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914B1 -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 Google Patents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914B1
KR101057914B1 KR1020090046590A KR20090046590A KR101057914B1 KR 101057914 B1 KR101057914 B1 KR 101057914B1 KR 1020090046590 A KR1020090046590 A KR 1020090046590A KR 20090046590 A KR20090046590 A KR 20090046590A KR 101057914 B1 KR101057914 B1 KR 10105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repeaters
layer
relay
r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5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8129A (en
Inventor
강충구
강혜중
박진우
김재현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6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914B1/en
Publication of KR20100128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1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시분할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TDD-OFDMA) 시스템에서 다중 홉(multi-hop) 릴레이를 위한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은, K(K≥2)개로 분할된 릴레이 존의 서브 존들이 다른 레이어에서 재사용되는 자원 재사용 단계; 중계기(RS)들을 다른 계층의 레이어들에 배치하는 릴레이 계층화 단계; 및 상위 레이어의 동일한 상위 중계기(RS)에 연결되는 중계기(RS)들의 집합을 찾는 릴레이 집단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a multi-hop relay in a cellular time divisi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D-OFDMA) system, wherein the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K (K≥2). A resource reuse step of sub zones of the divided relay zone being reused in another layer; A relay layering step of placing the relays (RSs) in layers of another layer; And a relay grouping step of finding a set of repeaters RSs connected to the same upper repeaters RS of the upper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를 위해 자원을 재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간섭을 각 릴레이 링크별 트래픽 부하에 따라 조절하여 다중 홉 릴레이 링크의 품질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a multi-hop relay link by adjusting interference generated when resources are reused for a relay link in a multi-hop relay system according to traffic load of each relay link.

Description

셀룰러 TDD-OFDMA 시스템에서 다중 홉 릴레이를 위한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ING IN A CELLULAR TDD-OFDMA SYSTEM}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ING IN A CELLULAR TDD-OFDMA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셀룰러 시분할 직교주파수분할다중(TDD-OFDMA) 시스템에서 다중 홉(multi-hop) 릴레이를 위한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a multi-hop relay in a cellular time divisio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DD-OFDMA) system.

IEEE 802.16j의 TDD-OFDMA 기반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은 모바일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과 같은 모바일 무선 광대역의 커버리지, 수율 및 용량 확장에 유용한 수단이다.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은 단말(Mobile Station; MS)의 접속을 위해 중간에서 무선 중계 기능을 지원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와 무선 링크를 통해 MS 또는 RS와 직접 접속하여 무선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MR-BS)으로 구성된다.IEEE 802.16j's TDD-OFDMA based multi-hop relay system is a useful means for extending the coverage, yield and capacity of mobile wireless broadband such as mobile 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The multi-hop relay system includes a relay station (RS) that supports a wireless relay function in the middle for a mobile station (MS) connection, and a base station that supports a wireless relay function by directly connecting with an MS or RS through a wireless link. (MR-BS).

도 1은 N=2인 경우에 non-transparent 모드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여기서 N은 종단 연결을 위한 홉의 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TDD 프레임은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로 분할되고, 각 링크는 MS가 MR-BS 또는 RS 와 직접 통신하기 위한 액세스 존(Access zone), 그리고 MR-BS 와 RS 간의 링크를 제공하기 위한 릴레이 존(Relay zone)으로 분할된다. 이 특별한 프레임 구조의 주요한 특징은 액세스 존이 MR-BS와 직접 또는 RS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모든 MS들과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액세스 존은 MS들 사이에 동적 대역폭 예약을 허용하기 위하여 MR-BS와 RS들에 독립적으로 스케쥴 되어야 한다. MS들이 BS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직접 수신할 수 없는 non-transparent 모드의 경우, MAP 메시지를 통한 대역폭 할당 결과 통지는 데이터 전달과 함께 중계되어야 한다. 반면에 릴레이 링크는 다수의 RS들을 위해 직교적으로 분할된다. 따라서 각 RS에 특정한 대역폭 할당 통지(예컨대, 하향 링크 MAP 메시지)가 있어야 한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frame structure of a non-transparent mode when N = 2. Where N is the number of hops for the termination connection. As shown in FIG. 1, one TDD frame is divided into an uplink and a downlink, and each link includes an access zone for allowing the MS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MR-BS or RS, and between the MR-BS and RS. It is divided into a relay zone for providing a link. The main feature of this particular frame structure is that the access zone can be shared with all MSs communicating directly with the MR-BS or indirectly via RSs. Thus, the access zone must be scheduled independently of the MR-BS and RSs to allow dynamic bandwidth reservation between MSs. In non-transparent mode, where MSs cannot receive control messages directly from BS, bandwidth allocation result notification via MAP message must be relayed with data delivery. On the other hand, the relay link is divided orthogonally for multiple RSs. Therefore, each RS must have a specific bandwidth allocation notification (eg, downlink MAP message).

각 구역의 데이터 전송률은 개별 링크의 채널 상태에 의한다. 해당 링크의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는 적응 변조 및 코딩(AMC)의 적당한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채널 품질 표시기(channel quality indicator)가 될 수 있다.The data rate of each zone depends on the channel status of the individual links. The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SINR) of the link may be a channel quality indicator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mode of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넓은 영역의 커버리지가 다수의 RS에 의해 확보되는 경우, MS와 BS 사이에 3홉 이상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때 릴레이 존을 다수의 서브존으로 시분할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존은 다음 릴레이 링크를 위해 예약된다. 이때 BS에 이르기 위해 같은 홉을 가지는 RS들이 구성하는 가상의 평면을 레이어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레이어 2에 있는 RS들은 BS와 연결되기 위하여 2홉이 필요한 반면, 레이어 1의 RS들은 1홉으로 BS에 직접 연결된다. 상위 레이어의 RS들에 할당되는 서브존은 하위 레이어의 RS들에게 전송하기 위해 병합된 트래픽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더 큰 용량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전체에서 릴레이 트래픽을 조절하기 위해 서브 존들은 적절하게 분할되어야 한다.When the coverage of a large area is secured by a plurality of RSs, there may be a case of three hops or more between the MS and the BS. In this case, the relay zone may be time-divided into multiple subzones. As shown in Figure 2, each subzone is reserved for the next relay link. At this time, a virtual plane defined by RSs having the same hop to reach the BS is defined as a layer. For example, in FIG. 2, the RSs in Layer 2 require two hops to connect with the BS, while the RSs in Layer 1 connect directly to the BS in one hop. The subzone allocated to the RSs of the upper layer needs larger capacity because it must process the merged traffic for transmission to the RSs of the lower layer. Thus, as shown in FIG. 2, the subzones must be appropriately divided to regulate relay traffic throughout the cell.

