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60B1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60B1
KR101054560B1 KR1020080094392A KR20080094392A KR101054560B1 KR 101054560 B1 KR101054560 B1 KR 101054560B1 KR 1020080094392 A KR1020080094392 A KR 1020080094392A KR 20080094392 A KR20080094392 A KR 20080094392A KR 101054560 B1 KR101054560 B1 KR 10105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downstream
upstream
extension pip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3062A (en
Inventor
히또시 스즈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3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0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4Hose or pipe couplings for telescopic or extensible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양호한 수납성과 청소성을 확보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Provided is an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good storage and cleaning properties.

자연 길이 상태에서 수축 상태로 되고 외력에 의해 신장되는 상류측 호스부(11)의 하류측에, 자연 길이(natural length) 상태에서 신장 상태로 되고 외력에 의해 수축되는 상기 연장관 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빠지기 가능한 하류측 호스부(12)의 상류측을 접속한다. 상류측 호스부(11)가 신장된 상태에서 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고정 수단(33)을 구비한다. 청소 시에는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고정 수단(33)에 의해 유지된다. 수납 시에는 상류측 호스부(11)를 수축 상태로 하여 연장관(6) 내에 수납함으로써 관부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수납성을 확보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which is in a contracted state in the natural length state and is elongated by an external force is pulled out of the extension tube which is elongated in the natural length state and is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The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as much as possible is connected. It is provided with the fixing means 33 which can maintain this extended state in the state which the upstream hose part 11 extended. At the time of cleaning, it is hold | maintained by the fixing means 33 in the state which extended the upstream hose part 11. FIG. At the time of storing, by storing the upstream hose part 11 in the contracted state and accommodating it in the extension pipe 6, the whole length of a pipe part can be shortened and favorable storage property can be ensured.

수납성, 청소성, 상류측 호스부, 하류측 호스부, 관부 Storage property, cleaning property, upstream hose part, downstream hose part, pipe part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VACUUM CLEANER}Electric vacuum cleaner {ELECTRIC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접속되는 관부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acuum cleaner having a pipe portion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 suction side of an electric blower.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소기 본체에는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관부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 관부는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호스체와, 이 호스체(hose body)의 선단부측에 접속되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연장관을 구비하고,이 연장관의 선단부에는 흡입구체(suction port body)인 바닥 브러시가 접속된다.Conventionally, this type of vacuum cleaner has a vacuum cleaner main body which accommodates an electric blower. The vacuum cleaner body is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a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ipe part. The pipe section includes an elongated cylindrical hose body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nd an elongated cylindrical extension tube connected to the distal end side of the hose body, and a su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extension tube. body brush) is connected.

호스체는 가요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에 의해 주름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기 청소기는 수납할 때에 청소기 본체를 세운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오목부에 연장관의 일부를 걸게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The hose body is formed into a corrugated box shape by a flexible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nd can be ben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is vacuum cleaner makes a part of extension tube hang in the recessed part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a cleaner body in the state which stood up when a vacuum cleaner was stor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이와 같은 전기 청소기는 청소 작업성을 고려하여 호스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상태에서 호스체를 연장관이나 청소기 본체 등에 권취한 상태로 해야 하므로 외관 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수납 공간이 크게 되어 버리는 등 수납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Since such a vacuum cleaner has a relatively long hose body in consideration of cleaning workability, the hose body must be wound in an extension pipe or a cleaner body in a stored state, so that the vacuum cleaner is not good in appearance and has a large storage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storage properties are not good, for example.

따라서, 호스체를 자연 길이 상태에서 줄어든 상태로 되도록 신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하여 수납 시에는 호스체가 줄어듦으로써 수납성을 향상시킨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2 참조).Therefore, an electric vacuum cleaner is known in which the hose body is formed so as to be in a reduced state in a natural length state, and the storage body is improved by reducing the hose body during storage (see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2006-255305호 공보(제3페이지, 도1 내지 2)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255305 (3rd page, Figs. 1 and 2)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2006-326093호 공보(제6 내지 7페이지, 도8)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6-326093 (pages 6 to 7, FIG. 8)

그러나, 상술한 전기 청소기에서는 호스체를, 줄어드는 힘에 대항하여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청소 작업을 하므로 이 청소 작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동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바닥 브러시가 피청소면, 즉 바닥면에 접착되어 진공도가 상승된 경우 등에는 부압에 의해 호스체가 줄어들어 버려 청소 작업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vacuum cleaner, the hose body is cleaned while maintaining the elongated state against the decreasing force. In this clean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floor brush is to be clean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electric blower, that is, the bottom surface. In the case where the degree of vacuum is increased due to the adhesion to the pressure, the hose body is reduced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and thus the cleaning workability is not good.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수납성과 청소성을 확보한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vacuum cleaner which secured favorable storage property and cleaning property.

본 발명은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 이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접속되는 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관부는 연장관과, 이 연장관 내에 수납되고, 자연 길이 상태에서 수축 상태로 되고 외력에 의해 신장되는 상류측 호스부와, 상기 연장관 내의 상기 상류측 호스부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자연 길이 상태에서 신장 상태로 되고 외력에 의해 수축되는 하류측 호스부와, 상기 상류측 호스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cuum cleaner body accommodating an electric blower, and a pipe portion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body, wherein the pipe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ipe, the extension pipe is contracted in a natural length state. An upstream hose portion that is in a state and is extended by an external force, a downstream hose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a downstream side of the upstream hose portion in the extension pipe and is extended in a natural length state and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upstream side It is provided with the fixing means which can maintain this extended state in the state which a hose part extended.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 시에는 상류측 호스부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 수단에 의해 유지함으로써 상류측 호스부가 작업 중에 전동 송풍기의 부압 등에 의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청소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수납 시에는 상류측 호스부를 수축 상태로 하여 연장관 내에 수납함으로써 관부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양호한 수납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leaning, the upstream hose portion is held by the fixing means in an extended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upstream hose portion from being reduced by negative pressure or the like of the electric blower during operation, thereby ensuring good cleaning properties, and By storing the upstream hose in a contracted state in the extension tube, the entire length of the tube can be shortened, and good storage properties can be ensur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구성을 도1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of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전기 청소기 전체를 도시하는 도15 및 도16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청소기 본체이며, 이 청소기 본체(1)는 내부에 수용된 전동 송풍기(2)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흡기풍과 함께 흡입한 진애를 착탈 가능한 종이 팩, 혹은 집진 장치인 집진 컵 등의 도시하지 않은 집진부에서 집진한다.In Figs. 15 and 16 showing the entire vacuum cleaner,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leaner body, and the vacuum cleaner body 1 is a dust sucked together with the intake air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2 housed therein. The dust is collected in a dust collecting unit (not shown) such as a removable paper pack or a dust collecting cup which is a dust collecting device.

또한, 이 청소기 본체(1)에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본체 흡입구(3)가 개구되고, 이 본체 흡입구(3)에는 관부(4)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이 청소기 본체(1)는 피청소면으로서의 바닥면 상을 주행 가능하게 하는 차륜을 구비 하고 있다. 여기서, 전기 청소기의 운전 시에 있어서의 흡기풍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측, 하류측으로 하여 설명해 간다.In addition, a main body suction port 3 that sucks air from the outside is opened in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a pipe part 4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3. And this cleaner main body 1 is equipped with the wheel which enables running on the floor surface as a to-be-cleaned surface. Here, it demonstrates as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n the basis of the direction through which the intake air flows at the time of operation of a vacuum cleaner.

관부(4)는 도1 내지 도6 및 도15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흡입구(3)에 하류단부가 접속되는 호스체(5)와, 이 호스체(5)의 상류단부측에 하류단부측이 접속되는 신축 가능한 연장관(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장관(6)의 상류단부에 바닥 브러시(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6 and 15 to 16, the pipe portion 4 includes a hose body 5 having a downstream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3, and an upstream end side of the hose body 5; It is provided with the flexible extension pipe 6 to which the downstream end side is connected. The bottom brush 7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extension pipe 6.

호스체(5)는 연장관(6) 내에 수납 배치되고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 호스부(11)와, 이 상류측 호스부(11)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연장관(6)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인출 가능한 하류측 호스부(12)를 구비하고, 이들 양 호스부(11, 12)가 접속부로서의 연결부, 즉 연결관인 호스 연결 조인트(13)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또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호스체(5)는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430㎜ 정도의 전체 길이가 되고,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800㎜ 정도의 전체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hose body 5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ipe 6 and located upstream, and is downstream of this upstream side hose part 11, and at least one part is extended from the extension pipe 6; The downstream hose part 12 which can be pulled out is provided, and these hose parts 11 and 12 are mutually connected and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art as a connection part, ie,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which is a connection pipe. And this hose body 5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a total length of about 430 mm, for example in the state which contracted to the maximum, and may be a total length of about 800 mm, for example, in the state which extended to the maximum.

상류측 호스부(11)는 가요성 및 신축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류측 호스부(11)는 도7, 도8 및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 상자(bellows)부(11a)를 나선 형상으로 갖는 주름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연 길이 상태, 즉 외력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주름 상자부(11a)의 간격이 대략 0인 상태, 바꾸어 말하면 축방향으로 수축된 상태(수축 상태)가 되고, 또한 축방향을 따라 외력을 가함으로써 주름 상자부(11a)의 간격이 넓어져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is formed in the elongate cylindrical shape by synthetic resin, such as a flexible and stretchable member, for example, an elastomer. Moreover, this upstream hose part 1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leat box which has a bellows part 11a in a spiral shape, as shown to FIG. 7, FIG. 8, and FIGS. State, that is, a state where the interval of the corrugation box portion 11a is approximately zero in a state where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other words, a state in which the corrugation box portion 11a is contracted in the axial direction (shrinkage state), an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corrugation box portion It is form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of 11a may be expanded and extended.

따라서, 상류측 호스부(11)는 축방향으로 가한 외력을 유지함으로써 신장 상태를 유지 가능하며, 이 신장 상태에서는 자연 길이 상태로 복귀되는 방향, 즉 수축 방향으로 압박되게 된다.Therefore,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can hold | maintain an extended state by maintain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axial direction, and in this extended state, it presses in the direction which returns to a natural length state, ie, a contraction direction.

또한, 이 상류측 호스부(11)의 길이와, 상기 신축 가능한 연장관(6)의 길이의 관계는 적어도 상류측 호스부(11)가 수축 상태일 때, 또한 연장관(6)이 수축 상태에 있을 때에 연장관(6)의 내부에 상류측 호스부(11) 전체가 수납 가능한 길이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수축 상태에 있는 연장관(6)의 전체 길이보다도 수축 상태에 있는 상류측 호스부(11)쪽이 짧은 전체 길이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and the length of the stretchable extension tube 6 is at least when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is in a contracted state, and the extension tube 6 is in a contracted state. At this time, the whole upstream hose part 11 has the length relationship which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ipe 6 inside. That is, the upstream hose part 11 in a contracted state is shorter than the full length of the extended tube 6 in a contracted stat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류측 호스부(11)는 수축 상태 혹은 최대로 신장된 상태의 어떠한 경우에도 연장관(6) 내에 수납되는 길이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comprised by the length relationship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ipe 6 in any case of a contraction state or the state extended to the maximum.

