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897B1 -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 Google Patents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897B1
KR101057897B1 KR1020080132825A KR20080132825A KR101057897B1 KR 101057897 B1 KR101057897 B1 KR 101057897B1 KR 1020080132825 A KR1020080132825 A KR 1020080132825A KR 20080132825 A KR20080132825 A KR 20080132825A KR 101057897 B1 KR101057897 B1 KR 101057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network
overlay
sensor network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410A (ko
Inventor
최덕재
석승준
송왕철
김영태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2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8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원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찾아서 그 센싱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합하기 위한 오버레이 네트워크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구현되며 상기 센서 네트워크가 합류하는 센서 P2P 및, 상기 센서 P2P에 피어(Peer)로서 참여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해당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 네트워크, 싱크노드, P2P, 웹 어플리케이션, JABA

Description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OVERLAY INTERLOCKING NETWORK FOR SHARING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이 원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찾아서 그 센싱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하면서 네트워크는 그 범위를 정할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해 졌다.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의 접속으로 가상 사회의 구성원이 되던 기존 네트워크의 범위를 넘어서 이제는 네트워크가 사용자의 환경에 존재하여 사용자는 네트워크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한 채 물리적 사회와 가상 사회를 넘나들게 된 것이다.
국내의 경우 U-Society 기획 아래 국가 주도의 센서 네트워크의 구축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그리고 국내 여러 대학은 연구목적으로 다양한 규모의 센서 네 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진행되었던 센서 네트워크 시범사업들은 수질 모니터링, 기상/해양 관측, 교량 안전, 문화재 관리 등 관리/감시의 기능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계획 중인 사업들 또한 유사한 기능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들 센서 네트워크는 현재 사용자 환경에서 단순히 해당 환경 내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역할에 그치고 있다. 또한, 그 데이터의 사용은 해당 네트워크를 구축한 당사자에 의해서만 접근되고 이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결국, 다양한 서비스로 가공돼야 할 데이터가 센서 네트워크의 폐쇄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센서네트워크와 인터넷 연동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1) Gateway(Proxy) 기반 연동
Gateway(Proxy) 기반 연동은 센서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에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록시 혹은 게이트웨이를 위치시키는 방식이다(도 1 참조). 이 방법은 패킷 변환 기능을 담당하는 게이트웨이(프록시)만 구현하면 적용 가능하다. 프록시 서버의 경우 relay 혹은 front-end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는 사용자로부터 관심이 있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록한 후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후자는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록시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SQL과 같은 질의를 보내서 해당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하지만, 외부망에서 특정 센서네트워 크에 직접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명령을 전달할 수 없다는 단점을 지닌다. 이밖에 게이트웨이 기반의 인터넷 연동 기법 중에는 Delay Tolerant Network(DTN) 게이트웨이를 활용하는 기법이 있다(도 2 참조).
(2) Overlay 기반 연동
(가) TCP/IC Overlay 네트워크
TCP/IC Overlay 기법을 이용한 WSN(Wireless Sensor Network)과 인터넷의 결합은 WSN상에 IP를 이용한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WSN상의 센서 노드들에게 IP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고 IP 주소를 부여하여 IP 패킷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모든 센서 노드에게 IP를 올리는 것은 자원적 제약으로 인해 불가능하기 때문에 처리가 가능한 몇몇의 노드에게 IP 프로토콜을 올리게 된다(도 3 참조). 이 방법은 일부 선택된 노드들에 IP 스택이 탑재되어 인터넷 상의 호스트와 직접 통신이 가능하지만 주소할당의 문제점과 센서 네트워크에 상당한 오버헤드를 부과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나) Overlay Sensor 네트워크
이 기법은 인터넷에 위치한 호스트에 WSN과 연동할 수 있도록 센서네트워크 스택을 이용해 오버레이 센서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인터넷의 사용자 단말이 센서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도록 하위의 인터넷 프로토콜들이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공해 준다(도 4 참조). 즉, 이 방법에서는 데이터 중심의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기법을 인터넷 상에서 응용계층 오버레이 센서 네트워크로 확장하 여 인터넷과 센서 네트워크를 연동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센서노드와 인터넷 호스트 간의 통신이 가능하지만 가상 센서 노드의 경우 프로토콜 오버헤드가 커질 수 있다.
