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379B1 -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 Google Patents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379B1
KR101057379B1 KR1020080126830A KR20080126830A KR101057379B1 KR 101057379 B1 KR101057379 B1 KR 101057379B1 KR 1020080126830 A KR1020080126830 A KR 1020080126830A KR 20080126830 A KR20080126830 A KR 20080126830A KR 101057379 B1 KR101057379 B1 KR 101057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illuminator
fluorescent cover
light emitting
phosp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8109A (ko
Inventor
김희은
이영식
Original Assignee
솔레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레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레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6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8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comprising photoluminescent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6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에 관한 것으로서, 광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조명체용 형광커버와 LED 발광부, LED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형광커버 및 LED 발광부와 형광커버가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이로써,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이용시 LED 발광부의 광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형광체 종류 및 형광커버의 두께 조절만으로 색광을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다.
LED 발광부, 형광커버, 본체

Description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FLOURESCENCE COVER FOR LIGHTING APPARATUS AND MAKING METHOD THEREOF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LED}
본 발명은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광도가 줄지 않으면서도 눈 부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양한 조명색깔의 구현이 가능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체와 이에 사용되는 형광커버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이하, "LED")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LED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조명기술분야도 LED가 사용되고 있는 기술분야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조명체는 전력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디바이스인데 이러한 디바이스에도 LED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조명체는 장식용 및 기능적으로 많이 사용되므로, 색깔을 용이하게 변화시키고, 다양한 방식으로 색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패키지 형태의 LED를 사용하는 조명체들은 광을 용이하게 변경시키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색을 구현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패키지 형태의 LED에는 이미 형광체 가 포함되어 있어서, 조명체의 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패키지 형태의 LED를 선택함으로써만 가능하다. 따라서, 조명체의 제작자는 자신의 원하는 색의 다양한 조명체를 구현하기가 힘든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광도가 줄지 않으면서도 눈 부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조명체와 이에 사용되는 형광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조명색깔의 구현이 가능한 LED를 이용한 조명체와 이에 사용되는 형광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LED 발광체를 이용한 조명체는, LED 발광부와 LED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형광커버 및 LED 발광부와 상기 형광커버가 장착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한편, 형광커버는,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위 형광커버와 LED 발광부는 서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형광커버는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그 두께가 고르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형광커버에는 서로 다른 복수개 종류의 형광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는, LED를 이용한 조명체용 커버에 있어서 광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와 폴리카보 네이트를 포함한다.
한편, 조명체용 형광커버는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그 두께가 고르지 아니할 수 있다.
또한, 조명체용 형광커버에는 서로 다른 복수개 종류의 형광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조명체용 형광커버는, 폴리카보네이트 화합물에 형광체를 혼합하여 혼합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원료를 압출기 호퍼에 넣는 단계와, 상기 혼합원료를 호퍼에서 혼련 및 압축시키는 단계 및 혼련 및 압축된 상기 혼합원료를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체용 형광커버와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는 LED 발광부의 광도가 줄어들지 않으면서도 눈 부심 현상은 형광커버의 형광물질에 의해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조명체용 형광커버와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는, 다양한 조명색깔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개념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개략도를 각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엘이디 발광부(이하,"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1)는 형광커버(30)와 LED 발광부(20)와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형광커버(30)와 LED 발광부(20)가 장착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가 연결되거나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장치(40)로는 SMPS(Switched-Mode Power Supply)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철심에 코일을 감은 초크코일로 형광램프와 직렬로 연결하여 전류의 증가를 방지하는 안정기(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에는 형광커버(30)와 조립후 형광커버(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두개의 긴 형태로 구성된 돌출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LED 발광부(20)는, 전원공급장치(40)로부터 받은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21)와, 이 발광 다이오드(21)가 장착되는 LED 발광부 판(23)을 포함한다.
위 LED 발광부(20)는 전원공급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한다. 정확히는, LED 발광부 판(23)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21)가 발광하는 것이지만,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LED 발광부(20)가 발광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형광커버(30)는 본체(10)의 돌출부(11)에 연결되어 본체(10)와 결합되나, 결합방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형광커버(3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판형상에는 단면의 모양이 일자인 형상, 단면의 모양이 개방된 원주인 형상, 단면의 모양이 반원인 형상, 단면의 모양이 반타원인 형상, 단면의 모양이 개방된 다각형인 형상 등 여러가지로 구비될 수 있다.
