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034B1 -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034B1
KR101058034B1 KR1020050039113A KR20050039113A KR101058034B1 KR 101058034 B1 KR101058034 B1 KR 101058034B1 KR 1020050039113 A KR1020050039113 A KR 1020050039113A KR 20050039113 A KR20050039113 A KR 20050039113A KR 101058034 B1 KR101058034 B1 KR 101058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pening
electronic device
compartment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91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6621A (en
Inventor
배성철
김상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9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34B1/en
Publication of KR2006011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이며, 배터리 수납부는 개구를 통하여 배터리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전방부; 배터리가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 및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을 구비한 후방부;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상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를 구비하고, 개구가 개폐되도록 개구의 측방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배터리 수납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 및 개구의 하단 모서리에서 손가락이 들어가 삽입된 배터리의 하단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를 회피하여 형성된 도피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a battery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which is powered by a battery, and the battery receiving portion is opened to insert the battery through the opening. Anterior; A rear part having a conductive terminal contacting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a first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A battery cover having a wedge protruding side by side at an upper edge of a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the battery cover being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 locking protrusion provided at a lower edge of the front par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interfering with discharge of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an evacuation groove formed to avoid a locking projection so that a finger enters the bottom edge of the battery and tou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ed battery.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배터리 고정부재 없이도 안정적인 배터리 수납이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toring a battery without a separate battery fixing member.

Description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attery room}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attery compartment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수납구조를 나타낸다.1A and 1B show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of a digital camera using a conventional battery.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camera as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커버(102)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200) 삽입한 직후의 A-A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A immediately after the battery 200 is inserted while the battery cover 102 of FIG. 2 is open.

도 4는 도 2의 배터리(200)가 삽입되고 배터리 커버(102)가 닫힌 상태에서의 A-A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with the battery 200 of FIG. 2 inserted and the battery cover 102 closed.

도 5는 도 2의 배터리(200)를 배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B-B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battery 200 of FIG. 2.

도 6은 도 2의 배터리(2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배터리 수납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A-A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another embodiment of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in a state where the battery 200 of FIG. 2 is inserted.

도 7은 도 2의 배터리 수납구조의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of FIG. 2.

도 8은 도 7의 배터리 수납구조에 배터리 커버가 부착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ttached to the battery receiving structure of FIG.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납부의 정면도이다.9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배터리 수납부의 C-C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battery compartment of FIG. 9.

도 11은 도 8의 배터리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cover of FIG. 8. FIG.

도 12는 도 11의 배터리 커버가 전자기기 본체에서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FIG. 12 illustrates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battery cover of FIG. 11.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를 삽입한 직후의 C-C 단면도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mmediately after the battery is inserted while the battery cover of FIG. 13 is open.

도 15는 도 14에서 배터리 커버가 닫힌 후의 상태의 C-C 단면도이다.FIG. 1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14 after the battery cover is closed.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서 배터리 배출을 위한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a lever for discharging a battery in FIGS. 14 and 15.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하고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operated by a battery.

도 1a는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수납구조를 나타낸다.1A shows a battery hous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igital camera.

도 1a의 디지털 카메라는 배터리(4)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1) 및 본체(1) 일측면에 형성된 전지실(3)에 배터리가 삽입되고 커버(2)가 닫히는 배터리 수납 구조를 갖는다. 전지실(3)의 아래에 메모리카드(6)가 삽입되는 슬롯(5)이 구 비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에 형성된 커버결합 안내홈(8)이 본체에 형성된 커버결합돌기(9)에 슬라이딩하면서 끼워맞추어지거나 이탈되면서 커버(2)가 전지실(3)을 개폐하게 된다.The digital camera of FIG. 1A has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is inserted into a battery chamber 3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 and a cover 2 which is powered by the battery 4 and the cover 2 is closed. . Under the battery chamber 3, there is a slot 5 into which the memory card 6 is inserted. The cover 2 opens and closes the battery chamber 3 as the cover coupling guide groove 8 formed on the cover 2 is fitted or detached while sliding to the cover coupling protrusion 9 formed on the main body.

도 1b는 커버(2)가 본체(1)에서 개폐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가 커버(2)를 아랫쪽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서 연다. 그리고 배터리(4)를 삽입하고 고정부재(7)를 잠금상태로 밀어올려 삽입된 배터리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커버(2)를 위쪽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서 닫는다.1B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2 in the main body 1 continuously. First, the user opens the cover 2 while push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wn arrow. Then, the battery 4 is inserted and the fixing member 7 is pushed up to the locked state to prevent the inserted battery from being discharged. Then, the cover 2 is closed while pushing in the direction of the up arrow.

