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022B1 -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 Google Patents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022B1
KR101058022B1 KR1020090048125A KR20090048125A KR101058022B1 KR 101058022 B1 KR101058022 B1 KR 101058022B1 KR 1020090048125 A KR1020090048125 A KR 1020090048125A KR 20090048125 A KR20090048125 A KR 20090048125A KR 101058022 B1 KR101058022 B1 KR 101058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
transmission signal
synchronization contro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526A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주)인프라액세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프라액세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인프라액세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4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02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12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망에 시분할 접속방식을 적용하여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하며,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삽입된 동기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각 네트워크 장치가 자체 동기를 구현하도록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향 전송신호, 및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고,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증폭기에서 증폭될 시간 구간을 구획하는 동기제어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동기제어신호, 시분할 접속방식, 간선분기 증폭기, 시간 구간, 동기

Description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TBA Amplifier using time sync control signal}
본 발명은 간선분기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시분할 방식에 따라 구획하여 사용함으로써 정보량이 많은 고 주파수 대역에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모두 적용하며, 간선분기 증폭기가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교대로 증폭하도록 하는 간선분기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간선분기 증폭기는 유선망(케이블, 또는 FTTH(Fiber To The Hme))을 이용한 접속 망에서 광 네트워크 장치(예컨대 ONU : Optical Network Unit)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 및 증폭한다.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subscriber)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가입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하향 전송신호, 및 가입자 단말기에서 광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되는 상향 전송신호의 신호 레벨이 저감되는 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는 일정 거리마다 간선분기 증폭기가 배치되어 신호의 크기를 회복한다.
통상의 간선분기 증폭기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특성을 갖는다.
1)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즉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다.
2) 따라서, 통상의 간선분기 증폭기는 광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향 전송신호를 분석하여 신호의 송수신 방향(상향 전송, 및 하향 전송)을 결정한다.
3) 따라서, 상향 전송신호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통상 하향 전송신호의 데이터 전송속도보다 현저히 떨어진다.
1) ∼ 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는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므로 상향 전송신호에 사용되는 베이스밴드(Base band) 주파수와 하향 전송대역에 사용되는 베이스밴드 주파수를 판단함으로써 신호의 전송 방향(상향 전송신호인지, 하향 전송신호인지)을 판단하였다.
이는,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는 베이스밴드의 주파수를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로직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를 나탄내다.
도시된 간선분기 증폭기는 제1스위치(12), 제2스위치(13), 증폭기(14), 제3 스위치(15), 제4스위치(16), 및 동기모듈(20)을 구비한다.
동기모듈(20)은 광 네트워크 장비에서 가입자 단말기로 향하는 하향 전송신호, 및 상향 전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하향 전송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주파수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동기모듈(20)은 디-모듈레이터(22), 프로세서(23), 및 메모리(24)를 구비한다.
디-모듈레이터(22)는 간선분기 증폭기의 입 출력단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프로세서(23)로 제공한다. 프로세서(23)는 복조된 신호의 베이스밴드를 판단한다. 프로세서(23)는 디-모듈레이터(22)에서 복조 된 신호가 800 Mhz ∼ 900 Mhz 주파수 대역인 경우, 수신된 신호는 하향 전송신호로, 5 Mhz ∼ 50 Mhz 주파수 대역인 경우 상향 전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 인식한다.
프로세서(23)는 수신된 전송신호가 하향 전송신호라고 판단되면, 제1스위치(12) ∼ 제4스위치(13)를 제어하여 광 네트워크 장치측에서 가입자 단말기 방향으로 하향 전송신호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판단결과가 하향 전송신호라면, 하향 전송신호는 제1스위치(12), 제2스위치(13), 증폭기(14), 제3스위치(15), 및 제4스위치(16)의 순으로 통과하며, 반대의 경우, 상향 전송신호는 제4스위치(16), 제2스위치(13), 증폭기(14), 제3스위치(15), 및 제1스위치(12)의 순으로 통과하여 광 네트워크 장치측으로 전송된다.