또한, 연장관(6) 내에 삽입된 상류측 호스부(11)의 상류단부에, 연장관(6)의 상류단부측의 내부에서 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한 미끄럼 이동부로서의 호스 슬라이드 플랜지인 원통 형상의 플랜지부(15)가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하류단부에는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상류측이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상류측 호스부(11)[호스체(5)]는 상류측이 연장관(6)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Moreover, in the upstream end part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inserted in the extension pipe 6, it is a cylindrical shape which is a hose slide flange as a sliding part which can sl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in the upstream end part side of the extension pipe 6. As shown in FIG. The flange 15 is fixed, and the upstream side of the hose joint 13 is fixed to the downstream end. In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hose body 5) comprised in this way, an upstream side is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extension pipe 6. As shown in FIG.

플랜지부(15)는 강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상류측 호스부(11)의 상류단부에 삽입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플랜지부 본체(15a)와, 이 플랜지부 본체(15a)의 상류측인 선단부측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 향으로 일체로 돌출된 플랜지(15b)를 갖고 있다.The flange portion 15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rigidity, for example, a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lange portion body 15a inserted into an upstream end of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and the flange portion body. It has the flange 15b which integrally protruded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end | tip part side which is an upstream of (15a).

플랜지부 본체(15a)의 외주면에는 상류측 호스부(11)의 상류측 내주면에 걸리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플랜지 걸림 갈고리부(15c)가 직경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main body 15a, a substantially cylindrical flange engaging hook portion 15c, which is caught on the upstream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stream side hose portion 11,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이 플랜지 걸림 갈고리부(15c)가 상류측 호스부(11)의 상류측 내주면에 걸린 상태에서 플랜지부 본체(15a)와 상류측 호스부(11)의 상류측 내주면이,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랜지부 본체(15a)의 하류단부는 하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In a state where the flange engaging hook portion 15c is engaged with the upstream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the upstream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main body 15a and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is formed by, for example, an adhesive or the like. It is stuck. Moreover, the downstream end of this flange part main body 15a is formed so that diameter may become small gradually toward a downstream side.

플랜지(15b)는 상류측 호스부(11)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외경 치수를 갖고, 플랜지부 본체(15a)의 둘레 전체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랜지(15b)의 외주면은 연장관(6)의 상류측 내주면에 대향하고, 이 외주면에 시일 부재인 패킹(15d)를 끼워 넣어 연장관(6)의 내주면과 상류측 호스부(11)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lange 15b has an outer diameter dimension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and protrudes throughout the periphery of the flange part main body 15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15b faces the upstream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6, and a seal 15d, which is a seal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6 and the upstream side hose portion 11.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confidentiality.

또한, 이 플랜지(15b)의 선단부에는 플랜지부(15)가 연장관(6) 내에서 상류측으로 미끄럼 이동했을 때의 스토퍼로 되는 상류측(선단부측) 접촉면인 둥근 고리 평면 형상의 상류측 스토퍼면(15e)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랜지(15b)의 하류측인 기단부에는 플랜지부(15)가 연장관(6) 내에서 하류측으로 미끄럼 이동했을 때의 스토퍼로 되는 하류측(기단부측) 접촉면인 둥근 고리 평면 형상의 하류측 스토퍼면(15f)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upstream side stopper surface of the round ring plane shape which is an upstream (front end side) contact surface which becomes a stopper when the flange part 15 slides upstream in the extension pipe 6 in the front end part of this flange 15b ( 15e) is formed. Similarly, in the proximal en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lange 15b, the downstream stopper of the round ring plane shape which is a downstream side (proximal end side) contact surface which becomes a stopper when the flange part 15 slides downstream in the extension pipe 6. The surface 15f is formed.

한편, 하류측 호스부(12)는 가요성 및 신축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엘라 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가늘고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류측 호스부(11)보다도 내경 치수 및 외경 치수가 크다. 또한, 이 하류측 호스부(12)는 도7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름 상자부(12a)를 나선 형상으로 갖는 주름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주름 상자부(12a)의 내부에 수축 방지부로서의 형상 유지 부재인 도시하지 않은 코어선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wnstream hose portion 12 is formed into a thin elongated cylinder by a member having flexibility and elasticity, for example, an elastomer or the like, and has an inner diameter dimension and an outer diameter dimension than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Is large. In addition, the downstream hose portion 12 is formed in a pleat box shape having a pleat box portion 12a in a spiral shape as shown in FIGS. 7 to 14, and inside the pleat box portion 12a. The core wir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which is a shape maintaining member as a shrinkage prevention part is provided.

이 코어선에 의해, 자연 길이 상태에서 주름 상자부(12a)의 간격이 0보다 큰 소정 거리로 되도록, 즉 완전히 수축되지 않도록 유지되고 있는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 외력(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주름 상자부(12a)의 간격이 넓어져 신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By the core line, the wrinkle box portion 12a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larger than zero, i.e., not completely contracted in the natural length state, an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ensile force) along the axial direction. It is form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of 12a may be expanded and extended.

즉, 이 하류측 호스부(12)는 상류측 호스부(11)보다도 외력, 혹은 전동 송풍기(2)의 부압 등에 의해 수축되기 어려워, 바꾸어 말하면 이들 외력이나 전동 송풍기(2)의 부압에 의한 수축성이 상류측 호스부(11)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That is, the downstream hose portion 12 is less likely to be contracted by the external force or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electric blower 2 than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in other words, the shrinkage of the external hose or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electric blower 2 is different. It is formed smaller than this upstream hose part 11.

또한,이 하류측 호스부(12)의 신장성은 상류측 호스부(11)와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he extensibility of this downstream hose part 12 may be formed equivalently to the upstream hose part 11.

또한, 이 하류측 호스부(12)는 상류측 호스부(11)가 수축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연장관(6) 내에 수납 가능한 길이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류측 호스부(12)는 상류측 호스부(11)보다도 긴 전체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하류측 호스부(12)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류측이 연장관(6)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동시에, 하류측은 연장관(6)의 하류단부측으로부터 항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Moreover, this downstream hose part 12 has the length which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ipe 6 at least one part in the state which the upstream hose part 11 contracted. In this embodiment, the downstream hose part 12 has a total length longer than the upstream hose part 11, and the upstream side is inside the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in which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s contracted. The downstream side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ownstream end side of the extension pipe 6.

또한, 이 하류측 호스부(12)의 상류단부에는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하류측 이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동시에, 하류단부는 본체 흡입구(3)와 착탈하기 위한 착탈부인 대략 원통 형상의 클램프부(17)(도15, 도16 참조)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류측 호스부(12)의 호스 연결 조인트(13)와 클램프부(17)의 대략 중간부의 외주면에는 하류측 호스부(12)의 일부를 수축한 상태에서 연장관(6) 내에 유지 고정하는 피고정부로서의 둥근 고리 형상의 호스 고정 링(18)이 설치되어 있다(도16, 도9 등 참조).The downstream en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stream end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and the downstream end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lamp which is a detachable par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main body suction port 3. It is inserted into the part 17 (refer FIG. 15, FIG. 16), and is fix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and the clamp part 17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hold | maintains and fixes in the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which contracted a part of downstream hose part 12 in the contracted state. A round ring-shaped hose fixing ring 18 as a defendant is provided (see Figs. 16, 9 and the like).

클램프부(17)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인 클램프 버튼(17a)이 외부에 노출되어 이 클램프 버튼(17a)의 조작에 의해 본체 흡입구(3)의 접속을 해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6, the clamp portion 17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lamp button 17a, which is an operation portion, and the main body suction port 3 can be disconn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clamp button 17a.

호스 고정 링(18)은 상류측 호스부(11)가 자연 길이 상태의 축방향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연장관(6) 내에 하류측 호스부(12)의 일부를 수납했을 때에 연장관(6)의 하류단부에 하류측 호스부(12)를 고정하는 부분이며, 강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고, 하류측 호스부(12)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The hose fixing ring 18 is downstream of the extension pipe 6 when the upstream hose part 11 has received a portion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n the extension pipe 6 in a state in which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contracted in the axial direction in a natural length state. It is a part which fixes the downstream hose part 12 to an edge part, is formed of the member which has rigidity, for example, synthetic resin, etc., and is fixed integrally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hose part 12. As shown in FIG.

또한, 이 호스 고정 링(18)은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선단부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갈고리형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류측 기단부에는 걸림 오목부(18a)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hose retaining ring 18 is provided with a hook-type notched convex portion proje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at the upstream end portion, and at the downstream base end portion. The part 18a is formed.

호스 고정 링(18)의 도시하지 않은 걸림 볼록부는 하류측 호스부(12)의 외주면에서 주름 상자부(12a)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져, 호스 고정 링(18)을 하류측 호스부(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빠짐 방지하고 있다.The engagement convex which is not shown of the hose retaining ring 18 is inserted and fitted between the corrugation box part 12a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and the hose retaining ring 18 is inserted into the downstream hose part 12 )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in the axial direction.

걸림 오목부(18a)는 호스 고정 링(18)이 연장관(6)의 하류단부에 고정될 때에 걸리는 부분이며, 호스 고정 링(18)의 기단부의 둘레 전체에 걸쳐 오목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locking recess 18a is a part which is caught when the hose fixing ring 18 is fix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extension pipe 6, and is formed in a concave groove shap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base end of the hose fixing ring 18.

호스 연결 조인트(13)는 도1 내지 도3, 도7, 도8 및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선단부측)에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류측 접속부(상류측 연결부)로서의 상류측 원통부(13a)와, 하류측(기단부측)에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류측 접속부(하류측 연결부)로서의 하류측 원통부(13b)와, 이들 원통부(13a, 13b)의 중간부의 외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미끄럼 접촉부(sliding contact part)로서의 둥근 고리 플랜지 형상(차양 형상)의 조인트 플랜지부(13c)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7, 8, and 12 to 14,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is an upstream side connecting portion (upstream side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n the upstream side (leading end side). Upstream cylindrical portion 13a as a lower portion, downstream cylindrical portion 13b as a downstream connecting portion (downstream connecting portion)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n a downstream side (base end side), and a middle of these cylindrical portions 13a and 13b. It is provided with the joint flange part 13c of the round ring flange shape (shade shape) as a sliding contact part which protruded radially over the whole outer peripheral surface circumference.

그리고, 이 조인트 플랜지부(13c)에 있어서의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축선에 직교하는 위치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각각 직선 형상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인 한 쌍의 가이드 볼록부(13d)(도1 내지 도3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And a pair of guide convex part 13d which is a guide protrusion which protruded linearly in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sition orthogonal to the axis line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in this joint flange part 13c ( 1 to 3).

상류측 원통부(13a)는 상류측 호스부(11)의 내경 치수보다도 작은 외경 치수를 갖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 상류측 호스부(11)의 하류측의 내주면에 걸리는 상류측 접속 걸림부로서의 원기둥 형상의 볼록부(13e)(도1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The upstream cylindrical part 13a has an outer diameter dimension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and is a cylinder as an upstream connection engaging part which is caught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convex part 13e (refer FIG. 1) of the shape is formed.

