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421B1 -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421B1
KR101056421B1 KR1020090010330A KR20090010330A KR101056421B1 KR 101056421 B1 KR101056421 B1 KR 101056421B1 KR 1020090010330 A KR1020090010330 A KR 1020090010330A KR 20090010330 A KR20090010330 A KR 20090010330A KR 101056421 B1 KR101056421 B1 KR 101056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agnant
low
motor shaft
quality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053A (ko
Inventor
명철수
Original Assignee
(주)에코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션 filed Critical (주)에코션
Priority to KR102009001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4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1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4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surface a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수층과 저층의 생태연결 고리를 통해 해수의 순환을 원활히 하여 부영양화된 저층의 저질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부력을 가지며, 상부에 해면의 표층수가 유입되어 모이도록 해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해면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표층수의 유입로를 제공하는 경사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집수부와 저층수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집수부로 모이는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저층수를 수직 상승시켜 표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용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에 의하면, 표층과 저층 간의 지속적인 물의 순환을 통해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고 미생물의 호기성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여 저서 생태계의 건강성을 호전시킬 수 있고 저층의 유/무기 오염원을 표층으로 끌어올려 수층에 서식하는 부유생물들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공기와 접촉시켜 독성물질 및 악취 등을 제거함으로써, 부영양화가 상당히 진행된 연안해양, 인공해양, 및 호소 등의 저질 수질을 적극적이고 환경 친화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정체수역, 부영양화, 표층, 저층, 수질, 정화

Description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WATE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OF STAGNANT WATER}
본 발명은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층과 저층의 생태연결 고리를 통해 해수의 순환을 원활히 하여 저층의 높은 유/무기 오염원을 수층의 부유생물들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부영양화된 연안해양, 인공해양 및 호소 환경을 환경친화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갯벌 및 연안해양은 과도한 인간 활동(산업 및 생활하수 유입, 매립에 따른 침출수 유입, 양식장 운영에 따른 과도한 유기물 축적 등)에 따른 유기물 공급으로 인한 오염이 심각한 수준이며, 그에 따른 피해(적조발생, 생태계 교란, 부영양화, 혐기성환경 조성 등)도 증가추세에 있다.
따라서, 부영양화된 연안환경에서 유/무기(오염)물을 제거를 통한 환경개선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한다.
부영양화된 연안환경의 정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정부에서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오염우심해역이나 가두리 양식장에서 준설 등을 이용한 정화사업을 실시해 오고 있으나, 좁은 지역에서 준설에 의한 오염정화는 오염퇴적토의 재부유로 인해 2차 오명의 위험이 있다. 또한, 준설 초기에는 어느 정도 수질개선 효과가 가 있지만 일정시간이 지나면 효과가 반감되고 막대한 준설비용 등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며, 더욱이 고형화 및 안정화 후의 최종처리 수단(육상매립 및 해양투기 금지)의 미비 등 제도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한편, 준설에 따른 2차 오명에 대한 우려를 완화하고, 처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환경공확적 방법을 이용한 저층퇴적토에 대한 복토(Capping)의 경우 준설에 비해 처리 비용은 낮으나, 혐기성 환경의 영속화로 인한 황화수소의 침출 등으로 인해 저층수 및 지하수의 오염과 저서 생태계의 직접적인 파괴 등 심각한 생태환경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준석이나 복토에 비해 환경친화적이고 비용이 저렴한 생물정화의 경우 심한 환경변화(수온, 영양염 및 포식생물 등)로 인해 대상 미생물의 현장적용(In situ treetment)범위가 대단히 제한적인 단점이 있으며, 특정 대상 오염원(유류, PAHs 등)이 아닌 일반적인 부영양화 저감을 통한 환경개선을 위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부영양화된 연안해양 생태계의 개선에 있어, 준설 및 복토와 같은 토목공학적 방법들을 도입하는데 따른 2차 