여기서,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는,
4) 베이스밴드의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여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구분하므로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나눠쓰는 방식 이외에는 주파수 자원을 활용할 방안이 없고,
5) 수신되는 전송신호의 베이스밴드 주파수 대역을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로직(프로세서, 메모리, 및 디-모듈레이터)을 필요로 하며,
6) 수신되는 신호가 상향 전송신호인지, 또는 하향 전송신호인지를 모르는 상태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베이스밴드 주파수를 분석하여야 하므로 전송신호(상향 전송신호, 하향 전송신호)를 분석하는 시간만큼 응답속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유선망에 할당된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시분할 방식을 적용하며, 가입자 단말기가 상향 전송신호, 및 하향 전송신호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종래의 동기모듈(20)을 대신하되, 그 로직이 단순하고, 즉각적인 응답성을 가지며, 상향 전송과 하향 전송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쓸 수 있도록 하는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동일(또는 유사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전송방향을 판단하지 않고, 즉각 전송방향을 판단 가능한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선분기 증폭기를 통과하는 전송신호의 전송방향을 판단하는 로직의 규모, 및 비용을 최소화하며, 전송 방향의 판단을 즉각 처리 가능한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간선분기 증폭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여 기존의 간선분기 증폭기를 재 활용토록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향 전송신호, 및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될 시간 구간을 구획하는 동기제어신호 처리부에 의해 달 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향 전송신호, 및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될 시간 구간을 구획하는 동기제어신호 처리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제어신호 검출부,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가 수신될 때, 하향 전송신호 및 상향 전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증폭하고, 반대의 경우 다른 하나를 증폭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동기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분기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전송하는 동기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증폭기,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분기기 방향으로 전송되는 하향 전송 대역신호에서 상기 동기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제어 신호 검출부, 상기 동기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전송 대역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제1 신호패스 설정부, 상기 동기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가입자 단말기에서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 방향으로 전송되는 상향 전송 대역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제2 신호패스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전송 대역신호는 상기 제2 신호패스 설정 부에 의해 상기 제1 신호패스 설정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1신호 패스 설정부는 이를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증폭기로 상기 상향 전송 대역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 대역신호를 교번되게 증폭하도록 하는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선망에 시분할 접속방식을 적용 가능하며,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간선분기 증폭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시분할 접속방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기존 장비를 재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의 전송방향, 즉 상향 전송과 하향 전송을 검출하기 위한 복잡한 로직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광 네트워크 장치에 삽입된 동기제어신호를 중심으로 시분할을 처리하므로 각 네트워크 장치가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동일 주파수 대역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향 전송신호의 전송속도와 하향 전송신호의 전송속도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본 출원인(한넷 텔레콤)은 기존에 포설된 유선망(예컨대 동축케이블 망)을 이용하여 FTTH(Fiber To The Home)에 맞먹는 기가비트급 데이터 전송을 처리하며, 기존의 주파수 분할 방식에 따른 폐해(가입자 단말기가 증가할수록 가입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각 가입자 단말기의 전송속도가 감소하는 현상)를 해결하고자 시분할 방식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특징을 간략히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은 시간 구간에 따라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구획하고, 구획된 시간 구간에 따라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결정 후, 각자 증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는 기존의 주파수 분할을 이용하는 간선분기 증폭기와는 그 개념이 완전히 상이하다.
2) 본 발명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는 종래기술의 도면과 일견 유사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의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를 본 발명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로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기인한다.
3) 본 발명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는 동일 주파수 대역(예컨대 970 Mhz ∼ 1454 Mhz)을 상향 전송, 또는 하향 전송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선망이 상향 전송신호에 할당한 주파수 대역(예컨대 4 Mhz ∼ 54 Mhz)에 비해 데이터 전송속도가 월등히 빠르다.