도 2의 프레임 구조에서, 각 서브 존을 위한 가용 자원은 종단 연결 증가를 위해 필요한 홉의 수에 따라 임계적으로 제한된다. 만약 N이 너무 크다면, N 번째 서브 존은 거의 널(null)이 될 것이다. 이 특별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동일 채널 간섭이 허용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서브 존들은 다른 레이어의 RS들에 의하여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레이어 3의 RS5와 RS6은 서브 존 1을 MR-BS와 공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 존 2는 레이어 2와 레이어 5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릴레이 존은 K개의 서브 존들로 분할될 수 있고, 분할된 서브 존들은 다른 레이어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별한 재사용 전략을 재사용 1/K(divide-by-K) 방식이라고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서브 존은 3개의 상태(listen, send 및 idle) 중 하나의 상태를 가진다.In the frame structure of FIG. 2, the available resources for each subzone are critically limit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hops require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end connections. If N is too large, the Nth subzone will be almost null. To handle this particular situation, subzones can be reused by RSs of other layers, to the extent that co-channel interference can be tolerated. For example, in FIG. 2, RS5 and RS6 of layer 3 may share subzone 1 with MR-BS. Similarly, subzone 2 can be reused in layers 2 and 5. In general, a relay zone may be divided into K subzones, and the divided subzones may be reused in another layer. This special reuse strategy is called reuse-by-K. As shown in FIG. 3, each subzone has one of three states (listen, send and idle).

도 3은 재사용 1/3 방식을 보여주는데, 도 3에서 점선은 동일 채널 간섭을 나타낸다. 동일 서브 존들은 서로 3 홉 떨어진 RS들에 의해 공유되므로,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동일 채널 간섭은 동일 가지의 RS들에게 심각하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RS 사이에 존재하는 홉수의 차이가 물리적 거리의 차이와 비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K=3의 1/K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한 예이다. 1/K로 릴레이 자원 재사용 방식을 일반화 하면서 2홉 차이가 있는 RS간에는 충분한 거리가 확보될 것이라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구성에 따라 2홉 차이에서도 간섭을 감쇄시키기에 충분한 거리 를 확보할 수 없어 RS2의 링크 품질이 저하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RS의 위치는 일정 간격에 맞게 배치되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 불특정 다수의 지역에 설치 되기 때문에 링크를 구성하는 방식이 잘못될 경우 1/K 프래임 구조를 이용한 재사용 방식을 적용하더라도 이러한 다른 홉간 간섭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 shows a reuse 1/3 scheme, in which the dashed line represents co-channel interference. Since the same subzones are shared by RSs three hops away from each other, the co-channel interferenc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in FIG. 3 does not seem severe to the same kind of RSs. However, in a real network,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hops existing between RSs may not be proportional to the difference in physical distances. 4 shows an example of configuring a network by applying a 1 / K frame structure of K = 3. While generalizing the relay resource reuse scheme to 1 / K, it was expected that sufficient distances would be secured between RSs having a 2-hop difference. However, as shown in FIG. There is a situation that the link quality of RS2 is degraded because the distance cannot be secured. In general, the position of RS is installed in a large number of unspecified areas as needed rather than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if the link configuration is wrong, even if the reuse method using the 1 / K frame structure is applied, such other hop-to-hop interference problem may occur. May occur.

한편 동일한 레이어에 속하는 RS들도 서로 같은 자원을 재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재사용 거리에 따라서 가지간 간섭(inter-branch interference)이라고 부르는 다른 종류의 동일 채널 간섭(도 3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이 재사용 1/K 방식에 또 다른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2가 RS3에게 전송하는 동안 RS1 신호는 RS4에게 동일 채널 간섭이 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Meanwhile, since RSs belonging to the same layer reuse the same resources, another kind of co-channel interference called inter-branch interference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3) may depend on their reuse distance. This can be another serious problem for reuse 1 / K.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RS1 signal may be co-channel interference to RS4 while RS2 transmits to RS3 and vice versa.

이러한 간섭 양상은 링크의 연결성을 조절하는 토폴로지 제어를 통해 조절할 수 있다. 간섭 양상의 제어는 각 링크의 품질을 조절하게 된다. 특정 링크에 부가되는 간섭을 제어하게 되면 다른 릴레이 링크의 간섭 양상이 달라지므로 각 링크의 품질은 서로 trade-off 관계에 있다. 네트워크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관계에 있는 각 릴레이 링크의 품질을 종단간 용량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실제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양이 적은 종단 경로에 큰 용량을 확보한다고 해서 실제 종단 수율 이나 지연이 줄어들지는 않는다. 따라서 각 링크에 가중되는 트래픽 양에 비례하여 링크 품질을 확보하는 방법이 더 적합하다. 예를 들면 도 5(a)에서는 홉간 간섭에 의해 RS2의 링크가, 가지간 간섭에 의해 RS7가 트래픽 양에 비해 낮은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토폴로지를 도 5(b)와 같은 형태 로 변형할 경우 RS4의 용량이 8에서 5로 줄어들지만 RS4에 가중되는 트래픽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정도이고, RS4 링크의 용량 손실 대신 RS2와 RS7은 이전보다 높은 용량을 가지게 되어 네트워크 전체로 봤을때는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하게 된다.This aspect of interference can be controlled through topology control that controls the connectivity of the links. Control of the interference pattern will control the quality of each link. Controlling the interference added to a specific link changes the aspect of interference of other relay links, so the quality of each link is trade-off. To improve the overall network performance, the quality of each relay link in this relationship can be controlled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end-to-end capacity. The delay is not reduced. Therefore, a method of securing link qualit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raffic weighted on each link is more suitable. For example, in FIG. 5 (a), the link of RS2 due to inter-hop interference and RS7 due to inter-branch interference have a lower capacity than the traffic amount. When the topology is transformed into the form as shown in Fig. 5 (b), the capacity of RS4 is reduced from 8 to 5, but it is sufficient to accommodate the traffic weighted to RS4, and instead of the loss of capacity of the RS4 link, RS2 and RS7 are more than before. Higher capacity means more traffic for the entire network.

