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738B1 -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 Google Patents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738B1
KR101058738B1 KR1020090111145A KR20090111145A KR101058738B1 KR 101058738 B1 KR101058738 B1 KR 101058738B1 KR 1020090111145 A KR1020090111145 A KR 1020090111145A KR 20090111145 A KR20090111145 A KR 20090111145A KR 101058738 B1 KR101058738 B1 KR 10105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real
user
virtual
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4493A (en
Inventor
홍순철
Original Assignee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38B1/en
Publication of KR2011005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2Details of the space or ground control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갖는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기본지도를 제공하는 제1단계;상기 기본지도를 기초로 하여 분양가능한 공간을 선정하는 2단계;상기 분양가능한 공간으로 선정된 공간을 분양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분양된 공간에 가상건물을 짓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서비스되는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은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정보와 이야기로 채우도록 하며 사용자는 실가상공간 및 창조가상공간에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플랫폼의 기기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표시하는 지도서비스를 매개로 하고 GPS를 이용하여 실제공간의 위치를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에 반영하도록 하여 실제공간에 있는 사용자와의 연동이 가능하며 각 접속플랫폼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story map having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comprising: a first step of providing a base map; step 2 of selecting a pre-saleable space based on the base map; Three steps of selling the selected space; And a fourth step of building a virtual building in the space distributed in the third step, wherein the serviced virtual space and the creative virtual space are not provided with simple information but allow the user to create information with the user. Fill the story with the use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to the real virtual space and creative virtual space to be able to access by using a variety of devices on the platform through a map service that displays the real and creative virtual space By using GPS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real space in the real and creative virtual space, it is possible to link with the user in the real space, and differentiated service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cess platform is achieved.

Description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가지며 온라인을 통해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TORYMAP HAVING REAL-VIRTUA SPACE AND CREATED-VIRTUA SPACE}SYSTEM FOR PROVIDING STORYMAP HAVING REAL-VIRTUA SPACE AND CREATED-VIRTUA SPACE}

본 발명은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갖는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story map having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본 발명은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갖는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지도를 제공하거나 가상공간을 제공하거나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많았다. 그러나 기존의 일방적인 정보제공용 지도 서비스가 아니라 이용자들이 제공한 이야기 소스와 시스템에서 제공한 지도제작툴을 통해 직접 지도를 만들고 단순한 길찾기로 대변되는 단순정보 서비스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제공되는 공간에 사람들의 이야기가 덧입혀지고 이러한 이야기들이 커뮤니티의 사용자에 의하여 만들어지고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각 접속플랫폼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서비스로 상호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는 아직 없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story map having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In the past, many systems provided a map, a virtual space, or a community service. However, rather than the existing one-sided map ser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he map source tool provided by users and the map creation tool provided by the system make maps directly and do not stay in the simple information service represented by simple directions. There are no services that add up stories, these stories are created by users of the community, accessible through various platforms, and at the same time, mutually differentiated service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cess platform.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특2002-0003110호 ' 가상현실과 웹페이지를 활용한 실시간 지역정보 서비스방법'은 각 해당지역의 지역정보를 제작하고 특정 지형/지 물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지형/지물의 위치를 지도에 상세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과 웹페이지를 활용하여 실시간 지역정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현실의 지형/지물을 가상공간 속에서 체험하도록 한 것에 불과하며 지형/지물에 따른 별다른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은 없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03110 'real-time local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web page' is to produce the local information of each region and register the information on a specific terrain / features in the database and By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feature on the map in detail, real-time local information service was made possible using virtual reality and web pages. However, the system is only to experience the terrain / features of the reality in the virtual space, and there was no special service according to the terrain / features.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특 2000-0050135호 ' 인터넷에서 지도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은 일반지도를 가상 입체지도를 도안화하여 인터넷상에 표시함으로써 임의의 두 지점간의 교통편 정보를 제공하고 전자상거래 및 예약업무도 제공하도록 한 지도를 이용한 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인데 교통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굳이 일반지도를 입체지도로 바꿀 필요가 없을 뿐더러 교통편 제공 외에는 별다른 서비스가 없어 상호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와는 거리가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0135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map on the Internet' provides a general map of the virtual three-dimensional map on the Internet to provide transportation information between any two points, e-commerce and reservation services It is about th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map which is also provided, and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general map to the three-dimensional map in order to provid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there is no service other than providing transportation, so there is a distance from the service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특2002-0039295호 '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은 실제의 거리를 가상현실 구현언어로 3차원 가상공간상에 구현한 후 광고와 전자상거래를 가능하게 하고 지리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상공간에 구현된 사이버 입점시 건물에 사용자의 아바타가 들어가면 물건의 구입이 가능하도록 한 서비스이다. 그러나 가상공간상에 구현된 건물을 다니며 아바타가 할 수 있는 행위는 구매행위 밖에 없으며 아바타간의 커뮤니케이션이나 건물을 전자상거래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것은 고려되지 않았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2-0039295 'E-Commerce Method Using 3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nables real-world distance in 3D virtual space with virtual reality implementation language and enables advertisement and e-commerce. In addition, it is a service that enables the purchase of goods when a user's avatar enters a building when a cyber entry is implemented in a virtual space. However, the only thing that an avatar can do while traveling in a building embodied in virtual space is the purchase activity,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avatars and the use of the building for purposes other than electronic commerce are not considered.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09-0052970호 ' 시공간 정보가 결합된 체험형 지식 제공방법 및 시스템'은 3차원 가상공간을 생성하고 가상공간에 대한 특정시점 에서의 공간정보 및 지식을 포함하는 시공간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여 과거와 앞으로 축적해갈 미래의 정보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접속 후 제공되는 지식의 축적방법이나 가공방법이 구체적이지 않아 정보를 축적하고 제공한다고 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정보가 어떠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지가 명확하지 않으며 모호한 단점이 있다.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52970 'Experimental knowledg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combined with space-time information' is to create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and spatio-tempor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patial information and knowledg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bout the virtual space It creates and stores it in the memory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ccessing through the terminal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past and the future to accumulate can be reflected. However, it is said that accumula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is not specific because the method of accumulating or processing the knowledge provided after the connection is concrete, and it is not clear what information is provided for what purpose and there is an ambiguous disadvantage.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현재 가상공간을 제공하고 가상공간을 전자상거래, 지형/지물 정보 확인, 특정정보제공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특허가 개시되어 있으며 가상공간에서의 또 다른 삶을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 제공되어 있지만 이러한 서비스들은 특정서비스만 제공하고 있을 뿐이며 서비스의 접속 단말기의 종류가 다르다고 하더라도 단말기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는 않으며 실제공간을 모방해 만들어진 가상공간이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As described above, patents are currently being provided to provide virtual spaces and to use services such as e-commerce, terrain / feature information verification, and specific information provision, and services that provide another life in virtual spaces. Although these services provide only specific services, even if the access terminal of the service is different, the service is not pro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and the necessity of using the virtual space created by imitating the actual space in various ways is used. .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제공간을 표현하는 실가상공간에 사용자들이 만들어가는 창조가상공간을 추가해 서비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virtual space created by users to a real virtual space that represents a real space.

또한, 상기 서비스되는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은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정보와 이야기로 채우도록 하며 사용자는 실가상공간 및 창조가상공간에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플랫폼의 기기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erviced virtual space and the creative virtual space is not to provide simple information, but to fill the user with the information and stories that users create togethe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 the real and creative virtual space This allows access using devices on a variety of platforms.

또한,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표시하는 지도서비스를 매개로 하고 GPS를 이용하여 실제공간의 위치를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에 반영하도록 하여 실제공간에 있는 사용자와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rough the map service that displays the real virtual space and the creation virtual space, and using the GPS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real space in the real and creative virtual space to enable the linkage with the user in the real space. .

또한, 지도를 매개로 하여 제공하며 미리 지정된 넓이의 영역 내에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지역기반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map as a medium and to provide within the area of a predetermined area to provide a regional-based service.

또한, 각 접속플랫폼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aims to achieve a differentiated servic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nection platfor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스토리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상기 시스템은 It provides a system for providing a story map service that the user is made togeth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ystem is

사용자 단말기로서, 위치확인부를 포함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웹,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IPTV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며 스토리맵 시스템서버에 상기 단말기의 접속형태에 따른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스토리맵 서버에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와;A user terminal, which includes any one of a mobile station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location checker, a web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an IPTV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a location map according to a connection type of the terminal in a story map system server. A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o a story map server;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스토리맵 시스템 서버가 제공하는 스토리맵에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하고 사용자단말기로 재전송하는 시스템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스토리맵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확인부와;A system server that displays a user's location in a story map provided by a story map system server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nd retransmits the information to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A positioning unit to determine a position on the user's story map;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GIS서버로서, 상기 GIS서버는 시스템서버가 제공하는 시스템지도를 포함하는 시스템지도DB와 시스템지도를 기초로 사용자가 제작한 그림지 를 포함하는 그림지도DB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리맵은 상기 시스템 지도와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구성이 되고, 상기 스토리맵은 사용자, 실물건물정보, 가상건물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는데,A GIS server for displaying a map, wherein the GIS server includes a system map DB including a system map provided by a system server and a picture map DB including a picture map created by a user based on the system map . A map is constructed using the system map and a picture map, and the story map displays user, real building information, and virtual building information on a map.

상기 사용자는 상기 위치확인부로부터 받은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스토리맵에 표시되고, 실물건물정보는 실제 건물의 위치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GIS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ser may include a GIS server that is displayed on the story ma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cation checker, and the actual building information is selective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building.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현실공간을 표현하는 실가상공간과 실가상공간에 부가된 창조가상공간 안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이 스토리맵에서 만나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통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ovides a new system in which users accessing the service through various platforms in the real virtual space representing the real space and the creative virtual space added to the real virtual space meet in the story map to produce and communicate content. It has an effect.

스토리맵이라는 지도-지역기반 서비스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되는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모방해 만든 가상공간은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정보와 이야기로 채우도록 하며 실제공간의 스토리와 가상공간의 스토리가 만나 상호작용함으로써 제3의 스토리가 만들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The virtual space created by mimicking the real and creative virtual spaces serviced by the map-area-based service called story maps does not provide simple information but allows users to fill it with information and stories they create together. The story of the space and the story of the virtual space mee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o create a third story.

지도-지역기반 서비스로 실물지형에 대한 단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통상의 지도에 담기는 것 이상의 풍부한 정보와 스토리가 담김으로써 온-오프라인이 상호연계 결합되는 다층적 다면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o providing simple information about the topography as a map-area based service,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ulti-layered multi-faceted service in which on-offline is interconnected by containing a wealth of information and stories beyond those contained in normal maps. .

사용자는 실가상공간 및 창조가상공간에 다양한 플랫폼의 기기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며 각 플랫폼에 차별성 없는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플랫폼간의 활발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각 플랫폼의 개성과 특성을 살린 개별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Users can access real and creative virtual spaces using devices of various platforms, and provide individual services that do not discriminate on each platform, enabling activ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latforms, while utilizing individ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latform. Has the effect of provid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맵 서비스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스는 PC, IPTV,모바일 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맵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게 되며 각각의 플랫폼에 따라 별도로 특징 지워지는 스토리맵 서비스가 제공이 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an outline of a story map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tory map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PC, IPTV, mobile, and the like, and a story map service characterized by each platform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맵 서비스는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본 서비스의 메인 플랫폼 서비스이며 '이야기가 있는 지도 창작 서비스'의 구현을 위하여 지도 제작, 콘텐츠 등록, SNS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툴이 제공된다. 상기 맵에서 구현되는 콘텐츠들은 모바일과 IPTV로 연동되어 제공되며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위치기반의 지도를 바탕으로 제공되며, 이용자들의 활동은 아바타와 함께 제공된 개인 블로그인 배낭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The story map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platform service of the present web-based service, and various tools are provided for mapping, content registration, and SNS activation in order to implement 'story map creation service'. The contents embodied in the map are provided by interworking with mobile and IPTV, and the contents are basically provided based on the location-based map, and the user's activitie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backpack blog, which is a personal blog provided with the avatar.

본 발명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도는 메인지도인 커뮤니티 맵과 개인이 변형하여 만든 지도인 마이 맵의 두 가지가 제공되는데 일차적으로는 위성 실사지도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여기에 <지도만들기 툴>을 사용하면, 아날로그적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그림지도로 만들 수 있다. The map serviced b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wo kinds of maps, a community map, which is a main map, and a my map, which is a map created by an individual. In addition, it can be made into hand drawing map which can feel analog sensitivity.

또한, 골목 방송국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골목 방송은 골목 혹은 동네의 특 성을 살린 방송 콘텐츠들이 실시간 생방송 혹은 VOD 형태로 제공되며 여기에 사용되는 콘텐츠들도 이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제작되며 모바일과 IPTV의 주요 콘텐츠들도 방송용으로 재편성되어 플랫폼 상호간에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lley broadcasting station service is provided. Alley broadcasting is provided with live contents or VOD in the form of broadcasting contents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alleys or neighborhoods. The contents used here are produc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users and the main contents of mobile and IPTV. Can also be reorganized for broadcasting and provided between platforms.