4)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동기제어신호를 중심으로 시 분할을 처리한다는 것이다. 즉, 동기제어신호가 검출된 시점을 중심으로 시간을 배분하여 어느 일 측에는 상향 전송신호를 할당하고, 다른 하나에는 하향 전송신호를 할당할 수 있다. 이는,
간선분기 증폭기가 이웃한 타 네트워크 장치(예컨대 ONU, Tap off 등)와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는 각 네트워크 장치가 상호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어떠한 네트워크 장치든 수신된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하향 전송신호는 광 네트워크 장치(예컨대 ONU : Optical Network Unit)에서 가입자 단말기(예컨대 가입자 modem)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하고,
상향 전송신호는 가입자 단말기에서 광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간선분기 증폭기는, 커플러(30), 제1신호패스 설정부(50), 증폭기(51), 제2신호패스 설정부(52), 및 동기제어신호 검출부(40)를 구비한다.
커플러(30)는 하향 전송신호에서 동기제어신호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고, 이를 동기제어신호 검출부(40)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동기제어신호는 상향 전송신호, 및 하향 전송신호가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이격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하향 전송신호, 및 상향 전송신호(이하,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함께 언급할 때는 "전송신호"라고 한다.)와 동기제어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동기제어신호는 전송신호에 비해 수 Mhz ∼ 수십 Mhz 정도 이격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기제어신호는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제어신호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낸다.
도시된 동기제어신호는 본 발명의 전반에서 언급되는 동기제어신호에 대한 것으로, 동기제어신호는 전송신호가 950 Mhz 일 때, 890 M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며, 도면에서는 대략 60 Mhz 정도의 편차를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동기제어신호는 4 Mhz ∼ 54 Mhz 대역의 주파수나 54 Mhz ∼ 890 Mhz 대역의 주파수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동기제어신호는 유선망에서 사용 가능한 어떠한 주파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다만 전송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일정부분 이격되는 것이 요구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동기제어신호가 갖는 주파수 대역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동기제어신호가 890 Mhz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커플러(30)는 동기제어신호와 전송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다른 것을 이용하며, 필터를 내장하여 동기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동기제어신호 검출부(40)로 제공한다.
제1신호패스 설정부(50)는 동기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타이밍이 결정되며, 동기제어신호에 의해 하향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타이밍에는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기(51)로 인가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제2신호패스 설정부(52)에서 제공하는 상향 전송신호를 광 네트워크 장치 방향으로 패스한다. 이는 간선분기 증폭기가 하나의 증폭기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하는데 기인한다.
제2신호패스 설정부(52)는 동기제어신호에 의해 동작 타이밍이 결정되며, 동기제어신호에 의해 하향 전송신호를 전송하는 타이밍에는 증폭기(51)에서 증폭된 하향 전송신호를 가입자 단말기 측으로 패스하고, 반대의 경우, 상향 전송신호를 제1신호패스 설정부(50)로 제공한다.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것은 상향 전송신호가 제2신호패스 설정부(52), 제1신호패스 설정부(50), 증폭기(51), 및 제1신호패스 설정부(50)를 경유하여 광 네트워크 장치 측으로 상향 전송신호를 패스하는 신호 패스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간선분기 증폭기는, 증폭부(60), 및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를 구비한다.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는 노드 A와 접속되며, 동기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만을 수신하여 동기제어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증폭부(60)는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에서 검출된 동기제어신호에 의해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증폭될 시간 구간에 따라, 두 개의 스위치(62, 63)를 구동하여 신호패스를 설정한다.
예컨대,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해야 할 시간 구간에는 스위치(62)를 B 접접에 위치하고, 스위치(63)를 C 접점에 위치하며,
상향 전송신호를 증폭해야 할 시간 구간에는 스위치(62)를 A 접점에 위치시키고, 스위치(63)를 D 접점에 위치시킨다. 이에 따라, 상향 전송신호는 증폭기(61)의 입력단에 인가되어 증폭된 후, 노드 A로 인가되어 광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증폭될 시간 구간은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에서 미리 약정한 바에 따라 결정된다. 시간 구간은 광 네트워크 장치를 가설하거나 이를 운용하는 측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향 전송신호의 전송 구간(시간 구간)과 하향 전송신호의 전송 구간(시간 구간)을 할당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가 증폭될 시간 구간은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에서 설정되며,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가 스위치(62, 63)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증폭기(73)를 중심으로 4개의 스위치(71, 72, 74, 75)를 이용하여 상향 전송신호와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는 하향 전송신호에서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향 증폭구간(T1)과 하향 증폭구간(T2)을 구획한다.
