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5441B1 -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 Google Patents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5441B1
KR101055441B1 KR1020100024863A KR20100024863A KR101055441B1 KR 101055441 B1 KR101055441 B1 KR 101055441B1 KR 1020100024863 A KR1020100024863 A KR 1020100024863A KR 20100024863 A KR20100024863 A KR 20100024863A KR 101055441 B1 KR101055441 B1 KR 101055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otor
vibration motor
extend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5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5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5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는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전압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향으로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연장되고 모터의 축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부가 연장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직선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모터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Power supplier of vibrating motor}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설치높이가 요구되어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의 박형화를 이룰 수 있는 전원공급체에 관한 것이다.
진동모터는 무선호출기, 휴대전화 등에 설치되어 호출 또는 전화가 올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한 장치로, 소정의 탄성을 갖는 전원공급체에 의해 단말기의 기판과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접촉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체의 일례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체(10)는 전원공급부(11), 지지부(12) 및 전원수급부(13)로 구성된다.
전원공급부(11)는 진동모터의 후벽부를 지지하며 진동모터에 설치되는 외부접속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구(11a)가 형성된다.
지지부(12)는 진동모터의 하면의 일부를 지지하며 전원공급부(11)와 직교하게 일체로 절곡된다.
전원수급부(13)는 제1전원수급부(13a), 연결지지부(13b) 및 제2전원수급부(13c)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원수급부(13a)는 지지부(12)로부터 일체로 도면에서 좌향으로 약 180°로 둥글게 절곡된다.
연결지지부(13b)는 지지부(12) 보다 다소 길이가 짧으며 지지부(12)와 평행하게 제1전원수급부(13a)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전원수급부(13c)는 연결지지부(13b)로부터 일체로 도면에서 하향으로 약 180°로 둥글게 절곡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전원공급체(10)는 도 5과 같이 설치되는바, 진동모터(20)는 L자형 베이스(30)에 안착되고, 베이스(30)가 전원공급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전원공급체(10)의 전원공급부(11)와 지지부(12)가 베이스(30)와 결합되며 진동모터(20)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전원공급단자(21)가 모터전원공급체(10)의 개방구(11a)의 외부까지 노출된다.
이때, 외부로 노출된 전원공급단자(21)는 땜납에 의해 전원공급체(10)와 결합되며, 제2전원수급부(13c)는 단말기에 설치되는 기판(50)에 형성된 단자랜드(51)와 접촉된다. 따라서, 기판(5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 전원공급체(10)를 통해 진동모터(20)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기술의 전원공급체(10)는 기판(50)으로부터 전원을 수급하는 전원수급부(13)가 제1전원수급부(13a), 연결지지부(13b) 및 제2전원수급부(13c)로 구성되어 높이(h)가 높기 때문에 전원공급체(10)를 진동모터(20)와 기판(50) 사이에 설치하는 데 비교적 큰 공간이 요구되었고, 이는 단말기의 박형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체(10)가 응력(tension)을 받게 되는 경우, 특정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제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발생되는 소성변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모터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는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전압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향으로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굴곡부와, 상기 굴곡부로부터 연장되고 모터의 축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부가 연장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직선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모터고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의 반지름은 상기 굴곡부의 반지름보다 작다.
또한, 상기 직선부의 길이는 상기 굴곡부의 지름보다 작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또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직선부는 반원형상이다.
또한, 상기 모터고정부는 상기 모터의 측부에 구비된 브라켓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는 절곡된 방향으로 힘(응력)을 받으며, 반지름(R,r)이 형성되므로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프링의 길이가 길수록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바, 반지름(R,r)을 형성하여 스프링의 길이를 최대로 하여 소성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모터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진동모터에 장착된 전원공급체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진동모터에 장착된 전원공급체의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동모터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동모터(110)의 전체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와 도 3은 진동모터(110)에 장착된 전원공급체(130)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110)는 주로 휴대폰과 같은 소형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모터로서, 내부에 철심에 코일이 감겨진 회전자가 수용되어 있으며 이 회전자의 중심에는 축받침으로 지지받는 출력축(140)이 고정되고, 이 출력축(140)의 선단부는 진동모터(110)의 전단부분을 관통하도록 연재된다.
또한, 출력축(140)의 선단부에는 분동(150)이 코킹 또는 압입되고, 분동(150)은 출력축(140)에 편심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축(140)의 회전력으로 분동(150)을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모터(110) 자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동(150)이 부착된 진동모터(110)는 휴대용 단말기에 주로 사용되어 진동력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진동모터(110)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회로기판(160)의 전기적 접속을 원터치로 가능하게 하도록 전원공급체(13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체(130)는 회로기판(160)으로부터 전해진 전압 및 전기신호를 진동모터(110)에 인가시킨다. 이때, 전원공급체(130)는 진동모터(110)의 외곽에 장착된 브라켓(120)에 의해 진동모터(110)에 쉽게 결합 및 지지된다.
A는 축방향을 나타낸 것이며, B는 회로기판(160)으로부터 전원공급체(130)에 인가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체(130)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전원공급체(130)는 회로기판(160)에 접촉되어 전압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131)와, 접촉부(131)로부터 연장되고 상향으로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굴곡부(132)와, 굴곡부(132)로부터 연장되어 축방향(A)과 동일방향으로 직선형성된 직선부(133)와, 직선부(133)의 일부가 연장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직선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134) 및 상기 단차부(13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진동모터(110)에 고정되는 모터고정부(1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원공급체(130)는 탄성적인 지지를 위하여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응력을 흡수하여 변형이 최소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131)는 최하단부가 회로기판(160)에 접촉되어 전압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도록 곡선형상으로 이루어지며, B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바람직하기로, 접촉부(131)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굴곡부(132)는 접촉부(131)로부터 연장되고 상향으로 곡선형으로 이루어지며, 굴곡부(132)의 제1 반지름(R)은 접촉부(131)의 제2 반지름(r)보다 더 크다. 굴곡부(132)도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부(133)는 굴곡부(132)로부터 연장되어 축방향(A)과 동일방향으로 직선형성되되, 그 길이는 굴곡부(132)의 반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134)는 직선부(133)의 일부가 연장방향으로 절개되며 직선부(133)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것이며, 단차진 길이는 굴곡부(132)의 제1 반지름(R)의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고정부(135)는 단차부(134)로부터 상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진동모터(11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때 모터고정부(135)와 진동모터(110)의 사이에는 브라켓(120)이 장착되어 모터고정부(135)와 진동모터(1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32)와 단차부(134)는 직선부(133)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각각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즉, 굴곡부(132)는 직선부(133)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단차부(134)는 직선부(133)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110)의 전원공급체(130)는 절곡된 방향으로 힘(응력)을 받으며, 반지름(R,r)이 형성되므로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구조를 가진다. 또한, 스프링의 길이가 길수록 소성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바, 반지름(R,r)을 형성하여 스프링의 길이를 최대로 하여 소성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진동모터 120: 브라켓
130: 전원공급체 131: 접촉부
132: 굴곡부 133: 직선부
134: 단차부 135: 모터고정부
140: 출력축 150: 분동
160: 회로기판