또한, 기본적으로 스토리맵 서비스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은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구현하는 실질적인 방법들이다. 구체적으로 스토리맵 서비스의 메뉴 중 하나로 단문서비스를 제공하여 접속한 골목 혹은 관심 골목과 관련된 질문 사항이나 요청 사항을 실시간으로 게시하여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인맥을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ctivities that occur in the story map service are basically practical ways of implement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 detail, one of the menus of the story map service provides a short message service to post questions or requests related to alleys or alleys of interest in real time so that us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solving problems and forming connections.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그림지도 서비스는 위치기반으로 제공되는 스토리맵으로서 이용자들이 골목의 이야기들을 웹을 통해 직접 포스팅하며 지도를 만들어 가는 서비스로서- 특히 이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골목을 중심으로 그곳에서 생산되는 이야기들을 이용자가 직접 찾아내 지도에 포스팅하여 말 그대로 '이야기가 있는 지도'로 만들고, 지도 자체도 이용자만의 스타일로 꾸미고 만들 수 있다. 우선, 이야기들이 포스팅 되는 지도는 실사지도로 제시된다. 실사지도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그림 지도 만들기 툴>을 통해 '그림지도'로 변환시키고, 그림지도는 팝업형태의 '입체지도'로 변환하여 제공된다. 지도에는 실제 존재하는 지형, 지물은 기본으로 표현되며, 이용자들의 선택에 따라 가상의 건물을 건설할 수 있다. 만들어진 가상의 건물들은 각각의 고유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방송국 건물을 골목에 건설했다면, 온라인상에서 방송을 하는 포스트가 된다. The hand- drawing map ser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y map provided on a location-based basis, which is a service in which users post stories of the alleys directly through the web and make a map-especially in the alleys where the users are interested. Users can find the stories themselves and post them on the map to literally make a 'story map', and the map itself can be decorated and made in the user's own style. First, the map where the stories are posted is presented as a live-action map. Due diligence map is converted into ' hand drawing map' through <Picture Map Making Tool> provided by the service, and hand drawing map is converted into 'stereo map' in pop-up form. On the map, the actual topography and features are represented by default, and a virtual building can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 fictitious buildings created play a unique role. For example, if you build a station building in an alley, it becomes a post that broadcasts online.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블로그는 두 가지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용자들은 전 달하고 싶은 골목의 이야기들을 글, 영상, 소리 등 다양한 방식의 콘텐츠로 만들어 지도에 포스팅 할 수 있다. 포스팅 한 이야기들은 두 가지 형태의 블로그에 모아지는데, 하나는 움직이지 않는 '고정 블로그'인 <둥지 블로그>이고, 하나는 '움직이는 블로그'인 <배낭 블로그>이다. 둥지 블로그(고정 블로그)는 지도상의 건물(집, 가게 등)처럼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곳을 말하며, 이용자 누구든 해당 건물과 관련해 발굴한 스토리를 바로 포스팅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건물마다 이용자들이 올린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가 시간이 갈수록 축적 된다. 배낭 블로그 (움직이는 블로그)는 이용자의 아바타가 항상 움직일 때마다 가지고 다니며 자신의 활동 이력(포스팅 이력, 골목서핑 이력 등)을 담아놓을 수 있는 유저 개인용 블로그이다. 언제 어디서든 유저들이 움직이는 동선을 따라 블로그가 이동하기 때문에 일종의 '유비쿼터스 개념의 블로그'라고 할 수 있다. 둥지 블로그가 특정한 해당건물에만 관련된 콘텐츠가 담겨지는데 반해, 배낭 블로그는 이용자가 전국방방곡곡을 돌아다니거나 포스팅한 다양한 골목의 이야기들이 담기는 블로그라는 차이점이 있다. The blog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wo forms, and users can post stories on the map by creating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writing, video, sound, etc. The stories that are posted are collected in two types of blogs, one is the fixed blog, the nest blog, and the other is the moving blog. Nest blogs (fixed blogs) are fixed places that do not move like buildings on the map (houses, shops, etc.), and anyone can post a story discovered about the building. That is, various types of posts posted by users are accumulated over time in one building. The backpack blog (moving blog) is a personal blog that you can carry with you whenever your avatar is moving and contain your activity history (posting history, alley surfing history, etc.). It is a kind of 'ubiquitous blog' because the blog moves along the movement of users anytime and anywhere. While the Nest blog contains content related only to a specific building, the Backpack blog is a blog that contains stories of various alleys posted or posted by users around the country.

골목방송은 스토리 맵에서 핵심이 되는 서비스 중의 하나로 <골목방송>이 있다. 이것은 골목의 특성 혹은 지역 테마에 맞게 이야기의 주제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웹 상의 마이크로 방송 서비스이다. 골목방송은 이용자들이 지도상에 '골목 방송국을 가상건설'하여 방송콘텐츠를 제작, 방송하게 된다. 골목에서 '지금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방송아이템)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생방송 프로그램'은 물론, 사전 제작된 'VOD방송물'도 골목방송국을 통해 이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다. 또한 골목방송의 콘텐츠는 '모바일'과 'IPTV'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으며, 일방적인 시청이 아닌, 쌍방향 참여도 할 수 있다.Alley broadcasting is one of the core services in the story map. This is a micro-broadcasting service on the web that selects and provides the story's the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ley or the local theme. In the alley broadcasting, users create and broadcast broadcasting contents by virtually constructing alley broadcasting stations on the map. In addition to the 'live broadcast program' that broadcasts live scene stories (broadcasting items) 'live now' in the alley in real time, users can watch pre-produced 'VOD broadcasts' through the alley broadcasting station. In addition, the contents of alley broadcasting can be viewed through 'mobile' and 'IPTV', and can participate interactively, not unilateral viewing.

스토리맵의 모든 콘텐츠 서비스는 모바일, IPTV와 유기적으로 연동되는데, 특히 세가지 플랫폼의 유기적 연동을 가장 극명하게 드러내는 서비스는 '골목 SNS(Social Network Service)'라 불리는 플랫폼 간 단문 메시지 서비스다. 언제 어디서든지 이용자들은 각자 접속한 환경(웹, 모바일, IPTV)하에서 서로 간에 골목에 대한 질문이나 실시간 요청(request)을 올리고, 답변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리 맵 서비스는 단순히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지도로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골목이야기를 담은 콘텐츠를 세 가지 플랫폼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지도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수많은 유저들에 의한 강력한 골목 커뮤니티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웹과 모바일, IPTV가 상호 연동됨으로써 지금까지의 단일플랫폼에 기반한 단순하고 제한된 서비스가 아니라, 플랫폼들이 지닌 개별특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 융합되면서 입체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anywhere, anytime의 유비쿼터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진보적이라 할 수 있다. 도2a,b는 상기한 서비스들의 표시 예를 도시하며 상기한 각각의 서비스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All content services in the story map are organically linked with mobile and IPTV. In particular, the service that most clearly shows the organic interworking of the three platforms is the cross-platform short message service called 'Alley Social Network Service'. Anytime, anywhere, users can post and answer questions or real-time requests about alleys from each other in their connected environment (web, mobile, IPTV). Therefore, the story map service does not simply stay as a map that shows location information, but can provide a new level of map service by sharing contents containing various alley stories through three platforms. By forming a strong alley community. In addition, the web, mobile, and IPTV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Instead of being a simple and limited service based on a single platfo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service by interlocking and fus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platforms. It is very progressive in that it provides a service. 2A and 2B show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service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above-described services will be described later.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맵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스토리맵 서비스 시스템은 유선,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이 가능하며 접속가능한 단말기는 인터넷에 연결된 PC, 무선네트워크망을 이용하는 모바일 폰, 지역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IPTV를 포함하여 네트워크에 연결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story map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y map service system can be access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nd the accessible terminal includes all means capable of connecting to the network, including a PC connected to the Internet, a mobile phone using a wireless network, and an IPTV connected to a local network. can do.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가능한 단말기는 위치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위치확인부는 GPS와 같이 사용자의 실제 위치 정보를 위성으로 부터 받는 도구 일 수 있다. GPS 이외에도 실제 위치를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는 장치는 위치확인부로 사용이 가능하다. 스토리맵 서비스는 제공되는 지도에 사용자의 실제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한정된 영역의 지도 내에 표시된 사용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현실공간에서의 위치와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위치가 같은 경우와 다른 경우는 서로 다른 형태로 표시되며 그에 따라 서비스의 내용도 달라지기 때문에 위치확인부에 의한 위치정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제공간의 지형,지물, 건물이 스토리맵상에 표현된 것을 실가상공간이라고 지칭하며 실가상공간외에 실제의 지형, 지물, 건물과 관계없이 스토리맵 서비스 제공자,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창조가상공간이라고 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the accessible terminal may include a positioning unit, which may be a tool for receiving a user's actual location information from a satellite, such as a GPS. In addition to GPS, a device that can receive the actual location in real time can be used as a positioning unit. The story map service displays the user's actual location on the provided map in real time and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displayed in the map of the limited area. The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provided by the service is the same as when the location in the real space is the same. In other case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the positioning unit plays an important role because it is displayed in a different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service are also changed according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rain, features, and buildings of the real space are referred to as real virtual spaces and create spaces formed by story map service providers and users regardless of the actual terrain, features, and buildings other than the real virtual space. It is called a virtual space.

가정에 있는 PC나 IPTV와 같은 단말기를 통하여 접속하는 경우 지도상에는 미리 설정된 지도상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으며 위치확인부는 이 경우에 사용자로부터 지도표시위치의 입력을 받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지도에 표시되는 아바타의 위치를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확인부로 인하여 지도에는 3개의 단말형태가 있다고 하면( 1. 웹 이용자의 아바타, 2. 모바일 이용자의 아바타, 3. IPTV 이용자의 아바타) 아바타의 위치에 따라 a. 현실세계의 실제위치를 나타내는 아바타 (예-pc로 접속한 위치, 모바일로 접속한 위치, IPTV로 시청하는 위치) - b. 가상공간의 가상위치를 나타내는 아바타 (예- 웹에서 제공되는 골목을 구경(서핑)하고 있는 위치)로 구분할 수 있으며 아래의 표와 같이 6개의 표시 형태가 나오게 된다. When connected via a terminal such as a PC or an IPTV in the home, the map may be displayed at a preset location on the map, and the positioning unit receives and displays the map display location from the user in this cas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avatar displayed on the map may be adjusted in real time on the terminal. If there are three types of terminal on the map due to the positioning unit (1. Avatar of web user, 2. Avatar of mobile user, 3. Avatar of IPTV user) A. Avatar indicating the actual location of the real world (eg-PC connected location, mobile connected location, IPTV viewing location)-b. It can be divided into avatars representing virtual locations of the virtual space (eg, locations that are watching (surfing) alleys provided by the web) and six display types are shown as shown in the table below.

Web 모바일mobile IPTVIPTV 실제 위치Physical location 1 - a1-a 2 - a2-a 3 - a3-a 가상의 위치Virtual location 1 - b1-b 2 - b2-b 3 - b3-b

아바타 1-a의 경우 접속 IP에 따라 접속 위치가 표시되고 2-a의 경우에는 GPS, 기지국, 접속AP의 위치정보에 의해 표시를 할 수 있으며 3-a의 경우에는 가입자의 주소, 접속 IP를 통해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아바타 1-b, 2-b, 3-b의 경우는 각 단말의 입력장치에 의한 조작을 통해 아바타를 움직이거나, 열람하고 있는 콘텐츠의 위치에 아바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관한 기본정보는 위치확인부에서 수집하게 되며 최종적인 표시위치는 시스템의 위치결정부에서 결정하여 표시하게 된다. 사용자의 아바타의 위치는 개인위치DB에 일정시간마다 업데이트되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반영한다. In the case of Avatar 1-a, the access loc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access IP. In the case of 2-a, the access location can be display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PS, the base station, and the access AP. In the case of avatars 1-b, 2-b, and 3-b, the avatar may be moved or manipulated by the input device of each terminal, or the avatar may be displayed at the location of the content being viewed. . Basic information about the position is collected by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final display position is determined and displayed by the positioning unit of the system. The location of the user's avatar is upda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 the personal location DB to reflect the loc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현재의 위치가 실제위치냐 가상위치냐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지도에서의 실제 위치에 있는 사용자와 가상의 위치에 있는 사용자의 대화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은 매우 중요하다. 즉, 실제위치에 있는 사용자에게 특정 지형지물의 사진을 보내도록 요구하거나 특정 매장이 열려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어 정 공간과 가상공간을 연동시키기 때문에 통상의 지도서비스나 메신저 서비스로는 불가능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This distinc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type of services provided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is a physical location or a virtual location, and the types of conversations between the user at the actual location and the user at the virtual location may vary. .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sk the user at the actual location to send a picture of a specific feature or to check whether a specific store is open, so that the fixed space and the virtual space are interlocked, so that a service that is impossible with a normal map service or a messenger service can be provided. Do.

시스템의 전체적인 운영은 시스템서버가 담당하며 시스템서버는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해당 서버로 이동한다.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ystem is handled by the system server, which moves to that server according to the services provided.

GIS서버는 지도제공과 관련된 서비스를 담당하며 시스템이 기본으로 제공하 는 지도정보 DB, 사용자들이 만든 그림지도DB와 연결되어 시스템 서버의 요청이 있을 때마다 필요한 지도를 제공하도록 한다. The GIS server is in charge of the service related to providing the map and is connected to the map information DB provided by the system and the picture map DB created by the user so that the necessary map is provided whenever requested by the system server.

블로그서버는 블로그의 운영과 관련된 서비스를 담당하며 지도상에 설정된 둥지블로그의 정보를 저장하는 둥지블로그DB와 아바타가 메고 움직이는 것으로 표현되어 아바타를 클릭할 때 볼 수 있는 배낭블로그의 정보를 저장하는 배낭DB를 포함한다. The blog server is in charge of servic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log and the nest blog DB, which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nest blog set on the map, and the backpack is stored as an avatar that is displayed as a carry and backpack. Include DB

SNS서버는 시스템 사용자간의 소통을 위한 대화창을 제공한다. SNS server provides a dialog for communication between system users.

