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523B1 -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523B1
KR101054523B1 KR1020040011367A KR20040011367A KR101054523B1 KR 101054523 B1 KR101054523 B1 KR 101054523B1 KR 1020040011367 A KR1020040011367 A KR 1020040011367A KR 20040011367 A KR20040011367 A KR 20040011367A KR 101054523 B1 KR101054523 B1 KR 10105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phone terminal
base station
access point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792A (ko
Inventor
하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4001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523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영역을 인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이동통신과 유선전화망을 이용하는 블루투스 통신을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한 원폰 단말기는, 현재 통신중인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를 통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존재하는 지역의 관할 기지국임이 판별되면, 단말은 블루투스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 주소가,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장치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 원폰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통신 링크 설정을 시도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원폰 단말기는 수동적인 조작없이 블루투스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링크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원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 페이징 채널, 시스템 파라메터, 마스터, 슬레이브

Description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Apparatus for recognizing Bluetooth zon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전술한 원폰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원폰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링크를 설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이하, 원폰 이라함)에서 블루투스 영역의 자동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원폰 서비스 이용시 집안이나 사무실에서 유선전 화망을 무선으로 이용하기 위해 블루투스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선전화망에 연결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원폰 단말기 사이의 장치 인식 및 통신채널 형성을 기존의 수동적 인식방법에서 탈피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서비스 접속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작고, 저렴한 가격, 적은 전력소모로 휴대폰, 휴대용 PC등과 같은 휴대장치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기타 주변장치들 근거리 (10m~100m)내의 무선 연결(2.4GHz ISM Open Band)을 위한 기술적 규격으로서 근거리 통신망으로 각광 받고 있는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이용하는 전송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이 대역에 80MHz 폭의 주파수가 공통으로 할당되어 별도의 정부 허가 없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대역은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도록 송신 출력의 크기를 100mW 또는 1mW로 제한하여 상호간섭을 억제하고 있다. 블루투스의 기본은 패킷 통신이지만 데이터와 음성 통신 모두 가능하다. 두 개의 기기를 일대일로 연결하면 단방향 최대 721kbps의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는 여덟 개 이내의 기기들이 모여 피코넷(piconet)이라는 하나의 망을 형성하는데, 이때는 기기 사이에 필요에 따라 전체 용량을 적절히 배분하여 쓰게 된다.
또한, 같은 공간 안에서 여러 개의 독립된 피코넷을 중첩해 형성할 수도 있어 정보처리 및 통신 기기들의 밀도가 높은 장소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전송오류 정정, 신원확인, 암호 및 절전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전술한 블루투스의 장점으로 인해, 블루투스의 응용중 앞서나가는 분야는 휴대폰에 관한 응용이다. 이러한 응용중, 이동 통신과, 유선망을 이용하는 무선 전화기등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폰(two in one-phone 또는 three in one-phone)이 있으며 에릭슨, 노키아등에서는 이미 상기 원폰 단말기를 생산하고 있다. 상기 원폰은 CDMA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하나의 단말기에 통합하고,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PSTN이나 XDSL등의 외부 네트워크의 연결점인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원폰 이용자는 블루투스 영역 내에서는 유선망의 이용요금으로 발신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이동성을 보장하면서도 저렴한 요금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전술한 원폰 서비스를 위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CDMA 이동통신 및 블루투스 기능을 갖춘 원폰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영역(10) 밖에서는 통상의 이동통신 단말로서 이용이 가능하고, 블루투스 영역(10)에 진입하게 되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블루투스 모드로 전환하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원폰 단말기(100)의 발신호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를 통해 유선망(30)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발신호는 착신자의 환경에 따라 유선망(30) 또는 이동전화망(40)을 통해 착신자(60)에게 전달된다. 