusable cable can be recycled back to a clean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 이설 등의 이유로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 매설 케이블을 수거하는 경우, 깨끗한 상태로 수거할 수 있으며, 케이블들이 서로 꼬이는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케이블 끊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underground buried cables that can be reused for reasons such as pipe relocation, can be collected in a clean state, underground cable collection to prevent the cable breakage caused by the twisted cables, etc. To provide a wa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은 케이블 세척 단계, 사다리형 지지대 배치 단계, 케이블 인출 단계, 장력 해소 단계 및 케이블별 권취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able washing step, a ladder-shaped support arrangement step, cable withdrawal step, tension relief step and winding by cable.

상기 케이블 세척 단계에서는 지중 관로에 매설된 케이블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2홀이 형성된 방수 캡(waterproof cap)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방수 캡의 제1홀 각각에 끼우면서 지중 관로의 일단을 캡핑(capping)하고, 상기 방수 캡의 제2홀을 통하여 지중 관로 내부로 세척액을 분 사하여 상기 케이블 각각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In the cable washing step, the plurality of cables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of the waterproof cap by using a waterproof cap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ble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Capping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while being inserted into each hole, and sprays the cleaning liquid into the underground pipeline through the second hole of the waterproof ca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each of the cables.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 배치 단계에서는 상기 지중 관로와 연결되는 맨홀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사다리형 지지대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기 하부 롤러의 하부 및 상기 상부 롤러의 상부에 접하면서 인출될 수 있다. In the ladder support arrangement step, a ladd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s disposed in the manhole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pipeline. In this case, the ladder support includes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the plurality of cables may be drawn while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ll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상기 케이블 인출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풀링 그립(pulling grip)을 씌우고, 상기 풀링 그립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로 지지하면서 상기 맨홀 외부까지 인출한다. In the cable withdrawal step, a pulling grip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ables and the plurality of cables are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whil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with the ladder support.

상기 장력 해소 단계에서는 상기 맨홀과 케이블 풀링장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 각각의 장력을 분산하기 위한 롤러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을 더 배치하여, 복수의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해소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은 좌우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tension releasing step, a plurality of tension distributing means in the form of a roller for distributing tens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is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manhole and the cable pulling device, thereby elimina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able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ension dispersing means may be formed of a roller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hape.

상기 케이블별 권취 단계에서는 상기 풀링 그립을 제거하고, 맨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케이블 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맨홀 외부로 인출된 복수의 케이블을 복수의 릴에 각각 권취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는 상기 맨홀로부터 20~50m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winding step for each cable, the pulling grip is removed, and a plurality of cables drawn out of the manhole are wound on a plurality of reels, respectively, by using a cable pulling devic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manhole. In this case, the cable pulling device is preferably spaced 20 ~ 50m from the manhole.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은 방수 캡과 세척액을 통하여 케이블 수거 전 미리 케이블을 세척할 수 있어서 깨끗한 상태로 수거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Underground cable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collected in a clean state by washing the cable before the cable collection through the waterproof cap and the cleaning liquid.

또한, 본 발명은 사다리형 지지대를 통하여 케이블의 외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력분산수단을 통하여 케이블을 풀링할 때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하여 케이블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outer shell of the cable through the ladder sup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ble is broken by dispers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when the cable is pulled through the tension distribution means.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풀링장치가 맨홀로부터 20~50m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케이블 풀링장치를 통한 케이블의 풀링시 케이블끼리 꼬여 분리 권취가 되지 않거나 케이블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효율적인 케이블 수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cable pooling device is located 20 ~ 50m apart from the manhole, when the cable is pulled through the cable pulling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winding or disconnection between the cables can be prevented, the effici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cable collection is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을 개략적으 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도면 부호를 참조하기로 한다. 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underground cable shown in FIG. 1,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2 to 6 will be referred t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은 케이블 세척 단계(S110), 사다리형 지지대 배치 단계(S120), 풀링 그립을 이용한 케이블 인출 단계(S130), 장력 해소 단계(S140) 및 케이블별 권취 단계(S1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ble washing step (S110), ladder-shaped support arrangement step (S120), cable withdrawal step (S130) using a pulling grip, tension relief Step S140 and cable-specific winding step (S150).

