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518B1 -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 Google Patents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518B1
KR101055518B1 KR1020110000563A KR20110000563A KR101055518B1 KR 101055518 B1 KR101055518 B1 KR 101055518B1 KR 1020110000563 A KR1020110000563 A KR 1020110000563A KR 20110000563 A KR20110000563 A KR 20110000563A KR 101055518 B1 KR101055518 B1 KR 10105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injection
space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이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곤 filed Critical 이상곤
Priority to KR1020110000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5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14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 A61H2033/143Devices for gas baths with ozone, hydrogen, or the like with oxy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보다 농도 높은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피로회복 등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천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텐트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하는 산소발생장치와, 상기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일측의 소정영역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의 4방향 중, 상기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각각 산소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설치된 분사호스 또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3방면 중 서로 마주보는 2방면의 각각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접근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와, 상기 복수의 분사공 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와,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값을 전송받아 상기 2방면 중, 이용자의 접근정도가 보다 큰 방면에 설치된 분사공을 개방하고, 나머지 방면의 분사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Oxygen providing system}
본 발명은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텐트 내부에서 농도높은 산소를 흡입할 수 있도록 산소발생장치를 통해 텐트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가정, 사무실 등 생활공간은 여름철의 냉방이나 겨울철의 난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내 공기가 밀폐된 상태에서 오랫동안 유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자, 유아 등 환경변화에 적응이 어려운 사람들이 저산소 공간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함으로써 건강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근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산소를 공급하여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이 많은 양의 산소를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피로회복 등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졌고, 산소공급장치와 관련한 기술도 한창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 공급되는 산소는 실내의 공기와 섞여 희석되고 외부의 공기와 교환되면서 호흡이 실제로 발생하는 영역에서는 산소농도가 생각보다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즉, 고순도 산소발생기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평균농도가 대기보다 1~2% 이상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가 보다 농도 높은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피로회복 등 건강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소발생장치에서 생산된 산소를 이용자가 보다 잘 흡입할 수 있는 영역에 공급함으로써 발생된 산소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천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텐트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하는 산소발생장치와, 상기 산소발생장치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일측의 소정영역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의 4방향 중, 상기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각각 산소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공이 설치된 분사호스 또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3방면 중 서로 마주보는 2방면의 각각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접근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와, 상기 복수의 분사공 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와,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값을 전송받아 상기 2방면 중, 이용자의 접근정도가 보다 큰 방면에 설치된 분사공을 개방하고, 나머지 방면의 분사공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감지센서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또는 인체의 적외선 강도를 측정하는 적외선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장치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높이에 설치되되, 상기 분사공은 상기 소정영역을 향하여 산소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는 텐트의 내부에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보다 농도가 높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피로회복 및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텐트 내부에 설치되는 산소공급호스 등의 장치가 수면 시 산소를 효율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이용자가 수면 중 변경하는 얼굴의 위치에 따라 산소의 공급 위치 및 공급작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생산된 산소가 가장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즉, 수면 중 뒤척임에 따라 얼굴이 일측에 치우쳐 위치하거나, 이용자가 의지적으로 일측으로 치우치게 돌아누운 경우에는 그 상황을 감지하여 호흡기가 위치하는 쪽의 분출구에서 산소분출이 집중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산소의 분출이 차단됨으로써 생산되는 산소가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발생장치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의 일예에 대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가 분사호스와 연결호스가 연결되는 지점에 유일하게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9는 도 8의 개폐밸브와 관련한 여러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의 산소발생장치(20)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통기성이 있는 천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텐트(10)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하는 산소발생장치(20)와, 상기 산소발생장치(2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분사하는 분사장치(30)를 포함한다.
상기 텐트(10)는 통상의 텐트구조와 같이 내부에 사람이 누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천으로 둘러싸인 형상이다. 또한, 상기 천은 외부와 내부공간을 구분하는 경계면의 역할을 하되 통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한다. 따라서, 내외부의 공기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에 있는 사람이 질식되거나 유해가스의 농도가 증가하는 위험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텐트(10)의 천이 통기성이 있는 재질일지라도 공기이동에 대한 저항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므로 내부에 공급되는 산소가 소정 시간간격동안 내부영역에 체류할 수 있다.