또한, 발신자 및 착신자의 지정에 따라 지능망(50)을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원폰 서비스의 블루투스 모드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원폰 사이에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것 외에는 통상의 유선망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동작 을 수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유선 전화망의 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기 원폰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단말기상에서 수동으로 검색하여 블루투스 장비 리스트를 조회한 후 연결하고자 하는 장비를 선택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즉, 이동통신의 경우에는 CDMA기지국과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사용자의 별도 조작없이 통신 링크가 형성이 되지만, 블루투스 무선방식은 근거리에서 단말기가 수동적으로 통신링크를 설정해주어야만 통신이 가능하며 이는 서비스 이용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댁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원폰 단말기 사이의 자동통신링크 설정을 기술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과 유선전화망이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연동되어 이루어지는 원폰 서비스 이용시, 기존의 블루투스 장비 인식을 위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없이, 현재 단말기와 교신중인 CDMA기지국을 사용해 원폰 단말기가 서비스 가입자 주거지 근처에 있는지 아닌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인식하게 하고, 주거지 관할 기지국 무선 셀 반경 내에 원폰 단말기가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원폰 단말기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찾기 위해 장비 검색을 수행하며 원하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주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자동적으로 통신 링크를 형성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여 기지국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페이징 채널 수신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할 기지국 등록부; 상기 관할 기지국 등록부에 저장된 정보와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 상기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의 제어에 의해 블루투스 장치 주소의 검색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의 검색 된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 장치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링크 설정을 수행하는 연결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영역인식 장치는, 상기 연결제어부에 의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원폰 단말기를 슬레이브 장치로,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마스터 장치로 전환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은, 상기 원폰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 및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의 기지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위치의 기지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 는 경우, 주기적으로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 결과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장치 주소가 검출되면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링크 설정 단계는, 상기 원폰 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원폰 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주파수 도약 패턴을 일치시키도록 상기 주파수 도약 패턴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원폰 단말기는 슬레이브 장치로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는 마스터 장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인식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원폰 서비스 환경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영역 자동 인식 시스템은, CDMA 이동통신 기지국(300), 원폰 단말기(100a, 100b), 가정 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망(400),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500) 및 인터넷 망(600)을 포함한다.
원폰 단말기(100a, 100b, 100c)는 CDMA 이동통신 칩과 블루투스 칩이 내장된 단말기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통신 영역 밖에서는 CDMA 이동통신 기지국(300)을 통한 이동통신 전화기로 각 서비스 가입자의 가정 안에서는 무선전화기 역할을 하여 유선 전화망에 접속되어 있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를 통해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폰 단말기(100c)가 주거지 관할 CDMA 기지국(300)이 아닌 다른 기지국에 있는 경우, 기지국과 지속적으로 통신하는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지국(300)으로부터 수신하며 가입자의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와 원격지에 있음을 인지하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를 찾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원폰 단말기(100b)가 점점 주거지 근처로 이동함에 따라 기존 통신 기지국에서 새로운 기지국으로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가 이루어지면 새로운 기지국(300)은 원폰 단말기에게 현재 단말기 위치정보(GPS정보)를 송신하여 주거지 근처에 있음을 통보한다.
상기 원폰 단말기(100b)는 기지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 안에 가입자의 집이 속해 있음을 인지한 후 댁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찾기 위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장비 검색을 수행한다.