따라서 이상의 간섭들을 조절하면서 많은 양의 트래픽이 가중되는 링크에 큰 링크 용량을 확보하는 간섭 분배를 위한 토폴로지 제어 방법에 대한 요구가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opology control method for interference distribution that secures a large link capacity on a link to which a large amount of traffic is weighted while controlling the above interferences.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 네트워크에서 자원 재사용에 따른 다른 홉 간 간섭과 릴레이 가지간 간섭을 릴레이 링크간 트래픽 부하를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는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inter-hop interference and relay branch interference according to resource reuse in a multi-hop relay network in consideration of traffic load between relay link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은, K(K≥2)개로 분할된 릴레이 존의 서브 존들이 다른 레이어에서 재사용되는 자원 재사용 단계; 중계기(RS)들을 다른 계층의 레이어들에 배치하는 릴레이 계층화 단계; 및 상위 레이어의 동일한 상위 중계기(RS)에 연결되는 중계기(RS)들의 집합을 찾는 릴레이 집단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including: a resource reuse step in which subzones of K (K≥2) divided relay zones are reused in different layers; A relay layering step of placing the relays (RSs) in layers of another layer; And a relay grouping step of finding a set of repeaters RSs connected to the same upper repeaters RS of the upper la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릴레이 계층화 방법은, (a) 중계기와 기지국간 링크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SINR)를 측정하여 기지국과 최고의 연결을 가지는 중계기들을 선택하여 레이어 1에 속하는 중계기들의 집합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레이어 1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계기들이 추가로 선택되는 단계; (c) 상기 레이어 1과 최고의 연결을 가지는 중계기가 선택되어 레이어 2에 속하는 중계기들의 집합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레이어 2에서 하위 중계기를 가질 수 있는 중계기의 집합이 형성되는 단계; 및 (e) 상기 레이어 2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계기들이 추가로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relay laye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asuring the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of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to select the repeaters having the best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to the set of repeaters belonging to Layer 1 Forming a; (b) further selecting repeaters that may be included in layer 1; (c) selecting a repeater having the best connection with the layer 1 to form a set of repeaters belonging to layer 2; (d) forming a set of repeaters which may have lower repeaters in the layer 2; And (e) additionally selecting repeaters that may be included in layer 2.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릴레이 집단화 방법은, (a) 집단화 대 상 레이어의 한 단계 상위 레이어에서 상위 중계기와의 링크에서 최소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를 가지는 중계기가 테스트 중계기로 선정되는 단계; (b) 상기 테스트 중계기의 하위 중계기들의 집합에 속하는 각 중계기에 대한 임시 상위 중계기와 임시 실효 지연이 결정되는 단계; 및 (c) 상기 임시 실효 지연에 따라 상위 중계기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lay group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selecting a repeater having a minimum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SINR) in a link with a higher repeater in a higher layer in a higher layer of the target group; ; (b) determining a temporary upper repeater and a temporary effective delay for each repeater belonging to a set of lower repeaters of the test repeater; And (c) selecting an upper repeater according to the temporary effective delay.

이상의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를 위해 자원을 재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간섭을 릴레이 링크별 트래픽 부하를 고려하여 조절함으로써 다중 홉 릴레이 링크의 품질 및 수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quality and yield of the multi-hop relay link by adjusting the interference caused by reusing resources for the relay link in the multi-hop relay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traffic load for each relay link It can improve performance.

앞의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 모두 예시적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청구된 발명의 부가적인 설명이 제공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참조 부호들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상세히 표시되어 있으며, 그것의 예들이 참조 도면들에 표시되어 있다. 가능한 모든 경우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참조하기 위해서 설명 및 도면들에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that additional explanations of the claimed invention are provided. Reference numerals are shown in detail 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ndicated in the reference figures. For all possible case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in th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to refer to the same or like par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크게 RS 계층화(RS rayering)와 RS 집단화(RS clustering)의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RS 계층화는 RS들을 다른 계층의 적절한 레이어들에 배치하는 절차이다. 동일한 수의 홉으로 BS에 이를 수 있는 RS들을 동일 레이어에 있는 것으로 취급한다. RS 계층화의 목적은 홉간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한 레이어에서 릴레이 링크를 위해 사용하는 자원은 다른 레이어들에서 릴레이 링크를 위해 재사용되기 때문에, RS 계층화는 서로 동일 채널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른 레이어에 RS들을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wo stages: RS rayering and RS clustering. RS layering is a procedure for placing RSs in the appropriate layers of another layer. RSs that can reach the BS with the same number of hops are treated as being on the same layer. The purpose of RS layering is to minimize inter-hop interference. Since resources used for relay link in one layer are reused for relay link in other layers, RS layering is for placing RSs in different layers to minimize co-channel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반면, RS 집단화는 상위 레이어의 같은 상위 RS에 연결되는 하위 레이어의 RS들의 집합을 찾는 절차이다. 주어진 RS 레이어들에서, RS 집단화는 하위 레이어에서 상위 레이어의 동일 RS에 연결되는 RS들의 집합들을 결정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RS aggregation is a procedure for finding a set of RSs of a lower layer connected to the same upper RS of an upper layer. For given RS layers, RS aggregation is to determine the sets of RSs that are connected to the same RS of the upper layer in the lower layer.