도4의a는 본 서비스에 의한 지도서비스를 도시한다. 지도는 "스토리맵"의 콘텐츠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들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 바탕이 되며 지도 서비스를 통하여 유저는 블로그, 골목콘텐츠 포스팅 및 관람, 아바타 관리, 골목 방송국 참여 등 대다수의 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유저는 지도자체를 자유롭게 창작함으로써 기존의 골목 환경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다. Fig. 4A shows the map service by this service. The map is the basis for using various servic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story map", and through the map service, the user performs the majority of activities such as blogs, posting and viewing alley contents, avatar management, and participation in alley broadcasting stations. In addition, the user can freely create a leadership body to vary the existing alley environment.

지도는 유저들이 공동 창작하여 서비스의 메인 맵이 되는 "커뮤니티 맵"(CM)과 유저 개인이 놀이의 차원에서 지도를 자유롭게 디자인해보는 "개인 맵" 인 "마이맵"(MM)으로 나뉜다The map is divided into "Community Map" (CM), where users co-create and become the main map of the service, and "My Map" (MM), which is a "personal map", in which users can freely design a map in terms of play.

커뮤니티맵은 웹기반의 서비스에 접속한 이용자가 가장 처음 접하는 이미지로서, 비회원/비로그인 접속 시에는 접속 IP에 근접한 골목, 콘텐츠 등록이 활발한 골목, 접속자가 많은 골목 등이 지도화면에 무작위로 노출되며, 일정 시간이 흐름에 따라 표시 내용이 변경된다. 로그인 후에는 회원가입 시 등록하거나, 서비스 이용 중 관심 골목으로 지정한 지역이 지도 화면에 우선적으로 표시 되며 드래그기 능, 확대/ 축소 바를 이용하여 지도를 확대, 축소할 수 있다. 화살표를 이용해 원하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콘텐츠가 등록되어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지도상의 아바타를 클릭하여 상대 아바타의 공개된 정보를 열람하거나 골목친구 맺기로 불리는 인맥 맺기를 할 수 있다. 콘텐츠를 등록하고 싶은 경우, 로그인 후 하부메뉴 '마이 맵 만들기'를 통해 지도상에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으며 둥지블로그를 통해 추가할 수도 있다. 또한, 현실공간이 변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도상의 공동공간을 임대, 분양받아 건물을 지어 실가상공간 속에 창조가상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4의 a에는 이러한 예가 도시된다. The community map is the first image that users access to web-based services.In non-member / non-login access, alleys close to the access IP, alleys with active content registration, alleys with many accessors are randomly exposed on the map screen. The display contents change as time passes. After logging in, you can register at the time of registration, or the area designated as interest alley while using the service will be displayed on the map screen first, and you can zoom in and out using the drag function and zoom bar. You can use the arrows to move to another area you want, and click on the icon where the content is registered to view the content. In addition, by clicking on the avatar on the map, you can view the open information of the other avatar or make a network called a friend. If you want to register the content, you can add the content on the map through the 'My Map' submenu after logging in, or you can add it through the nest blo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creative virtual space in a real virtual space by building a building by renting and selling a common space on a map within the range that the real space does not change. This example is shown in Fig. 4A.

종래의 가상공간 서비스는 실제공간을 표현하는 가상공간을 만들어 서비스에 제공하여 실제공간에 직접 가보지 않아도 실제공간에 가보거나 실제공간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ex, 지도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실제공간과 상관없는 전혀 별개의 가상공간을 만들어(ex, 게시판, 게임) 서비스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실제공간을 표현하는 가상공간을 '변형'시키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실제공간을 바탕으로 한 가상공간을 제공하면서 실제공간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상공간 내에 새로운 가상건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실제공간의 지형,지물, 건물이 스토리맵상에 표현된 것을 '실가상공간'이라고 지칭하며 실가상공간 외에 실제의 지형, 지물, 건물과 관계없이 스토리맵 서비스업자,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된 가상공간을 '창조가상공간'이라고 한다. Conventional virtual space service provides a service (ex, map service) that allows you to make a virtual space representing the real space and provide it to the service by going to the real space or to check the features located in the real space without going directly to the real space. There was a case of making a virtual space (ex, a bulletin board, a game) completely irrelevant to the real space (ex, a bulletin board, a game), but there was no case of 'transforming' a virtual space representing the real space and providing a servic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create a new virtual building in the virtual spac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change the real space while providing a virtual space based on the real space. That i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rain, features, and buildings of the actual space are referred to as 'real virtual space' and are represented by a story map service provider or a user regardless of the actual terrain, features, or buildings other than the actual virtual space. The created virtual space is called 'creative virtual space'.

또한, 상기 창조가상공간이 전자상거래 등 특별한 서비스와 관련이 되는 경 우나 사용자가 창조가상공간이 형성되어있는 실제공간을 지나가는 경우 실제공간에 설치된 RFID와 같은 매체에 의하여 상기 창조가상공간의 서비스로 바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서비스로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의 연계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reative virtual space is associated with a special service such as electronic commerce or when the user passes the real space in which the creative virtual space is formed, the service of the creative virtual space is directly provided by a medium such as RFID installed in the real space. It is a service such as being able to move to enable the linked service of virtual space and real space.

마이맵은 이용자가 본인의 기호에 따라 공간을 자유롭게 변형, 재창조하여 한 공간의 다양한 맵을 디자인하게 하는 서비스로서, 제작진에서 애니메이션 스타일, 유화풍, 수채화풍, 초현실풍 등 다양한 스타일을 제공하며 이 외에도 유저가 자유롭게 창작할 수 있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며 디자인된 마이맵들은 시간순서별, 스타일별로 배낭 블로그에 저장된다. 유저가 원하면 배낭블로그에 마이맵을 (콘텐츠로서) 포스팅 할 수 있다. 유저는 배낭 블로그를 통해 언제든지 마이맵을 꺼내어 열람할 수 있고 본인의 의사에 따라 언제든지 자유롭게 삭제할 수 있으며 마이맵 상에서는 현실공간의 변형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형지물이 변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존의 건물을 허물고 다시 지을 수 있다. 도4의 b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다. 도4의 b에서는 건물이 있던 공간에 건물을 지은 예를 볼 수 있다. 이처럼 지어진 공간이 창조가상공간이 된다. My Map is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freely transform and recreate space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to design various maps of a space. The artists provide various styles such as animation style, oil painting style, watercolor style, surreal style, etc. Dedicated applications that users can freely create are provided, and the designed MyMaps are stored in backpack blogs by time sequence and style. If you want, you can post your MyMap (as content) to your backpack. Users can take out and view My Map at any time through the backpack blog, and can freely delete it at any time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and can change the actual space on My Map, and destroy existing buildings within the range where the features do not change. Can be rebuilt. 4B shows this example. In b of FIG. 4, an example of building a building in a space where a building was located is shown. The space thus constructed becomes the creation virtual space.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맵과 커뮤니티맵을 작성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최초에는 위성실사지도가 주어지며 이러한 기본 실사지도는 제작진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하며 이는 어떤 콘텐츠도 아직 포스팅 되지 않은 빈 지도의 상태이다. 사용자는 스토리 맵으로 구현할 동네/골목을 선정하는데 위성실사지도에서 스토리 맵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지역을 골라 클릭한다. 이후 구체적인 지역 선정 후 제작진에서 제공한 리터칭 툴을 적용시키면 "실사지도"에서 "손 그림 지도"" 입체지도"로 변형된다. 이는 앞으로 이 지역에 관련 콘텐츠를 포스팅하고 이를 관람할 수 있는 스토리 맵(창작맵) 단계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역할을 하며 이 단계에서 제공되는 리터칭 툴은 유저가 그 값을 정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제공된다. 전체지도의 시각적 통일성을 위하여 유저는 다만 이 툴을 최초의 실사지도에 "적용"시킬 수 있을 뿐이다. 위의 단계에서 줌인 해 들어가면 이 지역의 지도가 입체화되는데 지도의 시점이 eye-level로 바뀌면서 2D상태였던 주변의 건물들이 3D로 팝업 되어 입체감을 형성하게 되며 이 시점부터는 아바타가 골목을 트래킹 할 수 있다.5A shows a flowchart for creating a mymap and a community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itially, satellite due diligence maps are provided, and these basic due diligence maps are provided by the crew, which is a blank map in which no content has been posted yet. The user selects a neighborhood / alley to be implemented as a story map, and clicks on a specific area to be implemented as a story map on the satellite live map. After selecting the specific area, if you apply the retouching tool provided by the crew, it will be transformed from "real map" to "hand drawing map" and "stereo map". This is a reminder that the story map (creation map) phase in which the relevant content can be posted and viewed in the future has begun, and the retouching tool provided at this stage is fixed so that the user cannot set its value. For visual uniformity of the entire map, the user can only "apply" this tool to the original photorealistic map. If you zoom in on the above step, the map of this area becomes three-dimensional, and the viewpoint of the map changes to eye-level, and the buildings around the 2D state pop up in 3D to form a three-dimensional effect, from which the avatar can track the alley. .

이후, 입체지도 상에 자투리 공간, 허공, 지하 공간 등을 임대, 분양받아 유저가 필요한 건물을 짓는데 건물의 임대, 분양 등에 관한 것은 후술한다. Subsequently, a lease, sale, underground space, etc. are leased and sold on a three-dimensional map to build a building required by a user, and the lease and sale of the building will be described later.

커뮤니티맵의 경우 규격에 맞는 건물 짓기 툴이 제작진으로부터 제공이 되며, 지어진 건물은 팝업지도의 형태로 커뮤니티 맵 상에 삽입되고 마이 맵의 경우 유저가 직접 건물을 디자인해 넣을 수 있고 디자인 툴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In the case of community maps, building tools that meet the standards are provided by the crew, and the built buildings are inserted on the community maps in the form of pop-up maps, and in the case of My Maps, users can design their own buildings. An application is provided.

지도의 디자인을 변경하기 위해서 유저가 개인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지도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유저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의 자유로운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하며 이렇게 여러 형태로 제작된 스토리맵은 개인 배낭에 저장되며 마이맵에서만 이러한 변형이 가능하다. In order to change the design of the map, the map design tool that the user can select according to his / her preferences can be freely transformed into various styl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is variant is only available in MyMap.

커뮤니티맵의 창작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관리 위원회를 두어 실사지도상에서 스토리 맵으로 변형시키는 최초의 유저를 선정하고 커뮤니티맵상에 건물을 짓고자 하는 유저들의 관리, 허가하고 건물을 지을 지역임대, 분양, 건축 관련 분쟁을 조율하도록 하며 GIS서버의 건축관리부가 이러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건축관리부는 실제건물DB와 가상건물DB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during the creation of community maps, a building management committee is set up to select the first users to transform from the live-action maps into story maps, and to manage, authorize, and build the building users on the community maps. Coordinating regional lease, sale, and construction disputes. The GIS server's building management department plays this role. For this purpose, the building management department includes a real building DB and a virtual building DB.

또한, 공간돌려보기 서비스를 제공하여 - 팝업지도(입체지도)상에서 트래킹시 이 서비스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건물 내부, 또는 골목의 보다 더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솔루션을 제공하며 - 이 서비스가 제공되는 공간에 한해서는 공간을 eye-level에서 360도 회전하여 관람할 수 있으며 상업 공간의 홍보, 부동산 정보서비스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저에게도 유저가 직접 (공간을 360도 돌려보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포스팅 할 수 있도록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pace look-up service-when you click on the icon of the service when tracking on a pop-up map (stereoscopic map) provides a solution to see a more detailed view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or alley- In the case of spaces, the space can be rotated 360-degree at eye-level and can be used for commercial space promotion and real estate inform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user is provided with a dedicated applic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create and post content (that rotates the space 360 degrees).

또한, 상기 가상공간의 임대와 분양을 통한 수익모델이 발생하는데 커뮤니티맵 상에서 자투리 공간, 허공, 지하 공간 등을 이용하여 가상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CM상의 가상공간을 임대, 분양하는데, 이때 GIS서버내의 가상공간 관리부가 분양여부를 결정하게 되는데 우선적으로 우선적으로 공공성이나 문화적 컨셉이 있는 단체를 중심으로 가상공간을 분양하며, 공개입찰형식을 통해 단체의 입장을 피력하면, 골목과의 어울림과 운영 방향 등을 골목안내자(또는 골목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심사단을 통해 평가하여 최종 분양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가상공간을 분양받으면,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아이템을 구매하여 건물을 짓거나, 개인이 직접 툴을 이용하여 건물을 지을 수 있고, 완성된 공간 안에서 원하는 활동을 펼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fit model is generated through the lease and sale of the virtual space, which leases and sells the virtual space on the CM so that a virtual building can be built using a space, an empty space, an underground space, and the like on a community map.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department decides whether or not to pre-sale. First of all, the virtual space is predominantly distributed around groups with publicity or cultural concept. It is evaluated through a panel of judges composed of alley guides (or alley experts) to decide whether or not the final sale. Once you have a virtual space, you can purchase the items provided by the service to build a building, or you can build your own building using tools and perform the activities you want in the completed space.

도5b는 창조가상공간의 임대의 일례를 도시한다. 가상공간관리부 하의 분양 대상DB에서 현재 분양이 가능한 가상공간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분양가능 가상공간 리스트'의 열람이 가능하게 한 후 온라인을 통해 원하는 공간을 선택하고 가격, 기간, 위치를 열람하여 가격을 기재한 신청서를 제출한 후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한 임대가 이루어진다. 도5b에서는 분양을 위해 구성된 심사단이 온라인을 통한 공개투표에 의하여 분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5B shows an example of the lease of the creative virtual space. Provides a list of currently available virtual spaces from the target DB under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unit, allowing the user to view the 'Distributable Virtual Space List' through his terminal, and then select the desired space online and select a price, The lease shall be made by a predetermined method after submitting an application for the period, location, and price. In FIG. 5B, the judging panel configured for sale is sold by public voting online.