이 볼록부(13e)가 상류측 호스부(11)의 하류측의 내주면에 걸린 상태에서 상류측 원통부(13a)와 상류측 호스부(11)의 하류측의 내주면을,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하고 있다. 또한, 이 상류측 원통부(13a)의 상류단부 외주면은 상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7 및 도8 참조).In the state where this convex part 13e is caught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the upstream cylindrical part 13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are, for example, adhesive agents, etc. It is stuck by. Moreover, the upstream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is upstream cylindrical part 13a is formed so that diameter may become small gradually toward an upstream (refer FIG. 7 and FIG. 8).

하류측 원통부(13b)는 하류측 호스부(12)의 내경 치수보다도 작고, 또한 상류측 원통부(13a)의 외경 치수보다도 큰 외경 치수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류측 원통부(13a)보다도 큰 내경 치수를 갖고 있다. 따라서, 호스 연결 조인트(13)는 원통부(13a, 13b)의 연속부인 축방향의 대략 중간부이며 단차 형상으로 직경이 넓어지고 있다.The downstream cylindrical portion 13b has an outer diameter dimension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dimension of the downstream hose portion 12 and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dimension of the upstream cylindrical portion 13a, and is larger than the upstream cylindrical portion 13a. It has an inner diameter dimension. Therefore, the hose joint 13 is substantially the middle part of the axial direction which is the continuous part of the cylindrical parts 13a and 13b, and the diameter becomes wide in step shape.

또한, 이 하류측 원통부(13b)는 그 외주면에 하류측 호스부(12)의 상류측의 내주면에 걸리는 하류측 접속 걸림부로서의 원기둥 형상의 볼록부(13f)(도1 참조)를 갖고,이 볼록부(13f)가 하류측 호스부(12)의 상류측의 내주면에 걸린 상태에서 하류측 원통부(13b)와 하류측 호스부(12)의 상류측의 내주면을,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하고 있다. 또한, 이 하류측 원통부(13b)의 하류단부 외주면은 하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12 등 참조).Moreover, this downstream cylindrical part 13b has the cylindrical convex part 13f (refer FIG. 1) as the downstream connection engaging part which hang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stream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is convex part 13f was caught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stream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the downstream cylindrical part 13b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stream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for example, an adhesive agent etc. It is stuck by. Further, the downstream en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cylindrical portion 13b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downstream side (see FIG. 12 and the like).

조인트 플랜지부(13c)는 선단부가 연장관(6)의 내주면에 약간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직경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조인트 플랜지부(13c)는 상류측의 단부면이 상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도7 및 도8 참조).The joint flange part 13c is formed in the diameter dimension which the front end part oppose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tension pipe 6 with a some clearance gap. Moreover, this joint flange part 13c is formed inclin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upstream end surface may become small gradually toward an upstream (refer FIG. 7 and FIG. 8).

한 쌍의 가이드 볼록부(13d)는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외주면으로부터 선단부측이 연장관(6)의 내면측에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호스체(5)의 미끄럼 이동을 연장관(6)의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볼록부(13d)는 선단부의 적어도 하류측의 부분이 곡면 형상, 즉 각부를 갖지 않도록 형성된 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가이드 볼록부(13d)의 선단부 전체가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pair of guide convex portions 13d are fitted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extension pipe 6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se body 5 is preven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pe 6. It is configured to guide along. Further, each guide convex portion 13d is a boss formed such that at least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tip portion has a curved shape, that is, no corner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whole front-end | tip part of each guide convex part 13d is formed in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한편, 연장관(6)은 도1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에 위치하는 연장관부로서의 제1 연장관부인 내부 파이프, 즉 상류측 연장관(21)과 이 상류측 연장관(21)의 하류측에 접속된 연장관부로서의 제2 연장관부인 외부 파이프, 즉 하류측 연장관(22)을 구비하고, 하류측 연장관(22)의 상류측에 상류측 연장관(21)의 하류측이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이들 연장관(21, 22)의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에 의해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ipe 6 is an inner pipe which is a first extension pipe part as an extension pipe part located upstream as shown in Figs. 1 to 9, that is, an upstream extension pipe 21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t is provided with the outer pipe which is a 2nd extension pipe part as an extension pipe part connected to the downstream side, ie,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the downstream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s slidable to the upstream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n an axial direction. It is inserted so that it can expand and contract by the relative sliding of these extension pipes 21 and 22. FIG.

또한, 이 연장관(6)의 외주면 상에는 이 연장관(6)을 최대로 신축시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신축 조작부로서의 제1 로크 수단인 신축 클램프(23)가 특히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호스체(5)를 연장관(6)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으로서의 유지부인 제2 로크 수단으로서의 호스 클램프(24, 24)가 축방향으로 교차(직교)하는 좌우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다.Moreov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is extension pipe 6, the expansion clamp 23 which is a 1st locking means as an extension | strength operation part for maintaining this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which extended | stretched to the maximum is provided especially in the upper surface, and the hose body ( Hose clamps 24 and 24 serving as second locking means serving as holding means for holding 5) in the extension pipe 6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intersecting (orthogonally) in the axial direction.

ㄴ그리고, 이 연장관(6)은 최대한 수축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610㎜ 정도의 전체 길이가 되고,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870㎜ 정도의 전체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And this extension pipe 6 is set so that it may become a total length of about 610 mm in the state which contracted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and will be a total length of about 870 mm, for example in the state which is extended to the maximum.

상류측 연장관(21)은 이 상류측 연장관(21)의 상류측을 이루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제1 연장관부(26)와, 이 제1 연장관부(26)의 하류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류측 연장관(21)의 하류측을 이루는 가늘고 긴 원통 형상의 제2 연장관부(27)를 갖고 있다.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elongated cylindrical part 26 of the elongated cylindrical shape which forms an upstream side of this upstream extension pipe 21, and downstream of this 1st extension pipe part 26, and is integrated upstream. It has the elongate cylindrical 2nd extension pipe part 27 which forms the downstream side of the side extension pipe 21. As shown in FIG.

제1 연장관부(26)는 상류단부에 바닥 브러시(7)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흡입 구체 접속부로서의 제1 연장관부(26)보다 직경이 작은 브러시용 클램프부(26a)가 형성되고, 이 브러시용 클램프부(26a)와의 연속부의 내주면은 상류측 호스부(11)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는 상류측 미끄럼 이동 규제면(26b)을 형성하고 있다(도1 내지 도4).The 1st extension pipe part 26 is provided with the brush clamp part 26a of diameter smaller than the 1st extension pipe part 26 as a suction sphere connection part which makes the bottom brush 7 detachable at an upstream end, and this brush us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inuous portion with the clamp portion 26a forms an upstream sliding control surface 26b for restrict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Figs. 1 to 4).

또한, 이 제1 연장관부(26)에는 브러시용 클램프부(26a)보다도 하류측의 하면에 수납 상태에서 관부(4)를 청소기 본체(1)에 걸기 위한 걸림 돌출부(2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연장관부(26)의 하류측의 외주면에 하류측 연장관(22)의 스토퍼인 빠짐 방지 볼록부(26d)가 둘레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도1, 도4, 도7 등 참조).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26c for hooking the pipe portion 4 to the cleaner main body 1 in a housed state on a lower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brush clamp portion 26a. Moreover, the fall prevention convex part 26d which is the stopper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of this 1st extension pipe part 26 over the whole circumferential direction (FIG. 1, FIG. 4, FIG. 7). And so on).

브러시용 클램프부(26a)는 클램프부 커버(26e)로부터 브러시용 클램프 버튼(26f)이 외부에 노출되고, 이 브러시용 클램프 버튼(26f)의 조작에 의해 상류측 연장관(21)에 접속되어 있는 바닥 브러시(7)를 이 상류측 연장관(2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brush clamp part 26a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clamp part cover 26e, and the brush clamp button 26f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by operation of this brush clamp button 26f. The bottom brush 7 can be separated from this upstream extension pipe 21.

상류측 미끄럼 이동 규제면(26b)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용 클램프부(26a)가 제1 연장관부(26)보다도 직경이 작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내주면에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호스체(5)의 미끄럼 이동 시에 플랜지부(15)의 상류측 스토퍼면(15e)이 단차부에 접촉됨으로써 호스체(5)의 상류측으로의 미끄럼 이동 위치(미끄럼 이동량)가 규제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pstream sliding control surface 26b has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in the central axial direction due to the diameter of the brush clamp 26a being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 Therefore, when the hose body 5 slides, the upstream stopper surface 15e of the flange 15 comes in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so that the sliding position (sliding amount) toward the upstream side of the hose body 5 is regulated.

걸림 돌출부(26c)는 제1 연장관부(26)에 대하여 선단부측이 상류측으로 굴곡된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걸림 돌출 부(26c)의 선단부측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의 저부에 설치된 관부 걸림 오목부인 오목 홈부(28)에 걸기 가능하며, 이 걸기에 의해 관부(4)가 청소기 본체(1)에 고정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26c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in which the tip end side is bent upstream with respect to 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As shown in Fig. 15, the distal end side of the locking protrusion 26c can be hooked to the recessed groove 28, which is a pipe locking reces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leaner body 1, and the hooking portion 4 can be hooked up by the hooking.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cleaner body 1.

도1 내지 도8에 있어서, 제1 연장관부(26)의 하류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빠짐 방지 볼록부(26d)는 하류측 연장관(22)의 상류단부가 접촉됨으로써 이 하류측 연장관(22)의 상류측으로의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하여 하류측 연장관(22)의 상류측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다.1 to 8, the fall prevention convex portion 26d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side of the first extension tube portion 26 is contacted by the up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so that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The sliding position of the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prevented from being slipped upstream.

제2 연장관부(27)는 제1 연장관부(26)보다도 긴 축방향 치수를 갖고 있다. 또한, 이 제2 연장관부(27)의 상류측의 내주면에는 제1 연장관(26)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상류측 호스부(11)의 빠짐을 방지하는 단차부(27a)(도8 참조)가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연장관부(27)의 상측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서로 이격된 개소, 예를 들어 상류단부 근방 및 하류단부 근방에 신축 클램프(23)의 걸림 돌기부(23e)가 결합 가능한 구멍부(27b, 27c)(도7, 도1 등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has an axial dimension longer than that of 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Moreover, the step part 27a (refer FIG. 8) which prevents a fall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which slides in the 1st extension pipe 26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stream of this 2nd extension pipe part 27 is provided. It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In addition,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for example, a hole portion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23e of the elastic clamp 23 can be coupled to the vicinity of the upstream end and the downstream end ( 27b and 27c (see Fig. 7, Fig. 1 and the like) are formed.

