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36B1 - Prefabricated Rebar Support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Rebar Sup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36B1
KR101054536B1 KR1020090040684A KR20090040684A KR101054536B1 KR 101054536 B1 KR101054536 B1 KR 101054536B1 KR 1020090040684 A KR1020090040684 A KR 1020090040684A KR 20090040684 A KR20090040684 A KR 20090040684A KR 101054536 B1 KR101054536 B1 KR 10105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reinforcing
coupling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1809A (en
Inventor
박수부
Original Assignee
박수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부 filed Critical 박수부
Priority to KR102009004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536B1/en
Publication of KR2010012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철근받침대와 제 2 철근받침대로 마련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철근거치부와; 상기 제 1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부와; 상기 리브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리브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리브부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리브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제 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철근거치부와; 상기 제 2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결합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기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기립부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체결부와; 상기 기립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철근받침대는 상기 기립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제 2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체결부와 대응되는 제 2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상부에서 상기 제 2 철근받침대가 착탈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comprising: a reinforcing bar support provided with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bar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bar provided in a cross shape;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rebar mounting portion; A first coupl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A first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b part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A first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rib part and configured to reinforce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includes: a second rebar mounting part provided in a cross shape; A plurality of standing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 second coupl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upling part; A second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standing part and reinforc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ing part,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ward of the standing part. A secon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formed,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first rebar support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As such,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이에 의해,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철근받침대를 이용하여 상, 하부 철근을 조립된 단일의 철근받침대에 거치하여, 하부철근의 자중에 의해 철근받침대가 전도되지 않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구조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작업중 철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높이조절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설계와 동일한 슬래브 철근의 유효춤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by mount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o the assembled single reinforcing bar by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that the reinforcing bar is not conducted by the weight of the lower reinforcement By using this fun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load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during operation, and to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and installation work. And thereby improve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철근받침대, 조립, 높이조절 Rebar Support, Assembly, Height Adjustment

Description

조립형 철근받침대 {AN ASSEMBLY TYPE REINFORCING BAR SPACER}Prefabricated Reinforcement Bar {AN ASSEMBLY TYPE REINFORCING BAR SPACER}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시 철근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철근받침대를 이용하여 상, 하부 철근을 조립된 단일의 철근받침대에 거치함으로써, 작업중 철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높이조절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형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to make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more specifically, a single reinforcing bar assembl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support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ed reinforcing bar pedestal which can facilitate height adjustment and installation work while preventing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load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during the work.

일반적으로, 건축토목구조물의 바닥콘크리트는 구조물의 형성과 내구성,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데, 보통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2중으로 배근하고, 이를 각각 격자 형상으로 배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floor concrete of building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is reinforced by reinforcing the reinforcing bars to improve the formation, durability, and safety of the structure. In general, it is common to double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e them in a lattice shape. to be.

상기와 같이 철근들을 배치시키기 위하여, 작업면인 거푸집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철근들을 받칠 수 있는 받침대가 필요하며, 이 같은 받침대는 이미 여러 가지가 생산, 사용되어 지고 있다.In order to arrange the reinforcing bars as described above, a pedestal capable of supporting the reinforcing bars to have a certain height from the formwork surface, which is the working surface, is required. Such a pedestal has already been produced and used in various ways.

도 1 을 참조하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0-0058965호에서 공개된 종래의 ㅊ철근받침대는, 철근 받침대(5)의 몸체(7) 상부에 받침부(1)가 아래로 둥근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1)의 상부에는 철근(100)이 삽입될 철근삽입부(4)가 수 평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일측에 개구되게 상부조임편(2)과 하부조임편(3)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onventional wire support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0-0058965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with a support part 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7 of the reinforcing bar 5. The upper fastening piece 2 and the lower fastening piece 3 are opened at one side so that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part 4 into which the reinforcing bar 100 is to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art 1. It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하부조임편(3)은 일측 고정단만이 철근삽입부(4)측의 받침부(1)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타측 자유단은 철근삽입부(4) 반대측에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는 아래로 둥근홈을 형성하였다.Only one fixed end of the lower fastening piece 3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1 on th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part 4, and the other free end is formed in a free end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inforcing bar part 4. As it was, the central portion formed a round groove down.

또한, 상기 상부조임편(2)은 타측 고정단만이 철근삽입부(4) 반대측의 상부받침부(1) 상단에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일측 자유단은 철근삽입부(4) 측에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면서 중앙부에는 위로 둥근홈을 형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fastening piece 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 opposite the reinforcing bar insertion portion 4, only one other end, one side free end is a free end on the reinforcing bar (4) side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und groove formed in the center.