도5a,도5b,도6은 실가상공간에 창조가상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순서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인데 실가상공간은 실제공간의 지형,지물, 건물 정보를 담아낸 것으로서 통상의 지도서비스라면 실제건물이나 지형 등을 표시하는 것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서비스는 실제의 것과 동떨어진 지형, 지물이 아닌 실제의 것을 가상공간에 형성해 만든 실가상공간에,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순수한 가상공간에 해당되는 창조가상공간을 효과적으로 만들고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5A, 5B, and 6 are diagrams showing in detail a sequence for providing a creative virtual space to a real virtual space. The real virtual space includes the topography, features, and building information of a real space. Corresponds to displaying actual buildings or terrain. The ser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ffectively creating and managing a creation virtual space corresponding to a pure virtual space that does not actually exist in a real virtual space formed by forming a real thing in a virtual space, which is not a feature, a terrain that is different from a real one.

이를 위하여 기본지도를 제공하는데 기본지도는 실제공간의 지형, 지물, 건물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 형태로서 미리 설정된 만큼의 넓이의 지역이 표시되며 이 단계에서는 빈지도, 실사지도의 상태이다. To this end, a basic map is provided. The basic map is a map form containing the terrain, features, and building information of a real space, and the area of a predetermined area is displayed. At this stage, a blank map and a live-action map are displayed.

기본지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토리맵으로 표시될 지역을 선정하게 된다. 또한 선정된 지역을 그림지도 형태로 리터칭하게 된다. 그림지도의 리터칭은 사용자가 미리 제공된 툴을 적용시켜 실사지도에 리터칭함으로써 창작맵으로서 변형시키며 이순간 부터 콘텐츠 포스팅이 가능한 스토리맵으로 기능하게 된다. In the basic map, a region to be displayed as a story m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In addition, the selected area will be retouched in the form of a picture map. The retouching of the picture map is transformed into a creative map by retouching the live-action map by applying a tool provided in advance, and functions as a story map that can post content from this moment.

상기 스토리맵에서 줌인하게 되면 특정 축척이상이 될 경우에는 지도상의 건 물을 3D로 표시하도록 하여 건물을 팝업(pop-up)시키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지도자체도 3D표시에 맞게 원근감 있게 표시될 수 있다. When zooming in on the story map, the building on the map is displayed in 3D when the scale is over a certain scale, and the building pops up, and the leader may be displayed in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3D display if necessary. have.

상기 특정 축척이상의 지도는 건물이 팝업되면서 각 지도에 표시된 골목이 입체적으로 부각되며 현실공간이 변화하지 않는 범위내라면 지도의 자투리 공간, 허공, 지하공간 등에 가상건물을 지을 수 있게 된다. In the map above the specific scale, as the buildings pop up, alleys displayed on each map are three-dimensionally highlighted, and virtual buildings can be built on the edges of the map, in the air, and in underground spaces if the real space does not change.

이를 위하여 시스템서버는 GIS서버로 하여금 건축관리모듈과 가상공간분양모듈을 두어 사용자에게 분양가능한 공간의 리스트와 이미 분양된 리스트를 만들어 분양가능 DB와 분양DB로 나누어 관리되도록 하며 이러한 분양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건물과 실제건물을 구별하도록 한다. To this end, the system server allows the GIS server to have a building management module and a virtual space sale module to create a list of spaces that can be distributed to the user and a list that has already been distributed, and manage them by dividing the pre-distributable DB and the sale DB. Be sure to distinguish between buildings and real buildings.

또한, 시스템지도DB에는 스토리맵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실사지도를 저장하도록 하며 그림지도DB에는 리터칭된 지도와 리터칭 이후에 가상건물과 분양내역이 반영된 지도를 저장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system map DB stores the real-world maps that enable the creation of story maps, and the map map DB stores the re-arranged maps and the maps reflecting the virtual buildings and the sale details after retouching.

가상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분양 공간DB에서 자투리 공간, 허공, 지하 공간 등의 정보를 '가상공간분양부'로부터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가상공간분양모듈은 분양가능DB에서 현재 분양 가능한 분양가능 리스트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때 위치정보와 함께 임대기간, 임대료 등의 세부 임대조건을 함께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분양가능리스트에서 원하는 공간을 선택하여 온라인을 통하여 신청메시지를 GIS서버에 보내게 되며 GIS서버는 이때 분양되는 공간에 지어지는 건물의 종류, 크기, 용도, 사용자의 등급 등을 고려하여 분양가능여부에 대한 답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내게 된다. In order to build a virtual building, the pre-distribution space DB receives information such as a drop space, an empty space, an underground space, etc. from a 'virtual space preparatory unit' and provides the user. In this case, the virtual space sale module creates a list of available pre-saleable in the pre-saleable DB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t this time, detailed lease conditions such as lease period and rent can be sent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space from the available distribution list and sends the application message to the GIS server online. The GIS server considers the type, size, use, and user's grade, etc. A reply message to the user will be sent to the user.

또한, 서비스되는 지도에 따라 이해관계인이 있는 경우 건축관리부는 이해관계인으로부터 동의 여부를 온라인을 통해 받음으로써 허가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건물이 지어지는 경우 기존 지도의 둥지블로그의 시인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 등이 그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re is a stakeholder according to the service map, the building management department can reflect the permission in the permit by receiving online consent from the stakeholder. For example, when a new building is built,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visibility of the nest blog of an existing map.

허가를 득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디자인으로 손그림지도 상에 가상건물을 지을 수 있으며 이렇게 지어진 가상건물은 건축관리모듈에 의하여 가상건물DB에 등재된다. 또한, 건물의 종류에 따라서 커뮤니티맵, 마이맵에 선택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If permission is obtained, the user can build a virtual building on the hand-painted map with his own design. The virtual building thus constructed is registered in the virtual building DB by the building management module. In addition, it may be selectively reflected in the community map and my map according to the type of building.

가상공간의 분양 시에 가상공간분양부에서 분양 가능한 지역을 포함하는 분양가능DB에서 현재 분양 가능한 분양가능 리스트를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때 위치정보와 함께 임대기간, 임대료 등의 세부 임대조건을 함께 제출할 수 있다. When the virtual space is sold, a list of available for sale is available from the pre-saleable DB including the area available for pre-sale by the Virtual Space Sales Department, and the user can submit detailed lease conditions such as lease period and rent alo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해당공간을 분양받기를 원하는 사용자가 여럿인 경우 공개입찰을 진행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의 신청자 중에서 어떤 신청자에게 해당공간을 임대할지를 정하기 위해 해당 골목에서 골목심사단을 만들어 심사단에 의한 공개검토 및 투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개검토 및 투표는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며 골목심사단은 골목안내자, 골목탐험가 집단, 서비스의 운영진 등이 될 수 있다. If there are several users who want to sell the space, public bidding can be conducted.In order to decide which applicants are to be rented from the applicants, an alley screening group is created in the alley for public review and voting. Can be. Such public review and voting are conducted online, and the alley screening group may be alley guides, alley explorer groups, and service managers.

또한, 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형태를 가지는데 아바타를 따라 움직이는 배낭블로그와 지도상의 고정된 위치에 있는 둥지블로그로 나뉘어진다. 배낭블로그는 이용자의 프로필 및 활동 내용을 아카 이빙 해 놓을 수 있는 일종의 개인 블로그로 아바타의 등에 짊어진 배낭의 형태로 제공되며 표시되기 때문에 고정된 웹상의 블로그가 아니라, 이용자가 모바일 및 IPTV 등 각각의 플랫폼을 돌아다닐 때마다 항상 같이 이동하는 블로그이다. In addition, the blog provided by the system has two forms as described above, divided into a backpack blog moving along the avatar and a nest blog in a fixed position on the map. Backpack blog is a kind of personal blog that can archive user's profile and activity contents. It is provided as a backpack on the back of avatar and is displayed, so it is not a fixed web blog. It is a blog that always moves with you whenever you go around.

배낭블로그에는 이용자 프로필, 이용자가 포스팅 한 콘텐츠 (영상물, 텍스트 등 포함), 이용자가 만든 <내 그림 지도>, 골목 친구 리스트, 발도장 히스토리 , 키 아이콘 등이 포함된다. 발도장 히스토리는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방문한 골목(지도)마다 받은 발도장 모양의 스탬프 리스트를 포함한다. Backpack blogs include user profiles, user-posted content (including video, text, etc.), user-created My Maps, alley friends lists, footstep history, and key icons. The stamping history includes a stamp-shaped stamp list received for each alley (map) visited by the user.

둥지블로그는 실제 건물에 기반을 두어 생성되는 이야기들이 아카이빙 되는 일종의 공동 블로그로서, 골목의 공간과 관련된 이야기, 그 공간 속 사람들의 이야기들이 온라인상에 표시된 건물에 포스팅 된다. 또한, 다수의 이용자들이 포스팅 한 콘텐츠 (영상물, 텍스트 등 포함), 이용자가 등록한 마이맵 콘텐츠, 포스팅된 콘텐츠들은 아이콘화되어 표시된다. Nest Blog is a kind of collaborative blog where stories generated based on real buildings are archived. Stories related to alley spaces and people's stories are posted on buildings displayed online. In addition, content posted by a plurality of users (including video content, text, etc.), My Map content registered by the user, and posted content are displayed as icons.

아바타는 이용자를 대신하는 온라인 캐릭터로서, 이용자가 실제로 있는 곳, 혹은 이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하며 가상으로 머물고 있는 장소가 지도상에 표시되는데 아바타는 접속 상태(웹 접속, 모바일접속, IPTV접속)에 따라 색깔별로 다르게 표시되고, 이용자가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아바타를 이용하여 이용자 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한다. 아바타는 이용자의 활동성을 대표할 수 있도록 아바타의 형태를 등급별로 다르게 표시하는데 이때 아바타의 형태 자체를 변형하는 것이 아니라, 배낭 블로그의 배낭 형태가 등급별로 다르게 변화되어 표시된다. 배낭 형태의 변화, 즉 등급의 상승은 콘텐츠 생성, 콘텐츠 이용 빈도, 게임 실적 등에 의해 획득되는 발도장의 누적에 의해 결정된다.An avatar is an online character on behalf of the user, where the user is actually present or where the user is virtually staying using the content. The avatar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us (web connection, mobile connection, IPTV connection). The colors are displayed differently, the user can select a character, and the avatar can be used to actively interact with the user. The avatar displays the avatar's form differently for each grade so as to represent the user's activity. Instead of changing the avatar's form itself, the backpack's backpack form is displayed differently for each grade. The change in backpack form, i.e., the increase in rating, is determined by the accumulation of stamps obtained by content generation, content usage frequency, game performance, and the like.

유저의 등급은 여러 형태로 관리될 수 있는데 일례로, 유저 등급 별로 배낭의 크기를 다르게 표현하되 1 단계 - '골목 산책가'는 이제 막 골목 마실을 다니는 초심자들로 주로 단순열람을 통해 얻은 키 아이콘이 많으며 2 단계 - '골목 탐험가'는 중급자로 열람보다는 직접 포스팅하는 콘텐츠가 많아지는 단계로 테마를 잡고 포스팅하는 콘텐츠들을 다른 골목 산책가들이 열람하는 횟수가 많아지게 되며 3 단계 - '골목 안내자'는 파워유저로서 전단계인 골목탐험가 단계에서 발전해 테마를 잡고 내 그림 지도를 만들어 가는 단계이다. 포스팅하는 콘텐츠들도 전문성이 있으며 특정 테마에 전문적으로 집중, 지속적으로 포스팅하는 유저를 말한다. The user's rating can be manag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size of the backpack is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 rating. Step 1-'Alley Walk' is a beginner who is just drinking alleys. Step 2-'Alley Explorer' is a step where more content is posted than intermediate readers, and the content of postings and postings is increased by other alley walkers. Step 3-'Alley Guide' is a power user. It is a step that develops from the alley explorer stage, which is the previous stage, to make a theme and make a map of my painting. Posting contents are also specialized and are users who focus on a specific theme and continuously post.

유저 등급은 시스템서버에서 관리되며 처음 로그인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유저들에게는 기본적으로 1단계 산책가의 등급이 주어지고 산책가의 등급에서 탐험가의 등급으로 승급되는 조건은 접속 횟수, 포스팅 콘텐츠 수, 방문자 수 등으로 책정되며 마지막 단계인 안내자의 경우는 방문자의 수와 대표 아이콘에 해당하는 포스팅 콘텐츠 수 등으로 책정한다. 이러한 아바타 시스템을 통해 기존의 커뮤니티 아이디 혹은 닉네임의 단순한 대표 이미지로서의 아바타와는 다른, 실제 존재처럼 '내가 이곳에 있다'를 나타내는 위치기반의 아바타이기 때문에 이용자가 더 큰 애착을 느끼게 되며 콘텐츠를 단순히 열람하는 것이 아니라 아바타를 통해 해당 콘텐츠가 존재하는 공간을 온라인을 통해 직접 '방문'함으로써 체감적 요소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친구 리스트 혹은 주소록에 이름을 추가하는 기계적인 인맥 확장이 아니라, 공간을 통해 타 이용자를 만나서 인맥을 만들어 나간다는 점에서 기존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차별성을 띤다.User ratings are managed by the system server, and users who log in as a member for the first time are basically given the level of walking stage 1, and the condition of being promoted from the walking grade to explorer level is the number of access, the number of posting contents, the number of visitors, etc. The guide, which is the final step,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number of post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icon. This avatar system is a location-based avatar that represents 'I am here' like a real being, unlike an avatar as a simple representative image of an existing community ID or nickname, and the user feels more attachment and simply browses the contents. You can maximize the sensational elements by directly 'visiting' the space where the content exists through the avatar online, and not by expanding the mechanical network that adds a name to the friend list or address book, but through other users through the space. I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line community in that it meets and makes connections.

