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75B1 -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75B1
KR101058375B1 KR1020110052790A KR20110052790A KR101058375B1 KR 101058375 B1 KR101058375 B1 KR 101058375B1 KR 1020110052790 A KR1020110052790 A KR 1020110052790A KR 20110052790 A KR20110052790 A KR 20110052790A KR 101058375 B1 KR101058375 B1 KR 10105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lar cell
frame
cell module
drive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열
박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시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시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시파워
Priority to KR102011005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75B1/ko
Priority to JP2013518284A priority patent/JP5512043B2/ja
Priority to US14/123,098 priority patent/US9496441B2/en
Priority to PCT/KR2011/005051 priority patent/WO2012165697A1/ko
Priority to EP11741509.1A priority patent/EP2565935A4/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7Mountings o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을 보다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태양의 고도 및 방향에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 및 배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이 지지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며, 상기 프레임의 배치각도 및 배치방향을 변화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프레임의 회전운동 및 상하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운동전환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지지부와, 상기 제1연결지지부를 상기 운동전환부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An Assembly for support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을 보다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태양의 고도 및 방향에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 및 배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가 고갈됨에 따라서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태양에너지를 활용하는 에너지 자원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술로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기관을 구동시켜 전기를 발전시키는 태양열 발전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전지로 부터 전기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발전이 있다.
여기서,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화합물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태양광발전에 이용되는 태양전지는, 통상적으로 주로 실리콘과 복합재료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태양 빛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태양전지는 대면적의 P-N 접합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P-N 접합 다이오드의 양극단에 발생된 기전력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전지의 최소 단위를 셀(Cell)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태양전지를 셀 그대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다.
실제 사용되는데 필요한 전압이 수 V에서 수십 혹은 수백 V 이상인데 비하여 셀 1개로부터 나오는 전압은 약 0.5V로 매우 작기 때문인데, 이 때문에 다수의 단위 태양전지들을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태양전지가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여러 가지 혹독한 환경에 처하게 되므로, 필요한 단위 용량으로 연결된 다수의 셀을 혹독한 환경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복수의 셀을 패키지로 한 태양전지모듈(solar cell module)로 구성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태양전지모듈은, 일정 전력을 얻기 위하여 다량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장소에 제한이 따른다. 즉, 태양전지모듈은 건물 옥상이나 옥외 시설물 등에 설치할 때는 별문제가 없지만, 주택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공동주택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세대 내 개별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은 메인프레임들과 태양전지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대들, 메인프레임을 지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지지기둥 등이 각각 용접에 의하여 접합되는 경우가 많아서 일단 한번 위치가 정해진 후 용접이 완료되면 배치상태 조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수많은 태양전지모듈을 대량으로 지지하는 고정형 지지구조물의 경우, 그 배치각도가 고정되어 있어서, 절기 변화에 따른 태양 고도에 변화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의 배치각도를 조정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집광효율 및 전기생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우리나라의 경우, 위도(38°)를 고려한 각 계절별 태양의 남중고도를 살펴보면, 춘분 또는 추분에는 태양의 남중고도가 대략 52°정도이고, 하지에는 75.5°가 되며, 동지에는 28.5°정도가 된다.
그런데 종전의 태양전지모듈은 정남향을 향하여 고정된 기울기 각도를 가진채로 설치되어 있어서 계절별로 전기생산량의 편차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태양전지 모듈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지지장치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우에도, 주로, 태양전지 모듈의 중앙부에 지지점이 형성되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 회전시 태양전지 모듈이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서 지지균형이 흐트러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의 고도와 방향의 변화에 대응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와 배치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이 지지되는 프레임의 중앙부분 뿐만 아니라, 여러 부분이 동시에 지지될 수 있는 태양전지 모듈 지지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운동전환부는;
상기 회전하우징에 마련되는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하우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캠 그루브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에 따라서 그 높이가 상하로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리프트 암과,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 및 상기 리프트 암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 동작시 발생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리프트 암의 상대 높이 차이 변화 및 배치방향의 변화에 의하여 그 배치각도 및 배치방향이 변화되며, 그 상면에 태양전지 모듈이 지지되는 프레임이 안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태양전지 모듈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제1연결지지부 및 상기 제2연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바람과 같은 외력으로 인하여 태양전지 모듈 및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지지판이 프레임의 중앙 부분을 지지하고, 제1연결지지부가 프레임의 여러부분을 지지하면서, 지지판 및 상기 제1연결지지부가 지지부에 연결되기 때문에, 태양전지 모듈 및 프레임의 배치방향 및 배치각도가 변하는 경우에 회전력이 상기 태양전지 모듈 및 프레임의 모든 부분에 안정적으로 분배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기어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가 구동모터의 동력을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 변화 및 배치방향 변화에 사용되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출력을 갖는 구동모터에 의하여도 큰 면적의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태양 고도 및 방위각의 변화 정도를 케이싱에 마련되는 캠 그루브에 적용시킴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와 배치방향 변화가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각에 맞추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태양 전지 모듈의 집광 효율 및 발전 효율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 및 태양전지모듈 지지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모듈 및 태양전지모듈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운동전환부 및 동력전달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회전 하우징 및 주동기어의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2연결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부와 제2연결지지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연결지지부와 제2연결지지부의 결합사시도이다.