종래의 배터리 수납구조는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2)를 열면 내부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배터리 배출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배터리(4)가 의도하지 않게 튀어 나오게 된다. 이 때문에 배터리가 파손되거나 분실될 염려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when the user opens the battery cover 2, a force is applied in a battery discharge direction by a spring (not shown) inside, such that the battery 4 unintentionally pops out. As a result, the battery may be damaged or lost.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1a, 도 1b의 디지털 카메라에는 별도의 배터리 고정부재(7)가 구비된다. 전지실(3)에 배터리(4) 삽입후 배터리 고정부재(7)를 잠금상태로 밀어 놓으며, 내부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배터리(4)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배터리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 고정부재(7)를 해제상태로 놓으면 내부 스프링의 힘에 의해 배터리가 배출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digital camera of FIGS. 1A and 1B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attery fixing member 7. After the battery 4 is inserted into the battery chamber 3, the battery fixing member 7 is pushed in a locked state, and the battery 4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by the force of the inner spring. When the fixing member 7 is released in a case where the battery is to be taken out, the battery is discharged by the force of the inner spring.

이러한 배터리 고정부재(7)를 갖는 종래의 배터리 수납구조에서는 고정부재(7)가 차지하는 부피 및 그 설치공간에 의해 배터리 커버(2)가 높아지고 디지털 카메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having the battery fixing member 7,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cover 2 becomes high and the digital camera becomes large due to the volume occupied by the fixing member 7 and its installation spa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배터리 고정부재 없이도 안 정적인 배터리 수납이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oring a stable battery without a separate battery fixing member.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전자기기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이며,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battery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powered by the battery,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전방부, 후방부, 수평한 후방 상부, 상기 후방 상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상부, 수평한 전방 하부, 상기 전방 하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후방 하부를 구비하고,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s a front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 rear portion, a horizontal rear upper portion, a front upper portion incli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rear upper portion, a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and a rearward inclined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in relation to the front lower portion. With a lower part,

상기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된 도전성 단자;A conductive terminal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and made of an elastic member which contacts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구의 측방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및A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projection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in a state that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compart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ompartment; do.

상기 후방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이 상기 도전성 단자를 회피하여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par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to avoid the conductive terminal.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상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may further include a wedge protruding parallel to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수평한 전방 하부의 내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방 하부판; 및 상기 후방 하부와 상기 후방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방 하부판에 상기 후방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rear lower plate coupled to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low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rear upper direction to the rear lower plate.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개구의 하단 모서리에서 손가락이 들어가 상기 삽입된 배터리의 하단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회피하여 형성된 도피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scape groove formed by avoiding the locking protrusion so that a finger enters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to tou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ed battery.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메모리 슬롯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slot spaced downwar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전자기기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이며,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battery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a main body and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which is powered by a battery,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전방부, 후방부, 수평한 후방 상부, 상기 후방 상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상부, 수평한 전방 하부, 상기 전방 하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후방 하부를 구비하고,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s a front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 rear portion, a horizontal rear upper portion, a front upper portion incli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rear upper portion, a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and a rearward inclined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in relation to the front lower portion. With a lower part,

상기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A conductive terminal provided in the rear part to contact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후방부에 상기 도전성 단자를 회피하여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A first spring provided in the rear part to avoid the conductive terminal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구의 측방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및A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projection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in a state that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compart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ompartment; do.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상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may further include a wedge protruding parallel to the upp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수평한 전방 하부의 내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방 하부판; 및 상기 후방 하부와 상기 후방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방 하부판에 상기 후방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rear lower plate coupled to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to be rotatable; 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low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rear upper direction to the rear lower plate.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개구의 하단 모서리에서 손가락이 들어가 상기 삽입된 배터리의 하단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회피하여 형성된 도피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scape groove formed by avoiding the locking protrusion so that a finger enters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to tou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ed battery.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메모리 슬롯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slot spaced downwar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전자기기는, 직사각형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직사각형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이며,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receiv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battery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main body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powered by a rectangular battery. Device,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전방부, 후방부, 수평한 전방 우측부, 상기 전방 우측부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후방 우측부, 수평한 후방 좌측부, 상기 후방 좌측부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좌측부를 구비하고,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 rear portion, a horizontal front right portion, a rear right portion inclined a predetermined angle in a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right portion, a horizontal rear left portion, and a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left portion. It has a front left sid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A conductive terminal provided in the rear part to contact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구의 전방부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및A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좌측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좌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provided at the left end corner of the fro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in the state that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compartment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battery compartment It features.

상기 도전성 단자는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ductive terminal may be provided as a conductive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상기 후방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상기 도전성 단자를 회피하여 더 구비될 수 있다.The rear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to avoid the conductive terminal.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우측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battery cover may further include a wedge formed to protrude in parallel to the right end corn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걸림돌기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 좌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에 미는 힘을 가하는 레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ev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at a left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and applies a force pushing the battery through a left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The most bas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종래의 배터리 수납부가 배터리의 형상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배터리 수납부의 내부는 배터리가 삽입/배출될 때 경사져서 삽입/배출되도록 도 3과 같이 소정 각도(θ)의 경사면이 구비된다는 점이다.First,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part can accommodate the shape of the battery as it is, while the interior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ined when the battery is inserted / exposed so as to be inserted / ej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θ). )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둘째, 배터리가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배터리 수납부에는 배터리의 배출을 방지하는 걸림돌기(도 2의 107)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이 걸림돌기는 종래의 배터리 수납부에서 고정부재(도 1a,b의 7)와 같은 역할을 하면서도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다.Second, the battery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107 in FIG. 2) to prevent discharge of the battery. This locking projection plays the same role as the fixing member (7 in FIGS. 1A and 1B) in the conventional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but does not occupy a separate spac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camera as one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배터리(20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본체(100)와 배터리 커버(102), 본체(100)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105)를 통하여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구조를 갖는다. 도 2는 배터리 커버(102)가 열린 상태이다.The electronic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105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battery cover 102, and the main body 100 that are operated by being supplied with power by the battery 200. Has 2 shows the battery cover 102 being opened.