케이블 세척Cable wash

케이블 세척 단계(S110)에서는 지중 관로(12)에 매설된 케이블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홀(31)과 적어도 하나의 제2홀(32)이 형성된 방수 캡(waterproof cap, 30)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13)을 상기 방수 캡(30)의 제1홀(31) 각각에 끼우면서 지중 관로(12)의 일단을 캡핑(capping)한다. 캡핑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지중 관로(12)에 적절한 수의 나사 홈을 형성하고, 방수 캡(30)에 대응하는 수의 홀을 형성한 후, 볼트를 체결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In the cable washing step (S110), a waterproof cap 30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31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32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ble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12 is used. Thus,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12 is capped while inse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13 into each of the first holes 31 of the waterproof cap 30. There may be a variety of capping methods, but after forming an appropriate number of screw grooves in the underground pipeline 12, forming a number of holes corresponding to the waterproof cap 30, and then fastening the bolts may be used. Can be.

이후, 방수 캡(30)의 적어도 하나의 제2홀(32)을 통하여 지중 관로(12) 내부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복수의 케이블(13) 각각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액의 분사 압력이 높을수록 케이블에 묻어있는 이물질 제거 효율도 높아지므로, 분사 압력은 가급적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after, the cleaning liquid is sprayed into the underground pipeline 12 through the at least one second hole 32 of the waterproof cap 30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13. The higher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cleaning liquid, the higher the efficiency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cable. Therefore, the injection pressure is preferably as high as possible.

따라서 지중 관로(12) 내에 오랫동안 매설되어 있는 복수의 케이블(13)에 묻어있는 흙이나 낙엽 등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세척액을 통하여 씻겨 나가게 되고 수거되는 케이블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refore, foreign matters such as soil or fallen leaves buried in the plurality of cables 13 embedd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12 are washed out through the cleaning solution and the collected cables are kept clean.

한편, 방수 캡(30)을 통하여 지중 관로(12) 내부로 분사되는 세척액에는 마찰저감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수거되는 복수의 케이블 각각은 깨끗한 표면을 유지하면서도 마찰저감제에 의하여 표면을 미끈미끈한 상태로 유지하여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를 용이하게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ashing liquid sprayed into the underground pipe line 12 through the waterproof cap 30 may include a friction reducing agent. 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to be collected keeps the surface slippery by the friction reducing agent while maintaining a clean surface, thereby reducing friction, thereby facilitating the collection of underground cables.

케이블 세척이 종료된 후, 방수 캡(30)을 그대로 두고 케이블 수거를 진행할 수 있으나, 방수 캡(30)을 분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fter the cable washing is finished,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cable collection with the waterproof cap 30 as it is, it is more preferable to separate the waterproof cap 30.

사다리형Ladder 지지대 배치 Support Placement

사다리형 지지대 배치 단계(S120)에서는 상기 지중 관로(12)와 연결되는 맨홀(11)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사다리형 지지대(40)를 배치한다. Ladder support arrangement step (S120) is arranged in the manhole (11) connected to the underground pipeline 12 for placing the ladder support 4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이때, 사다리형 지지대(40)는 상부 롤러(42a) 및 하부 롤러(42b)를 포함하고, 복수의 케이블(13)은 하부 롤러(42b)의 하부 및 상부 롤러(42a)의 상부에 접하면서 인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ladder support 40 includes an upper roller 42a and a lower roller 42b, and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drawn out while conta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ller 42b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42a. Can be.