형광커버(30)는 후술하는 도면들에서 알 수 있듯이 LED 발광부(20)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는, 형광체를 폴리카보에이트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S301)와 혼합된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 혼합원료를 호퍼에 넣는 단계(S303), 혼합된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 혼합원료를 혼련, 압축 시키는 단계(S305) 및 혼련, 압축된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 혼합원료를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단계(S307)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고온에서 140℃까지 견디며 영하 -100℃이하에서도 강도가 변하지 않는 물질로서, 전기적인 성질은 140℃까지 그대로 유지하고 흡수성은 0.36%로서 흡수에 의한 변화가 거의 없는 물질이다. 직사광선이나 풍우 등 변화에 강하고 투명성에 있어 좋아 여객기 등 항공기 창문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용융온도는 270 내지 300℃ 정도에서 성형이 되는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형광체를 혼합하여 형광커버(30)를 제조하였지만, 본원 발명이 폴리카보네이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 투과성이 좋고, 형광체와 혼합되어 성형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본원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형광체는 자외선 또는 청자색 가시광선의 외부 에너지원에 의해 전자가 여기해 높은 에너지 준위에 있다가 낮은 에너지로 떨어지면서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물질으로서 적용되는 형광체의 종류에 따라 파장이 각각 다르게 나오는 물질을 말한다.
호퍼란 석탄, 모래 따위를 저장하는 큰 통을 말하며 필요에 따라 밑에 달린 깔때기 모양의 출구를 열어 내용물을 내보내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위의 호퍼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형광체 혼합원료가 저장되는 통을 말한다.
혼련 작업이란, 합성수지, 고무와 같은 고분자 재료에 화학 재료를 넣고 열과 기계를 이용하여 고르게 섞어 이기는 작업을, 압축작업은 물질 따위에 압력을 가하여 그 부피를 줄이는 작업을 말한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광커버 제조방법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혼합하는 형광체의 종류를 여러 종류로 하여 혼합하는 방법이 가능하며, 또 다르게는, 성형되는 형광커버의 두께를 서로 다른 형태의 것으로 구비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30)는 반 원주 형상과 끝단에 본체(10)의 돌출부(11)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31)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명체용 형광커버(30)는 폴리카보네이트와 형광체를 혼련, 압축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조명체용 형광커버(30)에는 형광체(33)가 포함되어 있다.
LED 발광부(20)로부터 빛에너지를 받으면, 위 형광체(33)는 LED 발광부(20)로부터 받은 빛에너지에 의해 여기되어 들뜬 상태가 되고 들뜬 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환되면서 빛에너지를 발산하게 되는데, 이때, LED 발광부(20)로부터 받은 빛에너지와 형광체(33)로부터 발산되는 빛에너지가 합해져서 보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형광체(33)의 종류에 따라 다른 종류의 조명 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130)는 반원주 형상과 결합부(131)를 구비하고 있음은 도 4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130)는 서로다른 형광체(133a, 133b, 133c)를 사용하여 조명체용 형광커버(13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3에서 설명한 형광커버 제조방법에 있어서, A부분에 들어가는 형광체는 a형광체(133a)를, B부분에 들어가는 형광체는 b형광체(133b)를, C부분에 들어가는 형광체는 c형광체(133c)를 각 이용하여 제조하되, A부분, B부분, 및 C부분을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A, B, C 부분에 서로다른 형광체(133a, 133b, 133c)를 넣어서 제조되는 조명체용 형광커버(130)의 경우, LED 발광부(120)로부터 발산되는 빛에너지 를 받으면, 각 형광체(133a, 133b, 133c)는 LED 발광부(120)로부터 받는 빛에너지에 의해 여기되고 여기된 전자가 다시 기저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발산하게 되는데, 형광체(133a, 133b, 133c)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감의 빛에너지를 발산하게된다는 효과가 있다.