도12는 시간에 따른 태양고도 및 방위각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4 내지 도16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의 동작에 의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모듈 지지 어셈블리(100)의 구조를 보면, 플레이트 형상의 태양전지모듈(10)의 하면을 지지하는 프레임부(20)와, 상기 프레임부(20)를 지지하는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30)을 지지하는 지지부(120) 및 리프트 암(130)과, 상기 지지부(110)와 리프트 암(130)이 지지되며 그 외주면에 캠 그루브(141)가 형성되는 케이싱(140)과, 상기 케이싱(140)의 하부에 마련되며, 그 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가 수용되는 기둥 형태의 지지대(15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지지판(110)의 양 옆에는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지지부(210)와, 상기 제1연결지지부(210)를 상기 지지부(120)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지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210)와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배치 상태는 대락 'H"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은 복수개의 구획벽(21)에 의하여 복수의 면으로 구획되며, 구획벽은 수직구획벽(21a)과, 수평구획벽(2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210)는 상기 수직구획벽(21a) 상에 마련되는 브라켓부(211)와, 상기 브라켓부(211)와 상기 수직구획벽(21a)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로드(212)와, 상기 브라켓부(211)와 상기 수직구획벽(21a)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 연결로드(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210)는 상기 프레임(20)의 후면에 상호 이격되어 좌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연결지지부(220)는 상기 브라켓부(211)와, 상기 지지부(120)의 양측에 마련되는 연장편(121)을 연결하는 로드(rod)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연결지지부(210,220)를 마련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10)과 프레임(20)의 배치상태가 변화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태양전지 모듈(10)과 상기 프레임(20)은 지면에 대해서 소정 경사각을 형성하며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0)의 하면에 배치되는 지지판(110)의 하면에는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리프트 암(130)이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의 높이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리프트암(130)의 높이는 상하로 조정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프레임(20)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구동모터(101) 및 상기 구동모터(101)와 연결되어 있는 동력전달부(300)에 의하여 회전운동을 수행하여, 상기 태양전지모듈(10)과 프레임(20)의 배치방향을 바꿀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0)가 상기 리프트 암(13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20)가 회전을 하면, 상기 리프트 암(130)도 회전을 한다.
상기 케이싱(140)은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리프트 암(130)은 상기 케이싱(140)에 대해서 상대 회전운동을 한다.
다만, 상기 캠 그루브(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 그루브(141)에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암(130)은 상기 캠 그루브(141)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그 높이가 변동된다.
그리고, 그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20)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 및 배치방향이 바뀔 수 있다.