상기 몸체(7)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조임편(2)과 하부조임편(3)은 합성수지재로서 몸체(7)와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며, 상하부조임편(2,3)은 일측단만 고정되어 있으면서 이 상하부조임편(2,3)에는 둥근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철근(100)을 견고하고 탄력적으로 조여줄 수 있는 철근 받침대(5)이다.The upper fastening piece 2 and the lower fastening piece 3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7 are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body 7 as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upper and lower fastening pieces 2 and 3 are at one end. While only the fixed upper and lower fastening pieces (2, 3) are formed with round grooves, respectively, is a reinforcing bar (5) that can tighten the reinforcement 100 firmly and elastically.

여기서, 종래의 철근 받침대(5)는 콘크리트 타설시, 작업자가 배치된 철근(100)을 밟고 타설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하중에 의한 철근(100)의 유동으로 인해 철근 받침대(5)의 전도 가능성이 있었다. Here, since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 (5) is to be placed on the reinforcement 100 is placed on the worker when the concrete is poured, the reinforcing bar (5) due to the flow of the reinforcement (100) by the load of the worker There was a possibility of falling.

또한, 철근 받침대(5)의 전도로 인하여 배치된 철근들이 설계 계획과 상이하게 배치된 후에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지면, 구조물의 강도에 영향을 끼치므로, 원하는 구조물의 품질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concrete placing work is performed after the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differently from the design plan due to the cond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5, the strength of the structure is affect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red structure quality cannot be obtained. .

또한, 상기의 철근 받침대(5)는 단일의 철근(100)만을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상부 철근 및 하부 철근으로 구성되는 이중 철근구조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높이가 상부 철근 받침대(5)와 다른, 별도의 하부 철근 받침대를 마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rebar pedestal 5 is composed of a pedestal supporting only a single reinforcement 100, in order to provide a double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sting of the upper reinforcement and the lower reinforcement, the height is different from the upper reinforcement pedestal 5, There was a problem to provide a separate lower reinforcing bar support.

또한, 종래의 철근 받침대(5)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지 않아, 다양한 높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어 이용에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bar pedestal 5 is not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height, it can not cope properly with a variety of height,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철근받침대를 이용하여 상, 하부 철근을 조립된 단일의 철근받침대로 거치함에 따라, 철근의 자중에 의해 철근받침대가 전도되지 않는 구조적 특성을 구비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 as a single reinforcing bar support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reinforcing bars It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having a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conduct the reinforcing bar support by the weight of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중 철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높이조절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형 철근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type reinforcing bar support which can prevent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load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and 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계와 동일한 슬래브 철근의 유효춤을 확보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립형 철근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ensure the effective dancing of the same slab reinforcement of the design to prevent cracking of the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철근받침대 상호 간의 조합으로 철근받침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바닥 기준면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는 조립형 철근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embly-type reinforcing bar which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reference plane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combination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 1 철근받침대와 제 2 철근받침대로 마련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철근거치부와; 상기 제 1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부와; 상기 리브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 상기 리브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리브부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와; 상기 리브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제 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철근거치부와; 상기 제 2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기립부와; 상기 기립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결합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제 2 결합부와; 상기 기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기립부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체결부와; 상기 기립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철근받침대는 상기 기립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제 2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체결부와 대응되는 제 2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상부에서 상기 제 2 철근받침대가 착탈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provided with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provided in a cross shape; 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rebar mounting portion; A first coupl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A first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b part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A first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rib part and configured to reinforce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includes: a second rebar mounting part provided in a cross shape; A plurality of standing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A second coupl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upling part; A second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 second support part disposed below the standing part and reinforc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ing part, wherein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ward of the standing part. A secon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formed,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first rebar support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Thus,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on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can be achieved by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여기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지지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부의 제 2 체결홈과 동일한 제 1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first fastening groove which is the same as a second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또한, 상기 제 1 철근거치부 및 제 2 철근거치부의 중심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관통구 및 제 2 관통구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rebar portion and the second rebar portion may be provided.

여기서, 상기 리브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first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coupling groov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n the lower inner portion of the rib portion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 3 철근받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inforcing bar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여기서, 상기 제 3 철근받침대는, 중심에 제 3 관통구를 형성하며,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3 철근거치부와; 상기 제 3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본 제 3 철근거치부에 거치되는 철근의 유동을 방지하는 철근유동방지부와; 상기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 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hird reinforcing bar, the third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the third reinforcing bar portion provided in a cross shape; A reinforcement flow preventing uni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part and preventing the flow of reinforcing bars mounted on the third reinforcing part; And a third support part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또한,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며, 중앙이 개구된 원형의 보강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may be inser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may further include a circular reinforcing member having an open center.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는, 중앙이 개구된 원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보강결합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체결홈 또는 제 2 체결홈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 body portion of the circular opening in the center; A reinforcing coupling part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nserted into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And a reinforcing fastening part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or the second fastening groove.