도7은 유저등급을 이용한 홍보모델의 일례를 도시한다. 시스템은 사용자들의 랭킹을 계속해서 관리하며 광고업체 서버와 연결하여 유저들이 만든 마이맵 속에 광고업체의 광고가 삽입되는 경우 이 횟수를 환산하며 광고업체는 이 횟수에 따라 시스템 운영자 쪽에 비용을 지불하고 이 가운데 일정 비용을 사용자에게 현금, 포인트 마일리지의 형태로 지불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와인을 키아이콘으로 가지고 있는 골목안내자(최상위 등급 사용자를 지칭)는 와인을 테마로 와인가게가 많은 방배동 골목을 마이맵으로 작성하고 와인에 관련된 업체를 둥지블로그 형태로 마이맵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안내자는 지속적으로 자신의 관심 분야를 포스팅하면서 수익을 배분받을 수 있으며, 이용자들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지도에서 동종업체들을 비교할 수 있어서 기존의 가격비교 사이트들과는 다른 (단순히 가격만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질적인 면에서의 비교가 가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업체의 경우는 신뢰할 수 있는 유저의 콘텐츠를 통해 자연스럽게 홍보를 하는 동시에 직접적으로 유저의 둥지블로그와 업체의 홈페이지를 링크시켜 구매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며,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로 접속하는 유저들에게 모바일용 쿠폰을 발행함으로써 구매활동을 촉진할 수 있다. 7 shows an example of a promotional model using a user class. The system keeps track of users' rankings and connects with the advertiser's server to convert this number of times when the advertiser's ad is inserted into a user-created Mymap, and the advertiser pays the system operator accordingly. A certain amount of money is paid to the user in the form of cash or point mileage. For example, an alley guide (who refers to the top-level user) who has wine as a key icon creates a mymap of Bangbae-dong alleys with many wine shops, and displays companies related to wine on the mymap as a nest blog. The guides can continue to post their interests and receive profits, and users can compare peers on a map, which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price comparison sites (simply comparing prices only). Can be compared in terms of qual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mpany, it promotes naturally through the contents of a trusted user, secures an opportunity to directly link the user's nest blog and the company's homepage to a purchase, and accesses a mobile with high accessibility. Issuing mobile coupons to them can promote purchasing activities.

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키 아이콘'은 콘텐츠의 카테고리를 '이미지 기호'로 나타낸 것으로 키 아이콘을 통해 이용자들의 성향을 표시하여 친구맺기 활동 시 매칭 조건으로 활용한다. 키 아이콘은 콘텐츠 생산과 동시에 생성되며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열람할 때 키 아이콘이 누적된다. 배낭블로그에 가장 많이 누적된 키아이 콘은 사용자의 대표 키 아이콘이 되며 상대방의 아바타를 통해 활용함으로서 상대방과 취향이 얼마나 맞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key icon' used in this system shows the category of the content as 'image symbol', and shows the user's disposition through the key icon and uses it as a matching condition when making friends. The key icons are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ntent production and the key icons are accumulated when creating or reading the content. The most accumulated key icon on the backpack blog becomes the user's representative key icon, and can be easily used by the opponent's avata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how fit with the opponent.

키아이콘은 스토리맵 서비스에 웹, 모바일, IPTV 등을 통해 접근하거나, 로그인을 통해 사용자 인증, 콘텐츠 입력을 하고 키아이콘을 결정하면 콘텐츠 및 키아이콘이 생성 완료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A가 홍대 인디밴드의 거리공연을 본 후 관람후기를 입력함으로써 음악과 관련된 키아이콘이 생성 누적된다. 이때 키아이콘을 락음악으로 선택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The key icon is accessed through the web, mobile, IPTV, etc. to the story map service, or the user is authenticated through the login, enter the content and determine the key icon, the content and key icon is completed. For example, after user A sees a street performance of Hongdae indie band and inputs a review period, key icons related to music are generated and accumulated. At this time, the key icon can be selected and created as rock music.

키아이콘을 통하여 사용자간의 매칭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데 하위메뉴에서 사용자 매칭을 선택하고 탐색 범위를 설정하는데 대표 키아이콘이 자신과 겹치는 사람을 1순위로 검색창에 노출하고 대표 키아이콘 및 2번째, 3번째로 많은 키아이콘이 순위에 상관없이 자신의 대표 키아이콘, 2번째, 3번째로 많은 키아이콘과 겹치는 사람을 순차적으로 노출시킨다. 이렇게 선택된 특정사용자와의 매칭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특정 사용자의 아바타를 선택하고 '매칭도 알아보기(가칭)'를 선택하고 누적된 키아이콘의 비율의 일치정도에 따라 '매칭도'를 표시한다. 아래의 표는 이러한 매칭의 일례를 도시한다.  You can find out the matching level between users through the key icon. Select user matching from the submenu and set the search range. The representative key icon exposes the overlapping person to the search box as the first priority and the representative key icon and the 2nd, 3rd. The second many key icons sequentially expose their representative key icons, and those who overlap with the second and third many key icons, regardless of ranking. In order to find out the matching degree with the selected specific user, the avatar of the specific user is selected, the 'matching degree matching (tentative name)' is selected, and the matching degre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ching of the cumulative key icon ratio. The table below shows an example of such a match.

사용자
키아이콘
user
Key icon
사용자AUser A 사용자BUser B 사용자CUser C 사용자DUser D
락음악Rock music 13개13 12개12 15개15 없음none 커피coffee 5개5 6개6 2개2 6개6 국내여행domestic travel 8개8 4개Four 없음none 없음none 일본영화Japanese Movie 없음none 없음none 5개5 13개13 :   : : : :: :: ::

사용자A가 취향이 겹치는 사용자를 검색할 경우 사용자B(대표 키아이콘 일치, 총 3종류의 키아이콘 일치), 사용자C(대표 키아이콘 일치, 총 2종류의 키아이콘 일치), 사용자D(키아이콘 불일치, 총 1종류의 키아이콘 일치) 순으로 검색결과가 노출된다. 사용자B가 사용자A, C, D와 각각 '매칭도 알아보기(가칭)'을 실시할 경우 A, C, D 순으로 매칭도가 높은 것으로 표시된다. (A-매우 높음, C-높음, D-보통, 혹은 낮음 등) 이러한 키아이콘에 의하여 관심분야의 콘텐츠, 관심분야가 비슷한 사람을 쉽게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꾸준한 이용을 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User A searches for users with overlapping tastes, User B (matches the representative key icon, matches three kinds of key icons), User C (matches the representative key icons, matches the two kinds of key icons), and user D (key icons Search results are displayed in the following order: discrepancy, 1 key icon match). When user B performs 'identification degree matching (tentative name)' with user A, C, and D, respectively, the matching degree of A, C, and D is high. These key icons (A-very high, C-high, D-moderate, or low) make it easy to find content of interest, people with similar interests, and motivate users to keep using it. You can do that.

골목방송국은 골목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야기들을 방송하는, 지역적 특성을 살린 인터넷 방송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홍대의 지역성을 고려하여 인디 골목방송으로 테마를 선정하고 인디밴드들의 인터뷰와 라이브 공연을 실시간 방송 혹은 사전제작 방송할 수 있다. 이러한 골목 방송국은 웹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지도상에 '골목 방송국' 이라는 창조가상건물을 짓고 서비스 실시간 방송, 사전제작방송, 유저들의 콘텐츠 선정방송의 세 가지 형식으로 편성 방송될 수 있으며 BJ는 골목대장이 맡는다. 골목대장은 해당 골목의 파워유저 중 하나가 맡는다. 골목 방송은 웹에서 뿐만 아니라 모바일(M. story map)과 IPTV (I. story map)로도 시청, 참여 할 수 있다. An alley broadcasting station is an internet broadcasting that uses local characteristics to broadcast the stories happening in the alleys. For exampl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ity of Hongdae, the theme is selected as an indie alley broadcasting, and live interviews and live performances of indie bands are provided. Pre-production broadcast. These alley broadcasting stations operate on the web, and they can build a creative virtual building called 'Alley station' on the map and broadcast them in three forms: service real-time broadcasting, pre-production broadcasting, and user's content selection broadcasting. The captain takes over. The alley leader is one of the power users of the alley. Alley broadcasting can be watched and participated not only on the web but also on mobile (M. story map) and IPTV (I. story map).

골목 방송은 3개의 플랫폼이나 그 외의 형태의 단말기를 통해 동시에 서비스되고 서로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방송할 수 있는데 실시간 생방송, VOD 방식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참여형 방송을 지향하기 때문에 콘텐츠 중에서 세 개의 플 랫폼을 연동하여 이용자들이 참여하는 미션수행형 방송 콘텐츠를 포함한다.  Alley broadcasting can be simultaneously serviced through three platforms or other types of terminals and can be broadcast by using contents of each other. The alley broadcasting is divided into two types: real time live broadcasting and VOD. Because it is aimed at participatory broadcasting, it includes mission performing broadcasting contents in which users participate by interworking three platforms among contents.

실시간 방송의 경우 모바일을 통해 리퀘스트에 참여하고 문자나 사진, 관련 영상 등 현장의 진행에 따라 다양하게 참여할 수 있다. 또한 IPTV 의 경매방송은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경매방송을 골목방송 팀이 진행할 수도 있고, 경매 방송을 실시간 중계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real-time broadcasting, you can participate in the request through mobile, and participate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the field such as text, photo, and related video. In addition, auction broadcasting of IPTV is performed in real time. The auction broadcasting team may conduct the auction broadcasting or auction broadcasting may be broadcast in real time.

VOD형태의 경우 모바일을 통해 올린 콘텐츠들 가운데 골목대장과 탐험대의 의견을 수렴하여 선정된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으며, IPTV의 주요 콘텐츠들 중 중고장터에 올라온 영상이나 콘테스트 영상들을 편집하여 방송할 수도 있으며 상호간의 콘텐츠 교류를 통해 골목 방송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갈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VOD type, the contents uploaded through mobile may include selected contents by collecting opinions of alley captains and expedition teams. Among the major contents of IPTV, videos or contest videos uploaded in the used market may be edited and broadcasted. Through the exchange of contents, the contents of alley broadcasting can be enriched.

골목 방송의 경우, 골목의 특성을 염두에 두고 주제를 선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각각의 골목 마다 특색을 분류하여 키아이콘화 하면, 개인 이용자의 성향과 매칭시켜 추천방송리스트 형태로 개인맞춤형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alley broadcasting, the theme is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lleys, and when the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and keyed into each alley, it is matched with the personal user's tendency and personalized service in the form of recommended broadcasting list. Can provide.

실가상공간내에 골목 방송국과 같은 창조가상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스토리맵에 제공된 지도상커뮤니티맵에 골목방송국을 세울 공간을 선정하는데 가상건물은 스타일에 따라 모양선정이 가능하다. In order to create a creative virtual space such as an alley broadcasting station in a real virtual space, a space for setting up an alley broadcasting station is selected in a community map on a map provided in a story map. A virtual building can be shaped according to a style.

골목 방송국은 커뮤니티의 의견 조율을 통해 골목의 특성에 맞는 콘셉트를 선정하여 방송한다. 이후 골목 탐사대를 구성하게 되는데 골목방송은 골목의 특징에 맞는 방송 콘텐츠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발굴하고 콘텐츠로 제작하는 이용자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서비스이다. 방송국으로 치면 기획 및 편성을 주로 담당하는 골목대장과 취재 및 방송제작을 담당하는 골목탐사대로 구성된다. 골목탐사대 의 구성방식은 오픈해 놓은 개별 프로필 열람을 통한 초청 방식과, SNS와 기타 공지방식을 통한 모집 방식, 골목 친구 인맥을 통한 모집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Alley broadcasting stations select and broadcast the concept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ley through the coordination of community opinions. After that, the alley exploration team is formed. Alley broadcasting is a service composed of users who discover stories and produce contents by constructing broadcasting contents that meet the characteristics of alleys. In the case of a broadcasting station, it consists of an alley leader who is in charge of planning and organizing, and an alley exploration station that is in charge of reporting and broadcasting. The way of alley exploration can be composed of invitation through open individual profile, open recruitment through SNS and other notifications, and recruitment through alley friends.

골목방송의 실시간 방송은 온라인, 모바일, IPTV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방송되며 유저들은 각자 로그인된 상황에 맞게 참여할 수 있다. 주로 방송될 수 있는 콘텐츠는 실시간과 양방향성을 전제로 한 것들이 좋다. 예를 들어 일요일마다 진행하는 '홍대 프리마켓'을 골목 방송의 실시간 방송으로 진행하면 리포팅 형식과 함께 일종의 현장 물품 경매 진행까지도 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대의 경우 인디밴드의 라이브 공연을 실시간 방송으로 보여줄 수도 있다. 골목 사람들의 경연대회 이벤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스타in 골목(가칭)의 경우도 실시간성을 살릴 수 있는 콘텐츠의 예가 될 수 있으며 미션을 제공하여 본 서비스를 사용하는 이용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탐사대들이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담은 방송이 될 수도 있다. 미션은 웹과 모바일, IPTV를 연결하여 골목탐사대들 간의 경쟁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Real-time broadcasting of alley broadcasting is broadcast in real time through online, mobile, IPTV, etc. Users can participate according to their logged in situation. The content that can be broadcast mainly is based on the premise of real-time and interactive. For example, if you run 'Hongdae Free Market' every Sunday as a real-time broadcast of alley broadcasting, you can also process a kind of on-site goods auction. For example, Hongdae may show live performances of indie bands in real time. In the case of Stain Alley (tentative name), which can be configured as a contest event of alley people, it can be an example of contents that can make use of real-time performance. It may be a broadcast containing a process of performing these missions. Mission connects web, mobile and IPTV to induce competition among alleys.