환경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해양의 생태과정(Oceanographic ecological)의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환경친화적 환경개선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부영양화된 연안 퇴적물 내에서의 유/무기 오염원의 환경 친화적 제거를 위해서는, 저층에서의 유기물 분해 및 생지화학적 물질순환, 수층에서의 유기물 생성 및 영양염순환 그리고 저층과 수층간의 생태연결고리(Benthic-pelagic coupling)규명 등 해양생태 및 생지화학적 과정(Ecological and biogeochemical process)에 기초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연안해양 환경의 수층과 저층 간에는 밀접한 생태환경적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즉, 봄철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의 결과 막대한 양의 유기물이 저층으로 공급되어 저층의 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한편, 하계에는 강한 수온양측으로 인해 저층에서 유기물 분해에 따라 축적 된 영양염의 표층공급이 극히 제한적으로 일어나며, 이는 식물플랑크톤들의 생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추계 이루 동계 기간 동안의 수직적 혼합은 표층으로의 영양염 공급을 유발하고, 이는 식물플랑크톤에 이용되어 춘계 대층식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저층-수층간의 물질순환고리는 수층과 저층간의 건전한 생태계 유지 및 연안역의 높은 생산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해양학적 과정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일부 인공해양(예: 시화호)이나 부영양화된 반폐쇄성 연안해양(예: 진해만, 마산만), 방조제 등으로 인해 형성된 연안담수호(예: 영산호) 및 방조제 외측해양 그리고 연안의 양식장 등에서는 이미 과도하게 축적된 영양염으로 인해, 육지로부터의 오염원을 제거하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층에서의 부영양화 및 플랑크톤 대증식과 그로인한 저층으로의 과도한 유기물 공급과 저층에서의 유기물 분해에 따른 저층의 혐기성화 심화 및 수층으로의 영양염류 용출로 인한 부영양화 재발 등의 악순환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부영양화된 연안해양의 퇴적토는 높은 유기물 부하와 낮은 입도로 인해 표층 수 mm 이내에서 혐기성 환경이 조성된다. 혐기성환경에서는 산소 대신 질산염, 산화철, 황산염 등을 전자수용체로 이용하는 다양한 혐기성 세균이 유기물 분해를 담당하며, 이 중 해양에서는 높은 황산염 농도로 인해 유기물 분해 효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황산염 환원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특히, 소비되지 않은 사료와 물고기의 배설물이 그대로 퇴적토에 침적되는 가두리 양식장이나 유기물 부하가 높은 진해만과 같은 혐기성 내만에서는 황산염 환원에 의해 과도히 축적되는 황화수소는 심한 악취를 내며, 강한 독성으로 인해 저서생태계 내 다양성 악화를 유발하며, 강한 반응성으로 인해 혐기성 환경을 더욱 더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예로서, 가두리 양식장의 경우 황화수소 가스의 발생이 표층 퇴적토에서 최대로 일어나며, 이로 인한 저서생태계 및 양식장 부근의 환경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근래에는 상기한 같이 부영양화된 호수나 양식장 등의 수질정화에 따른 수교환을 위해 소형 수차나 수중폭기장치 등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소규모 호수, 늪, 낚시터 및 연못 등의 수심이 얕은 장소에 한정적으로 적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층과 저층 사이에 인위적으로 수직적인 해류를 형성하여 저층의 유/무기 오염원을 수층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부영양화가 상당히 진행된 연안해양, 인공해양 및 호소 환경을 적극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층수에 대해 자연스러운 하강 해류를 형성하여 저층수 측으로 공급함으로써 별도의 정화장치 없이도 저층수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력을 가지며, 상부에 해면의 표층수가 유입되어 모이도록 해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해면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표층수의 유입로를 제공하는 경사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집수부와 저층수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집수부로 모이는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및
상기 저층수를 수직 상승시켜 표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용승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용승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구동원을 통해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저층수가 표층수로 공급되도록 용승시키기 위한 용승류 생성팬; 및