한편, 상기 리브부의 중단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거치부재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p of the rib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support portion is formed a coupler.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지지부는 인접한 거치부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거치부재지지부가 상호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mounting member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the mounting member support of any one of the adjacent mounting member support.

또한,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거치부재지지부에 대응 결합되는 거치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member support.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결합구에 대응 결합되는 거치부재체결부와, '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member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er and a 'b' shape, and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mounting member.

여기서,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또는 제 2 철근받침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높이조절 철근받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suppor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는, 중심에 관통구를 형성하며,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철근거치부와; 상기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리브부 또는 제 2 철근받침대의 기립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center, the reinforcing bar portion provided in a cross shape; And a coupl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reinforcing part and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ib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tanding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안착홈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coupling portion may further form a seating groove which is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first rebar support or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rebar support.

또한,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또는 제 2 철근받침대와 결합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en combined with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한편,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철근거치부와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철근거치부와 제 3 철근받침대의 제 3 철근거치부와 높이조절 철근받침대의 철근거치부의 상면은 중심을 기준으로 완만하며, 볼록한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ba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second rebar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the third rebar portion of the third reinforcing bar and the rebar base of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are based on the center It may be gentle and formed into convex spheres.

또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와 제 2 철근받침대와 제 3 철근받침대의 저면에는 바닥면과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the third reinforcing bar to reduc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ottom surface.

이에 의해,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철근받침대를 이용하여 상, 하부 철근을 조립된 단일의 철근받침대로 거치함에 따라, 철근의 자중에 의해 철근받침 대가 전도되지 않는 구조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다.Thereby, by mount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o the assembled single reinforcing bar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can be assembled, it is possible to have a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the reinforcing bar is not conducted by the weight of the rebar.

또한, 작업중 철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높이조절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load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while at the same time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and installation.

또한, 설계와 동일한 슬래브 철근의 유효춤을 확보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ective dancing of the same slab reinforcement as the design to prevent the crack of the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또한, 철근받침대 상호 간의 조합으로 철근받침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바닥 기준면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freely by the combination of the reinforcing bar, i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loor reference surfa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Prior to this,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며,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철근받침대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bar suppo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제 1 철근받침대(10)와 제 2 철근받침대(20)로 마련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철근거치부(12)와; 상기 제 1 철근거치부(12)의 말단에서 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부(14)와; 상기 리브부(1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결합부(16)와; 상기 리브부(14)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리브부(14)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18)와; 상기 리브부(14)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제 1 지지부(19);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철근거치부(22)와; 상기 제 2 철근거치부(22)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기립부(24)와; 상기 기립부(2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결합부(16)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제 2 결합부(26)와; 상기 기립부(24)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기립부(24)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체결부(28)와; 상기 기립부(24)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며, 상기 제 1 지지부(19)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지지부(29);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철근 받침대(20)는 상기 기립부(24)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결합부(16)와 대응되는 제 2 결합홈(21)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제 2 지지부(29)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체결부(18)와 대응되는 제 2 체결홈(23)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 상부에서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가 착탈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2 to 9, 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a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 The first rebar mounting portion 12 is provided in a cross shape; A plurality of rib portions 14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from ends of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2; A first coupling part 16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14; A first fastening part 18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b part 14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14; Is disposed below the rib portion 14, the first support portion 19 for reinforc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ncludes,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cross A second rebar mounting portion 22 provided in a shape; A plurality of standing portions 2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s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s 22; A second coupling part 26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24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upling part 16; A second fastening portion 28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anding portion 24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ortion 24; A second support part 29 disposed below the standing part 24 to reinforce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 part 19; Howeve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forms a second coupling groove 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16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nside the standing part 24. A second fastening groove 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art 18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formed in the second support part 29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o form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edestal 1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기본적으로 제 1 철근받침대(10)와 제 2 철근받침대(20)의 결합 또는 2 개의 제 2 철근받침대(20)의 결합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와 후술할 제 3 철근받침대(30)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와 제 2 철근받침대(20)와 제 3 철근받침대(30)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작될 수 있다.Here,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combina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or the combination of two second reinforcing bar 20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nd a third reinforcing ba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nd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plastic injection molding. Can be.

여기서, 상기 제 1 철근거치부(12)는 배근되는 철근이 거치되는 면으로서, 중심에 제 1 관통구(15)를 형성하는 십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철근거치부(12)의 말단에는 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리브부(14)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reinforcing bar 12 is a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mounted, may be provided in a cross shape to form a first through-hole 15 in the center, the first reinforcing bar 12 At the ends of the rib portion 14 extending upwardly and downwardly may be formed.