상기 검색에 의하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200)의 블루투스 장비 주소(Bluetooth device address) 정보가 수신되면 두 기기 사이의 시간 동기화가 먼저 이루어지고 이후 주파수 도약 패턴 합일을 통해 통신 링크가 연결된다.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자동적으로 연결되면 원폰 단말기(100a)는 PSTN망(500)과 연결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시내전화요금으로 무선전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NAS장비와 연결된 인터넷망(600)을 통해 원폰 단말기 상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100)는 원폰 단말기 내부에 모듈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100)는, 페이징 채널 수신부(110),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120), 관할 기지국 등록부(130),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140), 연결 제어부(150), 마스터/슬레이브 전환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징 채널 수신부(110)는 블루투스 영역의 인식을 위하여 별도의 모듈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기존의 CDMA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모듈을 그대로 사용하여 페이징 채널 정보만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원폰 단말기의 위치 파악을 위해서 CDMA 이동통신 기지국(300)은 순방향 채널중의 하나인 페이징(Paging) 채널을 통해 시스템 파라메터 메시지(System Parameters Message)등에 포함되어 있는 BASE_LAT(기지국의 위도 정보), BASE_LONG(기지국의 경도 정보)등의 값을 원폰 단말기로 송신한다. 페이징 채널 수신부(110)는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를 포함한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여 기지국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블루투스 존 진입 판별부(12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기지국의 식별자가 원폰 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 식별자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 존 진입 판별부(120)는, 상기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관할 기지국 등록부(130)로부터 현재 원폰 단말기를 관할하고 있는 기지국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지역과 근접한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관할 기지국 등록부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기지국의 식별자 또는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가 속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원폰 단말기를 관할하는 기지국의 위치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인접한 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수신된 기지국 위치 정보에 기초한 블루투스 존 진입 판별부(120)의 판단에 의해 원폰 단말기가 현재 블루투스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140)는 주기적으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의 링크 설정을 수행한다.
이때 원폰 단말기는 서비스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찾기 위해 일정시간 단위로 단말기내 전력소모를 최소로 하며 연결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장치 목록을 검색(inquiry process)을 실시한다.
예를 들어, 먼저 원폰 단말기가 주변에 존재할 블루투스 장치에 625μs동안 일정 주파수로 패킷 정보를 송신한 다음 이 신호에 응답하여 각 블루투스 장치는 FHS(Frequency Hopping Synchronization) 신호 안에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를 넣어 원폰 단말기에 송신하게 된다.
원폰 단말기와 댁내에 설치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Access Point)는 제품 출하 시 다른 가입자의 원폰 단말기가 접속하지 못하도록 사전에 블루투스 장치 주소를 동일하게 하여 배타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는 다른 가입자가 여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에 접속하여 다른 서비스 가입자 명의로 PSTN 유선전화망을 통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한 사용요금을 지불하지 않도록 하는 취지에서 시행된 것이다.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140)는 수신한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자체 내에 설정된 블루투스 장비 주소가 일치하는지 검색하여 저장된 주소와 일치하지 않으면 다른 블루투스 기기임을 인식하여 기기간 연결을 위한 접속을 시도하지 않는다.
한편,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140)에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 어드레스가 일치하다고 판단되면,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는 연결 제어부(150)를 제어하여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접속을 시도한다. 이때, 연결 제어부(150)는 원폰 단말기를 마스터로 하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의 클록 동기화를 수행하여 연결 상태로 진입하도록 한다.
마스터/슬레이브 전환부(160)는 연결 제어부(150)에 의해 연결 상태가 된 것이 감지되면, 원폰 단말기를 슬레이브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마스터로 전환 하여 원폰 단말기가 PSTN 유선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100)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영역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입수하여, 마스터 장치로서 접속 시도를 행함으로써 적은 전력으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의 자동 링크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원폰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CDMA 통신을 수행하는 CDMA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CDMA 통신모드와 블루투스 통신 모드 상호간을 전환하는 통신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영역인식 장치와 연동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원폰 단말기는 블루투스 영역 밖에서는 통상의 CDMA 이동 단말로서 이용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페이징 채널 정보를 수신한다(S100). 상기 페이징 채널의 시스템 파라메터의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원폰 단말기는 현재 어느 기지국과 통화를 수행하는 지를 파악하게 된다(S200).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원폰 단말기는 주거지 관할 기지국 영역인지를 판단한다(S300). 관할 기지국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주거지 관할 기지국이 아닌 경우에는 원폰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 시키지 않고 계속 페이징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관할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만약,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위치정보에 의하여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설치된 영역으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원폰 단말기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수 행하게 된다(S400). 여기서, 블루투스 장치 검색은 검색에 필요한 최소의 전력만을 소비하면서,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만약 블루투스 장치가 검색되면, 원폰 단말기가 저장하고 있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400).
