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083B1 -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 Google Patents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083B1
KR101058083B1 KR1020110037655A KR20110037655A KR101058083B1 KR 101058083 B1 KR101058083 B1 KR 101058083B1 KR 1020110037655 A KR1020110037655 A KR 1020110037655A KR 20110037655 A KR20110037655 A KR 20110037655A KR 101058083 B1 KR101058083 B1 KR 10105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inlet
water tank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61524A (en
Inventor
황병화
Original Assignee
황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병화 filed Critical 황병화
Priority to KR102011003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83B1/en
Publication of KR2011006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살균 소독 모듈을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살균 소독 모듈은, 외부로부터 소독 대상인 물을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된 물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이 소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발생장치; 상기 수조로부터 소독이 완료된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부;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부의 하부와 그 이외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경사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는 상기 수조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유출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er with an ultrasonic gener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ilizer with a ultrasonic generator including at least one sterilization module. At this time,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the inlet receiving the water to be sterilized from the outside; A water tank receiving the water from the inlet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At least one ultrasonic wave generato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ank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so that water moving inside the tank can be disinfected; Outflow part for receiving the disinfected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outflow to the outside; And an inclined plate positioned inside the tank to partially block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and other portions thereof.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moving in the water tank can be maintained at the full water level, the inclined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outlet.

Description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Sterilizer with Ultrasonic Generator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본 발명은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한 공동현상(케비테이션)을 이용하여 물을 살균 소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ilizer with an ultrasonic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sterilizing water by using a cavitation (cavitation) generated by ultrasonic vibration.

현대 사회에서는 급격한 산업의 발달과 도시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생활폐수 및 공장폐수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생활폐수 및 공장폐수는 수자원의 재활용을 위해 정수장에서 정수공정을 거쳐 수요자에게 다시 공급되고 있다. In modern society, domestic wastewater and factory wastewater are increasing quantitatively due to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increase of urban population. In addition, the domestic wastewater and factory wastewater are supplied back to the consumer through a water purification process in a water purification plant for recycling of water resources.

상기 정수장에서 수행되는 정수공정은 물리적 처리 공정과 살균 처리 공정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처리 공정에서는 침전, 여과 등과 같은 물리적 방법을 통해 폐수를 1차적으로 정화하고, 상기 살균 처리 공정에서는 물리적 처리 공정을 거치더라도 제거되지 않는 다양한 종류의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 소독함으로써 폐수를 2차적으로 정화한다. 상기 살균 처리 공정에서는 병원성 미생물을 살균 소독하기 위해 염소, 이산화 염소 등과 같은 화학 물질이 사용된다.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 perform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may be largely classified into a physical treatment process and a sterilization treatment process. In the physical treatment process, the wastewater is first purified through physical methods such as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and in the sterilization process, the wastewater is secondarily sterilized by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various type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which are not removed even though the physical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Cleanse In the sterilization process, chemicals such as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are used to sterilize pathogenic microorganisms.