여기서, 상기 제 1 관통구(15)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를 못 또는 기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작업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개구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through hole 15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for fix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o the work surface using a nail or other fixing member.

또한, 상기 리브부(14)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를 기립시키며,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 에서와 같이, 상면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부(16)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전도방지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제 1 지지부(19)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b portion 14 is a component for standing and support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s shown in Figure 2, is disposed below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19 for further improv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또한, 상기 리브부(14)의 상측부에는 본 리브부(14)의 상면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18)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part 18 may b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rib part 14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14.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6)와 제 1 체결부(18)는 후술하여 설명할 제 2 철근받침대(20)를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상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 1 결합부(16) 및 제 1 체결부(18)의 구성으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와 제 2 철근받침대(20)는 조립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8 as a component to detachably implement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top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may be provided to be assembl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upling part 16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18.

또한, 상기 리브부(14)의 하부 내측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보강부재(40)를 체결시키기 위한 제 1 결합홈(1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지지부(19)에는 상기 보강부재(40)의 보강체결부(48)와 대응되는 제 1 체결홈(1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upling groove 11 for fastening the reinforc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rib part 14, and the reinforcing member 40 is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19.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 corresponding to the reinforcing fastening portion 48 may be formed.

또한,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리브부(14)의 중단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거치부재(50)가 결합되는 거치부재지지부(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거치부재지지부(17)는 상기 거치부재(50)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결합구(17a)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stop of the rib portion 14 may be formed with a support member 17 is coupled to the mounting member 50 to be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member support 17 is the Coupler 17a for easy coupling with the mounting member 50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성요소로서, 배근되는 철근을 거치시키기 위하여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철근거치부(22)와 본 제 2 철근거치부(22)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기립부(24)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a component that is detachably assemb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he second rebar mounting portion 22 is provided in a cross shape to mount the reinforcing bars ) And a standing portion 24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rebar mounting portion 22.

여기서, 상기 제 2 철근거치부(22)의 중심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관통구(15)과 대응되는 제 2 관통구(2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립부(24)는 본 기립부(24)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2 결합부(26)를 포함할 수 있 다.Here, a second through hole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15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rebar mounting part 22 and the standing portion ( 24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26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ortion 24.

또한, 상기 기립부(24)는 후술하여 설명할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기립부(24)의 상부 외측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2 체결부(28) 및 상기 기립부(24)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전도방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2 지지부(29)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ing portion 24 i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8 and the stan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outer portion of the standing portion 24 for coupling with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6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24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ortion 29 for improv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또한, 상기 기립부(24)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결합부(16)에 결합 또는 후술할 제 3 철근받침대(30) 또는 보강부재(4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홈(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지지부(29)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체결부(18)와 대응되는 제 2 체결홈(2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wer inner side of the standing portion 24 is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16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or reinforc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later. A second coupling groove 21 may be formed,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9 may have a second coupling groove 23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Can be.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도 2 내지 3 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는 제 1 철근받침대(10)의 상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에는 하부철근을 배근시키고,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에는 상부철근을 배근시켜, 조립된 단일의 철근받침대에 상, 하부 철근을 모두 배근시킬 수 있다.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s 2 to 3,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can b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Reinforc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it is possible to reinforce both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o the assembled single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를 상, 하로 조립하여 하단의 제 2 철근받침대(20)에는 하부철근을 배근하고, 상단의 제 2 철근받침대(20)에는 상부철근을 배근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by assembling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up and down, the lower reinforcing bar to reinforce the bottom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nd the upper reinforcing bar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of the top.

또 다른 조립방법으로는, 후술할 제 3 철근받침대(30)를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하부 내측으로 조립하여 제 3 철근받침대(30)의 거치부에 하부철근을 배 근하고 제 2 철근받침대(20)의 거치부에 상부철근을 배근할 수도 있다.In another assembling method,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to be described later is assembled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is placed on the mounting part of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and the second It is also possible to reinforce the upper reinforc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20.

여기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와 제 2 철근받침대(20)의 크기 또는 길이는 여러가지 작업상황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부(14) 및 기립부(24)의 높이 및 조립을 위한 기타 구성요소의 사이즈 또한 이용자의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Here, the size or length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to be applied to various work situations, the rib portion 14 and the standing portion 24 of the The height and size of the other components for assembly can also be optionally adopted by the user's needs.

또한, 상기 제 1, 2 결합부(16, 26), 제 1, 2 결합홈(11, 21), 제 1, 2 지지부(19, 29), 제 1, 2 체결부(18, 28) 및 제 1, 2 체결홈(13, 23)의 형상은 도 2 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와 제 2 철근받침대(20)의 용이한 조립결합이 가능한 여러가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6 and 26,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1 and 2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arts 19 and 29,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8 and 28, and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13 and 23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2,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grooves 13 and 23 may have various shapes i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can be easily assembled. Can be prepar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추가적으로 조립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추가에 의해 높이조절이 용이해 질 수 있으며, 철근받침대의 침하방지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addition of a component that can be additionally assembled, it can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prevention of settlement of the reinforcing bar.