사전제작 방송도 가능하며 골목의 역사나 사람들의 이야기를 미리 취재하여 콘텐츠로 제작하고 유저들의 콘텐츠를 선정하여 방송할 수도 있다. 기존에 업로드 된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골목대장이 선정하여 방송할 수도 있다. 사진, 영상, 음악, 텍스트 소스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Pre-production broadcasting is also possible, and the history of the alley and the stories of people can be collected in advance, and the content can be selected and the contents of users can be selected and broadcasted. The alley director may select and broadcast from various previously uploaded contents. Photo, video, music and text sources can be modified.

또한, 골목방송은 방송시간을 분할하여 광고방송시간을 만들고 광고시간을 분양하여 방송할 수 있다. 골목 방송을 실시간과 VOD의 두 가지 형태로 방송하면서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무료로 관람하는 대신, 광고 업체가 광고 수수료를 내고 제공 하는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다. 광고시간은 VOD 방송일 경우 시간대별로 분양하고, 실시간 방송일 경우 콘텐츠 별로 광고주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alley broadcast can be broadcast by dividing the broadcast time to create a commercial time and to sell the advertising time. Instead of watching the content free of charge, broadcasting alley broadcasts in two forms, real-time and VOD, the advertiser inserts advertisement content provided by an advertising company at an advertising fee. Advertisement time is sold by time zone in case of VOD broadcasting, and provided by advertisers by content in case of real time broadcasting.

또한, 골목방송국에서 방송되고 있는 콘텐츠에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방송 콘텐츠의 상태 즉, 생방송 on-air, VOD 방송 등에 따라 아이콘의 색깔이 다르게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생방송 방송 중 일 때에는 빨간 카메라 아이콘, VOD 방송 중 일 때에는 초록색 카메라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됨)등으로 표시함으로써 지도상의 골목방송국에 표시된 색깔만으로 현재 어떤 방송국이 방송중인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content being broadcast in the alley broadcasting station, the color of the icon is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roadcast content that is currently in progress, that is, live on-air, VOD broadcasting, and the like. (For example, a red camera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during a live broadcast and a green camera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during a VOD broadcast). .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커뮤니티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본적으로 골목이라는 작은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제공되며 골목 지도를 이용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함께 만들어가도록 하며 공동 작업을 통해 만들어지는 지도는 자연스럽게 커뮤니티 활동을 이끌어 내게 된다. 특히나 아바타와 배낭 블로그는 인맥 쌓기의 차원에서 효과적인 서비스 요소이다.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community service based on a small community called an alley, and the alley maps are directly created by users participating in the map, and the maps created through collaboration naturally lead to community activities. In particular, avatars and backpack blogs are effective service elements in terms of networking.

또한, 스토리맵 서비스에서는 웹뿐만 아니라 모바일, IPTV 세 가지 플랫폼에 접속하는 이용자의 상태가 표시되므로 누가 어디에서 어떤 형태로 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아바타가 항상 가지고 다니는 배낭은 이용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키 아이콘이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성향이나 취미와 어울리는 상대방을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골목 친구 맺기는 이용자들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공개되는 자료들로 매칭이 되고, SNS 서비스를 이용하면 골목 친구들 간의 교류를 더욱 활발히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ymap service displays the status of users accessing not only the web but also mobile and IPTV platforms, so it is easy to see who is using the service in what form and where. The backpack that the avatar always carries is the user's inclination. The key icons are stored so that you can easily find a person who matches your own inclinations or hobbies. Alley friends are matched with materials that are open to the user's permission. You can more actively exchange with friends.

또한, 키 아이콘의 매칭 솔루션을 통해 커뮤니티 서비스가 강화된다. 키 아이콘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이용자 자신이 콘텐츠를 생성할 때 우선적으로 누적되므로, 이용자가 실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가 어떤 분야인지 우선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의 배낭에는 각각의 키 아이콘이 생성되어 있어, 골목 친구 맺기를 신청하고자 할 때, 우선적으로 상대방의 취향별로 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배낭을 열람하면서 키 아이콘을 통해 자신과의 매칭 정도를 파악하여 실제로 골목 친구로 맺어질 수 있는 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도서를 구입할 때 함께 구입한 도서의 목록이 제공되듯이 자신의 키 아이콘과 어울리는 키 아이콘 목록과 함께 이를 보유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해준다.In addition, community services are enhanced through matching solutions for key icons. As described above, the key icons are accumulated first when the user creates the content, and thus, the user may first distinguish which areas the user is actually interested in. In addition, each key icon is generated in the user's backpack, so that when a user wants to apply for an alley friend, the user can preferentially search for each other's taste. You can also look at your backpack and find out how much you match with the key icon to decide if you can actually be an alley friend. For example, when an online book is purchased, a list of books purchased together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arch the list of users who have it along with a list of key icons that match their key icons.

서비스내의 사용자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도서비스에 도입하여 현재 이용자가 위치하는 곳 혹은 가상공간 안에서 위치하는 곳을 기반으로 이용자 간에 정보 교류와 함께 인맥 확장을 도와주도록 하는데 웹의 첫 페이지 하단에 SNS 단문 서비스 창을 배치하며, 모바일과 IPTV를 통해 연동된다. GPS를 통한 위치정보와 그것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현장성, 직접성을 가지며 단문서비스를 이용한 실시간 매체 상호전송을 통해 골목과 관련한 즉각적인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서로의 정보(배낭 블로그를 통해)를 교환함으로써 자연스레 관심사가 동일하거나 이해관계가 맞는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Users in the service introduce social network services to the map service to help them expand information and social networks based on the location where the current user is located or in the virtual space. It arranges windows and works with mobile and IPTV.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GPS and a wireless internet system that can transmit it in real time can be resolved immediately and have immediate questions about alleys through real-time media transmission using short service. In addit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via backpack blogs), you can naturally create a community with the same or equal interests.

골목 SNS는 각 플랫폼 간 연동된 단문서비스 게시판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예방하고 질문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 전체질문일 경우, 개별질문일 경우, 혹은 특정 지역에 대한 질문일 경우 특정한 태그를 이용한다. 아래쪽에는 태그의 예를 제시한다. Alley SNS uses a specific tag when it is a whole question, an individual question, or a question about a specific area in order to prevent excessive load on the short message board linked to each platform and to easily distinguish questions. Below is an example of a tag.

예를 들어 #전체+질문, @(유저 아이디)+질문, #석관동+질문 등의 태그가 포함된 단문이 전송되면 E-story map 서버의 단문게시판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해당 유저에게 그 단문메시지를 전송한다(제시된 태그는 예시로서 추후 변동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f a short message including tags such as # all + question, @ (user ID) + question, and # seokgwan-dong + question is sent, the short message board program of the E-story map server automatically sends the short message to the user. (The presented tag is an example and can be changed later.)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모바일폰을 통해서도 제공될 수 있는데 도9는 이러한 일례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바일 폰은 GPS와 같은 위치판별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모바일 서비스를 위해서는 모바일 기기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자신의 서비스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접속하는데 화면상에는 자신의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와 자신의 아바타가 GPS정보에 의해 표시된다. 이때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의 아바타가 메고 있는 배낭이 바로 배낭 블로그가 된다. 상기 배낭 블로그에는 유저 본인이 공개 설정한 만큼의 개인정보와 관심사, 그리고 우리의 서비스와 관련되어 유저 본인이 관심을 가지거나 생성한 콘텐츠가 링크되어 타인이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토리맵상에 마련된 단문메시지 게시판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나 요구에 따라 스토리맵상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 이용을 위해 모바일 자체의 게임, 미션을 위한 하부 메뉴들을 마련할 수 있다.The ser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also be provided via a mobile phone. Fig. 9 shows one such example. The mobile ph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cation discriminating device such as GPS and communicates using the wireless Internet. For the mobile service, the user runs an application stored in the mobile device and enters his or her service ID and password to connect. On the screen, a map centering on his current location and his avatar are displayed by GP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backpack carried by the user's avatar displayed on the screen becomes the backpack blog. The backpack blog is link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interests set by the user himself, and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interested in or created in connection with our service is linked to others. In addition, the short message bulletin board provided in the story map can be used together, and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y map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r demands, and the submenus for the mobile game and mission can be prepared for the use of such contents.

도10은 모바일폰으로 접속한 일례를 도시한다. 모바일폰으로 접속한 경우에도 다른 단말기로 접속한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른 아바타들의 배낭 블로그 를 열람하거나 친구맺기를 하고 단문전송서비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의 단문전송서비스는 통신사 마다 제공하는 SMS 서비스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시스템 서버를 통해 아바타간의 통신을 위한 단문전송서비스를 말한다) 아바타간에 통신할 수 있으며 모바일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10 shows an example of connecting to a mobile phone. Even when connected to a mobile phone,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when connected to other terminals. By browsing or backpacking blogs of other avatars and us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the short text transmission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fer to an SMS service provided by a communication company, but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ser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vatars through a system server) You can communicate between avatars and use various services provided through mobile.

본 시스템은 지도를 기반으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만 가능한 여러 가지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서비스를 통해 제공가능한 게임의 일례로 모세혈관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유저가 특정 지역을 탐사하고 그 기록에 대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유저 개인의 스토리 맵을 만들고 다른 유저들과 경쟁하며 그 결과물이 스토리맵 서버에 아카이빙 되어 열람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서, 참여를 희망한 유저가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면 자신의 위치와 지금까지 자신의 이용기록이 표시되고 동단위로 잘라진 지도의 여러 구역 중 자신이 직접 답사해 볼 구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구역은 모바일 기기 상에 표시되며 유저가 직접 걸어가는 경로가 표시된다. 걸어가는 동안 주변이 이미 생성된 콘텐츠와 관계된 지역이 있으면 기기에 표시되고 유저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표시된 경로는 저장되어 유저가 게임종료를 선택하면 그 경로가 유저의 개인 지도로 저장되며 이 개인지도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같은 구역/ 혹은 같은 시간대에 탐사를 한 다른 유저들과의 비교를 통한 경쟁을 할 수 있다. 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쟁은 탐사거리, 거리/시간, 막다른 골목을 찾은 횟수, 혹은 새로운 거리를 찾은 횟수 등 골목탐사의 관한 것이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도11에 상기 게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Since this system can be accessed through various platforms based on a map, various services available only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An example of a game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this service is a capillary game. This game is a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explore a specific area, create a user's personal story ma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record, compete with other users, and view the results archived on the story map server. When a user who wishes to log in to the program logs in, he selects the area to which he / she will directly explore among the various areas of the map which are displayed with his location and his history so far and is cut in the same unit.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path that the user walks directly is displayed. While walking, if there is an are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it is displayed on the device and the user can use the content. The route shown above is saved so that when the user chooses to exit the game, the route is stored in the user's personal map. Tutoring can be sent to a server via wired / wireless Internet and compete against other users who have explored in the same zone / or time zone. The competition above can be anything related to exploration, such as exploration, distance / time, number of dead ends or new streets. Fig. 11 shows an embodiment of the game.

또 다른 게임으로 줄잇기 게임이 있는데 상기 게임은 골목에서 누구나 쉽게 발견하는 간판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참여 유도하는 게임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의 서비스에 접속하면 골목의 상점들의 사진이 제시되는데 간판의 글씨는 지워져 있다. 사용자들은 제시된 5개(혹은 다른 개수) 사진과 5개(혹은 다른 개수이나 문제와 같은 숫자)의 상호가 가장 어울리는 곳을 선택하여 답을 전송하고 정답을 확인한 후 그 곳에 수집되어 있는 콘텐츠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제공된다. 오프라인 이벤트로 진행될 경우 정답이 확인되면 가장 먼저 그곳에 도착해 실제 인증사진이나 GPS좌표를 발송하는 사람이 승리하며 정답자(혹은 승자)에게는 발도장, 상품과 같은 보상을 제공한다. 상기 게임에서 제공되는 문제는 운영자 측에서 제시하는 문제일 수도 있으나 가능하다면 유저가 사진을 찍고 상호의 영역만 표시하면 자동으로 문제가 생성되는 툴을 제공하여 단순히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출제를 할 수도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지형지물, 상점 등의 위치는 지도와 뗄 수 없는 관계이기 때문에 지형지물을 익히고 자신의 골목에 애착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좋은 게임이다.Another game is the stretch game, which is a game that induces the participation of users by using signs that are easily found by anyone in the alley. When the user accesses our service through the program, pictures of the stores in the alley are presented. Is cleared. Users select the best match between the five (or other) photos presented and the five (or the same number or number of questions), send the answer, check the correct answer, and then see the content collected there. Is provided through. In the case of an offline event, if the answer is confirmed first, the person who arrives there and sends the actual photo or GPS coordinates wins, and the correct answer (or winner) is rewarded with stamps and prizes. The problem provided by the game may be a problem presented by the operator, but if possible, the user may take a picture instead of simply solving the problem by providing a tool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a problem when the user takes a picture and displays a mutual area. It can also provide an environment. Because it is a map-based service, the location of features, shops, etc. is inseparable from the map, so it is a good game to learn the features and have an attachment to your alley.

또한, '우리골목에 왜 왔니'라는 게임이 제공된다. 이 게임은 어린 시절 골목에서 하던 '우리 집에 왜 왔니?'를 모바일로 구현한 게임으로 두 편으로 나뉜 이용자(혹은 NPC)들이 간단한 승부(예를 들어 가위 바위 보)를 통해 자신의 편으로 상대방을 많이 편입시키면 승리한다. 유저 vs 컴퓨터를 선택한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되며 유저가 팀원 수를 정할 수 있고 유저를 제외한 다른 모든 참여자들은 NPC(Non-player character)로 구성된다. 실제 장소에 있는 사람과 가상 공간을 통해 접속하는 사람간의 게임도 가능하며 실제 장소에 있는 사람과 가상공간을 통해 접속한 사람간의 게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서비스와 크게 다르다. In addition, the game 'Why did you come to our alley' is provided. This game is a mobile game of 'Why did you come to our house?' Which was played in the alleys as a child, and the users (or NPCs), divided into two sides, played by a simple game (for example, rock-paper-scissors). If you incorporate a lot, you win. If you choose user vs. computer, the game is played in the same way, and you can set the number of team members, and all other players except the user are composed of non-player characters. The game is also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ervice in that it is possible to play a game between a person in a real place and a person connected through a virtual space.