상기 캠 그루브(141)는 상기 케이싱(140)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리프트 암(130)의 높이가 변화될 수 있도록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구비하는 폐곡선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211)는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 연결로드(212)와 하부 연결로드(213)의 단부는 각각 상기 브라켓부(211)의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40)은 원통형의 바디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14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도1참조, 150)와 연결되는 연결플레이트(151)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싱(140)의 외주면에는 캠 그루브(14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4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120)가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40)의 외주부분에는 상기 리프트 암(13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140)의 상부와 상기 지지부(12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120)를 지지하는 베이스부(16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60)는 상기 지지부(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베이스판(161)과, 상기 베이스판(161) 하부에 마련되는 연결기어(도5참조, 16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6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베이스부(160)의 회전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400)가 마련되는데, 상기 센서부(400)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400)는 상기 회전기어(162)와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401)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160) 및 상기 지지부(120)가 회전하는 경우, 그러한 회전운동은 상기 회전기어(162) 및 상기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401)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4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센서부(400)에 의하여 현재 지지부(120) 및 상기 베이스부(160)의 회전각도가 도출됨으로써 현재의 상기 태양전지 모듈(도1참조, 10)의 배치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베이스판(161) 상면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기둥부(122)와, 상기 지지기둥부(122)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회동축(11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브라켓(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123)은 '┗┛' 형태로 마련되고, 양 측벽에는 상기 회동축(111)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24)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리프트 암(130)은 상기 케이싱(140)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는 상기 캠 그루브(141)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 그루브(141)의 하단부에는 상기 캠 그루브(141)와의 상대운동을 위한 롤러나 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프트 암(130)은 안내레일(170)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안내레일(170)은 상기 베이스판(161)과 소정의 연결블록(171)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베이스판(161)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안내레일(170)도 회전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리프트 암(130)도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내레일(170)과 상기 리프트 암(130) 간의 상대 슬라이드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리프트 암(130)의 표면에는 상하방향의 안내홈(1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프트 암(130)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판(110)의 후면은 연결장치(18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장치(180)는 상기 지지판(110)의 후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축 지지대(181)와, 상기 축 지지대(181)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안내축(182)과, 상기 안내축(18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부재(18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183)는 상기 리프트암(130)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암(1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상기 리프트암(130)에 연결된 상기 이동부재(183)는 상기 리프트암(130)의 상단부에 대해서 회동운동을 하면서, 동시에 상기 안내축(182)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0)은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판(110) 후면 중 후방 부분은 상기 회동축(111)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120)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10) 후면 중 전방 부분은 상기 연결장치(180)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암(130)과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20) 및 상기 리프트암(130)의 회전시, 상기 캠 그루브(141)와 상기 리프트암(130)에 의한 상대운동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 암(130)이 상승 운동 또는 하강운동을 하면, 상기 리프트 암(130)의 높이와 상기 지지부(120)의 높이가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지지판(110)의 배치각도도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리프트 암(130)과, 상기 지지판(110)은 운동전환부(200)를 구성한다.
정리하면, 상기 지지부는 회전하우징부(도6참조, 310,320)에 마련되는 연결축(도6참조,360) 연결되고 상기 회전하우징부(310,32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그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리프트 암(130)은 상기 지지부(120)와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캠 그루브(14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20)의 회전에 따라서 그 높이가 상하로 조절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지지판(110)은 상기 지지부(120)의 상단부 및 상기 리프트 암(130)의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101) 동작시 발생하는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리프트 암(130)의 상대 높이 차이 변화 및 배치방향의 변화에 의하여 그 배치각도 및 배치방향이 변화되며, 그 상면에 태양전지 모듈(10)이 지지되는 프레임(20)이 안착된다.
도4는 상기 캠 그루브(141)가 마련되는 케이싱(140)과, 상기 케이싱(14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동력전달부(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케이싱(140)의 내면에는 상기 동력전달부(300)가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부(142)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300)는 제1회전 하우징(310)과, 상기 제1회전하우징과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과 같이 회전하는 제2회전하우징(3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 하우징(310) 하면에는 주동축이 노출되어 마련되는데, 상기 주동축(311)은 상기 구동모터(101)에 연결된다.
상기 제1회전 하우징(310) 내부에는 상기 주동축(311)에 결합되는 주동기어(도4참조, 33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주동기어(330)와 치합하여 마련되는 종동기어(340)는 상기 제1회전 하우징(310) 및 제2회전하우징(320) 내부에 마련된다.
도4에서 도시된 상기 제2회전 하우징(320) 내벽면에 마련되는 기어가 상기 종동기어(340) 중 일부를 구성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동기어(330)는 상기 주동축(311)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주동기어(330)의 반경방향에는 원환부(350)가 마련되는데, 상기 원환부(350) 내부에는 상기 주동기어(330)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원환부(350)의 하면은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의 내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원환부(350)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핀(351)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의 내부 하면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원환부(350)에는 제1종동기어(34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원환부(350)와 상기 제1종동기어(341)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고정축(341a)에 의하여 상기 원환부(350)와 상기 제1종동기어(341)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축(341a)은 상기 원환부(350)와 상기 제1종동기어(341), 그리고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 내부 하면에 걸쳐서 배치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341)가 상기 원환부(350) 하면과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 내부 하면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 내벽면에는 원환 형태의 제2종동기어(342)가 마련되어, 상기 제1종동기어(341)와 치합된다.