위에서 설명한 두 단계는 결국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적 RS 집단화 절차이다. 도 6에서 레이어 1은 RS 집단화가 필요치 않은데, 이것은 레이어 1에서 BS는 모든 RS들과 연결되기 때문이이다. 즉 레이어 1에서 모든 RS들은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에 속한다.The two steps described above are in turn a hierarchical RS aggregation procedure, as shown in FIG. In Figure 6 Layer 1 does not need RS aggregation because in BS 1 the BS is connected to all RSs. That is, in the layer 1, all RSs belong to one cluster.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와 RS 집단화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문자와 용어에 대한 표시와 정의는 다음과 같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s and definitions of letters and terms used to describe RS layering and RS aggre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S : 모든 RS들의 집합. 즉 r k S S : set of all RSs. R k S

H n : 레이어 n에 속하는 RS들의 집합 H n : set of RSs belonging to layer n

H n ,S : 다음 레이어에서 하위 RS를 가질 수 있는 RS의 집합. H n ,S H n H n , S : A set of RSs that can have lower RSs in the next layer. H n , S H n

트리 구조에서 각 RS는 자신의 유일한 상위 RS를 가져야 한다.Each RS in the tree structure must have its own unique upper RS.

s k : r k 의 상위 RS s k : high RS of r k

Q k : r k 의 하위 RS들의 집합 Q k : set of lower RSs of r k

l k,l : RS r k 로부터 RS r l 에 이르는 링크 l k, l: r k from the RS to the RS link, ranging r l

C k,l : l k,l 의 데이터 전송률(bits/sec) C k, l : l k, l data rate (bits / sec)

τ k : r k 의 트래픽 부하(bits/sec) τ k : Traffic load of r k (bits / sec)

각 링크에서 트래픽 부하는 해당 링크 용량에 의해 정규화될 수 있다.The traffic load on each link can be normalized by the corresponding link capacity.

트래픽 부하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traffic load index is defined as follows.

LF k = τ k / C m ,k 여기서 mr m = s k 와 같다. LF k = τ k / C m , k where m is r m = s k Same as

RSS l,m : r m 에서 수신하는 r l 의 신호 세기 RSS l, m : signal strength of r l received from r m

다른 RS가 수신하는 상위 RS 신호에 대한 r k 신호의 상대적 세기를 의미하는 간섭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An interference index indic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r k signal with respect to the higher RS signal received by another RS is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1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1

Q k 에 대한 트래픽 부하와 부하 지수가 주어진 경우에 홉간 용량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Given the traffic load and load index for Q k , the capacity between hops is defined a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2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2

트래픽 집중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traffic concentration index is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3
여기서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4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3
here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4

각 레이어에서 모든 RS들에 대한 트래픽 집중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The average of the traffic concentrations for all RSs in each layer is as follow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5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5

트래픽 집중 지수는 부하 조절과 간섭 제어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The traffic concentration index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accept load balancing and interference control.

BS에서 n까지 레이어의 모든 RS들에게 1bit를 전송하기 위한 등가 단위로서 레이어 n의 실효 지연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An effective delay of layer n is defined as an equivalent unit for transmitting 1 bit to all RSs of a layer from BS to n as follow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6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6

여기서 τ ete,n n까지의 레이어에 속하는 모든 RS를 종착점으로 하는 트래픽 부하의 합이다. Τ ete, n is the sum of the traffic loads with the end points of all RSs belonging to layers up to n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각 RS와 BS의 직접 링크에 대한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를 측정하여 가장 좋은 MCS 모드를 가지는 RS들 즉, BS와 최고의 연결을 가지는 RS들이 선택된다. 이렇게 선택된 RS들은 레이어 1에 속하는 RS들의 집합(H 1 )을 형성한다(S701).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RS lay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first,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SINR) of the direct link between each RS and BS is measured to select RSs having the best MCS mode, that is, RSs having the best connection with the BS. The selected RSs form a set H 1 of RSs belonging to layer 1 (S701). If this is expressed as an expression, it is as follow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7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7

여기서 C 0 ,k 는 BS와 RS r k 의 링크에서 데이터 전송률이다. 데이터 전송률은 해당 링크의 SINR에 종속되는 MCS 모드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상기 집합(H 1 )에는 다수의 RS들이 존재할 수 있다. 즉, |H 1 |≥1이다.Where C 0 , k is the data rate on the link between BS and RS r k . Since the data rate is defined by the MCS mode dependent on the SINR of the link, there can be multiple RSs in the set H 1 . That is | H 1 | ≥1.

다음 단계에서 H 1 에 포함된 RS들을 제외하고 남은 RS들은 수신 신호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RSS)의 순서에 따라 다시 인덱스되어 다음과 같이 레이어 1의 후보 집합(U)을 형성한다(S703).In the next step, the remaining RSs, except for the RSs included in H 1 , are indexed again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RSS) order to form the candidate set U of the layer 1 as follows (S703).

U = S - H 1 U = S - H 1

다음으로, H 1 의 원소로 이미 선택된 RS를 통하는 것보다 BS로의 직접 연결에 의해 더 큰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추가 RS들이 탐색되어 선택된다(S705). r k U 인 경우에, 해당 RS들은 BS에서 측정된 RSS의 내림차순에서 다음의 지연 기준을 평가함으로써 발견될 수 있다.Next, additional RSs capable of achieving greater capacity by direct connection to the BS than through the RS already selected as an element of H 1 are searched for and selected (S705). In the case of r k U , the corresponding RSs can be found by evaluating the following delay criteria in descending order of RSS as measured at B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8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8

수학식 3의 부등식 우변에서 두 번째 항은 자원 재사용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H 1 |을 포함한다. 새로운 RS가 H 1 에 포함될 때 마다, 그것은 U로부터 제거된다. 즉,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9
On the right side of the inequality in Equation 3, the second term | H 1 | Each time a new RS is included in H 1 , it is removed from U. In other word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09

이후 H 1 에 포함될 수 있는 RS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단계 S703과 단계 S705가 반복된다(S707). 이러한 과정을 거쳐 레이어 1이 결정된다.Thereafter, steps S703 and S705 are repeated until no more RSs can be included in H 1 (S707). Through this process, Layer 1 is determined.