상기 높이조절을 위한 구성요소로는, 도 5 에 도시된 제 3 철근받침대(30)가 채택될 수 있으며, 본 제 3 철근받침대(30)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height, a third reinforcing bar 30 shown in FIG. 5 may be adopted, and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is located below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t can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gether.

여기서, 상기 제 3 철근받침대(30)는 중심에 상기 제 1, 2 관통구(15, 25)와 대응되는 제 3 관통구(35)를 형성하며,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3 철근거치부(32)와; 상기 제 3 철근거치부(32)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본 제 3 철근거치부(32)에 거치되는 철근의 유동을 방지하는 철근유동방지부(34)와; 상기 제 2 결합홈(21)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 3 지지부(39);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forms a third through hole 35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5 and 25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provided with a cross-shaped third rebar mounting part ( 32); A reinforcing bar flow prevention part 34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part 32 to prevent the flow of reinforcing bars mounted on the third reinforcing part 32; And a third support part 39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21.

또한, 상기 침하방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는, 도 8 내지 9 에 도시된 보강부재(40)가 채택될 수 있으며, 본 보강부재(40)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 component for increasing the settlement prevention force, the reinforcing member 40 shown in Figures 8 to 9 may be adopted, the reinforcing member 40 is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first 2 can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reinforcing bar 20.

예를 들어, 철근받침대를 거치하는 바닥면이 스티로폼이나 토사 등으로 마련되어 상기 철근받침대의 침하(함몰)가 예상되는 곳에서 상기 보강부재(40)를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의 하부에 결합시켜 철근받침대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mounted is made of styrofoam or earth or sand, and the reinforcing member 40 is mov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where the reinforcing (recession) of the reinforcing bar is expected. The bottom of the pedestal 20 can be coupled to prevent settlement of the reinforcing bar.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40)는, 중앙이 개구된 원형의 몸체부(42)와; 상기 몸체부(42)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홈(11) 또는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보강결합부(46)와; 상기 몸체부(42)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체결홈(13) 또는 제 2 체결홈(23)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보강체결부(48);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member 40, the center portion of the circular body portion 42 is opened; A reinforcing coupling portion 46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2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1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2, the reinforcing fastening portion 48 is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13 or the second fastening groove 23; may include.

또한, 상기 보강부재(40)는 본 보강부재(40)를 작업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44)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40)와 제 1 철근받침대(10)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의 조립에 의하여 배근되는 철근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40 may form a plurality of fasteners 44 for fixing the reinforcing member 40 to the work surface, the reinforcing member 4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ttlement of the reinforcing bar support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by the assembly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도 8 내지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지지부(17)에 대응 결합되는 거치부재(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8 to 9,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member 50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member support 17.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50)는 슬래브 콘크리트 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통신, 난방, 상수도 등의 연결을 위하여 매설되는 설비관을 거치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결합구(17a)에 대응 결합되는 거치부재체결부(52)와, '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재(50)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각종 설비관 등이 거치되는 거치부(5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member 50 is a component added to mount the installation pipes for the connection of various electricity, communication, heating, waterworks, etc. installed in the slab concrete, corresponding coupling to the coupling sphere (17a) The mounting member fastening portion 52 is provided in a 'b' shape, and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50, and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54 on which various equipment pipes are mounted.

또한, 상기 거치부재(50)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상기 리브부(14)의 영구변형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member 50 also serves to prevent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rib portion 14 by the load acting o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여기서, 상기 거치부재지지부(17)는, 도 2 내지 3 에서와 같이, 각각의 리브부(14)에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8 내지 9 에서와 같이, 인접한 거치부재지지부(17) 중 어느 하나의 거치부재지지부(17)가 상호 연결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Here, the mounting member support 17, as shown in Figures 2 to 3,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on each of the ribs 14, as shown in Figures 8 to 9, of the adjacent mounting member support 17 One mounting member support 17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ight-adjusting reinforcing bar 6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는 철근이 배근되는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배근 되는 철근 직경의 범위가 다양할 경우 이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중심에 상기 제 1, 2, 3관통구(15, 25, 35)와 대응되는 관통구(65)를 형성하며,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철근거치부(62)와; 상기 철근거치부(62)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리브부(14)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의 기립부(24)에 삽입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 부(6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60 is a component used when it is necessary to finely adjust th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bar or when the range of the reinforcing bar diameter is varied, the first, 2, 3 in the center A through hole 65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15, 25, and 35, and having a reinforcing bar portion 62 provided in a cross shape; Is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62, the rib portion 14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tanding portion 24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Coupling unit 64; may include.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받침대(60)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결합부(16) 또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제 2 결합부(26)가 대응 삽입되며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결합부(68)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eight adjustment support 60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6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correspondingly. It may include a through coupling portion 68.