다음, 센서 네트워크와 P2P 네트워크 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센서네트워크에 P2P 네트워크를 구현하는 모델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a. 센서네트워크로 구성된 P2P 네트워크(도 5 참조)
b. 센서노드로 구성된 P2P 네트워크(도 6 참조)
c. 센서네트워크 및 센서노드로 구성된 P2P 네트워크
a는 해당 센서네트워크를 대표하는 싱크 또는 게이트웨이가 P2P 네트워크상에서 하나의 피어(peer)로서 기능한다. 싱크노드는 일반 센서 노드에 비해 연산능력 및 자원이 풍부하여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P2P 네트워크의 기능이 그대로 이용가능하다.
b는 센서네트워크 내부의 센서노드들이 하나의 피어로 동작하여 P2P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해당 센서네트워크 프로토콜과 센서노드의 연산능력에 따라 사용되는 P2P 네트워크는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센서노드는 싱크노드에 비해 낮은 능력을 갖기 때문에 해시 함수를 사용하는 Structured P2P와 같은 P2P 네트워크 구축은 힘들다.
c는 a와 b가 혼합된 형태로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a와 b 각 경우로 P2P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으므로 각 센서노드들이 전체 P2P 단위의 고유 ID를 가질수 있 도록 해야 한다.
다음, P2P 기반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센서 네트워크는 로컬 또는 원격지에 고정되거나 움직일 수 있고 사용자 또한 정적 단말이거나 동적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와 관계없이 센서 네트워크 정보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센서와 네트워크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센서 서비스를 찾는 방법과 통신 프로토콜은 유연하게 동작해야 하고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1) Sharing Sensor Networks
이 방법은 센서 네트워크 정보 공유를 위해 UPnP(Universial Plug and Play) 표준을 활용한 P2P 모델이다(도 7 참조). 이 모델은 P2P Bridge, P2P UPnP Gateway, P2P Substrate, UPnP Proxy로 구성된다. P2P Bridge는 센서 네트워크와 인터넷 사이에서 게이트웨이의 기능과 P2P 모델의 Peer 노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해서 P2P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센서 노드의 속성 데이터로 정리한다. Peer 노드가 P2P Substrate에 Discovery Query를 요청해서 원하는 센서 노드를 찾을 수 있다. P2P UPnP Gateway는 사용자가 P2P 서비스를 통해서 센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즉, 이 모델에서 사용자 응용 서비스는 센서 Peer 노드에게 직접 질의를 보낼 수 없고 UPnP Proxy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는다. 따라서 UPnP를 사용하지 않는 클라이언트는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다. 그리고 UPnP Proxy는 센싱 서비스 종류별로 UPnP Gateway에 의해서 지시된다.
(2) PIAX 기반 센서 P2P 모델
PIAX는 유비쿼터스 디바이스로부터 얻은 정보를 다루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PIAX는 P2P 네트워크 그리고 에이전트와 연동해서 동작한다. 에이전트는 P2P 네트워크에 분사되어 있으며, 복사되어 다른 Peer 노드로 이동될 수도 있다. PIAX는 여러 다중의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동시에 두고 사용자 요구에 가장 적당한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선택한다(도 8 참조). 따라서 센싱 데이터의 종류 및 서비스 종류별로 (예를 들어 비디오 스트리밍, 온도 정보 등) P2P 오버레이를 두고 사용자 요구에 따라서 P2P를 선택하여 질의를 보내도록 한다. 이러한 특성을 Multi-Overlay라고 한다. 이 모델에서는 다중의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어야 하므로 기술적인 복잡성과 함께 많은 자원이 요구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센서 네트워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센서 데이터 공유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원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지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찾아서 그 센싱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센서 네트워크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합하기 위한 오버레이 네트워크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구현되며 상기 센서 네트워크가 합류하는 센서 P2P 및, 상기 센서 P2P에 피어(Peer)로서 참여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해당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또, 상기의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노드는 게이트웨이로써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처리하여 사용자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싱크모듈과,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오버레이 노드모듈과, 센서 P2P 노드의 요구에 따라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센서 P2P 노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또한, 상기의 사용자 단말 피어 노드는 P2P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Pastry 모듈과, 오버레이 상에서 피어간의 상호작용과 인증, 검색, 실시간 데이터의 멀티캐스팅 기능을 제공하는 Scribe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지원하는 PA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노드를 