도 5에서는 A, B, C 부분에 a, b, c 서로 섞이지 않고 제조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a, b, c를 고르게 섞거나 일부를 섞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이보다 적거나 이보다 많은 종류의 형광체가 사용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230)는 반원주 형상과 결합부(231)를 구비하고 있음은 도 4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230)는 서로다른 형광체(233)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체용 형광커버(230) 단면의 두께를 서로 다른 것으로 하여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명체용 형광커버(230) 제조시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되도록 금형을 형성하여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6에서의 그림과 같이 X부분의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Y부분의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면 두께에 따라 발산되는 빛의 색감이 다르게 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LED 발광부(220)로부터 발광된 빛에너지는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에 도달하게 되고,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의 형광체(233)를 여기시키게 된다. 이 때, 조명체용 형광커버(230)의 단면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형광체(233)는 상대적으로 많고, 얇은 부분의 형광체(233)는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여기되었다가 기저상태로 돌아오는 형광체(233) 전자의 수가 두께에 비례하게 되어 서로 다른 색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330)는 반원주 형상과 결합부(331)를 구비하고 있음은 도 4의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330)는 서로다른 형광체(333)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아니라, 조명체용 형광커버(330) 단면의 두께를 서로 다른 것으로 하여 구비하되, 도 6에서의 경우와 같이 구간별로 서로다른 두께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과는 달리 표면이 거친 형태의 것으로 구비 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명체용 형광커버(330) 제조시 조명체용 형광커버(330)의 표면이 거칠게 형성되도록 금형을 형성하여 성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서의 그림과 같이 조명체용 형광커버(330)의 표면은 LED 발광부의 이면 즉, 통상의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300)를 이용시 외부에서 쳐다보았을 때 보이는 부분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명체용 형광커버(330)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면, 형성된 표면 에 따라 빛이 여러방향으로 발산하게 되고, 또한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에 따라 발산되는 빛의 색감이 다르게 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LED 발광부(320)로부터 발광된 빛에너지는 조명체용 형광커버(330)에 도달하게 되고, 조명체용 형광커버(330)의 형광체(333)를 여기시키게 된다. 이 때, 조명체용 형광커버(330)의 거친 표면에 의해 빛이 발산되고, 형광체의 상대적 다소에 의해 서로 다른 색감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1)는 본체(10)와 LED 발광부(20)와 형광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1)에는 본체(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지나친 전류의 증가로 인한 LED 발광부의 램프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기(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10)에는 LED 발광부(20)가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LED 발광부(20)는 본체(1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이 가능하게 된다. LED 발광부(20)는 LED 발광부 판(23)에 발광 다이오드(21)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에는 형광커버(30)와 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11)를 구비하고, 형광커버(30)에는 본체(10)의 돌출부(11)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31)가 구비된다. 본체(10)의 돌출부(11)를 형광커버(30)의 결합부(31)와 결합하여 형광커버(30)가 본 체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구비된다.
본체(10)와 연결된 전원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LED 발광부(20)의 발광다이오드(21)는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빛에너지는 형광커버(30) 방향으로 전달된다.
LED 발광부(20)로부터 빛에너지를 받은 형광커버(30)는 형광커버(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형광체(33)를 여기시키게 되고 여기된 형광체(33)가 기저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LED 발광부(20)로부터 방출된 빛과 형광커버(30)내부의 형광체(33)의 빛이 서로 섞여 보색이 되며 LED 발광부(20)로부터 방출되는 빛과는 다른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100)는 본체(110)와 LED 발광부(120)와 형광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안정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도 8에서의 설명과 같다.
또한, 본체(110)에 구비된 돌출부(111)와 형광커버(130)에 구비된 결합부(131)에 의한 결합에 의해 형광커버(130)가 본체(110)에 결합되는 것 또한 도 8에서의 설명과 같다.
본체(110)와 연결된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LED 발광부(120)의 발광다이오드(121)는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빛에너지는 형광커버(130) 방향으 로 전달된다.
LED 발광부로(120)부터 빛에너지를 받은 형광커버(130)는 형광커버(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형광체(133a, 133b, 133c)를 여기시키게 되고 여기된 형광체(133a, 133b, 133c)가 기저상태로 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도 9의 형광커버(130)는 도 8에서의 형광커버와 같이 형광커버 내부에 한가지 종류의 형광체만 구비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형광체(133a, 133b, 133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LED 발광부(120)로부터 방출된 빛과 형광커버(130) 내부의 형광체(133a, 133b, 133c)의 빛이 서로 섞여 보색이 될 때, A 구간, B 구간 및 C 구간의 보색이 되는 색광이 서로 다른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200)는 본체(210)와 LED 발광부(220)와 형광커버(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안정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도 8에서의 설명과 같다.
또한, 본체(210)에 구비된 돌출부(211)와 형광커버(230)에 구비된 결합부(231)에 의한 결합에 의해 형광커버(230)가 본체(210)에 결합되는 것 또한 도 8에서의 설명과 같다.
본체(210)와 연결된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LED 발광부(220)의 발광다이오드(221)는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빛에너지는 형광커버(230) 방향으 로 전달된다.
LED 발광부(220)로부터 빛에너지를 받은 형광커버(230)는 형광커버(2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형광체(233)를 여기시키게 되고 여기된 형광체(233)가 기저상태로 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도 10의 형광커버(230)는 도 8에서의 형광커버와 같이 형광커버의 두께가 일정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형광커버(230)로 구비되는 것이다.
도 10에서 보다시피, X 구간은 얇은 두께의 형광커버(230x)가, Y 구간은 굵은 두께의 형광커버(230y)가 구비되는데, Y 구간에 구비된 형광체(233)의 양은 X 구간에 구비된 형광체(233)의 양보다 많기 때문에 LED 발광부(220)로부터 방출된 빛과 형광커버(230) 내부의 형광체(233)의 빛이 서로 섞여 보색이 될 때, X 구간과 Y 구간의 보색이 되는 정도가 달라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300)는 본체(310)와 LED 발광부(320)와 형광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전원공급장치(미도시)와 안정기(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은 도 8에서의 설명과 같다.