또한, 상기 결합부(64)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체결부(18) 또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제 2 체결부(28)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안착홈(66)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part 64 is a seating groove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18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28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66 may be additionally formed.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와 결합시, 도 6 에 도시된 정방향 또는 도 7 에 도시된 역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60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e forward direction shown in FIG. 6 or the reverse direction shown in FIG. have.

도 6 을 참조하면, 상기 안착홈(66)은 상부측이 길게 형성되며, 하부측이 짧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를 정, 역방향 모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ure 6, the seating groove 66 is formed in the upper side is long, the bottom side is formed short,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ement 60 can be coupled both forward and reverse.

즉, 배근되는 철근의 직경이 커서 상기 제 1, 2 철근받침대(10, 20)의 제 1, 2 철근거치부(12, 22)에 용이하게 거치되지 못하거나 상기 제 1, 2 결합부(16, 26)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 도 6 상태의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를 결합시켜, 철근거치부(62)에 거치시킴으로써, 철근이 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배근되는 철근의 직경이 작아서 철근의 유동현상이 발생될 수 있을 경우, 도 7 상태의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를 결합시켜, 거치공간이 좁아진 배면철근거치부(62a)에 거치시킴으로써, 거치된 철근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s large,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arts 12 and 22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10 and 20 may not be easily mounted or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16 may be disposed. , 26) when the interference occurs, by combining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60 in Figure 6, mounted on the rebar mounting portion 62,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pace in which the rebar can be mounted, the reinforcement is reinforced When the diameter of the small can be caused to flow phenomenon of the rebar, by combining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60 in Fig. 7, the mounting space is narrowed to the rear rebar mounting portion (62a), the flow of the mounted rebar Can be prevented.

이와 동시에, 배근되는 철근의 미세한 높이 조절이 필요할 경우에도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를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 또는 제 2 철근받침대(20)에 정, 역방향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At the same time, even when fine height adjustment of the reinforcing bar is required,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6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여기서, 도 8 내지 9 에서는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의 분해 및 결합사시도를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는 필요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8 to 9 illustrate an exploded and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60 dispos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60 is forward or reverse as necessary. Can be optionally combined with

한편,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제 1 철근거치부(12)와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제 2 철근거치부(22)와 제 3 철근받침대(30)의 제 3 철근거치부(32)와 높이조절 철근받침대(60)의 철근거치부(62)의 상면은 중심을 기준으로 완만하며, 볼록한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bar portion 12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bar portion 22 and the third rebar portion of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3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bar mounting portion 62 of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60 is gent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it may be formed of a convex spherical surface.

이는, 상기 철근이 거치되는 접촉면적을 미세하게 완만한 곡선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배근되는 철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유동 또는 전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flow or conduction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by forming the contact area on which the reinforcing bar is formed in a slightly smooth curve.

즉, 평면상에 철근이 거치될 경우, 철근과 철근거치부분의 접촉면적이 넓어 수직하중으로 작용하는 일정범위 이내의 외력에는 저항할 수 있지만, 배근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철근을 밟을 경우 철근이 휘어지면서 철근받침대의 거치부분의 말단에 합성하중(수직하중+수평하중)이 작용하며, 본 합성하중의 외력이 철근받침대의 중심축에서 크게 벗어나게 되어 본 범위를 넘어서는 외력이 발생할 경우에는 철근받침대의 전도가 발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rebar is mounted on a flat surfa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bar and the reinforcing bar is wide so that it can resist external forces within a certain range acting as a vertical load. The composite load (vertical load + horizontal load) acts on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of the reinforcing bar, and the external force of the compound load is greatly deviat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reinforcing bar. May occur.

반면, 완만한 곡면상에 철근이 거치될 경우, 철근에 작용하는 외력이 철근받침대의 중심축 부근으로 작용하여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bar is mounted on a gentle curved surface,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reinforcing bar acts near the central axis of the reinforcing bar may help prevent the reinforcing of the reinforcing bar.

한편,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저면에는 바닥면과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p)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p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o reduc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ottom surface.