한편, 상기 정수장에서 정화된 물은 실내 수영장, 양어장, 수족관, 대중 목욕탕 등과 같은 곳으로 공급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업장에서는 정수장에서 정화된 물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용도에 맞게 재차 살균 소독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실내 수영장, 대중 목욕탕 등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들을 더욱 완전하게 제거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물을 소독하여 사용하고 있고, 상기 양어장, 수족관 등에서는 어류의 생존에 해가 될 수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완전하게 제거하고 정수장에서 사용한 화학 물질 중 어류의 생존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제거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물을 소독하여 사용하고 있다. 위 실내 수영장, 양어장, 수족관, 대중 목욕탕 등의 업장에서는 물의 소독을 위해 화학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places such as indoor swimming pools, fish farms, aquariums, public baths. In addition, the above industrial sites do not use the water purifi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as it is, and sterilize and disinfect it again according to the use. For example, indoor swimming pools and public baths are used to disinfect their own water to completely remove pathogenic microorganism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In fish farms and aquariums, pathogenic microorganisms that can be harmful to fish survival are completely eliminated. It is used to disinfect water itself in order to remove the chemicals us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which may threaten the survival of fish. In the above indoor swimming pools, fish farms, aquariums, public baths, etc., chemicals are used to disinfect wat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정수장, 실내 수영장, 양어장, 수족관, 대중 목욕탕 등과 같은 곳에서는 물에 포함된 병원성 미생물 등을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살균 소독에 화학 물질을 사용할 경우, 화학 물질을 계속하여 구입하여야 하므로 살균 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이 살균 소독의 횟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살균 소독을 수행할 때마다 화학 물질을 물에 주입하여야 하므로 살균 소독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화학 물질이 물에 이미 포함되어 있거나 추후 포함될 수 있는 타 화학 물질, 유기물 등과 반응하여 생물에 유해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이 생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화학 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냄새로 인해 사용자가 후각적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water are removed using chemical substances in places such as water purification plants, indoor swimming pools, fish farms, aquariums, public baths, and the like. However, when the chemical is used for steriliz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steriliza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erilization since the chemical must be continuously purchased.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process is very cumbersome because a chemical must be injected into the water each time steriliz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new compound which may be harmful to living organisms may be generated by reacting with other chemicals, organic substances, etc., which are already included in water or may be included la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feel olfactory discomfort due to the smell caused by the chemical.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살균 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을 종래에 비하여 절감할 수 있고, 살균 소독 과정을 종래에 비해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생물에 유해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이 생성되는 현상과 사용자가 후각적 불쾌감을 느끼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steriliza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d to simplify the sterilization proces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here is a new compound that can be harmful to organis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rilizer with an ultrasonic generator capable of blocking the generated phenomenon and the phenomenon that the user feels olfactory discomfor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살균 소독 모듈을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살균 소독 모듈은, 외부로부터 소독 대상인 물을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된 물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이 소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발생장치; 상기 수조로부터 소독이 완료된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부;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부의 하부와 그 이외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경사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는 상기 수조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유출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rilizer with a ultrasonic generator comprising at least one sterilization module. At this time,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the inlet receiving the water to be sterilized from the outside; A water tank receiving the water from the inlet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At least one ultrasonic wave generato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ank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so that water moving inside the tank can be disinfected; Outflow part for receiving the disinfected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outflow to the outside; And an inclined plate positioned inside the tank to partially block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and other portions thereof.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moving in the water tank can be maintained at the full water level, the inclined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outlet.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 소독 시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첫째, 살균 소독에 소요되는 비용을 종래에 비하여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살균 소독 과정을 종래에 비해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셋째, 생물에 유해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이 생성되는 현상과 사용자가 후각적 불쾌감을 느끼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no chemicals are used dur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firstly, the cost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can be reduced, and secondly, the process of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can be simplifi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lock the phenomena of new compounds that can be harmful and the phenomenon that the user feels olfactory discomfor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경사판, 제2경사판, 격벽 등과 같은 구성이 포함되기 때문에 물을 더욱 확실하게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nfiguration such as a first inclined plate, a second inclined plate, a partition wall, and the like is included, an effect of more reliably disinfecting water occu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erilizer with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 of FIG. 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terilizer having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erilizer with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and FIG. 3 is B-B ′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 of FIG. 2.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는 적어도 하나의 살균 소독 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 소독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10)와, 수조(130)와, 복수개의 초음파 발생장치(150)와, 유출부(170)를 포함한다.The sterilizing sterilizer having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sterilizing sterilization module 100, and the sterilizing sterilizing module 100 includes an inlet 110 and a water tank as shown in FIG. 1. 130, a plurality of ultrasonic wave generators 150, and an outlet 170.

상기 유입부(110)는 상기 수조(13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조(130)의 상부로 돌출된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면에 연결된 유입배관(114)을 포함한다. 상기 유입배관(114)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독 대상인 물을 상기 하우징(112)으로 공급하고, 상기 하우징(112)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수조(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The inlet 110 includes a housing 11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30 and an inflow pipe 11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2. The inlet pipe 114 supplies water to be disinfected from the outside to the housing 112, and the water supplied to the housing 112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130.