또한, 본체(310)에 구비된 돌출부(311)와 형광커버(330)에 구비된 결합부(331)에 의한 결합에 의해 형광커버(330)가 본체(310)에 결합되는 것 또한 도 8 에서의 설명과 같다.
본체(310)와 연결된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LED 발광부(320)의 발광다이오드(321)는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고 빛에너지는 형광커버(330) 방향으로 전달된다.
LED 발광부(320)로부터 빛에너지를 받은 형광커버(330)는 형광커버(3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형광체(333)를 여기시키게 되고 여기된 형광체가 기저상태로 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되는데, 도 11의 형광커버(330)는 도 8에서의 형광커버와 같이 형광커버의 표면을 부드럽게 구비한 것이 아니라 표면을 거칠게 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도 11에서 보다시피, 형광커버(330)의 표면, 즉 통상적으로 LED 발광부(320)를 이용한 조명체 사용시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하면 거친 표면에 의해 LED 발광부(320)로부터 방출된 빛과 형광커버(330) 내부의 형광체(333)의 빛이 서로 섞여 보색이 될 때, 표면의 거침과 함께 상대적 두께의 대소로 인해 각 구간별로 서로 다른 빛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체용 형광커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사용시의 절개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ED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의 사용시의 절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명체 10 : 본체
11 : 돌출부 20 : LED 발광부
21 : LED 23 : LED 발광부 판
30 : 형광커버 31 : 결합부
40 : 전원공급장치 50 : 안정기

Claims (9)

  1. 엘이디 발광부;
    상기 엘이디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형광커버; 및
    상기 엘이디 발광부와 상기 형광커버가 장착되는 본체; 를 포함하며,
    상기 형광커버에 포함된 형광체는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형광체이고, 상기 형광커버는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서, 상기 두께가 영역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며, 상기 엘이디 발광부로부터 받는 빛에너지는 상기 형광커버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감의 빛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커버는, 상기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가 혼합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커버와 상기 엘이디 발광부는 이격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4. 삭제
  5. 삭제
  6.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체용 커버에 있어서,
    광에 의해 여기되는 형광체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고, 영역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가지는 판형상을 가지고, 상기 형광체는 하나의 색을 발광하는 형광체이고, 상기 엘이디로부터 받는 빛에너지는 상기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색감의 빛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체용 형광커버.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80126830A 2008-12-12 2008-12-12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KR10105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30A KR101057379B1 (ko) 2008-12-12 2008-12-12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30A KR101057379B1 (ko) 2008-12-12 2008-12-12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109A KR20100068109A (ko) 2010-06-22
KR101057379B1 true KR101057379B1 (ko) 2011-08-17

Family

ID=4236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830A KR101057379B1 (ko) 2008-12-12 2008-12-12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859B1 (ko) * 2011-04-19 2011-10-11 한빔 주식회사 직관형 led조명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605A (ja) * 2006-08-10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冷蔵庫
JP2008166160A (ja) * 2006-12-28 2008-07-17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1605A (ja) * 2006-08-10 2008-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冷蔵庫
JP2008166160A (ja) * 2006-12-28 2008-07-17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109A (ko) 201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0212B2 (en) Materials and optical components for color filtering in a lighting apparatus
EP2247891B1 (en) Gls-alike led light source
JP4931819B2 (ja) 照明装置
WO2003006875A1 (en) A high intensity light source with variable colours
TW201444123A (zh) 波長變換構件及發光裝置
WO2013123128A1 (en) Solid-state lamps with improved emission efficiency and photoluminescence wavelength conversion components therefor
US20160356435A1 (en) Led lighting units, materials, and optical components for white light illumination
CN103874876A (zh) 照明装置
CN105805608B (zh) 一种可调光的led光源
JP2014532954A (ja) ランプシェードを有する照明ユニット
KR101057379B1 (ko) 조명체용 형광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엘이디 발광부를 이용한 조명체
CN101761797A (zh) 发光二极管灯具及其制造方法
CN204538083U (zh) 一种具有防眩光和减少蓝光危害的led发光装置
KR20080000737U (ko) 무드등
KR20110001314U (ko) 면발광체와 이를 이용한 면발광 채널사인
CN203787466U (zh) Led封装结构
CN203099696U (zh) 一种led白光灯罩
CN103574494A (zh) Led灯灯罩
KR101122037B1 (ko) 비접촉식 전원 공급 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CN203731169U (zh) 一种led二次封装的日光灯
CN203718451U (zh) 一种led球泡灯结构
CN201902859U (zh) 一种白光led灯具
CN207527312U (zh) 一种led灯
KR100485377B1 (ko) 형광물질이 혼합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한 장식용안전 형광등
CN103836543A (zh) 一种高光效高显色性led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