배터리(200)에는 극성에 따라 접촉 전극(201)이 노출되어 있다.The contact electrode 201 is exposed to the battery 200 according to the polarity.

본 발명의 배터리 수납부의 내부는 수평한 후방 상부(도 3의 114), 후방 상부(114)에 대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θ) 경사진 전방 상부(도 3의 106), 수평한 전방 하부(도 3의 109), 전방 하부(109)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각도(θ) 경사진 후방 하부(1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는 배터리가 삽입/배출될 때 경사져서 삽입/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interior of the battery compar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rizontal rear upper portion (114 in FIG. 3), a front upper portion (106 in FIG. 3) incli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rear upper portion 114 (106 in FIG. 3), and a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 3, the rear lower part 110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ront lower part 109. This is to allow the battery to be inserted / ejected at an angle when the battery is inserted / ejected.

배터리 커버(102)는 개폐기구(101, 103)와 웨지(104)를 구비하고, 힌지(103)에 의해 본체(100)의 측방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개구(105)를 개폐한다. 배터리 커버(102)의 개폐 기구(101, 103)에 대하여는 도 11 및 도 12에서 예시한다.The battery cover 102 includes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s 101 and 103 and a wedge 104, a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0 by a hinge 103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05.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s 101 and 103 of the battery cover 102 are illustrated in FIGS. 11 and 12.

여기서 배터리 커버(102)에 구비된 웨지(104)는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며,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웨지(104)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개구(105)를 통하여 배터리를 비스듬하게 삽입한 후에 배터리를 아래로 눌러서 수평한 상태로 걸림돌기(107)에 걸리도록 한다. 웨지(104)가 더 구비되면 커버(102)가 닫힐 때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을 대신하여 주므로 더욱 편리한다. Here, the wedge 104 provided in the battery cover 102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and may be optionally further provided. In the case where the wedge 104 is not provided, the user inserts the battery at an angle through the opening 105 and then presses the battery downward so as to be caught by the protrusion 107 in a horizontal state. If the wedge 104 is further provided, it is more convenient because it replaces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cover 102 is closed.

만일 배터리 커버(102)가 닫힌 상태에서 내부적으로 배터리(200)가 이탈하게 되면 배터리 전극(201)과 수납부 전극(112)이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전자기기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배터리 커버(102)가 닫힌 상태(도 4 참조)에서 웨지(104)는 배터리(200)와 전방 상부(106)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된 형태가 되어, 배터리(2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웨지(104)는 사용자가 전자기기(100)를 사용중에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가하였을 때 배터리(200)가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하여 도 3과 같이 걸림돌기(107)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If the battery 200 is internally detached while the battery cover 102 is closed, a poor contact between the battery electrode 201 and the accommodating electrode 112 may occur, causing an electronic device to malfun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102 is closed (see FIG. 4), the wedge 104 becomes an interference fit between the battery 200 and the front upper portion 106, and serves to fix the battery 200. Therefore, the wedge 104 prevents the battery 200 from being rot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part to be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07 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drops or impacts the electronic device 100 during use. do.

이러한 웨지(104)의 역할을 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 6의 후방 하부판(120)과 제2스프링(121)이며 이에 대하여는 도 6에서 상세히 후술한다.Another embodiment serving as the wedge 104 is the rear lower plate 120 and the second spring 121 of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배터리 커버(102)가 닫힌 상태에서 웨지(104)는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 상부(106)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웨지(104)가 일자(一字)형으로 돌출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자형 이외에도 전방 상부(106) 모서리에 나란하게 2 이상의 엠보싱 형태로 돌출된 웨지로서 도 3의 단면도와 같이 전방 상부(106)와 삽입된 배터리 상면 사이에 삽입되어 배터리에 하방의 힘을 가하도록 구비되면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cover 102 is closed, the wedge 104 is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at the edge of the front upper portion 106 of the battery compartment. In the figure, the wedge 104 is illustrated as protruding in a linear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the straight shape, the wedge protrudes in the form of two or more embossed side by side edges of the front top 106, and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top 106 and the inserted battery upper surfac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do.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105)에는 배터리가 출입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돌기(107) 및 걸림돌기를 회피하여 도피홈(108)이 형성되어 있다. 도피홈(108)은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며,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도피홈(108)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노출된 개구(105)를 통하여 배터리(200) 자체를 밀거나 당겨서 걸림돌기(107)로부터 배터리(200)를 이격시켜 배출할 수 있다. 도피홈(108)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피홈(108)에 손가락을 넣고 배터리(200)를 하단부를 터치하여 걸림돌기(107)에 걸려있는 배터리를 손쉽게 배출할 수 있다.An opening through which the battery enters and exits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05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escape groove 108 is formed to avoid the locking protrusion 107 and the locking protrusion. The escape groove 108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and may be optionally further provided. When the escape groove 108 is not provided, the user may push the battery 200 itself through the exposed opening 105 to pull the battery 200 apart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07. When the evacuation groove 108 is further provided, the user can easily discharge the battery caught in the locking projection 107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escape groove 108 and touching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200.