또한, 골목퍼즐 맞추기 게임이 제공된다. 간단한 퍼즐 맞추기 게임을 통해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골목의 콘텐츠에 쉽게 접근하게 하고 근처 상업시설을 이용함에 있어 할인 쿠폰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서비스로서, 모바일 유저가 현재 이벤트가 진행 중인 지역에 접속했을 경우, 접속과 동시에 서버는 이벤트에 참여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발송한다. 유저가 게임을 하기로 선택하면 중개 장치에서 자동적으로 그 골목의 지도의 이미지가 나뉜 형태의 퍼즐이 제공되는데 유저가 퍼즐을 완성하면, 완성된 동네의 이미지가 보이고 그 지역에서 생성된 콘텐츠와 상업시설의 쿠폰 등이 표시되며 유저는 아이콘의 터치(혹은 클릭)를 통해 그 업체의 정보를 입수할 수 있고 쿠폰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12에 실시예가 도시된다. In addition, alley puzzle matching game is provided. A simple puzzle matching gam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access the contents of the alley where they are currently located and to receive discount coupons and other benefits when using nearby commercial facilities. If so, the server will send a message asking if you want to join the event. When the user chooses to play the game, the intermediary device automatically provides a puzzle in which the image of the map of the alley is divided. When the user completes the puzzle, the image of the completed neighborhood is displayed and the contents and commercial facilities created in the area. Coupons are displayed and the user can obtain the information of the company through the touch (or click) of the icon and can download the coupon and the like. An embodiment is shown in FIG.

도13은 실제공간에 있는 사용자를 서비스로 바로 이끌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바일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모바일 서비스 유저는 웹 서비스와 연동 된 골목의 RFID 태그를 통해 골목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골목 콘텐츠, 게임 미션 등) 또한, 상점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이용하여 쿠폰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실제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RFID태그를 통해 원하는 서비스로 바로 이동할 수 있으며 실세공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가상공간에만 존재하는 건물이나 서비스에 바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 13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nnector used to draw a user in a real space directly to a service. The mobile service user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lley through the RFID tag of the alley linked with the web service. (Alley contents, game missions, etc.) In addition, coupons can be downloaded using RFID tags attached to shops, and RFID tags attached to actual locations can be directly used to move to desired services. It is possible to directly access a building or service that exists only in

또한 골목뉴스 서비스가 제공된다. 모바일 이용자가 접속 중인 지역 인근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뉴스/이슈 혹은 상업적인 이벤트들을 PUSH 서비스를 통해 제공받는다. 상기 서비스의 제공은 무선 인터넷의 중계 장치를 이용하여 미리 서비스를 신청한 이용자가 중계 장치의 수신영역과 골목에 들어올 때 해당골목의 뉴스가 자동적으로 제공된다. 접근성을 가진 고객들에게 이벤트 정보나 쿠폰 제공 등의 서비스를 원하는 업주들은 일정한 수수료를 지불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무선인터넷에 접속한 모바일 사용자가 새로운 중계기의 구역으로 들어갈 때 그 지역의 뉴스와 실시간 이슈, 그리고 상업적으로 제휴된 업체의 이벤트 등이 단문메시지를 통해 전달된다.Alley news service is also provided. Receive news / issues or commercial events that are happening near the area where the mobile user is currently connected through the PUSH service. In the provision of the service, news of the alley is automatically provided when the user who applied for the service in advance using the relay device of the wireless Internet enters the reception area and the alley of the relay device. Business owners who want to provide services such as event information and coupons to accessible customers can use the service for a certain fee. When a mobile user who connects to the wireless Internet enters the area of a new repeater, local news, real-time issues, And events of commercially affiliated companies are delivered through short messages.

도14에는 IPTV를 통한 서비스의 예를 도시한다. IPTV의 양방향성의 특성을 살리고, 인터넷환경과의 연동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위치기반의 IPTV 방송 콘텐츠로서, 동성이 부족한 TV 기반 서비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토리맵과 연계한 알리미 서비스를 활용한다. 또한, 고립된 IPTV 사용자의 환경을 벗어나 커뮤니티의 성격이 보다 강하게 드러나는 서비스로 주로 골목의 동단위로 제공되는 지도를 기반으로 콘텐츠가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실생활에 밀접한 '골목 벼룩시장', '경매' 서비스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하고 투표하는 양방향성 투표서비스가 제공된다. 어느 한 사용자가 올린 콘텐츠에 대하여 골목내의 다른 사용자들이 투표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양방향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웹캠을 장착한 IPTV 셋톱박스를 활용한다. 14 shows an example of a service via IPTV. As a location-based IPTV broadcasting content that utilizes the bi-directional characteristics of IPTV and efficiently uses the interworking with the Internet environment, a reminder service linked with a story map is u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V-based service lacking dynamics. In addition, it is a service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more strongly than the environment of isolated IPTV users, and content is provided based on a map provided mainly in the same unit of the alley. For this purpose, 'alley flea market', 'auction' servic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and two-way voting service where community members participate and vote together are provided. The content posted by one user can be evaluated by the other users in the alley by voting. It also utilizes an IPTV set-top box equipped with a webcam to enable interactive services.

IPTV를 위한 서비스로 골목벼룩시장 서비스가 제공된다. IPTV+웹캠의 양방향 성과 지도 서비스를 융합한 중고장터/경매 서비스로서, 동화상 기반의 상품 정보를 IPTV를 통해 게시, 실시간/비실시간으로 열람하여 상품을 교환, 매매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며, 위치정보와의 매시 업을 통해 근거리 방문수령, 무점포 상거래를 실현한다. 골목벼룩시장을 통해 올라오는 다양한 상품 설명을 진행하는 영상 콘텐츠들은 방송 콘텐츠로서 사용할 수 있다. Alley flea market service is provided for IPTV. It is a used market / auction service that combines the interactive performance map service of IPTV + Webcam.It provides a place for exchanging and trading products by posting video information based on IPTV and viewing it in real time / non-real time. Mash-ups with customers enable near-field visits and store-free commerce. Video contents that explain various products coming up through the alley flea market can be used as broadcast contents.

구매자의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IPTV 셋톱박스를 가동하고 리모컨을 이용해 IPTV용 스토리맵 서비스를 선택한 후 스토리맵 서비스 하부 메뉴인 '골목 벼룩시장 채널'을 선택하고 '골목 벼룩시장 채널'의 메뉴 중 '중고장터'와' 경매방송'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화면에는 스토리 맵 지도와 인근에서 등록된 상품이 표시되며 추가로 상품을 검색할 경우, 리모컨 조작을 통해 상품명, 카테고리별, 가격대별, 판매지역별 검색을 수행한다.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고, 판매자가 등록한 제품 설명을 시청하는데 다시보기, 뒤로 가기, 판매자 호출, 흥정하기, 구매하기 등의 메뉴를 리모컨 조작을 통해 선택한다. (SNS/SMS 메시지를 통해 판매자를 호출하여 쌍방이 접속한 상태에서 흥정 진행) 구매할 제품이 결정되면, 상품을 수령할 주소를 입력하고 골목 벼룩시장 채널 임시계좌로 상품 대금을 입금하며 상품을 수령한 후, 구매결정 혹은 반품하기 메뉴를 통해 이후 행동을 결정한다.In case of a buyer, operate a television receiver and an IPTV set-top box, select a story map service for the IPTV using the remote control, select 'Alley flea market channel' in the story map service submenu, and select 'used from the alley flea market channel' menu. Select the menu you want among 'marketplace' and 'auction broadcast'. The screen displays a story map map and registered products in the vicinity, and when searching for additional products, search by product name, category, price range, and sales region through a remote control. Select the desired product and watch the product description registered by the seller, and select menus such as review, back, call the seller, bargain, and purchase through the remote control operation. (The seller calls through the SNS / SMS message and negotiates while both parties are connected.) When the product to be purchased is determined, enter the address to receive the goods, deposit the goods to the alley flea market channel temporary account, and receive the goods. After that, the action is decided through the purchase decision or return menu.

또한, 본 서비스는 같은 지역에 있는 상품이 우선적으로 선택되어 보여지기 때문에 직접구매를 유도하도록 하여 대금결제, 상품배송 등에 따른 문제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is service is to preferentially selected products in the same area to direct purchases to reduce the problems caused by payment, product delivery, and the like.

판매자의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상기 및 IPTV 셋톱박스를 가동하고 리모컨 을 이용해 IPTV용 스토리 맵 서비스를 선택하고 스토리맵 서비스 하부 메뉴인 "골목 벼룩시장 채널"을 선택하고 "골목 벼룩시장 채널"의 메뉴 중 "중고장터"와 "경매방송"중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다. 화면에 스토리 맵 지도와 인근에서 등록된 상품이 표시되는데 판매상품 등록을 선택하고, 판매상품명, 희망가격, 모바일 연락처, 상품대금 입금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 다음 단계에서 상품 설명영상을 웹캠을 통해 녹화한다. 구매자가 구매/흥정을 희망하면 SNS혹은 모바일 SMS로 메시지가 도착하고 흥정 또는 경매를 통해 최종 가격을 결정하고, 구매자의 입금을 기다린다. 상품대금이 임시계좌에 입금되면 택배 혹은 직접 전달 등의 방식을 통해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송한다. 구매자가 최종적으로 상품 구매를 결정하면 임시계좌로부터 판매자의 계좌로 상품대금이 송금된다. 위의 예에서도 물품 배송 및 대금결제는 구매자와 판매자간에 직접할 수도 있다. If you are a seller, run your television set and IPTV set-top box, use your remote control to select your story map service for IPTV, select the "Alley flea market channel" submenu of the story map service, and select "used flea market channel" from the menu. Select the menu you want among “marketplace” and “auction broadcast”. On the screen, you can see the story map map and the registered products in the neighborhood. Select Register sales item, enter the sales name, desired price, mobile contact number, the deposit account number, and record the product description video through webcam in the next step. do. When the buyer wishes to purchase / bargain, a message arrives via SNS or mobile SMS, and the final price is determined through a bargain or auction, and the buyer waits for the deposit. When the goods are deposited into the temporary account, the goods are delivered to the buyer by courier or direct delivery. When the buyer finally decides to buy the goods, the money is sent from the temporary account to the seller's account. In the above example, the delivery and payment of goods can also be made directly between the buyer and seller.

또한, 골목장터 / 경매방송이 가능한데 웹캠을 통해 소개할 수 있는 모든 유, 무형의 물품들을 본인의 집에서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외 샘플 강의, 반찬 레시피, 각종 중고물품 등은 기존의 서비스를 통해 제공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거래 시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구매자가 원하는 상품정보를 실시간 문의, 흥정할 수 있으며 웹캠, 핸드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상품설명을 할 수 있다. (웹캠을 통해 본인들이 교환 혹은 판매하고자하는 물품(서비스)을 가지고 동영상을 찍어 서비스 제공자의 IPTV 데이터 센터에 보내면 broadband access network를 통해 IPTV consumer devices (IPTVCDs)를 거쳐 Home network 시스템으로 전송됨)In addition, alley market / auction broadcast is possible, you can provide a service that allows you to freely trade all tangible and intangible goods that can be introduced through a webcam at your home. For example, tutoring, side dish recipes, and various second-hand goods have been difficult to provide through existing services, but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when trading, which allows buyers to make real-time inquiries and bargains. Product description can be explained using a webcam or a mobile phone camera. (Take a video of the goods (services) they want to exchange or sell through a webcam and send it to the service provider's IPTV data center, which is then sent via IPTV consumer devices (IPTVCDs) via the broadband access network to the home network system.

또한, 위치기반 전자상거래 시스템으로, 거래 참가자의 위치정보를 공유하여 다양한 배송 방식을 모색할 수 있으며(ex. 택배사를 거치지 않고 판매자가 직접 배달, 구매자가 방문하여 상품을 수령, 거래 장소의 협의 등), 개인 간의 중고 상품 거래 시 이용자들이 느낄 수 있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 location-based e-commerce system, you can explore the various delivery methods by sha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ding participants (ex. The seller directly delivered without the courier, the buyer visits to receive the goods, the discussion of the transaction place, etc.) ), It can solve the anxiety that users can feel when trading used goods between individuals.

부동산 중개서비스 또한 제공이 가능하다. 부동산 중개 서비스는 지역에 기반하지 않을 수 없는데 구매자, 임차인은 웹캠이나 핸드폰카메라, 기타 촬영장비로 촬영된 부동산 정보를 서비스 받을 수 있으며 부동산 업체와 제휴하여 위치기반 MNG(mobile news gathering)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IPTV에서 실제 장소를 확인하고 그 이후 발생하는 거래는 부동산 업체 측에서 진행한다.Real estate brokerage services are also available. Real estate brokerage services are regionally based, but buyers and tenants can receive real estate information from webcams, cell phone cameras, and other shooting equipment. In partnership with real estate companies, devices such as location-based mobile news gathering (MNG) can be used. The real place is checked on the IPTV, and the transactions occurring thereafter are carried out by the real estate company.

거래가 성사되지 않더라도 촬영한 내용이 DB화 되어 부동산 중개인 측은 보유 상품의 동영상 정보를 차후 구매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Even if the transaction is not completed, the recorded contents are made into a DB, so the real estate agent can provide the buyer with the video information of the product.