상기 수조(130)는 상기 하우징(112)으로부터 공급된 물의 이동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하우징(112)으로부터 공급된 물은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서 도 2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한다.The water tank 130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using 112. That i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housing 112 moves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FIG. 2 inside the water tank 130.

상기 수조(13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초음파 발생장치(150)가 부착된다.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가 작동하면 상기 수조(130)의 상면이 진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수조(130)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에 공동현상(캐비테이션)에 의한 미세기포가 발생한다. 상기 공동현상에 의해 발생한 미세기포는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서 이동중인 물에 포함된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한다.A plurality of ultrasonic wave generators 150 ar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130.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50 is operate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vibrates, and thus microbubbles are generated in the water moving inside the water tank 130 by cavitation (cavitation). The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cavitation remove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moving water in the tank 130.

한편,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초음파 발생장치(150)가 6개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의 개수는 상기 수조(130)의 길이에 따라 이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수조(130)의 상하면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FIGS. 1 and 2, six ultrasonic generators 150 are formed, but the number of the ultrasonic generators 150 may be form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ater tank 130. In addition,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may be attach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ank 130, unlike shown in FIG.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는 상기 수조(130)로 물이 공급될 경우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는 상기 유입배관(114) 내부에 장착된 유속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이루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속감지센서(미도시)는 이와 상이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ultrasonic generator 150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s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user may operate or stop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50 by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Alternatively,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50 may be provided to automatically operat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130. In this case,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5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receiving a signal from a flow rate sensor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inflow pipe 114. However, the flow rate sensor (not shown) can of course be mounted at a different position.

상기 유출부(170)는 상기 수조(130)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조(130)의 상부로 돌출된 하우징(172)과 상기 하우징(172)의 일측면에 연결된 유출배관(17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72)은 상기 수조(130)로부터 소독이 완료된 물을 공급받고, 상기 유출배관(174)은 상기 하우징(172)으로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The outlet 170 includes a housing 172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13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ank 130 and an outlet pipe 174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72. The housing 172 receives the disinfected water from the water tank 130, and the outlet pipe 174 discharges the water supplied to the housing 172 to the outsid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가 작동하면 상기 수조(130)의 상면 또는 상하면이 진동하고 이로 인해 상기 수조(130)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에 공동현상에 의한 미세기포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수조(130)의 상면과 상기 물이 접촉하고 있지 않다면, 즉 상기 수조(130)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만수위가 아니라면 상기 수조(130)의 상면 또는 상하면이 진동하더라도 상기 물에는 미세기포가 발생하지 않거나 충분한 양의 미세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유입부(110)와 유출부(170)를 상기 수조(130)의 상면에 형성할 경우, 상기 수조(130)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의 수위가 항상 만수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50 operates,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vibrates, and thus microbubbles are generated in the water moving inside the water tank 130. Therefore, i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and the water is not in contact, that is, if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130 is not the full water level, even if the upper surface 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ater tank 130, the microbubble in the water It will not occur or a sufficient amount of microbubbles will not occur. When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7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because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moving inside the water tank 130 can be always maintained at the full water level. Can be.

한편, 상기 살균 소독 모듈(100)은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부(110)의 하부와 그 이외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제1경사판(13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경사판(1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판(132)의 하단과 상기 수조(130)의 하면 사이, 상기 제1경사판(132)의 양단과 상기 수조(130)의 측면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133)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공급된 물의 이동방향은 상기 제1경사판(132)에 의해 변경되고, 상기 물은 상기 갭(133)을 통해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의 하부 방향으로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100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first inclined plate 132 positioned inside the water tank 130 to partially block the lower part of the inlet 110 and other portions thereof. Do. At this time, the first inclined plate 132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inlet 11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gap 133 is shown between a lower end of the first inclined plate 132 and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inclined plate 132 and a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 Is forme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110 is changed by the first inclined plate 132, and the water moves downwardly through the gap 133.