상기 텐트(10)는 내부공간이 외부로부터 전체적으로 천에 의해 차단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일부분이 개방되더라도 산소가 소정 시간 내부공간에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산소발생장치(20)는 대기 중의 공기로부터 산소를 분리하여 농도가 높은 산소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산소발생장치(20)는 에어필터(21)와, 상기 에어필터(21)를 통과한 공기에서 질소를 분리하여 산소를 배출하는 산소발생모듈(23)과, 상기 산소발생모듈(23)에서 발생한 산소를 저장하는 산소저장장치(24)와, 상기 산소저장장치(24)에서 배출되는 산소의 압력을 조절하여 공급하는 압력조절기(25)를 포함한다. 또한,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필터(21)와 산소발생모듈(23)을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동을 일으키는 흡입기(22)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필터(21)는 주위에 있는 대기 중에서 흡수되는 공기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에어필터(21)를 통과한 공기는 산소발생모듈(23) 내에서 산소와 질소가 분리되어 산소를 배출하게 된다. 상기 산소발생모듈(23)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여 농도 높은 산소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산소발생방법은 투과속도 차이를 이용하는 기체분리막 방법과 제오라이트 성분의 흡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더 높은 순도의 산소를 얻을 수 있는 흡착제방식(PSA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기(22)는 오일리스 흡입기(2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리스 흡입기(22)는 오일을 사용하지 않는 흡입기(22)로서 오일리스 컴퓨레샤를 채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오일에 의한 오염물질의 발생우려가 없으므로 깨끗한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공기를 압축하면 수분이 발생하므로 상기 흡입기(22)에서 압축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필터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필터는 공지되어 있는 수분제거기능의 필터를 채용한다.
상기 구성을 통하여 생산된 산소는 산소저장장치(24) 내에 저장된다. 산소저장장치(24)는 압축기가 구비되어 산소통(Bombe)에 압축된 상태로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저장장치(24)에서 저장된 산소는 배출되어 압력조절기(25)로 공급된다.
상기 압력조절기(25)는 산소저장장치(24)에서 나온 산소를 가감압시킴으로써 설정된 범위의 압력으로 조절하고 있다.
한편, 상기 분사장치(30)는 산소발생장치(20)로부터 배출된 산소를 공급받아 텐트(10)의 내부공간에 배출함으로써 텐트(10) 안에 있는 사람이 산소의 농도가 높은 내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분사장치(30)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일측의 소정영역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의 4방향 중, 상기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각각 산소를 분사하는 분사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영역은 텐트(10)의 바닥에 누운 사람의 머리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통상 텐트(10) 내에서 누운 사람의 머리는 텐트(10)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상기 분사장치(30)의 분사공(34)이 텐트(10)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일측에 둘러서 배치되면 본 발명의 이용자가 분사공(34)이 둘레 즉 3방면에 배치된 영역 내에 머리가 위치하도록 누워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면상의 4방향 중, 상기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은 도 6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누워 있는 이용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영역을 기준으로 수평인 4방면 중 몸이 위치하는 텐트(10)의 중심방향을 제외한 것이다.
3방면에서 상기 소정영역을 향해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이용자의 호흡기 부근의 영역에서 산소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분사장치(30)의 분사공(34)은 3방면 각각에 모두 위치하고 각 방면에서 복수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사공(34)이 설치되는 분사호스(33)는 텐트(10)의 내부공간 둘레의 내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장치(30)에서 산소의 유동통로가 되는 것은 유연성이 있는 분사호스(33)의 형태이고, 파이프의 형태로 대체되는 것도 가능하다. 분사공(34)은 상기 분사호스(33) 또는 파이프에서 누운 사람의 머리가 위치하게 될 상기 소정영역을 향하는 쪽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공(34)은 텐트(10)의 바닥에서부터 30㎝ 가량 높게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비중(1)보다 약간 무거운 비중(1.11)의 산소가 누워있는 이용자의 호흡기 근처에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공급되는 산소기체는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내부공간의 공기 유동으로 희석되고 외부로 배출될 것이므로 상기 분사공(34)에서는 일정한 압력으로 지속적으로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이용자의 머리(호흡기) 주위의 공기 중에서의 산소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텐트(10) 내부에 누워 있거나 수면 중인 사람은 분사되는 산소에 의해 그 사람의 머리 주위에서 산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보다 많은 양의 산소를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주거시설의 실내에서 산소를 공급하는 특정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산소를 배출하고 있는 종래의 산소공급장치의 경우는 실내의 공기와 섞여 희석됨으로써 산소의 농도변화가 사실상 극히 미미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일부 제한된 특정공간에서 산소가 공급됨으로 써 보다 높은 산소농도에서 이용자가 산소를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피로회복 및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텐트(10)의 천은 통기성이 있는 재질이므로 텐트(10) 외부와 공기가 교환될 수 있어 산소발생장치(20)의 고장으로 산소가 고갈되거나 다른 종류의 기체가 내부에 축적되는 상황이 해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면 중인 이용자가 질식이나 해로운 기체를 계속적으로 흡입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일실시예의 분사장치(30)에 있어서, 상기 3방향의 각각에 이용자의 접근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44)와, 상기 복수의 분사공(34)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36)와,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44)의 감지값을 전송받아 이용자의 상대적인 접근정도가 큰 감지센서(44) 주위의 분사공(34)을 개방하고, 접근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감지센서(44) 주위의 분사공(34)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밸브(3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포함한다. 나머지 구성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감지센서(44)는 누워있는 사람의 머리가 접근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44)는 분사장치(30)가 설치되는 3면의 각각에 복수개씩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3면 중 서로 마주보는 양측, 즉 이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좌우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감지센서(44)가 설치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감지작용이 가능하다.