도15는 개인 간의 중고품 교환의 예를 도시한다. 개인 간 중고품 교환의 경우는 공공성 증진 차원에서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 무형의 상품 매매, 경매, 부동산거래 등 중개기관이 필요한 거래의 경우 매출액에 따른 소정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수익을 창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5 shows an example of used goods exchange between individuals. In the case of used goods exchange between individuals, the service can be provided free of charge in order to promote publicity, and in the case of transactions requiring brokerage agencies such as tangible and intangible product sales, auctions, real estate transactions, etc. It is possible to do

이러한 매매의 과정은 복잡한 인코딩의 과정 없이 바로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소개가 가능하게 된다. 즉, 웹캠을 통해 상품 직접 설명 가능, 액티브X 설치, 공인인증서 확인 등 절차 생략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간 인터렉티브 상거래가 가능해지는데 웹캠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가 대면하여 상거래가 성립하므로 상품 정보 문의, 흥정 등 오프라인에서 구현 가능한 모든 상거래 활동이 가능하다. 또한, IPTV 특성상, 판매자/구매자의 신원을 뚜렷이 파악할 수 있으며, IPTV 요금 결제 계좌를 통해서 상품대금을 안전하게 이체할 수 있으며 직접 현물을 두고 거래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전통적인 방식의 상거래에 익숙한 판매자/구매자에게 신뢰감을 부여하여 거래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또한, 기존의 서비스로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던 무방문 부동산 매물 확인, 과외, 중고 상품 작동 상태 확인, 요리 노하우 등의 지식거래 등도 가능해지면서 제공하는 상품이 다양해지며 위치기반의 상거래 시스템이기 때문에 근거리 판매자에게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 지역성을 살린 커뮤니티 마켓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This trading process can introduce a product using a video without complicated encoding proces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omit the product directly through the webcam, install ActiveX, and confirm the certificate. In addition, real-time interactive commerce is enabled. Since a seller and a buyer face to face through a webcam, commerce is established, and all commerce activities that can be implemented offline such as product information inquiry and bargaining are possible.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PTV, sellers / buyers can be clearly identified, the IPTV fee payment account can be used to securely transfer goods, and offers an environment similar to trading in kind. Gives credibility to the buyer, giving stability to the transac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for local sellers to check their homes for sale, tutoring, operation status of used goods, and know-how of cooking, etc. It is approachable and has meaning as community market utilized locality.

도16,17은 IPTV를 이용한 거래의 경우 각각 구매자의 경우와 판매자의 경우를 도시한다. 16 and 17 show a case of a buyer and a case of a seller, respectively, for a transaction using IPTV.

또한, IPTV와 여기에 연동된 웹캠을 이용하여 노래하는 동영상을 촬영, 공유하여 이를 유저들에게 투표에 부쳐 결과를 알아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투표참여" 메뉴를 선택하면 실시간 투표현황을 화면이 보이고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투표는 웹과 모바일을 통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IPTV and a webcam linked to it, you can shoot and share a singing video so that users can vote on it to see the results. If you select the "Vote participation" menu, you can see the live voting status. You can participate in the vote. (Voting can occur simultaneously on the web and mobile.)

또한, 경매채널 웹캠 대용 모바일 카메라로도 상품설명을 촬영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바일 기기로 보완이 가능하다. 웹캠 촬영이 제한되는 경우에 활용이 가능하며 웹캠 없는 셋톱박스 이용자, 고정된 웹캠으로 촬영하기 힘든 상품 등록 시나 카메라가 장착된 모바일 장치(휴대폰, 아이팟 등)를 통해 상품을 설명 녹화하여 부동산 거래에 활용하며 IPTV 가입자가 아닌 세대의 매물 정보를 촬영할 때나 웹캠이 닿지 않는 창고/화장실 등을 촬영할 때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는 거래의 안전을 위해서 실제위치와 가상공간의 위치가 일치하는 모바일폰 사용자나 IPTV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하며 IPTV사용자도 거래 시에는 실제공간과 거래공간을 일치 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mobile device by allowing the product description to be taken by the mobile camera instead of the auction channel webcam. It can be used when webcam shooting is limited, and it can be used for real estate transactions by recording the product using a webcam without set-top box, registering a product that is difficult to shoot with a fixed webcam, or using a mobile device equipped with a camera (mobile phone, iPod, etc.). It can be used when shooting information for sale of a household other than an IPTV subscriber or a warehouse / toilet where a webcam is not reached. However, the service can be used only by mobile phone users or IPTV users whose actual location and virtual space match the same for the safety of the transaction, and IPTV user can also match the real space and the transaction space when trading.

또한 골목방송국과 연계하여 방송 콘텐츠화 하는 것이 가능하며 벼룩시장을 통해 매매된 중고물품 중 특별한 사연이 있는 물건의 판매의 경우 골목 노래자랑의 투표과정/결과를 방송 콘텐츠화 할 수 있다. 웹상에서도 IPTV의 골목 노래자랑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으며 모바일 게임에도 참여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mmercialize broadcast contents in connection with alley broadcasting stations, and in the case of the sale of second-hand goods sold through the flea market with special stories, the voting process / results of the alley singers can be broadcast contents. You can watch all the songs of IPTV alleys on the web and participate in mobile games.

도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a,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2A and 2B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또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Fig. 3 shows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a,b는 가상공간을 설명하는 도면4A and 4B illustrate a virtual space.

도5a,b는 스토리맵및 가상공간임대프로세스를 도시하는 도면5A and 5B show a story map and a virtual space rental process.

도6은 가상공간 분양을 설명하는 순서도6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virtual space distribution

도7은 본 발명의 수익모델중 하나를 설명하는 도면7 illustrates one of the profit model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골목방송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lley broadcasting.

도9는 모바일에 의한 실시를 도시하는 도면9 illustrates an implementation by mobile.

도10은 스토리맵의 초기화면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10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itial screen of a story map;

도11,12는 골목게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11 and 12 show examples of alley games.

도13은 실제지형과 가상공간의 연계를 설명하는 도면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linkage between the actual topography and the virtual space. FIG.

도14,15,16,17은 IPTV기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14, 15, 16, and 17 illustrate an IPTV based embodiment.

Claims (9)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가지며 온라인을 통해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As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시스템서버는 The system server that provides the story map 지도정보를 시스템서버에 제공하는 GIS서버와;A GIS server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to a system server; 블로그서비스를 시스템서버에 제공하는 블로그서버와;A blog server for providing a blog service to a system server;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근거하여 시스템서버에 접속한 사용자의 스토리맵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며,And a location determiner configured to determine a location on a story map of a user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시스템 서버는 PC와 모바일 포함하는 다수의 단말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데The system server is connected through a plurality of terminal networks including a PC and mobile. 상기 GIS서버는 시스템서버가 제공하는 시스템지도를 포함하는 시스템지도DB와; The GIS server includes a system map DB including a system map provided by a system server; 상기 시스템지도를 기초로 사용자가 제작하여 제공한 그림지도를 포함하는 그림지도DB와; 지도상에 표시되는 실제건물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실제건물DB와; 시스템지도에 위치하지만 실제지도에는 위치하지 않고 가상으로 만들어진 가상건물의 정보를 갖고 있는 가상건물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건물DB와; 가상건물의 분양을 관리하기 위하여 가상건물 중에서 분양이 가능한 건물리스트를 포함하는 분양가능DB와;분양된 가상건물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양DB를 포함하며, A picture map DB including a picture map prepared and provided by a user based on the system map; A real building DB including a list of real buildings displayed on the map; A virtual building DB including a list of virtual buildings located on a system map but not on a real map but having virtually created virtual buildings; A saleable DB including a list of buildings available for sale among the virtual buildings to manage the sale of the virtual building; a sale DB including a list of the sold virtual buildings, 상기 블로그서버는 아바타별로 생성되는 블로그인 배낭블로그DB와 지도상의 건물에 생성되는 둥지블로그DB를 포함하는데, The blog server includes a backpack blog DB, which is a blog generated for each avatar, and a nest blog DB created in a building on a map. 시스템서버는 시스템지도DB와 그림지도DB중에서 선택된 지도를 스토리맵이라는 이름으로 온라인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하고 The system server provides the map selected from the system map DB and the image map DB to the terminal through a name called story map online. 또한, 시스템서버는 실제건물DB와 가상건물DB상의 실제건물 리스트와 가상건물리스트를 선택된 스토리맵상에 반영하여 표시하며 In addition, the system server reflects the real building list and the virtual building list on the real building DB and the virtual building DB on the selected story map. 또한, 시스템서버는 분양가능DB의 분양이 가능한 건물리스트를 온라인을 통해 단말기에 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청약메세지를 받아 소유자를 결정하여 분양DB를 갱신하며 In addition, the system server provides a list of buildings available for sale of the pre-sale DB to the terminal online, receives a subscription message from the terminal online, determines the owner, and updates the pre-sale DB. 시스템서버는 블로그서버로 하여금 둥지블로그DB에 분양완료된 건물에 해당하는 둥지블로그를 생성하도록 하며The system server causes the blog server to create a nest blog corresponding to the building sold in the nest blog DB.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결정하여 스토리맵상에 아바타를 표시하는데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positioning unit to display the avatar on the story map. GPS를 포함하여 실제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말기는 위치결정부로 실제위치정보를 송신하고 시스템서버가 실제위치정보를 반영한 아바타를 실제위치에 해당하는 스토리맵상의 위치에 표시하며 The terminal generating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GPS transmits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ositioning unit, and the system server displays the avatar reflecting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in the location on the story map corresponding to the actual location. 실제위치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는 단말기는 지도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상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위치결정부에 송신하도록 하며 위치결정부는 단말기가 생성한 가상위치정보를 아바타의 위치로 결정하여 시스템 서버가 스토리맵상의 해당위치에 아바타로 표시하도록 하며 The terminal that cannot generate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s virtual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its location on the map and transmits it to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The loca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the virtual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as the location of the avatar so that the system server can tell the story. To be displayed as an avatar on the map 상기 단말기가 생성한 가상위치정보와 실제위치정보중 어느 정보에 의하여 스토리맵상의 위치가 결정되었느냐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아바타는 스토리맵상에 다른 색깔로 표시되며 The avatar of the terminal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on the story map according to which of the virtual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terminal is determined on the story map. 실제공간에서 실제로 이동을 하여 갱신된 실제위치정보는 단말기에서 실시간으로 위치결정부에 송신되며 시스템서버는 실시간으로 반영된 위치결정부의 위치정보에 따라 아바타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The actual location information updated by actually moving in the real spac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positioning unit in real time, and the system server displays the avatar on the map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ing unit reflected in real time. 실제공간에서의 이동이 스토리맵상에 반영되어 실제공간에서의 이동으로 실제공간에는 존재하지 않고 스토리맵상에만 존재하는 아바타, 건물과의 접속이 단말기 상에서 가능하도록 하는, The movement in the real space is reflected on the story map,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avatar and the building, which exist only on the story map, not in the real space due to the movement in the real space. 실가상공간과 창조가상공간을 가지며 온라인을 통해 스토리맵을 제공하는 시스템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11145A 2009-11-17 2009-11-17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KR101058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45A KR101058738B1 (en) 2009-11-17 2009-11-17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145A KR101058738B1 (en) 2009-11-17 2009-11-17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93A KR20110054493A (en) 2011-05-25
KR101058738B1 true KR101058738B1 (en) 2011-08-22

Family

ID=4436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145A KR101058738B1 (en) 2009-11-17 2009-11-17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73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68B1 (en) * 2012-07-24 2014-08-01 (주)네오정보시스템 Data processing method for road driving test in driver's license tes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ata processing program for road driving test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931B1 (en) * 2015-12-14 2018-08-02 주식회사 민토시스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ents
KR102463019B1 (en) * 2021-04-23 2022-11-07 이상열 Metaverse system that provides an economic operating system to a fusion space where reality and virtualization are fused
WO2022225103A1 (en) * 2021-04-23 2022-10-27 이상열 Metaverse system for providing economic management system to convergence space in which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are converge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 경향신문 200707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968B1 (en) * 2012-07-24 2014-08-01 (주)네오정보시스템 Data processing method for road driving test in driver's license tes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data processing program for road driving test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493A (en)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663B1 (en) System that provides story map service that users make together
KR102217262B1 (en) System for Providing Live Commerce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101275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orts and sporting events related social/geo/promo link promotional data sets for end user display of interactive ad links, promotions and sale of products, goods, gambling and/or services integrated with 3D spatial geomapping, company and local information for selected worldwide locations and social networking
CN106537901A (en) Computeriz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entertainment content
US200900061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mand aggregation for proposed future items
US20080097826A1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80097827A1 (en) Demand aggregation for future item planning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US20080097825A1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posing future items contingent upon threshold demand
CN105378777A (en) Customizable data management system
CN105474248A (en) System and method of promoting items related to programming content
KR101058738B1 (en) A system that has a real virtual space and a creative virtual space and provides a story map online.
Ronteau et al. Digital business models: the new value creation and capture mechanisms of the 21st century
KR100953872B1 (en) Method on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of Service Companies Using Electronic Map
CN112381564A (en) Digital e-commerce for automobile sales
KR101199825B1 (en) Method on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on Service Company Using Electronic Map
KR101140319B1 (en) Method on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on Service Company Using Electronic Map
KR100969229B1 (en) Method on Providing Electronic Commerce Service of the Valuables Using Ranking Information
CN117157128A (en) Meta-universe system for providing economic management system for fusion space of reality and virtual
Griffin Taming the search-and-switch customer: earning customer loyalty in a compulsion-to-compare world
Shuai et al. E-Commerce Channels and Platforms
KR100926120B1 (en) Method on Digital Map Ranking Treatment
JP2005208691A (en) Method utilizing image data for realizing information collection and communication on web page or digital video page, image data program product, information processor and system
KR20030042865A (en) Digital Map Ranking System
US20240181349A1 (en) Metaverse system for providing economic management system to convergence space in which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are converged
KR100987034B1 (en) Method on Providing Ranking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