상기 제1경사판(132)은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충격을 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저하시킨다. 상기 물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기 유입부(11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물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되고 상기 물의 유속이 저하될 경우 공동현상에 의한 미세기포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살균 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경사판(132)과 상기 수조(130)의 상면이 이루는 예각(a)은 45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inclined plate 132 not only impacts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110, but also lowers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110.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water, bubbles included i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110 may be removed. When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are removed and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is lowered, more micro bubbles are generated by the cavitation, thereby improving sterilization efficiency. In order to optimally perform such a function, an acute angle (a)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plate 13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is preferably formed at 45 degrees.

또한, 상기 살균 소독 모듈(100)은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부(170)의 하부와 그 이외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제2경사판(13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경사판(134)은 상기 유출부(17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사판(134)의 하단과 상기 수조(130)의 하면 사이, 상기 제2경사판(134)의 양단과 상기 수조(130)의 측면 사이에는 상기 제1경사판(13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갭이 형성된다. 소독이 완료된 물은 상기 갭을 통해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의 하부로부터 상기 유출부(170)의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제2경사판(134)은 물이 상기 수조(13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경사판(134)은 상기 물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제2경사판(134)이 이와 같은 기능을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경사판(134)과 상기 수조(130)의 상면이 이루는 예각(b)은 45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clined plate 134 positioned inside the water tank 130 to partially block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170 and other portions thereof. Do. In this case,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outlet 170. And, as described in the first inclined plate 132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and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The same gap is formed. After disinfection, the water mov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170 through the gap.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serves to increase the time the water stays in the water tank 130, in which c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water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smoothly moves the water. An acute angle b formed between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may be formed at 45 degrees so that the second inclined plate 134 performs such a function optimally.

또한, 상기 살균 소독 모듈(100)은 상기 수조(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위를 복수개의 구획(140)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36)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136)은 상기 수조(130)의 상면과 수직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140)이 부분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격벽(136)의 하단과 상기 수조(130)의 하면 사이, 상기 격벽(136)의 양측단과 상기 수조(130)의 측면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137)이 형성된다. 상기 갭(137)은 어느 한 구획(140)으로부터 이에 이웃하는 구획(140)으로 물이 이동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상기 복수개의 격벽(136)은 이동중인 물이 상기 수조(13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물의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100 is located inside the water tank 130 and at least one partition wall 136 for dividing a portion located below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14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partition 136 is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In addi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136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between both side ends of the partition wall 136 and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tank 130 so that the plurality of compartments 140 may be partially blocked. As shown in FIG. 4, a gap 137 is formed. The gap 137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water moves from one compartment 140 to the neighboring compartment 140.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36 increases the time the moving water stays in the water tank 130. In this case,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of the water may be improved.

여기서, 상기 격벽(136)에는 상기 복수개의 구획(140) 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138)이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갭(137) 뿐만 아니라 상기 홀(138)을 통해서도 물이 어느 한 구획(140)으로부터 이에 이웃하는 구획(140)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홀(138)의 개수 및 크기는 상기 물이 상기 구획(140)에 머무는 시간과 상기 물의 이동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격벽(13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30)의 상면 부위 중 상기 복수개의 초음파 발생장치(150)들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공동현상에 의한 미세기포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He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hole 138 is formed in the partition 136 to communicate betwee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40. In this case, since the water may move from one compartment 140 to the neighboring section 140 through the hole 138 as well as the gap 137,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water may be increased. The number and size of the holes 138 ar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he water stays in the compartment 140 an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water.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artitions 136 are formed to exten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 portion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ultrasonic generators 150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tank 130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be.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amount of microbubbles generated by the cavitation is increased.