H 1 이 주어지면,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가장 좋은 MCS 모드를 가지는 RS가 H 2 로 선택된다(S709).Given H 1 , RS having the best MCS mode is selected as H 2 by the following equation (S709).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0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0

그런 다음 하위 RS를 가질 수 있는 RS의 집합이 다음의 수학식으로 주어진다(S711).Then, a set of RSs which may have a lower RS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S711).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1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1

여기서 η th 은 과도한 간섭을 유발하는 RS들을 제거하기 위한 임계값이다. 이 단계는 하위 RS를 가질 경우 상위 레이어의 RS들에게 잠재적으로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 RS들의 수를 감소시킨다.Where η th is a threshold for removing RSs that cause excessive interference. This step reduces the number of RSs that can potentially interfere with the RSs of the upper layer if they have a lower RS.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레이어 2의 후보 집합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S713).After this process, the candidate set of the layer 2 is given as follows (S713).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2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2

r k U인 경우에, H 2,S 의 RS를 통하는 것보다 H 1,S 를 통해서 더 큰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추가 RS들은 각 RS에서 측정된 BS의 RSS 내림차순에서 다음의 지연 기준에 의해 H 2 로 선택된다(S715). For r k U , additional RSs capable of achieving greater capacity through H 1, S than through H 2, S RS are subject to the following delay criteria in the RSS descending order of the BS measured at each RS. Is selected as H 2 (S715).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3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3

새로운 RS가 H 2 에 포함될 때마다 U에서 제거된다. 즉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4
그런 다음, H 2 에 포함될 수 있는 RS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단계 S711 내지 S715가 반복된다(S717).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레이어 2가 결정된다.Each time a new RS is included in H 2 , it is removed from U. In other word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4
Then, steps S711 to S715 are repeated until no more RS can be included in H 2 is found (S717). Through this process, layer 2 is determined.

n≥3인 경우에 H n H n,S 에 대해서는 수학식 4 내지 7을 이용하여 레이어 2를 결정한 것과 동일한 단계들이 레이어 n을 결정하기 위해 반복된다.in the case where n≥3 for H n H and n, S same steps determining the layer 2 by using Equation 4 to 7 are repea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ayer n.

한편, 도 7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RS 계층화 과정에서 레이어가 결정되지 않은 RS들은 자신이 해당 레이어에 적합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지연시간을 계산할 때 AMC에 의해 결정되는 링크 용량이 필요한데, 이를 얻기 위해서는 해당 링크의 SINR이 계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각 RS가 다른 RS의 신호 세기를 알고 있다고 가정하므로, 간섭원으로 작용할 RS만 결정하면 해당 링크의 RS를 결정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FIG. 7, RSs whose layers are not determined in the RS layering process need link capacity determined by AMC when calculating a delay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layer. SINR should be calculate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each RS knows the signal strengths of other RS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S of the corresponding link by determining only the RS to act as an interference source.

구체적으로, 레이어가 결정되지 않은 r k 가 간섭원을 정할 때 레이어가 결정되어 있는 RS 중 r k 가 수신하는 자원을 사용하지 않는 RS는 간섭원이 되지 않을 것이 명백하다. 하지만 그 이외의 RS들은 토폴로지가 완성되지 않아 추후 구성되는 토폴로지에 따라 간섭원으로 작용할지 여부가 불분명하다.Specifically, when r k having no layer is determined, the RS does not use the resources received by r k among the RSs whose layers have been determined.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the other RSs will act as an interference source according to the topology which is configured later because the topology is not completed.

여기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모든 RS가 간섭원이라고 생각하는 방식이다. 이는 'worst case'로써 해당 링크가 최악의 상태일 때의 링크 용량을 계산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worst case'에서는 AMC table 기반의 계산에서 최저 MCS level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태가 최대값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이후 설명될 RS 집단화를 통해 제거될 간섭에 대한 고려 없이 레이어를 결정할 경우 RS 집단화 결과에서 잘못된 레이어에 속하는 RS가 발생할 확률이 크다.The easiest approach here is to think that all possible RSs are interference sources, as shown in Figure 8 (a). This is a 'worst case' that calculates the link capacity when the link is in its worst state. However, in such a 'worst case', the algorithm can not be applied because the state that is less than the minimum MCS level in the AMC table-based calculation may come to the maximum value. In addition, if a layer is determined without considering interference to be removed through RS grouping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RS belonging to a wrong layer occurs in the RS grouping result.

따라서 본 발명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RS는 간섭원에서 제거시킨 'reduced worst case'를 사용한다. 즉, r k 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T RSS 이상인 RS는 r k 의 간섭원에서 제외시킨다. 왜냐하면 신호 세기가 강한 RS는 물리적으로 r k 의 근방에 존재할 것이고,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RS들은 계층화 과정에서 최대 ±1 레이어 차이로 계층화될 것이라 예상할 수 있기때문이다. 또한 그렇게 되면 애초에 r k 가 수신하는 자원을 사용하지 않게 되거나 r k 가 수신하는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이후 설명될 RS 집단화 과정에서 해당 간섭은 제거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b), the RS that satisfies the predetermined condition uses a 'reduced worst case' removed from the interference source. That is, the strength of the signal r k T is received RSS or more RS are thereby excluded from the interference source of r k. This is because RSs with strong signal strengths will be physically present in the vicinity of r k , and physically close RSs can be expected to be layered with a maximum ± 1 layer difference during the layering process. In addition, because it can expect that when r k in the first place is not to use the resource for receiving or even with the resource r k is the received interference from RS aggregation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s to be removed.

T RSS 는 경로 손실(path loss)만을 고려하고 N개의 RS가 균일하게 분포한다고 가정했을 때 인근 RS까지의 평균 거리를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신호 세기로 환산한 값이다. T RSS is a value obtained by converting an average distance to a neighboring RS into signal strength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assuming only path loss and N N distribution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5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5

여기서 P Tx,RS 는 중계기의 전송 전력이고, α는 채널 양상에 따른 경로 손실 지수이며, RBS는 BS의 커버리지이고,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6
는 중복되지 않은 RS의 커버리지이다.Where P Tx, RS is the transmit power of the repeater, α is the path loss index according to the channel aspect, R BS is the coverage of the B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6
Is coverage of non-overlapping RS.