복수의 케이블(13)은 하부 롤러(42b)의 상부 또는 하부 모두에 접할 수는 있으나, 상부 롤러(42a)의 상부에 복수의 케이블(13)이 접하므로, 하부 롤러(42b)의 상부에도 복수의 케이블(13)이 접할 경우 외부 요인 등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13)이 사다리형 지지대(40)로부터 이탈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케이블(13)을 사다리형 지지대(40)에 원활하게 밀착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케이블(13)은 상부 롤러(42a)의 상부 및 하부 롤러(42b)의 하부에 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The plurality of cables 13 may be in contact with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roller 42b. However, since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42a, the plurality of cables 13 may also contact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roller 42b. When the cable 13 i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ables 13 can be separated from the ladder support 40 due to external factors, etc., in order to smoothly adhere the plurality of cables 13 to the ladder support 40. Mor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cables 1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42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ller 42b.

만약, 사다리형 지지대(40)에서 하부 롤러(42b)와 상부 롤러(42a) 사이에 또 다른 중간 롤러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케이블(13)은 상부 롤러(42a)의 상부에 접하고, 중간 롤러의 하부 및 하부 롤러(42b)의 상부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re is another intermediate roller between the lower roller 42b and the upper roller 42a in the ladder support 40, the plurality of cables 13 abu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42a, and It is preferable to mak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lower and lower roller 42b.

케이블 인출(Cable outgoing ( 풀링Pooling 그립) Grip)

케이블 인출 단계(S130)에서는 복수의 케이블(13)에 케이블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결속하여 잡아당기기 위한 바스켓 형태의 풀링 그립(pulling grip, 50)을 씌운다. 풀링 그립(50)에 복수의 케이블(13)이 단단히 포박된 후에는, 풀링 그립(50)을 이용하여 맨홀(11) 외부까지 복수의 케이블(13)을 인출한다. In the cable withdrawal step (S130), a basket-type pulling grip (pulling grip) 50 is attached to the plurality of cables 13 so as not to slip the cables. After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tightly wrapped in the pulling grip 50,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manhole 11 using the pulling grip 50.

이때, 복수의 케이블(13)은 전 단계(S120)에서 맨홀(11)에 배치된 사다리형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되어 맨홀(11) 측벽 등의 마찰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케이블 인출시 그 손상을 막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supported by the ladder-shaped support 40 disposed in the manhole 11 in the previous step (S120), so that fri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manhole 11 does not occur, so that the damage during cable extraction Can be prevented.

케이블의 장력 해소Release tension of cable

장력 해소 단계(S140)에서는 상기 맨홀(11)과 케이블 풀링장치(20) 사이에 복수의 케이블(13) 각각의 장력을 분산하기 위한 롤러의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장력분산수단(60)을 배치하여, 복수의 케이블(13) 각각에 걸리는 장력을 해소한다. In the step of releasing tension (S140) by placing a plurality of tension dispersing means 60 in the form of a roller for dispersing the tens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13 between the manhole 11 and the cable pulling device 20 The tension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13 is eliminated.

이때, 복수의 장력분산수단(60)은 좌우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tension dispersing means 60 may be formed of a roller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hape.

본 단계(S14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케이블의 장력이 분산 내지는 해소되지 않을 경우 케이블이 끊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케이블 풀링장치(20)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릴(22)에 권취할 때 미리 장력분산수단(60)을 이용하여 장력을 분산시켜 케이블의 끊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is step (S140) is not essential, since the cable may be broken if the cable tension is not dispersed or resolved, the tension is dispersed in advance when the cable is wound on the reel 22 using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t is preferable to disperse the tension by means 60 to prevent the cable from breaking.

케이블별 By cable 권취Winding

케이블별 권취 단계(S150)에서는 우선 케이블을 감싸고 있는 풀링 그립(50)을 제거하고, 복수의 케이블을 각각의 케이블별로 분리한다. 이후, 맨홀(1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케이블 풀링장치(20)를 이용하여 맨홀(11) 외부로 인출된 복수의 케이블을 복수의 릴(22)에 케이블별로 각각 권취한다. In the cable winding step (S150), first, the pulling grip 50 surrounding the cable is removed, and a plurality of cables are separated for each cable. Subsequently, a plurality of cables drawn out of the manhole 11 are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reels 22 for each cable by using the cable pulling device 20 spaced apart from the manhole 11.