도 2 에서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출부(p)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와 제 3 철근받침대(30)의 저면에서도 복수의 돌출부(p)를 형성하여 바닥면과의 접촉면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FIG. 2, although the protrusion p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illustrat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 is also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and the third reinforcing bar 30. It can be formed to reduc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가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상부에서 조립될 경우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10)의 상부면에 상기 제 2 철근받침대(20)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p)와 대응되는 안착홈(미도시)를 형성하여 대응 조립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assemb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he bottom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t may be provided to form a mount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formed protrusion (p) to be assembled correspondingly.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철근받침대를 이용하여 상, 하부 철근을 조립된 단일의 철근받침대로 거치함에 따라, 철근의 자중에 의해 철근받침대가 전도되지 않는 구조적 특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작업중 철근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함과 동시에 높이조절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o the assembled single reinforcing bar us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he reinforcing bar by the weight of the reinforcing bar It can have a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is not conductive, and can prevent the reinforcement of the reinforcing bar by the load appli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at the same time can facilitate the height adjustment and installation work.

또한, 설계와 동일한 슬래브 철근의 유효춤을 확보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철근받침대 상호 간의 조합으로 철근받침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바닥 기준면의 상태에 따라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nsuring the effective dancing of the same slab reinforcement of the design to prevent the crack of the concret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tructur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bar freely by the combination of the reinforcing bar, the state of the floor reference surface The construction can be done easily and accurately.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shown in the following drawings.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철근받침대의 정면도이고,1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며,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며,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며,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철근받침대의 사시도이며,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 철근받침대의 배면사시도이며,7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며,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철근받침대의 결합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ing bar suppo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제 1 철근받침대 20 : 제 2 철근받침대10: first reinforcing bar 20: second reinforcing bar

30 : 제 3 철근받침대 60 : 높이조절 철근받침대30: third reinforcing bar 60: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Claims (18)

제 1 철근받침대와 제 2 철근받침대로 마련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에 있어서,In 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provided with a first reinforcing bar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상기 제 1 철근받침대는,The first reinforcing bar,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철근거치부와;A first rebar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a cross shape; 상기 제 1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리브부와;A plurality of ribs extending upward and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rebar mounting portion; 상기 리브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 1 결합부와;A first coupl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상기 리브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리브부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체결부와;A first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rib part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rib part; 상기 리브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기 위한 제 1 지지부;를 포함하며,Is disposed below the rib portion, the first support for reinforc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상기 제 2 철근받침대는,The second reinforcing bar,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철근거치부와;A second rebar mounting portion provided in a cross shape; 상기 제 2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복수의 기립부와;A plurality of standing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상기 기립부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결합부의 형상과 동일하게 마련되는 제 2 결합부와;A second coupling part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nd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upling part; 상기 기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어 본 기립부의 상면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체결부와;A second fastening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and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anding part; 상기 기립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전도방지력을 보강시키며, 상기 제 1 지지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되,Is disposed below the rising portion, reinforcing the fall prevention for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the second support is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support; 상기 제 2 철근받침대는 상기 기립부의 내측으로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결합부와 대응되는 제 2 결합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지지부에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체결부와 대응되는 제 2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상부에서 상기 제 2 철근받침대가 착탈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 The second reinforcing bar forms a second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nside the standing part, and the second support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s the firs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Forming a second fasten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the reinforcing reinforcing 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on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지지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부의 제 2 체결홈과 동일한 제 1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first support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support assembly reinforcement bar,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first fastening groove is formed with the second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suppor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철근거치부 및 제 2 철근거치부의 중심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 1 관통구 및 제 2 관통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브부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lower reinforcing 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coupling groov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forme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 3 철근받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further comprises a third reinforcing bar support that is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3 철근받침대는,The third reinforcing bar, 중심에 제 3 관통구를 형성하며,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3 철근거치부와;A third reinforcing part which forms a third through hole at the center and is provided in a cross shape; 상기 제 3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본 제 3 철근거치부에 거치되는 철근의 유동을 방지하는 철근유동방지부와;A reinforcement flow preventing unit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part and preventing the flow of reinforcing bars mounted on the third reinforcing part; 상기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 3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And a third support part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며, 중앙이 개구된 원형의 보강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ircular reinforcing member having an open cent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보강부재는,The reinforcing member, 중앙이 개구된 원형의 몸체부와;A circular body portion whose center is opened;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홈 또는 제 2 결합홈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보강결합부와;A reinforcing coupling part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nserted into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or the second coupling groove;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 1 체결홈 또는 제 2 체결홈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보강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And a reinforcing fastening part protruding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or the second fastening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브부의 중단에는 결합구가 형성되는 거치부재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Reinforced reinforcing 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is formed a coupling member is forme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거치부재지지부는 인접한 거치부재지지부 중 어느 하나의 거치부재지지부가 상호 연결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 The mounting member support is assembled re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ounting member support portion of the adjacent mounting member support is provided to be interconnected.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거치부재지지부에 대응 결합되는 거치부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further comprises a moun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member support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결합구에 대응 결합되는 거치부재체결부와, 'ㄴ'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재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moun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mounting member fasten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b' shap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립형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또는 제 2 철근받침대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높이조절 철근받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prefabricated reinforcing bar suppor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suppor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는,The height adjustment reinforcing bar, 중심에 관통구를 형성하며, 십자형상으로 마련되는 철근거치부와;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provided in a cross shape; 상기 철근거치부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리브부 또는 제 2 철근받침대의 기립부에 삽입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And a coupling part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reinforcing part and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rib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a standing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체결부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안착홈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 The coupling part assembly reinforcement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forms a seating groove is fasten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or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높이조절 철근받침대는 상기 제 1 철근받침대 또는 제 2 철근받침대와 결합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 The height-adjustable reinforcing bar is assembled when the reinforcing bar support or the second reinforcing b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coupl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6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or 14,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의 제 1 철근거치부와 제 2 철근받침대의 제 2 철근거치부와 제 3 철근받침대의 제 3 철근거치부와 높이조절 철근받침대의 철근거치부의 상면은 중심을 기준으로 완만하며, 볼록한 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einforcing part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bar part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the third rebar part of the third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reinforcing bar are gentle relative to the center.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sphere is formed. 제 1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5, 상기 제 1 철근받침대와 제 2 철근받침대와 제 3 철근받침대의 저면에는 바닥면과의 접촉면을 감소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철근받침대.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the third reinforcing bar to reduce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bottom surface.
KR1020090040684A 2009-05-11 2009-05-11 Prefabricated Rebar Support KR1010545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84A KR101054536B1 (en) 2009-05-11 2009-05-11 Prefabricated Rebar Sup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84A KR101054536B1 (en) 2009-05-11 2009-05-11 Prefabricated Rebar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809A KR20100121809A (en) 2010-11-19
KR101054536B1 true KR101054536B1 (en) 2011-08-04