배터리 수납부의 후방부(111)에는 배터리 전극(201)이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112)가 구비된다. 여기서 도전성 단자(112)는 탄성력이 없이 삽입된 배터리(200)의 전극(201)과 압착되어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단자(112)는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도전성 탄성부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도전성 단자(112)가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경우에 제1스프링(113)은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다. 이 경우에 제1스프링(113)이 더 구비되면 탄성력을 가진 도전성 단자(112)와 더불어 배터리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rear portion 111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terminal 112 to which the battery electrode 201 is in contact. The conductive terminal 112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201 of the battery 200 inserted without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 conductive terminal 112 may be provided as a conductive elastic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When the conductive terminal 11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the first spring 113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n this case, when the first spring 113 is further provided,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may be further facilitated together with the conductive terminal 112 having the elastic force.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커버(102)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200) 삽입한 직후의 A-A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A-A immediately after the battery 200 is inserted while the battery cover 102 of FIG. 2 is open.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 상부(120)와 후방 상부(114)는 소정각도(θ) 만큼 경사져 있다. 또한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 하부(109)와 후방 하부(110)도 소정각도(θ) 만큼 경사져 있다.The front upper part 120 and the rear upper part 114 of the battery compartment ar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In addition, the front lower portion 109 and the rear lower portion 110 of the battery compartment are also inclined by a predetermined angle θ.

배터리(200)가 삽입될 때는 전방 상부(106)과 후방 하부(11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들어가서 후방부(111)의 제1스프링(113)에 접촉하게 된다.When the battery 200 is inserted, the battery 200 slides along the front upper part 106 and the rear lower part 11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pring 113 of the rear part 111.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 하단 모서리에는 걸림돌기(107)가 구비된다. 걸림돌기(107)는 삽입된 배터리(200)가 전방 하부(109)에 밀착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 locking protrusion 107 is provided at the front lower edge of the battery compartment. The locking protrusion 107 prevents the inserted battery 200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ed battery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portion 109.

도 4는 도 2의 배터리(200)가 삽입되고 배터리 커버(102)가 닫힌 상태에서의 A-A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A-A with the battery 200 of FIG. 2 inserted and the battery cover 102 closed.

배터리(200)가 삽입되고 배터리 커버(102)가 닫히면, 웨지(104)가 전방 상부(106)와 배터리(200)의 상면 사이에 삽입되어 배터리(200)에 하방으로 힘을 가하여, 배터리(200)의 하면이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 하부(109)에 밀착되게 된다. 삽입되어 전방 하부(109)에 밀착된 배터리(200)는 걸림돌기(107)에 의해 지지된다. 삽입된 배터리(200)가 제1스프링(113)의 힘에 의해 배출되는 것이 걸림돌기(107)에 의해 방지된다. 배터리 커버(102)가 닫힌 상태에서는 웨지(104)가 배터리(200)와 전방 상부(106)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된 형태가 되어, 배터리(200)를 전방 하부(109)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자기기(100)를 떨어뜨리거나 충격을 가하였을 때 배터리(200)가 수납부 내부에서 회전하여 도 3과 같이 걸림돌기(107)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내부적으로 배터리(200)가 이탈하게 되면 배터리 전극(201)과 수납부 전극(도 2의 112)이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전자기기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When the battery 200 is inserted and the battery cover 102 is closed, the wedge 104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upper portion 10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200 to apply a downward force to the battery 200, thereby providing a battery 200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portion 109 of the battery compartment. The battery 200 inserted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portion 109 is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07. Discharge of the inserted battery 200 by the force of the first spring 113 is prevented by the locking projection 107. In the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102 is closed, the wedge 104 becomes a press fit between the battery 200 and the front upper portion 106, and serves to keep the battery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portion 109. . Therefore, when the user drops or impacts the electronic device 100, the battery 2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07 as shown in FIG. 3. If the battery 200 is internally separated, the battery electrode 201 and the storage electrode (112 of FIG. 2) may have poor contact, which may cause the electronic device to malfunction.

도 5는 도 2의 배터리(200)의 배출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B-B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for explaining a discharge operation of the battery 200 of FIG. 2.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102)를 열면 웨지(104)가 해제된다. 사용자가 도피홈(108)에 손가락을 넣고 배터리(200)를 터치하여 수납부 전방 상부(106)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배터리가 소정각도(θ) 회전하면서 튀어 오르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도 3의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200)가 제1스프링(113)의 힘에 의해 배출된다.The wedge 104 is released when the user opens the battery cover 102. When a user inserts a finger into the escape groove 108 and touches the battery 200 to apply a force toward the upper portion 106 of the storage unit, the battery springs out while rotating a predetermined angle θ. Finally, since the state becomes the same as that of FIG. 3, the battery 200 is discharged by the force of the first spring 113.