상기 모터축이 지지되도록 공급관에 설치되는 모터축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원은 본체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축 지지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급관들의 둘레는 스크린부재로 감싸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축 지지부재는 공급관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표층과 저층 간의 지속적인 물의 순환을 통해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고 미생물의 호기성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여 저서 생태계의 건강성을 호전시킬 수 있고 미생물의 분해시 발생된 저층의 유/무기 오염원을 표층으로 끌어올려 수층에 서식하는 부유생물들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공기와 접촉시켜 독성물질 및 악취 등을 제거함으로써, 부영양화가 상당히 진행된 연안해양, 인공해양, 및 호소 등의 저질 수질을 적극적이고 환경 친화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저층에 과도하게 축적된 영양염의 재활용을 통해 부유 생태계를 활성화 시켜 상당한 수준의 생산력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부유 생태계(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소형어류, 대형어류) 내 에너지 흐름을 활성화하여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을 가지며 상부에 해면의 표층수가 유입되어 모이는 집수부(12)가 형성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집수부(12)로 모이는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0) 및 저층수가 표층수로 공급되도록 용승시키기 위한 용승장치(30)로 구성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10)는 물을 흡수하지 아니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아 수중에서 부상력을 받는 소재로 된 것으로서, 본체(10)의 소재로서는 수면에 뜨는 통상의 모든 소재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서 각종 발포수지를 포함한 각종 합성수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실리콘, 방수 처리한 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용존산소가 과포화 용해된 표층수가 유입되어 모이도록 형성되는 집수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집수부(12)는 해면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집수부(12)로 유입된 표층수는 다시 해면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집수부(12)에서 해면 쪽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14)는 표층수의 유입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표층수는 파도 또는 너울 등의 파고시 경사부(14)를 타고 집수부(12)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해면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집수부(12)로 모이는 표층수를 해면과의 위상차에 의해 일정한 하강 해류를 형성하여 공급관(20)을 통해 저층수로 공급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공급관(20)은 본체(10)의 하부에 집수부(12)와 저층수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 수직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공급관(20)은 집수부(12)로 모이는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다.
용승장치(30)는 저층수를 강제적으로 수직 상승시켜 표층수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서 본체(10)의 내부에 구동원을 통해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32)와, 모터(32)의 모터축(33)에 설치되어 저층수가 표층수로 공급되도록 용승시키기 위한 용승류 생성팬(34) 및 모터축(33)이 지지되도록 공급관(20)에 설치되는 모터축 지지부재(36)로 구성된다.
모터(32)는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중공부(16) 내에 구비되어 있다. 모터(32)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모터축(33)이 공급관(20)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모터(32)의 구동원으로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공지의 태양광 발전장치(32)로 이루어진다. 태양광 발전장치(31)는 솔라셀, 충전 제어장치 및 배터리로 구성된다.
용승류 생성팬(34)은 모터축(33)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용승류 생성팬(34)은 모터(32)의 작동시 모터축(33)에 의해 회전되어 저층수가 표층수로 공급되도록 용승류를 생성하게 된다.
모터축 지지부재(36)는 모터축(33)의 자유단이 지지되도록 공급관(2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승장치(30)는 저층수가 표층수로 공급되도록 인위적인 해류(용승)를 형성하여 저층의 유/무기 오염원을 표층수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안해양, 인공해양 및 호소 등의 정체수역에 영양물질이 유입되면 녹조, 남조, 적조 조류 등이 다량 발생하여 표층은 물리적 포화량의 2∼3배까지 용존산소가 과포화되지만 수온 상승에 따라 저층에서 미생물의 분해가 이루어지고 호기성 미생물 분해에 따른 산소 고갈 후 혐기균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면 암모니아, 유화수소, 메탄가스 등의 독성물질이 발생하며 물에 유독성 물질을 영양원으로 하는 유독성 남조류만 남게 된다. 또한 표층에는 용존산소의 과포화, 저층은 무산소 성층 현상을 이루어 저층의 산소 이동은 수온상승과 표층 온도차 그리고 공기밀도 저하, 풍속저하로 인한 물리적 현상으로 불가능하여 저층의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면의 용존산소가 과포화 용해된 표층수는 파도 또는 너울 등의 파고시 본체(10)의 경사부(14)를 타고 집수부(12)로 유입되어 모이게 된다. 이렇게 집수부(12)로 모이는 표층수는 공급관(20)을 따라 저층수로 공급되게 된다.