상기 제1종동기어(341)는 상기 주동기어(330) 및 상기 제2종동기어(34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주동기어(330)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종동기어(342)에 전달하여, 상기 제2종동기어(342)의 회전운동을 유발한다.
상기 제2종동기어(342)는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 내벽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종동기어(342)의 회전은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의 회전운동을 유발한다.
한편,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의 내주면에도 상기 제2종동기어(34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2종동기어(342)도 상기 제1종동기어(342)와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의 제2종동기어(342)와,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의 제2종동기어(342)는 동일한 직경과, 치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기어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과,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의 외곽 테두리에는 상호 이격되는 복수의 고정홀(315,325)이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홀(315,325)에 고정핀(미도시)이 삽입되어,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과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을 결합시킨다.
상기 제2종동기어(342)는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과, 상기 제2회전하우징 (320)내벽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제2종동기어(320)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1,2회전 하우징(310, 320)의 회전운동으로 이어진다.
한편, 상기 제2회전 하우징(320)과 상기 제2종동기어(342) 사이에는, 고정하우징(350)이 마련되어, 상기 제2종동기어와 상기 제2회전하우징 내벽면 간의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주동축(311)의 상단부는 상기 주동기어(330)의 상면보다 위로 노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상기 주동축(311)의 상단부는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에 삽입되어 있는 제2종동기어(342)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심홀(345)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회전 하우징(310)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는 중공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2회전하우징(310) 내부에는 상기 제2종동기어(342)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2종동기어(342)의 상부에는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축(346)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축(346)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부(160)와 결합되는 연결축(360)이 삽입되는데, 상기 연결축(360)의 하부에는 상기 연장축(34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공(361)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고정하우징(350)은 상기 제2종동기어(342)가 형성되는 구성요소의 외주면과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 내주면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연결축(360)은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 상면에 형성된 연통공(321) 및, 상기 케이싱(140) 상면에 형성되는 연통공(142)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부(16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 및,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이 결합된 채로, 상기 케이싱(140) 내부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2회전하우징(310,320)은 상기 케이싱(140) 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40)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베이스부(160)도 상기 연결축(360)에 의하여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과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과 함께 상기 케이싱(140)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60)는 상기 지지부(도1참조, 120)를 지지하는 베이스판(161)과, 상기 베이스 판(161)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센서부(도3참조, 400)와 벨트 또는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도3참조, 401)에 의하여 연결되는 회전기어(16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360)은 상기 회전기어(162)의 중심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40)의 외주면에는 폐곡선 형태의 캠 그루브(141)가 마련된다.
상기 캠 그루브(141)는 그 높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높이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곡선형태가 된다. 이는 일중 태양의 고도변화를 고려하여 형성된 것이다.
한편, 캠 그루브(141)에는 제1 그루브(141a)와, 상기 제1그루브(141a)와 이격되고, 상기 제1그루브(141a)보다 낮은 제2그루브(141b)를 포함하는데, 이와 같이, 제1,2그루브(141a,141b)를 만든 이유는 하절기와 동절기의 태양의 일중 최고 고도가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에 대응하여 만들었기 때문이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원환부(350) 내부에 마련되는 상기 주동기어(330)와 상기 제2종동기어(3422)는 대략 1:3~6의 기어비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동기어(33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도4참조, 101)가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종동기어(341)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2종동기어(342)는 상기 주동기어(3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린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01)가 상기 제2종동기어(342)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주동기어(330) 및 상기 제1종동기어(341)를 이용하여 상기 제2종동기어(342)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제2종동기어(342)를 직접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구동모터의 출력보다는 작은 출력의 구동모터가 사용되어도 상기 제2종동기어(3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의 구동모터에 의하여도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도1참조, 10) 및 상기 프레임(도2참조, 20)이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환부(350)와 상기 제1회전 하우징(310) 내부 하면을 연결하는 고정핀(351)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351)과 고정핀(351) 사이에 상기 제1종동기어(34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축(341a)이 마련된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01)는 상기 주동축(311)에 연결되고, 상기 주동축(311)에는 상기 주동기어(3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동기어(330)는 상기 제1종동기어(341)와 치합되고, 상기 제1종동기어(341)는 상기 제2종동기어(342)와 치합된다.