또한, 이 제2 연장관부(27)의 하류단부의 내주면은 하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도10 참조). 또한, 이 제2 연장관부(27)의 내주면의 축방향 전체의 양측부에는 호스체(5)의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 홈부(27d, 27d)(도1, 도7 내지 도9 등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홈부(27d)에 대응하는 제2 연장관부(27)의 외주면은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측 빠짐 방지 부로서의 빠짐 방지 단차부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wnstream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expands toward the downstream side (see Fig. 10). Moreover, the guide as a fitting guide part which each guide convex part 13d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of the hose body 5 fits in the both axial direction whole part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is 2nd extension pipe part 27 is fitted. Grooves 27d and 27d (see Figs. 1, 7-9, etc.) are form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portion 27d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all prevention step portion as the downstream fall prevention portion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제1 연장관부(26)의 하류단부에서, 이 하류단부 부분보다도 내주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27a)에는 제1 연장관부(26)의 하류단부가 접촉된다. 또한, 호스체(5)의 상류측 호스부(11)가 하류측으로 미끄럼 이동했을 때 상류측 호스부(11)의 플랜지부(15)의 스토퍼면(15f)이 단차부(27a)에 접촉됨으로써 상류측 호스부(11)의 하류측으로의 가일층의 미끄럼 이동을 규제하여 호스체(5)의 빠짐을 방지하는 호스체 스토퍼(호스체 빠짐 방지부)의 기능을 갖고 있다.At the downstream end of the first extension pipe section 26, the downstream end of the first extension pipe section 26 is in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27a protruding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downstream end section. Moreover, when the upstream hose part 11 of the hose body 5 slides downstream, the stopper surface 15f of the flange part 15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contacts the step part 27a. It has the function of the hose body stopper (hose body fall prevention part) which restricts the further sliding movement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to the downstream side, and prevents the hose body 5 from coming off.

제2 연장관부(27)의 구멍부(27b, 27c)는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신축 클램프(23)의 일부가 결합됨으로써 제2 연장관부(27)와 하류측 연장관(22)의 신축 상태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구멍부(27b)에 신축 클램프(23)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장관(6)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구멍부(27c)에 신축 클램프(23)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연장관(6)이 최대로 신장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hole parts 27b and 27c of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penetrate in the center axis direction, and the part of the extension clamp 23 couple | bonds, and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and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re connected. The elastic state of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be fixed.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expansion clamp 23 is coupled to the hole 27b, the extension tube 6 is kept in the state of being fully contracted, and a part of the expansion clamp 23 is coupled to the hole 27c. In the closed state, the extension pipe 6 is maintained in the state in which it is extended.

각 가이드 홈부(27d)는 도7,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체(5)의 접속부인 호스 연결 조인트(13)에 설치한 각 가이드 볼록부(13d)의 선단부측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호스체(5)의 미끄럼 이동을 연장관(6)의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가이드 홈부(27d)는 내주측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주측이 각각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도6, 도16).As shown in Fig. 7 and Fig. 8, each guide groove portion 27d is fitted with a tip end side of each guide convex portion 13d provided in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which is a connecting portion of the hose body 5, thereby fitting the hose.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ieve 5 may be gui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pe 6. In addition, each guide groove part 27d is formed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ide may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ide (FIG. 6, FIG. 16).

제2 연장관부(27)의 구멍부(27c)는 하류측 연장관(22)에 설치된 신축 클램프(23)의 일부 등이 접촉됨으로써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측으로의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하여 하류측 연장관부(22)의 하류측으로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hole part 27c of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contacts a part of the expansion | stretching clamp 23 installed in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etc., and restricts the sliding position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is downstream. This is to prevent the side extension pipe portion 22 from coming off to the downstream side.

상류측 연장관(21)의 내부에 상류측 연장관(21)의 제2 연장관부(27)의 하류측이 삽입되어, 상류측 연장관(21)과 상류측 연장관(21)을 상대적으로 축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연장관(6)이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A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s inserted into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so that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and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are relatively along the axial direction. It is comprised so that the extension pipe 6 may expand and contract by sliding.

또한, 하류측 연장관(22)의 상측에는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상태, 즉 신장 상태와 수축 상태 각각에서 하류측 연장관(22)을 상류측 연장관(21)에 대하여 신축 클램프(23)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걸림부 삽입 구멍으로서의 클램프 삽입 구멍인 구멍부(22a)가 뚫려 있다.7 and 8,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is stretched relative to the upstream extension tube 21 in the stretched state, that is, the stretched state and the contracted state, respectively. The hole portion 22a, which is a clamp insertion hole as a locking portion insertion hole for fixing by 23, is drilled.

이 구멍부(22a)보다도 하류측의 외주면의 상측에 신축 클램프(23)가 배치되고, 이 신축 클램프(23)의 설치 위치보다도 더 하류측의 외주면의 상측의 위치에 설치부(22b)(도1 등 참조)가 형성된다. 이 설치부(22b)에는 전동 송풍기(2)의 동작 모드 등이 선택 가능한 조작부로서의 손잡이 조작부(31)(도15, 도16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clamp 23 is disposed abo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hole portion 22a, and the installation portion 22b is located at the position abo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the downstream side tha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clamp 23 (Fig. 1, etc.) is formed. The mounting portion 22b is provided with a handle operating portion 31 (see Figs. 15 and 16) as an operating portion that can select an operation mode or the like of the electric blower 2.

그리고,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측에는 축방향으로 교차(직교)하는 양측 위치에 호스 클램프(2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하류측 연장관(22)의 축방향과 교차(직교)하는 양측 내면부에는 상류측 연장관(21)의 가이드부 끼워 맞춤부로서의 가이드 오목부(22c)가 하류측 연장관(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축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측의 내부에는 빠짐 방지 부재로서의 대략 원통 형상의 빠짐 방지통인 호스 연결 조인트 스토퍼(22d)[이하, 단순히 스토퍼(22d)라고 한다]가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도1 내지 도4, 도9 내지 도14).And the hose clamp 2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both sides position which cross | intersects (orthogonally) in the axial direction downstream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respectively. Moreover, the guide recessed part 22c as a guide part fitting part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s the whol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n the both inner surface parts which intersect (orthogonally)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is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t is form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ver the length, respectively. In addition, a hose connection joint stopper 22d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stopper 22d), which i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release preventing cylinder as a release preventing member,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down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 1 to 4 and 9 to 14).

하류측 연장관(22)에 형성된 구멍부(22a)는 상류측 연장관(21)의 제2 연장관부(27)의 구멍부(27b, 27c) 중 어느 한 쪽과 위치 정렬된 상태로 신축 클램프(23)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상류측 연장관(21)과 하류측 연장관(22)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 고정하기 위한 구멍부이다(도7 참조).The hole part 22a formed in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the elastic clamp 23 in the state aligned with either one of the hole parts 27b, 27c of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As shown in FIG. Is a hole for holding and fixing the axial position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and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by inserting a part of ().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부(22b)는 축방향을 따라 길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류측 연장관(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리브부(22e)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인 홈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설치부(22b)에는 손잡이 조작부(31)를 설치하기 위한 조작부 고정 수단으로서의 대략 원기둥 형상 한 쌍의 돌기부(22f, 22f)가 하류측 연장관(22)의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ounting portion 22b is formed in a longitudinal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has a groove shape surrounded by a rib portion 22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 Moreover, in this installation part 22b, a pair of substantially cylindrical protrusions 22f and 22f as an operation part fixing means for installing the handle operating part 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upwards. It protrudes.

하류측 연장관(22)의 각 가이드 오목부(22c)는 하류측 연장관(22)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오목부(22c) 내에 연장관(6)의 수축 상태에서 상류측 연장관(21)에 있어서의 제2 연장관부(27)의 외주측의 각 가이드 홈부(27d)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하류측 연장관(22)에 대한 상류측 연장관(21)의 축방향으로의 미끄럼 이동을 가이드한다(도6, 도5).Each guide recess 22c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in the guide recess 22c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extension pipe 6 upstream. Each guide groove portion 27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in the side extension pipe 21 is slidably fitted so that the axial direction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with respect to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Fig. 6, Fig. 5).

연장관(6)이 신장된 상태로 각 가이드 홈부(27d)의 하류측에 연통되어 호스체(5)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의 선단부측이 끼워 맞추어짐으로써 호스체(5)의 미끄럼 이동을 연장관(6)의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Sliding movement of the hose body 5 by communicating with the downstream side of each guide groove part 27d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ipe 6 is extended, and fitting the tip end side of each guide convex part 13d of the hose body 5 to fit. It is configured to gu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ipe (6).

따라서, 이들 가이드 오목부(22c)와, 하류측 연장관(22)의 제2 연장관부(27)의 가이드 홈부(27d)와,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가이드 볼록부(13d)에 의해 호스 체(5)를 연장관(6)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32)(도1)가 구성된다.Accordingly, the hose body is formed by these guide recesses 22c, the guide grooves 27d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the guide protrusions 13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The guide part 32 (FIG. 1) which guides (5) so that sliding along the extension pipe 6 is comprised is comprised.

또한, 각 가이드 오목부(22c)의 하류단부 근방에는 각 호스 클램프(24)의 후술하는 갈고리부가 삽입되어 가이드 오목부(22c) 내로 돌출 가능하도록 유지 수단 삽입부로서의 클램프 삽입부인 개구부(22g)(도9, 도10 참조)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ning part 22g which is a clamp insertion part as a retaining means insertion part is inserted in the vicinity of the downstream end of each guide recess part 22c so that the hook part mentioned later of each hose clamp 24 can protrude into the guide recess part 22c ( 9 and 10) are formed respectively.

그리고, 각 가이드 오목부(22c)의 하류단부는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의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 스토퍼로서의 스토퍼면(22h)(도12 참조)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downstream end of each guide recessed part 22c has a stopper surface 22h (refer FIG. 12) as a guide stopper which regulates the sliding position of each guide convex part 13d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and is planar. It is formed.

스토퍼면(22h)은 각 가이드 오목부(22c)의 하류측의 종단부가 되는 것이며,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접촉됨으로써 호스체(5)의 축방향으로의 신장의 최대량이 규제된다. 또한, 이 스토퍼면(22h)과 개구부(22g) 사이에는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끼워 맞춤 가능한 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다(도12, 도14).The stopper surface 22h becomes a terminal end downstream of each guide recess 22c, and the guide convex portion 13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extend the hose body 5 in the axial direction. The maximum amount of is regulated. Moreover, the space part S which the guide convex part 13d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can fit is formed between this stopper surface 22h and the opening part 22g (FIG. 12, 14).

스토퍼(22d)는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에 일체로 설치되고, 스토퍼(22d)의 상류단부는 상류측 연장관(21)의 제2 연장관부(27)의 하류단부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22d)의 상류단부면이 스토퍼면(22h)과 함께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의 미끄럼 이동 위치를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topper 22d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the upstream end of the stopper 22d is a slight gap between the downstream ends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art 27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They are to face each other with. And the upstream end surface of this stopper 22d is comprised so that the sliding position of each guide convex part 13d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with the stopper surface 22h may be regulated.