이와 같이 RS 계층화 알고리즘을 통해 결정된 RS들의 레이어들에서, 각 RS는 상위 레이어에서 자신의 상위 RS를 선택하여야 한다. 한 레이어에서 클러스터라고 하는 RS들의 부분 집합은 상위 레이어에서 동일한 상위 RS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RS 집단화 알고리즘의 목적은 실효 지연(effective delay)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위 레이어에서 각 RS를 위한 상위 RS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모적인 탐색은 너무 복잡하므로 본 발명은 훨씬 덜 복잡한 발견적 방법(heuristics)을 사용한다.In the layers of RSs determined through the RS layering algorithm as described above, each RS must select its own upper RS in the upper layer. A subset of RSs called clusters in one layer selects the same upper RS in the higher layer. The purpose of this RS aggregation algorithm is to determine the upper RS for each RS in the upper layer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ive delay. In general, exhaustive searching is so complex that the present invention uses much less complex heuristics.

RS 집단화 과정에서 새로운 상위 RS의 선택은 RS 계층화를 통해 형성된 토폴로지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홉간 간섭의 정도로 변화한다. 홉간 간섭의 변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H n 의 RS를 위한 상위 RS의 후보는 RS 계층화를 통해 결정된 H n-1,S 에 있는 RS로 제한된다.The selection of a new higher RS in the RS aggregation process changes the topology formed through RS layering and thus the degree of inter-hop interference. The upper RS for the RS in the candidate H n in order to minimize the variation of the hop-by-hop interference is limited to the RS in the H n-1, S determined through the RS layer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S 집단화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G = H n-1,S 라고 하고, G에 있는 RS들 중에서 상위 RS와의 링크에 서 가장 작은 SINR을 가지는 RS를 테스트 RS(TRS)로 선정한다(S901). 즉, TRS는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7
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8
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RS aggreg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first, G = H n-1, S , and the RS having the smallest SINR in the link with the upper RS among the RSs in G is selected as the test RS (TRS) (S901). That is, TR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7
Is given by here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8
to be.

다음으로, TRS의 하위 RS들의 집합을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9
라고하면,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임시 상위 R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0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1
에 속하는 각 RS q m 의 임시 실효 지연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2
이 결정된다(S903).Next, the set of sub-RSs of the TR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19
Speaking, the temporary upper RS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0
Wow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1
Temporary effective delay of each RS q m belonging to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2
This is determined (S903).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3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4
such that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3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4
such that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5
when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6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5
when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6

그러나 실제 선택 과정에서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7
에 있는 다른 RS에 의한 결정의 효과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는 전체 결정 절차를 너무 복잡하게 해서 구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발견적 방법(heuristics)을 사용한다. 즉, q m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8
보다 더 작은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9
를 가지는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0
에 의한 결정의 효과가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1
의 선택 절차에 고려된다. 예를 들면,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2
에 있는 RS들 중에서 가장 작은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3
를 가지는 RS는 다른 RS들의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임시 상위 RS를 고정한다(S905). 그 러나 다른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4
의 RS들은 앞서 선택된 RS의 결정에 따른 간섭 및 트래픽 부하를 반영하여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5
을 결정하고, 이중 가장 작은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6
를 가지는 RS가 다시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7
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과정을 모든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8
의 원소가 임시 상위 RS를 결정할 때까지 반복한다.But in the actual selection proces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7
The effect of the decision by the other RS in 되어야 should be considered, which makes the whole decision procedure too complex and difficult to implem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heuristics as follows. That is, q m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8
Smaller than
Figure 112009032026321-pat00029
Having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0
The effect of the decision by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1
Is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dure. For example,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2
The smallest of the RS in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3
The RS having a fixed fixed temporary upper RS without considering effects of other RSs (S905). However other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4
RSs reflect the interference and traffic load according to the decision of the previously selected R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5
Determined, and the double the smallest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6
RS with again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7
Is selected. All these processe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8
Repeat until the element at determines the temporary upper RS.

만약 이렇게 선택된 새로운 토폴로지가 이전 토폴로지에 비해 실효 지연을 감소시킨다면, q m 들이 선택한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9
은 실제 상위 RS로 받아들여질 것이다(S907, S909). 그렇지 않으면
Figure 112009032026321-pat00040
은 수용되지 못하고
Figure 112009032026321-pat00041
선택 이전의 토폴로지로 복구시킨다(S911). 그런 다음 G
Figure 112009032026321-pat00042
로 업데이트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선택 절차는 G에 남아 있는 모든 RS들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된다(S913).If this chosen new topology reduces the effective delay compared to the previous topology, q m
Figure 112009032026321-pat00039
Will be accepted as the actual upper RS (S907, S909). Otherwise
Figure 112009032026321-pat00040
Could not be accepted
Figure 112009032026321-pat00041
Restore to the topology before the selection (S911). Then G is
Figure 112009032026321-pat00042
Is updated to. This selection procedure is repeated until all RSs remaining in G disappear (S913).

도 10 및 도 11은 각각 N=3인 경우에 평균 종단 수율과 단말 서비스 불능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와 RS 집단화를 함께 실행한 경우에 최고의 수율과 최저의 서비스 불능률을 이룰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S 계층화' 또는 'RS 집단화' 자체는 동일 채널 간섭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 수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와 RS 집단화 방법을 제외한 다른 방법들의 경우에는 많은 수의 RS에서 RS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 불능 성능이 저하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와 RS 집단화 절차는 많은 수의 RS에 따른 가지간 간섭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10 and 11 are graphs showing average terminal yield and terminal service inefficiency when N = 3, respectively. 10 and 11, it can be seen that the best yield and the lowest service inefficiency can be achieved when RS layering and RS grou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cuted together. In particular, as can be seen from FIG. 11, 'RS layering' or 'RS aggregation' itself is a useful means to reduce co-channel interference. In addition, in the other methods except the RS layering and the RS aggreg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unavailable performance decreases as the number of RSs increases in a large number of RSs.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RS layering and RS grouping proced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equately handle inter-branch interference according to a large number of RS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다중 홉 릴레이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frame

도 2는 N=4인 경우의 다중 홉 릴레이 프레임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ulti-hop relay frame structure when N = 4

도 3은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K=3의 재사용 1/K 방식을 보여주는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euse 1 / K scheme of K = 3 in a multi-hop relay system;

도 4는 K=3의 1/K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한 네트워크를 보여주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network configured by applying a 1 / K frame structure of K = 3.