즉, 본체(10)의 집수부(12)는 해면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되어 집수 부(12)로 모이는 표층수와 해면 사이에 소정의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집수부(12)의 표층수가 공급관(20) 내에서 하강 해류를 형성하여 저층수로 공급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표층수가 저층수로 공급됨에 따라 표층수에 포함된 용존산소가 저층수로 유입되어 미생물의 호기성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하고 혐기성 미생물을 억제하게 된다.
아울러, 표층수가 저층수로 공급되는 과정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장치(3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용승류 생성팬(34)이 회전되어 저층수가 표층수로 수직 공급되도록 인위적인 상승 해류(용승)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면, 용승류 생성팬(34)에 의해 저층의 유기물 분해시 발생되는 유/무기 오염원이 상승 해류를 따라 표층으로 이동되어 수층에 서식하는 부유생물들에 의해 제거되게 되고 또한 저층수는 표층에서 공기와 접촉되어 독성물질(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및 악취 등이 자연히 제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표층과 저층 간에 발생되는 지속적인 물의 순환을 통해 용존산소가 과포화 용해된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여 미생물의 호기성 유기물 분해를 촉진하고, 미생물의 분해시 발생된 저층의 유/무기 오염원을 표층으로 끌어올려 수층에 서식하는 부유생물들에 의해 제거하고 또한 공기와 접촉시켜 독성물질 및 악취 등을 제거함으로써, 부영양화가 상당히 진행된 연안해양, 인공해양, 및 호소 등의 저질 수질을 적극적이고 환경 친화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축 지지부재(36)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급관(20)들의 둘레에 스크린부재(50)가 감싸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모터축 지지부재(36)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급관(20)들의 둘레는 스크린부재(40)로 감싸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승류 생성팬(34)의 작동에 의한 상승 해류(용승) 형성시 저층의 유/무기 요염원은 스크린부재(40)의 하단부로 유입되어 표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모터축 지지부재(36)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급관(20)들의 둘레에 스크린부재(40)가 감싸지게 되어 용승류 생성팬(34)에 의한 상승 해류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저층의 유/무기 오염원을 표층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저층수는 용승류 생성팬(34)의 작동시 스크린부재(40)를 통로로 하여 표층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승 해류의 유속이 증가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축 지지부재(36)가 공급관(20)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모터축 지지부재(36)는 고정부재(50)에 의해 공급관(20)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공급관(20)에는 고정부재(50)가 결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공(22)이 구비되어 있고, 위치결정공(22)과 대응되는 모터축 지지부재(26)에는 고정부재(50)가 위치결정공(22)에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관통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고정부재(50) 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축 지지부재(36)는 관통공(37)을 통과하여 위치결정공(22)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를 통해 공급관(20)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는 모터축 지지부재(36)가 고정부재(50)를 통해 공급관(20)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정체수역의 수심에 따라 용승류 생성팬(34)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한 모터축 지지부재(36)의 높낮이 조절수단으로, 고정부재(50) 대신에 공급관(20)의 길이방향으로 랙기어를 형성하고, 랙기어와 대응되는 모터축 지지부재(36)에 모터로 구동되는 피니언기어를 설치하고 태양광 발전장치(31)로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축 지지부재(36)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집수부
14 : 경사부 20 : 공급관
30 : 용승장치 32 : 모터
34 : 용승류 생성팬 36 : 모터축 지지부재
40 : 스크린부재 50 : 고정부재

Claims (5)

  1. 부력을 가지며, 상부에 해면의 표층수가 유입되어 모이도록 해면보다 높게 형성되는 집수부(12)와 상기 집수부(12)에서 해면 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표층수의 유입로를 제공하는 경사부(14)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집수부(12)와 저층수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 이상 구비되고 상기 집수부(12)로 모이는 표층수를 저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20); 및