감지센서(44)는 거리감지센서 또는 적외선센서가 선택된다. 거리감지센서는 초음파를 발사한 후 돌아오는 시간을 감지하여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센서가 대표적이다. 특정 거리감지센서에서 측정된 값이 타 거리감지센서와 비교하여 가까운 거리로 감지되면 누워있는 사람의 머리가 거리감지센서에 접근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적외선센서는 인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적외선센서에서 측정되는 감지값이 타 적외선센서에 비해 크면 누워있는 사람의 머리가 그 적외선 센서에 접근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36)는 후술하는 제어장치(50)의 제어에 의해 분사장치(30)를 구성하는 유로(334)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밸브(36)는 산소공급장치와 연결된 연결호스(26)와 분사장치(30)의 분사호스(33)가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개폐밸브(36)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개폐밸브(36)는 스텝모터(361)와, 밸브회전구(362)를 포함한다. 밸브회전구(362)는 양쪽 유로(334)를 연통시킬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개폐밸브(36)가 분사호스(33)의 유로(334)를 개방시킨 상태이다. 그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어장치(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텝모터(361)가 밸브회전구(362)를 90도 회전시키면 도 7의 확대된 부분과 같이 유로(334)가 폐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의 확대된 부분은 도 4의 A-A선을 따르는 단면에서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제어장치(50)는 감지센서(44)로부터 측정된 감지값에 따라 개폐밸브(36)의 작동을 제어하고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어장치(50)는 각 감지센서(44)로부터 측정된 감지값을 서로 비교하여 누워있는 사람의 머리가 가깝게 접근한 감지센서(44)를 파악하고, 누워있는 사람의 머리가 우측과 좌측 중 어느 쪽으로 설정된 정도이상 치우쳐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 후, 두 개의 개폐밸브(36) 중 한쪽을 폐쇄하고 한 쪽을 개방상태로 둔다. 이에 따라, 누워 있는 사람의 머리(호흡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산소분사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분사공(34)의 분사가 중지되고 가까운 위치 주변의 분사공(34)들에서 산소를 분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이용자가 호흡하고 있는 영역에 집중하여 산소가 분사되어 생산된 산소가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의 작동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이용자가 텐트(10)의 내부에 바르게 누워 수면을 취하는 초기에는 얼굴이 상측을 보는 상태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는 각 감지센서(44)에서 측정된 값, 특히 좌우측에 위치하는 감지센서(44a,44b; 44g,44h)에서 측정된 값은 설정된 범위 이하의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그 경우에는 모든 분사공(34)에 고르게 산소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용자가 의지적으로 또는 수면 중 뒤척이게 되면, 도 7과 같이 한쪽으로 크게 치우친 자세에서 누워있거나 수면을 취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호흡기가 위치하는 얼굴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고, 이용자의 머리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g 및 h 위치의 분사공(34)에 분사되는 산소는 얼구주위의 산소농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정도가 매우 낮고 텐트(10) 내부의 공기와 희석되어 소정시간 후 텐트(10)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도 7은 그와 같은 f, g 및 h 위치의 분사공(34)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도록 개폐밸브(36b)가 확대된 그림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로(334)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나머지 a 내지 e위치에서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이용자의 호흡기가 위치하는 주변영역에 산소분사가 집중될 수 있고, 생산되는 산소가 효과적으로 이용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기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36)가 분사호스(33)와 연결호스(26)가 연결되는 지점에 유일하게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그러한 개폐밸브(36)가 제어장치(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여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만일, 도 8과 같이 이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라면 개폐밸브(36c)는 도 9의 (a)와 같이 양측 유로(334)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전체 분사공(34)에서 고르게 산소가 분사되도록 한다.
도 8의 이용자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이용자가 누워있는 상태라면 개폐밸브(36c)는 도 9의 (b)와 같이 좌측유로(e,f,g,h 위치방향)로만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호흡기가 위치하는 주변영역에 산소분사가 집중되도록 한다.