원폰 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 영역 내에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면, 원폰 단말기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블루투스 통신연결을 설정하고 통신 모드를 이동통신 모드에서 블루투스 모드로 전환한다(S6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링크를 설정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한 과정에 의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존재하는 기지국 영역에 진입한 원폰 단말기의 검색에 의해, 블루투스 장비가 검출되면, 검색된 블루투스 장비의 주소가 자신이 가입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한다(S610).
만약, 상기 블루투스 장비 주소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원폰 단말기는 링크 설정을 수행하지 않고 계속해서 블루투스 장비 검색을 수행하게 된다.
검색된 블루투스 장비 주소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주소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원폰 단말기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는 동기화를 수행한다(S620).
장비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면, 두 장비 사이에 동일 주파수 도약 패턴으로 전환을 통해 통신 링크가 설정된다. 상기 통신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원폰 단말 기는 마스터(Master) 장치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는 슬레이브 장치로 동작하게 된다(S630).
원폰 단말기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간의 통신 링크가 설정되고, 원폰 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유선 전화망을 이용하기 위해서, 단계(S640)에서, 원폰 단말기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는 마스터/슬레이브를 전환하게 되고,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마스터로서 동작하게 된다.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마스터로 전환되면, 원폰 단말기는 통신모드를 이동통신 모드에서 블루투스 통신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통해 유선 전화망을 이용하게 된다(S650).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별도의 링크설정 및 통신 모드 전환의 필요없이 원폰 단말기는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검색하여, 스스로 링크를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유선전화망에 연결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원폰 단말기 사이의 장치 인식 및 통신채널 형성을 기존의 수동적 인식방법에서 탈피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서비스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서비스 접속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CDMA의 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저전력으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검색하고,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검색시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적으로 통신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장비간의 수동 연결을 위한 프로그램과 플랫폼이 설치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기상 메모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연결 프로그램 제작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망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유선망을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한 원폰 단말기 내에 위치하여 블루투스 영역을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여 상기 원폰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페이징 채널 수신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할 기지국 등록부;
    상기 관할 기지국 등록부에 저장된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상기 페이징 채널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
    상기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에 의해 상기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블루투스 장치 주소의 검색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에 의해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 장치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링크 설정을 수행하는 연결 제어부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위치 정보는 페이징 채널의 시스템 파라메터로부터 수신되는 블 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부는, 상기 원폰 단말기를 마스터 장치로,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슬레이브로 장치로 설정하여 링크 설정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부는 원폰 단말기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의 클록 동기화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제어부에 의해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원폰 단말기를 슬레이브 장치로,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마스터 장치로 전환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6. 이동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블루투스 모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이동통신 모드와 블루투스 모드간의 통신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통신 모드 전환부와; 블루투스 영역을 자동적으로 인식하여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를 포함하는 원폰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는,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채널을 수신하여 상기 원폰 단말기가 위치하는 기지국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페이징 채널 수신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할 기지국 등록부;
    상기 관할 기지국 등록부에 저장된 기지국의 위치정보와 상기 페이징 채널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기지국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 및
    상기 블루투스 영역 진입 판별부에 의해 상기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블루투스 장치 주소의 검색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
    상기 블루투스 장치 검색 제어부의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 주소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 장치 주소에 기초하여 통신 링크 설정을 수행하는 연결 제어부; 및
    상기 연결 제어부에 의해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원폰 단말기를 슬레이브 장치로,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를 마스터 장치로 전환하는 마스터/슬레이브 전환부를 포함하는, 원폰 단말기.