케이블 풀링장치(20)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의 윈치(winch)와 복수의 케이블을 각각 권취하는 복수의 릴(reel, 22)을 포함한다. The cable pulling device 20 generally includes an electric or manual winch for pulling a plurality of cables and a plurality of reels 22 for wi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이외에도 케이블 풀링장치(20)는 케이블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에서 균일한 장력으로 케이블을 잡아당기더라도 여러가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케이블이 당겨지는 속도는 변화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이동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속도감지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속도에 의하여 윈치의 동작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케이블이 움직이지 않는데, 윈치가 계속 작동하게 되면 케이블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이 끊어질 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cable pulling device 20 may include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moving speed of the cable. Even though the cable is pulled with a uniform tension in the winch, the speed at which the cable is pulled can be changed by various external factors. Therefore, the winch can be operated by the speed detected by the speed sensor that can detect the cable moving speed. Because there is a need to control. For example, the cable will not move, but if the winch continues to operate, it will exert excessive force on the cable, which may cause the cable to break.

이때, 케이블 풀링장치(20)는 맨홀(11)로부터 20~50m 정도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풀링장치(20)를 맨홀(11)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는 이유는 복수의 케이블들이 서로 꼬여있는 경우 풀어주기 위함이다. 케이블 풀링장치(20)가 맨홀(11)로부터 20~50m 이격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케이블들이 케이블 풀링장치(20)를 쪽으로 풀링이 되는 과정 중에 면서 자연스럽게 꼬여있는 상태가 해소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s preferably spaced about 20 ~ 50m from the manhole (11). The reason why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s spaced apart from the manhole 11 is to release the plurality of cables if they are twisted together. When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s spaced 20 to 50m away from the manhole 11, a plurality of cables are naturally twisted while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s being pulled toward the cable pulling device 2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관로식 지중선로 공사 방식으로 복수의 케이블(13)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하여, 지중 관로(12)가 형성되어 있고, 지중 관로(12)는 맨홀(11)과 연결된다. 지중 관로에 매설되는 케이블(13)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통상 3상의 케이블이 이용되는 점에서, 주로 3개의 케이블이 매설된다. Referring to FIG. 2, in order to embed a plurality of cables 13 in the underground by a pipeline underground construction, an underground pipeline 12 is formed, and the underground pipeline 12 is connected to the manhole 11. The number of cables 13 embedd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is not limited, but three cables are mainly embedded in that three-phase cables are usually used.

맨홀(11)에는 지중매설된 복수의 케이블(13)의 수거시 복수의 케이블(13)이 맨홀 측벽 등에 접촉되어 마찰 등에 의해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연스럽게 케이블 풀링장치(20)의 복수의 릴(22) 각각에 감기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케이블(13)을 지지하기 위한 사다리형 지지대(40)가 배치된다. When the plurality of cables 13 buried in the manhole 11 are collected, the plurality of cables 13 come into contact with the manhole sidewall and the like to prevent the cable from being damaged by friction, and the plurality of reels of the cable pulling device 20 naturally. (22) In order to be wound around each, a ladder-shaped support 40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ables 13 is disposed.

케이블 풀링장치(20)와 맨홀(11) 혹은 사다리형 지지대(40) 사이에는 복수의 케이블(13) 각각의 장력을 분산하기 위한 복수의 장력분산수단(60)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ension dispersing means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ble pulling device 20 and the manhole 11 or the ladder support 40 to distribute the tens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13.

케이블 풀링장치(20)는 윈치(미도시)와 복수의 릴(22)을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이송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센서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 풀링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지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ncludes a winch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reels 22, and as described above,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a feeding speed of the cable may be further disposed, and the cable pulling device 20 may be disposed. 2 may be disposed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disposed on the ground.

케이블 풀링장치(20)는 맨홀(11)로부터 대략 20~50m 정도 이격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어 3상의 케이블인 경우 케이블들이 이송중 서로 꼬여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풀어주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케이블(13)은 서로 꼬여 있는 경우라도 이를 해소하면서 복수의 릴(22) 각각에 권취될 수 있다. The cable pulling device 20 is spaced about 20-50 m from the manhole 11. This is to solve th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ree-phase cable, because the cables may be twisted together during transport. Therefore, the plurality of cables 13 can be woun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reels 22 while eliminating them even if they are twisted together.