통해 외부망이 센서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오버레이 네트워크상에서 P2P 서비스를 통해 이종 센서 네트워크의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보다 쉽게 다양한 센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그 센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의 개략도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여러 종류의 센서 네트워크가 오버레이 네트워크상에서 통합되고 사용자는 피어(Peer) 노드로부터 각 센서 네트워크의 센싱 정보를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구현된 센서(Sensor) P2P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P2P USN의 센서 네트워크 부분은 다양한 물리적인 센서 네트워크를 목표로 하고 각 네트워크의 싱크노드가 피어 노드로 오버레이 상의 센서 P2P에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유저(User) 노드로써 센서 P2P에 참여하고 응용서비스를 요청하는 주체가 된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구하고자 하는 정보를 P2P USN으로 요청하고, P2P USN는 이 요청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정보에 일치하는 센서 네트워크로 사용자가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P2P 구조는 Pastry를 기초로 한다(참고문헌: A. Rowstron and P. Druschel, "Pastry: Scalable, decentralized object location and routing for large-scale peer-to-peer systems". IFIP/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tributed Systems Platforms (Middleware), Heidelberg, Germany, pages 329-350, November, 2001.)
다음, 상기 네트워크 구조의 구현에 관하여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센서 네트워크는 그 구현 목적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구조와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이종 센서 네트워크를 통합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에서는 앞서 살펴본 오버레이 센서네트워크 연동방식과 센서네트워크로 구성된 P2P 네트워크 방식을 사용하였다. 각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노드는 해당 센서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로써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참여한다.
여기서, 각 싱크노드는 해당 네트워크의 특성에 따른 다른 하드웨어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싱크노드는 하드웨어 독립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데 그 구조는 도 11과 같다.
동 도에서, 싱크 모듈은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처리 하여 사용자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테베이스(DB)에 저장한다. 또한 속한 센서네트워크 내부의 센서노드 관리와 같은 일반 USN의 싱크 노드 기능도 수행한다. 도 12는 싱크 모듈의 실행화면을 보여준다.
오버레이 노드 모듈은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소프트웨어이며 Sensor P2P 노드 모듈은 P2P 센서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P2P 노드 소프트웨어이다(도 13 참조).
응용서비스 모듈은 P2P 노드의 요구에 따라서 센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혹은 직접 받아서 P2P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싱크노드가 센싱 정보를 다루는데 있어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로 구분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실시간 데이터의 경우는 실시간 서비스를 위해 P2P 모듈로 바로 전달되지만 비실시간 데이터의 경우에는 센싱 정보의 공유를 위해 파일을 생성하고 요청에 의해 P2P 모듈로 전달된다. 실시간 데이터의 메시지 구조는 일례로 도 14a,b와 같다.
GPS info는 해당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이고 location은 기관명을 나타낸다. 비실시간 데이터의 파일이름은 일례로 도 15와 같다. 비실시간의 경우 해당 네트워크의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GPS 정보는 파일의 헤더에 저장된다. 이를 바탕으로 구현한 싱크노드의 환경설정 및 관리 프로그램은 일례로 도 16과 같다.
연속하여, 오버레이 P2P 네트워크에 대하여 설명한다.
P2P 네트워크의 서비스 방식에는 크게 Unstructured P2P와 Structured P2P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전체 네트워크 정보가 모든 노드 혹은 한 노드에 의해서 관리되는 Unstructured P2P와 달리 Structured P2P는 각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의 일부분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한다. 이 방식은 분산 인덱싱을 제공하는 DHT(Distributed Hash Table)로 콘텐츠와 피어 정보들을 공통의 단일 주소 공간으로 매핑하여 콘텐츠 저장 및 검색이 이루어지는 분산 구조의 콘텐츠-어드레싱 기반 데이터 저장 기법을 사용한다. DHT의 주요 알고리즘으로 Chord, Pastry, CAN 기법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Pastry 기법을 적용하였다. Pastry 기반 P2P 구조에서 센서네트워크를 공유하려는 사용자는 Pastry P2P 시스템의 피어로서 합류하고 이들 사이에 Pastry 상의 오버레이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리고 인터넷상의 각 사용자 컴퓨터는 하나의 Pastry 피어 노드로서 이러한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합류하여 데이터를 공유한다. 각 피어노드의 스택 구조는 일례로 도 17과 같다.