도 6은 도 2의 배터리(2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배터리 수납구조의 다른 실시예의 A-A 단면도로서, 수평한 후방 상부(114), 후방 상부(114)에 대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θ) 경사진 전방 상부(106), 수평한 전방 하부(109), 전방 하부(109)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각도(θ) 경사진 후방 하부(110)를 구비한다.FIG. 6 is an A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200 of FIG. 2 is inserted, and has a predetermined angle θ upwar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rear top 114 and the rear top 114. And a rear lower portion 110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c front upper portion 106, the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109, and the front lower portion 109.

후방부(111)에는 배터리(200)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미도시)와 배터리(200)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113)이 구비된다.The rear portion 111 is provided with a conductive terminal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200 and the first spring 113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200.

후방 하부판(120)은 수평한 전방 하부(109)의 내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 합된다. 제2스프링(121)은 후방 하부(110)와 후방 하부판(120) 사이에 개재되어, 후방 하부판(120)에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The rear lower plate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end of the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109. The second spring 121 is interposed between the rear lower plate 110 and the rear lower plate 12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ear lower plate 120 in an upward direction.

여기서 후방 하부판(120) 및 제2스프링(121)의 조합은 삽입된 배터리(200)를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θ) 회전시켜서 전방 하부(109)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후방 하부판(120) 및 제2스프링(121)의 조합은 배터리(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 4의 웨지(104)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후방 하부판(120) 및 제2스프링(121)의 조합은 사용자의 배터리(200) 삽입 동작을 편리하게 해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배터리(200)가 내부적으로 걸림돌기(107)를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combination of the rear lower plate 120 and the second spring 121 serves to closely contact the front lower portion 109 by rotating the inserted battery 200 by a predetermined angle θ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rear lower plate 120 and the second spring 121 serves as the wedge 104 of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battery 200 is inserted. That is, the combination of the rear lower plate 120 and the second spring 121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battery 200 by the user, and causes the battery 200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107 internally by an external shock. Prevent it.

삽입된 배터리(200)가 후방 하부판(120)과 제2스프링(121)에 의해 전방 하부(109)에 밀착되면, 걸림돌기(107)에 의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inserted battery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portion 109 by the rear lower plate 120 and the second spring 121, it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07.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의 실시예에서도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피홈(108)이 걸림돌기(107)를 회피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의 배터리(200)를 배출하려고 할 때 손가락이 들어가 삽입된 배터리의 하단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escape groove 108 as shown in FIGS. 2 and 5 is formed by avoiding the locking protrusion 107 to attempt to discharge the user's battery 200. Allow your fingers to touch the bottom of the inserted battery.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커버(102)는 단지 배터리 수납부의 개구(105)를 개폐하는 기능만을 하게 된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의 실시예의 경우에도 부가적으로 도 2의 웨지(104)가 더 구비되어, 후방 하부판(120)과 더불어 삽입된 배터리(200)를 전방 하부(109)에 더욱 밀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attery cover 102 in the embodiment of FIG. 6 only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105 of the battery compartment. More preferably,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6, the wedge 104 of FIG. 2 is additionally further provided to further close the inserted battery 200 together with the rear lower plate 120 to the front lower portion 109. You can do that.

도 7은 도 2의 배터리 수납구조의 정면도로서, 주요 구성요소인 전방 상부(106), 전방 하부(109), 개구부 전방 하단 중앙부에 도피홈(108), 도피홈(108) 양측으로 걸림 돌기(107),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112), 배터리 배출 방향의 탄성력을 작용하는 제1스프링(113), A-A 단면방향, B-B 단면방향이 보인다.FIG. 7 is a front view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structure of FIG. 2, wherein the main components, the front upper part 106, the front lower part 109, and the escape grooves 108 and the escape grooves 108 at both sides of the front lower end portion of the opening, 107), the conductive terminal 112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the first spring 113 to act the elastic force of the battery discharge direction, AA cross-sectional direction, BB cross-sectional direction is shown.

도 8은 도 7의 배터리 수납구조에 배터리 커버가 부착된 도면이다. 배터리 커버는 몰드 성형된 배터리 커버 본체(102), 웨지(104), 프레스 성형된 개폐기구(101, 103)를 구비한다. 웨지(104)는 배터리 커버(102)가 닫히면 배터리 수납구조의 전방 상부(106)와 배터리 상면 사이(104')에 삽입되게 된다.8 is a view showing a battery cover attached to the battery receiving structure of FIG. The battery cover includes a molded battery cover body 102, a wedge 104, and press-forme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s 101 and 103. The wedge 104 is inserted between the front top 106 of the battery compartment and the battery top surface 104 ′ when the battery cover 102 is closed.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 한 전자기기의 배터리 수납부의 정면도이다. 도 9의 실시예에는 메모리 슬롯(130)이 더 구비되어 있다. 메모리 슬롯(130) 양측단부에 2개의 걸림돌기(131)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피홈(132)은 걸림돌기(131)와 메모리 슬롯(130)을 회피하여 배터리 수납부의 우측 하단부에 형성된다.9 is a front view of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of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 battery accommodating par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further includes a memory slot 130. Two locking protrusions 13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emory slot 130. In addition, the escape groove 132 is formed in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to avoid the locking protrusion 131 and the memory slot 130.