Claims (7)

  1. 회로기판에 접촉되어 전압 및 전기신호를 인가받기 위해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접촉부;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고 상향으로 곡선형으로 이루어진 굴곡부;
    상기 굴곡부로부터 연장되고 모터의 축방향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일부가 연장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직선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되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 및
    상기 단차부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모터에 고정되는 모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반지름은 상기 굴곡부의 반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길이는 상기 굴곡부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중앙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와 상기 직선부는 반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고정부는 상기 모터의 측부에 구비된 브라켓에 의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KR1020100024863A 2010-03-19 2010-03-19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KR101055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63A KR101055441B1 (ko) 2010-03-19 2010-03-19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63A KR101055441B1 (ko) 2010-03-19 2010-03-19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5441B1 true KR101055441B1 (ko) 2011-08-08

Family

ID=4493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63A KR101055441B1 (ko) 2010-03-19 2010-03-19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54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521A (ja) 2001-08-03 2003-02-1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3174753A (ja) 2001-12-04 2003-06-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及び小型振動モータ並びに携帯用情報機器
KR20030051292A (ko) * 2001-12-14 2003-06-25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2009247213A (ja) 2009-07-31 2009-10-22 Shicoh Engineering Co Ltd モータ及び携帯電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5521A (ja) 2001-08-03 2003-02-1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3174753A (ja) 2001-12-04 2003-06-20 Namiki Precision Jewel Co Ltd 小型モータ及び小型振動モータ並びに携帯用情報機器
KR20030051292A (ko) * 2001-12-14 2003-06-25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모터
JP2009247213A (ja) 2009-07-31 2009-10-22 Shicoh Engineering Co Ltd モータ及び携帯電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9630B2 (en) Vibrating motor
KR100431061B1 (ko) 진동모터
US880337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022945B1 (ko) 브러시리스 진동모터
US20090224616A1 (en) Flat Vibration Motor
KR101148530B1 (ko) 선형 진동자
JP2004215382A (ja) 振動発生用小型モ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US8076808B2 (en) Flat type vibration motor
US7615901B2 (en) Slim type vibration motor
US6734594B2 (en) Vibration motor
US7679241B2 (en) Vibration motor
US11025147B2 (en) Vibration motor
KR101055441B1 (ko) 진동모터의 전원공급체
US7173355B2 (en) Bar-type vibration motor
KR20160028134A (ko) 컨틸레버형 진동발생기
CN110048579B (zh) 一种振动马达
KR101072076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100083338A (ko) 모터
JP2007053891A (ja) 一体型ブラシ及びこれを備えた振動モータ
KR100568289B1 (ko) U자형으로 벤딩된 브러쉬를 구비하는 진동모터
CN211019208U (zh) 发声器件
KR101119284B1 (ko) 편평형 진동모터
KR20100102318A (ko) 편평형 진동 모터
WO2000070726A1 (fr) Moteur de petite taille et support de moteur
JP4267371B2 (ja) 振動発生用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