상기의 각 장치 또는 수단들은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에서 해당 단계 또는 미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devices or means may be arranged in advance or in the corresponding step in the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수 캡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waterproof cap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방수 캡(30)은 복수의 케이블(13)을 끼우기 위한 케이블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홀(31)과 캡을 통하여 지중 관로 내부로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2홀(32)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waterproof cap 30 may include at least one spraying cleaning solution into the underground pipeline through the cap and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31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bles for fitting the plurality of cables 13. The second hole 32 is included.

3상의 케이블이 지중에 매설된 경우, 복수의 케이블(13)의 수가 3개가 되므로, 복수의 제1홀(31)도 3개가 형성된다. 제2홀(32)은 하나만이 형성되어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하나의 살수 호스가 제2홀에 체결될 수 있고, 2이상 형성되어 각각의 제2홀마다 호스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살수 호스는 소방 호스가 될 수 있고, 제2홀(32)은 살수 호스가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When the three-phase cable is embedded in the ground,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cables 13 is three, so that the plurality of first holes 31 are also three. Only one second hole 32 is formed so that one watering hose for spraying the washing liquid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hole, and two or more holes may be fastened to each second hole. At this time, the watering hose may be a fire hose, the second hole 3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ing hose is fastened.

또한 방수 캡(30)은 지중 관로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지중 관로의 일단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가 방수 캡(30)에 형성된 홀(33)을 관통함으로써 볼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proof cap 30 may be bolted to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For this purpose, a screw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and the bolt is coupled by penetrating the hole 33 formed in the waterproof cap 30. This can be done.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사다리형 지지대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ladder support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다리형 지지대(40)는 양쪽의 사다리 골격(41)과 사다리 골격(41)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롤러(42a) 및 하부 롤러(42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갖는다. 상부 롤러(42a) 및 하부 롤러(42b)는 회전가능하여 복수의 케이블(13)의 인출시에 케이블과 하부 롤러(42b) 및 상부 롤러(42a)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만약, 일반적인 사다리와 같이 수평 부분이 각이 진 형태의 막대형이거나, 회전이 가능하지 않다면 케이블의 인출시에 이들과 케이블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케이블의 외피 등에 손상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회전 가능한 롤러 형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the ladder support 40 has a form including an upper roller 42a and a lower roller 42b respectively mounted between both ladder skeletons 41 and the ladder skeletons 41. The upper roller 42a and the lower roller 42b are rotatable to reduce friction between the cable, the lower roller 42b, and the upper roller 42a when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pulled out. If the horizontal part is in the shape of an angled bar like a general ladder, or if the rotation is not possible, the roller may rotate when the cable is pulled out, which may cause damage to the outer skin of the cable. Mold is preferred.

복수의 케이블(13)은 맨홀에 설치되는 사다리형 지지대(40)의 하부 롤러(42b)의 하부에 접하고 상부 롤러(42a)의 상부에 접하면서 맨홀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The plurality of cables 13 are drawn out of the manhol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ller 42b of the ladder-shaped support 40 installed in the manhole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42a.

사다리형 지지대(40)의 높이 및 너비는 맨홀이나 케이블의 수 등에 의해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The height and width of the ladder support 40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number of manholes or cables.

도 5는 복수의 케이블에 풀링 그립이 씌워진 예를 나타낸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ulling grip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ables.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 형태의 풀링 그립(50)이 케이블(13)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부분까지 감싸는 형태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풀링 그립(50)을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을 한꺼번에 맨홀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pulling grip 50 having a basket form wraps from one end of the cable 13 to a predetermined portion. By using the pulling grip 50, a plurality of cables can be drawn out of the manhole at once.