도 10은 도 9의 배터리 수납부의 C-C 단면도이다. 도 10의 상태는 배터리 커버(미도시)가 열린 상태이지만, 사용자가 도피홈(132)을 통하여 손가락으로 배터리(200)를 밀어내지 않은 상태이다. 배터리(200)가 도전성 전극(112)에 접촉되고, 걸림돌기(131)에 의해 간섭된 상태에서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 하부(109)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메모리 슬롯(130)이 배터리 수납부 아래에 위치한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battery compartment of FIG. 9. In the state of FIG. 10, the battery cover (not shown) is open, but the user does not push the battery 200 with the finger through the escape groove 132. The battery 200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electrode 112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ower portion 109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in the state of being interfer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31. The memory slot 130 is located under the battery compartment.

도 11은 도 8의 배터리 커버의 분해 사시도로서, 몰드 성형된 배터리 커버 본체(102), 본체에 돌출 형성된 웨지(104), 프레스 성형된 개폐기구(101, 103)를 구비한다. 참조부호 101 부재와 커버 본체(102)는 참조부호 103 부재를 사이에 두고 커버 본체(102)에 형성된 보스에 나사 조립된다. 서브 조립된 배터리 커버는 참조부호 103 부재에 의해 도 2의 디지털 카메라 본체(100)과 힌지 결합된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cover of FIG. 8, which includes a molded battery cover body 102, a wedge 104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press-form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s 101 and 103. The member 101 and the cover body 102 are screwed to a boss formed in the cover body 102 with the member 103 therebetween. The sub assembled battery cover is hinged to the digital camera body 100 of FIG. 2 by a member 103.

참조부호 101 부재에는 닫힌상태 위치 유지홈(H1)과 열린상태 위치 유지홈(H2)이 형성되어 있고, 참조부호 103 부재에는 상기 2개의 홈(H1, H2)에 끼워 맞추어지는 탄성돌기(130)가 성형되어 있다.Reference member 101 has a closed position holding groove (H1) and an open position holding groove (H2) is formed, the reference member 103 is an elastic projection (130) fitted to the two grooves (H1, H2). Is molded.

도 12는 도 11의 배터리 커버가 전자기기 본체에서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FIG. 12 illustrates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battery cover of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03 부재가 본체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 본체(102)와 참조부호 101 부재가 슬라이딩하면, 탄성돌기(130)가 닫힌상태 위치 유지홈(H1)과 열린상태 위치 유지홈(H2)에 끼워 맞추어져서 닫힌상태 또는 열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 본체(102)를 개폐하는 동작은 예컨대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될 수 있다.11 and 12, when the battery cover body 102 and the reference numeral 101 member slide while the reference numeral 103 member is hinged to the main body, the elastic protrusion 130 is in a closed position maintaining groove H1. And fitted in the open position holding groove (H2) to maintain the closed or open state.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battery cover body 102 by the user may be as illustrated in FIG. 1B, for example.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배터리가 삽입되는 개구(304) 및 메모리 슬롯(303)이 형성된 디지털 카메라 본체(300), 배터리 커버(301), 배터리 전극에 접촉하는 도전성 전극(312), 및 걸림돌기(308)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배터리 배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313), 배터리 커버(301)에 형성된 웨지(302), 배터리 배출용 레버(305)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digital camera body 300, a battery cover 301, and a battery in which an opening 304 and a memory slot 303 are inserted are formed. The conductive electrode 312 and the locking protrusion 308 which contact the electrode are essentially provided. In addition, a spring 313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battery discharge direction, a wedge 302 formed on the battery cover 301, and a battery discharge lever 305 may be further provided.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도 2와는 달리 배터리 커버(301)가 전자기기 본체 (300)의 개구(304)의 하방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웨지(302)는 배터리 커버(301)의 측방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 배출용 레버(305)가 추가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3, unlike the FIG. 2, the battery cover 301 is rotatably coupled to one lower end of the opening 304 of the main body 300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wedge 302 protrudes from the side end of the battery cover 301. And a battery discharge lever 305 is added.

도 14는 도 13의 배터리 커버(301)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200) 삽입한 직후의 C-C 단면도이다.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mmediately after the battery 200 is inserted while the battery cover 301 of FIG. 13 is open.