상기 제2종동기어(342)는 상기 제1회전하우징(310) 내벽면과, 상기 제2회전하우징(320) 내벽면에 걸쳐져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종동기어(342)의 상부에는 상기 연장축(346)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연장축(346)은 상기 연결축(360)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360)은 상기 캠 그루브(141)가 형성되는 케이싱(140)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부(16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연결축(360)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싱(140)에 마련되는 연통공(142) 사이에는 상기 연결축(36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베어링(37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6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61)에는 상기 연결블록(170)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블록(170)에는 상기 안내레일부(171)가 마련되고, 상기 안내레일부(171)는 상기 리프트암(130)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는 상기 캠 그루브(141)에 삽입되어 지지되는데,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에는 롤러(132)와 같이,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연결지지부(210)와 제2연결지지부(22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구획벽(20)의 중간 지점에 상기 브라켓부(211)가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부(211)의 상단부와 상기 수직구획벽(21a)의 상부는 상기 상부 연결로드(212)에 의하여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부(211)의 하단부와 상기 수직구획벽(21a)의 하부는 상기 하부 연결로드(2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수직구획벽(21a)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 연결로드(212)와 상기 하부연결로드(213)가 결합되는 돌출부(23)가 마련되며, 상기 돌출부(23)와 상기 상부 연결로드(212) 및 하부 연결로드(213)에는 상기 결합공(23a, 212a, 213a)이 각각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23)와 상기 상부 연결로드(212) 및 상기 하부 연결로드(213)는 너트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40)에 의하여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도 연결로드 형태로 마련되며, 그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2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120)의 측면에 마련되는 연장편(121)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부(211)는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12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는 상기 지지부(120)의 양측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부(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쏠리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0)에는 고정볼트(도3참조, 112)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볼트(112)는 상기 프레임(20)의 수직구획벽(21a) 및 수평구획벽(21b)상에 마련되는 체결공(2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20)의 양측에는 연장편(1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연장편(121)은 절곡된 브라켓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기둥(122)의 양측면에 접합된 형태로 되어 있으나, 상기 지지기둥(12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일단부는 상기 연장편(121)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8)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일단부가 상기 연장편(121)과 최대한 면접되는 부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일단부에는 상기 연장편(121)과 면접되는 단차부(22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타단부는 상기 제1연결지지부(210)의 브라켓부(211)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부(211)에는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111)을 구비하는 삽입부(2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2연결지지대(220)의 타단부에는 상기 삽입부(2110)의 삽입홈(2111)에 삽입되는 회동조인트(222)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20)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회동각도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조인트(222)가 상기 삽입홈(2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상기 제2연결지지대(220)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기둥(도10참조, 122)의 연장편(121)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기둥(122)의 높이는 변화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 리프트 암(130)이 상기 캠 그루브(141)를 따라 움직이면서 그 배치각도가 변함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10) 및 프레임(20)도 전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하므로, 상기 브라켓부(211)도 상기 프레임(20)과 같이 움직이면서 회동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타단부는 상기 브라켓부(211)에 대해서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부(211)의 회동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상기 브라켓부(211)와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부(211)와 상기 연장편(도10참조,121)과의 연결상태를 유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가 상기 지지기둥(122)의 양측에 연결되고, 좌우에 있는 브라켓부(211)와 연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프레임(도1참고,10) 및 상기 태양전지 모듈(도1참조, 20)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2는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각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하루동안, 즉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태양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방위각과 고도각의 변화를 시간대별로 측정하고, 그 측정된 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그에 맞게 상기 캠 그루브(도6참조, 141)를 상기 케이싱(도6참조, 140)에 형성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는 일종의 태양광 추적장치의 기능을 함으로써,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태양의 이동을 추적할 수 있다.
상기 캠 그루브(141)의 형상은 상기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방위각 변화에 따른 고도각의 변화를 고려한 폐곡선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ㄷ.
상기 리프트 암(도3참조, 130)이 상기 캠 그루브(141)의 안내를 받아서 이동하면, 상기 리프트 암(130)과 상기 지지부 간의 상대 높이 변화 차이로 인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배치각도가 변화하면서, 그 배치방향도 변화한다.