여기서, 손잡이 조작부(31)는 청소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31a)가 기단부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이 파지부(31a)에는 청소기 본체(1) 내의 전동 송풍기(2) 등을 소정의 동작 모드로 설정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인 설정 버튼(31b)과, 이 설정 버튼(31b)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신호를 청소기 본체(1), 혹은 바닥 브러시(7)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로서의 통신 수단인 적외선 송신부(31c)를 구비하고 있다.Here, the handle operation part 31 protrudes toward the base end side, and the holding | grip part 31a which an operator grips at the time of cleaning is carried out, and this holding part 31a operates the electric blower 2 in the cleaner main body 1, etc. for predetermined operation | movement. Communication as a signal transmission part for transmitting the setting button 31b which is a some operation button set to a mode, and the signal generated by operation of this setting button 31b to the cleaner main body 1 or the floor brush 7 An infrared transmitter 31c is provided.

신축 클램프(23)는 도1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연장관(22)의 축방향을 따라 길이 형상으로 형성된 신축 조작부 본체로서의 신축 클램프 본체(23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신축 클램프 본체(23a)는 양측부가 하류측 연장관(22)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The expansion clamp 23 is provided with the expansion clamp main body 23a as a expa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body main body formed in the longitudinal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s shown to FIG. Both sides of this expansion clamp main body 23a are axially rotatably supported on both sides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이 축지지된 양측부와 기단부(23b)[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측] 사이의 위치에 하류측 연장관(22)의 외주면 사이에 압박 수단으로서의 신축 조작부용 압박 수단인 코일 스프링(23c)이 배치되어, 신축 클램프(23)의 기단부(23b)가 상측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Coil spring 23c which is an urging means for the telescopic operation section as a urging means between the axially supported both side portions and the base end portion 23b (down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This arrangement | positioning and the base end part 23b of the elastic clamp 23 is pressing in the upward direction.

또한, 이 신축 클램프 본체(23a)의 선단부(23d)[하류측 연장관(22)의 상류측]에는 하류측 연장관(2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갈고리로서의 걸림 돌기부(23e)가 형성되어 있다.Further, at the distal end portion 23d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pansion clamp body 23a, a locking projection 23e as a locking hook projecting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formed. have.

신축 클램프 본체(23a)의 기단부(23b)는 신축 클램프(23)를 조작할 때에 압박되는 피압박부(피조작부)이며, 코일 스프링(23c)의 압박에 대항하여 기단부(23b)를 하류측 연장관(22)측으로 압박함으로써 신축 클램프 본체(23a)의 선단부(23d)가 하류측 연장관(2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한다.The proximal end 23b of the telescopic clamp main body 23a is a pressurized portion (operational section) to be pressed when the telescopic clamp 23 is operated, and the proximal end 23b is extended downstream of the coil spring 23c against the compression. By pressing toward the (22) side, the distal end portion 23d of the elastic clamp body 23a is rota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그리고, 걸림 돌기부(23e)가 구멍부(22a)로부터 퇴피하여 이 걸림 돌기부(23e)와 상류측 연장관(21)의 구멍부(27b) 혹은 구멍부(27c)의 결합을 분리하면 상류측 연장관(21)과 하류측 연장관(22)의 신축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도8).Then, when the locking protrusion 23e is retracted from the hole 22a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23e and the hole 27b or the hole 27c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s separated, the upstream extension pipe ( 21) and the extension sl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re enabled (FIG. 8).

또한, 기단부(23b)의 압박을 해제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3c)의 압박에 의해 신축 클램프 본체(23a)의 선단부(23d)가 하류측 연장관(22)에 접근하도록 회전함으로써 걸림 돌기부(23e)가 구멍부(22a)와 위치 정렬된 구멍부(27b) 혹은 구멍부(27c)에 삽입 결합되면 상류측 연장관(21)과 하류측 연장관(22)의 신축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없는 상태, 즉 신축(미끄럼 이동)을 로크한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7).In addition, by releasing the pressing of the base end 23b, the locking projection 23e rotates so that the leading end 23d of the elastic clamp body 23a approaches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by the pressing of the coil spring 23c. When inserted into the hole portion 27b or the hole portion 27c aligned with the portion 22a, the upstream extension tube 21 and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cannot expand or slide, that is, expand (slip) It is configured to be in a locked state (Fig. 7).

각 호스 클램프(24)는 도1 내지 도4 및 도10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연장관(22)의 축방향을 따라 길이 형상으로 형성된 유지 수단 본체로서의 호스 클램프 본체(24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호스 클램프 본체(24a)는 양측부가 하류측 연장관(22)의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Each hose clamp 24 has a hose clamp body 24a as a retaining means body formed in a length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s shown in FIGS. 1 to 4 and 10 to 14. Doing. The hose clamp main body 24a is axially rotatably supported at both sides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t both sides.

이 축지지된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양측부와 기단부(24b)[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측] 사이의 위치에, 하류측 연장관(22)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압박 수단으로서의 유지 수단용 압박 수단인 코일 스프링(24c)이 배치되어, 호스 클램프(24)의 기단부(24b)가 상방으로 압박되고 있다.Hold | maintained as a press means betwee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n the position between the both side parts of this axially supported hose clamp main body 24a, and the base end part 24b (downstream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 coil spring 24c, which is a means for pressing means, is disposed, and the base end 24b of the hose clamp 24 is pressed upward.

또한, 이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기단부(24b)는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에 배치한 스토퍼(22d)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호스 클램프 본 체(24a)의 기단부(24b) 근방에 있어서의 하류측 연장관(22)과의 대향면에 걸림 고정 수단으로서의 걸림 갈고리부(24d)가 돌출되어 있다.Moreover, the base end 24b of this hose clamp main body 24a is located downstream from the stopper 22d arrange | position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the base end 24b of this hose clamp main body 24a. The engaging hook portion 24d as the locking fixing means protrudes from the surface facing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in the vicinity of the?

또한, 이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선단부(24e)[하류측 연장관(22)의 상류측]에는, 하류측 연장관(22)의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지 수단 걸림 갈고리부로서의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hose clamp hook part as a holding means latching hook part which protrudes in the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to the tip part 24e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is hose clamp main body 24a. 24f is formed.

걸림 갈고리부(24d)는 호스 고정 링(18)을 걸기 위한 것이며, 선단부측이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를 향하여 굴곡되어, 호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10).The hooking hook 24d is for hooking the hose fixing ring 18, and the tip end side is bent toward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to be fitted into the hooking recess 18a of the hose fixing ring 18. Customization is possible (FIG. 10).

또한,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는 하류측 연장관(22)의 개구부(22g)에 삽입되어 이 하류측 연장관(22)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의 상류측에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서서히 하류측 연장관(22)의 중심축측으로 경사지도록 접촉면으로서의 압박 접촉면인 경사면(24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24g)의 하류측에는 평면 형상의 고정 수단 걸림부로서의 걸림면(24h)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22g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protrudes into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Moreover, the inclined surface 24g which is the pressing contact surface as a contact surface is inclined upstream of this hose clamp hook part 24f so that it may incline toward the center axis sid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gradually from an upstream side to a downstream side. Further,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inclined surface 24g, a locking surface 24h as a planar locking means locking portion is formed.

이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는 측면으로부터 보면 대략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걸림 갈고리부(24d),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 및 호스 고정 링(18) 등에 의해 상류측 호스부(11)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고정 수단(33)(도1)을 구성하고 있다.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each hook hook portion 24d,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the hose fixing ring 18, and the like is located upstream of the hose portion 11. ) Constitutes a fixing means 33 (Fig. 1) capable of maintaining an extended state.

경사면(24g)은 연장관(6)을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일 때 제2 연장관부(27)의 하류단부가 이 경사면(24g)에 접촉함으로써 호스 클램프 본체(24a)를 코일 스프 링(24C)의 압박에 대항하여 기단부(24b)측을 하류측 연장관(22)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 즉 걸림 갈고리부(24d)가 호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inclined surface 24g makes the hose clamp main body 24a of the coil spring 24C by the downstream end part of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contact this inclined surface 24g, when the extension pipe 6 is fully contracted. The base end portion 24b side is rotate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tube 22 against the pressure, that is, the hooking hook portion 24d is fitted to the locking recess 18a of the hose fixing ring 18.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ligned state.

따라서, 고정 수단(33)은 상류측 호스부(11)를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로 유지 가능한 상류측 호스부 유지 수단의 기능뿐만 아니라, 하류측 호스부(12)의 호스 고정 링(18)보다도 상류측을 최대로 수축시킨 상태로 유지 가능한 하류측 호스부 유지 수단의 기능을 갖고 있다.Therefore, the fixing means 33 not only functions as an upstream hose part holding means which can be maintained in the state in which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fully extended, but also the hose fixing ring 18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t has the function of the downstream hose part holding means which can be maintained in the state which contracted the upstream side to the maximum.

걸림면(24h)은 호스체(5)를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가이드 볼록부(13d)가 걸림으로써 호스체(5)의 상류측 호스부(11)가 신장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도14).The latching surface 24h has the guide convex portion 13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held in the state where the hose body 5 is fully extended, so that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of the hose body 5 is extended. It is kept in a state (Fig. 14).

바닥 브러시(7)는 가로로 길게 형성된 케이스체(35)와, 이 케이스체(35)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연통관(36)을 구비하고 있다.The bottom brush 7 is provided with the case body 35 extended horizontally, and the communication pipe 36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ck part of this case body 35. As shown in FIG.

케이스체(35)는 바닥면에 대향하는 하면에, 도시하지 않은 흡입구가 개구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에는, 예를 들어 회전 청소체인 회전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In the case body 35, a suction port (not shown) is formed in an opening on a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The suction port is rotatably provided, for example, as a rotary cleaning body.

케이스체(35)는 연통관(36)에 대하여 상하 방향, 좌우 방향, 혹은 둘레 방향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연통관(36)의 선단부측이 케이스체(35)의 내부에서 흡입구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기단부측이 브러시용 클램프부(26a)에 삽입되어 신축 클램프(23)에 의해 걸림으로써 연장관(6)에 대하여 기밀하게 접속된다.The case body 3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ube 36 in the up-down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etc., and the front end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36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ort inside the case body 35. At the same time, the proximal end side is inserted into the brush clamp portion 26a and is secured to the extension pipe 6 by being caught by the elastic clamp 23.

다음에, 상기 일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15에 도시하는 전기 청소기의 수납 상태에서는 전방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청소기 본체(1)가 후방부를 하측으로 하여 바닥면 상에 세워 재치되고, 관부(4)의 연장관(6)의 걸림 돌출부(26c)가 청소기 본체(1)의 저부의 오목 홈부(28)에 걸림으로써 관부(4)가 청소기 본체(1)에 걸려 있다.In the storage state of the vacuum cleaner shown in Fig. 15, the cleaner main body 1 is placed on the bottom face with the rear portion downward so that the front side faces upward, and the locking projections of the extension pipe 6 of the pipe portion 4 The tubular part 4 is caught by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by 26c engaging the recessed recessed part 28 of the bottom part of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이 상태에서 관부(4)는 연장관(6)이 최대로 수축된 상태에서 호스체(5)의 상류측이 연장관(6)의 상류측까지 최대로 미끄럼 이동한 상태이고 상류측 호스부(11)는 최대로 수축된 자연 길이 상태로 되어 연장관(6)의 상류측 연장관(21)의 제1 연장관부(26) 내에 수납되어 있다. 즉, 하류측 호스부(12)의 상류측의 일부가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의 제2 연장관부(27) 내에 압축된 상태로 수납되어, 이 하류측 호스부(12)의 하류측이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도5).In this state, the pipe part 4 is a state in which the upstream side of the hose body 5 slides to the upstream side of the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which the extension pipe 6 fully contracted, and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in the maximum length of the natural length contracted and is stored in 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of the extension pipe 6. That is, a part of the upstream side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s accommodated in the compressed state in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tension pipe 6, and this downstream hose part 12 The downstream side of is exposed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tension pipe 6 (FIG. 5).