도 8의 이용자를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이용자가 누워있는 상태(도 7과 같은 상태이다)라면 개폐밸브(36c)는 도 9의 (c)와 같이 우측유로(a,b,c,d 위치방향)로만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호흡기가 위치하는 주변영역에 산소분사가 집중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텐트 20; 산소발생장치
21; 에어필터 22; 흡입기
23; 산소발생모듈 24; 산소저장장치
25; 압력조절기 26; 연결호스
30; 분사장치 33; 분사호스
334; 유로 34,34a~34h; 분사공
36,36a,36b,36c; 개폐밸브 361; 스텝모터
362; 밸브회전구 44,44a~44h; 감지센서

Claims (6)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천으로 상기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텐트(10)와,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산소를 발생시켜 소정의 압력으로 배출하는 산소발생장치(20)와,
    상기 산소발생장치(2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상기 내부 공간에 산소를 분사하는 분사장치(3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장치(30)는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부에서 치우친 일측의 소정영역을 중심으로 수평면상의 4방향 중, 상기 중심부를 향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방면에서 각각 산소를 분사하도록 복수의 분사공(34)이 설치된 분사호스(33) 또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3방면 중 서로 마주보는 2방면의 각각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접근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44)와,
    상기 복수의 분사공(34) 중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밸브(36)와,
    각각의 상기 감지센서(44)의 감지값을 전송받아 상기 2방면 중, 이용자의 접근정도가 보다 큰 방면에 설치된 분사공(34)을 개방하고, 나머지 방면의 분사공(34)을 폐쇄하도록 상기 개폐밸브(3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44)는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 또는 인체의 적외선 강도를 측정하는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30)는 상기 내부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진 소정높이에 설치되되, 상기 분사공(34)은 상기 소정영역을 향하여 산소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00563A 2011-01-04 2011-01-04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KR101055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3A KR101055518B1 (ko) 2011-01-04 2011-01-04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563A KR101055518B1 (ko) 2011-01-04 2011-01-04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518B1 true KR101055518B1 (ko) 2011-08-08

Family

ID=4509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563A KR101055518B1 (ko) 2011-01-04 2011-01-04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871B1 (ko) 2016-01-05 2017-07-04 주식회사 엔에프 산소흡입공간 제공용 침대
WO2020159148A1 (ko) * 2019-01-28 2020-08-06 닉스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시스템 및 수면 유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438A (ko) * 2004-03-30 2005-10-06 주식회사 옥서스 산소발생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6438A (ko) * 2004-03-30 2005-10-06 주식회사 옥서스 산소발생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871B1 (ko) 2016-01-05 2017-07-04 주식회사 엔에프 산소흡입공간 제공용 침대
WO2020159148A1 (ko) * 2019-01-28 2020-08-06 닉스주식회사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수면시스템 및 수면 유도 장치
CN113329781A (zh) * 2019-01-28 2021-08-31 Nyx株式会社 使用二氧化碳的睡眠系统和睡眠诱导装置
US11338108B2 (en) 2019-01-28 2022-05-24 Nyx Inc. Sleep system and sleep-inducing device using carbon dioxi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4204C (en) A respiratory valve apparatus
JP2023138851A (ja) 酸素富化ガス送達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1178199A (ja) 呼吸ガスの加湿
US9345851B2 (en) Direction switching valve unit and cough assist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454012Y1 (ko) 고압산소챔버
US9616194B2 (en) Ventilation mask with integrated piloted exhalation valve and method of ventilating a patient using the same
US20120037160A1 (en) Respirator and method of identifying cleanliness/turbidity of filter thereof
CN102019019A (zh) 麻醉装置和用于运行麻醉装置的方法
CN103298512A (zh) 用于供应气体的系统、设备以及方法
GB2433701B (en) Valve for a breathing apparatus
CN115916311A (zh) 便携式氧气浓缩器中的功率管理
CN207253550U (zh) 便于给围术期病人雾化治疗的新型雾化给药设备
KR101055518B1 (ko) 산소흡입공간 제공장치
KR102165948B1 (ko) 산소발생기가 구비되는 공기청정기
CN109794008B (zh) 基于面罩的呼吸设备
US20230112985A1 (en) Breath detection with movement compensation
TW201134510A (en) Humidifier and oxygen enrichment device using same
WO202109149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n oxygen concentrator
CN115867342A (zh) 具有湿度管理的氧气浓缩器
KR20110056941A (ko) 산소 공급 기능을 구비한 침대
KR102565294B1 (ko) 무가열 가습 및 호흡 압력의 정밀제어가 가능한 양압기
KR20210123727A (ko) 집중력 및 학습능력을 향상을 위한 이산화탄소 저감 공기청정기
US11007342B1 (en) Fluid mixing apparatus such as a ventilator
US20210154427A1 (en) Oxygen concentrator with improved sieve bed construction
TW202206134A (zh) 例如呼吸器之流體混合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