이를 구체적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태양의 고도각과 방위각의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입력된 제어부(500)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101)가 동작한다.
상기 구동모터(101)가 동작하면, 상기 주동축(311)이 회전하고(A), 상기 주동축(311)에 결합된 상기 주동기어(3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한다(B).
상기 제1종동기어(341)는 상기 주동기어(33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주동기어(3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C)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상기 제1종동기어(341)는 상기 주동기어(330)와 상기 제2종동기어(342) 사이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종동기어(341)의 회전운동은 상기 제2종동기어(342)의 회전운동을 유발한다.
상기 제2종동기어(342)의 회전방향(D)은 상기 제1종동기어(341)의 회전방향과 정반대방향이되며, 이는 상기 주동기어(33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2종동기어(342)는 상기 제1,2회전하우징(310,320) 내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2회전하우징(310,320)도 상기 제2종동기어(34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지지부(도3참조, 120)가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부(160)는 상기 연결축(360) 및 상기 연장축(346)에 의하여 상기 제2종동기어(342)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부(160) 및 상기 지지부(120)도 상기 제2종동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리프트암(130)은 상기 연결블록(170)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부(160)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 암(130)도 상기 제2종동기어(342)와 동일한 방향과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리프트 암(130)이 동시에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120)와 상기 리프트 암(130)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판(도1참조, 110), 상기 프레임(도1참조, 20), 상기 태양전지 모듈(도1참조, 10)도 회전한다.
한편, 상기 캠 그루브(141)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싱(140)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캠 그루브(141)에 물려 있는 상기 리프트 암(130)은 상기 캠 그루브(141)를 따라 이동을 한다.
상기 캠 그루브(141)는 높이가 변화되는 폐곡선 형태로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트 암(130)이 상기 캠 그루브(141)를 따라 움직이는 경우, 상기 리프트 암(141)의 높이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리프트 암(130)의 높이 변화가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의 변화를 유발한다.
도14내지 도16은 태양의 고도변화에 따른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태양전지 모듈(10)의 표면과, 상기 태양(S)과 상기 태양전지모듈(10) 간의 직선(L)은 수직상태를 이루어야 집광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일출 시 상기 태양의 고도(h1)는 제일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θ1)는 가장 큰 경사각을 이루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가 상기 캠 그루브(141)의 가장 낮은 곳에 물려 있어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리프트 암(130)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단부 간의 높이 차이가 최대를 이루고, 그에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가 가장 큰 경사각을 이루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향하는 방향은 동쪽이 되어야 한다.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이 흐르면 태양은 동쪽에서 남동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고도(h2) 또한 높아진다.
이러한 태양의 방향과 고도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제어부(도13참조, 500)가 상기 구동모터(101)를 제어하면, 상기 구동모터(10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남동쪽을 바라보게 된다.
한편,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가 물려 있는 캠 그루브(141)의 높이는 도14의 경우보다 높은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리프트 암(130)도 상승한다.
상기 리프트 암(130)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단부 간의 높이 차이가 도14의 경우보다 줄어들게 되면,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뒤로 젖혀지게 되어, 그 배치각도(θ2)는 도14의 경우보다 작은 경사각을 이룬다.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이 더 경과하여, 태양이 최고 고도(h3)에 이르게 되면, 태양은 남쪽에 위치한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은 남쪽을 향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는 상기 캠 그루브(141) 중 그 높이가 최대가 되는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리프트 암(130)은 도15의 경우보다 상승하고, 그 만큼 상기 지지부(120)상단부와 상기 리프트 암(130) 상단부 간의 높이차이는 더 작아진다.
그러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θ3)는 가장 작은 경사각을 형성함으로써 집광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더 시간이 흘러가면, 태양은 남서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고도 또한 낮아지게 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100)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남서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낮아진 고도를 반영하여, 상기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가 맞물린 캠 그루브(140)의 높이도 도15의 경우보다 낮아진 상태가 되므로,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는 도15의 경우보다 더 큰 경사각이 된다.
일몰이 가까워지면, 태양은 서쪽에 위치하고, 그 고도 또한 더 낮아진다.
이를 반영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100)는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서쪽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운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그 상태의 태양 고도를 반영하여, 리프트 암(130)의 하단부가 맞물린 캠 그루브(141)의 높이는 가장 낮은 부분이 된다.