도 5는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토폴로지 제어의 효과를 보여주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effect of topology control in a multi-hop relay system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적 토폴로지 제어를 위한 계층적 RS 집단화를 보여주는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hierarchical RS grouping for dynamic topology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RS laye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S 계층화 과정에서 간섭원 예측 방식을 보여주는 예시도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interference source prediction method in an RS layer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RS 집단화 방법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RS aggreg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N=3인 경우의 평균 종단 수율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10 is a graph showing average termination yield performance when N = 3

도 11은 N=3인 경우의 평균 단말 서비스 불능률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11 is a graph showing average terminal service inefficiency performance when N = 3

Claims (22)

셀룰러 TDD-OFDMA 시스템의 다중 홉 릴레이를 위한 릴레이 계층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relay layering method for multi-hop relay of a cellular TDD-OFDMA system, (a) 중계기와 기지국간 링크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SINR)를 측정하여 기지국과 최고의 연결을 가지는 중계기들을 선택하여 레이어 1에 속하는 중계기들의 집합을 형성하는 단계;(a) measuring the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SINR) of the link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selecting repeaters having the best connection with the base station to form a set of repeaters belonging to Layer 1; (b) 상기 레이어 1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계기들이 추가로 선택되는 단계;(b) further selecting repeaters that may be included in layer 1; (c) 상기 레이어 1과 최고의 연결을 가지는 중계기가 선택되어 레이어 2에 속하는 중계기들의 집합을 형성하는 단계;(c) selecting a repeater having the best connection with the layer 1 to form a set of repeaters belonging to layer 2; (d) 상기 레이어 2에서 하위 중계기를 가질 수 있는 중계기의 집합이 형성되는 단계; 및(d) forming a set of repeaters which may have lower repeaters in the layer 2; And (e) 상기 레이어 2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계기들이 추가로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되,(e) additionally selecting repeaters that may be included in layer 2; 레이어가 결정된 중계기들 중에서 레이어가 결정되지 않은 중계기의 간섭원으로 작용할 중계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계층화 방법.And determining a repeater that will act as an interference source of the repeater whose layer is not determined, from among the relays having the determined lay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원으로 작용할 중계기는 상기 레이어가 결정된 중계기들 중에서 상기 레이어가 결정되지 않은 중계기가 수신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중계기를 간섭원에서 제외하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계층화 방법.The repeater of claim 1, wherein the repeater to act as an interference source is determined by excluding a repeater whos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by the repeater whose layer is not determined from among the repeater whose layer is determin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Relay layer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tep (b), (b-1)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중계기들로 상기 레이어 1의 후보 집합을 형성하는 단계; 및(b-1) forming a candidate set of the layer 1 with repeaters not selected in the step (a); And (b-2)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중계기들을 통하는 것보다 상기 기지국으로의 직접 연결을 통해 더 큰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중계기들이 상기 후보 집합에서 추가로 선택되어 상기 레이어 1에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계층화 방법.(b-2) additionally selected repeaters from the candidate set and included in the layer 1 that can achieve greater capacity through direct connection to the base station than through the repeaters selected in step (a) Relay layering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집합에서 상기 레이어 1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계기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b-1) 단계 및 (b-2)가 반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계층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further comprising repeating steps (b-1) and (b-2) until no more repeaters can be included in the layer 1 in the candidate set.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e) (e-1) 상기 레이어 1에 포함된 중계기들과 상기 (c) 단계에서 선택된 중계기들을 제외하고 남은 중계기들로 레이어 2의 후보 집합을 형성하는 단계; 및(e-1) forming a candidate set of layer 2 from the repeaters included in the layer 1 and the remaining repeaters except the repeaters selected in the step (c); And (e-2) 상기 (d) 단계에서 형성된 집합에 속하는 중계기를 통해 더 큰 용량을 달성할 수 있는 중계기들이 상기 후보 집합에서 선택되어 상기 레이어 2에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계층화 방법.(e-2) relay repeaters capable of achieving greater capacity through repeaters belonging to the set formed in step (d) are selected from the candidate set and included in the layer 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 집합에서 상기 레이어 2에 포함될 수 있는 중계기가 더 이상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e-1) 단계 및 (e-2)가 반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계층화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repeating steps (e-1) and (e-2) until no more repeaters can be included in the layer 2 in the candidate set. . 삭제delete 셀룰러 TDD-OFDMA 시스템의 다중 홉 릴레이를 위한 릴레이 집단화 방법에 있어서,In the relay aggregation method for multi-hop relay of a cellular TDD-OFDMA system, (a) 상위 중계기와의 링크에서 최소 신호대 간섭 잡음비(SINR)를 가지는 중계기가 테스트 중계기로 선정되는 단계;(a) selecting a repeater having a minimum signal-to-interference noise ratio (SINR) as a test repeater in a link with a higher repeater; (b) 상기 테스트 중계기의 하위 중계기들의 집합에 속하는 각 중계기에 대한 임시 상위 중계기와 임시 실효 지연이 결정되는 단계; 및(b) determining a temporary upper repeater and a temporary effective delay for each repeater belonging to a set of lower repeaters of the test repeater; And (c) 상기 결정된 임시 토폴로지에 대한 임시 실효 지연에 따라 실제 상위 중계기가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집단화 방법.(c) selecting the actual upper repeater according to the temporary effective delay for the determined temporary topolog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tep (b) comprises: (b-1) 상기 임시 상위 중계기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테스트 중계기의 하위 중계기들의 집합에서 가장 작은 임시 실효 지연을 가지는 중계기의 임시 상위 중계기를 고정하는 단계;(b-1) fixing a temporary upper repeater of the repeater having the smallest temporary effective delay in the set of lower repeaters of the test repeater to which the temporary upper repeater is not fixed; (b-2) 상기 임시 상위 중계기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테스트 중계기의 하위 중계기들의 집합의 중계기들이 상기 임시 상위 중계기가 고정된 중계기에 의한 간섭 및 트래픽 부하를 반영하여 임시 실효 지연을 다시 계산하는 단계; 및(b-2) repeating, by the repeaters of the set of lower repeaters of the test repeater, to which the temporary upper repeater is not fixed, reflecting the interference and traffic load caused by the repeater to which the temporary upper repeater is fixed; And (b-3) 상기 임시 상위 중계기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테스트 중계기의 하위 중계기들의 집합에 속하는 모든 중계기들에 대하여 상기 임시 상위 중계기가 고정될 때까지 상기 (b-1) 단계 및 (b-2)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집단화 방법.(b-3) steps (b-1) and (b-2) until the temporary upper repeater is fixed for all repeaters belonging to the set of lower repeaters of the test repeater in which the temporary upper repeater is not fixed; Relay group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peating the steps.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step (c) comprises: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새로운 토폴로지가 상기 (a) 단계의 토폴로지에 비해 실효 지연이 감소된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임시 상위 중계기를 실제 상위 중계기로 선택하는 단계; 및If the new topology determined in step (b) has a reduced effective delay compared to the topology of step (a), selecting the temporary upper repeater determined in step (b) as the actual upper repeater; And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새로운 토폴로지가 상기 (a) 단계의 토폴로지에 비해 실효 지연이 감소되지 않은 경우, 상기 (a) 단계의 토폴로지로 복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릴레이 집단화 방법.Restoring to the topology of step (a) if the new topology determined in step (b) does not reduce the effective delay compared to the topology of step (a). 셀룰러 TDD-OFDMA 시스템의 다중 홉 릴레이를 위한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A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a cellular TDD-OFDMA system, K(K≥2)개로 분할된 릴레이 존의 서브 존들이 다른 레이어에서 재사용되는 자원 재사용 단계;A resource reuse step in which subzones of the K (K≥2) divided relay zones are reused in another layer; 중계기(RS)들을 다른 계층의 레이어들에 배치하는 릴레이 계층화 단계; 및A relay layering step of placing the relays (RSs) in layers of another layer; And 상위 레이어의 동일한 상위 중계기(RS)에 연결되는 중계기(RS)들의 집합을 찾는 릴레이 집단화 단계를 포함하되,Relay grouping step of finding a set of repeaters (RS) connected to the same upper repeater (RS) of the upper layer, 상기 릴레이 계층화 단계는 제1항, 제3항, 제6항, 제7항, 제1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릴레이 계층화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고,The relay layering step includes the steps of the relay layer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6, 7, and 11 to 12, 상기 릴레이 집단화 단계는 제14항, 제15항, 제17항에 중에서 어느 한 항에 따른 릴레이 집단화 방법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The relay grouping step comprises steps of the relay group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15 and 1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재사용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resource reuse step, 다중 홉 릴레이 프레임의 릴레이 존을 K(K≥2)개의 서브 존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Dividing the relay zone of the multi-hop relay frame into K (K ≧ 2) subzones; And 상기 분할된 서브 존들이 매 K(K≥2) 홉마다 다른 레이어에서 재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And wherein the divided sub zones are reused in different layers every K (K≥2) hop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46590A 2009-05-27 2009-05-27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KR101057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590A KR101057914B1 (en) 2009-05-27 2009-05-27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590A KR101057914B1 (en) 2009-05-27 2009-05-27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129A KR20100128129A (en) 2010-12-07
KR101057914B1 true KR101057914B1 (en) 2011-08-19