도면에는 상향 증폭구간(T1)과 하향 증폭구간(T2)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통상 하향 전송신호가 점유하는 시간이 상향 전송신호에 비해 큰 것을 고려할 때, 상향 증폭구간(T1)과 하향 증폭구간(T2)에 할당되는 시간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하향 증폭구간(T2)에 더 많은 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
동기제어신호 검출부(70)에서 할당한 하향 증폭구간(T2)에 의해 스위치(71)와 스위치(72)는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기(73)의 입력단에 인가하고, 증폭기(73)에서 증폭된 하향 전송신호는 스위치(74)와 스위치(75)를 지나 가입자 단말기 측으로 전송된다. 반대로, 상향 전송신호를 증폭할 때는, 스위치(75)로 인가되는 상향 전송신호가 스위치(72)로 인가되고, 스위치(72)가 인가된 상향 전송신호를 증폭기(73)의 입력단으로 제공하며, 증폭기(73)에서 증폭된 상향 전송신호는 스위치(74)를 통해 스위치(71)로 신호 패스가 설정된다. 상향 전송신호를 증폭할 때, 각 스위치를 통과하는 상향 전송신호의 신호 패스는 도 6에 도시된 신호패스(SIGNAL LINE)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 5를 통해 설명된 간선분기 증폭기와 유사하되, 컴바이너(180)를 구비하며, 컴바이터(180)를 이용하여 동기제어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하향 전송신호에 포함시켜 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와 접속되는 타 네트워크 장치(예컨대 타 간선분기 증폭기 - 간선분기 증폭기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여러 개 배치될 수 있다.)로 전달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도 5를 통해 설명된 참조부호 71, 72, 73, 74, 75는 각각 본 실시예의 참조부호 110, 120, 130, 140, 150, 및 160에 대응되며, 이들 부재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컴바이너(180)는 동기제어신호만 증폭하므로 광대역 특성을 갖는 증폭기일 필요는 없고, 그 구성이 복잡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존의 간선분기 증폭기에 실장할 경우, 저 비용으로 간단히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각 실시예 별 간선분기 증폭기로 동기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통상의 광 네트워크 장치(ONU)는 광 케이블과 동축 케이블망 사이에 배치되며, 양자간의 데이터 전송을 처리한다. 통상의 광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81), RF부(82)가 마련되며, 기존의 광 네트워크 장치에 모뎀(83) 하나와 컴바이너(84)를 추가하는 단순한 작업 만으로도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를 유선망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프로세서(81)에서 RF부(82)로 제공되는 신호에는 모뎀(83)에서 생성되는 동기제어신호(Sync_ctrl)를 삽입하며, 삽입된 동기제어신호를 RF부(82)가 증폭하여 간선분기 증폭기 측으로 전 송한다.
도 1은 종래의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제어신호의 주파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간선분기 증폭기에서 상향 전송신호가 각 스위치를 지나는 신호패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선분기 증폭기의 블록개념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한 각 실시예 별 간선분기 증폭기로 동기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커플러 50 : 제1신호패스 설정부
51 : 증폭기 52 : 제2신호패스 설정부
40 : 동기제어신호 검출부

Claims (14)

  1.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향 전송신호, 및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될 시간 구간을 구획하는 동기제어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기제어신호는, 상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의 사용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전송신호와 상기 상향 전송신호는,
    동일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제어신호 처리부는,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제어신호 검출부;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시 구간을 구획하는 시 구간 구획부; 및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과 출력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시간 구간에 따라 상 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교번되게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동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와 교번되게 동작하며, 상기 상향 전송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부에 인가하는 제2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가 상기 제1스위칭부로 상기 상향 전송신호를 인가할 때, 상기 제1스위칭부는 상기 상향 전송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부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동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상기 제2스위치로 패스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동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스위치에서 제공하는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 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부는,
    제3스위치, 및 제4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3스위치는 상기 동기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스위치와 교번되게 동작하고, 상기 제1스위치가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때, 상기 상향 전송신호를 상기 제1스위치로 제공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제1스위치로부터 상기 상향 전송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증폭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제어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고, 분리된 주파수 대역을 상기 동기제어신호 처리부로 인가하는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제어신호 검출부에서 검출된 동기제어신호를 증폭하고 이를 상기 하향 전송신호를 결합하는 컴바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10. 삭제