구체적으로,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에 설치된 신축 클램프(23)의 걸림 돌기부(23e)가 하류측 연장관(22)의 개구부(22g)로부터 상류측 연장관(21)의 제2 연장관부(27)의 구멍부(27b)에 끼워 맞추어져 각 연장관(21, 22)을 서로 걸리게 한다(도7).Specifically, the locking projection 23e of the elastic clamp 23 provided in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tension pipe 6 extends the second extension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from the opening 22g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t fits in the hole part 27b of the pipe part 27, and each extension pipe 21 and 22 is mutually caught (FIG. 7).

한편,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가 개구부(22g)로부터 각 가이드 오목부(22C) 내로 돌출된 호스 클램프(24)의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의 경사면(24g)에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대항하여 호스 클램프(24)의 선단부(24e)를 밀어 올려,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걸림 갈고리부(24d)를 호스체(5)의 호 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에 걸리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도10의 상태).On the other h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24g of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of the hose clamp 24 which protrudes from the opening 22g into the guide recess 22C. Pushing the tip 24e of the hose clamp 24 against the pressure of the 24c, the hook retaining portion 24d of each hose clamp main body 24a moves the hose fixing ring 18 of the hose body 5 to each other. The state which caught on the latching recessed part 18a of is maintained (the state of FIG. 10).

또한, 호스체(5)는 상류측 호스부(11)가 자연 길이 상태로 수축된 상태로 플랜지부(15)의 상류측 스토퍼면(15e)이 연장관(6)의 상류측 연장관(21)의 제1 연장관부(26)의 상류측 미끄럼 이동 규제면(26b)에 접촉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ose body 5 has an upstream side stopper surface 15e of the flange portion 15 of the upstream side extension tube 21 of the extension tube 6 in a state where the upstream side hose portion 11 is contracted in a natural length state. It is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sliding control surface 26b of 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그리고,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걸림 갈고리부(24d)와 호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의 걸기에 의해 하류측 호스부(12)의 호스 고정 링(18)보다도 상류측의 부분이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 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Then, the hooking hook 24d of each hose clamp main body 24a and the hooking recess 18a of the hose fixing ring 18 are hooked upstream from the hose fixing ring 18 of the downstream hose 12. The part of the side is kept in the axially compressed state in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tension pipe 6.

청소 시에는 도15의 상태로부터 관부(4)를 상방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연장관(6)의 걸림 돌출부(26c)를 청소기 본체(1)의 오목 홈부(28)로부터 분리하고 신축 클램프(23)를 조작하여 연장관(6)을 신장시키는 동시에 호스체(5)를 하류측으로 인장하여 이 호스체(5) 전체를 신장시킨다.At the time of cleaning, by pulling up the pipe part 4 upward from the state of FIG. 15, the latching projection part 26c of the extension pipe 6 is isolate | separated from the recessed groove part 28 of the cleaner main body 1, and the telescopic clamp 23 is operated. By extending the extension pipe 6, the hose body 5 is pulled downward and the whole hose body 5 is extended.

구체적으로, 도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 클램프(23)의 기단부(23b)를 코일 스프링(23c)의 압박에 대항하여 하류측 연장관(22)측으로 압박 조작하여 걸림 돌기부(23e)를 구멍부(27b)로부터 퇴피시키면 압축되어 있던 하류측 호스부(12)가 자연 길이 상태로 복귀되도록 신장된다.Specifically, from the state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8, the base end part 23b of the elastic clamp 23 is pressed against the pressure extension of the downstream side pipe 22 against the pressure of the coil spring 23c, and the locking projection part is carried out. When 23e is withdrawn from the hole 27b, the downstream hose part 12 which was compressed is extended so that it may return to a natural length state.

이 하류측 호스부(12)의 신장에 의해 상류측 호스부(11)의 선단부의 플랜지부(15)가 상류측 미끄럼 이동 규제면(26b)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류측 연장관(21)이 하류측 연장관(22) 내를 미끄럼 이동한다. 그 결과,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가 각 호스 클램프(24)의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의 경사면(24g)으로부터 이격되어 각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의해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선단부(24e)가 하류측 연장관(22)측에 접근하도록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가 연동되어 회전한다.Since the flange part 15 of the tip end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in contact with the upstream sliding control surface 26b by the extension of this downstream hose part 12,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is relatively high. The inside of this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slides.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9 to 11,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24g of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of each hose clamp 24, and the respective coil springs 24c. Each hose clamp main body 24a is interlocked and rotated so that the tip part 24e of each hose clamp main body 24a may approach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side by the pressure of ().

각 호스 클램프(24)의 기단부(24b)가 하류측 연장관(22)으로부터 이격되어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걸림 갈고리부(24d)가 호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로부터 분리되어 호스체(5)의 걸림이 해제되어, 하류측 호스부(12)의 호스 고정 링(18) 근방의 부분이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로부터 돌출된다.The base end 24b of each hose clamp 24 is spaced apart from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so that the hook hook 24d of the hose clamp main body 24a is separated from the hook recess 18a of the hose fixing ring 18. As a result, the locking of the hose body 5 is released, and a portion near the hose fixing ring 18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protrudes from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tension pipe 6.

그리고, 상류측 연장관(21)과 하류측 연장관(22)을 서로 파지하여 인장하여, 연장관(6)을 최대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하류측 연장관(22)의 구멍부(22a)와 상류측 연장관(21)의 구멍부(27c)가 위치 정렬되고, 신축 클램프(23)의 기단부(23b)가 코일 스프링(23c)의 압박에 의해 복귀되도록, 즉 하류측 연장관(22)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 돌기부(23e)가 구멍부(27c)에 걸린다(도3).Then,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and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re gripped and tensioned with each other, and the hole 22a and the upstream extension pip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re extended in the state where the extension pipe 6 is fully extended. The hole portion 27c of the 21 is aligned and the proximal end 23b of the elastic clamp 23 is returned by the pressure of the coil spring 23c, that is,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By rotation, the locking projection 23e is caught in the hole 27c (Fig. 3).

이 상태에서 호스체(5)를 하류측으로 인장하면,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제2 연장관부(27)의 각 가이드 홈부(27d)에 안내되면서(도4), 호스체(5)의 상류측 호스부(11)가 연장관(6)의 상류측 연장관(21)의 제1 연장관부(26) 내를 플랜지부(15)의 스토퍼면(15f)이 제2 연장관부(27)의 단차부(27a)의 상류단부와 접촉할 때까지 미끄럼 이동한다.When the hose body 5 is pulled downward in this state, each guide convex portion 13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is guided to each guide groove portion 27d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Fig. 4). The stopper surface 15f of the flange portion 15 is formed in the first extension pipe portion 26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of the extension pipe 6 by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of the hose body 5. It slides until it contacts the upstream end of the step part 27a of the extension pipe part 27. As shown in FIG.

이 후, 호스체(5)를 더 하류측으로 인장하면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각 가이드 홈부(27d) 내를 하류측으로 미끄럼 이동한 후, 각 가이드 오목부(22c) 내를 하류측으로 더 미끄럼 이동한다.Thereafter, when the hose body 5 is further tensioned to the downstream side, each guide convex portion 13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slides the inside of each guide groove portion 27d downward, and then each guide recess 22c ) Sliding inside more downstream.

이에 의해, 플랜지부(15b)가 단차부(27a)에 의해 걸려 있으므로 상류측 호스부(11)가 제2 연장관부(27)와 하류측 연장관(22)의 축방향 치수의 총 합계와 대략 동일한 길이까지 신장된다(도6).Thereby, since the flange part 15b is caught by the step part 27a,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total sum of the axial dimension of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and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s shown in FIG. It extends to length (Fig. 6).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이드 볼록부(13d)는 각 개구부(22g)로부터 가이드 오목부(22c) 내로 돌출되어 있는 각 호스 클램프(24)의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의 경사면(24g)에 접촉하고, 또한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가이드 오목부(22C) 내를 하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대항하여 이 경사면(24g)을 밀어 올린다.As shown in Figs. 12 to 14, each guide convex portion 13d is an inclined surface of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of each hose clamp 24 that protrudes from each opening 22g into the guide recess 22c. The inclined surface 24g is pushed up against the pressure of the coil spring 24C by contacting 24g and moving the guide convex portion 13d downward toward the inside of the guide recess 22C.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이 경사면(24g)을 타고 넘어 공간부(S)까지 이동하면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의해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선단부(24e)가 복귀되도록 회전하는 동시에 상류측 호스부(11)가 자연 길이 상태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음으로써,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걸림면(24h)에 걸려 상류측 호스부(11)의 신장 상태가 유지되어, 도16에 도시하는 사용 상태로 된다.When each guide convex part 13d moves over this inclined surface 24g to the space part S, it rotates so that the tip part 24e of each hose clamp main body 24a may be returned by the pressure of the coil spring 24c. At the same time, the upstream hose portion 11 is pushed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o the natural length state, whereby each guide convex portion 13d is caught by the engaging surface 24h of each hose clamp main body 24a. The stretched state of 11) is maintained, and the use state shown in Fig. 16 is obtained.

따라서, 연장관(6)을 신장시켜 호스체(5)를 하류측으로 인출하는 동작에 의해 상류측 호스부(11)가 신장되어 신장 상태로 되므로 관부(4)에는 수축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축적된다.Therefore,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extended | stretched and extended | extended by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extends the extension pipe 6, and draws the hose body 5 to the downstream side, and the compression force in the contraction direction accumulates in the pipe part 4.

그리고, 작업자는 청소기 본체(1)를 바닥면 상에 재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전원 플러그를 접속한 후, 손잡이 조작부(31)의 파지부(31a)를 파지하고, 각종 설정 버튼(31b)을 조작함으로써 적외선 송신부(31c)로부터 청소기 본체(1) 내의 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하여 전동 송풍기(2)를 원하는 동작 모드로 동작시키고, 바닥 브러시(7)를 바닥면 상에 재치하여 전후로 주행시킴으로써 바닥면 상의 진애를 전동 송풍기(2)의 구동에 의한 부압의 작용으로 흡입구로부터 흡입한다.Then, the worker places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on the bottom surface, connects the power plug to an outlet (not shown), grips the gripping portion 31a of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31, and various setting buttons 31b.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infrared transmitter 31c to the controller in the cleaner main body 1 to operate the electric blower 2 in a desired operation mode, and the floor brush 7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n moved back and forth to the floor. The dust on the surface is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under the action of the negative pressure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lower 2.