도면에서 전방 좌측부(309)와 후방 우측부(307)는 서로 평행하다. 또한 전방 우측부(309)와 후방 좌측부(310)는 서로 평행하며, 전방 좌측부(309)에 대하여 소정 각도(θ2 ) 만큼 기울어져 있다.In the drawing, the front left portion 309 and the rear right portion 307 are parallel to each other. Further, the front right side portion 309 and the rear left side portion 310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front left side portion 309 by a predetermined angle θ 2 .

배터리 커버(301)가 열린상태에서 배터리(200)를 삽입하면 배터리(200)는 θ2 만큼 기울어져서 걸림돌기(308)를 타고 배터리 수납부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완전히 삽입된 배터리(200)는 θ2 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후방의 스프링(313)에 의해 탄성력을 받으며 도전성 전극(312)에는 아직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When the battery 200 is inserted while the battery cover 301 is open, the battery 200 is inclined by θ 2 to enter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by the locking protrusion 308. The fully inserted battery 200 is in a state of being inclined by θ 2 and received an elastic force by the spring 313 at the rear and is not yet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electrode 312.

도 14에서 배터리 배출용 레버(305)는 자유로운 상태이다.In FIG. 14, the battery discharge lever 305 is free.

여기서 도전성 단자(312)는 탄성력이 없이 삽입된 배터리(200)의 전극과 압착되어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단자(312)는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도전성 탄성부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도전성 단자(312)가 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경우에 제1스프링(313)이 더 구비되면 탄성력을 가진 도전성 단자(312)와 더불어 배터리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conductive terminal 312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200 inserted without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 conductive terminal 312 may be provided as a conductive elastic member such as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When the conductive terminal 312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when the first spring 313 is further provided,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may be facilitated together with the conductive terminal 312 having elastic force.

도 15는 도 14에서 배터리 커버(301)가 닫힌 후의 상태의 C-C 단면도이다. 배터리(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배터리 커버(301)를 닫으면 웨지(302)에 의해 배터리(200)에 좌측으로 힘이 가해져서, 배터리(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θ2 만큼 회전하면서 걸림돌기(308) 내측으로 진입하여 전방 좌측부(309)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200)는 도전성 전극(312)에 접촉된다. 그리고 배터리 배출용 레버(305)는 시계방향으로 θ2 만큼 회전하게 된다.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14 after the battery cover 301 is closed. When the battery cover 301 is closed while the battery 200 is inserted, a force is applied to the battery 200 to the left by the wedge 302, so that the battery 200 rotates by θ 2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enters 308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left side 309. In this state, the battery 200 is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electrode 312. And the battery discharge lever 305 is rotated by θ 2 in the clockwise direction.