  11.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제어신호 검출부;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가입자 단말기 방향으로 전송되는 하향 전송 대역신호를 증폭하고, 반대의 경우 상향 전송 대역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기제어신호는, 상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의 사용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증폭기;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기준으로 시간 대역마다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을 교대로 상향 전송 대역과 하향 전송 대역으로 전환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13. 하향 전송 대역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를 동기제어신호에 할당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가입자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동기제어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제어신호 검출부; 및
    상기 동기제어신호가 수신될 때, 하향 전송신호 및 상향 전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증폭하고, 반대의 경우 다른 하나를 증폭하며,
    상기 동기제어신호는, 상기 상향 전송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신호의 사용 주파수 대역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14. 동기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광 네트워크 장치와 분기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전송하는 동기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증폭기;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분기기 방향으로 전송되는 하향 전송 대역 신호에서 상기 동기제어 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제어 신호 검출부;
    상기 동기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전송 대역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제1 신호패스 설정부;
    상기 동기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가입자 단말기에서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 방향으로 전송되는 상향 전송 대역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인가하는 제2 신호패스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 전송 대역신호는 상기 제2 신호패스 설정부에 의해 상기 제1 신호패스 설정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1신호 패스 설정부는 이를 상기 광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증폭기로 상기 상향 전송 대역신호와 상기 하향 전송 대역신호를 교번되게 증폭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KR1020090048125A 2009-06-01 2009-06-01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KR101058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25A KR101058022B1 (ko) 2009-06-01 2009-06-01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25A KR101058022B1 (ko) 2009-06-01 2009-06-01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26A KR20100129526A (ko) 2010-12-09
KR101058022B1 true KR101058022B1 (ko) 2011-08-19

Family

ID=4350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25A KR101058022B1 (ko) 2009-06-01 2009-06-01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0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1790A1 (en) * 2006-12-20 2008-06-26 Lee Ronald B Time division duplex amplifier for network signal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1790A1 (en) * 2006-12-20 2008-06-26 Lee Ronald B Time division duplex amplifier for network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26A (ko)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291B1 (ko) 양방향 무선 통신을 위한 광 네트워크
US8849118B2 (en) Method for optimizing the capacity of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US10404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ropagation delay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2461007B (zh) 用于控制基站天线的发送/接收定时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基站天线
US20080151790A1 (en) Time division duplex amplifier for network signals
RU2659801C2 (ru) Сх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пенсации затухания, возникающего в антенном проводнике между устройством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антенной
US20210320740A1 (en) Add/drop multiplexer, network system, transmiss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management device
WO2018133932A1 (en) Node for a fronthaul network and monitoring of optical trasceivers in fronthaul networks
US5877878A (en) Surveillance method of optical amplifier-repeater transmission system
US10243722B2 (en) Optical interconnecting network architecture
KR101058022B1 (ko) 시 분할 동기제어식 간선분기 증폭기
US10044462B2 (en) Optical ring network
US11652565B2 (en) Transport cable redundancy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ing digital transport
KR100697209B1 (ko) 시분할 무선 중계기의 동기 제어 장치
US20170054508A1 (en) Optical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connection
US201501319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signal control using filter in multicasting ring network node and protection switching in optical multiplex section
KR20160082095A (ko) 이동통신신호 및 서비스 주파수 대역 검출 장치
KR101179761B1 (ko) 전파 지연 수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07291B1 (ko) 티디디 방식 무선 중계기 및 중계방법
US20140294394A1 (en) Optic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JP6752754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100617741B1 (ko) Tdd 방식의 휴대 인터넷 무선 중계기의 절체 제어신호추출방법
US10299021B2 (en) Optical signal amplification
KR101036138B1 (ko) 시분할 통신용 중계증폭장치
KR20180012575A (ko) 브로드캐스트 패킷 분석을 이용한 루핑 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