Family

ID=4350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590A KR101057914B1 (en) 2009-05-27 2009-05-27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91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652B1 (en) 2013-09-10 2021-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operating access point and method for operating relay
WO2015037904A1 (en) * 2013-09-10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peration method for access point and operation method for rel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1809A1 (en) * 2006-11-01 2008-06-26 Siemens Corporation Research, Inc. Hierarchical Frame Structure for OFDMA Systems with Relay
US20080220790A1 (en) * 2007-03-09 2008-09-11 Zte (Usa)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having multihop relay st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1809A1 (en) * 2006-11-01 2008-06-26 Siemens Corporation Research, Inc. Hierarchical Frame Structure for OFDMA Systems with Relay
US20080220790A1 (en) * 2007-03-09 2008-09-11 Zte (Usa) Inc.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having multihop relay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129A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2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Oyman et al. Multihop relaying for broadband wireless mesh networks: From theory to practice
US79171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KR1009981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ting relay mod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741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cooperative relaying
AU2007317699B2 (en) Improving broadcast efficiency in a multihop network
JP5711827B2 (en) 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OFDMA wireless networks with repeater nodes
KR101317500B1 (en) Method for relay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839966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orting state of lin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877097B2 (en) Reuse pattern network scheduling using interference levels
KR1008194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station with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842523B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technique for cellular systems using wireline relay stations
US20080220790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having multihop relay stations
US20080171551A1 (en) Reuse pattern network scheduling using load levels
Abrardo et al. Network coding schem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based relaying for cellular coverage extension
KR20140076694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of multi-hop multi-session
KR20090006329A (en) Signal combining apparatus and resource allocation method to maximize the cellular system capacity using distributed antennas
KR200700822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057914B1 (en) Dynamic Topology Control Method for Multi-hop Relay in Cellular TD-OPDM System
Behnad et al. Distributed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hop decode-and-forward relay systems
Jalil et al. Optimal solution for a joint power allocation and relay assignment problem
Wang et al. Resource allocation for OFDMA relay-enhanced system with cooperative selection diversity
KR20150017652A (en) Scheduling Resources at a Relay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Zainaldin et al.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lte-advanced network using hybrid cooperative relaying and network coding
Ohseki et al. Multihop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dopting fixed relay stations and its time slot allocation sche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