P2P 오버레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Pastry 모듈과 오버레이 상에서 피어간의 상호작용과 인증, 검색, 실시간 데이터의 멀티캐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Scribe, 비실시간 데이터를 지원하는 PAST 등의 세부 모듈을 포함하는 PSN(P2P Sensor Net) 모듈은 오버레이 P2P 네트워크 구현의 핵심 부분이다.
Pastry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의한 라우팅 기능에 의해, 각 Pastry 노드는 Pastry 링 상에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각 노드는 Pastry에서 부여하는 해시 함수에 의해 발생된 128비트의 노드 ID를 갖는다(도 18 참조).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현한 아키텍처의 서비스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존의 USN 응용서비스는 해당 센서네트워크가 제공하는 정보만을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기에 그 서비스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현재 국가 시범사업에서 보여주는 USN 응용서비스 또한 구축한 특정 센서네트워크의 정보만을 다루고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센서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과 같은 수동적 서비스만을 제공받고 있다. 이처럼 이미 구축된 다양한 센서네트워크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이를 응용서비스의 자원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센서 P2P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센서 P2P를 이용하여 이종 센서네트워크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되면 특 정 센서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다른 센서네트워크가 반응할 수 있는 능동적 응용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구축한 센서 P2P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능동적 응용 서비스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센서 P2P 어플리케이션은 센서네트워크와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상관없이 단말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네트워크를 찾고 원하는 센싱 정보를 활용하여 USN 응용서비스가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그 구조는 일례로 도 19와 같다.
동 도에서, 웹 어플리케이션 부분은 자바스크립트와 Ajax를 이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사용자가 자신을 비롯한 해당 센서네트워크의 지리적 위치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지도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웹 지도는 GPS 좌표 WGS-84를 지원하는 구글 지도 오픈 API를 사용하였다.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와 각 센서네트워크의 정보 창은 그래픽 파트의 세부사항들이다. 오픈 API를 로드하고 사용자 GUI로부터 정보를 가져오는 통신 부분도 웹 어플리케이션의 한 부분이다. JAVA(SWT/Applet) 부분은 사용자가 GUI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Pastry에 질의하거나 웹 어플리케이션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와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데이터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표시하는 그래픽부로 구성되었다.
각 센서 노드들은 토픽정보를 가지고 있다. 토픽이란 센서 노드의 지역, 조직, 노드종류, 센싱 데이터 타입, GPS정보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센서 노드의 식별자이다.
센서 노드는 토픽으로 자신의 정보를 나타냄과 동시에 고유의 브로드캐스팅 그룹을 생성해 접속한 P2P피어에게 센싱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한다.
도 20은 구현된 Map-Based 센서 네트워크 검색 응용 소프트웨어 실행 시의 메인 화면이다. 왼쪽이 웹 어플리케이션 부분이고 오른쪽이 JAVA(SWT/Applet) 부분이다. 사용자는 오른편 GUI 센서검색 탭에서 자신의 위치와 센서 검색에 대한 세부사항을 입력하고 검색을 시작한다. 도 21은 검색 결과 화면이다(a는 지도, b는 목록).
검색 결과 자신의 위치와 검색된 센서네트워크가 마커로 지도에 표시되며 해당 마크를 클릭하면 Zoom-In과 함께 세부 정보창이 나타나게 된다. 검색 결과 목록을 원한다면 Text-based search 탭을 보면 된다. 사용자는 검색 결과를 바탕으로 센서 노드 개수와 타입 등 특정 센서네트워크의 세부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선택한 센서네트워크의 센서 노드와 타입의 선택과 함께 실시간/비실시간의 데이터 특성을 선택할 수 있다(도 22 참조). 실시간 데이터 전송의 경우 도 23에서 보이는 것처럼 위에는 데이터 수치에 따른 그래프가 그려지고 아래에는 해당 데이터의 전송되는 실제(Raw) 데이터 값이 표기된다.