또한,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가 복수개의 살균 소독 모듈(100)을 포함할 경우, 상기 복수개의 살균 소돌 모듈(100)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살균 소독이 계속하여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소독이 더욱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초음파 발생장치(150)는 살균 소독 모듈(100)이 직렬로 연결되어 형성된 열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열은 병렬로 나열된다. 이와 같은 경우, 더욱 많은 양의 물의 소독을 더욱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ltrasonic wave generator 150 includes a plurality of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s 100, the plurality of sterilization sorrel modules 1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In such a case, disinfection of the water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since the disinfection can be continued. On the other hand, the ultrasonic generator 1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formed by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100 is connected in series.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lumn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such cases, disinfection of larger amounts of water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100 : 살균 소독 모듈 110 : 유입부
130 : 수조 150 : 초음파 발생장치
170 : 유출부 132 : 제1경사판
134 : 제2경사판 136 : 격벽
100: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110: inlet
130: water tank 150: ultrasonic generator
170: outlet portion 132: first inclined plate
134: second inclined plate 136: partition wall

Claims (1)

적어도 하나의 살균 소독 모듈을 포함하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로서,
상기 살균 소독 모듈은,
외부로부터 소독 대상인 물을 유입받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유입부로부터 공급된 물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이 소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발생장치;
상기 수조로부터 소독이 완료된 물을 공급받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부; 및
상기 수조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출부의 하부와 그 이외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경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유출부는 상기 수조 내부에서 이동하는 물의 수위가 만수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은 상기 유출부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발생장치를 구비한 살균 소독기.
A sterilization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generator including at least one sterilization module,
The sterilization disinfection module,
An inlet receiving water to be sterilized from the outside;
A water tank receiving the water from the inlet and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inlet;
At least one ultrasonic wave generator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ank to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so that water moving inside the tank can be disinfected;
Outflow part for receiving the disinfected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outflow to the outside; And
And an inclined plate positioned inside the tank to partially block a lower portion of the outlet and other portions thereof.
The inlet and the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moving in the tank can be maintained at the full water level, the inclined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outlet Equipped with sterilizer.
KR1020110037655A 2011-04-22 2011-04-22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KR1010580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55A KR101058083B1 (en) 2011-04-22 2011-04-22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655A KR101058083B1 (en) 2011-04-22 2011-04-22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3730A Division KR101058085B1 (en) 2008-10-22 2008-10-22 Sterilizer with Ultrasonic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524A KR20110061524A (en) 2011-06-09
KR101058083B1 true KR101058083B1 (en) 2011-08-24

Family

ID=4439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655A KR101058083B1 (en) 2011-04-22 2011-04-22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0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15Y1 (en) 2005-04-26 2005-07-28 (주)로터스엔지니어링 Water soluble cutting oils disinfec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15Y1 (en) 2005-04-26 2005-07-28 (주)로터스엔지니어링 Water soluble cutting oils disinfec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524A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1637B2 (en) Oral cleaning device
AU2018369575B2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131486B1 (en)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JP2008237996A (en) Fine air bubble producer, and washing device, showering device, and fish preserve using the same
KR101058083B1 (en) Disinfecting device with ultrasonic wave vibrator
JP6897927B2 (en) Washing machine
KR101058085B1 (en) Sterilizer with Ultrasonic Generator
KR101652976B1 (en) water purifier system
WO2018139551A1 (en) Drinking water generator
CN212504376U (en) Circulating sterilizing and filtering system for bathtub
KR101289909B1 (en) A water-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live fish aquarium
KR20120108585A (en) Purification system of seawater for cistern
JP5648867B2 (en) Sterilized water generating cartridge with one-way water inlet / outlet
KR20110099978A (en) Sterilization apparatus of whirlpool bath
JP2009022864A (en) Waste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KR101833105B1 (en) 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KR20060102455A (en) Ultrasonic cleaning ion water apparatur for generating
KR101183877B1 (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using bubble
KR200431050Y1 (en) The waste water purifying apparatus of an aquarium
JP3752643B2 (en) Waste water and circulating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KR20150099357A (en) Drain cover of sink-bowl with a disinfectant
US201800786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in Cleaning and Sterilizing
JP2007319801A (en) Washing method of circulating water-purifying system, and circulating water-purifying system
JP2015119883A (en) Air purifying machine
KR200366612Y1 (en) Odor treating system for sink garb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