흡입된 진애는 공기와 함께 바닥 브러시(7)의 흡입구로부터 연통관(36), 상류측 연장관(21), 하류측 연장관(22), 상류측 호스부(11), 하류측 호스부(12), 본체 흡입구(3)로 순차적으로 흡입되고, 집진부에서 공기와 진애가 분리되어 진애가 포집되고, 공기는 전동 송풍기(2)로 흡입된 후, 배기풍으로서 청소기 본체(1)의 외부로 배기된다.The suctioned dust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ipe 36,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the upstream hose part 11, the downstream hose part 12 together with the air from the suction port of the bottom brush 7; It is sequentially sucked into the main body suction port 3, air and dust ar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part, dust is collected, and the air is sucked by the electric blower 2, and then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main body 1 as exhaust wind.

청소가 종료되면 작업자는 설정 버튼(31b)의 조작에 의해 전동 송풍기(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낸 후, 각 호스 클램프(24)의 기단부(24b)를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대항하여 압박 조작함으로써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선단부(24e)가 회전하여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가 하류측 연장관(22)의 개구부(22g)로부터 퇴피한다.When the cleaning is finished, the operator stops the drive of the electric blower 2 by operating the setting button 31b, pulls out the power plug from the outlet, and then moves the base end 24b of each hose clamp 24 to the coil spring ( By pressing against the pressing of 24c, the tip 24e of the hose clamp main body 24a is rotated, and the hose clamp hook 24f is withdrawn from the opening 22g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s shown in FIG.

그리고,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와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가이드 볼록부(13d)의 결합이 분리되어, 신장되어 있던 상류측 호스부(11)가 자연 길이 상태로 복귀되는 방향으로 수축됨으로써 상류측 호스부(11)가 연장관(6) 내를 상류측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이 미끄럼 이동에 수반하여 연장관(6)의 하류측으로 돌출되어 있던 호스체(5)의 하류측 호스부(12)의 일부가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 내로 인입된다.Then, the coupling between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and the guide convex portion 13d of the hose connecting joint 13 is separated, and the extended upstream hose portion 11 is contracted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o the natural length state.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slides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ipe 6 to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hose part 12 of the hose body 5 which protrud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extension pipe 6 with this sliding movement. A part is led into the extension pipe 22 downstream of the extension pipe 6.

이때, 상류측 호스부(11)는 호스 연결 조인트(13)의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하류측 연장관(22)의 각 가이드 오목부(22c)과 제2 연장관부(27)의 각 가이드 홈부(27d)로 안내됨으로써 플랜지부(15)의 상류측 스토퍼면(15e)이 연장관(6)의 상류측 연장관(21)의 제1 연장관부(26)의 상류측 미끄럼 이동 규제면(26b)에 접촉하는 상태로 된다.At this time,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is each guide convex part 13d of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and each guide concave part 22c of the downstream side extension pipe 22, and each guide of the 2nd extension pipe part 27 are as follows. The upstream side stopper surface 15e of the flange portion 15 is guided to the groove portion 27d so that the upstream sliding control surface 26b of the first extension tube portion 26 of the upstream extension tube 21 of the extension tube 6 is extended. It comes into contact with.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호스체(5)의 호스 고정 링(18) 근방을 파지하여, 이 호스 고정 링(18)을 연장관(6)의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로 약간 밀어 넣고, 각 호스 클램프(24)의 기단부(24b)를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대항하여 하류측 연장관(22)측으로 압박하여 걸림 갈고리부(24d)를 호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에 걸리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state, the operator grips the vicinity of the hose fixing ring 18 of the hose body 5, and pushes the hose fixing ring 18 slightly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of the extension pipe 6, The base end portion 24b of the hose clamp 24 is pressed against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side against the pressure of the coil spring 24c so that the locking hook portion 24d is locked by the locking recess 18a of the hose fixing ring 18. It keeps getting caught.

그리고 신축 클램프(23)의 기단부(23b)를 코일 스프링(23c)의 압박에 대항하여 압박 조작하면 걸림 돌기부(23e)가 제2 연장관부(27)의 구멍부(27c)로부터 퇴피하여 연장관(6)이 수축 가능하게 된다.Then, when the base end portion 23b of the elastic clamp 23 is pressed against the pressure of the coil spring 23c, the locking projection 23e retracts from the hole portion 27c of the second extension tube portion 27 to extend the extension tube 6 ) Becomes contractible.

이어서, 하류측 연장관(22)을 상류측 연장관(21)측인 상류측으로 밀어 넣으면 호스 연결 조인트(13)와 호스 클램프(24, 24)가 접근함으로써 이들 호스 연결 조인트(13)와 호스 클램프(24, 24) 사이에 위치하는 하류측 호스부(12)가 압축된다.Subsequently, when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is pushed into the upstream side which is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side, the hose connection joint 13 and the hose clamps 24 and 24 come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se hose connection joint 13 and the hose clamp 24, The downstream hose part 12 located between 24 is compressed.

하류측 연장관(22)의 개구부(22g)와 상류측 연장관(21)의 제2 연장관부(27)의 구멍부(27b)의 위치가 맞으면 신축 클램프(23)의 걸림 돌기부(23e)가 개구부(22g)로부터 구멍부(27b)에 끼워 맞추어져 각 연장관(21, 22)을 서로 건다.When the opening portion 22g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and the hole portion 27b of the second extension pipe portion 27 of the upstream extension pipe 21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rotrusion 23e of the expansion and clamping clamp 23 is opened. 22g), it fits into the hole part 27b, and hangs each extension pipe 21 and 22 mutually.

또한, 하류측 연장관(22)의 하류단부가 개구부(22g)로부터 각 가이드 오목부(22C) 내로 돌출된 호스 클램프(24)의 호스 클램프 갈고리부(24f)의 경사면(24g)에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24c)의 압박에 대항하여 호스 클램프(24)의 선단부(24e)를 밀어 올려 각 호스 클램프 본체(24a)의 걸림 갈고리부(24d)를 호스체(5)의 호스 고정 링(18)의 걸림 오목부(18a)에 걸리게 한 상태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downstream end of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22 contacts the inclined surface 24g of the hose clamp hook portion 24f of the hose clamp 24 which protrudes from the opening 22g into the guide recess 22C. Push up the tip 24e of the hose clamp 24 against the pressure of the 24c to engage the hook 24d of the hose clamp body 24a with the hose retaining ring 18 of the hose 5. The state which caught the recessed part 18a is maintained.

따라서,이 연장관(6)을 수축시키는 동작에 의해 하류측 호스부(12)의 호스 고정 링(18)보다도 상류측의 부분이 압축되어 수축 상태로 되어 관부(4)를 신장시키는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축적된다.Therefore, by the operation of contracting the extension tube 6, the portion of the downstream hose portion 12 upstream than the hose fixing ring 18 is compressed to be in a contracted state so that the pressing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e portion 4 is extended. It accumulates.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호스 클램프(24)의 압박 유지를 해제하여 관부(4)를 수축 상태로 하고, 청소기 본체(1)를 바닥면에 대하여 세워 걸림 돌출부(26c)를 오목 홈부(28)에 결합시킴으로써 도15에 도시하는 수납 상태로 하여 소정의 장소에 수납한다.In this state, the operator releases the pressure holding of the hose clamp 24 to bring the pipe part 4 into a contracted state, and the cleaner main body 1 stands up against the floor to engage the locking projection 26c with the concave groove part 28. By doing so, it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place in a storage state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청소 시에는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시킨 ㄴ상태로 고정 수단(33)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상류측 호스부(11)가 작업 중에 전동 송풍기(2)의 부압 등에 의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청소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maintained by the fixing means 33 while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elongated during cleaning, so that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operated while the electric blower 2 is in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hrinkage due to negative pressure, etc., to ensure good cleaning properties.

또한, 수납 시에는 상류측 호스부(11)를 수축한 상태로 하여 연장관(6) 내에 수납함으로써 관부(4)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수납 상태에서 호스체(5)가 필요 이상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호스체(5)를 연장관(6)이나 청소기 본체(1)에 권취할 경우 등과 같이 미관이 악화되는 일도 없으며, 또한 관부(4) 등을 분해하여 수납할 필요도 없는 등 양호한 수납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storing,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constricted and stored in the extension pipe 6, and the total length of the pipe part 4 can be shortened, and the space of the hose body 5 more than needed in the storage state. It can be made compact without occupying, and the aesthetics are not deteriorated, such as when the hose body 5 is wound around the extension pipe 6 or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1, and the tube 4 or the like is disassembled and stored. Good storage property can be ensured, such as not having to.

즉, 상류측 호스부(11)는 하류측 호스부(12)와 비교하여 수축성이 크고, 자연 길이 상태에서 수축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구가 없는 경우에는 상류측 호스부(11)가 수축되지 않도록 작업자가 상류측 호스부에 대하여 항상 인장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유지해야 한다.That is, since the upstream hose part 11 has a larger shrinkage compared with the downstream hose part 12, and becomes in a contracted state in a natural length state,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in an extended state in the state where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extended. If there is no mechanism to maintain the upstream hose, the worker must apply external force in the direction that the worker always tensions the upstream hose so that the upstream hose is not contracted.

또한, 예를 들어 바닥 브러시(7)의 흡입구가 바닥면에 접착한 경우 등에는 진공도의 상승에 의해 상류측 호스부(11)가 수축될 우려가 있는 것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시킨 상태로 고정 수단(33)에 의해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시에는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충분한 길이를 확보하면서 수납 시에는 수축되어 짧아지는 관부(4)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suction port of the bottom brush 7 adheres to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the upstream hose part 11 may shrink due to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vacuum. 11) can be held by the fixing means 33 in an extended state, so that the pipe portion 4 which is contracted and shortened during storage can be easily configured while maintaining the extended state during the cleaning to secure a sufficient length. .

또한, 상류측 호스부(11)가 수축된 상태에서 하류측 호스부(12)의 일부가 연장관(6)의 내부에 수납됨으로써 수납 상태에서 하류측 호스부(12)의 일부도 연장관(6)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수납 상태에서 호스체(5)가 필요 이상으로 노출되지 않아, 수납 상태에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Moreover, a part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s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in which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constricted, and a part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s also extended in the accommodating state. Since the hose body 5 is not exposed more than necessary in the stored state because it is housed inside, the aesthetics in the stored state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류측 호스부(11)의 상류측을 연장관(6) 내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호스체(5)를 신장시킬 때는 관부(4)의 길이를 보다 연장시킬 수 있고, 호스체(5)를 수축시킬 때는 연장관(6)의 길이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관부(4)를 콤팩트하게 모을 수 있다.And when extending the hose body 5 by making the upstream side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slide in the extension pipe 6, the length of the pipe part 4 can be extended more, and the hose body 5 ), The tube portion 4 can be compactly collected by effectively using the length of the extension tube 6.

또한, 고정 수단(33)은 상류측 호스부(11)가 신장된 상태에서 연장관(6)의 하류측에서 상류측 호스부(11)와 하류측 호스부(12)의 접속부인 호스 연결 조인트(13)를 걺으로써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the fixing means 33 is a hose connection joint which is a connection part of the upstream hose part 11 and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n the downstream of the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which the upstream hose part 11 extended. By releasing 13), the upstream side hose part 11 can be easily maintained in the extended state.