Family

ID=4340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684A KR101054536B1 (en) 2009-05-11 2009-05-11 Prefabricated Rebar Sup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53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41B1 (en) * 2018-07-25 2019-07-15 박수부 Safety against overturning type multifunctional reinforcing bar supporter used in concrete slab proces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6468A (en) 1997-03-21 1998-10-06 Toko Sangyo Kk Reinforcing bar interval holding tool
KR200178202Y1 (en) * 1995-07-01 2000-05-01 송유섭 The support of a reinforcing bar
KR200432590Y1 (en) * 2006-09-26 2006-12-05 (주)한우리 A support for reinforcing steel equipment
KR20090002009U (en) * 2007-08-28 2009-03-04 구형서 Iron bar spacer for constru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202Y1 (en) * 1995-07-01 2000-05-01 송유섭 The support of a reinforcing bar
JPH10266468A (en) 1997-03-21 1998-10-06 Toko Sangyo Kk Reinforcing bar interval holding tool
KR200432590Y1 (en) * 2006-09-26 2006-12-05 (주)한우리 A support for reinforcing steel equipment
KR20090002009U (en) * 2007-08-28 2009-03-04 구형서 Iron bar spacer for constru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241B1 (en) * 2018-07-25 2019-07-15 박수부 Safety against overturning type multifunctional reinforcing bar supporter used in concrete slab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809A (en)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8407B1 (en) Hollow core slab by light weight assembly
KR100875697B1 (en) A light weight body for holllow concrete slab
US10280623B1 (en) Multifunctional rebar support system for reinforcement of concrete structures
WO2015030255A1 (en) Free access floor
KR101415947B1 (en) Fence having decoration frame
KR101054536B1 (en) Prefabricated Rebar Support
KR20120128455A (en) Device fixing water proof concrete mold for aluminum form
KR101120360B1 (en)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KR200235678Y1 (en) A device fixing the stone
KR200461500Y1 (en) A flash board waterproof sill
JP5123988B2 (en) Reinforcing bar support for foundation construction
KR200397800Y1 (en) Bracket for facing material of building
KR101205378B1 (en) An assembly type reinforcing bar spacer containing insert
KR200439183Y1 (en) Sleeper for Flooring Slab
KR200361653Y1 (en) Structure thing for water pipe
KR200457690Y1 (en) Block for the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KR100848081B1 (en) A mounting structure supporting member extension of gang form for construction
KR101059957B1 (en) Curtain wall fixture
KR200402936Y1 (en) Mould supporters which possess antiskid functions
KR200431373Y1 (en) Supporter for steel reinforcing concrete
KR200354079Y1 (en) pipe support for building
KR200305915Y1 (en) A support of steal reinforcing
KR200494928Y1 (en) bracket having an hanging Washstand which varietied thickness
KR20090002009U (en) Iron bar spacer for construction
CN210562910U (en) Floor fixing support and fl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