풀링 그립(50)은 기본 상태에서 확장 및 복원이 가능한 것이 이용된다. 우선 기본 상태에서 풀링 그립을 확장한 후, 복수의 케이블에 확장된 풀링 그립을 씌운 후, 다시 풀링 그립을 복원시키게 되면 복수의 케이블이 풀링 그립 내에 완전히 포박되게 된다. Pulling grip 50 is used that can be expanded and restored in the basic state. First, the pooling grip is expanded in the basic state, the extended pooling grip is applied to the plurality of cables, and then the pooling grip is restored again, so that the plurality of cables are completely embedded in the pulling grip.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장력분산수단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ure 6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tension dispersing me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장력분산수단(60)은 롤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비대칭형의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대칭형 롤러의 경우, 롤러의 1회 회전시 감기는 케이블의 길이가 풀리는 케이블의 길이보다 더 길게 된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tension dispersing means 60 may be made in the shape of a roller, in particular may be made of asymmetrical roller shape. In the case of the asymmetric roller as shown in Fig. 6, the length of the cable wound upon one rotation of the roller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able to be released.

따라서, 케이블 풀링장치의 윈치에 의해 복수의 케이블이 복수의 릴에 감기는 케이블은 일정한 속도로 감기면서도, 장력분산수단(60)에서 1차적으로 케이블을 3바퀴 정도 권취함으로써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할 수 있어서, 케이블 수거시에 케이블이 끊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able in which the plurality of cables are wound on the plurality of reels by the winch of the cable pulling device is wound at a constant speed, and the tension distributing means 60 firstly winds the cable about three turns to distribute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This can prevent the problem of breaking the cable when collecting the c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사다리형 지지대를 통하여 케이블의 외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을 풀링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을 통하여, 각각의 케이블에 걸리는 장력을 분산함으로써, 케이블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derground cable col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outer sheath of the cable through the ladder-like support as shown in Figure 4, and also when pulling the cable, shown in Figure 6 Through the plurality of tension distribut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cable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by dispersing the tension applied to each cable.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풀링장치가 맨홀로부터 20~50m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케이블의 풀링시 케이블끼리 꼬여 각각의 케이블별로 분리되어 릴에 권취되지 않거나 케이블이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able pulling device is positioned 20 to 50 m apart from the manhole, the cables are twisted when the cable is pulled and separated for each cable to prevent the cable from being wound on the reel or the cable is broken.

또한, 본 발명은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전에 미리 케이블을 세척하게 되므로, 깨끗한 상태로 수거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ean the cable before the collection of the underground cable, it is possible to collect in a clean stat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for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방수 캡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waterproof cap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사다리형 지지대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4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a ladder support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복수의 케이블에 풀링 그립이 씌워진 예를 나타낸다. 5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ulling grip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cables.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장력분산수단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6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tension dispersing mea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지중 관로에 매설된 케이블 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1홀과 적어도 하나의 제2홀이 형성된 방수 캡(waterproof cap)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방수 캡의 제1홀 각각에 끼우면서 지중 관로의 일단을 캡핑(capping)하고, 상기 방수 캡의 제2홀을 통하여 지중 관로 내부로 세척액을 분사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By inse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to each of the first holes of the waterproof cap using a waterproof cap having a plurality of first holes and at least one second hol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cables embedded in the underground pipeline. Capping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and spraying a cleaning solution into the underground pipeline through the second hole of the waterproof cap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plurality of cables; 상기 지중 관로와 연결되는 맨홀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사다리형 지지대를 배치하는 단계;Disposing a ladder-type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in a manhole connected with the underground pipeline; 상기 복수의 케이블에 풀링 그립(pulling grip)을 씌우고, 상기 풀링 그립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로 지지하면서 상기 맨홀 외부까지 인출하는 단계; 및Putting a pulling grip on the plurality of cables, and using the pulling grip to pull out the manhole whil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cables with the ladder support; And 상기 풀링 그립을 제거하고, 맨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케이블 풀링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맨홀 외부로 인출된 복수의 케이블을 각각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Removing the pulling grip and win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drawn out of the manhole by using a cable pulling device spaced apart from the manho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맨홀과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 사이에 상기 복수의 케이블 각각의 장력을 분산하기 위한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을 더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 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And a plurality of tension distributing means for distributing the tens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between the manhole and the cable pull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은 롤러의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케이블 각각이 상기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에 감긴 후에,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릴 각각에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The plurality of tension distributing means is in the form of a roller, and after each of the plurality of cables is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tension distributing means, the plurality of reel of underground cable, characterized in that woun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els included in the cable pulling device Collection method. 제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복수의 장력분산수단은 좌우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 수거 방법. And said plurality of tension distributing means is a roller having a left and right asymmetrical shap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다리형 지지대는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를 포함하고, The ladder support includes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상기 하부 롤러의 하부 및 상기 상부 롤러의 상부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 And the plurality of cables are in contact with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lle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roll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는 상기 맨홀로부터 20~50m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 The cable pulling device is a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20 to 50m from the manho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케이블은 3개의 케이블로 구성되는 3상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 And said plurality of cables is a three-phase cable consisting of three cable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수 캡은 상기 지중 관로의 일단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 And the waterproof cap is bolted to one end of the underground pipelin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세척액에는 마찰저감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 The washing solution is a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 reducing agent is inclu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블 풀링장치는 윈치(winch), 속도감지센서 및 복수의 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 케이블의 수거 방법. The cable pulling device is a method of collecting underground cables comprising a winch, a speed sensor and a plurality of reels.
KR1020090090008A 2009-09-23 2009-09-23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KR1010594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08A KR101059415B1 (en) 2009-09-23 2009-09-23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008A KR101059415B1 (en) 2009-09-23 2009-09-23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493A KR20110032493A (en) 2011-03-30
KR101059415B1 true KR101059415B1 (en) 2011-08-29