또한, 관부(4)를 신장시켜 사용 상태로 할 때는 연장관(6)을 신장시킨 후, 호스체(5)를 연장관(6)으로부터 인장하는 것만으로 각 호스부(11, 12)의 접속부인 호스 연결 조인트(13)가 연장관(6) 내를 미끄럼 이동하여 각 가이드 볼록부(13d)가 호스 클램프(24)에 걸리므로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xtending | stretching the pipe part 4 and using it, after extending | stretching the extension pipe 6, the hose which is the connection part of each hose part 11 and 12 only by tensioning the hose body 5 from the extension pipe 6, Since the connection joint 13 slides in the extension pipe 6, and each guide convex part 13d is caught by the hose clamp 24, the upstream hose part 11 can be easily maintained in the extended state.

그리고, 관부(4)를 수축시킨 수납 상태로 할 때도 호스 클램프(24)에 의해 호스 고정 링(18)을 건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장관(6)을 압축하는 것만으로 상류측 호스부(11) 전체와 하류측 호스부(12)의 호스 고정 링(18)보다도 상류측을 용이하게 연장관(6)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관부(4)의 수축 동작도 용이하다.And when the tube part 4 is made into the contracted state, the upstream hose part 11 whole is compressed only by compressing the extension pipe 6, keeping the hose fixing ring 18 closed by the hose clamp 24. FIG. And the upstream side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extension pipe 6 more easily than the hose fixing ring 18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and the shrinkage operation of the pipe part 4 is also easy.

또한,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수단(33)을 하류측 호스부(12)를 수축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수단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고, 이들 수단을 별개로 설치할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의 공통화에 의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Moreover, the fixing means 33 which keeps the upstream hose part 11 extended can also be used as a means which keeps the downstream hose part 12 contracted, and when these means are provided separately, In comparison,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by the common configuration.

또한, 고정 수단(33)을 연장관(6)의 하류단부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류측 호스부(11)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하류측 호스부(12)의 대략 전체를 연장관(6)의 하류단부로부터 노출시킬 수 있어, 호스체(5)의 길이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fixing means 33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extension pipe 6, the entire downstream portion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s extended downstream of the extension pipe 6 in the state where the upstream hose part 11 is extended. Can be exposed, and the length of the hose body 5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손잡이 조작부(31)를 적외선 송신부(31c) 등의 무선 수단에 의해 신호를 송 신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손잡이 조작부(31)로부터 청소기 본체(1)나 바닥 브러시(7)까지 호스체(5) 내 및 연장관(6) 내 등에 배선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The handle operating portion 31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by a wireless means such as an infrared ray transmitting portion 31c, so that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31 is disposed within the hose body 5 from the handle operating portion 31 to the cleaner body 1 or the floor brush 7. It is not necessary to wire in the extension pipe 6 or the like, and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또한, 호스 고정 링(18)을 하류측 호스부(12)에 설치하는 위치는 수납 상태에서의 하류측 호스부(12)의 연장관(6)으로부터의 돌출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which installs the hose fixing ring 18 in the downstream hose part 12 can be set suitably according to the protrusion amount from the extension pipe 6 of the downstream hose part 12 in a storage state.

또한, 전기 청소기의 세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etail of an electric vacuum cleaner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관부의 수축 상태로서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erspective view which cut | disconnected a part as contraction state of the tube part of the vacuum cleaner of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2는 상기 관부의 각 호스부의 수축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part of the tube portion shows a contracted state of the hose portion;

도3은 상기 관부의 하류측 호스부가 신장된 상태로서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Fig. 3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part of the downstream hose portion of the pipe portion is extended and cut away.

도4는 상기 관부의 각 호스부가 신장된 상태로서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part of the hoses of the pipe section are extended and cut away.

도5는 상기 관부의 수축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acted state of the pipe part;

도6은 상기 관부의 최대의 신장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ximum elongation state of the pipe portion;

도7은 상기 관부의 제1 로크 수단에 의해 관부가 수축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Fig. 7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ube portion is kept in a contracted state by the first locking means of the tube portion.

도8은 상기 제1 로크 수단에 의해 관부의 수축 상태에서의 유지가 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Fig. 8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in the contracted state of the tube portion is released by the first locking means.

도9는 상기 관부의 고정 수단이 하류측의 연장관부에 의해 호스체의 하류측 호스부를 수축시킨 상태로 연장관 내에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다.Fig. 9 is a perspectiv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of the pipe portion is held in the extension pipe in a state in which the downstream hose part of the hose body is shrunk by the downstream extension pipe.

도10은 상기 제1 로크 수단으로의 유지의 해제에 의한 하류측의 연장관부의 이동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Fig. 10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movement of an extension pipe portion on the downstream side by releasing the holding on the first locking means.

도11은 상기 고정 수단이 하류측의 연장관부의 이동에 의해 하류측 호스부의 유지를 해제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 단면도.Fig. 11 is a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ans releases the holding of the downstream hose portion by the movement of the extension tube portion on the downstream side.

도12는 상기 각 호스부를 신장했을 때에 접속부가 고정 수단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contacts the fixing means when the respective hose portions are extended.

도13은 상기 각 호스부를 신장했을 때에 접속부가 고정 수단을 동작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portion operates a fixing means when the respective hose portions are elongated.

도14는 상기 각 호스부를 신장했을 때에 접속부가 고정 수단에 걸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Fig. 1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is caught by the fixing means when the respective hose portions are extended.

도15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수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vacuum cleaner.

도16은 상기 전기 청소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electric cleaner.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1 : 청소기 본체1: cleaner body

2 : 전동 송풍기2: electric blower

4 : 관부4: tube

6 : 연장관6: extension tube

11 : 상류측 호스부11: upstream hose part

12 : 하류측 호스부12: downstream hose part

13 : 접속부로서의 호스 연결 조인트13 hose connection joint as connection

33 : 고정 수단33: fixing means

Claims (5)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청소기 본체와,The vacuum cleaner body which accommodated an electric blower, 이 청소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전동 송풍기의 흡입측에 연통되어 접속되는 관부를 구비하고,A pipe part connected to the suction side of the electric blower and connected to the vacuum cleaner main body, 상기 관부는,The tube part, 연장관과,Extension tube, 이 연장관 내에 수납되고, 자연 길이 상태에서 수축 상태로 되고 외력에 의해 신장되는 상류측 호스부와,An upstream side hose part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tube and is in a contracted state in a natural length state and is elongat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연장관 내의 상기 상류측 호스부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자연 길이 상태에서 신장 상태로 되고 외력에 의해 수축되며, 상기 연장관 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인출 가능한 하류측 호스부와,A downstream hose part connected to a downstream side of said upstream hose part in said extension pipe, being extended in a natural length state and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and capable of drawing at least a part from said extension pipe; 상기 상류측 호스부가 신장된 상태에서 이 신장된 상태를 유지 가능한 고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An electric vacuum cleaner comprising: fixing means capable of maintaining the extended state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upstream hos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측 호스부는, 상기 상류측 호스부가 자연 길이 상태에서 수축 상태일 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wnstream hose part is at least partially housed in the extension tube when the upstream hose part is in a contracted state in a natural length st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호스부의 상류측은 상기 연장관의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 upstream side of the upstream side hose part is slidable inside the extension tub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094392A 2007-09-28 2008-09-26 cleaner KR10105456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55052 2007-09-28
JPJP-P-2007-00255052 2007-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062A KR20090033062A (en) 2009-04-01
KR101054560B1 true KR101054560B1 (en) 2011-08-04

Family

ID=4056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392A KR101054560B1 (en) 2007-09-28 2008-09-26 clea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95655A (en)
KR (1) KR101054560B1 (en)
CN (1) CN10140637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498A1 (en) * 2014-01-23 2015-07-30 苏州市伟克斯电器有限公司 Pipe adapter member and suction cleaner nozzle
CN106264347B (en) * 2016-09-16 2018-10-09 肇庆市高新区创客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ortable, environmental protective cleaner
IT202000001555A1 (en) * 2020-01-28 2021-07-28 New Ermes Europe Srl Adapter device for cordless electric vacuum clea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687A (en) * 2001-06-13 2002-12-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Suction hose holder of vacuum cleaner
KR20060004653A (en) * 2003-04-25 2006-01-12 스미스 그룹 피엘씨 Vacuum cleaner apparatus with a retractable hoses
JP2007252541A (en) * 2006-03-22 2007-10-04 Toshiba Corp Tubular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5953Y (en) * 1995-09-07 1997-01-29 苏州工业园区娄葑帕雷米电器厂 Extension long connecting tube of dust collector
GB2416482B (en) * 2004-07-22 2007-12-05 Techtronic Ind Co Ltd Hose assembly for suction cleaner
CN1781436A (en) * 2004-11-29 2006-06-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Integrated structure of rigid dust sucking tube and dust sucking soft tube
JP4390753B2 (en) * 2005-08-12 2009-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Electric vacuum cleaner
EP1764021A1 (en) * 2005-09-16 2007-03-21 IMETEC S.p.A. Extension tube for domestic cleaning devices and domestic cleaning device comprising such an extension tub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687A (en) * 2001-06-13 2002-12-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Suction hose holder of vacuum cleaner
KR20060004653A (en) * 2003-04-25 2006-01-12 스미스 그룹 피엘씨 Vacuum cleaner apparatus with a retractable hoses
JP2007252541A (en) * 2006-03-22 2007-10-04 Toshiba Corp Tubular bod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06376A (en) 2009-04-15
KR20090033062A (en) 2009-04-01
CN101406376B (en) 2011-12-21
JP2009095655A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4687C2 (en) Unit of reducer for domestic electric device
US6695352B2 (en) Extension tube in vacuum cleaner
CA2457712C (en) Vacuum cleaner apparatus and hose thereof
AU2007283503C1 (en) Handle assembly for a cleaning appliance
US7904991B2 (en) Suction cleaner
RU2388401C2 (en) Hose unit for garbage truck of vacuum action
KR101054560B1 (en) cleaner
CN211270510U (en) Electric wire built-in extension tube
US20050044660A1 (en) Accessory assembly for vacuum cleaners
CA2518751A1 (en) Vacuum cleaner apparatus with a retractable hose
EP2042072B1 (en) Vacuum cleaner
KR20160089948A (en) extension flexible hose protector device for vacuum cleaners
KR101251105B1 (en) Semi-automatic umbrella with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central shaft
JP5006156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7524485A (en) Vacuum cleaner and hose
US6644872B2 (en) Adapter and camera accessory
CN109077665B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201760Y1 (en) Connection device of stretch hose in a vacuum cleaner
KR100860058B1 (en) Hose adapter
US20100099953A1 (en) Medical device, medical equipment and endoscope
KR101629303B1 (en) A vacuum cleaner
JP4993760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5449727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14039701A (en) Stretchable hose and vacuum cleaner using the same
JP2008018011A (en) Extension pipe and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