    상기 저층수를 수직 상승시켜 표층수로 공급하기 위한 용승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승장치(3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동원을 통해 구동되도록 구비되는 모터(32);
    상기 모터(32)의 모터축(33)에 설치되어 저층수가 표층수로 공급되도록 용승시키기 위한 용승류 생성팬(34); 및
    상기 모터축(33)이 지지되도록 공급관(20)에 설치되는 모터축 지지부재(3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본체(10)에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장치(3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축 지지부재(36)의 하부에 위치되는 공급관(20)들의 둘레는 스크린부재(50)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0)에는 길이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공(2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 지지부재(36)에는 위치결정공(22)과 연통되는 관통공(37)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축 지지부재(36)는 관통공(37)을 통과하여 위치결정공(22)에 결합되는 고정부재(50)에 의해 공급관(20)의 길이방향으로 높낮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KR1020090010330A 2009-02-09 2009-02-09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KR101056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30A KR101056421B1 (ko) 2009-02-09 2009-02-09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330A KR101056421B1 (ko) 2009-02-09 2009-02-09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53A KR20100091053A (ko) 2010-08-18
KR101056421B1 true KR101056421B1 (ko) 2011-08-11

Family

ID=4275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330A KR101056421B1 (ko) 2009-02-09 2009-02-09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4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5537B1 (ko) * 2021-12-01 2022-04-14 주식회사 건일 항만 수질 모니터링 및 정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08A (ko) * 2000-12-26 2002-07-04 허 태 학 태양광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100631323B1 (ko) * 2004-12-31 2006-10-12 최호상 저수지 정화장치
KR100824724B1 (ko) * 2007-08-17 2008-04-23 주식회사 한가람 수류형성 및 미생물 서식매체를 활용한 정체수역 수질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08A (ko) * 2000-12-26 2002-07-04 허 태 학 태양광선을 이용한 수질개선장치
KR100631323B1 (ko) * 2004-12-31 2006-10-12 최호상 저수지 정화장치
KR100824724B1 (ko) * 2007-08-17 2008-04-23 주식회사 한가람 수류형성 및 미생물 서식매체를 활용한 정체수역 수질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053A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372B1 (ko) 자가 발전이 가능한 부유식 수질정화장치
CN104895031B (zh) 一种污染水体泥水同步修复船及使用方法
CN103395891B (zh) 一种微生物燃料电池型立体组合生态浮床装置及应用
CN204324990U (zh) 适用于入湖景观水体的多级生物滤池—生态塘净化系统
KR20110104632A (ko) 그린 에너지를 이용한 수질 정화장치
CN108715486B (zh) 一种流域深潭浅滩分子流体生态修复的方法
CN102249400B (zh) 一种自然水体原位生态修复装置
US20150101981A1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treating wastewater
CN104003527B (zh) 一种污染水体原位修复装置及其方法
CN107352734A (zh) 一种黑臭河流生态系统重构集成方法
CN106007191A (zh) 黑臭河道生态治理系统及其治理方法
CN102674549A (zh) 城市中水应用于景观水体的处理方法
CN103991963A (zh) 一体化浮动式水体净化装置
CN109020064A (zh) 黑臭水体的生态修复方法
CN105776733A (zh) 无重金属及化工污染河道旁路生态净水方法
CN103130377A (zh) 水域污染源生态控制-生物修复耦合技术
CN110937691A (zh) 一种适用于深水水库的物理-生物治理富营养化水华的方法
CN107343452A (zh) 一种用于湖泊河道沉水植物种植装置
KR101834375B1 (ko) 정체 수역 및 하천 복원 시스템
KR101056421B1 (ko)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
CN111573848A (zh) 一种采用石墨烯光催化网水生态综合治理系统
CN105036336B (zh) 一种气耘机动型污染水体治理与修复系统及构建方法
CN217479166U (zh) 用于浅水型湖泊原位净化装置
CN204265529U (zh) 水环境生态修复系统
CN102092889B (zh) 一种湖泊净化及水生态环境复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