따라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의 배치각도는 최대 경사각을 이룬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다시 익일 일출시 집광을 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일몰 이후 익일 일출 전에 상기 태양전지 모듈 지지장치(100)가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태양고도 변화 및 태양의 배치 방향의 변화에 따라서 그 집광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10: 태양전지모듈 20:프레임
100: 태양전지모듈 지지 어셈블리
110: 지지판 120: 지지부
130: 리프트 암 140: 케이스
141: 캠 그루브 150: 지지대
160: 베이스부 161: 베이스판
210: 제1연결지지부 211: 브라켓부
212:상부연결로드 213: 하부연결로드
220: 제2연결지지부 300: 동력전달부
310: 제1회전하우징 320: 제2회전하우징
330: 주동기어 340: 종동기어
341: 제1종동기어 342: 제2종동기어
400: 센서부 401: 동력전달부재

Claims (18)

  1. 태양전지 모듈(10)과;
    상기 태양전지 모듈(10)이 지지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20)의 배치각도 및 배치방향을 변화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01)와, 상기 구동모터(101)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01)에 의하여 회전하는 주동기어(330)와, 상기 주동기어(330)에 치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주동기어(33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하는 종동기어(340)와, 상기 종동기어(340)가 수용되고 상기 종동기어(34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하우징부(310,320) 및 상기 회전하우징부(310,320)가 수용되며 외주면에 캠 그루브(141)가 형성되는 케이싱(140)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회전하우징부(310,320)에 마련된 연결축(36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하우징부(310,32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지지부(1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20)을 지지하는 지지판(110) 및 상기 지지부(120)의 하단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110)과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캠 그루브(141)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120)의 회전에 따라서 높이가 상기 상하방향으로 조절가능하게 마련되는 리프트 암(130)을 포함하여, 상기 동력전달부(3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력을 태양의 고도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20)이 회전운동 및 상하운동 하도록 전환시키는 운동전환부(200)와;
    상기 프레임(20)의 후면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지지부(210)와;
    상기 제1연결지지부(210)를 상기 운동전환부(200)와 연결시키는 제2연결지지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부와;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연결로드와;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지지부(220)의 일단부는 상기 브라켓부(21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120)의 측면에 마련되는 연장편(12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상기 브라켓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조인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후면은 복수의 구획벽(21)에 의하여 구획되고,
    상기 구획벽(21)은 수직 구획벽(21a)과, 수평구획벽(21b)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구획벽(21a)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상부 연결로드(212) 및 상기 하부 연결로드(213)와 연결되는 돌출부(2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주동기어가 삽입되는 주동축과;
    상기 주동기어를 주위에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주동기어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공간이 형성되는 원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종동기어는 상기 원환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주동기어와 치합하도록 마련되는 제1종동기어와;
    상기 회전하우징부 내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제1종동기어와 치합하는 제2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우징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주동기어 및 상기 원환부가 수용되는 하부 회전하우징과;
    상기 하부 회전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 회전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기어는 상기 상부 회전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2종동기어의 외주면과 상기 상부 회전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기어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회전하우징 상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연장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축은 상기 연결축에 삽입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연결축의 상부에 상기 지지부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하부에 마련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어는 회전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로 배치되는 지지 기둥부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마련되는 회동축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암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 장착되는 안내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암의 상단부와 상기 지지판의 후면을 연결하되, 상기 리프트암과 상기 지지판과의 상대운동을 유발하는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지지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지지판 후면에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축 지지대와;
    상기 축 지지대 사이에 배치되는 안내축과;
    상기 안내축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리프트 암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그루브는 상기 케이싱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태양전지의 배치각도가 달라질 수 있도록 상기 캠 그루브의 높이가 변화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캠 그루브는 제1그루브와, 상기 제1그루브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제2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지지 어셈블리.