Family

ID=43937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008A KR101059415B1 (en) 2009-09-23 2009-09-23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4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24A (en)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underground ca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509A (en) 1997-06-06 1998-12-22 Tokyo Tsushin Network Kk Method for extending or removing cable etc., inside duct with ball rollers
KR100784481B1 (en) 2007-06-26 2007-12-12 최부일 Transfer apparatus of power c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509A (en) 1997-06-06 1998-12-22 Tokyo Tsushin Network Kk Method for extending or removing cable etc., inside duct with ball rollers
KR100784481B1 (en) 2007-06-26 2007-12-12 최부일 Transfer apparatus of power c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424A (en) 2017-08-17 2019-02-27 한국전력공사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underground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493A (en)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524B1 (en) Cable entry and withdrawal device for underground pipeline
KR20180086371A (en) Demolition and installation of underground power cable
KR101059415B1 (en) How to collect underground cables
CN210201333U (en) Underground cable laying structure
EP2561517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the core of a sheathed electrical cable
WO2011037445A1 (en) A method of extracting a cable from a sheath
KR102471953B1 (en) Moving On-site stripper system for coated cable
KR102385613B1 (en) Simultaneous construction method of demolition and installation of underground power cables
KR20110098189A (en) The cylindrical type earth plate established under the bottom of the cement pole
KR101647116B1 (en) cable installation method of corrugate pipe using compartment tool
CN204559009U (en) A kind of cable unreeling rack
KR20130037498A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cable
CN206023158U (en) A kind of adjustable drop and the power cable applicator of gradient
CN202513504U (en) Portal tower crane anchoring cable steering protecting device
KR200436064Y1 (en) apparatus for rotating a cable winding drum
KR100966174B1 (en) Pulling eye for extracting power line in an apartment housing
KR101179244B1 (en) Structure of protective pipe for underground transmission easy to attached and detached and preventing breakage of cable
KR20100053381A (en) Cable guide device
CN210985457U (en) Wire arrang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N210898320U (en) Threading construction device for building electrical engineering
CN220172741U (en) Tightening device for installation of electric wires and cables
CN214412217U (en) Protection device for cable laying
CN212129436U (en) Drainage pipeline large-pipe-diameter CCTV detects and desilting maintenance pull wire wears to draw ware
KR101482178B1 (en) The collect equipment for a copper cable
CN210619886U (en) Cable take-up trolley for construction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