이에 따라, 센서 네트워크와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상관없이 단말이 다양한 종류의 센서 네트워크를 찾고, 원하는 센싱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8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도,
도 9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설명도이다.

Claims (5)

  1. 센서 네트워크와, 상기 센서 네트워크를 통합하기 위한 오버레이 네트워크와, 상기 오버레이 네트워크에 구현되며 상기 센서 네트워크가 합류하는 센서 P2P 및, 상기 센서 P2P에 피어(Peer)로서 참여하여 센서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해당 센서 네트워크로부터 센싱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로 이루어지되,
    상기 사용자 단말 피어 노드는 P2P 오버레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Pastry 모듈과, 오버레이 상에서 피어간의 상호작용과 인증, 검색, 실시간 데이터의 멀티캐스팅 기능을 제공하는 Scribe와, 비실시간 데이터를 지원하는 PAS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네트워크의 싱크노드는 게이트웨이로써 수신된 센싱 정보를 분석,처리하여 사용자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한 싱크모듈과, 오버레이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오버레이 노드모듈과, 센서 P2P 노드의 요구에 따라 센싱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센서 P2P 노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32825A 2008-12-24 2008-12-24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KR101057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825A KR101057897B1 (ko) 2008-12-24 2008-12-24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825A KR101057897B1 (ko) 2008-12-24 2008-12-24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894A Division KR20110023873A (ko) 2011-02-16 2011-02-16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410A KR20100074410A (ko) 2010-07-02
KR101057897B1 true KR101057897B1 (ko) 2011-08-19

Family

ID=4263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825A KR101057897B1 (ko) 2008-12-24 2008-12-24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930B1 (ko) * 2015-11-30 2017-07-24 달리웍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를 가상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입력받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736B1 (ko) 2015-07-23 2016-09-26 주식회사 스마티랩 원격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컨텍스트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930B1 (ko) * 2015-11-30 2017-07-24 달리웍스 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서 외부 데이터를 가상 게이트웨이를 이용해서 입력받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410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594B1 (ko)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irani et al. A scalable and self-configuring architecture for service discovery in the internet of things
Tanganelli et al. Edge-centric distributed discovery and access in the internet of things
CN100518125C (zh) 通信装置、系统和方法
CN101420337A (zh) 一种资源定位的方法、装置和索引服务器
Mäenpää et al. Using RELOAD and CoAP for wide area sensor and actuator networking
Kumaran et al. Social internet of things (siot): Techniques, applications and challenges
KR101057897B1 (ko)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네트워크 구조
Hayes et al. End to end vanet/iot communications a 5g smart cities case study approach
Li et al. Supporting efficient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in the future mobile internet
Shu et al. Sharing worldwide sensor network
He et al. P2P Traffic Optimization based on Congestion Distance and DHT.
KR20110023873A (ko) 센서 네트워크 공유를 위한 오버레이 기반 연동 서비스 시스템
KR100988559B1 (ko) 인터넷상에서 구조화된 피투피 기반의 센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방법
Ish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nsor data sharing platform for virtualized wide area sensor networks
CN101394415B (zh) 用于结构化覆盖网络的资源广播交互机制的方法及装置
Seok et al. Implementation of Pastry-based P2P system to share sensor data
JP2007006214A (ja) リソース情報検索システム、リゾルバ及びプログラム
Piro et al. A de-verticalizing middleware for IoT systems based on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design
Banerjee et al. The survey, researc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CN
Zhu et al. LASPD: a framework for location-aware service provision and discovery in mobile environments
Li Peer-to-Peer Based Web of Things Resource Management
Rodrigues Data Storage Solutions for the Federation of Sensor Networks
Song et al. Pastry based sensor data sharing
KR20120071787A (ko) 원격 접속 환경에서 홈 네트워크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