KR1020110052790A 2011-06-01 2011-06-01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KR10105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90A KR101058375B1 (ko) 2011-06-01 2011-06-01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JP2013518284A JP5512043B2 (ja) 2011-06-01 2011-07-11 太陽電池モジュール支持アセンブリ
US14/123,098 US9496441B2 (en) 2011-06-01 2011-07-11 Solar cell module support assembly
PCT/KR2011/005051 WO2012165697A1 (ko) 2011-06-01 2011-07-11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EP11741509.1A EP2565935A4 (en) 2011-06-01 2011-07-11 SUPPORT ARRANGEMENT FOR A SOLAR CELL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790A KR101058375B1 (ko) 2011-06-01 2011-06-01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375B1 true KR101058375B1 (ko) 2011-08-22

Family

ID=44933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790A KR101058375B1 (ko) 2011-06-01 2011-06-01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75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73B1 (ko) 2011-10-21 2013-01-02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27995B1 (ko) 2011-10-21 2013-02-01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27992B1 (ko) 2011-08-26 2013-02-01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27991B1 (ko) 2011-08-26 2013-02-01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36457B1 (ko) 2011-10-21 2013-02-22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WO2013032099A1 (ko)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CN103267376A (zh) * 2013-06-07 2013-08-28 合肥耀辉太阳能热力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槽式双轴向日跟踪集热装置
KR101349790B1 (ko) 2012-02-14 2014-01-14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64541B1 (ko) * 2012-04-30 2014-02-25 박재성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05445B1 (ko) 2012-07-30 2014-06-12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태양전지 모듈 베이스
KR101436929B1 (ko) * 2014-04-11 2014-09-18 유수재 각도조절체가 구비된 태양집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087Y1 (ko) 2006-10-31 2007-05-11 (주) 파루 태양광 집광 장치
KR100925674B1 (ko) 2009-02-13 2009-11-10 주식회사 지앤알 태양광 추적 장치
US20110126884A1 (en) 2008-06-02 2011-06-02 Vasileios Dritsas Photovoltaic panel support base rotating simultaneously around a horizontal and a vertical ax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087Y1 (ko) 2006-10-31 2007-05-11 (주) 파루 태양광 집광 장치
US20110126884A1 (en) 2008-06-02 2011-06-02 Vasileios Dritsas Photovoltaic panel support base rotating simultaneously around a horizontal and a vertical axis
KR100925674B1 (ko) 2009-02-13 2009-11-10 주식회사 지앤알 태양광 추적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7992B1 (ko) 2011-08-26 2013-02-01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27991B1 (ko) 2011-08-26 2013-02-01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WO2013032099A1 (ko)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17673B1 (ko) 2011-10-21 2013-01-02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27995B1 (ko) 2011-10-21 2013-02-01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36457B1 (ko) 2011-10-21 2013-02-22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49790B1 (ko) 2012-02-14 2014-01-14 주식회사 라온테크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64541B1 (ko) * 2012-04-30 2014-02-25 박재성 태양광 발전장치
KR101405445B1 (ko) 2012-07-30 2014-06-12 주식회사 가이아에너지 태양전지 모듈 베이스
CN103267376A (zh) * 2013-06-07 2013-08-28 合肥耀辉太阳能热力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槽式双轴向日跟踪集热装置
CN103267376B (zh) * 2013-06-07 2015-01-21 合肥耀辉太阳能热力工程科技有限公司 一种槽式双轴向日跟踪集热装置
KR101436929B1 (ko) * 2014-04-11 2014-09-18 유수재 각도조절체가 구비된 태양집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375B1 (ko)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KR101053982B1 (ko) 태양 전지 모듈 지지 어셈블리
JP551204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支持アセンブリ
KR20120123101A (ko) 태양광 자동 추적 장치
CN103380332A (zh) 机器人阳光跟踪设备
US10148221B2 (en) Solar energy light collec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Afrin et al. Installing dual axis solar tracker on rooftop to meet the soaring demand of energy for developing countries
KR20100064448A (ko) 경사각 및 회전각 조절장치를 구비한 태양 전지판 구조물
KR101037326B1 (ko) 각도 조절 가능한 태양전지판
KR20100102402A (ko) 태양전지패널의 태양위치추적장치
KR20130078888A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090096281A (ko) 태양광 전지판의 경사각 조절장치
CN202424582U (zh) 一种太阳能光伏电池
KR10122799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101093114A (zh) 改进型太阳光自动跟踪器
KR20110031053A (ko) 태양광 전지판의 양축형 회전장치
KR101227991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3276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20964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Maharaja et al. Intensity based dual axis solar tracking system
KR20110124824A (ko) 태양광 추적용 구동장치
KR101383789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319998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101017083B1 (ko) 로보트형 태양광 추적장치
CN106094894A (zh) 太阳能跟踪互联三轴双柱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