도 16은 도 14 및 도 15에서 배터리 배출을 위한 레버(30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배터리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305)를 반시계 방향으로 θ2 만큼 회전시키면 배터리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걸림돌기(308)를 빠져나오게 된다.FIG.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lever 305 for discharging the battery in FIGS. 14 and 15.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305 by θ 2 in the counterclockwise state while the battery is inserted, the battery is pushed out to the right and exits the locking protrusion 308.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배터리 수납구조를 갖는 전자기기의 일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전자기기인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PMP는 MP3와 같은 음악 재생, 방송수신, 게임, 전자사전,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등의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휴대형의 차세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hou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cus on the digital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 MP3 play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the like, which ar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powered by a battery. PMP is a portable, next-generation multimedia player with complex functions such as music playback, broadcast reception, games, electronic dictionary, video playback, and digital camera such as MP3.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 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배터리 고정부재 없이도 안정적인 배터리 수납이 가능한 구조의 배터리 수납부를 갖는 전자기기를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toring a battery without a separate battery fixing member.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represented in the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aught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ny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ossible by substitution, erasure, merging, etc. within the scope a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6)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ain body that is powered by a battery and a battery containing the battery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전방부, 후방부, 수평한 후방 상부, 상기 후방 상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상부, 수평한 전방 하부, 상기 전방 하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후방 하부를 구비하고,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s a front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 rear portion, a horizontal rear upper portion, a front upper portion incli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rear upper portion, a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and a rearward inclined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in relation to the front lower portion. With a lower part, 상기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며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된 도전성 단자;A conductive terminal provided in the rear portion and made of an elastic member which contacts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구의 측방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및A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It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projection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in a state that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compart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ompartment; Electronic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방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이 상기 도전성 단자를 회피하여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The rear por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further avoiding the conductiv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상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The battery cover further comprises a wedge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at the upper edge of the fro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평한 전방 하부의 내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방 하부판; 및A rear lower plate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And 상기 후방 하부와 상기 후방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방 하부판에 상기 후방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low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ear lower plate in the rear uppe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구의 하단 모서리에서 손가락이 들어가 상기 삽입된 배터리의 하단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회피하여 형성된 도피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n evacuation groove formed to avoid the locking projection so that a finger enters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to tou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ed batter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메모리 슬롯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memory slot spaced downwar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I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ain body that is powered by a battery and a battery containing the battery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전방부, 후방부, 수평한 후방 상부, 상기 후방 상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상부, 수평한 전방 하부, 상기 전방 하부에 대하여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후방 하부를 구비하고,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has a front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 rear portion, a horizontal rear upper portion, a front upper portion inclined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rear upper portion, a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and a rearward inclined predetermined angle downward in relation to the front lower portion. With a lower part, 상기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A conductive terminal provided in the rear part to contact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후방부에 상기 도전성 단자를 회피하여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A first spring provided in the rear part to avoid the conductive terminal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a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구의 측방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및A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end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하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It is provided at the lower edg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compart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ocking projection to interfere with the discharge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in a state that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compart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ompartment; Electronic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상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The battery cover further comprises a wedge formed to protrude side by side at the upper edge of the fro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수평한 전방 하부의 내측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방 하부판; 및A rear lower plate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end of the horizontal front lower portion; And 상기 후방 하부와 상기 후방 하부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방 하부판에 상기 후방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second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rear lower portion and the rear lower plat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rear lower plate in the rear upper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개구의 하단 모서리에서 손가락이 들어가 상기 삽입된 배터리의 하단면을 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회피하여 형성된 도피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n evacuation groove formed to avoid the locking projection so that a finger enters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to touch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ed battery.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메모리 슬롯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memory slot spaced downward from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직사각형 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일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직사각형 배터리가 삽입되는 배터리 수납부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main body powered by a rectangular battery and a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nto which the rectangular battery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배터리 수납부는 상기 개구가 형성된 전방부, 후방부, 수평한 전방 우측부, 상기 전방 우측부에 대하여 우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후방 우측부, 수평한 후방 좌측부, 상기 후방 좌측부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좌측부를 구비하고,The battery accommodating portion includes a front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is formed, a rear portion, a horizontal front right portion, a rear right portion inclined a predetermined angle in a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right portion, a horizontal rear left portion, and a lef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left portion. It has a front left sid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후방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의 전극과 접촉하는 도전성 단자;A conductive terminal provided in the rear part to contact the electrode of the batter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상기 개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구의 전방부 하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터리 커버; 및A battery cover rotatab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front portion of the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좌측단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에 삽입된 배터리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좌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수납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간섭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It is provided at the left end corner of the front of the battery compartment, and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hat interferes with the discharge from the battery compartment in the state that the battery inserted into the battery compartme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battery compartment; Characterized by electronic equipment.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도전성 단자는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도전성 탄성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The conductiv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후방부에는 상기 배터리의 배출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상기 도전성 단자를 회피하여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The rear portion is provided with a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i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battery further avoiding the conductive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배터리 수납부의 전방부 우측단 모서리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웨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The battery cover is an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wedge protruding parallel to the right end corner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걸림돌기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수납부 좌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에 미는 힘을 가하는 레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And a lever provided rotatably on a left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to penetrate the left side of the battery accommodating part and apply a force to the battery.
KR1020050039113A 2005-05-11 2005-05-11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KR1010580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113A KR101058034B1 (en) 2005-05-11 2005-05-11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9113A KR101058034B1 (en) 2005-05-11 2005-05-11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621A KR20060116621A (en) 2006-11-15
KR101058034B1 true KR101058034B1 (en) 2011-08-19

Family

ID=37653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9113A KR101058034B1 (en) 2005-05-11 2005-05-11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0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28B1 (en) * 2006-09-22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with battery cove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978B1 (en) 1997-05-15 1999-10-01 윤종용 Battery case for a camcorder
JP2002287225A (en) 2001-03-26 2002-10-03 Konica Corp Digital camera
JP2004311298A (en) 2003-04-09 2004-11-04 Ngk Insulators Ltd Battery cover, and battery storage cas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978B1 (en) 1997-05-15 1999-10-01 윤종용 Battery case for a camcorder
JP2002287225A (en) 2001-03-26 2002-10-03 Konica Corp Digital camera
JP2004311298A (en) 2003-04-09 2004-11-04 Ngk Insulators Ltd Battery cover, and battery storage cas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621A (en)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5737A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storing section for storing detachable unit including groove holding strip-like function label
TWI492694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hip card holding mechanism
JP2001307041A (en) Storage case for card-type recording medium, storage case holder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60231619A1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jecting a card when a cover is opened
US8437814B2 (en) Slide opening/closing device, method of restricting sliding movement of slide member,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device
TW201311109A (en) Electronic device with ejector structure
JP2013152892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735305B1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and cover apparatus for external card therewith
US7833040B2 (en) Card socket assembly
JP2859254B1 (en) Battery storage structure
TWI625086B (en) Chip card holder
TW201834330A (en) 2in1 sim card tray and volume button
KR10105803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battery compartment
JP2004222170A (en) Folding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6119881A (en) Ejector with lid and portable terminal mounting the same
JP2004297337A (en) Mobile terminal
JP2006127809A (en) Connector device for card
US20110256439A1 (en) Battery fix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8860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2002287853A (en) Portable terminal casing free to attach/detach memory unit
JP5949855B2 (en) Electronics
CN217515743U (en) Storage box
JP3584000B2 (en) Electrical equipment with battery compartment
JP2002236884A (en) Card inserting part opening-closing mechanism of mobile device
JP2006127810A (en) Connector device for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