  7. 이동통신망 및 블루투스 이용한 유선망을 선택적으로 이용가능한 원폰 단말기가 블루투스 영역을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폰 단말기는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미리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원폰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폰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의 위치 정보와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속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원폰 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원폰 단말기가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가 위치한 기지국 관할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블루투스 장치의 검색 결과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의 장치 주소가 검출되면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와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수신단계에서, 상기 원폰 단말기는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의 페이징 채널에 포함된 기지국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 검색 단계는,
    블루투스 장치의 주소를 검색하고, 상기 원폰 단말기가 등록된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 장치 주소와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 주소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접속을 수행하지 않고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다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 설정 단계는,
    상기 원폰 단말기와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간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가 설정되면, 상기 원폰 단말기는 슬레이브 장치로 상기 블루투스 억세스포인트는 마스터 장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영역 인식 방법.
KR1020040011367A 2004-02-20 2004-02-20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KR10105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367A KR101054523B1 (ko) 2004-02-20 2004-02-20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367A KR101054523B1 (ko) 2004-02-20 2004-02-20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92A KR20050082792A (ko) 2005-08-24
KR101054523B1 true KR101054523B1 (ko) 2011-08-04

Family

ID=37269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367A KR101054523B1 (ko) 2004-02-20 2004-02-20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716B1 (ko) * 2005-06-07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망 자동 연결방법
KR100660715B1 (ko) * 2005-06-07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망 자동 연결방법
KR100751719B1 (ko) * 2005-09-06 2007-08-24 주식회사 이루온 블루투스 기반의 구내 무선 교환 시스템
KR100804395B1 (ko) * 2006-08-18 2008-02-15 (주) 엘지텔레콤 부정 이용 방지 기능을 가진 존 설정기와, 이를 이용한 존서비스 부정 이용 방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909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블루투스와 보이스 오버 아이피 서비스를 이용한 호 접속방법
US20030134659A1 (en) 2001-03-30 2003-07-17 Hiroyuki Morimoto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link establishment
KR20040010524A (ko) * 2000-09-11 2004-01-3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망 영역내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국부 무선망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5909A (ko) * 2000-08-23 2002-03-02 김대기 블루투스와 보이스 오버 아이피 서비스를 이용한 호 접속방법
KR20040010524A (ko) * 2000-09-11 2004-01-31 스카이워크스 솔루션즈 인코포레이티드 망 영역내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국부 무선망 이용 방법
US20030134659A1 (en) 2001-03-30 2003-07-17 Hiroyuki Morimoto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link establish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792A (ko) 200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32401A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can based on location
US66474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a 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EP1469659B1 (en) A short-range radio terminal adapted for data streaming and real time services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TW200428889A (en) Wireless personal communicator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020061744A1 (en) Controlling wireless, low-power radio frequency network
KR20040090945A (ko) 셀룰러 시스템과 무선랜 사이의 핸드오버 기능을 구비한무선 송수신 장치
JP2002544727A (ja) 通信システム
KR100605828B1 (ko)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 방법
JP2952857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42960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멀티미디어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7844295B1 (en) Using a wireless intercom to talk-around a cellular wireless network
GB2366131A (en) A short reach communication network
US200300547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wireless network enabled devices over existing wired telephone networks
CN111512651B (zh) 紧急位置通知系统
CN1953581B (zh) 移动机、通信系统及电话通信的切换方法
KR101054523B1 (ko) 블루투스 영역 인식 장치 및 인식 방법
KR100605650B1 (ko) 무선랜모드 변경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JP2005192163A (ja) 通信方法及び携帯電話機
JP3629537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広域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端末
WO2003085992A1 (en) Method for extending the coverage area of a wireless communication
KR20040107977A (ko) 근거리무선통신과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전화시스템 및그 방법
JP2000209644A (ja) 無線通信用複合端末装置
KR20050058773A (ko) 블루투스 모드에서 원폰 단말기의 개별 착신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8774A (ko) 이동통신 기지국 식별자를 이용한 원폰 단말기 내장블루투스 모듈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